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GIS기반의 한국형 Reach File 개발 연구

        이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들어 지리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GIS를 활용한 수질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자료구축을 위하여 개발방법론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표준화된 지리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구축된 공간자료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질관리를 위한 지리정보체계는 하천의 흐름 특성, 연결 관계, 위상 관계 등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 유역 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물환경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흐름분석 및 공간분석 기능을 통해 수질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공간데이터 개발방법론을 정립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및 연결 관계, 공간분석을 위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하천망 네트워크 기반의 한국형 Reach File을 개발하였다. 또한, Reach File과 물환경정보 연계를 위해 DEM을 이용한 유역분할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질모델링 연계 적용을 통해 수질관리에 있어 한국형 Reach File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 Reach File 개발을 위해 최대내접원을 이용한 하천중심선 추출, 위상 정보 및 속성 정보의 구축, Reach File과 유역 환경정보 연계를 위한 집수구역 분할방안 검토, 수질모델링 연계를 통한 활용방안 제시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최대내접원을 이용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천중심선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6개 하천을 대상으로 이등분선을 이용한 중심선 추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한 중심선은 대상하천의 하천일람에 명시된 하천거리와 평균 0.83%의 상대오차를 보였으며, 이등분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심선을 추출한 결과는 평균 1.62%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또한, 한국형 Reach File의 위상속성 및 주제속성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실제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공간탐색(spatial navigation)과 공간추적(spatial tracing) 기법을 적용한 결과, Reach와 Node의 속성정보를 이용하면 하천의 길이, 분기 여부, 본류 방향, 시작 Reach 구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천의 형상을 모식화하고 관심 지역의 영향권역을 산정할 수 있었다. 공간역추적 기법 적용에서는 한국형 Reach File의 속성정보 및 위상정보를 이용해 오염사고 발생 시 최초 발생지점에 대한 공간추적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물환경정보와 연계할 한국형 Reach File 단위의 집수구역 분할을 위해 환경부 30m DEM(Digital Elevation Map)을 이용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와 AVSWAT(ArcView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해 유역을 분할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Agree burn DEM을 이용하여 AVSWAT에서 집수구역을 분할하는 방법이 기존의 표준유역 경계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분할된 유역의 면적은 측량 면적과 비교할 때 상대오차가 1.36%로 WMS를 이용한 방법보다 정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해 1차원 수질모델 수행을 위한 전처리를 자동화한 결과, 기존 수작업에 의한 모델링 과정에 소요되던 준비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동일 하천구간에 대해 표준화된 공간자료인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모델 수행을 위한 모식도 작성결과가 항상 같아 모델 결과의 신뢰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한국형 Reach File은 하천의 표준 지리학적 데이터베이스로 Reach별 고유 식별코드와 공간분석에 필요한 속성정보 및 위상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향후 물환경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할 경우 시․공간 자료연계를 통한 수리학적 검색체계를 제공하고 하천 네트워크에 대한 공통된 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적 기반의 수질관리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 탈황석고 및 염소집진장치 분진(CBS-dust)이 고로슬래그 다량 치환 모르타르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이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에서 탄소발생 저감을 위해 활용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초기강도 발현 문제를 산업부산물인 탈황석고 및 CBS-dust를 활용하여 개선하고자 석고 및 CBS-dust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치환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시멘트 페이스트 실험으로 OPC : GGBFS비를 30 : 54에 대해 무수석고와 탈황석고 치환비를 0:16, 2:14, 4:12 세 가지로 계획하여 플로우, 압축강도, 열중량분석을 실험하였고 시멘트 모르타르 실험으로는 모르타트 배합비 1:3에 대하여 결합재를 OPC는 30%, GGBFS : CBS-dust비는, 54:0, 49:5, 44:10, 39:15로 분류하고, 무수석고 : 탈황석고비를 0:16, 2:14, 4:12로 계획한 모르타르의 플로우, 공기량, 응결시간, 압축강도, 흡수율 등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수석고 및 탈황석고를 치환한 고로슬래그 다량 치환 시멘트 페이스트의 특성으로 플로우는 탈황석고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활성탄의 수분흡착 성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의 경우 탈황석고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탈황석고의 황산염 자극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열중량분석의 경우 수산화칼슘이 분해되는 400~500℃에서 탈황석고의 치환율이 증가됨에 따라 약 1~1.2% 더 큰 무게 감소율을 나타냈는데, 이는 탈황석고 치환율에 따라 수화반응이 촉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석고 및 CBS-dust를 치환한 고로슬래그 다량치환 모르타르에서 굳지 않은 모르타르 특성으로 플로의 경우 탈황석고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BS-dust 치환시 유동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BS-dust 치환율 5%에서는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결시간의 경우 탈황석고 및 CBS-dust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응결시간이 단축되었는데, 이는 탈황석고 및 CBS-dust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재로 작용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화 모르타르의 특성으로 압축강도의 경우 전반적으로 탈황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했고, CBS-dust 5% 치환시 압축강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탈황석고 및 CBS-dust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재로 작용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흡수율의 경우에는 탈황석고 치환시 큰 영향은 없었으나 CBS-dust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BS-dust에 다량 포함된 염화물의 수용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 범위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치환한 모르타르에 석고 및 CBS-dust를 치환함에 따른 모르타르의 성능을 고찰하였는데, CBS-dust 5% 및 탈황석고 16%를 치환 시 유동성은 저하하였으나, 응결시간은 단축 및 압축강도는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배합을 통한 모르타르의 경화 및 강도발현 등의 성능향상 및 산업부 산물을 활용한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이 같은 배합의 경우 염화물량의 문제가 될 수 있어 철근의 사용이 제한적인 고온양생조건의 콘크리트 제품에 활용이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initial strength of mortar incorporating blast furnace slag powder(GGBFS) by reusing industrial by-products desulfurization gypsum(FDG) and chlorine bypass system dust(CBS-dust) to mitigate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industry. Also, contemplates the properties of cement paste and mortar partially substituted with FDG and CBS-dust while incorporating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First, cement pas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n OPC to GGBFS ratio of 30:45, and three substitution ratios of anhydrite gypsum(AG) to desulfurization gypsum(FDG) 0:16, 2:16, and 4:1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flow, compressive strength, and Termogravimetric analysis. Cement mortar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a 1:3 binder-to-sand ratio. Binder mix were designed on base of 30% OPC fixation, GGBFS to CBS-dust ratios at 54:0, 49:5, 44:10, and 39:15, AG to FDG ratios at 0:16, 2:14, and 4:12. The mortar tests were analyzed on the properties of flow, air content,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and absorption rati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uggest that partial substitution of AG and FDG on high volume GGBFS cement paste reduces flow, especially at higher FDG ratios, likely due to characteristics of carbon’s moisture absorption. Conversely, compressive strength tends to increase with increasing FDG substitution rate possibly due to sulfuric acid’s stimulating effect. 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s that weight loss rates increase by approximately 1 to 1.2% at higher FDG ratios in the 400-500℃ range, where calcium hydroxide decomposes. This suggests that FDG might have enhanced hydration reactions. In the case of property of fresh mortar, flow decreased with increasing FDG and CBS-dust substitution ratio. However, flow increased at CBS-dust substitution rate of 5%. Additionally, setting time were reduced when FDG and CBS-dust substitution rate increased. This may be the result of their acceleration act in GGBFS. In the case of hardened mortar, compressive strength showed higher strength as FDG substitution rate increased, coupled with CBS-dust substitution rate of 5% it resulted in superior compressive strength, indicating their potential as accelerators in GGBFS. In the case of absorption ratio, FDG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 but increased CBS-dust substitution rate do have effect. This may be the result of its soluble chloride content. In summary, this study contemplates the properties of mortar partially substituted with FDG and CBS-dust while incorporating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The result showed decrease in flow, reduced setting time an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t substitution rate of 5% CBS-dust and 16% FDG.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mixture ratio in enhancing initial strength and early age strength of mortar. Also, mitigating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industry by reusing by-products. However, due to concerns about chloride content, potential mixture would be more suitable for high-temperature cured concrete products where the use of reinforcing bars is minimal.

      • 산업연관 관계를 이용한 세 가지 연구

        이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hree independent studies that use the industrial relationships to conduct economic analysis. The three papers have a common approach based on the input-output analysis of the Korean economy. For this purpose, the economic phenomenon is analyzed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of Korea and the World Input-Output Table. The first essay analyzes industrial structure of each country and international trade of Korea by using upstreamness and export upstreamness.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 from 2000 to 2014, 9 countries and regions and 16 industries were analyzed. In Korea, mining, chemical products, wood and paper products, primary metal products, petroleum and coal products are located upstream in the production, and the upstreamness of transport equipment, food products, services and others is low.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Korea has a high upstreamness as with China and Taiwan, and it has a similar industrial structure with Taiwan and Japan. In addition, export upstreamness shows that Korea has a large export of intermediate inputs in the heavy chemical industry sectors. In the second essay, an energy input-output table is constructed using 2014 Korea’s Input-Output Table and Energy Balance. The energy input-output table of this study is a hybrid input-output table in which transactions in the energy sector are expressed in Ton of Oil Equivalent, and transactions in the non-energy sector are expressed in monetary units. The energy input-output table is composed of 20 energy sectors and 28 non-energy sectors.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energy demand and trade is examined through input-output analysis and a multi-factor energy input-output model is constructed. Among the major export industries, the energy demand in the manufa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did not increase largely due to the increase in export demand, but the energy demand in the manufacture of primary metal products and manufacture of chemical produc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multi-factor energy input-output model decomposed energy input-output table into seven factors to suggest the energy conversion and use process. In Chapter 4,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CGE) model is constr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changes in crude oil prices on the Korean economy. The social accounting matrix was drawn up using the 2013 Input-Output Table of Korea, and Armington substitution elasticity was estimated by using the maximum entropy metho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decline in oil prices affects the manufacture of petroleum products and affects the industries affected by petroleum products. According to scenario analysis, the impact of the decline in crude oil prices does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dustries other than manufacture of petroleum products, as the impact of the decline in crude oil prices was absorbed by the manufacture of petroleum products and had little effect on other industries. 본 학위논문은 산업연관 관계를 이용해 경제 분석을 하는 세 가지의 독립적인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논문은 한국경제에 대한 산업연관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위해 한국의 산업연관표와 세계 투입-산출표를 기초자료로 하여 경제현상을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2000년에서 2014년까지의 세계 투입-산출표를 활용해서 한국의 산업별 상류도지수를 분석하고 9개 국가나 지역, 16개 산업에 대한 국가별 산업별 상류도지수와 수출 상류도지수를 통해서 각 국가의 산업구조와 한국의 국제 무역 형태를 분석하였다. 한국은 광업, 화학제품, 목재 및 종이제품, 1차 금속제품, 석유 및 석탄제품 부문이 생산단계상 상류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고 수송장비, 음식료품, 서비스 및 기타 부문의 상류도지수는 낮게 나타났다.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한국은 중국, 대만과 함께 상류도지수가 높은 국가이며 대만, 일본과 유사한 산업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출 상류도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중화학공업에 속하는 산업의 중간투입재 수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3장에서는 2014년 한국의 산업연관표와 에너지밸런스를 활용해서 에너지 부문 20개 산업과 비에너지 부문 28개 산업으로 구성된 에너지 투입-산출표를 작성했다. 본 연구의 에너지 투입-산출표는 에너지 부문의 거래는 물량단위인 석유환산톤으로 표시하고 비에너지 부문의 거래는 금액으로 나타내는 복합단위 투입-산출표이다.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수요와 무역과의 관계를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해서 고찰하고 다요인 에너지 투입-산출 모형을 구축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요 수출산업 중에서 전기·전자기기 제조업은 수출수요 증가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1차 금속제품 제조업과 화학제품 제조업은 수출수요가 증가할 때 에너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요인 에너지 투입-산출 모형을 구축해 에너지 전환과정과 사용 과정을 7가지 요인으로 분해해서 제시했다. 제4장에서는 연산가능일반균형(CGE) 모형을 구축해 원유가격의 변동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3년 한국 투입-산출표를 이용해 사회회계행렬을 작성하였으며 아밍턴 대체탄력성은 극대 엔트로피 방법을 통해 추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원유가격의 하락은 석유제품 제조업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석유제품의 영향을 받는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시나리오 분석결과를 보면 원유 가격 하락에 따른 충격이 석유제품을 제외한 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원유가격 하락으로 인한 충격을 석유제품 제조업이 흡수해서 다른 산업에 미치는 효과가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 낙동강 중하류의 보 구간별 수질변화 특성

        이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Nakdong River, four major river project were built with the aim of preventing disasters such as drought and flood caused by climate change, securing water resources, and improving water quality. 8 weirs were completed. The nutritional and algae phenomena that occurred in the Nakdong River water system in summer after completion of the bath are becoming a social issue. Therefore, there is insufficient database for ongoing monitoring of the water quality of the Nakdong R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asonal changes in water quality of four weir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water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during multivariate analysis. As a result, organic matter, SS, and Chl-a showed high concentrations in summer, and nutrient salts showed high concentrations in Dalseongweir and Hapcheonweir. And DO decreased with depth, and the dissolved oxygen consumption coefficient was high in summer and Hamanweir was higher than other weirs. In the case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and has a high correlation to the season, rather than the dam, Nutrients and algae has ha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the pollution levels were relatively relevance in the overall water quality in the winter. These data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s and interactions with seasons in the Nakdong River middle-low weirs. 현재 낙동강은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등과 같은 재해 예방, 수자원확보, 수질개선 등을 목표로 4대강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8개의 보가 완성되었다. 보 완공 후 하절기 낙동강 수계에서 발생한 부영양와, 녹조현상은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의한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한 실정이다. 낙동강 중 하류에 설치된 4개의 보, 강정보, 달성보, 합천보, 함안보를 대상으로 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특성을 분석하고, 다변량분석 중 주성분 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수질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수질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유기물질, SS, Chl-a은 여름에 농도가 높았으며, 영양염류의 경우 달성보와 합천보가 대체로 농도가 높았다. 4개의 보 전부 수심에 따라 DO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용존산소소비계수가 여름에 높았으며, 함안보가 다른 보에 비해 높았다. 주성분분석 및 요인분석의 경우, 보 별보다는 계절별에 상관이 높다는 결과과 나왔으며, 영양염류와 조류가 비교적은 높은 상관이 있었고, 겨울에 전체적인 수실에서 오염도가 비교적 연관성이 많았다. 이 자료를 통해 낙동강 중하류의 보에 수질변화특성과 계절에 대한 영향과 상관성에 대해 수질 개선 및 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Trauma severity and mandibular fracture patterns in a regional trauma center

        이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Mandibular fractures are one of the common facial fractures. If the patient has severe injury, treatment may be delayed and more complications may occur; thus, evaluating the trauma severity at the time of visit is important. In South Korea, trauma patients are triaged and intensively treated in the regional trauma center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auma severity and mandibular fracture patterns. Methods: A medical record review was performed on patients who visited a regional trauma center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mandibular fracture between 2009 and 2018. Epidemiologic data and mandibular fracture patter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acial injury severity scale (FISS). Results: Among 73 patients, 51 were classified as non-severe trauma patients and 22 as severe trauma patients. A higher trauma severity was associated with older age (odds ratio [OR], 1.164; 95% CI, 1.057-1.404) and lower risk was associated with fractures located in the angle (OR, 0.001; 95% CI, 0-0.022), condylar process (OR, 0.001; 95% CI, 0-0.28), and coronoid process (OR, 0.004; 95% CI, 0-0.985). Furthermore, the risk was lower when the injury mechanism was a pedestrian traffic accident (TA) (OR, 0.004; 95% CI, 0-0.417) or falls (OR, 0.004; 95% CI, 0-0.663) compared with an in-car TA. Moreover, higher FISS (OR, 1.503; 95% CI, 1.155-2.049)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trauma severity. The proposed model was found to predict the trauma severity better than the model using FISS (p<0.001). Conclusions: Age, location of mandibular fractures, and injury mechanism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trauma severity. Epidemiologic data and patterns of mandibular fractures could predict the trauma severity better than FISS. 배경: 하악골 골절은 흔하게 발생하는 안면골 골절 중 하나이다. 환자의 중증도가 높으면 치료가 지연되고 합병증 발생율이 증가한다. 한국에서는 권역 외상 센터에서 중증 외상 환자를 분류하고, 집중적으로 치료한다. 이에 외상 중증도와 하악골 골절 양상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하악골 골절로 전남대병원 권역 외상 센터를 내원하여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역학 자료와 하악골 골절 양상을 분석하여 기존의 facial injury severity scale (FISS)와 비교하였다. 결과: 73명의 환자 중에서 51명은 비중증 외상 환자, 22명은 중증 외상 환자로 분류되었다. 중증 외상으로의 분류는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으며, 골절이 하악골의 각, 관절돌기, 근돌기에 있을 경우 낮았다. 수상 기전의 경우 탑승자 교통사고에 비하여 보행자 교통사고와 낙상일 경우 낮았다. 또한 FISS가 높을수록 중증 외상으로의 분류가 높았다. 또한 본 연구 모델이 기존의 FISS를 이용한 모델에 비하여 중증 외상으로의 분류를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나이, 하악골 골절 부위, 수상 기전은 중증 외상 여부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역학 자료 및 하악골 골절의 양상을 바탕으로 기존의 FISS보다 중증 외상 환자로의 분류를 더 우수하게 예측할 수 있다.

      • 山門을 中心으로 한 傳統寺刹 進入空間의 特性 考察

        이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사찰들은 일반적으로 사역의 입구인 일주문으로부터 주공간인 대웅전에 이르기까지 긴 진입과정 공간을 가지고 있다. 주공간에서는 정형적인 외부마당 구성이 이루어지는 반면 진입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자연적, 인공적 요소를 이용하여 불교의 세계로 들어가는 과정을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해 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 사찰건축의 진입공간의 구성요소와 그 특징들을 알아보고 특히 一柱門, 天王門, 金剛門 등의 산문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역할을 공간의 구성 속에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전통건축 공간구성의 특징과 사찰건축에 있어서의 공간개념을 파악한 후 사찰 진입부에 대한 요소와 그에 따른 의미를 찾아내고 사례를 통해 그 내용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우리나라 전통건축 공간의 특징과 질서요소를 알아보고, 사찰건축의 공간적인 구분을 하는 기준을 종교적·사상적, 시각적, 성격상으로 구별하여 각 영역별로 특징을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사찰에 있어서의 진입공간의 정의와 그 특색을 알아보고, 진입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상의 의미를 찾는다. 그리고 사찰건축의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해탈문, 불이문 등 산문의 의미와 각문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기능적인 측면, 상징적인 측면, 시각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2장, 3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현존하는 사찰에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5장은 지금까지 살펴본 사항들을 정리하여 결론을 맺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찰의 進入空間은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의 복합으로 主空間에 이르기 전 심리적이고 육체적인 淨化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효과는 山門을 통해서 극대화되고 있으며, 산문은 기능적, 상징적, 시각적 측면에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각 山門은 다음 공간으로의 목표- 예비, 암시, 기대, 유인-로써 존재한다. 시각적 측면에서 여러 개의 山門이 배치되어 있어 주공간으로 들어가는 과정적 공간에 결절점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결절점은 자연 속에서 시선의 초점을 만들어 진로의 목표가 되게 한다. 山門의 좌우나 상부에 다음 건물의 모습이 중첩되어 나타나며 이는 통로가 끝나는 것이 아니고 다음 단계의 과정이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그림틀 효과는 암시, 기대, 동선의 유인으로 작용한다. 산문을 통과하는 동안 상승되는 연속적인 위계를 시선의 방향을 통하여 느낀다. 이는 사찰의 공간구성이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인 구성으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단계별 특징으로 제1단계에서는 사찰 영역을 상징하는 표식들이 있는 준비단계로 주로 심리적인 면이 두드러진 공간이며 제2단계, 제3단계는 수목이나 담장 기타 구성요소들로 인하여 통로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천왕문, 금강문 등으로 상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4단계에서는 공간의 극적인 변화로 경건함을 고조시키고 있다. 평지사찰이나 구릉형사찰은 초입에서부터 주공간까지가 긴 통로로 형성이 되어 다음 목표물인 제2, 제3문 또는 중루 등이 시야에 들어오지 않거나 반쯤 가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많은 수목들 사이에서 다음 목표를 암시하여 동선이 흩어지지 않게 하고 있다. 반면, 산지사찰에서는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경사가 급한 대지에 자리한 관계로 다음 목표물을 거의 완전히 보여주는 대신 단차를 많이 두고 있다. 이는 다른 사찰의 긴 통로의 역할을 산지사찰에서는 높고 많은 계단이 대신해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목표물이 제시되는 방향 역시 산지사찰의 경우가 쉽고 명확하게 직선적이며 다른 사찰에서는 약간씩 중심축에서 빗겨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평지나 구릉형에서는 길고 수평적 진입이라면 산지사찰에서는 짧고 수직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Generally, Korean Buddhist Temple has a long processional space where is located from IlJuMun(一柱門), which is the entrance of a Temple's space, to DaeUngJeon(大雄殿), which is the main are of a temple. In main part, typical outer space has been organized, but, in the processional space, we could feel the entering into the Buddhist mental world just as symbolic meaning, by using some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In this study, I purpose to know the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in Korea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architecture, and particularly the meaning and role on spatial organization by mainly about Gates like IlJuMun, CheonWangMun(天王門), GeumGangMun(金剛門). For this study, I caught the point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e elements and meaning of its processional space. And then I applied them in some cases and analyzed them into some facts. The brief conclusion of this study as follows : In functional aspect, The Gates of the processional space takes first role of coming in and out and passing, and they take second role of presentation of remarkable destination and direction to the main area. Besides, they exist as a stage of psychological purification and education by passing ceremony in solemn surroundings. In symbolic aspect, Temples were defined by Gates as a particular spatial area against out world. These processional space express architecturally that the progress from common world to Nirvana is applied in the Buddhist dogma. That is, they are reappeared through IlJuMun that means both Nirvana and all truths are one and to go the Buddha's world, CheonWangMun that means people defeat the devil in their hearts, and HaeTalMun(解脫門) that means to escape from a anguish of transmigration of souls, and entering the world of Nirvana. In visual aspect, the Buddhist Temple's processional space has some Gates that make knots in processing space into main area. These knots make the focus of sight in nature and are the ways ahead the destination. the right and left of the Gates and the upper part of it appear to be piled up next building. That means it is not the end but the progress to another stage. Especially, the sight of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Gates acts on the effect of suggestion, expectation and seduction. During passing the Gates, people notice the third dimension space effect, felt rising successful grade of rank through direction of vision. This means Temple's space construction is not plane but solid In case of an axis of processional space, in Tongdo-Temple, it is soft bending round along the vally and is effect ed by GeumGangGyueDan in whole construction. In HwaUm-Temple, it is bending shape winded several times on the left and GakHwangJuen and stone pagoda operate the construction of axis. BumA-Temple is a straight construction connecting a steep slant with stairs. Like this, the axis of processional space is effected the topography and arrangement of whole Buddhist Te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