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탈황석고 및 염소집진장치 분진(CBS-dust)이 고로슬래그 다량 치환 모르타르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에서 탄소발생 저감을 위해 활용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초기강도 발현 문제를 산업부산물인 탈황석고 및 CBS-dust를 활용하여 개선하고자 석고 및 CBS-dust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치환한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시멘트 페이스트 실험으로 OPC : GGBFS비를 30 : 54에 대해 무수석고와 탈황석고 치환비를 0:16, 2:14, 4:12 세 가지로 계획하여 플로우, 압축강도, 열중량분석을 실험하였고 시멘트 모르타르 실험으로는 모르타트 배합비 1:3에 대하여 결합재를 OPC는 30%, GGBFS : CBS-dust비는, 54:0, 49:5, 44:10, 39:15로 분류하고, 무수석고 : 탈황석고비를 0:16, 2:14, 4:12로 계획한 모르타르의 플로우, 공기량, 응결시간, 압축강도, 흡수율 등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수석고 및 탈황석고를 치환한 고로슬래그 다량 치환 시멘트 페이스트의 특성으로 플로우는 탈황석고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활성탄의 수분흡착 성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압축강도의 경우 탈황석고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탈황석고의 황산염 자극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열중량분석의 경우 수산화칼슘이 분해되는 400~500℃에서 탈황석고의 치환율이 증가됨에 따라 약 1~1.2% 더 큰 무게 감소율을 나타냈는데, 이는 탈황석고 치환율에 따라 수화반응이 촉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석고 및 CBS-dust를 치환한 고로슬래그 다량치환 모르타르에서 굳지 않은 모르타르 특성으로 플로의 경우 탈황석고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BS-dust 치환시 유동성이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BS-dust 치환율 5%에서는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결시간의 경우 탈황석고 및 CBS-dust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응결시간이 단축되었는데, 이는 탈황석고 및 CBS-dust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재로 작용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화 모르타르의 특성으로 압축강도의 경우 전반적으로 탈황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했고, CBS-dust 5% 치환시 압축강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탈황석고 및 CBS-dust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재로 작용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흡수율의 경우에는 탈황석고 치환시 큰 영향은 없었으나 CBS-dust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BS-dust에 다량 포함된 염화물의 수용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 범위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치환한 모르타르에 석고 및 CBS-dust를 치환함에 따른 모르타르의 성능을 고찰하였는데, CBS-dust 5% 및 탈황석고 16%를 치환 시 유동성은 저하하였으나, 응결시간은 단축 및 압축강도는 상승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배합을 통한 모르타르의 경화 및 강도발현 등의 성능향상 및 산업부 산물을 활용한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이 같은 배합의 경우 염화물량의 문제가 될 수 있어 철근의 사용이 제한적인 고온양생조건의 콘크리트 제품에 활용이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initial strength of mortar incorporating blast furnace slag powder(GGBFS) by reusing industrial by-products desulfurization gypsum(FDG) and chlorine bypass system dust(CBS-dust) to mitigate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industry. Also, contemplates the properties of cement paste and mortar partially substituted with FDG and CBS-dust while incorporating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First, cement pas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n OPC to GGBFS ratio of 30:45, and three substitution ratios of anhydrite gypsum(AG) to desulfurization gypsum(FDG) 0:16, 2:16, and 4:1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flow, compressive strength, and Termogravimetric analysis. Cement mortar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a 1:3 binder-to-sand ratio. Binder mix were designed on base of 30% OPC fixation, GGBFS to CBS-dust ratios at 54:0, 49:5, 44:10, and 39:15, AG to FDG ratios at 0:16, 2:14, and 4:12. The mortar tests were analyzed on the properties of flow, air content,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and absorption rati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uggest that partial substitution of AG and FDG on high volume GGBFS cement paste reduces flow, especially at higher FDG ratios, likely due to characteristics of carbon’s moisture absorption. Conversely, compressive strength tends to increase with increasing FDG substitution rate possibly due to sulfuric acid’s stimulating effect. 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s that weight loss rates increase by approximately 1 to 1.2% at higher FDG ratios in the 400-500℃ range, where calcium hydroxide decomposes. This suggests that FDG might have enhanced hydration reactions. In the case of property of fresh mortar, flow decreased with increasing FDG and CBS-dust substitution ratio. However, flow increased at CBS-dust substitution rate of 5%. Additionally, setting time were reduced when FDG and CBS-dust substitution rate increased. This may be the result of their acceleration act in GGBFS. In the case of hardened mortar, compressive strength showed higher strength as FDG substitution rate increased, coupled with CBS-dust substitution rate of 5% it resulted in superior compressive strength, indicating their potential as accelerators in GGBFS. In the case of absorption ratio, FDG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 but increased CBS-dust substitution rate do have effect. This may be the result of its soluble chloride content. In summary, this study contemplates the properties of mortar partially substituted with FDG and CBS-dust while incorporating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The result showed decrease in flow, reduced setting time an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at substitution rate of 5% CBS-dust and 16% FDG.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mixture ratio in enhancing initial strength and early age strength of mortar. Also, mitigating carbon emissions in construction industry by reusing by-products. However, due to concerns about chloride content, potential mixture would be more suitable for high-temperature cured concrete products where the use of reinforcing bars is minimal.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GIS기반의 한국형 Reach File 개발 연구
최근 들어 지리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로 인해 GIS를 활용한 수질관리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자료구축을 위하여 개발방법론을 적용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표준화된 지리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구축된 공간자료에 대한 정확도 및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질관리를 위한 지리정보체계는 하천의 흐름 특성, 연결 관계, 위상 관계 등을 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다각적인 분석을 위해 유역 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물환경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흐름분석 및 공간분석 기능을 통해 수질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공간데이터 개발방법론을 정립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및 연결 관계, 공간분석을 위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하천망 네트워크 기반의 한국형 Reach File을 개발하였다. 또한, Reach File과 물환경정보 연계를 위해 DEM을 이용한 유역분할 방안을 제시하였고, 수질모델링 연계 적용을 통해 수질관리에 있어 한국형 Reach File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형 Reach File 개발을 위해 최대내접원을 이용한 하천중심선 추출, 위상 정보 및 속성 정보의 구축, Reach File과 유역 환경정보 연계를 위한 집수구역 분할방안 검토, 수질모델링 연계를 통한 활용방안 제시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최대내접원을 이용하여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하천중심선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6개 하천을 대상으로 이등분선을 이용한 중심선 추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한 중심선은 대상하천의 하천일람에 명시된 하천거리와 평균 0.83%의 상대오차를 보였으며, 이등분선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심선을 추출한 결과는 평균 1.62%의 상대오차를 보였다. 또한, 한국형 Reach File의 위상속성 및 주제속성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실제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경안천 유역을 대상으로 공간탐색(spatial navigation)과 공간추적(spatial tracing) 기법을 적용한 결과, Reach와 Node의 속성정보를 이용하면 하천의 길이, 분기 여부, 본류 방향, 시작 Reach 구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천의 형상을 모식화하고 관심 지역의 영향권역을 산정할 수 있었다. 공간역추적 기법 적용에서는 한국형 Reach File의 속성정보 및 위상정보를 이용해 오염사고 발생 시 최초 발생지점에 대한 공간추적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물환경정보와 연계할 한국형 Reach File 단위의 집수구역 분할을 위해 환경부 30m DEM(Digital Elevation Map)을 이용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와 AVSWAT(ArcView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해 유역을 분할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Agree burn DEM을 이용하여 AVSWAT에서 집수구역을 분할하는 방법이 기존의 표준유역 경계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분할된 유역의 면적은 측량 면적과 비교할 때 상대오차가 1.36%로 WMS를 이용한 방법보다 정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해 1차원 수질모델 수행을 위한 전처리를 자동화한 결과, 기존 수작업에 의한 모델링 과정에 소요되던 준비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동일 하천구간에 대해 표준화된 공간자료인 한국형 Reach File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모델 수행을 위한 모식도 작성결과가 항상 같아 모델 결과의 신뢰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한국형 Reach File은 하천의 표준 지리학적 데이터베이스로 Reach별 고유 식별코드와 공간분석에 필요한 속성정보 및 위상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향후 물환경정보와 연계하여 활용할 경우 시․공간 자료연계를 통한 수리학적 검색체계를 제공하고 하천 네트워크에 대한 공통된 공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과학적 기반의 수질관리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 방위사업청(전력화지원관리팀) 역할을 중심으로
이혁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기존의 성능개량 절차로는 무기체계가 전력화된 이후 발생하는 성능개량 소요가 사소하더라도 짧게는 3년 내지 길게는 5년이나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방위사업청은 무기체계의 개선 필요사항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을 신설하여 2020년 9월부터 시행 중이다. 또한,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은 2006년 방위사업청 개청 이후 분리된 무기체계 획득과 운영유지 업무의 연계 측면에서 국방부의 총수명주기 관점의 관리 정책에도 부합하는 제도이다. 아직 제도가 시행된 지 몇 년 지나지 않았고, 무기체계 개선 필요사항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획득제도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기법인 SWOT 분석 방법을 적용해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전담사업팀으로 지정된 전력화지원관리팀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한바, SWOT 분석으로 도출된 다수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 중 전력화지원관리팀의 역할을 중심으로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에 대해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을 수행한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에 대해 SWOT 분석 방법을 최초로 적용하여 연구하였고, 각 사업본부 하부에 있는 2개 전담사업팀을 1개로 통합하여 정책 기능이 있는 방위사업정책국으로 이관, 사업의 신속한 계약 추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위탁기관 활용 등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현존전력 성능 극대화 사업이 무기체계 신속 획득제도뿐만 아니라 획득과 운영유지 업무 연계 제도로 정착될 수 있도록 본 연구를 바탕으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In the existing performance improvement process, even i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required after the weapon system is deployed is insignificant, it can only take 3 to 5 years at the shortest.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has newly established a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forces in order to promptly promote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weapon system, and has been implementing it since September 2020. In addition, the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ower is a system that meets the management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otal life cycle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 terms of linking the acquisition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separate weapons systems since the opening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in 2006. It has only been about two years since the system was implemented,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establish an acquisition system that can quickly respond to the needs of weapon system improvement, bu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WOT analysis method, which is a technique for establishing management strategies, was applied to study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existing power performance maximization project. In particular, since the role of the force integration support management team designated as a dedicated project team is very important, an efficient promotion plan for the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power centered on the role of the force integration support management team among the many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derived from the SWOT analysis presented. In addition, objectivity was secur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ose who had experience in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existing power. In this study, the SWO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the first time to the existing power performance maximization project, and the two dedicated project teams under each business headquarters were integrated into one, transferred to the Defense Acquisition Policy Bureau with policy functions, and contracted quickly for the project. It is meaningful that practically applicable implementation plans, such as active utilization of entrusted institutions, were presented for promo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so that the project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forces can be established not only as a weapon system rapid acquisition system but also as a system linking acquisition and operation maintenance.
공연예술자원의 효율적 중개체제에 관한 연구 : 공연예술자원의 문화마케팅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기업과 공연예술의 미래 전망을 다룬 것이다. 문화예술은 작금에 이르러 기업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키워드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미래에는 더욱 그러하리라 짐작된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문화예술이 지닌 가치를 기업들이 충분히 활용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기업들이 문화예술의 가치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체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두 가지라고 볼 수 있는데, 기업문화마케팅에 있어서의 문화예술의 가능성 재고(再考)와 문화예술자원의 효율적-창발적 활용 방법에 대한 제언이 바로 그것이다. 이 두 가지의 논점은 상호적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에게는 문화마케팅을 보다 극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문화예술단체에게는 기존의 혼합공공재의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적극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네 가지의 관점으로 사례와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제언을 하고자 하는데, 첫째는 문화예술단체의 재원 조성에 관한 연구로 핵심은 문화예술자원을 새롭게 조명해보자는 것이다. 둘째는 문화예술이 기업의 성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고, 셋째는 활용 가능한 문화예술자원의 종류와 이용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이 바로 넷째인데 이것은 실질적으로 기업이 문화예술자원을 최소의 비용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단, 즉 공연예술자산 중개체제의 구축이 어떻게 만들어져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앞서의 연구의 결론이 도출할 사회적 효과를 보다 심화시킬 수 있는-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구 혹은 시스템에 대한 제언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문화마케팅 이론의 일부와 미래의 산업에 대한 해외 석학들의 견해의 일부를 본 연구의 논제에 맞게 수용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논제의 중심은 어디까지나 문화마케팅의 일환으로서 공연예술이 기업 혹은 기관/단체와 관련해서 어떻게 하면 새로운 방식의 이익을 공동으로 창출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고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의 영역에 속한 새로운 방식의 공연예술마케팅의 창출이 가능한가를 따져보고자 하며 또한 그러한 마케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혹은 시장) 솔루션에 관하여 다루는 것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act point where the arenas of corporate marketing and cultural & artistic one meet each other, as well as thinks over its future prospect. More specifically, the study takes on the two main issues that influence each other, including the utility of culture and arts for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and the effective and emergent way of using the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It aims at providing methods for corporate to make the full use of cultural marketing campaigns, and for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to utilize their assets as an aggressive marketing tool.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case studies and examines precedent researches from the following four viewpoints. The first one is the fund raising of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potential possibi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as a key source of fund raising. The second one is what effect culture and art have on corporate activity. In this respect, the study provides critical comments on relevant cases and precedent researches. The third one is to identify what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will be available for a marketing tool. Finally, the study looks at the brokerage system for trading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which can be utilized as a tool for magnifying the social effect that the cultural and artistic assets create in marketing. This study adopts some part of cultural marketing theory and some opinions of authoritative researchers on the future industry. However, it focuses on the emergent way in which performing arts, as a cultural marketing tool, can generate profits in collaboration with both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bodies. Therefore, it seek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brand new way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putting more emphasis on a system (or market) that makes this kind of marketing available. The cores of this study are to find new and reliable ways helping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ecure fund-raising, and to suggest how corporate and organizations will create maximal profits by collaborating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우리나라의 사찰들은 일반적으로 사역의 입구인 일주문으로부터 주공간인 대웅전에 이르기까지 긴 진입과정 공간을 가지고 있다. 주공간에서는 정형적인 외부마당 구성이 이루어지는 반면 진입공간에서는 여러 가지 자연적, 인공적 요소를 이용하여 불교의 세계로 들어가는 과정을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해 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 사찰건축의 진입공간의 구성요소와 그 특징들을 알아보고 특히 一柱門, 天王門, 金剛門 등의 산문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역할을 공간의 구성 속에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전통건축 공간구성의 특징과 사찰건축에 있어서의 공간개념을 파악한 후 사찰 진입부에 대한 요소와 그에 따른 의미를 찾아내고 사례를 통해 그 내용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우리나라 전통건축 공간의 특징과 질서요소를 알아보고, 사찰건축의 공간적인 구분을 하는 기준을 종교적·사상적, 시각적, 성격상으로 구별하여 각 영역별로 특징을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사찰에 있어서의 진입공간의 정의와 그 특색을 알아보고, 진입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와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상의 의미를 찾는다. 그리고 사찰건축의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해탈문, 불이문 등 산문의 의미와 각문의 성격과 의미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기능적인 측면, 상징적인 측면, 시각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2장, 3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현존하는 사찰에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5장은 지금까지 살펴본 사항들을 정리하여 결론을 맺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찰의 進入空間은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의 복합으로 主空間에 이르기 전 심리적이고 육체적인 淨化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효과는 山門을 통해서 극대화되고 있으며, 산문은 기능적, 상징적, 시각적 측면에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각 山門은 다음 공간으로의 목표- 예비, 암시, 기대, 유인-로써 존재한다. 시각적 측면에서 여러 개의 山門이 배치되어 있어 주공간으로 들어가는 과정적 공간에 결절점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결절점은 자연 속에서 시선의 초점을 만들어 진로의 목표가 되게 한다. 山門의 좌우나 상부에 다음 건물의 모습이 중첩되어 나타나며 이는 통로가 끝나는 것이 아니고 다음 단계의 과정이 있음을 암시한다. 특히, 그림틀 효과는 암시, 기대, 동선의 유인으로 작용한다. 산문을 통과하는 동안 상승되는 연속적인 위계를 시선의 방향을 통하여 느낀다. 이는 사찰의 공간구성이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인 구성으로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단계별 특징으로 제1단계에서는 사찰 영역을 상징하는 표식들이 있는 준비단계로 주로 심리적인 면이 두드러진 공간이며 제2단계, 제3단계는 수목이나 담장 기타 구성요소들로 인하여 통로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고 천왕문, 금강문 등으로 상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4단계에서는 공간의 극적인 변화로 경건함을 고조시키고 있다. 평지사찰이나 구릉형사찰은 초입에서부터 주공간까지가 긴 통로로 형성이 되어 다음 목표물인 제2, 제3문 또는 중루 등이 시야에 들어오지 않거나 반쯤 가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많은 수목들 사이에서 다음 목표를 암시하여 동선이 흩어지지 않게 하고 있다. 반면, 산지사찰에서는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경사가 급한 대지에 자리한 관계로 다음 목표물을 거의 완전히 보여주는 대신 단차를 많이 두고 있다. 이는 다른 사찰의 긴 통로의 역할을 산지사찰에서는 높고 많은 계단이 대신해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목표물이 제시되는 방향 역시 산지사찰의 경우가 쉽고 명확하게 직선적이며 다른 사찰에서는 약간씩 중심축에서 빗겨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평지나 구릉형에서는 길고 수평적 진입이라면 산지사찰에서는 짧고 수직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Generally, Korean Buddhist Temple has a long processional space where is located from IlJuMun(一柱門), which is the entrance of a Temple's space, to DaeUngJeon(大雄殿), which is the main are of a temple. In main part, typical outer space has been organized, but, in the processional space, we could feel the entering into the Buddhist mental world just as symbolic meaning, by using some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In this study, I purpose to know the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in Korea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architecture, and particularly the meaning and role on spatial organization by mainly about Gates like IlJuMun, CheonWangMun(天王門), GeumGangMun(金剛門). For this study, I caught the point of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organization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e elements and meaning of its processional space. And then I applied them in some cases and analyzed them into some facts. The brief conclusion of this study as follows : In functional aspect, The Gates of the processional space takes first role of coming in and out and passing, and they take second role of presentation of remarkable destination and direction to the main area. Besides, they exist as a stage of psychological purification and education by passing ceremony in solemn surroundings. In symbolic aspect, Temples were defined by Gates as a particular spatial area against out world. These processional space express architecturally that the progress from common world to Nirvana is applied in the Buddhist dogma. That is, they are reappeared through IlJuMun that means both Nirvana and all truths are one and to go the Buddha's world, CheonWangMun that means people defeat the devil in their hearts, and HaeTalMun(解脫門) that means to escape from a anguish of transmigration of souls, and entering the world of Nirvana. In visual aspect, the Buddhist Temple's processional space has some Gates that make knots in processing space into main area. These knots make the focus of sight in nature and are the ways ahead the destination. the right and left of the Gates and the upper part of it appear to be piled up next building. That means it is not the end but the progress to another stage. Especially, the sight of the opposite side through the inside of the Gates acts on the effect of suggestion, expectation and seduction. During passing the Gates, people notice the third dimension space effect, felt rising successful grade of rank through direction of vision. This means Temple's space construction is not plane but solid In case of an axis of processional space, in Tongdo-Temple, it is soft bending round along the vally and is effect ed by GeumGangGyueDan in whole construction. In HwaUm-Temple, it is bending shape winded several times on the left and GakHwangJuen and stone pagoda operate the construction of axis. BumA-Temple is a straight construction connecting a steep slant with stairs. Like this, the axis of processional space is effected the topography and arrangement of whole Buddhist Temple.
이혁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금융공학의 중요 주제는 금융상품의 가격결정(Pricing)에 대한 문제이다. 복권(Lottery)역시 금융상품의 하나로 당첨금액과 확률이 정해져 있는 추첨식 및 즉석식 복권이 있고, 확률은 아는데 당첨금액은 모르는 로또(Lotto)복권이 있다. 복권의 가격은 정부의 정책적인 가격결정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금융공학적 관점에서 과연 그러한 가격결정이 적정하며, 복권 구매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가 이 논문의 주요한 관심사항이다. 이러한 접근이 피상적인 분석이 되지 않기 위해서 역사적인 분석과 구조적인 분석을 함께 시도하고자 한다. 역사적인 분석이란 종적이며 수직적인 분석으로 복권의 역사와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확률과 리스크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정을 알아보겠다. 구조적인 분석이란 횡적이고 수평적인 분석으로 가격속에 내재되어 있는 확률구조와 사업적인 특수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확률과 확률판단에 대한 인지적 의사결정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중요한 목적이다. 금융상품으로서의 복권은 당첨되면 일정금액을 가져갈 수 있지만 떨어지면 “0”의 값을 가지는 이항모델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일종의 옵션으로 당첨금이 확정된 추첨식 복권이나 즉석식 복권의 경우는 소유자(=옵션구입자)에게 약정된 당첨금을 주면되고, 로또는 참여자의 수나 판매금액 등에 따라 결정된 당첨금을 주면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옵션의 성격을 가지는 복권을 구매한다고 할때, "적정가격은 존재하는가?" 또한 "적정가격이 존재한다면 구매자들은 이러한 가격에 따라 구매의사결정을 내리는가?", “그렇지 않다면 그런 행동을 가져온 의사결정의 기준은 무엇인가?” 등이 이 논문의 주요 주제이다. 이를 위하여 기초적인 수학과 인지과학적 개념을 사용하였다. 수학적인 분석으로는 당첨확률에 따른 기댓값과 순열 및 조합을 통하여 복권의 적정가격에 대하여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반면 이론적 가격과 현실적인 선택과의 차이점을 인지과학적 개념을 통하여 설명하였다. 특히, 확률판단(Judgement of Probability) 및 의사결정의 비합리성에 관심을 가져온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또는 인지과학(conictive science)이 주요 접근방법이다. 복권구매자의 확률판단을 분석하는 개념으로 Herbert A. Simon의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Daniel Kahneman의 "휴리스틱과 바이어스”, “전망이론(Prospect theory)” 등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수학적으로 복권의 적정가격이 존재하더라도 구매자들의 구입행동은 수학적 계산에 의하기 보다는 주관적 확률판단에 의한 주관적 기대효용에 의해서 이루어 진다.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요나의 선교와 오늘날의 적용
이혁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Jonah's mi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ary ecclesiology and its application today This study was applied today by studying missionary ecclesiology and Jonah's mission in the book of Jonah. Missionary ecclesiology sees the nature of the church as missiona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is also reflected in Jonah's mission in the book of Jonah. This study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things studi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ssionary ecclesiology is biblical. It was confirmed that the central idea of missionary ecclesiology coincides with what the Bible says. This indicates that the Bible supports the missionary ecclesiology, and that the missionary ecclesiology is a sound ecclesiology established on the Bible. Second, missionary ecclesiology is in considerable agreement with Reformed theolog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ritings of Gehardus Voss and John Calvin, two representative Reformed theologians, we found that the missionary ecclesiology coincides with Reformed theology to a large extent. This indicates that missionary ecclesiology is worth studying and utilizing in the Reformed camp. Third, God is a missionary God. The nature of the triune God is mission. Heavenly Father sends His Son, Jesus, and sends the Holy Spirit in the name of His Son, Jesus Christ, to fulfill the plan of salvation. The Trinity God wants the church, which is His body, to do missionary work, and He teaches His church and sends it to the field of missionary work. Fourth, God's absolute sovereignty toward salvation is actively manifested through the church, which is His body. God is the one who does the work of missions with absolute sovereignty, but the work is never independent, and God wants his churches to be trained and used as missionary churches within his sovereignty. He is the one who does it. Lastly, all direction of the church should be toward mission. When the church moves toward mission as its ultimate goal, it becomes in accord with God's heart toward mission. Mission is the nature of the church, not just one of its many programs. 선교적 교회론의 관점에서 본 요나의 선교와 오늘날의 적용 본 연구는 선교적 교회론과 요나서에 나타난 요나의 선교를 연구함으로 오늘날 적용하도록 하였다. 선교적 교회론은 교회의 본성을 선교로 본다. 연구 결과 이것은 요나서에 나타난 요나의 선교에서도 그대로 반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따라 작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교적 교회론은 성경적이다. 선교적 교회론의 중심 사상은 성경이 말하는 바와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성경이 선교적 교회론을 지지하며, 선교적 교회론이 성경 위에 세워진 건전한 교회론임을 나타낸다. 둘째, 선교적 교회론은 개혁주의 신학과 상당 부분 부합한다. 대표적인 개혁주의 신학자 게할더스 보스와 존 칼빈의 저서를 살펴본 결과 선교적 교회론이 개혁주의 신학과 상당부분 부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것은 개혁주의 진영에서 선교적 교회론을 충분히 연구하고 활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셋째, 하나님은 선교사 하나님이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성은 선교이다. 하나님 아버지가 아들 예수를 보내시고,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성령을 보내셔서 그 구원의 계획을 이루어 가신다. 삼위일체 하나님 그의 몸 된 교회가 선교하길 원하시며 그의 교회를 가르쳐 선교의 현장으로 보내시는 분이시다. 넷째, 구원을 향한 하나님의 절대주권은 그의 몸된 교회를 통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하나님은 절대주권을 가지고 선교의 일을 하시는 분이시만, 그 사역은 결코 단독적이지 않으며 하나님은 그 분의 주권 안에서 그의 교회들이 선교적 교회로 훈련받고 쓰임받길 원하심으로 그 기쁘신 뜻대로 교회를 가르쳐 인도하시는 분이시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모든 방향성은 선교를 향하여야 한다. 교회는 선교를 궁극적 목표로 나아갈 때 선교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과 비로써 일치하게 된다. 선교는 교회의 여러 가지 프로그램 중의 하나가 아닌 교회의 본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