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향원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유아에게 총체적 언어교육의 방법으로써 동시를 사용한 총체적 언어 프로그램을 유아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 실시후의 유아들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활동이 유치원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내에서의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휘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프로그램은 실험집단 내에서의 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휘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청양군에 위치한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유아 20명은 실험집단으로 S초등학교 병설유치원 20명은 통제집단으로 총 40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3월 둘째 주부터 4월 넷째 주까지 8주동안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1993)가 제작한 『KISC 유아지능검사』중에서 어휘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어휘력은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활동을 실시하 였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 접근법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내의 성별에 따라 어휘력 향상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남아에 비해 여아의 어휘력이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동시를 통한 총체적 언어접근법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내의 연령에 따라 어휘력 향상에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사후검사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연령에 있어서는 의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s of children's poems on young children's vocabulary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ere developed. First, I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children's poems effective in improving vocabulary activity of young children? Second,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children's poems make difference on young children vocabulary improvement according sex? Third, Does the whole language approach through children's poems make difference on young children vocabulary improvement according ag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kindergartens who were 4 or 5 years ol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composed of 20 young childr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during 8 weeks, KIRBS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was used to test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vocabulary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sing children's poem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young children's vocabulary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or scores on the vocabulary test them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sing children's po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experimental group . Third,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sing children's poe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 and 5 years old kindergartens who were in the experimental children. That is, The years old group shows higher scores on vocabulary test than the 4-years-old group.

      • V2G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과정 연구

        이향원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national V2G (Vehicle to Grid) communication interface standard ISO/IEC 15118-2(2012) can support interactive power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V (Electric Vehicle) and EVSE (Electric Vehicle Service Equipment). The latest standard added V2G sequence timing values. V2G sequence timing values are used to examine V2G message exchange process between EVCC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SECC (Supply Equipment Communication Controller). In case of V2G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EVCC and SECC, timeout occurs when the time interval from sending V2G message request and receiving V2G message response is equal or greater than the predefined V2G sequence timing value. According to the standard, a session between EVCC and SECC is terminated with the occurrence of timeout. When the session is terminated, there is inconvenience of forming a session between EVCC and SECC from thebeginning and restarting the charging process. It is a significant problem if the V2G CCT (Charging Completion Time) increases. This thesis process maintaining the EV charging to check the status of EVCC and SECC using new methods when the timeout. The new methods include ST (Self-Test) in which EVCC verifies its own status and VDS (V2G Diagnostic Sequence) which checks the status between EVCC and SECC. In this process, the status of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ocket and physical connection status are examined. In other words, EVCC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o retransmit through the ST and VDS. In this thesis, we also compare V2G CCT of the retransmission method and the current method based on the standard. V2G CCT is measured in AC charging and DC charging with and without timeout separately. As a result, in AC charging, V2G CCT of the retransmission method decreases about 11% to 50% compared to the current method and DC charging reduces V2G CCT about 8% to 50%.Therefore, we can get the conclusion that V2G CCT between EVCC and SECC is faster in the retransmission method compared to the current method in case of timeout occurrence.

      • 현대 국어 어말 어미의 모음 상승 연구

        이향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현대 국어의 어말 어미를 대상으로 모음 상승의 유형을 정리하고, 이 현상이 언어 내․외적인 요인들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검토함으로써 어말 어미의 모음 상승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고려대학교 음성 언어 센터에서 구축한 ‘성인 자유 발화 대화 자료 말뭉치Ⅰ’이며, 자유 발화 자료를 관찰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일상어에서 관찰되는 어말 어미의 모음 상승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대 국어 모음 체계 내에서 공시적으로 실현 가능한 모음 상승 유형 가운데 어말 어미에서 나타나는 유형은 ‘오>우’, ‘아>어/애’, ‘어>으’이고, 이 음 변이 현상이 실현되는 대표적인 어미는 각각 ‘-고’, ‘-아’, ‘-거든’이었다. 모음 상승의 양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을 밝히기 위하여 언어 내․외적 변수를 설정하였다. 언어 내적인 요소로는 각 어미의 결합하는 어간의 유형 빈도, 운율 단위, 경계 성조를 살펴보았고, 언어 외적 요소로는 성별을 살펴보았다. 자료 내에서 각 어미의 사용 빈도와 음 변이율을 살펴보았을 때 어미 ‘-고’는 사용 빈도 2,925회 가운데 51.7%가 변이형으로 실현되었고, 어미 ‘-아’는 사용 빈도 1,812회와 변이율 24.2%를 보였다. 어미 ‘-거든’은 사용 빈도 207회, 변이율 23.7%였다. 어미 개별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고’는 결합 어간의 유형 빈도가 260회이고, 억양구 경계일 때와 H%의 경계 성조를 지닐 때 다소 변이율이 낮았지만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어미 ‘-아’는 어간 유형 빈도가 45회이며 특히 일부 특정 어간과 결합할 때 주로 음 변이가 나타났다. 또한 운율 단위와 성별에 따른 음 변이율의 차이를 보였다. 어미 ‘-거든’의 어간 유형 빈도는 41회로 사용 빈도와 비교할 때 높은 편이었으며, 성별 변수의 영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어미의 음 변이율은 ‘-고’ > ‘-아’ > ‘-거든’의 순서로 나타나는데, 유클리드 거리를 함께 고려하면 음향 공간 내에서 모음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모음 상승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어미 ‘-고’는 세 어미 가운데 가장 안정적이고 강력한 모음 상승 현상을 실현한다. 음 변이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과 더불어 다양한 조건 하에서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현된다. 이를 통하여 ‘-고’의 모음 상승이 표준어 화자들에게 강하게 자리 잡은 현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아’는 음 변이 환경에 제약이 많은 어미이다. 어간의 유형 빈도가 낮으며 특히 모음 상승에 기여하는 어간의 수가 매우 한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음 변이가 억양구 경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하여 어미 ‘-아’의 모음 상승은 생산성이 낮으며 결합 어간, 성별, 운율 단위 등에 따른 제약이 많은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아>애’ 음 변이는 국어사적인 배경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모음 상승 유형과는 별도로 다루어야 할 것으로 보았다. 넷째, ‘-거든’은 음 변이 양상에서 ‘-고’와 ‘-아’의 중간적인 속성을 보이는 어미이다. 모음 상승에 어간의 종류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성별 변수에서는 극적인 변이율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현대 국어의 어말 어미들은 모음 상승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음성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현대 국어 어말 어미 체계에서 나타나는 모음 상승을 유형화하였다는 점과 다양한 변수와 음 변이의 상관관계를 관찰함으로써 어말 어미의 모음 상승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어말 어미 체계 전체를 포괄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정된 세대와 지역에서 나타나는 모음 상승 현상만을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 운율 단위 경계에 위치한 음운의 음성적 변이

        이향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plores the morphological and prosodic factors that affect the phonetic realization of phonemes at prosodic boundaries in Korean.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experiments. Experiment 1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 of word class on the phonetic realization of phonemes in a spontaneous speech corpus. In Experiment 2, 80 speakers read sentences that contained target syllables in various morphological and prosodic contexts. The target syllables were included in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in the same prosodic position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effect of word class. The position within the prosodic domain and the size of the prosodic unit were also manipulated to explore prosodic effects. The total syllable, consonant, and vowel duration was measured in each target syllable to investigate temporal variation, and vowel dispersion in F1-F2 space was measured in each target syllable to investigating spectral variation.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does word class affect the phonetic realization of a phoneme? Specifically, are function words phonetically reduced compared to content words? Korean is an appropriate language to measure such effects independent of prosody, as Korean does not have lexical stress, or other prosodic differences between content and function word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in either temporal or spectral properties, either in spontaneous speech or in read sentences. These results showed that word class itself, independent of prosody, does not affect the phonetic realization of phonemes in Korean, suggesting that some of the previously documented differences between content and function words could be due to unavoidable prosodic effects in those languages. Second, how does the phonetic realization of a phoneme vary according to its position within a prosodic unit? The temporal and spectral patterns of target syllables were compared at phonological phrase-initial, -medial, and -final positions. It was found that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initial and non-initial phonem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The duration and dispersion of initial phonemes were clearly greater than in other positions. This result verified the existence of domain-initial strengthening in Korean. Initial strengthening was observed in both consonants and vowels at the edge, and the temporal and spectral structures increased at a similar rate. Speakers signal the boundary between prosodic units by strengthening the initial phoneme. This result was interesting when examined in relation to word class. The initial strengthening in which content words appear, as a result, distinguish the content words from the function words, considering that many languages generally give a prosody mark to the content words. Third, how does the size of a prosodic unit affect the realization of a phoneme one of its boundaries? Because phonetic prominence such as initial strengthening and final lengthening has been reported at prosodic boundaries, this study observed how these characteristics were realized at the boundaries of three prosodic units: PP (phonological phrase), IP (intonational phrase), and U (utterance). When the initial boundaries were compared, the phonetic realization of phonemes in the three phrase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re was no cumulative phonetic strengthening in higher prosodic units, presumably because the speaker’s articulatory goal was already sufficiently reached even in PP-initial position. When the final boundaries were compared, the PP-final phoneme had a shorter duration and lesser dispersion whereas the IP-final phoneme had a longer duration and greater dispersion.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result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the intonation boundary tone, rather than simply the cumulative effect that occurs in the higher units. The phonetic characteristic of the final position of the prosodic unit performs a function to identify the prosodic unit in addition to signaling the boundary.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discussed the phonetic difference between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without considering prosodic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word class by comparing content and function words in the same prosodic context. The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ical and prosodic factors was clarified by examining the pattern of phonetic variation according to the prosodic position along with the results of word class. Furthermor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d how Korean speakers signal the prosodic boundari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sodic un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