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laude. A. Debussy의 "Estampes"에 관한 분석 연구

        이해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C Debussy(l862∼1918) was a conveyed composer for impressionism music, and he was a franch composer who had been a bridge an important part of a modem music from 19C's comanticism to 2OC's modern music. He found inspired from impressionism pictonal, and he've used oriental scale, and he depictioned piano and orchestra very colorful and sensation. You can see these special good sense from Debussy's piano music 「stempes」 He've used first tune 「Pagodes」 pentatonic scale and showed hollowness, mystic, oriental atmosphere and he used B major tonality, but he consumptioned major second's ostino that made compose very wick. For generally flowing he've used ternary form or a portion of material's development. and irregulary beat or syncopution, so that could not expectation syllable. The second tune founclation with Habrnera rhythm from spain. He' ve used with broken chord's glissando, diatonic, Arabs scale, bitonality and he totally representied his impressionism natation He' ve used three parts and five lines, with pedal point and this tune tells tonality start to end So this is the most impressionism, color sensation from Estempes three tunes The third tune 「Jardines Sous La Pluie」 is very popular in France. This subject is from two children's song. And it is variation development. The scales are major, minor, semitone scale been used and special technical object for tremolo, trill vike melody, arpeggio ornament grace broken chord stationary voice has been used very specially So we know that Debussy's art expression and his experiment spirit done very important things from impressionism music has been development to the modem music. And we also can feel exotic, color sensation, and oriental mystery from 「Estempes」.

      • 共同住宅 受變電設備의 接地 設計

        이해수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designing the ground system of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facilities, things to be done at first are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il resistivity. But most of the electric design companies are simply doing the delivery of the specifications which were written the target value of ground resistance without writing the plan of ground design and specifications on the basis of practical measurement. Hereup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contents of the measurement and method of analysis of soil resistivity being performed when designing the grounding of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facilities in underground of apartment control office which is the main facilities of power supply of apartment housings. In additions; For the case study, soil resistivity with a model site of receiving and transforming facilities of apartment housing where was built on a hillock in the border of downtown was actually measured by Schlumberger's electrode law. And also as a result of multiple interpretation; soil layer structure proved to be the soil structure which was composed of a upper layer of a middle resistivity and a lower layer of high resistivity's rocks, using the ESII(Electrical Sounding Interactive Interpretation) which is the program of analyzing soil resistivity. When it does design the high resistivity-soil structure, ground design of mesh grid is effective. Also, when it does carry out ground rods in limited site like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facilities, it's judged of the suitable grounding method because there is no circulation-electric current between each ground rods, contrary to individual grounding by ground rods. In case of the soil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facilities will be established is singular homogeneous soi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o the ground design by the work in hand, but as in the case of the equivalent interpretation of a case study sit geological structure,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most of our soil structures are the multiple layer structure more than 2 layers, for the effective and most suitable ground facility design we could find the fact that we should use the exclusive program of ground design. Only through the data of soil resistivity from many sites available for ground construction, we can investigate and exactly design the alternative ways in case of the shortage of the target ground resistance value in design objective site and we can consult the contents of the data in the real construction of ground design. Also, to simply calculate the ground resistance in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facilities of apartment housings with common mesh grid method, the works changed from the multiple soil model to the single homogeneous soil model are needed and the calculation of equivalent soil-depth is needed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layer structure model and the dimensions of mesh grid. In case of apartment housing is built in the outskirts of downtown incising the mountainous area, there are many high resistivity-geological structures which are more than 1,000[Ω.m]'s soil condition and also according to the spot circumstance, satisfactory value of ground resistance is unobtainable with single ground 'method of the law in force because of restricting ground construction area. Therefore, we need a full study for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concrete-encased electrodes which are available in equal voltage and the value of low ground resistance can be got.

      • 외식 프랜차이즈 본사 지원의 형태가 경영성과와 재계약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해수 안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랜차이즈 본사 지원의 형태(물적 지원, 인적 지원, 프로모션 지원, 커뮤니케이션 지원, 교육 지원)가 가맹점주의 만족과 신 뢰에 미치는 과정을 통해서 경영성과와 재계약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 증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 경기지역 소재 외식 프 랜차이즈 가맹점주와 점장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0부가 회수되어 83.3%의 회수율을 보였다. 이 중 응답 내용이 충분하지 못하였거나 불성실한 응답한 22부를 제외한 228부의 유효 표본을 가설검정을 위한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fo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통계분석 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문항의 구성개념 타당성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 시하였고 신뢰성 검증을 Cronbach’s Alpha 계수 값을 구했다. 연구 모형 의 측정 변수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가설검정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여 변수들의 영향 관계를 검정하였다. 가설검정의 결과 가설 1-3: 프랜차이즈 본사지원형태 중 프로모션 지원은 만족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와 가설 2-3: 프랜차이즈 본사 지원 형태 중 프로모션 지원은 신뢰에 정(+) 적 인 영향 을 미칠 것이다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업종이 상존하는 외식 프랜차이즈의 다양한 업종끼 리 서로 치열한 경쟁 환경에 위치해 있는 외식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지원활동과 이에 대한 가맹점의 만족, 신뢰, 경영성과, 재계약 의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 다양한 지원의 형태는 가맹점의 만족과 신뢰, 재 계약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지만 본 연구에 서는 본사의 프로모션 지원은 신뢰와 재계약의도에 부(-)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가맹본부가 프로모션 지원 의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경비를 가맹본부가 가맹점에게 반강제적으로 부담시키는 경우가 많아서 가맹점의 입장에서는 프로모션 지원 자체가 반갑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향후 가맹본부는 프로모션 규모를 줄이고 프로모션에 필요한 경비를 가맹점이 부담하도록 하는 부당 행위 는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무리하게 가맹점을 모집하여 무리한 운영으로 불공정거래 행위를 스스로 초래하여 사회적인 지탄과 가맹본부의 부정적 인식을 키우기보다는 기존 의 가맹점들을 관리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types (physical support, human support, public relations support, communication support, education support) The survey was mainly conducted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50 were collected and 83.3% were recovered, of which 228 valid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test, except for 22 samples that were satisfactory or inadequa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1.0 statistical progra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item and the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by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study mode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several hypothesis analyz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study mode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several hypothesis analyz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Hypothesis 1-3: Promotion support among types of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Hypothesis 2-3: Promotion support among types of franchise headquarters support positively(+) affects trust. All hypotheses were exclu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cus of restaurant franchise in fierce competition environment between support activity of franchise headquarters and satisfaction of franchise, reliability, management performance and updat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ype of support between the franchise headquarters and the franchise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that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renewal intent of the franchise customer. However, in this study, our public relations support has a negative impact on trust and achievement. It is noteworthy that the franchise headquarters is obligated to charge the franchise all the expenses necessary to promote the franchise in the course of supporting the franchise.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ranchise itself does not welcome promotional support. In the future, the franchise headquarters should reduce the size of promotions, the franchise is responsible for promotional expenses, and the unfair practices should be modified to develop the Korean franchise industry. You must establish a plan that does not cause unreasonable activity.

      • 흙-시멘트의 역학적 특성 및 탄소성모형에의 적용

        이해수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흙-시멘트의 역학적인 특성, 즉 일축압축강도(q_(u))나 탄성계수(E_(50)) 등은 배합비, 토질조건, 시공방법, 양생일수 등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하여 국내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해지역에서 수행된 차집관로공사에서 기초지반과 흙막이용으로 사용된 흙-시멘트의 실내 및 현장배합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재령일과 시멘트 첨가량 및 토질조건 등에 따른 역학적인 특성, 즉 일축압축강도(q_(u)), 탄성계수(E_(50))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령일수가 증가하고 시멘트 배합량이 많을수록 일축압축강도(q_(u))가 커지며, 또한 재령일에 따른 일축압축강도(q_(u7), q_(ul4), q_(u28))는 서로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흙의 액성한계(w_(1)) 및 소성한계(w_(p)), 소성지수(PI) 등이 흙-시멘트의 일축압축강도(q_(u))와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탄성계수(E_(50))의 경우는 E_(50)≒61.8q_(u) 의 관계를 보였으나, 다른 영향인자에 대해서 경항성이 그다지 뚜렷하지 않았다. 흙-시멘트에 Mohr-Coulomb의 파괴규준을 적용하고 파괴면의 각도(θ)와 기존의 경험식(c_(28)≒1/3q_(u28))에 의하여 파괴시의 전단강도(τ_(f))를 추정한 결과, 일축압축강도(q_(u))와 전단강도(τ_(f))의 관계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현장조건에 대해서는 τ_(f)=0.78q_(u)(kg/㎠), 실험실조건에 대해서는 τ_(f)=0.46q_(u)(kg/㎠)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It is known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oil-cement such as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q_(u)) and deformation modulus(E_(50)) depend on admixture content condition, soil proprety, construction method, curing age and so on. However, In Korea such studies have not carried out schematically.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oil-cement which was constructed for temporary wall and foundation of pipe line in the Kim-Hae area were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and field admixture content tests. ; for exampl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q_(u)), deformation modulus(E_(50)) and so on. As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was shown that as the curing age and amount of cement, th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q_(u)) increases. The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s(qu_(7), qu_(l4), qu_(28)) for each curing age showed linear correlations as a whole, and a good correlation showed with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q_(u)) of soil-cement and index properties(w_(l)(%),w_(p)(%), and Pl(%)) of the soil. And it showed that E_(50)≒61.8q_(u), but E_(50) was not correlated with another different factors. Based on the Mohr-Coulomb failure criterion, the shear strength(τ_(f)) was investigated using the angle of failure surface(θ) of the specimens and the empirical formualr (c_(28)≒q_(u28)/3). From this, q_(u)-τ_(t) relationship showed a linear ; τ_(t)=0.78q_(u) for the field and τ_(t)=0.46q_(u) for laboratory condition.

      • 남산의 재구성 : 박정희 정권의 어린이 보건?복지 정책과 남산의 변화

        이해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울의 상징이자 서울의 풍광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 남산이 서울에서 차지하는 지리적, 상징적 위상은 실로 크다. 그러나 그 현저한 공간적 위치성과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달리, 남산은 도시 공간 문화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토지 이용이나 공원 계획의 측면에서 남산 개발을 분석하기 때문에 그것이 정치적, 사회적 담론의 구성체로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남산에는 다양한 정치권력의 흔적이 새겨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장안에 좋은 풍수적 기운을 싸안아 주는 산으로 여겨져 국가의 안녕을 위한 천제(天祭)를 지내는 목멱신사가 있었으며, 일제 식민 시기에는 경성 내 최대 신사인 조선신궁이 그 자리를 차지하여 제국주의의 위엄을 보여주는 무대로 활용되었다. 광복 이후 조선신궁이 철거되고 같은 자리에 이승만 정권이 그의 동상과 그의 호를 딴 우남정(現 남산팔각정)을 건립하였지만 4.19 혁명으로 파괴되었다. 이처럼 남산은 각 정치권력의 의지에 따라 새로운 정체성이 덧붙여지고 삭제되는 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우리는 남산이 단순한 자연으로서 산이 아닌 집권부의 지배 이념이 투영된 장소임을 알 수 있다. 1960년대 남산은 ‘어린이’에 관심을 기울였던 육영수 여사의 주도로 새로운 공간형태를 갖게 된다. 육 여사는 어린이가 구김살 없이 자라나도록 보호하는 것이 국가의 존재 이유이자 목표로서 강조했다. 그녀의 어린이 육성책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장소는 남산이었다. 1960년부터 1975년까지 남산에는 동양 최대 규모의 ‘서울남산어린이놀이터(1963)’를 비롯 ‘남산어린이회관(1970)’, ‘남산식물원(1970)’, ‘남산동물원(1971)’, 그리고 ‘방정환 동상(1971)’이 차례로 세워졌다. 당시 어린이 보건·복지 사업의 원동력은 육 여사의 소박한 선의로 평가됐으며, 남산의 ‘어린이-공원화’는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박 정권이 정치적 이데올로기로부터 마땅히 표백되어야할 주체이자 ‘무색투명함’, ‘순진무구함’, ‘발전’, ‘진보’ 등 긍정적인 개념들을 우선 가치로 하는 어린이를 특정 공간의 이미지 요소로 선택한 이유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데에서 출발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표면으로 내세우는 관용의 태도 이면에 자리한 정치 권력적 작용을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신문보도를 중심으로 국가의 어린이 보건‧복지 사업의 얼개와 내용을 파악하고, 남산에 세워진 개별 건축물의 외관과 구조, 동선, 방, 시설물 등의 배치를 기술한 관련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산은 어린이 복지를 위한 순수의 공간이거나,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이 아닌 민족중흥과 반공, 조국근대화와 부국강병, 애국주의 등 정치권력이 야심차게 추진한 국가적 담론들을 구체화시켜주는 도구로써 활용되었음을 밝혔다. 어린이 신화(myth)와 이를 둘러싼 놀이, 여가와 유흥 등과 같은 탈정치적인 담론들의 결합은 남산이 내재하고 있는 이념적 담론이 발화되는 의미망을 교란시켰다. 그러나 남산이 명실상부한 어린이공원으로 연출되는 모든 과정이 지배 권력의 용의주도한 전략 하에 진행되었다고 보긴 힘들다. 도로확장과 교통 개선, 관광 산업의 발달,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여가‧문화 활동 활성화 등 다양한 비담론 층위의 네트워크는 남산으로 향하는 길들을 확장시켜주었으며 여기에 남산의 환상성을 적극 고조시키는 언론이 힘을 실어주면서 남산은 어린이들을 위해 국가가 제공하는 꿈의 동산이자, 행복한 가족상이 탄생하는 공간, 서울시민의 사랑을 받는 공간으로 자리하게 됐다. 한편 행복하고 안락한 남산공원의 공간 연출 안에 포함될 수 없는 요소들은 아무리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해도 배제되어야만 했다. 남산 변두리에는 도시하층민과 빈민 아동, 매춘부 여성 등 국가 복지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대상들이 병존하고 있었다. 그들은 대한민국의 정기가 서린 깨끗한 남산을 오염시키고 위협하는 존재로 여겨졌으며, 안전한 서울 시민의 휴식과 휴게를 위해 남산에서 청소되어야할 대상이었다. 남산에 관한 다수의 환상적인 기억들은 이들이 겪어야 하는 체계적 삭제를 통해 만들어진 것에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어린이라는 관념과 정치적 실천, 남산이라는 물리적 조건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연출 과정 및 연유, 개별 건축물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들이 당시 사회의 변혁과 어떤 연관을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상화 권력이 국시로 내세운 다양한 시대적 담론이 공간과 같은 비담론적 조건과 상호연관 되어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추적하였다. 이는 남산 연구에서 그동안 생략, 배제되었던 결정적 장소를 재기입하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As a symbolic landscape of Seoul, Namsan (lit. “South Mountain”) has been repeatedly between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with the will of political power. The royal power of Chosun Dynasty performed a ritual for wishing national peace in Namsan, and Japanese imperialism used the mountain as visual media of the colonial power with Joseon Shrine(朝鮮神宮). In the same logic, President Syng-man Rhee desired to represent his power by building a giant statue of himself. Namsan is not a part of nature but a historical edifice which hides diverse prints of political power. However, there has been remained as a blind point of Namsan’s history; the mountain was transformed to a children’s park during the President Chung-Hee Park Regime. Mrs. Young-Su Yeuk, the former first la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child welfare and remodeled Namsan for children (from 1960 to 1975). Since children and childhood seem to have an unimpeachable moral status, there has not been any polemics against or questions about them at all. However, this article pointed out the myth of child can be used strongly and strategically in political legitimization. Based on the problem-consciousness above, focusing on several places and apparatus (such as ‘Namsan playground(1963)’ and a ‘children’s hall(1970)’ and the other monuments), this article described and proved what effects these practices created, and what political consequences they entailed. For analysis, historical newspaper articles as the primary source of information, additional materials including documents, old maps, photographs were used. By analyzing, these places and apparatus which combined with the myth of child representing ‘innocence’, ‘goodness’, ‘the future’ could dissimulate fundamental governing discourse such as ‘anticommunism’, ‘revival of nation’, ‘the imperative of economic growth' ’scientism’ and ‘patriotism’. However, Namsan Children’s Park was not simply created out under Park’s leadership in all its execution and completion, but had the unique identity of place through interaction of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we called non-discourse such as development of traffic routes, tourism industry, a rise in national income resulting from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ese factors encouraged people to head to Namsan for an outing. Also, media strengthened it. Namsan became emblematic of a paradise of children, and a main attraction for family visits or a couple on a date. Meanwhile, many diversities were excluded from the illusion of Namsan. for instance, shantytown residents, including displaced people and poor children, lived around the mountain. However, their stories were excluded and deleted in the placeness system. Prostitution villages were also demolished. These were an embarrassing part of Namsan Children’s Park. Namsan is a proud mountain of the nation as well as the essential place of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the President Park, so it should be protected from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the birth of Namsan Children’s Park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discursive and non-discursive processes. It analyzed the processes of discourse formation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and spatial apparatus and put a decisive place in Namsan history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 崔漢綺의 氣哲學 硏究

        이해수 東亞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급변하는 세계정세 속에서 조선사회의 변화를 촉구한 惠岡 崔漢綺(1803〜1877)의 사상을 조명하는데 있다. 물론 이것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적지 않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당시의 시대 사회적 배경과 관련한 그의 ‘氣哲學’에 대한 이해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먼저 崔漢綺의 문제의식은 기본적으로 현실이 변했다는데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된 현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바로 변화된 무언가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특히 崔漢綺가 살던 19세기 전반은 동서 문명이 교차하는 역사적 전환기로서, 그의 관심은 동서양을 회통할 새로운 학문체계를 정립하는데 있었다. 다시 말해 그는 기존의 학문을 지양, 통일하면서 온 천하에 보편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을 구상하고자 했던 것이다. 나아가 그가 의도한 학문의 통일이라는 것도 단순한 절충이 아니라 자신의 확고한 철학적 체계 내에서 기존의 학문을 해체하고 새로운 학문적 체계를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등장한 것이 이른바 氣를 중심으로 한 氣哲學이었다. 崔漢綺에 의하면, 이 세계의 모든 존재는 氣로 이루어져 있으며 변화하는 모든 현상도 이러한 氣의 運化에 의한 것이다. 즉 하늘을 운행하는 천체도 氣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며, 만물의 生滅도 氣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氣는 당연히 形質이 있는 有形의 것이 될 수밖에 없게 되는데, 또한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無’라든가 ‘空’, ‘理’ 등의 형이상학적인 無形의 개념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이처럼 崔漢綺에 있어 氣는 모든 존재의 근원으로서 活動運化를 그 본성으로 하며 무한한 운동과 변화를 거듭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氣는 한 덩어리의 活物로서, 이 活物인 氣의 聚散에 의해 만물의 생성과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나아가 崔漢綺의 氣哲學에서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인간의 인식이나 사유 활동을 의미하는 ‘神氣’라는 개념이다. 여기서 崔漢綺는 외부의 실재적 세계와 통하는 감각기관의 역할을 중시하는데, 이른바 神氣란 앎에 이르게 하는 주체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氣는 崔漢綺의 철학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서구의 자연과학을 수용함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즉 그는 서구의 자연과학을 단순히 받아들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주체적으로 수용할 학문체계로서 氣哲學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崔漢綺의 氣 개념은 분명 전통적인 ‘理氣論’에서의 氣 개념과는 차별성을 갖고 있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존재 및 현상을 氣로써 설명하는 氣哲學的 성격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또한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임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상, 崔漢綺의 氣哲學은 전통적인 氣哲學과 비교할 때 상당히 독창적인 면이 있으며, 철학․과학․사회 등 다양한 학문영역으로 전개되는 종합적인 면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그의 사상은 근대 자연과학의 광범위한 이해를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과 근대로의 시대적 변화를 철저히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 성격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필자는 비록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서구의 과학문명이 제국주의의 도구로 전락하던 시대에, 학자로서 진정 그것을 고민하며 그것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崔漢綺의 가치를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 취약한 몸들의 이야기하기와 미디어 실천 연구 : 유튜브 질병·장애인 브이로그를 중심으로

        이해수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media practices that people document their experiences of illness and disability on YouTube vlogs; it addresses three questions. First, how do vloggers in illness and disability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express themselves by storytelling their embodied experiences in daily life? Second, how do they perform political activities against normative violence and dominant discourse through vlogs? Third, how is solidarity built between vloggers and viewers? This study argues that ill and disabled people’s vlogs expand from individual's autobiographical video texts to the field of political discourse, and functions as a community linking isolated vulnerable bodies. Before commencing an in-depth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Storytelling’ and its practical value drawing on philosophical insights from Paul Ricoeur, Hannah Arendt and Judith Butler. Ricoeur who developed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argues that the capacity of storytelling supports the permanence of selfhood throughout the various changes of a lifetime. Human beings are not born with a certain identity; they develop their own identity throughout their live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identity is rather flexible. Even if personal identity is not fully stable, human beings constantly ask questions such as ‘Who am I, and what kind of person do I want to be?’ and refigure their identity. Arendt further expands on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storytelling. Storytelling is a political action for people excluded from the mainstream, called ‘pariahs’ who enable themselves to show their presence in public space. Revising the claims of Arendt’s political action, Butler broadens the theory of performativity beyond speech acts to include the concerted actions of the body. Assemblies of vulnerable bodies have an expressive dimension that cannot be limited to words. The gathering of vulnerable bodies itself has a significant message, and this is her ‘new plural and embodied body politics’.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works of the three aforementioned philosophers and the critical 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m, then develops an analytical framework to interpret the meaning of media practice by ill and disabled people who tell their vulnerable body’s experience and show their lives on YouTube vlogs.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osed of three parts. Ill and disabled people find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life by storytelling about their experiences through daily vlogs. They strive to document their embodied experiences in order to integrate the pains and changes caused by vulnerable bodies as part of their lives although restricted body function and unpredictable pain interrupt their storytelling for self-understanding. They use various metaphors and audio-visual elements to express illness and disability experiences that are invisible and difficult to explain. They also accept assistive devices(wheelchairs, hearing aids, white canes, artificial legs, etc.) as their extended body, and they actively find what they can do in a relationship with the assistive devices. Furthermore, they build self-efficacy and self-esteem by creating vlogs themselves, sharing their lives with the viewers and making an effort to take responsibility for every word they say on vlogs. All of these mentioned above in this paragraph are performative practices that vloggers accept failures and small achievements to coexist with vulnerable bodies, and constantly (re)construct their identity. Ill and disabled people produce vlogs as an individual’s autobiographical video text; however, their vlogging is not only a self-satisfied media practice but also a political action forming resistant discourses about small repression of their daily lives. Vloggers share their experience of being alienated from the medical field, and they tell their viewers about their own experiences hidden by medical discourse. They reject the medical model of illness and disability which is viewed as a defect that the field of medicine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must fix and completely overcome. They also speak out against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s illness, disability, and media representation which has reinforced negative stereotypes and social prejudice about ill and disabled people. They willingly expose marks of shame such as hair loss after radiation therapy or assistive devices representing disability to countervail effects of bodily stigma. They do not engage in organizational struggles on behalf of the ill and disabled. They just document their lived experiences on vlogs, however, the prevalence of normative violence and structural problems related to disability and illness in our society is revealed in their daily lives. That is why their media practices are well worth enough as micro-political tactics in everyday life. Their personal vlogs open up ‘collective story champ’ linking individuals with ill and vulnerable bodies. Wounded storytellers who were socially isolated due to physical limitations, pain or ingrained prejudices against illness and disability build empathetic connections by exchanging comments in the champ. Vloggers in illness and disability produce video texts together by complementing each other’s physical difficulties, then they feel empowerment and strong solidarity. Meanwhile, people who have not ‘yet’ experienced illness and disability gather in the champ. They call themselves ‘potentially’ ill and disabled people in order to evoke an awareness of human primary vulnerability and fundamental interdependency with or without illness or disability; in other words, since all humans are vulnerable, we are interdependent beings who should be living together and caring for each other. Networked people develop weak but continuous ties, and practice the ‘political ethics of care’ by sharing the vulnerability of each other via vlogs. 본 연구는 질병인과 장애인이 몸의 경험과 일상을 브이로그로 남기는 현상에 주목해, 아프고 취약한 몸으로 살아가고 있는 이들이 자신의 삶을 이야기하며 스스로 미디어를 생산하는 실천이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질병·장애인들이 브이로그에서 펼치는 개인적인 이야기가 자기 이해와 정체성 탐색으로 연동될 뿐만 아니라 일상 정치적 발화의 성격을 띠며, 또 다른 아프고 취약한 타자들과 연대를 가능케 하는 기반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논한다. 본 연구는 ‘이야기하기(storytelling)’가 가진 함의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그것이 가진 실천적 가치를 탐색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자기 정체성 형성과 이야기 행위의 관계를 고찰한 폴 리쾨르(Paul Ricoeur)의 논의를 시작으로, ‘이야기하기’의 일상적 경험을 정치적 행위로 연결하는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논의를 다각도로 조명한다. 또한 비언어적 차원의 정치적 발화력을 갖는 ‘몸’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논의를 교차시킨다. 동시에, 세 철학자의 논의와 관련된 비판적 해석과 쟁점들을 정리하여 일상적인 담화일 뿐 학문의 대상으로 쉽게 인식되지 않았던 ‘이야기하기’가 가진 함의를 재조명한다. 끝으로 이들의 통찰이 질병·장애인 브이로그를 둘러싼 ‘이야기하기’ 실천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다룰 주요 개념과 분석틀을 제시한다. 본 연구가 던지는 질문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브이로거들은 질병·장애 경험을 어떻게 의미화하며, ‘이야기하기’를 통해 정체성을 구현하는 방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브이로거들의 질병·장애 경험 발화는 정치 담론의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셋째, 브이로거와 시청공동체(viewing community) 사이에서 어떤 성격의 연대와 관계 맺기가 발생하는가? 이 같은 연구 문제에 대한 논증과 더불어 브이로거들이 언어화하기 힘든 질병·장애 경험과 감정을 몸으로 표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분석한다. 질병·장애 브이로거의 살아있는 몸 경험과 일상을 드러내고 이들의 미디어 실천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인터넷 민속지학(Internet Ethnography)’과 브이로그 영상에 대한 ‘멀티모달리티 분석(Multimodality Analysis)’, 브이로거들의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병행한다. 질병·장애인들은 브이로그를 통해 일상을 기록하며 삶의 의미와 방향을 만들어나간다. 이들의 이야기는 선형적이거나 구조적이지 않다. 예측할 수 없는 통증과 계속되는 몸과의 불화로 이야기는 종종 중단되고, 내용은 파편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이야기를 매개로 자신의 몸 경험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지속한다. 브이로거들은 질병·장애로 인한 변화된/변화 중인 신체와 삶을 응시하며, 그 경험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비유의 언어를 발굴해나간다. 또한 브이로거들은 몸의 일부이자 확장으로서 보조기기(휠체어, 보청기, 흰 지팡이, 의족 등)와 새롭게 관계 맺으며 삶 과정을 재편하고, 정상 사회에서 비가시화되었던 질병·장애 경험을 시청각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 보인다. 이들은 영상 기획과 촬영, 편집 등을 직접 수행하며 브이로그를 자기표현의 공간으로 의미화 한다. 시청자들에게 질병·장애와 살아가는 보통의 일상과 삶의 지향을 이야기하고, 그 이야기에 대해 책임지려는 노력을 통해 자기 존중감을 획득해나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브이로거들이 아프고 취약한 몸과 공생하기 위해 자신의 정체성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수행적 실천으로 분석한다. 질병·장애인들에게 브이로그는 몸 경험을 이해하고 자기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한 자전적 기록으로 출발하지만, 결코 자기만족적 미디어 실천으로 그치지 않는다. 질병·장애 브이로거들은 고정불변의 사회 규범과 인습에 대항하는 정치적 발화를 이어간다. 이들은 질병·장애의 몸을 치료와 극복의 대상으로 접근하는 의료 권력의 작동방식을 비판하고, 의료 담론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체현의 증언들을 길어낸다. 건강중심사회, 비장애중심주의, 질병인과 장애인을 무능력한 존재로 표상하는 사람들의 차별적 태도와 미디어 재현에도 문제를 제기한다. 이들의 저항은 언술 형태의 이야기하기를 넘어 낙인찍힌 몸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질병·장애에 들러붙는 부정적 표식(항암 치료로 인한 민머리, 장애를 부각하는 보조기기 등)을 감추지 않고 기꺼이 노출시킴으로써 낙인 효과를 전복하거나 비장애인들의 시선 폭력과 모욕적인 발언을 패러디하는 것이 그 예이다. 이들은 질병·장애인을 대표해 조직적 투쟁을 전개하지 않는다. 보통 사람의 일상처럼 자신의 삶을 담담하게 기록할 뿐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들의 작은 일상의 기록 속에서 사회적 억압과 모순이 폭로된다. 브이로그를 매개한 이들의 미디어 실천은 질병·장애인의 차별과 배제 문제가 추상적이고 규범적인 차원에서만 논의되거나 일회적 공적 담론으로 소진되는 것을 거부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내 주변의 누군가가 겪을 수 있는 문제임을 느낄 수 있도록 말을 거는 것, 그리하여 느슨하지만 오래 지속될 수 있는 연대를 적극적으로 구하는 정치적 행위로 확장된다. 브이로그는 질병·장애 브이로거와 시청공동체가 서로의 취약함을 공유하며 돌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야기판이기도 하다. 브이로그는 신체적 제약과 물리적 한계 때문에 서로에게 닿을 수 없었던 아프고 취약한 몸들을 연결시키는 장으로 전화한다. 정상성으로부터 소외된 이야기꾼들은 브이로그로 연결돼 아픔을 공유하며 공동의 이야기를 쌓아올린다. 이 이야기꾼들은 질병(인), 장애(인)이라는 동질감 뿐 아니라 동질감 내부의 다양한 위치와 차이를 확인하며 다름에 숨어있는 연대의 소실점을 발견해나간다. 한편 이 이야기판에는 ‘아직’ 건강한 사람들의 이야기도 모여든다. 이들은 자신을 ‘예비 암 환자’, ‘잠재적 장애인’으로 부르며 취약성을 인간 공통의 삶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함께 돌봄’이라는 긍정적 정동을 일궈나가며 이야기판의 외연을 확장한다. 질병·장애인 브이로그는 취약한 자들의 생활세계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텍스트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지닌다. 최근 장애의 원인을 개인의 생물학적 손상이 아닌 사회구조로부터 유래하는 활동의 제약과 불이익으로 보는 ‘사회적 모델(social model of disability)’이 정론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이 모델은 개별 질병·장애인의 질적 차이를 소거하고, 이들의 살아있는 경험을 구조로 환원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질병(인)·장애(인)의 이해를 구조적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각기 다른 질병·장애인의 이야기 경험으로부터 취약성의 일상 정치를 규명하는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장애·질병 브이로거가 영상을 통해 몸 경험을 표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질병·장애는 몸 내부의 경험이자 몸을 매개로 세계를 만나는 경험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루는 기존의 연구들은 몸에 대한 논의를 간과해왔다. 이에 연구자는 장애·질병인의 몸 경험이 전면화되는 순간을 ‘몸말’로 개념화하여 몸의 해석적 실천과 의미를 살폈다. 브이로거들이 언어화되기 힘든 질병·장애 경험과 감정들을 영상과 소리, 자막 등 다양한 시청각적 요소를 활용해 표출하는 과정을 좇아 이들의 몸말을 다층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질병·장애인의 자율적 미디어 실천을 드러낸 시도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의 언론학과 문화연구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질병·장애를 대상화하는 미디어 재현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질병·장애인을 수동적인 수용자 또는 사회적 약자로 위치지우고, 이들의 미디어 접근권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연구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질병·장애인들이 능동적인 미디어 생산자로 나서는 현상을 분석해 이들의 위치를 새로이 쓰고자 했다. 주류 미디어의 정형화된 방식과는 다른 의미를 생산하는 이들의 미디어 실천을 탐색한 본 연구는 미디어 연구 지평을 넓히는데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유튜브는 확증편향과 필터버블,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영상과 허위 정보의 온상지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질병·장애 브이로거들은 플랫폼 자본주의 질서에 일방적으로 끌려가기보다 그 기술 명령들을 전유하는데 능통하다. 이들은 그간 언어화되지 못했던 취약한 삶‘들’과 몸의 경험을 플랫폼 공중에 확산시키며 스스로 존엄성을 획득해나간다. 나아가 시청공동체로 연결된 아프고 취약한 몸들과 연대하며 서로를 돌보고, 소수자를 향한 억압적인 사회 규범들에 경종을 울리기도 한다. 상업화된 미디어 공간에 작은 틈새를 벌리며 대항적 이야기판을 확대하고자 하는 이들의 시도로부터, 약자들이 플랫폼 기술을 새롭게 전유하는 미디어 실천과 문화 정치적 변환 가능성을 타진해볼 수 있을 것이다.

      • 반려동물 상실에 따른 반려인의 그리프 케어(grief care)와 장송(葬送)에 관한 연구

        이해수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ontemporary society, companion animals are more than just animals. Companion animals have various forms of consumption by raising their companion animals. When pet is accepted as a companion animal family, consumption related to expensive food and nutrition, consumption related to animal hospital, consumption related to hygiene, consumption related to going out, etc. It will be economically and temporally burdened. These economic, temporal, and physical costs, and yet another aspect of psychiatry and emotions, are helped by these challenges. There is also a responsibility to help the well-received companion animals live well and help them die well. Also, always keep in mind that companion animals die like humans so that they do not get caught up in feelings of fear, sadness, frustration, and helplessness when they leave the companion animal. Human beings are social animals, living in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and other inanimate inanimate objects. Among them, the relationship with the animal, the creature, can be said to be deep,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panion animal which is a pet can be deeper. Companion animals do not criticize, express emotions unlike people, show constant attitudes, and sometimes they can be more conscientious and willing to rely on people. A person who raises a companion animal experiences emotional sympathy through facial expressions, eyes, gestures, and sounds while staying with a companion animal.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low fertility and an aging population will continue to grow rapidly, and the size of the pet animal market will also grow rapidly. More than one million families have been raising their pet, and the population of companion animals has also increased. However, it is not the place where there is no place to be helped when an animal that lives as a family is dead, and it is not the mood to mourn for the majority of people who do not consider the death of an animal to be. It is a fact that people are more honorable and not comparable than animals, so they can not be saddened at the loss of companion animals, and it is still time for many people to understand the burial ceremony like a person. I think it is inappropriate for everyone to acknowledge a companion animal as a person and mourn for an animal. This is because people who have never raised a companion animal or who have never had the love and love of a companion animal as a family can not understand the companion animal as a family and look at it with strange eyes. Talking with these non-caregivers can not be comforted, and sad feelings can increase. At the time of companion loss, you must meet someone who has lost a companion animal, someone who understands the depth of loss, and someone who knows how to overcome the grief of companion animal loss.

      • 직접 메탄 박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성능향상을 위한 Ru Flower 박막 표면 형상 음극 개발

        이해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화수소의 경우 수소와 비교하면 에너지 밀도가 크며 액화 상태 유지와 보관이 액화 수소에 비하여 쉽다. 개질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개질 과정 없이 탄화수소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로 사용하여야 한다. 직접 메탄 박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음극으로 저렴하고 촉매의 반응 성능이 높은 Ni를 주로 사용하는데 저온에서 작동 시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음극 표면에 탄소가 흡착되는 탄소 침적 (Carbon Coking) 현상이 발생한다. 탄소 침적 현상은 음극 표면이 탄소로 가려지기 때문에 연료와 반응할 수 있는 표면적이 줄어들어 연료전지의 성능을 저하하고 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와 다르게 Ru의 경우 탄소 침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알려져있다. 직접 메탄 박막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에서 Ru을 전극으로 사용하면 내부에서 메탄 개질에 필요한 반응 온도를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탄소 침적으로 인한 내구성 문제가 해결이 되지만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 Ru 박막의 연료극 성능을 향상해 가격 대비 성능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u 박막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물리기상증착법중 하나인 스퍼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박막 증착 주요 변수에 대한 Ru 박막 표면 형상의 경향성을 파악하여 Ru Flower 박막 표면 형상 음극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로 Flower Ru 셀이 500, 550 ℃에서 각각 0.41, 0.54 의 최대 전력 밀도가 측정되어 기존의 Ru 박막 음극보다 더 저온에서 메탄 개질 성능이 뛰어나고, 넓은 촉매 표면적을 가져 높은 성능을 가진 Ru Flower 박막 표면 형상 음극 개발에 성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