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중회귀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학건물 전력 사용량 연구

        이태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대학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내 각 대학들은 에너지 소비저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교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감소를 위한 방안은 캠페인성에 머무르고 있으며,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에만 한정되어 있어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학건물의 효율적인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을 위해서는 건물의 운영상의 관점에서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건물들의 에너지 사용량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전력사용량이 높은 건물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선정하였고, 각 요소들이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건물의 전력사용량 절감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 건물 에너지 해석용 프로그램 Energy Plus를 통해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개선하였을 때 전력사용량이 어느 정도 절감 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력사용량이 높은 건물들은 최근에 완공된 건물이었으며, 창호면적 비가 크고, 모두 EHP 냉난방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EHP 시스템과 보일러가 건물의 전력사용량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전력사용량 절감 방안은 기밀성능 개선, EHP 시스템 변경, 창호면적 감소이며, 각 개선방안 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물의 전력사용량 감소량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recent years, the energy consumption of university buildings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university buildings in University of Seoul was analyzed in order to look for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nergy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the electricity consumptions were gathered at all buildings in the campus. Then, the energy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building design an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the heating and cooling installations in the view point of building energy saving. Energy Plus was used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 the university building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s time goes on. The energy power consumption in the building of science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building of arts. The higher energy consumption buildings have a few characteristics. They had been completed in recent years and had a higher ratio of windows to exterior wall area over 30%, and most of them adopted the electric heat pump (EHP) system in order to deal with heating and cooling loads.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lectricity power consumptions in the university building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were known to be EHP system, boiler, windows area, and residents. The basic power consumption induced by lighting, refrigerators, test equipments, and individual heating/cooling appliance was close to be 70 %, that was very higher than other factors. In the buildings of sciences, about 85 % of electric power was occupied by the basic power consumption that can not be easily controlled. From the results of the energy simulation, the central air conditioning system has a benefit to save the energy in the university building, as compared to the EHP system that can be controlled individu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window/exterior wall ratio is designed to be lower than 25 % but the solar powered photovoltaic system is not adopted considering pay-back period.

      • 통합출력물에서 개인정보 보호법 적용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이태규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불러왔고 그 안에서 인공지능, 자율주행, 빅데이타, 클라우드 등 다양한 정보 통신 기술(ICT)의 융합이 이루어져 만들어진 시대이다. 4차 산업혁명은 데이터 활용이 핵심이고 많은 데이터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이 등장하였으며,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들이 정보를 다양한 플랫폼으로 방대하게 접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정보에 접근 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환경이 구축되는 만큼 데이터가 활용되는 규모는 방대해지며 그만큼 피해의 규모도 같이 커지고 있다. IT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는 만큼 개인정보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개인의 개인정보보호 인식 부족 또는 관리자의 관리 실수로 인한 유출, 해킹으로 유출되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통합출력물의 프로세스에서 개인정보 보호법에 해당하는 법적 요구사항에 대해 얼마나 적용이 되어있는지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통합출력물에서는 데이터 값 들이 기간계에서 데이터들이 넘어오기 때문에 통합출력물에서는 따로 암호화 적용, 또는 법적 요구사항에 대해 처리하지 않아도 이미 데이터들은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다. 하지만 법적 요구사항에 대해 외부의 데이터에 대해 너무 의존적이며 해당 데이터가 잘못된 암호화 적용, 또는 요구사항이 만족하지 못한다면 통합출력물에서 해당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프로세스가 돌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직접 통신을 진행하는 것 보다는 보안적 측면에서 개인적인 법적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API 게이트웨이 단일 진입점을 제공하여 게이트웨이에서 요구사항을 처리하고 체크하는 모델링을 제안하여 확장성과 보안적 측면이 강화된 서비스가 구축되는 것을 기대한다.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created by the integration of various IC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elf-driving, big data, and clou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bout data utilization, new technological innovations are emerging in various fields with a lot of data,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llows individuals to access information extensively on various platforms. As users can access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nd everyone can easily access it, the scale of data utilization is increasing and the scale of damage is increasing. As the IT industry develops rapidly,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g. There is a possibility of leakage due to lack of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r manager's mismanagement or leakage due to hacking. On the other hand,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understand how much the integrated output process applies to the legal requiremen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In the integrated output, since the data value is transferred in a fundamental system, the data already satisfies the requirements without separately applying encryption to the integrated output or processing the legal requirements. However, if the data is too dependent on external data for legal requirements and the data is incorrectly encrypted or the requirements are not met, the process may return without recognizing the problem in the integrated output. Rather than communicating directly with clients to address these issues, we hope that services with enhanced scalability and security will be built by proposing modeling to handle and check requirements on the gateway by providing a single entry point for API gateways to meet personal legal requirements.

      • 스마트폰 플랫폼 화면비율에 따른 영상 테크놀로지에 관한 연구 : 영화 <UNFORGETTABLE> 제작을 중심으로

        이태규 청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Today's smartphones are widely used by the public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ols as a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November 2009, the iPhone 3GS emerged as the first inflection point of the paradigm of the stagnant media environment. Especially for young generations who are using smartphones, it is the era of consuming media on mobile first rather than on computers. It has become the golden days of Mobile Only. This environment has become more than a just daily life. People established a close relationship with smartphones. Before the era of popularization in the mobile media environment, the aspect ratio for video images is mainly based on Aspect Ratio, which is based on horizontal screens that utilize existing platforms such as TVs, PCs, and tablets. However, not only the video images of the aspect ratio suitable for various platforms, but also the video contents with the aspect ratio of the vertical screen in the popularization of the smartphone are becoming more visible and the utilization thereof has been increasing. Likewise, the share of supply and demand through the smartphone platform in the video media market is increasing day by day. In light of this aspec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new vertical video images that are suitable for the vertical display of smartphones. In order to create a research on video images through the aspect ratio of the smartphone platform,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heoretical aspects and production aspects. In 'theoretical aspect', film is defined as a projection on screen and also with horizontal aspect ratio in basic definition. However, this research extends its meaning to films with vertically centered screen and with vertical ratio along with films definition. Extended definition also contains the current state of supply of smartphone platforms with online streaming, that is included of vertical film in the new form of new media categori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the image of the aspect ratio of the vertical film, and ecological change of the smartphone platform and the display change. In terms of production side, this study creates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forms of the film 《UNFORGETTABL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orms, this research will focus on relatively special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the vertical film has, compared to the existing horizontal film, such as freshness from new aspect ratio, increase immersion through the character focused screen formation, and high utility in smartphone platform. In order to prove above, this research will focus on and deal with the frame, movement, and editing aspects that should be dealt with the vertical film in comparison with the production aspects of existing films, video technology’s change, and effective way to image transfer method. After mak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film 《UNFORGETTABLE》,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desperate need for adopting concept of the vertical film that fits the screen ratio of smartphones.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on video technology, it is possible not only to display the images in the vertical aspect ratio, but also to effectively transmit the images in the form of various types of platforms when required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market. 오늘날의 스마트폰은 대중들에게 있어 쌍방소통(Communication)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자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는 젊은 세대들에게 있어서 컴퓨터보다 모바일에서 먼저 미디어를 소비하는 시대가 되었고, 이는 모바일 온리(Mobile Only)의 전성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오늘날 모바일 미디어 환경으로의 대중화 시대가 오기 전, 영상 이미지에 대한 화면비율은 기존 TV, PC, 태블릿 등의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가로 영상(Horizontal Screen) 중심의 종횡비(Aspect Ratio)가 기준이 되어있었고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다양한 플랫폼들에 적합한 가로 비율의 영상 이미지들뿐 아니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일상화 속에서 세로 영상(Vertical Screen)의 종횡비를 가지고 있는 영상콘텐츠들이 새롭게 선보이게 되고, 영상 미디어 시장 속 스마트폰 플랫폼을 통한 공급과 수요의 비중은 날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비추어 보았을 때, 스마트폰의 세로형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세로 영상 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사료 된다. 본 연구자는 다양한 영상 미디어 중 영화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폰 플랫폼 화면비율에 따른 영상 테크놀로지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론적 측면과 제작적 측면으로 크게 구분 지어 연구한다. 이론적 측면에서, 영화란 영상이 스크린 위에서의 투영이라는 기본적인 정의 속에서, 본 연구자는 기 정립된 가로 영화와 함께 세로 중심의 화면비율을 가진 영화를 세로 영화로 정의하고 그 의미를 확장한다. 또한, 온라인 스트리밍(On-line Streaming)을 활용한 스마트폰 플랫폼의 공급이 활성화된 현재의 모습에 비추어 세로 영화를 새로운 형태의 뉴미디어 적 범주에 포함하여 영화의 정의 속에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화면비율의 변화과정과 세로 영화의 화면비율에 관한 이미지 연구, 그리고 스마트폰 플랫폼의 생태학적 변화와 이에 따른 디스플레이 변화에 관하여 연구한다. 제작적 측면으로, 영화《UNFORGETTABLE》의 제작과정을 통해 세로 영화가 가지고 있는 특·장점으로 인물 중심의 화면구성을 통한 몰입감 상승, 새로운 화면비율이 가지고 있는 신선함, 그리고 스마트폰 플랫폼 속에서의 높은 효용성(Utility)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기존 가로 영화의 제작적 측면과 비교하여 세로 영화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프레임(Frame), 움직임(Movement), 편집기법(Editing)의 측면을 중심으로 영상 테크놀로지의 변화와 효과적인 영상 전달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이렇게 제작된 세로 영화《UNFORGETTABLE》을 통해 제작적 측면과 소비적 측면에 있어, 스마트폰 플랫폼 화면비율에 따른 세로 영화의 새로운 도입과 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면서 연구를 마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세로형 화면비율의 영상뿐 아니라 급변하는 미디어 시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플랫폼의 형태 속, 영상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화면비율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패시브적 기법과 액티브적 기법의 도입효과와 경제성 분석을 통한 효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이태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에너지절감을 목적으로 트랜시스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건축물에 다양한 에너지 절감기법들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링에 앞서 국내 건축물의 현황과 표준건축물에 대한 선행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시뮬레이션 레퍼런스 건축물을 구축하였다. 연구에서 적용한 절감기법은 크게 패시브적 기법과 액티브적 기법으로 구분한다. 패시브적 기법은 주로 건축물 외피의 단열성능을 조정하는 방식이고 액티브적 기법은 재생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하여 건축물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트랜시스를 활용하여 주요 변수값을 조정하였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은 태양 일사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설치 향, 벽체와 창의 단열성능은 열관류율과 태양열에너지 전달계수(SHGC)를 주요 변수로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벽체 단열성능 모델은 연간 총 에너지 소요량 대비 냉난방에너지의 절감량이 가장 많았다. 에너지 절감량 기준 상위 10개 모델 중 5개의 모델이 벽체 단열성능 모델로 나타났다. 창호(3개), PV/T(1개), 옥상 설치형 태양광발전(1개) 순이다. 에너지 절감량을 기준으로 볼 때는 액티브적 기법에 비해 패시브적 기법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투자비용 대비 절감량 편익분석 결과에 따르면 상위 8개 모델 중 6개의 모델이 태양광발전 또는 PV/T 모델이고 창호 모델이 3개로 나타났다. 태양광발전 또는 PV/T 모델은 투자회수까지 적게는 1년 많게는 29년이 걸리고 창호 모델은 적게는 8년 많게는 50년이 걸리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건축물 에너지 절감은 에너지 절감량을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회수기간 분석을 통해 총 투자비용 대비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건축물 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In this paper, various energy saving techniques are applied to buildings by using the TRNSYS simulation tool for the purpose of the energy saving of buildings. Prior to the simulation modeling, At first, the reference buildings were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statistics of domestic buildings and previous studies on standard buildings. The reduction techniques applied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passive and active techniques. Passive techniques are used to adjust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building envelope. Simulation model using TRNSYS was created by changing each value ​​of main variables. For exampl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strongly influenced by solar radiation,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parameters such as walls and windows is determined by the heat transmission rate and solar radiation energy transfer coefficient. The simulatio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wall insulation performance models have the largest savings in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mpared to the total annual energy requirements. Five of the top ten models in terms of energy savings were shown as wall insulation performance models. Windows (3), PV/T (1), and Photovoltaic on the rooftop (1). In terms of energy savings, the passive techniques were considered to be superior to the active techniqu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savings-economic analysis, six of the top eight models were PV or PV/T models and three window models. Photovoltaic or PV/T models took as little as one year and 29 years to payback, while window models take as little as eight years and 50 years.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nergy saving of buildings based on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Also, it is considerable to manage the building energy efficiently by analyzing energy savings compared to the total installments costs.

      • 사회적 자본이 시민의 국가방첩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 지역 시민을 중심으로

        이태규 가천대학교 ← 경원대학교 (X)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시민역량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국가 경제성장과 거버넌스(governance)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이론이 많은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안보와 직결된 국가방첩활동과 관련한 선행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 국가방첩활동 참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탐색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9월 20일~26일간 서울 및 경기도 거주 20세 이상 성인남녀 2,7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700명의 응답 완료자들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민의 국가방첩활동 참여인‘방첩활동 협조’에는 사회적 자본인 신뢰, 네트워크, 호혜성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네트워크, 신뢰, 호혜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민의 국가방첩활동 참여인‘방첩첩보 제보’에도 사회적 자본 요소로서 신뢰, 네트워크, 호혜성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 수준은 호혜성, 신뢰, 네트워크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배경 중 여성 보다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방첩 활동 참여(방첩첩보 제보와 협조)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성의 영향력이 컸는데 이는 남성 대부분 군 복무 경험이 있고, 군 복무자체가 국가안보를 지키는 방첩기능을 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안보와 방첩에 대한 학습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연령대가 높을수록 영향력이 큰 것은 60~70년대 반공방첩교육을 받은 세대로서 안보교육의 영향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는 정책적, 실무적, 이론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는 시민들의 국가방첩참여를 통해 국가안보와 국익을 보호하려면,‘검․경, 국정원 등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도 제고 방안’, ‘동호인 모임, 시민단체 등에 참여하는 문화’, ‘상부상조 문화 조성’, ‘시민을 대상으로 방첩의식(교육 또는 홍보)을 제고 시켜야 한다’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무적 측면에서는 방첩기관은 시민의 참여(협조자)가 필요한 경우 사회적 자본이 많은 사람을 선정하면 방첩활동과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협조를 받을 것이다. 셋째, 이론적 측면에서는‘사회적 자본이 시민의 국가방첩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시하였고, 이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적 자본과 방첩활동 참여에 관련한 설문문항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추었기 때문에 향후 시민대상으로 국가방첩활동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물리적 한계 때문에 표본의 표집 대상을 서울과 경기지역으로 한정하여 이론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과 국가방첩활동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충분한 이론적인 논의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주요어: 국가안보, 방첩, 사회적 자본, 국가 방첩활동 참여, 제보, 협조

      • 醫藥分業 政策過程에 관한 硏究 : 정책형성 및 집행의 실패요인을 중심으로

        이태규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의약분업정책의 형성 및 집행과정에서의 정책실패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지난 2년여 동안 많은 논란과 갈등을 초래한 의약분업정책은 정책의 형성 및 집행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으며 결국은 당초 정책목표 달성에도 실패하였다. 이 연구는 정책형성 및 집행과정에서의 많은 실패요인들이 결국은 정책에 대한 신뢰상실은 물론 집행과정에서의 혼란과 갈등을 초래하고 목표달성에도 실패한다는 점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의약분업정책은 우선 정책효과성에 있어서 정부가 주장하던 정책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의약품 및 항생제 오·남용방지에 있어서는 감소추세가 매우 미미하였으며 약국의 임의조제문제가 근절되지 않아 의약분업정책이 주사제나 항생제 오·남용에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오히려 특정의약품 과다사용 시 보험급여에 제재를 가하는 약제비 적정성 평가가 의약품 오·남용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더 설득력 있다고 할 수 있다. 의료보험재정의 경우, 당초 절감된다는 주장과는 달리 재정을 파탄지경에 이르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 정책의 근본적 불신요인이 되었다. 제약산업도 오리지널 약의 선호로 외국계 제약회사의 성장을 초래하였을 뿐 국내 제약산업 발전에 기여하지 못했다. 환자의 알권리도 의사들의 처방전 2매 발행도 의사들의 비협조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데에는 우선 정책을 형성 집행하는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많은 전제조건의 오류를 불러왔음을 들 수 있다. 집행계획이 미비하여 사전 통제 및 위기관리에도 실패하였다. 특히 규제정책 성패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정책대상집단의 순응(compliance)확보에 결정적으로 실패하였다. 의약분업정책은 의사와 약사라는 두 피규제대상집단 중 의사의 조직적 불응에 따라 결정적인 정책집행 및 효과성의 실패를 가져 왔으며 정부정책에 대한 국민불신을 심화시킨 대표적 사례이다. 집행과정에서 정책결정자와 언론의 지지도 얻어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권력핵심부가 '옷 로비사건'이라는 도덕적 사건에 연루되어 정책환경도 매우 좋지 않았다. 2000년 총선에서 원내 제1당을 차지하지 못함으로써 정치기반도 취약하였다. 특히 정보의 왜곡으로 정책의 수혜자인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처럼 의약분업정책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으로 국민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된 대표적인 정책사례였다. 정책실패요인의 극복방안으로는 이익갈등 조정의 제도화방안을 살펴보았다. 의약분업정책은 대표적인 규제정책으로 규제정책에 있어 피규제집단의 순응을 확보하는 것이 정책성패의 관건이기 때문이다. 이익갈등 조정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첫째, 이익집단의 의사결정구조를 중앙집중화해야 한다. 이익집단들의 의사결정구조가 중앙집중화 되면 갈등조정이 그만큼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자율적 통제 및 지도력을 갖춘 이익집단일수록 협상의 대상이 분명할 뿐만 아니라 타협과 타협에 대한 실천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이 강하기 때문이다. 둘째, 자율적 이익갈등 조정을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이익집단들 간의 이익갈등을 정부가 직접 개입하여 중재하기보다는 우선적으로 이익집단들 간의 자율적인 협상과 타협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익집단간의 갈등에 정부가 직접 개입함으로써 정부자체가 이익갈등의 또 다른 당사자가 될 수 있는 위험을 피하면서도, 이익조정 결과에 대한 관련 당사자들의 협조를 효과적으로 얻어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이익갈등 조정제도를 내실화해야 한다. 이익갈등의 조정과 중재를 일차적으로 시장기능의 자율성에 맡기되, 이익 갈등이 첨예하여 시장기능으로 해결이 안되거나 조정된 내용이 공익적 차원에서 문제가 있으면 정부가 중재에 나설 수밖에 없다. 이를 위해 경직되고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정부부처 산하의 각종 중재·심의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을 개선하고 공개적 의견수렴과 합의를 위한 장치인 공청회가 실질적 조정기능을 갖도록 내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해당 중재위원회에서의 타협과 합의내용은 정책결정과정 및 집행과정에 충분히 반영되도록 하는 관행을 정착시켜 정부 중재기구에 대한 이익집단들의 신뢰와 권위를 확보해야 한다. 넷째, 제3의 공익시민단체 역할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이익갈등은 본질적 성격상 쉽게 중재, 조정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정부의 진지한 중재노력에도 불구하고, 이해 당사자들간의 이익조정이 무위로 끝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부는 독자적 조정안을 강제하거나 제3의 또 다른 중재를 기대할 수밖에 없는 위치에 처할 수밖에 없어 제3의 공익시민단체의 존재는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3의 공익단체가 공신력과 사회적 권위를 지닌 활성화된 단체임은 물론 정치적으로 정파성(政派性)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다섯째, 정치(政治)의 조정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어야 한다. 정치의 여러 기능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사회적 갈등의 중재조정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여야(與野)가 의견을 같이 하고 정부와도 입장이 같다면 집단이기주의의 막무가내식 요구를 저지하고 조정하는데 명분과 권위 그리고 신뢰측면에서 조정의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정치의 대(對)국민 불신 해소가 시급하다. 정치가 국민 불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정치의 중재와 조정기능 요원하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점은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한 신중한 정책결정과 더불어 중요한 것은 이익단체들 간의 갈등 조정에 있어 일단 정책이 결정되면 단호하게 정책수행에 임하는 것이다.

      • 실내공간 공기오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태규 용인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기 오염에 따른 인류의 고통은 지구가 형성되던 당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심각하게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산업 혁명 이후 인구의 도시 집중과 산업 발전 등의 사회적 현상에 의하여 인간 활동의 범위가 확대되어 감에 따른 생활 공간의 확보 문제는 현대 도시가 안고 있는 대표적인 문제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건축 기술의 발달과 토지이용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건축물의 초고층화와 최첨단화가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인간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하루 중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실내공기질은 실외와는 달리 실내의 오염원과 실외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한 오염이 발생될 때 쉽게 정화되지 않아 쾌적한 실내환경의 저해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실내 거주자 및 근무자들의 건강까지도 위협하게 되어 실내공기오염의 중요성은 강조될 수 밖에 없다.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미세먼지, 중금속, 석면, 휘발성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미생물성물질, 라돈 등이 있으며, 실내공기오염의 원인으로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단열화, 밀폐화에 따른 환기부족, 실내흡연, 연소기구의 사용, 오염된 외부공기의 실내 유입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측정 대상시설의 환기시설 설치와 운영은 이용자의 수가 많고 규모가 큰 시설의 경우 환기시설의 완비와 정상적인 가동에 의해 실내공기가 관리되고 있었으나 소규모 대상시설은 환기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으며, 다만 창문의 개폐에 의한 자연환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측정결과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화합물, 라돈, 부유세균, 낙하세균은 실내가 실외에 비해 농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리는 환경부, 보건복지부, 건설교통부, 교육인적자원부의 4개 부처에서 분산·관리되고 있어 실내공기질의 관리나 정책결정에서 혼선이 발생될 수도 있고, 어려움이 있어 보다 효율적인 실내공기질의 관리를 위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특정 담당 부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human anguish was caused by atmospheric contamination has been started from at that time the earth is in the making. However, to be taken seriously is the cityward tendency of the population and the industrial development by an influence on society. So it is a big issue for current city problem how to occupy the day-life district because the field of human activity is getting extended. In order to solve this situation, we are trying to make a high building and technology by developing building-construction techniques and intensifying the function of land adjustment. By means of the trends, we have been spending 90% day-life indoors in a day. Therefore, when the quality of indoor air unlike outdoors air is happened to be polluted, it is very difficult to purify this contaminated air. That is why we can't help emphasizing on importance of indoor air. For example, the pollutants affected to the quality of indoor air are as following. Carton monoxide, carton dioxide, nitrogen dioxide, sulfur dioxide, minute dust, heavy metal, asbestos,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ic aldehyde, microbe, radon, and so on. And the main causes of pollution of indoor air are the pollutant from industrial development, adiabatic change, the poor ventilation of airtight, the smoking indoors, combustible appliance in use, the polluted outdoors air comes into indoors, which are the direct cause. By the detailed causes, ventilation installation is overused for the object of investigation. As usual, the big buildings have a good ventilation installation and system lines, but the small buildings don't have those system lines just opening window for ventilation. By the result of measure, it comes out that indoors have carton dioxide, formic 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und, radon, floating bacillus, dropping bacillus more than outdoors. The four departments of environment, health and welfare, construction and traffic, educational human resources have controlled indoors air arrangement. That is why the administration for quality of indoors air and policy decision might be divided and cross-purpose. So we need one department in charge is managing the quality of indoors air efficiently.

      • Fe계 나노결정구조 합금 박편/ 폴리머 복합 시트의 제조와 전자파 흡수 특성

        이태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e_(73.5)Cu₁Nb₃Si_(15.5)B_(7)(at%) 비정질 리본 합금을 파쇄하여 얻은 분말을 사용하여, 어트리션 밀을 이용한 편상화 가공을 실시한 후 이들 자성합금과 폴리머를 균합하여 테이프캐스팅 방법으로 준마이크로파 대역의 전자파 흡수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복합 시트의 특성 최적화를 위해 적정 편상화 가공조건, 합금 미세조직 제어를 위한 열처리 조건, 전자파 흡수 특성에 미치는 편상화 효과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원료 비정질 합금에 대해 어트리션 밀로 편상화 가공을 실시 할 때 밀링볼의 크기, 임펠러의 회전속도, 볼/합금분말의 장입 비율을 변화 시켰는데, 첫째 직경 5, 9.5 mm 크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밀링 볼을 사용할 경우는 편상화효과보다 분쇄효과가 더 크고, 이보다 큰 12.6 mm 볼의 경우는 분쇄효과가 억제되면서 효과적으로 편상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펠러 회전속도가 높을 경우(150, 200 rpm), 높은 분쇄효과 때문에 미세 분말의 비율이 증가하며, 저속회전(100 rpm)에서는 분쇄효과보다 전단작용이 우세하여 편상화가 더 잘 진행되었다. 셋째 분말장입량에 비해 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10 : 1의 경우 낮은 속도의 전단작용 때문에 편상화가 잘 진행되지 않고, 반대의 경우(30 : 1)는 높은 냉간 압접과 파괴효과 때문에 미분화 경향이 커져 중간인 20 : 1의 경우 적정 편상화 및 1㎛ 전후의 양호한 편평형 분말을 만드는 조건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12.6 mm∅의 밀링 볼, 100 rpm의 임펠러 속도 그리고 20 : 1의 볼/시료분말의 장입 비에서 편상화하는 것이 가장 좋은 조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Fe_(73.5)Cu₁Nb₃Si_(15.5)B_(7)(at%) 비정질 리본 합금을 파쇄하여 얻은 분말을 상기 1항의 적정 편상화 가공 조건에서 어트리션 밀로 두께가 1~3 ㎛정도 되도록 편상화한 다음, 이를 375~525 ℃의 여러 온도에서 1 시간동안 열처리 한 후 폴리머 중에 분산시켜 복합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때 어닐링 온도가 복합 시트의 전자파 전력손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같은 결과, 425~475 ℃에서 열처리하여 부분 나노결정 구조를 얻었을 때 가장 높은 전송손실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k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더 우수한 연자성을 얻게 되는 525 ℃에서의 열처리에 의해서는 오히려 전송손실 특성이 저하되었다. 이와 같은 전자파 흡수 특성의 열처리 온도 의존성은 425~475 ℃에서 나타나는 높은 복소 투자율의 허수항(μ_(γ)")에 기인하고, 반면 비정질 상태의 낮은 전력손실 값은 그의 작은 μ_(γ)" 값에 그 주된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3. Fe_(73.5)Cu₁Nb₃Si_(15.5)B_(7)(at%) 비정질 리본 합금분말을 가지고 밀링시간의 변화에 따라 편상화 정도를 달리한 박편을 만든 다음 이를 450 ℃에서 1 시간 열처리한 후 폴리머 중에 분산시켜 복합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밀링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전송 손실은 증가하여 24 시간 밀링한 복합 시트의 전자파 전력손실 특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자성 합금 분말의 편상화가 복합시트의 전자파 흡수 특성에 대단히 유효함을 확인된다. 그리고 이러한 편상화에 따른 특성 변화는 기본적으로 복합 시트의 복소 투자율 및 자기 손실계수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 되었다. The nanocrystalline Fe73.5Cu1Nb3Si15.5B7(at%) alloy flakes with the thickness of skin depth embedded in a polymer sheet are expected to be an excellent electromagnetic noise suppressor available for the quasi-microwave band. The effects of the milling conditions such as the size of milling ball, the rotation speed of impeller, the weight ratio of ball to powder, and the milling time on the formation of flakes in the amorphous Fe_(73.5)Cu₁Nb₃Si_(15.5)B_(7)(at%) powders which is the precursor of nanocrystalline flakes have been investigated with an attrition mill. The effective thinning of the amorphous powers without severe crushing through the repetitive cold welding and fracture was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relatively large ball size, low rotation speed, and medium ball to powder weight ratio, where the shear action between milling balls could be activated preferentially. Furthermore the effects of annealing temperature o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characteristics in Fe_(73.5)Cu₁Nb₃Si_(15.5)B_(7)(at%) alloy flakes/polymer composite sheets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mposite sheet including the magnetic flakes annealed at 425~475 ℃ for 1 h exhibited highest power loss in the GHz frequency range as compared with the sheets composed of the alloy flakes annealed at higher temperature then 475 ℃ or in as-milled state. Moreover the imaginary part of complex permeability had largest value in the GHz frequency range for the sheets including the flakes annealed at 425~475 ℃. The large value of power loss of the sheets including the magnetic flakes annealed at 425~475 ℃ was attributed to the high imaginary part of the complex permeability. However, because of its lage transmission parameter S21, the composite sheet having the magnetic flakes annealed at 525 ℃ showed low power loss. Moreover the effects of milling time(flake formation effect) on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characteristics in Fe_(73.5)Cu₁Nb₃Si_(15.5)B_(7)(at%) alloy flakes/polymer composite sheets available for quasi-microwave band have been investigated. The composite sheet including 24 h milling magnetic flakes exhibited high power loss in the GHz frequency range as compared with the sheets having alloy flakes of 0 h and 12 h milling. Moreover, both the the complex permeability and the loss factor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milling time. The large power loss of the sheets containing 24 h milling magnetic flakes was attributed to the high complex permeability, especially their imaginary part. The high complex permeability of the sheets composed of 24 h milling magnetic flakes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highly thin shape of the flakes inducing low eddy-current loss.

      • 교량의 합리적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 평가법에 관한 연구

        이태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선진국에서는 사회기반시설물의 설계에 있어 성능기반설계가 부각되고 있으며, 유로코드 등에서는 이미 차세대 설계 기법으로서 응용되고 있다. 성능기반설계에서는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안전성 뿐만 아니라 사용성 및 환경 적합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최근 지구 온난화 및 오존층 파괴 등 환경 파괴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건설 분야에서도 환경에 대한 영향평가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성능기반설계의 환경 적합성 평가에 있어 LCA(Life Cycle Assessment) 방법은 구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정량적인 지표로 제시해 줄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강박스 거더교와 PSC 거더교를 대상으로 LCA를 수행하여 두 구조물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였다. 영향평가 방법으로는 가장 보편적이며, 각 환경문제 별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 할 수 있는 환경문제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교량의 전과정에 대해 총 47개의 세부 공정을 고려하였으며, 환경영향평가를 위해 지구온난화(GWP), 오존층 영향(ODP), 산성화(AP), 부영양화(EP), 광화학적산화물(POCD)을 고려하였다. 특히, 상부구조의 단위면적(100m2)당 지구온난화 관련 오염물질 배출량은 PSC 거더교 상부공의 경우(23,420 kg CO2-eq)가 강박스 거더교상부공의 경우(9,682 kg CO2-eq)에 비해 약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박스 거더교 상?하부공 및 PSC 거더교 상부공 모두 GWP, AP, EP, POCD 등의 환경 범주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생산 공정이 오염물질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DP의 환경범주에서는 강구조 생산 공정에서 오염물질이 82%가 배출되었으며 다음으로는 도장, 콘크리트 및 거푸집 생산, 운송 등이 약 10%의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자재의 재활용을 통해 교량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되며 자재 생산 공장의 합리적 설치를 통한 운송거리의 단축, 친환경 도료 사용 등의 방안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추가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를 활용하면 교량의 가설 환경, 발주자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타 모든 형식의 교량에 대한 LCA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각 환경영향 범주의 중요도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모든 오염물질을 하나의 단위로 환산하여 의사결정의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