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erine-O-β-N-acetylglucosamine의 구조적 유사체인 Serine-O-carba-β-N-acetylglucosamine의 합성 연구

        이창국 포항공과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ο-Linked β-N-acetylglucosamine is an abundant and ubiquitou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unit of Ser/Thr residues in both nuclear and cytoplasmic proteins in all multicellular eukaryotes. One of the two key enzymes regulating ο-GlcNAc (TV-acetylglucosamine conjugated glycoprotein) is N-acetylglucosaminidase (ο-GlcNAcase). Due to the lack of suitable molecular probes such as inhibitors, the role of ο-GlcNAc had not yet been fully understood at the molecular level. To help understand the roles of this important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availability of suitable inhibitors of ο-GlcNAcase is highly desired. Peptide-ο-5a-carba-β-N-acetyg1ucosamine(peptide-ο-5a-carba-β-G1cNAc) as a stable structural analogue of natural ο-GlcNAc is expected to be a potential inhibitor because of the geometric similarity between carbasugar and ο-sugar. A peptide elaboration on Ser-ο-5a-carba-β-N-acetyglucosamine is expected to provide the target inhibitors (Peptide-ο-5a-carba-β-N-acetyglucosamine), and the synthesis of Ser-ο-5a-carba-β-N-acetyg1ucosamine (Ser-ο-5a-carba-β-GlcNAc) may be accomplished by coupling of protected 5a-carba-β-N-acetyglucosamine with aziridine derivative (a and b in the Figure 10). Toward the synthesis of protected 5a-carba-β-N-acetyglucosamine, 5-hydroxylmethyl-cyclohex-3-en-l, 2-dio1 derivative (8) was prepared as a synthetic intermediate, and trans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8) to structure (40) have been investigated. ◁그림참조▷(원문을 참조하세요) Various attempts (dihydroxylation & inversion of 3-0H), to introduce trans-3, 4-dio1 functions to compound (8) have been unsuccessful. However selective benzoylation of 4-0H of compound 12 and oxidation/reduction of 3-0H of compound 15 gave the desired trans-3, 4-dio1 derivative (22). After a series of protection and deprotection steps, introduction of an azide was tried. Introduction of azide to 1, 2-cyc1ic sulfate derivative (27) and 1, 2-cyc1ic sulfite derivative (26) with sodium azide was tested, But undesired regioisomer (28) only was obtained. Thus an alternative approach was tried, in which azide was introduced before the formation of the trans diol unit. Azide was introduced to cyclic sulfite derivative (30) and the resultant olefin was dihydroxylated to give compound 34 and 35. In the remaining steps, one of the hydroxyl group of compound 34 and/or 35 will be selectively inverted by the oxidation/reduction cycle to obtain the desired 5a-carba-β-GlcNAc derivative. The 5a-carba-β-G1cNAc derivative will then be coupled with aziridine derivative(b of Figure 10) which has been prepared from serine. The resulting ser-ο-β-GlcNAc monomer may be used as a building block for the synthesis of various glycopeptides (peptide-ο-5a-carba-β-N-acetyg1ucosamine), some of which are expected to show inhibitory activity for ο-GlcNAcase.

      • 하악전돌증의 악교정술시 컴퓨터를 이용한 연조직 측모변화 예상법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이창국 檀國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악교정 수술이 발달하면서 악안면 기형 환자들을 치료하는 범위가 넓어지게 되었고, 이에따라 수술결과를 예측할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또한 치료받은 환자의 후향적인 연구는 임상의들에게 경조직수술에 따른 연조직변화를 계측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저자는 1991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이화의료원 치과/구강외과에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SSRO)로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중 최소 6개월이상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30명에 대해 수술전·후 두부 측면 규격 방사선 및 사진 활영 후 Macintosh computer, PowerCeph^TM 3.0 Software를 이용하여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통한 술후 안면 연조직 예측을 시행하고 술후 6개월의 계측치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부 : Pronasale, Superior labial sulcus의 경우 술전 예측과 술후 계측치 간에 수평 및 수직계측 모두 1㎜이하의 차이만 나타내어 하악지 시상분할 골절단술 후의 비부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P<0.05) 2. 상순부 :상순의 최전방점인 Labrale Superius의 경우, 수평으로 1.80㎜의 차이로 술후 계측치가 예측치보다 후방에 위치하였으며 수직으로는 1.38㎜의 차이가 나타나 술후 계측치가 예측치보다 하방에 위치하였다.(P<0.05) 3. 하순부 : 하순의 치전방점인 Labrale inferius의 경우, 수평으로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수직으로는 2.25㎜의 차이를 나타나 술후 계측치가 예측치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비교적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4. 이부 : 하순과 연조직 이부 사이의 오목한 점인 Labiomental fold 의 경우 술전 예측치와 술후 계측치의 수평 및 수직의 차이가 1㎜이하로 정확도가 우수하였고, 연조직 이부인 soft tissue pogonion의 경우에도 그 차이가 미약하여 정확도가 우수하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oft tissue movements in facial profile predicted by a computer package with those that had actually accured following a sagittal split ramal osteotomy. The reliability of predicting the result of orthodontic surgical treatment was analysed. The study was based on the serial records of 30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by means of a sagittal split ramal osteotomy. The seri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used for the study were taken at the following stages:(T1;immediate preoperative, T2;immediate postoperative and T3;6 months postoperative). A superimposition T1, T2-T3 was generated to allow visual comparison. The results could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four important parts of the facial profile : the nose, upper lip, lower lip and chin. The nose & Upper lip: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upper lip was not badly predicted for the average case. The lower lip: There was a significant trend over the whole sample for vertical position of the lower lip to be less well predicted. The chin: The soft tissue movements of the chin were well predicted.

      • 호텔 레스토랑의 고객 불평요인이 종사원 직무스트레스 및 직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창국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by employe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ccording to complaint factors of the customers using the hotel restaurant, and analyze what effects the adjusting factors according social support have on such.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research, document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carried out in parallel. For documentary study, data was collected and organized by referring to books from within and outside the country, research theses, and periodicals, and visiting related websites; the research theory for empirical study was set on basis of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struct to be proven by this research, SPSS 18.0 and AMOS 18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were used; and for analysis method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The empirical study for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ustomer complaints on job stress, it was shown that direct complaint and complaint through other methods had a plus(+) effect on stress relating to responding to customer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direct complaints or complaints through other methods by customers on the service provided causes the employees to feel disdained and as if they are requested a level service normally anticipated, becoming a stress factor that could cause friction with the customers. Secondly, direct complaint, indirect complaint and complaint through other methods was shown to have a plus(+) effect on job stress factors related to handling complaints. In other words, aside from direct complaints by the customers, indirect actions and complaints through other methods such as email, internet or fax were shown to cause psychological pressure and nervousness in employees. Thirdly, 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commitment on job stress, it is seen that high job stress had negative effect on occup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direct and indirect stress from the customers affect satisfaction level or pride relating to work, or intention to change jobs, thus a strategy able to raise occupational commitment by the employees, decrease job stress, such that a systematic approach able to provide autonomy in work and resolve stress is needed. Fourthly, on analysis of the adjus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 related to responding to customers and handling complaints – and the level of occupational commitment, it can be seen that differences in job stress related to responding to customer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are caused depending on whether the level of support by the superior is high or low. Therefore, leadership of managers such as showing interest in and helping with various difficulties that the employees have in carrying out their work, listening to the employees and showing continuous attention, is important. Moreover, although there were no not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it was seen that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job stress, related to handling complaint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depending on whether support from fellow employees were high or low. Limits and remaining issu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limit is on setting the target of the empirical study of this research limited on the employees at five-star hotels in Seoul and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hereof, and using questionnaires,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responders were examined. Furthermore, this research used one time of investigation at a certain point of time, thus there are doubts as to whether the same results will show at other investigation points of time; also,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ustomer complaint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nly social support was reflected, but in future research, a research considering various adjusting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personaliti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trol at the workplace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 outcome variables should also be expanded to carried out a more advanced research able to be utilized in actual work should be carried out in parallel. 본 연구는 호텔 레스토랑 이용고객의 불평요인에 따라 서비스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에 따른 조절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documentary study)와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국내․외의 단행본, 연구논문, 정기간행물과 인터넷 관련 사이트를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정리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위한 연구가설은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하고,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성을 SPSS 18.0와 AMOS 18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 불평행동 유형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접적 불평행동과 제3의 불평행동은 고객응대에 대한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객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직접적 또는 제3의 방법으로 불평을 표출하는 행동은 종사원들로 하여금 고객들에게 무시당하고 있다는 느낌과 기대수준 이상의 서비스를 요구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여 고객들과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직접적 불평행동, 간접적 불평행동, 제3의 불평행동 요인은 불평처리 스트레스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직접적인 불평표출 외에 간접적인 행동과 E-mail, 인터넷, Fax 등을 이용한 제3의 불평행동은 종사원들에게 심리적 압박감과 신경과민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직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직업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객으로부터 받는 직ㆍ간접적인 스트레스는 직업에 대한 만족도와 자부심, 이직의도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종사원의 직업몰입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업무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적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고객응대와 불평처리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 수준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사의 지원 정도가 높고 낮음에 의해 고객응대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부하직원들이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갖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도와주며, 부하직원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끊임없는 관심을 갖는 등 관리자들의 리더십이 중요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동료지원 정도가 높고 낮음에 의해 불평처리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몰입 사이에 미미한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대상이 되는 조사대상자를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특급호텔 종사원을 대상으로 표본을 한정하여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조사대상자를 설문지 방식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주관적 지각을 판단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정시점에서 단 한 번의 조사만을 이용한 것이므로, 다른 조사시점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올지는 의문이 제기되며, 고객 불평유형과 직업몰입의 관계에 이어 사회적 지원만을 반영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성격과 조직성격 및 현장에서의 통제력 등 다양한 조절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성과변수도 보다 확대하여 실무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진보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환경교육 효과 분석

        이창국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간이수질판정법을 학습하는 체험활동을 통해서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환경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환경교육 활동에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활용하고 있는 실태를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중학생들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간이수질판정법을 학습하는 체험학습을 통하여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생물들이 하천생태계에서 먹이사슬의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저서대형무척추동물과 수질의 오염과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천생태계의 존재가 생물다양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교육의 목표인 환경에 대한 인지, 지식면에서 의미 있는 활동임을 밝혔다. 하천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마음을 갖는데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환경에 대한 태도면에서 원하는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은 탐사활동 전에 비해서 탐사활동 후에 하천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마음이 더욱 많아졌으며,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탐사 활동을 한 후에 더욱 강화된다는 것이 연구결과 확인되었다. 그리고, 참가자들은 하천 오염을 줄이기 위한 생활 실천을 위해서 노력할 것이라는 데에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하천 탐사 체험활동이 환경교육이 목표로 하는 참여를 위한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한편, 남, 여의 성별 차이에 의해서 하천 탐사의 경험이 태도나 지식, 실천 의지에 차이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연구 대상 학생들이 성별 차이에 의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환경동아리를 지도하며 환경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73.3%의 교사들이 지표종을 이용하여 환경교육을 지도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경우에 80%의 교사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지표종으로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지표종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환경교육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환경교육담당교사들이 단기간의 연수프로그램을 통하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동정할 수 있는 능력만 배양한다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간이수질판정법을 이용한 하천 탐사활동을 통해서 하천 환경교육은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광범위한 수계의 수질 조사를 통하여 하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tial activities about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 and these activities can meet the go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t also contains the analysis on how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us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ir classes. The target students for this research are middle school students. They participated in the experiential classes about the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As a result, they got to understand the fact that benthic macro-invertebrates play an important role fresh-water ecosystem's food cha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water pollution. In addition,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that the variety of fresh-water creatures impact heavily on fresh-water ecosystem with this experiments. Therefore, such experiential studies could stimulat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 which is one of the go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awareness can lead to the chang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fter these experiential activities, the students' motivations to protect fresh-water ecosystem have been reinforced. Moreover, they have been proved to b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for keeping the fresh-water ecosystem after these activities. It also showed meaningful changes from students, who are willing to make efforts in their daily lives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Thus, the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to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macro-invertebrates are proved to stimulate significant participations for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it is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degrees on that each group have their attitudes, knowledge, or will to take actions for the environment indicated insignificant outcome. The survey on the teachers who are involv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eading the environmental club revealed that 73.3% of the teachers have taught using indicator species, and 80% among them have not only us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also agre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indicator species could be beneficia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whole. Therefore, if the teache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are trained to become more proficient in categorization of water creatures, the activities based on the macroscopic simple water quality evaluation using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stream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argeting streams and to accelerate more structured water quality evaluations over diverse fresh water system.

      • 자본조달의 형태와 기업성장의 분석 : 한국내수산업을 중심으로

        이창국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수출산업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는 경제개발을 시작한 이래로 수출주도의 경제성장정책을 이끌어왔고, 내수에 의한 성장은 우리나라의 내수시장의 규모가 작음으로 인해 주목받아오지 못했음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그동안 주목받아오지 못했던 내수산업에 대해서 자본의 조달이 기업의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이런한 연구가 내수산업의 성장에 대한 논의에 一助할 수 있기 바란다. 자본의 조달 방법에는 내부자본과 외부자본이 존재한다. 내부자본은 기업의 자본이 내부자본시장 즉 납입자본과 기업의 유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고, 외부자본시장이란 회사채의 발행과 은행에 의한 대부를 말한다. 이들 자본이 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내부자본시장에 대한 이론은 대개 두 가지의 이론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II장을 통하여 Gertner, Scharfstein, Stein[1994]의 연구를 주로 하여 참고하였다. Gertner, Scharfstein, Stein[1994]의 연구는 내부자본시장이 외부자본시장보다 기업 안의 규제와 감시가 더욱 유리하고, 자산의 재배치에 있어서도 더욱 비용이 적게 든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에 대하여 반박한 연구들도 많이 있다. 즉 관료화의 문제와 대리인 문제 등이 생긴다. III장에서는 외부자본시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외부자본시장은 회사채의 발행과 은행의 대부를 말한다. 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에 의한 비용의 상승효과도 있지만 레버리지 효과에 의한 이윤의 증가효과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부채의 증가를 이윤의 하락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 물론 적정 수준 이상의 부채의 증가가 기업의 이윤을 감소시키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을 EBIT-EPS도표를 통해서 보였다. IV장에서는 이러한 외부자본시장의 장, 단점을 내부자본시장이론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기업들의 성장을 어떤 요인으로 봐야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V장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내수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을 선정하여 이들의 성장의 요인을 내부자본시장과 외부자본시장의 요인으로 나누어 기업의 재무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과다한 부채비율에 의해 부채의 증가 즉 외부자본의 도입이 증가하면 기업의 성장이 저해되고, 내부자본 즉 납입자본의 증가나 자본의 유보에 의해 이루어지는 내부자본의 증가가 기업의 성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론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기업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기업의 부채비율을 낮추고, 내부자본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