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oluene 이용균주 UI-mix에 의한 Trichloroethylene의 생물학적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richloroethylene (TCE) has become a widespread contaminant in soil and groundwater because of extensive industrial uses and improper disposals. The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have been developed to remove and clean TCE, but those systems need secondary treatments due to the intermediates from the contaminant. On the other hand, the biological treatments could be cost effective methods to treat contaminated soil and water. To screen the efficient TCE degrading bacteria, we performed activity test with incubating enrichment culture from several contaminated environmental samples. The UI-mix was isolated from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contaminated soil in Uijungbu, South Korea. At first UI-mix showed TCE removal activity with 20 mg/L of TCE with toluene (100 mg/L) in mineral salt enrichment medium. The UI-mix consisted of five different strains, they were identifi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 as followed; Chryseobacterium wanjuense UI-1, Pseudomonas plecoglossicida UI-2, Pseudomonas plecoglossicida UI-3, Enterobacter soli UI-4 and Microbacterium luteolum UI-5. The UI-mix showed significantly highest efficiency than the each single strain was applied alone. At optimum conditions UI-mix showed 100% of TCE removal efficiency in 36 hours. The determined optimal conditions were TCE 2 mg/L, pH 7, 20℃ and 100 mg/L of toluene. But UI-mix can completely degrade 1 mg/L of TCE in 24 hours. To maintain the optimum condition of TCE biodegradation, it’s necessary to supply toluene and oxygen periodically. UI-mix also showed bioremediation efficiency with benzene and ethylbenzene. Therefore, we suggest that UI-mix may be a good challenging candidate and effectively enhance the efficiency for the ex-situ TCE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 The tooth color changes by tobacco and coffee influenced by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after bleaching : 전문가 치아 미백 후, 커피와 담배 불소 바니쉬 도포가 치아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

        이진하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shall compare the effects of each influence of tobacco and coffee, fluoride varnish on the value, hue and translucency of teeth, after office bleaching. We collected 10 extracted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d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subsequently began office bleaching by using 35% hydrogen peroxide and plasma arc light after having cut the crowns lengthwise to have a total of 20 sections. After office bleaching, tobacco and coffee, fluoride varnish was applied to the sections, where after, comparisons and evaluations were made to observe the changes in value, hue and translucency using Shadescan™. Also,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test were done through a re-bleaching comparative section in coffee and tobacco wherein the grade of exposure in tobacco and coffee in each single tooth was listed and compared. After completing office bleaching, the average value increased and both group's value decreased when an applied experiment solution consisting of 10 cigarettes and 2 cups of coffee were applied. The tobacco application group decreased the value of bleached teeth more than the coffee's(p<0.05). When re-bleaching discolored teeth, discolored teeth by the tobacco's value was lower than the coffee's(p<0.1). When applying coffee to the bleached teeth, A (orange) line appeared mostly on the teeth and when tobacco was applied, C (yellowish orange gray) line appeared more(p<0.1). When applying coffee after office bleaching, a decrease in the value of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group was less than that in the application group(p>0.1). When drinking coffee, increase of A (orange) line in the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group was lower, with a ratio of B (yellow), C (yellowish orange gray), D2, 3 (red orange), D4 (yellowish orange gray) line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pplication group (p<0.1). 7 days after applying the experiment solution, translucency of all groups' of coffee and tobacco,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and in application was improved generally. But the1 time application of fluoride varnish we conclude that we did not have a perfect effect than not applying it(p<0.1). It is known that drinking coffee and smoking interferes in the maintenance of bleached teeth and when you consider re-bleaching, one should never smoke. Also, after finishing bleaching, applying fluoride varnish prevents discoloring and a decrease in the value of teeth, therefore, we suggest applying fluoride varnish on the teeth because this will have a good, positive effect. 저자는 전문가 미백 후에 커피와 담배, 불소 바니쉬 도포가 치아의 명도와 색상, 투명도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발거된 치아 중 상악 중절치, 측절치 치아 총 10개를 모아 치관부를 세로로 1/2로 절단하여, 총 20개의 시편을 얻어 35%의 Hydrogen peroxide와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전문가 미백을 실시하였다. Bleaching after, coffee와 Tobacco, Fluoride를 적용하여 Shadescan™을 이용, 치아의 명도와 색상, 투명도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커피와 담배 비교군은 다시 재 미백하여 커피와 담배에 노출되었던 치아의 재 미백정도를 비교해 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일 평균 기준량으로 비교해 본 coffee(탄닌)와 Tobacco(니코틴) 비교군의 명도 변화는, 10개비의 흡연를 했을 시가 두 잔 의 커피를 섭취했을 시보다 명도가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커피와 담배로 인해 변색된 치아를 재 미백 했을 시, 담배군이 커피군보다 명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피와 담배의 색상 변화에서는, 실험 적용 후 커피는 A(orange)계열의 색의 비율이 증가되었고, 담배는 C(yellow orange gray)계열의 색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불소 바니쉬 도포군과 불소 바니쉬 비도포군의 명도변화는, 불소 바니쉬 도포군이 불소 바니쉬 비도포군보다 명도저하의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나, 불소 바니쉬를 도포함이 미백 치료 후 색소성 음식물에 대한 초반 명도저하를 예방함에 있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커피에 적용했을 시, 불소 바니쉬 도포군이 불소 바니쉬 비도포군에 비해 A(orange)계열의 색의 비율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식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수법과 특성이 식공간의 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

        이진하 경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숙기에 접어든 외식산업에 있어서 디자인은 단순한 미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다. 즉, 외식시장에서는 고객의 욕구를 보다 만족시키기 위해서 외식업체의 실내디자인 요소가 시장 경쟁력의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욕구 수준의 상승으로 외식산업과 식문화사업 분야에서도 식공간의 심미성과 분위기는 점차 중요한 행동의도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외 외식산업학 분야의 연구동향은 레스토랑(점포)의 물리적 환경의 부분적 요소로만 식공간연출 요소를 다루어 왔기 때문에 물리적 환경 차원 안에서 크게 부분의 일부로 접근하므로 그 세부적인 디자인적 요인들을 살펴보는 깊이까지의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시대적 흐름과 변화를 반영하여 식공간의 디자인적 요소만을 시각적 자극의 유형과 특성별로 구분하여 행동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식공간연출 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자극 요인을 공간 디자이너가 공간을 연출하는 의도이자 의미로 보고, 이를 ‘오브제’로 명시하였다. 즉, 공간에서 나타나는 오브제 들이 공간을 지원해 주는 매개적 요소로서 작용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식공간의 오브제 표현특성에 의한 감정이미지(PAD Model)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식공간(레스토랑)의 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하여 다국적 인터넷 서점인 아마존(www.amazon.com)의 검색기능을 활용하여 검색어로 ‘레스토랑 디자인’이라는 키워드에 의해 검색되어진 2006년 이후 출판된 국외전문서적들과 국내 동향을 알기 위한 ‘월간인테리어’ 전문지의 사진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내외 동시대적인 107개의 레스토랑 사례분석을 통한 오브제 표현수법과 특성의 분석 후 비일상성, 상징성, 심미성, 기능성의 4가지 표현특성 유형을 도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사례분석에 사용되어진 레스토랑 디자인 사진들 중 각 유형의 대표를 전문가집단과의 논의를 통해 선정하여 각 유형 별로 성별, 연령별 인구통계적 특성을 일치시켜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 예비초등교사의 MBL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

        이진하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교육현장에 MBL의 투입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초등교사들에게 MBL의 사용, MBL의 교육적 효과 및 MBL에 대한 적용의지의 세 가지 측면에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중 특기적성 선택과목 ‘과학탐구실험’을 선택하여 수강한 29명이며, 2주의 MBL 기본실험 , 4주의 실험기구 숙달, 2주의 심화활동과 발표로 7주간 진행된 수업동안 3차례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25명의 응답결과로부터 MBL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L 사용에 대해 예비초등교사들은 ‘측정의 편리성’, ‘자료변환의 편리성’ 그리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관련하여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센서 사용의 편의성’도 수업전보다 수업 후 0.16점의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 방법의 편리성’에 대해서는 0.32점 상승 후 0.28점 하락으로 MBL에 대한 경험 전의 인식수준과 비슷해짐을 보였다. ‘시간단축의 편리성’에 대해서는 0.36점 하락 후, 다시 0.12점 하락한 것으로 보아 실험의 수준 및 센서의 사용이 어려울수록 시간 단축이 되지 않는다고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MBL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전보다 수업이 진행될수록 그 인식 수준이 더욱 긍정적으로 변해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흥미’, ‘결과 해석 용이’, ‘데이터 수집의 효율성,’ ‘정확하고 객관적인 관찰’ 및 ‘정량화’가 가능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모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험 중 ‘대화 정도의 향상’과 실험에 대한 ‘집중도 향상’, ‘기구 조작능력의 향상’ 및 ‘탐구 능력의 향상’에 대해서는 수업 전에는 약간 부정적이었으나, 수업 후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개념이해의 향상’, ‘그래프 해석능력의 향상’ 및 ‘빠른 피드백에 따른 인지개념의 변화’ 역시 수업 후 수업 전보다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셋째, ‘수업의 유용성’, ‘도입의지’ 그리고 ‘대체실험으로의 활용여부’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인식 변화를 고려할 때 예비초등교사들은 실험 활동에서 MBL실험의 도입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가장 유용한 실험’ 영역으로 에너지와 물질에서 MBL 사용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지금까지의 MBL의 연구가 중등 교육과정에서는 화학과 물리, 초등 교육과정에서는 에너지와 물질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예비초등교사들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 MBL의 투입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MBL이 도입될 경우 초등과학교육 수업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the three aspects, the use of MBL, educational effect of MBL and application willingness towards MBL in order to grasp the possibility to introduce MBL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9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juniors in ○○ University of Education and who chose and took ‘science exploration experiment’ among elective specialty aptitude subjects. The students were surveyed three times while participating in two weeks of MBL basic experiment, four weeks of learning to master experimental instruments, two weeks of advanced activity and seven weeks of classes delivered largely through presentation. The study analyzed the answers 2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vided in the survey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MB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use of MBL,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 of the ‘convenience of measurement,' ‘convenience of changing materials' and ‘accuracy of data,' and also scored 0.16 points more in the ‘convenience of using a sensor’ after receiving class. However, as for the ‘convenience of experimental method,' their score rose 0.32 points and then declined by 0.28 points, showing a similar level of perception to the level before experiencing MBL. Their score for the ‘convenience of time reduction' declined 0.36 point first, and later 0.12 points further. This indicates that as the level of experiment and the use of sensor get more difficult, more teachers perceived time reduction was not achieved. Second, overall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MBL's educational effects positively, and their perception turned more positive as class continued further. Especially as for the notion that ‘interest’, ‘easy interpretation of result’, ‘efficacy of data collection,’ ‘accurate and objective observation’ and ‘quantification' were possible, all of the pre-service teachers displayed very positive perception. With regard to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during an experiment,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on an experiment,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handle instruments’, ‘improvement of exploring ability,’ the pre-service teachers had slightly negative perception before class, however, after the class their negative perception all turned positive.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also displayed more positive perception in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concepts,’ ‘improvement of ability to interpret graphics’ and ‘change in cognitive concept by fast feedback.’ Third, considering the pre-service teachers' changed perception in ‘usefulness of class’, ‘willingness to introduce’, ‘whether or not to use as alternative experimen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MBL experiment in experimental activities. Fourth, with regard to ‘the most useful experiment’ area,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use of MBL in the areas of energy and material was useful. This appears to be because research on MBL was vigorously carried out in the areas of chemistry and physic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n the areas of energy and material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above has reached conclusion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 of introducing MBL in elementary school and that MBL will be used as an useful instrument for science class for elementary students if it is introduced.

      • 지번과 새주소의 효율적인 발전방안

        이진하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주소표시 체계는 지번을 기초로 하고 있다. 현재의 지번제도는 1910년 토지조사사업 당시부터 100여년 사용해 오고 있으며,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됨으로써 지번의 생성과 말소가 반복되었다. 이로 인해 불규칙하고 비효율적인 주소표시 체계가 초래되어 지번만으로 주소찾기가 불가능하고 배달, 방문등 물류비용의 증가 및 범죄, 화재, 구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기가 곤란하게 되어있는 실정이다. 정부에서는 도로방식에 의한 주소제도를 도입하여 1996년 5월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방안’을 마련하고 1998년 시범사업을 거쳐 현재 새주소와 지번주소를 병행사용하고 있다.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부여한 새주소 체계는 도시정비가 잘 되어있는 대도시를 바탕으로 잘 추진되고 있으나 농촌에서는 오히려 주소찾기가 더 혼란스러워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지번과 새주소의 개념을 살펴보고 현시점의 지번과 새주소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외국의 주소체계와 비교분석 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지번과 새주소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번에 관한 발전방안으로 지번의 일제정리, 본번지의 확대실시와 행정동과 법정동의 통합을 제시하고 선진국형 주소체계인 새주소의 발전방안으로는 새주소의 홍보 및 활용, 새주소의 조기시행, 새주소 기반의 도시지리정보 제공, 우편업무의 적극활용, 국민공감대 형성, 정부관련 기관과의 협력사업 추진, 도로명의 정비, 도로위계의 개선해야 함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Parcel Number and the New Address Marking System Lee Jin Ha Department of Cadastral GI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 Ji University Abstract Our nation's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is based on parcel numbers. The current parcel number system has been being used for about a hundred years since 1910 when the project of Chosun land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and the formation and cancellation of parcel numbers have been repeated while radical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occurred. Accordingly, the irregular and ineffectiv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has been formed, making it impossible to find a location with only a parcel number. Also, the address identification system has caused the increase of distribution costs such as delivery and invitation and has interrupted a rapid dealing in a crime, fire, and emergent situation. The government introduced a new address system in May 1996 preparing 'a plan for assigning names to streets and numbers to buildings.' After passing a model project, new addresses and parcel numbers are currently being used together. The new address system assigned with street names and building numbers has been being conducted well based on big cities, but finding a location with a new address system in the country has come more confus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esearch first looks at the concepts of parcel number and new address. After comparing the address systems of foreign countries and our nation, the research provides a new parcel number system and address system appropriate to our situation. As a development plan regarding parcel numbers, the research suggests a readjustment of parcel numbers, expansion of original street numbers,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dongs and legal dongs. In addition, as a development plan for a new address system, which is an advanced address system, the research presents the following methods: the publicity and use of a new address system; early application of a new address the offer of a city's geographical information; active application to the mail service, the formation of a public sympathy the promotion of cooperation projects with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s; the readjustment of street nam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hierarchy.

      • 가수분해 방지제 제조용 Phospholene oxide 촉매의 합성

        이진하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BC(4-tert-butylcatechol), Ionol(2,6-di-tert-butyl-4-methylphenol), 스테아린산 구리(copper stearate) 등 세 종류의 중합방지제를 사용하여 MPPO (3-methyl-1-phenyl-2-phospholene-1-oxide)를 제조하였다. FTIR, 1H-NMR, GC/MS, TGA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MPPO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반응 시간, 온도, 중합방지제 첨가량 등이 MPPO의 생성 수율과 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DPCD(diphenylcarbodiimide)를 제조함으로써 MPPO의 촉매 활성을 알아보았다. 제조한 MPPO에 대한 FTIR 분석에서 P=O 결합 및 방향족 C=C 결합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1H-NMR 분석에서 메틸기와 페닐기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GC/MS 및 TGA 분석에서는 상용 MPPO와 동일한 크로마토그램과 열분해 곡선을 나타내었다. MPPO의 수율은 중합방지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반응 시간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중합방지제 첨가량이 증가하면 수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세 종류의 중합방지제 가운데 Ionol을 사용하여 MPPO를 제조한 경우 반응 조건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MPPO의 순도는 중합방지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반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중합방지제로서 TBC와 Ionol을 사용하여 반응 온도 70℃에서 합성할 때 MPPO의 순도가 가장 높았다. 중합방지제로서 TBC와 스테아린산 구리를 사용할 경우 중합방지제의 첨가량에 따라 MPPO의 순도가 증가하였지만, Ionol을 사용한 경우에는 MPPO의 순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조한 MPPO의 DPCD 합성에 대한 촉매 활성은 스테아린산 구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MPPO가 가장 높았다. The MPPOs(3-methyl-1-phenyl-2-phospholene-1-oxide)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kinds of polymerization inhibitors - TBC(4-tert-butylcatechol), Ionol(2,6-di-tert-butyl-4-methylphenol), and copper stearate. The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synthesized MPPOs were studied by FTIR, 1H-NMR, GC/MS, and TGA. The effects of reaction time, temperature, and amount of polymerization inhibitor on yield and purity of MPPOs were investigated. The catalytic activities of MPPOs for DPCD(diphenylcarbodiimide) synthesis were also investigated. FTIR spectral analysis of synthesized MPPOs showed the presence of P=O and aromatic C=C bonds and 1H-NMR analysis showed that of methyl and phenyl groups. No differences in GC/MS chromatograms and TGA curves between synthesized MPPOs and commercial MPPO were found. Yields of MPPOs increased with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regardless of the kinds of polymerization inhibitors and decreased with amount of polymerization inhibitor. The MPPO prepared by using Ionol as a polymerization inhibitor showed the highest yield regardless of reaction conditions. Purities of MPPOs decreased with reaction time regardless of the kinds of polymerization inhibitors. The MPPOs prepared at 70℃ by using TBC and Ionol as a polymerization inhibitor showed the highest purity. Purities of MPPOs prepared by using TBC and copper stearate as a polymerization inhibitor increased with amount of inhibitor, while purity of MPPO prepared by using Ionol showed a trend toward a decrease. We found that MPPO prepared by using copper stearate exhibited the highest catalytic activity for DPCD synthesis.

      • 除草劑 Setoff (CGA 142464)의 作用特性에 관한 硏究

        이진하 全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新規除草劑 CGA142464(Setoff^�)의 作用特性을 究明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水稻(동진 벼) 2.5~2.8葉苗의 稚苗를 供試하여 藥害變動試驗 結果, 1.6~2.4g a.i./10a 藥量까지는 收量에 있어 慣行區에 對比하여 有意差가 없었으나 그 以上의 藥量(3.2~4.8g)에서는 藥害가 增大되어 有意差를 보였다. 藥害는 苗令이 어릴수록 컸고, 5.2葉苗에서 만은 경미했다. 處理時期가 빠를수록 藥害는 컸고, 15DAT 處理時에는 藥害가 경미하였다. 土性別로는 砂壤土>埴壤土≥壤土의 順으로, 湛水深別로는 3~5cm보다 1cm와 10cm區에서, 漏水量別로는 0>1>2>3cm 順으로, 溫度別로는 平溫보다 高溫에서, 移秧深度別로는 0.5>1>2>3cm 順으로 藥害가 甚하였은데 以上의 各 處理區은 慣行區의 生育에 比해 有意差가 있었다. 品種別로는 統一系(七星)보다 日本型벼가 藥害가 컸다. 그리고 CGA142464에 pretilachlor를 配合한 合劑區는 CGA142464 處理區와 같은 傾向으로 藥害의 增減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CGA142464는 피를 除去한 一年生 雜草 大部分과 多年生 雜草中 가래, 올미에 對하여 2.4g a.i./10a에서 우수한 除草效果가 있었다. 그러나 피, 올방개 및 너도방동사니에 對한 效果는 2.4g藥量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벗풀은 4.8g藥量에서도 效果가 低調한 耐性 雜草였다. 上記 除草效果의 가장 큰 變動은 日當 漏水量이 增加될 때와 處理時期가 10DAT以後로 늦어질 때 크게 減少되었으며, 土性別, 湛水深別 差異에 따른 效果變動은 크지 아니했다. CGA142464에 pretilachlor를 配合한 경우는 피, 너도방동사니 등에 대한 除草效果가 增大되었다. 3. 除草劑 CGA142464 4.8g a.i./10a를 處理하고 漏水量을 1日 1cm로 調節한 土壤中 移動幅은 壤土와 埴壤土의 경우 5cm 層位까지 砂壤土의 경우 8cm 層位까지 移動되는 移動幅이 넓은 除草劑였다. 以上의 移動幅은 日當 漏水量과 藥量이 增加할 때 더욱 확대되었다. 4. 土壤中 殘效持續期間은 藥量에 따라 差異가 크며 無漏水條件일 때 半減期는 CGA142464 2.1g a.i./10a에서 52일, 2.4g 處理時 62日, 4.8g a.i./10a 處理時 102日로 同系의 Bensulfuronmethyl 및 pyrazosulfuron ethyl보다 매우 길었다. The herbicidal properties of CGA142464 [ 3 -( 4,6 - dimethoxy -1, 3, 5- triazin -2yl ) -1-( 2 (2 - methoxy) phenyl ] -urea ] were investigated in pot, greenhouse and paddy fields. No yield reduction was observed when CGA142464 was applied at the rates of 1.6g to 2.4g a.i./10a, while application of the herbicide at the rates of 3.2g to 4.8g a.i./10 a resulted in decrease in the yield. No crop injury was found when the herbicide was applied at 15 days after transplanting(DAT) and to 5.2 leaf stage(LS) seedlings. CGA142464 showed greater crop injury at 0㎝ leaching amount, l㎝ water depth, application to the 3.4 LS seedlings and at high temperature than at 3㎝ leaching amount, 3.5㎝ water depth, application to the 5.2 LS seedlings and at low temperature. Japanese rice variety was more sensitive to CGA1442464 than japonica × indica variety. When CGA142464 combined with pretilachlor [ 2 - chioro - 2.6 -diethyl-N(n-propoxyethyl) - acetanilide ], the mixture did not cause any crop injury. CGA142464 effectively controlled most of annual weeds and perennial weeds, Potamogeton distinctus and Sagittaria pygmaea. However, S. trifolia and Cyperus serotinus were tolerent to CGA142464. The weeding effect was varied with time of the herbicide application and the leaching amount of soil water. Downward movement of CGA142464 in flooded soil ranged from 5 to 8 ㎝ deep. The movem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leaching amount of water and the application rate. At the rate of 2.4 g a.i./10a, half life of the residual activity lasted for 62 days.

      • 미국 속의 한국 이민문학 연구 : 강용흘 「초당」을 중심으로

        이진하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mmigration is a turning toward new life. Korean Immigrants started their lives from the hope that immigration is better than old world whether it is a heteronomous behavior or an autonomous behavior. In other words, they try to live by doing their best to adapt themselves to new culture in the background of new life. Space movement from old world to new world is for better life but in the case of early immigration, such immigration was inevitable on the condition that the sovereign authority of the nation was almot lost. The Korean authors who immigrated to the huge American society of multiraces experienced the sadness of losing the nation and feeling of isolation. Based upon such experience world, immigration literature figured the joys of sorrows of the lives of Korean immigrants. If speaking the general definition of Korean literature, it is a work in Korean including the feelings of Korean people. If Koreans express Korean feelings in English abroad, where does it go? It should be definitely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hat is to say, if we focus on not language community but consciousness community, the logic is possible that the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 residents is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Like this, if we think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not limited to Korean peninsular but of Korean races by approaching to Korean literature geograpically, immigration literature will be a very important vital power to Korean literature. The immigration literautre by the authors who immigrated to other cultural region beyond limited Korean perninsular has the meaning that it has broadened the partial frame of regional culture in Korean literature. As the immigration literature of the Korean residents who spreaded to each regi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ccording to local circumstances and situation, we can expect the effect that it will extend the recognition level of Korean literature in some parts. 이민은 새로운 삶을 향한 삶의 전환이다. 삶의 공간을 옮겨가는 이민이라는 행위 자체가 타율이든 자율이든 구세계보다는 보다 나을 것이라는 희망으로 시작되는 것이 그들의 삶이다. 즉 그 새로운 삶의 공간적 배경에서 새로운 문화의 적응을 위해 노력하여 살아가는 것이 이민자의 삶이다. 구세계에서 신세계로의 공간적 이동은 보다 나은 삶을 위함이지만, 초기이민의 경우 국가의 주권을 거의 상실하게 된 처지에서 불가피하게 시작된 타율의 소산이다. 거대한 다인종 미국사회 속에서 한국 출신의 나라 잃은 설움을 더한 이민자가 겪어야 되는 소외의 체험이 초기 이민작가들의 경험세계일 것이다. 이러한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한 이민자의 삶의 애환을 형상화한 것이 이민문학이다. 한국문학이라는 개념을 정의할 때 한국 사람이 한국어로 한국사람의 정서를 담은 작품이라는 정의가 일반적이다. 그렇다면 한국인이 국외에서 영어로 한국정서를 담은 것은 어찌 되는가. 분명히 한국문학에 넣어야 할 것이다. 즉, 언어공동체가 아닌 의식공동체라는 점에 주안점을 둔다면 우리 민족문학 안에 해외동포들의 문학이 있다는 논리가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한국문학을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한국문학은 한반도문학으로 국한된 문학이 아니라 한민족의 문학이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민문학은 한국문학에 아주 중요한 새로운 활력소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한반도라는 국한된 지역을 넘어서 타문화권으로 이주한 문인들에 의한 이민문학은 한국문학에서 지역문화의 국소적인 틀을 제대로 넓혀주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제까지 그랬듯이 각 지역으로 흩어진 한인이민문학은 현지의 형편과 상황에 따라 각 지역의 특징을 잘 드러내 주고 있기에 어떤 부분에서는 한국문학의 인식지평을 크게 확장시키는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