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치아동의 음악심리적 지도방안의 연구 : 수줍음 극복을 중심으로

        이지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도에 의한 개선의 여지가 있는 심리적 음치의 원인으로는 크게 세 가지, 즉 음악환경의 결여, 노래에 대한 두려움, 사람들에 의한 놀림 등을 들 수가 있다. 이 중에서 교사가 해결하기에 한계가 있는 음악환경의 결여를 제외한 나머지 두 원인은 아동 심리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수줍음 및 사회적 지지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줍음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켜 심리적 음치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개발 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음치, 사회적 지지 및 이와 큰 연관이 있는 적응능력, 수줍음 등에 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음치의 음악적 지도방안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아동 심리학 관점에서 기존에 연구된 수줍음 극복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음치아동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고, 심리적 음치아동이 정상아동에 비하여 수줍음을 많이 느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을 기초로 해서 아동 심리학 분야에서 개발된 여러 가지 수줍음 극복 프로그램을 종합, 보완하여 음악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초등학교 3∼6학년에 해당하는 음치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음악심리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음악적 요소 및 사회적 지지 증가 요소를 바탕으로 크게 5부분, 즉 노래 부르기 준비, 수줍음 이해하기, 자아존중감 형성하기, 사회적 기술 기르기, 심리적 불안 극복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래 부르기 준비에서는 노래 부르기를 위한 바른 자세에 대한 지도와 율동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노래 부를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줍음을 극복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줍음 이해하기에서는 수줍음을 체험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동기를 마련하고자 노래와 율동을 통하여 자기소개를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자아존중감 형성하기에서는 자신의 내면적인 세계를 외부로 표출시킴으로써 성취감을 경험하고 자신의 장점을 부각시켜 긍정적 자아를 형성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자신의 노래 부를 때의 장단점을 찾아 노래 부르기, 마디 채우기, 가사 바꾸기, 음악 감상을 하고 몸 동작과 소리로 표현하기 등을 개발하였다. 사회적 기술 기르기에서는 게임을 통한 음정 연습을 그룹이나 2명씩 짝을 지어 손을 잡고 함으로서 친밀감, 협동성과 준법성, 공동체 의식을 높여주고 자발적인 참여 의식을 갖게 하며 자신감을 획득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결과 정확한 음정 연습이 심리적으로 쉬워지게 하였다. 심리적 불안 극복하기에서는 노래 부를 때의 고민을 발견하여 해결책을 알아보고, 자신이 가장 잘 부를 수 있는 노래를 개발함으로써 노래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갖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든 프로그램은 심리적 음치아동에게 필요한 수줍음 극복과 음악기술력, 즉 음정 연습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유도되었기 때문에 음치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asons of being a tone-deafness are as follows: the first, lack of musical environment, the second, fear of singing, the third, other's sneer. In view of child psychology, the second and the third reason are relevant to shyness and social support, respectively. Thus, in this study tone-deafness(aged from 11 to 13) remedy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shyness of tone-deafness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to tone-deafness through following steps. First, the theoretical study of tone-deafness, social support, adaptability, and shyness was performed. Secondly, previously developed programs able to decrease shyness were surveyed. Thirdly, present condition and degree of shyness of tone-deafness in elementary school were measured by field survey. Finally, on the basis of above study, tone-deafness remedy program was developed by making use of theory of both child psychology and music. The developed program comprises following five components: preparation for singing, understanding of shyness, formation of self-esteem, increasing of social technology, and overcoming of anxiety. The part of preparation for singing includes instructions of attitude and methods to make enjoyable mood for singing. The part of understanding of shyness includes several methods for introduction of oneself by making use of song. The part of formation of self-esteem consists of singing of one's good points, filling of section of note, change of the words of a song, and appreciation and presentation of feeling of a music. Games which utilize songs and motions of body were developed for increasing of social technology. For the part of overcoming of anxiety finding and discussion of one's anxiety in singing and developing of song which one can sing confidently were included.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remedy tone-deafness effectively because it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both musical and child psychological approach.

      • 노인의 인지저하 예방 산림치유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전기생리학적 효과

        이지윤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Dementia has become a leading cause of death and a major socioeconomic cost for the elderly population all over the world. To date, no medication has been known effective for curing dementia. According to a recent research, approximately one-third of dementia cases could be prevented by moderating risk factors of dementia such as hypertension, alcohol abuse, obesity, smoking, depression, social isolation, physical inactivity, diabetes, and air pollution. Many of these risk factors can be promoted by activities in forest. Despite its potential, however, forest therapy has only become of recent interest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dementia. Evidences by previous researches are low because of the small numbers of participants, preliminary study designs, or short program hours. Objective: In this work, we developed two distinct forest therapy programs (FTPs) for the older population at risk of dementia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mentia and related health problems, and evaluated benefits of FTPs based on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such as electroencephalography (EEG), bioimpedance,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We hypothesized that beneficial effects would be distinct between the two FTPs through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One program was called the Qigong program (QP) as it was focused on Qigong practice in the forest and the other one was called the walking program (WP) as its main component was active walking in the forest. Qigong exercise aims to enhance perception of body sensation, activate therapeutic Qi and blood circulation through the meridian system, and stabilize the Qi. On the other hand, the key component of WP is active walking in the forest, in which, Yongquan (K11) acupoints are stimulated while walking by taping red beans to the Yongquan acupuncture points of both feet. Study I: The programs were conducted and modified sequentially over two years. In the first year, we developed two FTPs that were composed of 11 sessions over 11 weeks with 1 session per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We obtained data from 29, 31, and 28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for the QP, W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of QP showed benefits in the EEG alpha peak frequency and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upper limbs. On the other hand, the WP showed a benefit in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lower limbs (Yi et al., 2019). Study II: In the second year, we developed two FTPs with updates from the previous study. Here, both FTPs consisted of 12 sessions over 6 weeks with 2 sessions per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and were conducted in an urban forest. We obtained data from 25, 18, and 26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r above for the QP, W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electrophysiological tests, we obtained scores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quality of life (EQ-5D) before and after the entire therapy program sess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WP group showed benefits in terms of neuro-cognition (increases in the MoCA score, and alpha and beta band power values in the EEG), and bioimpedance characteristics in the lower body. Distinctively, the QP group showed alleviation of depression and a beneficial effect in bioimpedance makers in the upper body (Yi et al., 2021). Conclusion: Both the QP and the WP showed distinctive neuropsych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benefits in favor of dementia prevention and relieving related health problems for elderly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QP was effective for alleviating depression and increasing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upper body, and the WP was effective for preventing cognitive decline and increasing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lower body. A forest therapy program with more sessions and a longer study period would be more effectiv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reducing related health problems. Background: Dementia has become a leading cause of death and a major socioeconomic cost for the elderly population all over the world. To date, no medication has been known effective for curing dementia. According to a recent research, approximately one-third of dementia cases could be prevented by moderating risk factors of dementia such as hypertension, alcohol abuse, obesity, smoking, depression, social isolation, physical inactivity, diabetes, and air pollution. Many of these risk factors can be promoted by activities in forest. Despite its potential, however, forest therapy has only become of recent interest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dementia. Evidences by previous researches are low because of the small numbers of participants, preliminary study designs, or short program hours. Objective: In this work, we developed two distinct forest therapy programs (FTPs) for the older population at risk of dementia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mentia and related health problems, and evaluated benefits of FTPs based on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such as electroencephalography (EEG), bioimpedance,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We hypothesized that beneficial effects would be distinct between the two FTPs through different underlying mechanisms. One program was called the Qigong program (QP) as it was focused on Qigong practice in the forest and the other one was called the walking program (WP) as its main component was active walking in the forest. Qigong exercise aims to enhance perception of body sensation, activate therapeutic Qi and blood circulation through the meridian system, and stabilize the Qi. On the other hand, the key component of WP is active walking in the forest, in which, Yongquan (K11) acupoints are stimulated while walking by taping red beans to the Yongquan acupuncture points of both feet. Study I: The programs were conducted and modified sequentially over two years. In the first year, we developed two FTPs that were composed of 11 sessions over 11 weeks with 1 session per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We obtained data from 29, 31, and 28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for the QP, W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of QP showed benefits in the EEG alpha peak frequency and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upper limbs. On the other hand, the WP showed a benefit in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lower limbs (Yi et al., 2019). Study II: In the second year, we developed two FTPs with updates from the previous study. Here, both FTPs consisted of 12 sessions over 6 weeks with 2 sessions per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and were conducted in an urban forest. We obtained data from 25, 18, and 26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r above for the QP, W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electrophysiological tests, we obtained scores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quality of life (EQ-5D) before and after the entire therapy program sess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WP group showed benefits in terms of neuro-cognition (increases in the MoCA score, and alpha and beta band power values in the EEG), and bioimpedance characteristics in the lower body. Distinctively, the QP group showed alleviation of depression and a beneficial effect in bioimpedance makers in the upper body (Yi et al., 2021). Conclusion: Both the QP and the WP showed distinctive neuropsych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benefits in favor of dementia prevention and relieving related health problems for elderly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QP was effective for alleviating depression and increasing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upper body, and the WP was effective for preventing cognitive decline and increasing the bioimpedance phase angle of the lower body. A forest therapy program with more sessions and a longer study period would be more effectiv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reducing related health problems.

      • 베이지안 사전분포의 이해와 적용

        이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통계적 추정 방법 중 하나인 베이지안 방법이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베이지안 방법에는 연구자의 배경지식을 추정에 반영할 수 있는 사전분포라는 특별한 요소가 있으며, 이를 어떻게 지정하였는지가 추정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사전분포는 베이지안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사전분포를 이해하고 적절히 지정하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방법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전분포의 중요성과 사전분포 지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룸으로써 연구자들이 이를 실제 추정에 적용하게 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자가 사전분포를 직접 지정하지 않는 방법을 알아본다. 이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디폴트 사전분포를 선택하는 것으로 연구자가 직접 사전분포를 지정하지는 않으나, 실제 제공되고 있는 디폴트 사전분포가 무엇인지 알고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프로그램들의 디폴트 사전분포를 알아봄과 더불어 디폴트 사전분포의 알려진 문제점도 확인한다. 다음으로는 연구자가 사전분포를 직접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사전분포에는 무정보 사전분포와 정보 사전분포가 있으며, 어떤 사전분포를 이용할지는 모수에 대한 사전 정보의 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무정보 사전분포의 필요성과 이를 지정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제안된 방법을 다루고, 정보 사전분포를 지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연구들을 제공하며, 여러 연구의 기준을 종합해 정보성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탐색한다. 이후 본문에 다룬 방법들을 적용한 예시를 통해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위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The Bayesian method, one of the statistical estimation methods, ha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various social science fields recently. The Bayesian method has a special element called the prior distribution that allows the researcher's prior information to be reflected in the estimation. By dealing with the role and importance of prior distribu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specifying prior distribution in their Bayesian estimation. First, we check the default priors provided by the popular program without the researcher directly specifying the default prior, and also examine the known problems of the default prior. Next, we discuss the noninformative priors and informative priors, in which researchers directly assign priors. The noninformative prior distribution refers to the distribution specified when the researcher has no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ve prior is the distribution in which prior knowledge about parameters is reflected. Specifically, the necessity of the noninformative prior distribution and the method of specifying the noninformative prior distributio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re studied, and researches that can be referenced when assigning the information prior are provided. Furthermore, we explore criteri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informativeness based on prior studies for 20 years. Finally, we illustrate the procedures by examples of applying the methods covered in the text using real data,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지윤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는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양상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대상은 SNS 홍보를 통해 모집된 서울 및 기타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재학생 14명으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만 실시된 집단미술치료는 2020년 6월 27부터 8월 12일까지 8주에 걸쳐 주 2회 90분씩, 총 11회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용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MMLS)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를 사용하였고 SPSS 25.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는데,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비모수 검정인 맨 휘트니의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윌콕스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의미 및 심리적 안녕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로 대학생의 삶의 의미 척도의 통계량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삶의 의미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는 중요도 차원과 일치도 차원에서 평균이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통계량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는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 심리적 안녕감 척도의 하위요인인 개인의 성장은 오히려 통계량에서 유의미하게 하락했으며 평균값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도 하락하였다. 그런데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나타난 심리적인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보면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에서의 긍정적 변화를 찾아볼 수 있는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서 이전보다 자기 자신을 의미의 주체로써 자각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들이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 측면에서는 자기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받아들이고 공감적 태도를 바탕으로 하는 대인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자신의 기준에 따라 외부환경을 통제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로써 집단미술치료가 사회적 적응이 중요한 대학생에게 의미 찾기와 안녕감 형성을 통해 자기 정체성 확립과 성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meaning in life of group art therapy in university students and its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what is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change i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during group art therap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other regions recruited through SNS promotion, consisting of seven experiment groups and seven control groups. Group art therapy, conducted only by experimental groups,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from June 27 to August 12, 2020. In this study,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in Life Scale(MM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5.0,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the Man-Whitney U Test, for group homogeneity, and pre-validation of Wilanxcoilan effectiveness. Furthermore, the meaning of lif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emerged during group art therapy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the cas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tatistics on the meaning in life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However,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of the meaning in life showed that the average rose in terms of importance and consistenc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tatistic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group art therapy. However, the average score increased during the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growth, lower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factor in the control group, fell rather significant in statistic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mean value. The average also fell. However, if you look at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process of group art therapy qualitatively, you can find positive changes in the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group art therapy, we can see that there have been more actions to realize and practice themselves as subjects of meaning than before. In addi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we could see that we accept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ourselves, formed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a sympathetic attitude, and wanted to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 to our standards. The results show that group art therapy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meaning in life and the promo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t also suggests that group art therapy can help establish and grow self-identity through finding meaning and forming a sense of well-be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ose social adaptation is important.

      • 신의료기술평가제도에 대한 행정법적 연구

        이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신의료기술평가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의료기술이 의료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를 정하는 관문으로 작용하여, 의료현장에서 사용되는 의료기술의 범위를 정한다. 고령화 및 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의료비 지출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정된 재원이라는 한계 속에서, 고품질의 의료기술 도입 등을 통한 의료서비스의 품질 제고와 의료보장의 확대를 실현하기 위해 겪는 어려움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겪고 있는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공적 의료보장을 확립하기 위해 전 국민 건강보험과 요양기관의 당연지정제와 같은 광범위한 규율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조사 결과 전체 의료비 중 본인부담금의 비율이 37%로 높고 공공재원의 비중이 54%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정부는 중증질환 등에 대해 개인이 지나치게 많은 의료비 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의학적 비급여를 전면 급여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을 발표·시행하기에 이르렀다.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한정된 재정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신의료기술의 도입과 의료기술의 사용이 더욱 제한됨으로써 의료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의료기술에 대한 법적 규율 및 건강보험제도와 관련된 신의료기술평가제도에 대해 재고하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한 신의료기술평가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 다양한 의료보장제도를 갖춘 나라들의 신의료기술평가제도를 고찰하였다. 연구대상 국가로는, 독일, 영국 그리고 미국을 선정하였다. 독일과 영국은 전체 의료비 중 공공재원의 비중이 각각 85%, 80%에 달한다. 독일은 여러 공보험사에 의한 사회보험방식에 의하고, 영국은 조세를 재원으로 하는 국가건강서비스 방식에 의한다. 공공재원의 비중이 높으면서도 상이한 의료보장제도를 갖추고 있는 국가들의 신의료기술평가를 비교·고찰함으로써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미국은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자유주의적 원리가 다른 국가에 비해 강하고 공공재원의 비중이 50%에 그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 선두적인 의료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처럼 의료기술의 발전이 선두적이고 자유주의적 성향이 강한 국가의 신의료기술평가제도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신의료기술평가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우리나라 신의료기술평가는 요양급여 또는 비급여의 방식으로 적법하게 비용 징수가 가능한 의료기술의 범위를 결정한다. 이후 요양급여 결정과정에서 별도로 건강보험에 의한 요양급여의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비해 독일, 영국 및 미국은 모두 급여결정을 목적으로 신의료기술평가를 시행한다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독일, 영국 및 미국 또한 각기 상이한 평가기준과 절차방식에 의하고 있다. 독일은 의료기술의 편익, 의학적 필요성 및 경제성 외에도 의료기술이 제공되기에 적절한 품질담보요건과 자격요건까지도 평가기준으로 정하고 있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다양한 평가기준을 두고 있다. 평가기한 또한 3년으로 다른 국가에 비해 상당히 길다. 신의료기술평가의 주체인 공동연방위원회(G-BA)는 독립적인 의결기관으로서 평가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규정을 제정할 권한도 지니고 있다. 또한 구체적인 평가업무를 수행하는 보건의료 품질·효율성 연구소(IQWiG)의 전문적인 독립성을 담보하기 위한 법률규정을 두고 있다. 이처럼 독일은 신의료기술평가 기관의 전문성과 독립성의 담보를 중시하고, 전문적 평가를 위해 평가 과정에서도 관련 전문가의 의견청취절차를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 및 미국과 같이 다양한 이해관계인의 의견진술절차를 폭 넓게 보장하고 있지는 않다. 신의료기술평가 결과를 반영한 급여목록인 통일적 평가기준(EBM)에 대해, 독일 법원은 구속력을 인정하지 않고 전면적 심사에 가까운 사법심사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급여대상이 아닌 의료서비스에 대해서도 수가규정을 두어, 비용 징수에 대해 구속력 있는 규율을 하고 있다. 영국은 기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평가방식을 두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평가방식은 법적 구속력이 인정되는 의료기술평가(technology appraisal program, TAP)이다. 의료기술평가(TAP)는 임상적 유효성과 함께 비용-효과성을 주된 평가기준으로 한다. 평가기한은 약 50주 내지 60주가량이다. 평가기관인 국립보건원(NICE)은 다양한 이해관계인의 참여를 위해 평가 과정에서 이해관계인에게 의견을 구하는 절차를 두고 있으며, 회의를 대중에 공개하는 등 적극적으로 의견진술기회를 보장하고 있다. 영국은 신의료기술평가 결과에 대해 행정적 불복절차를 마련하고 있다. 급여 대상이 되지 않는 미용성형술 등의 의료서비스에 대해서도 품질담보를 위한 기관을 두고 있으며, 국가건강서비스(NHS) 홈페이지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국민들이 비급여 의료서비스를 선택함에 있어 도움을 주고 있다. 미국에서는 주요 공보험인 메디케어는 65세 이상의 은퇴자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어 보험가입자의 대상이 한정적이다. 메디케어의 급여대상이 되기 위한 신의료기술평가 기준은 의료기술이 “합리적이고 필요한” 기술임을 요할 뿐이며 경제성을 요하지 않는다. 9개월 내지 12개월가량의 평가기간이 소요된다. 평가의 공정성이 특히 문제될 경우에 외부 평가기관인 의료관리품질조사국(AHRQ)에 평가를 의뢰하기도 하나, 메디케어의 급여 주체인 메디케어센터(CMS)가 자체적으로 의료기술평가를 수행하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평가기관의 독립성을 강하게 담보하고 있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회의를 공개하며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두고 있고, 비교적 폭 넓은 행정적 불복절차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은 메디케어의 급여 대상이 되지 않는 의료서비스에 대해서는 환자에게 서면상의 동의를 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규율하고 있다. 우리나라 신의료기술평가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기준으로 하고 있다. 평가기한은 신청서 접수일로부터 250일 이내이나, 신속평가방식 및 의료기기에 대한 허가·신의료기술평가 통합운영제도를 마련하는 등 절차의 간소화를 통한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런데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인의 의견진술기회는 비교대상인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약하게 보장되고 있다. 의견진술기회를 더욱 보장함으로써 절차적 정당성과 구체적 타당성,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인들의 평가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일관성 있는 사법심사의 강도가 정립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나, 대법원은 일반적인 행정재량에 비해서 폭 넓은 재량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완화된 사법심사의 적용을 위해서는, 폭 넓은 의견진술기회의 보장을 통한 절차적 정당성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요양급여목록 외에도 비급여목록을 따로 정하고 있다. 그리고 신의료기술평가를 통해 요양급여대상 또는 비급여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의료서비스의 범위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두 목록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의료서비스인 ‘임의비급여’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12년 선고된 전원합의체 판결로서 일정한 요건이 갖추어진 경우 임의비급여를 예외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요건의 구체적인 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사후적인 사법심사에 의해 그 허용 여부가 판단됨으로써, 임의비급여에 대한 법적 불안정성의 문제는 지속되고 있다. 신의료기술평가와 임의비급여의 관련 문제와 임의비급여의 예외적 허용요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임의비급여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현 제도 하에서 고려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국가들은 다양한 의료보장제도와 신의료기술평가 방식을 두고 있지만, 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 추구와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은 모두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 확인한 다른 나라의 신의료기술평가 방식의 모습, 우리나라 신의료기술평가의 특징과 건강보험제도에 의한 의료기술 제공 구조의 특징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사회·경제·문화적 여건과 변화하고 있는 건강보험제도에 부합하면서도 궁극적으로 국민들의 건강 실현에 효과적인 신의료기술평가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acts as a gateway to determine whether health technology can be used in the medical practice, thereby defining the scope of health technology available in the medical practice. Due to an aging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health technology, medical spending is on a continuos rise. With limited financial resources,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have difficulties both in achieving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health technology and expanding medical security. In order to establish national health insurance, Korea introduced extensive rules that apply to all Koreans and all medical institutions. Despite these efforts, according to the OECD research, the share of out-of-pocket medical expenses is as high as 37% while the share of public resources is relatively low at 54%. In response to this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has relea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reinforcement policy” that aimed to convert all medically necessary non-coverage into coverage. However, this policy raised many concerns not only about limited financial resources but also about a possibl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due to restrictions in introducing new health technologi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o re-evaluate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regulations on health technology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with the ultimate goal of identifying the right direction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public heal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s in countries that adopted different medical security systems.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ere reviewed for this purpose. In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public finance accounts for 85% and 80% of total medical expenses, respectively. Germany uses social insurance offered by various public insurers. The UK uses tax-funded national health services. Significant implications can be identifi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s in countries that show a high share of public resources with different medical security systems. Even though the United States has stronger liberal principles than in other countries and relies on public finance for only 50% of medical spending, it has the world's leading health technology. In this context, examination of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in a country with advanced medical technology and a strong liberal tendency can help design the direction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n Korea. Korea'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determines whether medical service can be legally offered as a NHI coverage or non-coverage. Subsequently, a separate decision is made through the coverage determination process on whether the service can be cove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 In contrast,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ll us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for the purpose of coverage determination. However, applicable criteria and procedures differ by country. Germany adopted various assessment criteria ranging from clinical benefits, medical necessity and the economics of health technology to quality assuring requirements and the condition for qualification. Consequently, the assessment takes three years, which is considerably longer than in other countries. The Federal Joint Committee(G-BA) charged with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s an independent decision-making body that has the authority to establish the rules necessary for the assessment. In addition, there are legal provisions to guarantee the professional independence for the Institute for Quality and Efficiency in Health Care(IQWiG) which is responsible for a concrete evaluation. The assessment proces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professionalism and independence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nstitutions and guarantees that experts’ opinions are heard for professional assessment. However, unlik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Germany neither offers a comprehensive guarantee of hearing from various stakeholders nor has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s. The German court does not grant a binding force to the ‘uniform value scale’(Einheitlicher Bewertungsmaßstab, EBM), a coverage list that reflects the results of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and applies a judicial review which is almost equivalent to a full review. In terms of non-converage medical service, ‘fee schedule’(Gebührenordnung für Ärzte, GOÄ) defines cost on non-coverage and offers a binding provision on the payment of the cost. The UK has various assessment program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technology, but the most representative program is a legally binding technology appraisal program(TAP). TAP uses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as major criteria. The evaluation period is about 50 to 60 weeks.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NICE), an assessment agency, hears from stakeholders in the assessment process and opens most of meetings to the public. The UK has an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on the results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s. There are also institutions for quality assurance on non-coverage medical service such as cosmetic surgery. In addition, the National Health Service(NHS) runs a website that contains relevant information to help the public choose non-coverage medical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Medicare, the main public insurance, serves a limited population because its main beneficiaries are retirees aged 65 or older. It assesses health technology, solely based on whether it is "reasonable and necessary" technology without considering economic factors. The assessment period takes 9 to 12 months. When fairness of the assessment becomes an important issue, a specific case is often referred to the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AHRQ), an external assessment agency. However, the center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s(CMS) which is the payer of Medicare often perform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on its own. Although it does not offer a strong guarantee of the independence of the evaluation body, most of the meetings are open to the public. A relatively broad administrative appeal procedure is also in place. The United States regulates non-coverage medical service in a way that requires a written consent from patients. Korea'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s based on safety and effectiveness. The assessment period is within 250 days from the date of receipt of the application. However, the procedural efficiency is pursued through streamlined procedures such as a fast-track assessment scheme and the integrated operation system that combines permission and assessment of medical devices. However, as part of the assessment process, hearing of various stakeholders’ opinion is not as strongly guaranteed as in other countries. A stronger guarantee of the opinion hearing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rocedural legitimacy, the concrete legitimacy and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results from the view of various stakeholders. While the strength of judicial review has presumably not been established at a consistent level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the Supreme Court appears to admit a wider discretion than general administrative discretion. As a pre-requisite for a more lenient judicial review, procedural legitimac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a comprehensive hearing of opinions. In particular, unlike other countries, Korea sets both a coverage list and a non-coverage list. Another difference is the role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which determines inclusion of medical services either in coverage list or non-coverage list. This results in 'arbitrary non-coverage', a medical service that does not belong to either list. The judgement sentenced in 2012 proposed a measure to allow arbitrary non-coverage in exceptional cases when certain requirements were met. However, detailed criteria for such requirements have not been defined, and a decision on exceptional case is made by ex post judicial review. As a result, arbitrary non-coverage remains a legally unstable concept. This study conducted detailed evaluation of the issues related to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and arbitrary non-coverage as well as the exceptional permission of arbitrary non-coverage. It went further to identify a solution that can be considered under the current system which prohibits arbitrary non-coverage, in principle. Each country has its own medical security system and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method, but ultimately all of them aim to pursue and promote public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methods in other count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and the structure under which health technology is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in the hope that it will help design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catering to Korea’s social, economical, cultural conditions and the evolv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for the ultimate goal of promoting public health.

      • 고객 만족도 측정을 위한 인공지능기반 표정인식 시스템 적용 및 제안

        이지윤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유통 과정에서 고객의 불만에 대해 조사하고 그들의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세계 각지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외식업, 요식업 등과 같은 분야에서 질의응답 및 설문조사 등과 같은 방법들을 활용하여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인력, 자원 및 시간 등의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객의 불만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표정인식 시스템을 활용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조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 아키택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 아키택처는 이기종 클라이언트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각각의 클라이언트들에게 최신의 데이터를 이용한 표정인식 결과를 웹 서비스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앙상블 기반의 분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표정인식을 통한 만족도 분석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recent year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ll over the world to investigate customer complaints and minimize their complaints. These studies are mainly conducted using methods such as questionnaires and questionnaires in fields such as restaurants and catering. However, existing methods may incur large costs such as manpower, resources, and time,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customer complaints in real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oud - based system architecture that can investigate customer 's satisfaction by using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is implemented based on the cloud so that heterogeneous clients can access easily and each client can provid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result using the latest data through a web service based interface. Also, by providing an ensemble - based analysis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analysis result through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산업입지이론의 관점에서 골프장 입지결정요인 분석

        이지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입지이론의 관점에서 골프장 입지결정요인을 도출하고 해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업입지이론을 중심으로 골프장 입지분석을 위한 개념적 틀을 구축하고,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골프장 공간분포특성 및 골프장 입지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골프장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산업입지이론의 관점에서 골프장 입지를 해석하였다.

      • 위험커뮤니케이션이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윤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성공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립 및 실행은 물론 국민의 정책 지지와 적극적 참여를 확보해야 한다. 다수의 정책과 연구에서는 국민의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과 적극적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위험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 위험커뮤니케이션과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위험커뮤니케이션(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과 기후변화 위험인식, 정부신뢰,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완화정책 수용도, 적응정책 수용도)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였다. 또한 보다 발전된 기후변화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 국민의 기후변화 위험인식과 집단별 기후변화 위험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연령, 학력, 직업군)에 따른 기후변화 위험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직업군별 기후변화 위험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낮은 연령대의 집단과 학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기후변화 위험인식 상당히 낮았다. 둘째, 위험커뮤니케이션(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이 기후변화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용자만이 기후변화 위험인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기후변화 위험인식이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위험인식은 기후변화 대응정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험커뮤니케이션(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과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 간의 관계에서 기후변화 위험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 위험인식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위험커뮤니케이션(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원, 메시지, 채널이 정부신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원과 메시지에 비하여 채널의 경로계수가 상당히 큰 것으로 도출되었다. 여섯째, 정부신뢰가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부신뢰는 완화정책 수용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적응정책 수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위험커뮤니케이션(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과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 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완화정책 수용도의 경우 정보원, 메시지, 채널이 정부신뢰를 매개로 완화정책 수용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반면 위험커뮤니케이션과 적응정책 수용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매개효과가 없었다. 여덟째, 위험커뮤니케이션(정보원, 메시지, 채널, 수용자)이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보원과 수용자가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정책 수용도를 높이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는 수용자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기반의 e-Governance 시스템의 구축, 정부기관·전문가·일반인 등으로 구성된 상설협의체의 설립 등을 통해 정부기관과 국민 간 의견 교환이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기후변화와 관련한 과학적 사실을 구체적이고 심리적 거리가 가까운 생활밀착형 정보로 재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기후변화 위험의 주관화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은 물론 대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이득과 삶의 질적 향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기후변화의 위험과 기회를 균형 있게 다루는 메시지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메시지와 채널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집단별 차별적 위험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다섯째,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문화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제작을 지원하는 등 기후변화에 관한 국민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다각화해야 한다. 여섯째, 기후 소양과 업무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함으로써 기후변화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기관 종사자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Successful respond to climate change requir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climate change policies as well as the suppor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respect of climate change policies. A number of policies and studies emphasize the activation of risk communication as a way to induce the public to accept climate change policies and take active ac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mate change risk communication and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risk communication(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trust in government and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mitigation policy acceptance, adaptation policy acceptance). To develop more advanced climate change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also conducted research o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risk by group.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al category) showed differences in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by age and occupational category. In particular, the low age group and stud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in the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risk.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risk communication(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on the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only the receiv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on the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policy,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didn’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he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communication(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and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risk communication(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on the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source, message and chann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Especially, path coefficient of channel was considerably larger than that of source and message. Six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showed that trust in gover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mitigation policy, but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ceptance of adaptation policy. Seventh,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communication(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and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found that source, message and channe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cceptance of mitigation policy through the medium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communication and adaptation policy acceptance. Eigh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risk communication(source, message, channel, receiver) on the climate change policy acceptance showed that source and receiver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policy. In particular,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increasing acceptance of climate change policy was receiver.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communication environment that enables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ublic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based e-Governmen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permanent consultative body composed of government agencies,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etc. Second, scientific facts related to climate change should be reconstructed and provided as psychologically close life information. This will lead to a subjectivization of climate change risk.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balanced message that address the risks and opportunities of climate change, such as information about the ne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nd the economic benefits,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at could be gained through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urth, differentiated risk communication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group in terms of message and channel. Fifth,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need to be used to induce public interest in climate change. For instance, it c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nd support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such as movies, dramas, and animations about climate change. Sixth, the capabilities of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climate change affairs should be strengthened by developing and providing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to cultivate climate literacy and professionalism.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 K 항공사 중심으로

        이지윤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 대형항공사인 K항공사에서 근무하는 객실승무원 대상으로 2017년 2월 18일부터 3월 24일까지 25일간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웹서베이와 설문지법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이에 총 배포한 267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6부와 미회수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총 240부의 설문지를 반영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는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자율성은 의사결정의 자율성, 업무방식·업무계획의 자율성 2개의 요인으로 직무만족은 직무자체만족, 임금, 승진, 상사, 동료 5개의 요인으로 서비스품질은 유형성, 확신성, 신뢰·응답성, 공감성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자율성은 직무만족과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객실승무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설계 방향성과 인적자원관리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현장 개선과 발전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utonomy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We conducted web survey and self-filled questionnaire district court at the same time for the flight attendants in K airline company, which is a domestic major airline, for 25 days from February 18 to March 24, 2017. We analyzed total of 240 questionnaires, excluding 16 questionnaires which were falsely addressed and 11 uncollected questionnaires,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The data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and test the hypothe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cla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autonomy of the flight attendant is consist of the autonomy of the decision making, the autonomy of the work method and the work plan. The five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re the job satisfaction, the wage, promotion, supervisor and colleagues. The four factor of service quality are tangibility, confidence, trust·responsiveness, and empathy.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the duty autonomy of flight attendants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Also the job satisfaction of flight attendants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o the quality of service. It has been found that it has an influe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field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job desig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