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민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이지민 지도교수 김영근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여 청소년들의 은둔 경험에 대한 깊이 있고 심층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들을 위한 추후의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 현상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로 연구 참여자들의 실재에서 그들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에서도 참여자들의 목소리로부터 얻어진 언어로 드러나는 현상의 본질적 의미를 기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Giorgi(1985)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청소년위원회(2005)에서 제시한 은둔형 외톨이 진단기준에 부합하며 은둔 경험을 한 지 3년 이내의 청소년 5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였으며, 참여자들과 세 번의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1985)의 4단계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반성과 자유변경 과정(Giorgi, 1985)을 통해 하위구성요소와 경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9개의 구성요소와 2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서 5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은둔 경험의 의미에서 4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청소년의 은둔 경험은 <세상과 고군분투: 관계로부터 상처 입음, 사람을 만나는 것이 무서운, 숨고 싶은 마음이 생김, 버티고 버티다>, <세상으로부터 도피: 포기하는 마음으로, 자신만의 둥지에서 편안함을 느낌, 밤낮이 뒤바뀜, 생각하는 것을 그만둠, 스마트 기기에 의지함>, <행복은 세상에 있음을 깨달음: 마냥 편안하지만은 않은, 흘러가는 시간이 허무해짐, 문득 나가보고 싶은 마음>,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한 노력: 자격지심에 휩싸인 마음, 타인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 스마트 기기로 세상과 소통을 연습함>, <세상과 소통을 시작: 나를 이해하는 친구와 소통함, 부모님의 관심으로 노력하고 싶은 마음, 상담 기관을 찾음>이었으며, 청소년의 은둔 경험의 의미는 <놓친 것들에 대한 아쉬움: 시간을 통째로 잃음, 학창시절의 추억을 만들지 못한 아쉬움, 놓친 관계에 대한 아쉬움>, <자기를 이해하는 시간 :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 나를 알게 되었던 소중한 시간>, <더 높이 날기 위해 움츠렸던 시간: 자유를 경험했던 시간, 상처받은 마음을 회복하는 시간, 더 잘 살아가기 위한 시간>, <새로운 날갯짓의 시작: 현재의 나를 받아들임, 자존감을 되찾음, 회피하지 않는 용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의 체험요소를 밝히고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과 은둔 경험의 의미를 경험적으로 밝힌 첫 연구로, 후속연구 또는 상담 실제 영역에서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을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능동형 발룬을 사용한 Ka-band 대역 CMOS 공정 능동형 위상 천이기

        이지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we designed an active phase shifter using a 65-nm RFCMOS process. We designed active balun at input balun and single-stage RC PPF at I/Q generator. And we used gilbert cell for vector sum and variable gain. We proposed symmetrical structure RC PPF to reduce phase variation of the I/Q signal.. We used phase correction technique circuit and one-side load inductor at active balun to reduce phase imbalance and magnitude imbalance of differential signal.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maximum gain was -8 dB, the input return loss was less than -6.18 dB, and the output return loss was less than -11.02 dB. The phase resolution of the circuit is 5.625, the RMS phase error is less than 2.57 degrees, and the RMS gain error is less than 0.44 dB. The chip size of the designed active phase shifter is 0.13 mm2, excluding the pad. 능동형 발룬을 사용한 Ka-band 대역 CMOS 공정 능동형 위상 천이기 이지민 전자공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본 논문에서는 65-nm RFCMOS 공정을 이용하여 능동형 위상 천이기 를 설계하였다. 입력 발룬으로 능동형 발룬을 사용했으며, I/Q generator 로 1단 RC PPF를 사용하였으며 벡터 합과 가변 이득을 위해 길버트 셀 을 사용했다. I/Q 신호의 위상 변위를 줄이기 위해 RC PPF의 대칭 구 조를 제안하였으며, 차동 신호의 위상 불균형과 크기 불균형을 줄이기 위해 능동형 발룬에 위상 보정 회로와 출력 부 한 쪽에 부하 인덕터를 사용했다. 측정결과 최대 이득은 –8 dB, 입력 반사 손실은 –6.18 dB 미만, 출력 반사 손실은 –11.02 dB 미만이다. 회로의 위상 분해능은 5.625 도이며, RMS phase error는 2.57 도 미만, RMS gain error는 0.44 dB 미만이다. 설계한 능동형 위상 천이기의 칩 크기는 패드를 제외하고 0.13 mm2이다

      • 고아 핵 수용체인 SHP와 basic helix-loop-helix 전사인자 CREB의 상호작용을 통한 Gluconeogenic 유전자 발현의 억제적 기능

        이지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mall heterodimer partner (SHP; NR0B2) is an atypical orphan nuclear receptor and acts as a co-regulator of various nuclear receptors. CREB is one of basic helix-loop-helix transcription factor family and binds via its basic leucine zipper (bzip) domain as a dimer to cAMP response elements (CRE). CREB is a bZIP transcription factor which has been reported as major regulator of gluconeogenesis. Over expression of SHP represses the CREB-mediated activation of CRE-luc promoter. Regulation of CREB activity is played by the coactivator transducer of regulated CREB activity (TORC). We next tested the potential involvement of CREB co-activator, TORC2 in G6Pase and PEPCK promoter activity. Elevated G6Pase and PEPCK promoter activity by TORC2 was decreased by over expression of SHP. This inhibitory effects released by dose dependant TORC2 over expression. Our transient transfection and in vitro GST pull-down competition assays revealed that CREB-mediated transactivation was repressed by SHP through the competition with the co-activator TORC2. In vitro and in vivo GST pull-down assays demonstrated that SHP physically interacts with CREB. Q1 domain of CREB is required for binding to SHP and REP domain of SHP is essential region to binding to CREB. Over expression of SHP decreased the CREB-mediated activation of PEPCK and G6Pase gene promoter. Over expression of human SHP by metformin also repressed CREB-mediated activation of PEPCK and G6Pase gene promoter. Furthermore, CREB transactivation induced by PKA or TORC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downregulation of SHP with SHP small interfering RNA in HepG2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HP acts as a co-repressor of CREB and CREB-mediate gluconeogenic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by SHP. 고아 핵 수용체에 속하는 SHP는 다른 핵 수용체와 다르게 DNA에 결합하는 부위가 없고, 많은 핵 수용체들의 전사 활성 능력에 관여 한다. CREB은 basic leucine zipper (bZIP) 부위를 통해서 cAMP response elements (CRE)에 결합하여 Gluconeogenic 유전자들의 발현을 활성화 시킨다. 본 연구는, 인간의 SHP 유전자가 CREB의 전사적 활성을 억제하여 CREB에 의해 증가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을 밝혔다. 또한 CREB의 활성인자로 알려진 TORC2의 잔사활성을 억제함을 밝혔다. SHP는 CREB와 TORC2에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전사 활성도를 조절하였으며, SHP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CREB에 의해 증가하는 G-6Pase와 PEPCK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SHP가 CREB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CREB의 Q1 domain과 SHP에 REP domain이 필수적임을 밝혔다. 기존에 알려진 연구에서 SIK2에 의한 TORC2의 인산화를 통해서 CREB와 TORC2가 상호 협동적으로 G-6Pase와 PEPCK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CREB과 TORC2의 억제기작 외에 SHP가 CREB와 TORC2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G-6Pase와 PEPCK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분자적인 수준에서 CREB를 통한 G-6Pase와 PEPCK의 유전자 발현 억제기작을 이해하고, SHP 단백질이 포도당 대사에서의 역할을 한층 더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 전공만족도 및 자기주도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ajor satisfaction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and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se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factors (gender, grade, major)?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350 students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301 copies of the effective questionnaire using the SPSS Ver.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of variables in this study, and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actions, satisfaction level of maj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pecific variab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by grade showed only meaningful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textual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rad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major was significant only in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situations" among all sub- and self-directed learning sub-factors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Second,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were all found to be correlated. Thir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was found to have no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self-awareness" among the lower factors had a static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hoped that various career counseling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reduce confusion about college students' careers by compi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n class as well as career counseling, the professor hopes that his or her classes will help students think more about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than now so that they can explore their own careers and develop self-directedness on their own. Key words: Major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수면의 질이 직무만족과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leep quality and job performance ability of Seoul Metro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 The sleep quality measurement scale for the study consisted of a single dimension. Job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motivating factors related to the job itself and hygiene factors related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conditions. Job performance ability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self-development, conflict resolution, 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25. .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garding the quality of sleep, respondents perceived their sleep quality level as 'average'. In terms of job performance ability, they responded with an average of 3 points or higher, giving a generally high evaluation of their job performance ability. Job satisfaction was perceived as above 'normal',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otivation fact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ygiene factor. Second, it is the result of one-way ANOVA.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such as sleep quality, job performance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ge, job title, years of service, and time to work. However, with respect to the shift work type, the sleep quality of the shift work typ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work type and the shift work type. Third, it i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orking type is related to sleep quality. The normal work pattern showed a weak positive (+) correlation with sleep quality, and a weak negative (-)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ability, and had no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hift work type sleep quality or job satisfaction, but it showed a weak positive (+)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ability. In the case of the shift work type, a weak negative (-) correlation was shown in relation to sleep quality. In general, sleep qua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job performance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motivation factor was stronger than the hygiene factor. Fourth, it i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in the pathways of sleep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Sleep qua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Sleep qualit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ability. Combining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sleep quality and job performance ability. . Finally, this i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 patterns on the pathways between sleep qualit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hen the work type was alternate work, there was a weak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path of sleep quality on job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normal work mod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quality of sleep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shift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yp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exact working day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regular life rhythm. These irregularities are ultimately the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sleep quality of shift work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hift work schedule in a predictable way. In this study with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sleep qu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on job performance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motivation factors and hygiene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motivation factor was found to have a strong positive (+)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I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Herzberg (1959).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managers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is high at the individual level,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itself is also reaching a mature level. Therefore, as Herzberg argued that differentiated management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urity of member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can be improved by inducing voluntary and high-level job performance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member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it, managerial efforts are required to bring about the satisfaction of motivating factors such as intrinsic satisfaction with the job itself.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교통공사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수면의 질과 직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한 수면의 질 측정척도는 요인분석 결과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직무만족은 직무 자체와 관련 동기요인과 근무환경, 복리후생 조건과 관련된 위생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직무수행능력은 자기계발, 갈등해결, 자신감, 책임감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 25.0과 AMOS25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이 시행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 결과이다. 수면의 질 수준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수면의 질 수준을 ‘보통’ 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직무수행능력은 평균 3점 중반 이상으로 응답하여 자신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해서는 보통 이상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직무만족도 또한 ‘보통’ 이상으로 느끼고 있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동기요인의 만족도가 위생요인에 비해 높았다. 둘째, 일원 분산분석의 결과이다. 학력, 나이, 담당 직무, 근속 년수, 출근 시간에 따라서는 수면의 질, 직무수행능력, 직무만족 등 모든 변수 간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근무 형태와 관련하여서 교번근무 형태의 수면의 질이 통상 근무와 교대근무의 형태 수면의 질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의 결과이다. 근무 형태와 수면의 질과의 관계이다. 통상 근무 형태는 수면의 질과는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수행능력과는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과는 관계가 없었다. 교대근무 시에는 수면의 질이나 직무만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는 약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교번근무 형태의 경우 수면의 질과의 관계에서 약한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수면의 질은 직무만족이나 직무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수행능력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위생요인보다는 동기요인과의 상관관계가 더 강하였다. 넷째, 수면의 질, 직무만족, 직무수행능력의 경로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관한 분석 결과이다. 수면의 질은 직무수행능력뿐만 아니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직무만족은 직무수행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직무만족은 수면의 질과 직무수행능력의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면의 질, 직무만족, 직무수행능력 간의 경로에서 근무 형태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이다. 근무 형태는 교번근무일 때 직무만족에 약한 부적 조절 효과가 발생하였다. 수면의 질이 직무수행능력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통상 근무 형태일 때 정적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의 질은 교번근무일 경우 가장 낮았다. 교번근무는 근무 형태의 특성상 일정한 주기의 생활 리듬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정형화되지 못한 일정으로 교번근무자의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번근무를 더욱 정형화된 형태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서울교통공사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에서는 수면의 질은 직무수행능력과 직무만족의 유의미한 통계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직무수행능력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동기요인이나 위생요인과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기요인은 직무수행능력과 강한 정(+)의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신남철(2003), 이경애(2010)의 연구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추론할 때 서울교통공사 재직자들의 개인적 차원에서의 성숙 수준도 높지만, 서울교통공사 자체의 조직문화 또한 성숙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Herzberg가 구성원의 성숙단계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기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와 같이 서울교통공사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높은 수준의 직무수행을 유도하고, 직무만족 수준을 높임으로써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 자체에 대한 내재적 만족과 성취감 제고와 같은 동기요인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반 관리적 노력이 요구된다.

      • 저출산 대책과 기초(노령)연금의 효과 분석

        이지민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이들 문제에 대한 정책 중 대표적인 네가지 정책(육아휴직제도, 육아휴직급여제도, 무상보육정책, 기초연금)의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로, 1970~2019년까지 연간 시계열 자료를 자기회귀시차분포모형(ARDL)에 적용하여 대표적인 저출산 정책 중 육아휴직제도와 육아휴직급여제도의 출생아수 제고효과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1988년부터 시행된 육아휴직제도는 조출생률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실증되었지만 2001년부터 시행된 육아휴직급여제도는 조출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두번째로, 1~7차 「여성가족패널조사」자료에 패널프로빗(Panel Probit)기법을 적용하여 2013년 시행된 무상보육정책의 추가출산 제고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첫째, 무상보육정책이 추가출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둘째자녀 출산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째 자녀를 양육할 때 무상보육혜택을 받으면, 3년 후의 둘째 자녀 추가출산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그러나 셋째 자녀 추가출산에는 효과는 있으나 그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번째로,「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1~7차자료와 이중차분분석(DID)기법으로써 2008년부터 도입된 기초노령연금과 2014년부터 도입된 기초연금이 수급가구들의 엥겔계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추정결과를 정리하면, 기초노령연금 수급이 엥겔계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 양(+)의 부호로 추정되어 수급가구들이 기초노령연금을 식료품비에 더 많이 투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그동안 식료품비 충당이 어렵던 수급가구에게 기초노령연금이 큰 도움이 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반면에 기초연금 수급은 엥겔계수에 음(-)의 부호로 추정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초연금은 기초노령연금과 다르게 식료품비 외의 다른항목에 지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연금수급자의 후생수준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까지 저출산・고령화 대책이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2006년부터 시작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따라 실행되고 있는 관련 정책들의 효과를 평가하여 학술적・정책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a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society, and analyzes impacts of the four representative policies, i.e., the parental leave, the parental leave benefits, the free child-care policy, the basic pension. First, empirical results from the annual time-series data for 1970~2019, using the ARDL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are as follows : the parental leave plan, which has implemented since 1988, had a positive effect on a crude fertility rate, but the payment of parental leave benefits, which has been paid since 2001, made it increase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empirical results by the panel probit of the free child-care policy implemented in 2013 on an additional childbirth from the 1~7 wave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re as follows : the free child-care policy has a positive effect of giving a second-child birth by affecting further childbirth, and positively affected the second childbirth in three years later in receiving the free childcare benefits during the first child-raising. However, an additional childbirth of the third child was estimated to be influenced by the policy but its magnitude to be weak. Third, the effect of the basic old-age pension and basic pension (hereafter, BOP and BP, respectively), which was introduced in 2008 and 2014, respectively, on the Engel’s coefficient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ith Difference- In-Difference method are as follows : BOP was estimated to be a positive sign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implying that the BOP recipients tended to put BOP into food expenses more than non-BOP recipients. On the other hand, BP was estimated to be a negative sign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means that the BP provides an opportunity to spend more on items other than food expenses unlike the BOP, and raises the level of welfare for the recipients after its introduction. These imply that policies have been partially effective so far and thus can be said to contribute to the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cademically and politically.

      •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유무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지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viding water and tools/materials on the children's improvement in creativ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providing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on children's improvement in fluency?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providing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on children's improvement in the originality? Third, what are the effects of providing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on children's improvement of the abstractness of title? Fourth, what are the effects of providing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on children's improvement in the elaboration? Fifth, what are the effects of providing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on children's improvement in the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The subjects were 60 children of a kindergarten located in dalsung-gun, Daegu.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with 30 children provided with the sand, water and tools/materials, group 2 of 30 children with sand and water, a con trol group of 30 children with sand. The experiment period was 7 weeks and the children's creativity was pretested and posttested using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inking Creatively with Pictures, From A" which was revised by Young-Che Kim(2002).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with ANCOV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lue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rigina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bstractness of title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elabor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water and tools/materials in outdoor sand pla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 유무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고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실외 모래놀이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 유무가 유아의 유창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 유무가 유아의 독창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 유무가 유아의 제목의 추상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넷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 유무가 유아의 정교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다섯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 유무가 유아의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H유아교육기관 만 5세 유아 중 무선으로 표집한 60명이며 집단의 구성은 물, 보조자료를 제시한 집단 20명, 물을 제시한 집단 20명, 둘 다 제시하지 않은 집단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사전․사후검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김영채가(2002)가 번안한 창의적 사고력검사(TTCT: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은 7주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공변량분석(ANCOVA)과 사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가 유아의 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둘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가 유아의 독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가 유아의 제목의 추상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넷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가 유아의 정교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다섯째,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가 유아의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실외 모래놀이에서 물과 보조자료의 제시는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겠다.

      • 의료기기의 디자인 혁신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물리적 자가통증조절기를 중심으로

        이지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is conducted to recognize that design innovation of medical device is an important factor to make a product competitivenes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stablishment of product design strategy in the future medical device market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design innovation of medical device on the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has set the functional properties, aesthetic properties, and usability properties of the design as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n assumed that each variabl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earch surveyed 93 health care workers who were influential in purcha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PCA), and then analyzed the collected empirical data with the use of SPSS 25.0.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functional properties, aesthetic properties, and usability properties of the design of medical devi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health care workers. Among them, the influence of usability properties is the mos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design factor that improves user operability is the most preferred factor among the design factors within the usability properties. Designs that improve the usefulness of the product were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design. The harmony of shape, color, and size of the product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aesthetic properties of design. This research suggests a method to induce purchase intentions of medical institutions by intensively promoting the usability properties of design as a product design strategy for medical devices. For this, a design that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obstacles, and potential risks in which health care workers use the product. In addition, a design that provides visual stability to the user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design should improve the uefulness of the product. User-centered design, which is difficult to grasp in a short period of time, should be updated by sufficient market research. Therefore, companies need to make efforts to satisfy the potential needs of users by establishing a design strategy from the product planning stage. 본 연구는 의료기기의 디자인 혁신이 의료 종사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의료기기의 디자인 혁신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인지하고, 향후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제품디자인 전략 수립 마련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해 디자인의 기능적 속성, 심미적 속성, 사용 편의적 속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각 변수가 종속변수인 구매 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의료기관 종사자 중 물리적 자가통증조절기(PCA)의 구매 결정에 영향력이 있는 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실증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의료기기 디자인의 기능적 속성, 심미적 속성, 사용 편의적 속성이 모두 의료 종사자의 구매 의도에 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의료기기의 사용 편의적 속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용 편의적 속성에 해당하는 디자인 요인 중 사용자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이 가장 선호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디자인의 기능적 속성에서는 제품의 용이성을 높이는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고, 디자인의 심미적 속성에서는 제품의 형태, 색상, 크기의 조화로움을 가장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기기의 제품디자인 전략으로 디자인의 사용 편의적 속성을 중점으로 반영하여 의료기관의 구매 의도를 유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환경, 장애, 잠재적 위험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디자인을 설계해야 함을 의미한다. 더불어, 디자인을 통해 제품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제품 외관을 고려할 때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은 단기간에 파악하기 어렵고 충분한 시장 조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기업 차원에서는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여 사용자의 잠재적 요구까지 충족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