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의 첨가급여가 홀스타인 송아지의 성장과 장내균총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이중재 건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의 첨가급여가 홀스타인 송아지의 성장과 장내균총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농가에서 송아지를 건강하게 육성시키고자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을 혼합한 사료첨가제의 급여효과를 구명하였다. 송아지의 설사 분변에서 미생물을 분리·동정하였고, 그 중 Escherichia coli가 가장 많았다. Shigella sonnei, Shigella dysenteriae, Escherichia marmotae 및 Escherichia coli는 ampicillin, vancomycin, clindamycin 및 tetracyclin 등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부추즙은 Candida glabrata, Escherichia coli, Shigella flexneri균에 대해 특히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발효시킨 부추는 Bacillus velezensis와 Bacillus aryabhattai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생후 1∼2주령의 초유떼기 송아지를 대상으로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CY: Fermented Chinese chives-Yeast extracts) 첨가제를 0.1%(T1)와 0.5%(T2)를 첨가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총 실험기간 동안 대조구와 T1이 T2보다 높은 체중을 보였다(p<0.05). 사료섭취량은 5∼8주에 T2(30.46 kg)가 대조구(41.54 kg) 및 T1(46.67 kg)보다 낮았다(p<0.05). 대조구의 분변에서 Enterococcus faecalis가 동정되었으며, T1과 T2에서는 Enterococcus faecium,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johnsonii가 동정되었다. 8주차 혈액 내의 total glyceride는 T1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이유 후 3개월령 송아지에 4주 동안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을 0.1%(T1)와 0.5%(T2)를 첨가급여하면서 송아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fergusonii, Shigella spp.가 동정되었다. T1에서는 그 외에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hirae, Bacillus stratosphericus, Bacillus pumilus가 동정되었고, T2에서는 감염성궤양증을 일으키는 Staphylococcus cohnii와 세균성 이질을 유발하는 Shigella sonnei가 동정되었다.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을 혼합급여한 송아지의 혈액 내 TBIL 및 ALP는 T2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p<0.1). T2의 HDLC가 높은 경향을 보여 부추의 급여가 지방대사 및 혈중 콜레스테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p<0.01). 혈중 NH3 농도는 대조구보다 T2가 낮았다(p<0.05). IL-4 유전자 발현은 T1과 T2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액 내 IgG 농도는 T2가 65.8 mg/dl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1). 송아지 분변에 대하여 NGS 분석 결과 전체 미생물 중 Firmicutes와 Bacteroidetes 문(Phylum)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Anaerocolumna cellulosilytica는 대조구에만 1.3%로 존재하였다. Ruminococcus bromii, Clostridium saudiense 및 Turicibacter sanguinis는 T1에만 있었고, Ruminococcus flavefaciens는 T2에만 존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젖소의 초유떼기 및 이유 송아지에 있어서 발효부추 및 효모추출물을 사료내 0.1%로 첨가하여 급여하면 송아지의 건강 증진을 위한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BSTRACT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Chinese chives with yeast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ota and blood parameters in Holstein calves Lee, Joong-Ja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hinese chives with yeast extract(CY) as a feed additive on the overall growth performance of Holstein calves. Microb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feces of diarrheic dairy calves and Hanwoo calves.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ly dominated species among all the isolates. Among the isolates, Shigella sonnei, Shigella dysenteriae, Escherichia marmotae and E. coli showed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including ampicillin, vancomycin, clindamycin and tetracyclin. The Chinese chives juice showed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glabrata, E. coli and Shigella flexneri. Fermented Chinese chives juice also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especially for Bacillus velezensis and Bacillus aryabhattai. First, the feeding trial for newborn Holstein calves with the supplementation of 0.1%(T1) and 0.5%(T2) CY was investigated for 8 week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 body weight of control and T1 group showed higher value than T2 group(p<0.05). During 5-8 weeks, the T2(30.46 kg) group showed lower feed intake compared to control(41.54 kg) and T1(46.67 kg) group(p<0.05). Considering the effect of CY supplementation on fecal microbiota, Enterococcus faecalis was mainly detected from the control group, while Enterococcus faecium, E. coli, and Lactobacillus johnsonii were identified from the treated groups. Coupling the study for the respective effects on blood parameters indicated that TG(Total glyceri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1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in 8th week(p<0.05). In subsequent experiments,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0.1%(T1) and 0.5%(T2) of CY in 3-month old Holstein claves was conducted for 4 week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fergusonii, and Shigella spp. were observed from the feces of all treatments. In addition, E. coli, Enterococcus hirae, Bacillus stratosphericus, and Bacillus pumilus were also detected in T1 group. On the other hand, Staphylococcus cohnii causing ulcerosis and Shigella sonnei causing bacterial heterogeneity, were mainly detected from T2 group. TBIL(Total bilirubin) and ALP(Alkaline phosphatase) were lower tendency in the samples of T2 group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p<0.1). Whereas, HDLC(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the blood showed increasing trend in T2 group, implying positive effects on the fat metabolism and blood cholesterol levels(p<0.01). The blood NH3 content showed lower value in T2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p<0.01). The pro-inflammation related IL-4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T1 and T2 groups(p<0.05). The blood IgG antibod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2 group(65.8 mg/dl)(p<0.1). For the fecal microbial community,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were observed as the dominated phyla(> 80% relative abundance) in all the treatments. On the basis of(> 1%) relative abundance with species level, Anaerocolumna cellulosilytica(1.3%) was only found in control groups. Ruminococcus bromii, Clostridium saudiense and Turicibacter sanguinis were only observed in T1 groups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was only observed in T2 group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0.1% supplementation of CY in feed may improve the health of Holstein calves.

      •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거동

        이중재 世明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거동에 대하여 보강판의 제원 및 재하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정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판에 직접 하중이 재하되어 국부거동이 발생하는 경우와 양쪽 리브위에 하중이 재하되어 전체적인 거동만 발생하는 경우와의 차이를 국부거동으로 정의하였으며, 폐단면 리브 안쪽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와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국부거동의 최대값을 중심으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ㄷ 형 리브와 사다리꼴형 리브를 갖는 여러 가지 보강판에 대하여 판과 리브를 모두 등방성 판요소로 모델링하여 해석한 뒤, 보강판의 국부거동에 대하여 제원 및 재하크기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부모멘트와 국부처짐 모두 보강판의 크기나 산정 위치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하중이 재하되는 패널의 비지지 길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강판의 국부거동은 각 제원과 재하크기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어, 국부거동은 각 제원과 재하크기별 비율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비율함수를 적용한 결과상당한 정확도로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모멘트와 국부처짐을 산정할 수 있었다. 해석 예제와 지지조건이 다른 경우, 재하크기가 다른 경우, 윤하중이 재하되는 경우를 적용한 결과, 해석 예제에 비하여 오차율의 증가가 크지 않아 제안한 비율함수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율 함수를 사용하면,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 모멘트와 국부처짐에 대하여 간편하게 상당한 정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effect of the loading size and the dimensions of stiffened plates on the local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with closed ribs. The local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were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loaded on the plate and the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loaded on two webs of ribs. For the parametric study on the maximum value of the local behavior, two types of rib positions were considered, stiffened plates loaded at the center of plates inside a closed rib and between two ribs. Stiffened plates with channel type or trapezoidal type ribs were modeled with isotropic plate elements and the sensitivity analysis of local behavior according to the loading sizes and the dimensions of stiffened plat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s that the maximum value of local behavior are constant regardless of the size and estimated position of stiffened plates that are largely affected by the unsupported length of the loading panel. The local displacement and the local moment of stiffened plates can be expressed as a ratio function for each dimensions of stiffened plates and loading size and the application of ratio functions to examples shows good results. The application results to various types of stiffened plates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loading size and wheel load shows that the increment of the error ratio is small compared to examples of this study. Therefore, the local displacement and the local moment of stiffened plates with closed ribs can easily be estimated by using ratio fun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 AMOS를 이용한 MANOVA, MANCOVA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이중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로 사회과학 연구 시 활용되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Alwin, Tessler(1974), Bagozzi(1977)를 시작으로 실험법 형태의 분석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이 가능하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Bagozzi, Yi(1989)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MANOVA, MANCOVA에 대한 분석방법과 함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MANOVA 검증방법 및 장점을 설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MANOVA는 요약변수 사용 시 기존 방법에 비해 정보의 손실이 적어 신뢰성이 높으며 특히 공분산 행렬의 동질성을 위배되어도 MANOVA 검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요인분석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잠재변수에 대한 다변량 (공)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LISREL을 이용한 Bagozzi, Yi(1989)의 연구는 행렬의 지식이 없는 초심자들이 실무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Bagozzi, Yi(1989)를 기초로 AMOS를 이용한 MANOVA, MANCOVA에 대해 설명하였다. AMOS는 GUI 방식으로 행렬의 지식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며 MANOVA 검정 시 ‘Estimate means and intercepts’ 옵션으로 쉽게 평균구조를 설정하여 검정 가능하다. MANOVA 모델 설계에 대하여 LISREL과 AMOS의 차이점은 자료 입력 형태가 다르고 모델 형태가 다르다는 것으로 이들 차이점을 서로 비교 설명하였다. 그러나 분석결과에서 MANOVA 검정 및 개체 간 효과, 모수추정치가 동일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

      • 웹아트에 있어 소통성의 의의와 사회적 역할

        이중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의 출현은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사고로의 동기를 제공하며 이는 예술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인터넷은 말 그대로 ‘상호간’(inter) ‘조직’(net)의 산물이다. 그리고 이런 멀티네트워크의 메커니즘은 미술부문, 특히 과거 통신미디어아트에서 괄약의 성과와 장르의 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기에 이른다. 인터넷과 이 후 웹으로의 진행으로 시작된 웹아트는, 우리에게 예술과 소통(communicat -on)이라는 영역의 관계와 여기에서 발생하는 논의를 검토하도록 요구하며 다시 한번 예술의 역할을 묻는다. 현재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예술가란 직업은 서양의 경우, 불과 이백여 년 전에 ‘만들어’졌다. 그때 비로소 왕권과 교권에서 벗어나 예술가의 의지로 창작할 수 있었다는 배경은, 계속해서 예술가의 지위와 그들이 생산하는 작품의 매매, 즉 예술가의 경제적 조건과 미술시장의 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고, 이런 토대가 예술 자체에 대한 의식의 전환을 요구해 온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백 년이 지난 지금 오히려 예술가와 작품은 철저히 분리되어 있고, 이는 예술가가 작품의 생산에만 책임을 구가하고 유통을 방기(放棄)하거나 또는 소외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본 논문은 이에 대응하는 웹아트의 소통성을 중심으로 생산과 유통의 측면에서 몇 가지 특질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예술가의 위상을 재고, 조망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웹아트의 ‘생산’에 있어 가장 중요한 특질은, 무엇보다 그 구현에있어 집단작업을 지향한다는 사실이다. 예술가 한 개인의 작업으로 단일한 생산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웹아트에서는 물감을 사서쓰는 것과는 다른 개념의 ‘미디엄’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예술과 그 가치에 대한 또 다른 사회적 설명을 필요로 하며, 공동생산은 사인-서명의 무게를 빼고 ‘작가’를 희석시키며 ‘오리지널리티’를 근본적으로 무산시켜 ‘소유’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는 시발점이 된다. ‘유통’은 기존 예술품 시장과 관련해서, 웹아트는 그 특성상 유통까지 책임져야 하며, 과거 예술에서 요구하는 고유성와 물리적 공간이 태생적으로 부재하기 때문에 자본 종속으로의 심화에서 본질적으로 제외된다. 벤야민에게서 언급되었듯이, 예술작품의 생산과 재생산의 방식, 그리고 수단의 변화가 미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작가와 수용자 모두에게 복합적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면, 작품의 복제수단의 등장이 예술의 본성전체를 변화시키고, 예술의 사회적 기능과 수용의 효과, 나아가 작가의 정치적 역할까지 변동시킨다고 하는 주장에 동의 할 수 있다. 나아가 웹아트에 내재된 유통성은 단순한 ‘복제’의 개념을 넘어 ‘원본’이란 개념자체의 수정을 불가피하게 만들며, 시장논리에 대치(對峙)되는 유통망을 스스로 마련하도록 요구한다. 이제 예술은, 최소한 웹아트에서는 ‘고객’이 ‘사용자’(user)로, ‘소유’가 ‘저장’(save)로 등치 될 것이며, 자본에 대한 웹아트의 이런 대항성와 전복성은 앞으로 계속해서 기존 예술과 예술품, 예술가와 미술시장과의 관계에 대해 재고의 여지를 제공할 것이다. 위의 논의가 유효하다면, 웹아트는 단순히 예술가의 위상을 조정하는데 멈추지 않고 그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할 것이다. 그러나 사실 이 역할은 예전부터 있어 왔던 것이다. 가능성은 희박했지만 필요에 의해 진행되어 왔던 예술가의 대(對)사회적 역할은 이제 웹아트를 계기로 또 다른 국면을 맞는다. 이백여 년 전에 한번 있었던 기회가 다시 찾아 온 것인지 모른다. Since its appearance, the Internet has become the turning point of all areas of our lives toward new ideas; art is not an exception. The Internet is literally a result of compounding 'inter' and 'net'. And, the mechanism of the multi-network has lead art, especially communication media art of the past to eye-opening developments and the possibility of the perfection of the genre. Web Art, born out of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raises a question about the role of artist, asking for us to review the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communication. At the moment, the notion of the professional artist of today has only a two hundred year history in the case of the West. It is generally known that, after gaining freedom from the court and the church, it became possible for the artists to create artworks at their own will and that this brought about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of the economic condition of artists -their social position- and the structure of art markets - the trade of their artworks. It is also true that this fundamental transformation has required us to change our concept of art itself. However, artists and artworks have been tot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until now, and I believe this resulted from the attitude of artists who feel responsible only for the production of artworks, and who are neglected and neglectful in the distribution structure. In this essay, I will investigate som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Web Art focusing on its communications aspects, by which I will reconsider the role of artist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study of this field will be suggested.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production of Web Art lies in that it is created on the basis of collaborative work. Though a work can be produced by an individual artist, Web Art, which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media'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ainting tools, becomes a starting point of overcoming 'ownership' of art by diluting the notion of 'artist' stripping them of sign-signature and destructing that of 'originality'. Unlike the conventional art market, web artists deal with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to distribution. Owing to the absence of originality and physicality, it is free from capital. As W. Benjamin has pointed out, on the assumption that change of the modes and the method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artworks has a cultural and aesthetic meaning and has an influence on both artists and consumers, we can arrive at an agreement that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on means can change the nature of art itself, the social function and consumption of art, and the political position of artists. Furthermore, as it is unavoidable to revise the notion of 'original', the communicativeness of web art requires us to find an alternative way of distribution to the market mechanism. I admit that my argument may seem abstract and vague, and has a danger of being considered a dogma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or social determinism, as relevant examples are hard to find. Also, my study of web art has limitations in terms that there are few instances of aesthetic investigations into the issue of original and reproduction, and that I did not examine its relation to non-art sites on the Internet. Nevertheless, at least in Web Art, 'customers' will be replaced by 'users', and 'possession' by 'save'. The resistance and subversion of Web Art against capital will continue to urge us to re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art, artworks, artists and art markets. As far as I am right in my argument, Web Art will not only cause us to reconsider the role of artists, but also endow them with a new position. However, this is not new. The role of artists in society has been challenged sometimes in history and often ended in vain. Yet we entered into a new phase with Web Art. A rare opportunity has come to us after a lapse of 200years.

      •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무리말뚝의 횡방향 설치간격에 따른 거동특성 연구

        이중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ile has been widely used in the engineering works and all kinds of foundation of a construction since early times. The construction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n industry and the load condition of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hat the appropriate study on the movements of pil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les and grounds under the complicated loading condition in order to design piles safely and economically for the various purpose of uses. The pile is the member that transfers the vertical load from the upper construction structure to the ground. Studies on the pile has been done since early times and they are usefully used for the design. However, if the structure supported by a pile receives lateral part earth pressure such as the earth pressure, wind pressure, wave activated force etc. the head part of the pile get the horizontal force and bending moment as well as the vertical force at the same time. In case of the old design approach for the pile, this kind of horizontal force was not reviewed in details. However, recently, the studies on the pile design with th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large-sized structures. As to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theory on the pile, the methods proposed by Brinch Hansen, Broms, Chang and Reese & Matlock etc. are used. Especially, when the lateral bearing capacity of the pile is evaluated, the strain wedge theory which considers the passive resistance of the ground effectively is being proceeded with the detailed research and it is applied for the practical design works. However, in Korea, studies 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 of the pile, group pile efficiency, the load sharing and subgrade reaction (p-y curve) are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the importance of the group piles with lateral bearing capacity and in case of the group piles, the various analysis on the behavior of the pile is not done in comparison with the single pile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modeling test. This study is theoretical study which propose the behavior characteristic of the pile against laterial bearing capacity of the group pil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iles and proposes the formula which consists of the functions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piles and the strength of the ground on the limit resistance force of the strain wedge theory by abbreviating stress bulb of the pile with polygon. The modeling test is conducted for this in the lab and the test result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formula. In order to do that, p-y curve drawing method is proposed by using bending moment of the pile which is measured from the test resul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n the group pile is also studied by conducting the group pile test by distance. As a result of the lab test, in case of the result on the single pile,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the test result and the existing formula and it appears that the difference is originated from some considerable factors - the existing formula is based on the limitation of the pile for application and the test result in the lab is based on the ground failure. As a result of the test on the group pile, bearing capacity of each pile in the group pile is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ingle pile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iles but it is not reduced as a constant proportion in the load - displacement relation, that means, the load-displacement behavior of the group pile is different from the load and displacement of the single pile. And there is a range which shows same behavior with the single pile in case of over specific distance between the piles, that means, interaction effect between piles in the group pile is closely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iles and the loading to the pile. 말뚝은 예로부터 토목, 건축의 각종 구조물 기초에 널리 사용되었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구조물의 형태가 점차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하중작용 방향도 복잡해지고 있다. 다양해진 사용목적에 맞는 안전한 말뚝을 경제적으로 설계하려면, 복합적인 하중조건하에서의 말뚝거동 및 말뚝과 지반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말뚝은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연직하중을 받아 지반에 전달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말뚝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연구되어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말뚝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구조물이 토압, 풍압, 파력 등의 측방하중 등을 받게 되면 말뚝머리에는 연직력 뿐만 아니라 수평력과 휨모멘트도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기존의 말뚝의 설계에서는 이러한 수평력에 대해서는 자세한 검토가 행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구조물의 대형화로 인하여 수평력을 받는 말뚝의 설계에 관한 연구가 국내 국외에서 최근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말뚝의 횡방향 저항지지력 이론은 Brinch Hansen, Broms, Chang 및 Reese and Matlock 등의 방법이 인정되고 또한 활용되고 있다. 특별히 말뚝의 횡방향 저항력 산정 시 지반의 수동 저항력을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변형률 쐐기이론은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며, 설계 등의 실무에서는 기초적인 단계에서 적용되고 있다. 현장에서 사용되는 말뚝의 대부분은 무리말뚝형태로 시공배치 되어 횡하중까지 받는 형식이나 국내에서는 횡하중을 받는 무리말뚝의 중요성에 비하여 거동특성, 무리말뚝 효율 및 하중분담 그리고 지반반력(p-y 곡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며 또한, 무리말뚝의 경우에는 모형실험의 어려움으로 그 거동분석이 단일말뚝에 비하여 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리말뚝의 간격별 횡방향 하중에 대한 거동특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론적인 연구로는 횡하중을 받는 말뚝의 응력구근을 다각형으로 간략화하여 하중작용 단계별로 군말뚝의 간섭정도를 판단하는 변형률 쐐기이론의 극한 저항력에 대하여 말뚝의 폭과 지반의 강도만의 함수로 이루어진 식을 제안 하였다. 실험적인 연구로는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존의 제 안식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결과에서 측정된 말뚝의 휨모멘트를 이용 하여 심도별 p-y곡선 작도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말뚝의 수평간격별 무리말뚝 실험을 수행하여 상호 간섭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내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단일말뚝의 경우 기존의 제안식과 실험결과와는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이는 기존 제안식들은 말뚝 편심으로 인해 발생되는 좌굴의 영향을 고려하여 최대 수평변위를 제약함으로서 연직하중에 대한 사용성에 문제가 없도록 고려하였다는 점과 실내실험에서는 말뚝 자체의 강성이 견디는 범위내에서 지반의 파괴 시까지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발생 한다고 판단된다. 무리말뚝의 실험 결과 말뚝 상호간의 간섭효과에 의해 각각의 말뚝지지력은 단일말뚝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하중과 변위 관계가 일정 상수의 비율로 줄어 들지는 않았으며, 이는 군말뚝의 하중과 변위거동은 단일말뚝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작은 하중단계로서 변위가 말뚝직경보다 작은 경우 일정 수평간격이상에서는 단일말뚝과 같은 거동을 나타내는 구간이 존재하였는 바, 이를 통해 무리말뚝에서 말뚝 상호간 간섭효과는 말뚝의 수평설치 간격과 더불어 재하된 하중의 크기와 연관이 있음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