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MOS를 이용한 MANOVA, MANCOVA의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이중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로 사회과학 연구 시 활용되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Alwin, Tessler(1974), Bagozzi(1977)를 시작으로 실험법 형태의 분석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이 가능하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Bagozzi, Yi(1989)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MANOVA, MANCOVA에 대한 분석방법과 함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MANOVA 검증방법 및 장점을 설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MANOVA는 요약변수 사용 시 기존 방법에 비해 정보의 손실이 적어 신뢰성이 높으며 특히 공분산 행렬의 동질성을 위배되어도 MANOVA 검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요인분석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잠재변수에 대한 다변량 (공)분산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LISREL을 이용한 Bagozzi, Yi(1989)의 연구는 행렬의 지식이 없는 초심자들이 실무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Bagozzi, Yi(1989)를 기초로 AMOS를 이용한 MANOVA, MANCOVA에 대해 설명하였다. AMOS는 GUI 방식으로 행렬의 지식이 없어도 사용 가능하며 MANOVA 검정 시 ‘Estimate means and intercepts’ 옵션으로 쉽게 평균구조를 설정하여 검정 가능하다. MANOVA 모델 설계에 대하여 LISREL과 AMOS의 차이점은 자료 입력 형태가 다르고 모델 형태가 다르다는 것으로 이들 차이점을 서로 비교 설명하였다. 그러나 분석결과에서 MANOVA 검정 및 개체 간 효과, 모수추정치가 동일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

      • Case study를 통한 국내 하수처리수 재이용 경제성 평가

        이중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자원 장기 종합계획에 따르면 가용수자원은 한계에 달하여 2006년부터 연간 1억톤, 2011년부터 연간 18억톤의 물이 부족하게 될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장래 예상되는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하여 수자원 관리 정책을 수요관리 정책으로 전환시키고, 이런 정책의 일환으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절약을 위한 절수기기 보급, 중수도 설치 확대, 절수형 수도요금체계 등을 도입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2005년 3월 ‘하수처리수 재이용 촉진 시범사업계획’을 수립, 관계 전문가로 평가단을 구성해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청소, 조경, 유지, 친수, 농업, 공업 등 6개 용도별 하수 처리수 재이용 수질권고기준을 설정했다.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율은 2000년 2.9%, 2003년 5.4%, 2007년 9.9% 등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7년에는 연간 65억 톤의 하수처리량 중 6억4천만 톤이 재이용(9.9%)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 재이용 촉진 시범사업'으로 운영하는 O하수처리장의 사례를 통해 사회적 측면과 공급자 측면으로 구분하여 경제성 분석을 하였다. (1) 사회적 측면에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생산비용은 622.52 원/톤으로 분석되었고 재이용수를 공급시 O시 일반용 평균수도요금 864.5 원/톤과 비교하여 241.98 원/톤이 절감되고 비용․편익 분석결과 약 11년차부터 편익이 발생한다. (2) 공급자 측면에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생산비용은 545.91 원/톤으로 분석되었고 O시 하수재이용수 요금은 900 원/톤과 비교하여 354.09 원/톤이 이익이 발생하고 비용․편익 분석결과 약 3년차부터 편익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재이용수를 사용하는 경우 사회적 측면과 공급자 측면 모두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수자원 부족 해소 및 환경보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수도요금은 누진요금제도로 사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요금이 부과된다. 따라서 전용공업용수가 미 보급되고 일반용(영업용)수도요금이 적용되는 공단 지역에 우선적으로 재이용수 사용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 소도읍의 유형별·지역별 인구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이중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도읍의 유형별‧지역별 인구변화 추이를 시계열적으로 살펴보고 읍이 가지고 있는 정주여건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소도읍 육성정책을 수립하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본연구는 크게 나누어 소도읍의 개념과 기능‧역할, 인구이동등과 관련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전반부와 소도읍의 인구변화 추이를 유형별‧지역별로 분석하고 정주여건 지표와 인구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후반부로 구성하였으며 소도읍의 인구변화를 수도권‧대도시권‧중소도시권‧독자생활권 등 유형별로 나누고 광역자치단체별로 구분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상하수도‧도로 등 도시기반시설, 사업체 및 의료시설 등 정주여건 지표와 인구변화의 상관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현재 전국에는 194개 邑지역이 소도읍으로 지정‧고시되어 있으며 이들 소도읍에는 1,700명(강원도 영월군 상동읍)에서 48,967명(경기도 화성시 태안읍)까지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소도읍의 평균 거주인구는 17,000명 정도로 광역시와 경기‧영남‧충청지역의 경우에는 소도읍의 평균거주인구 17,344명을 상회하거나 근접하는 반면 호남(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과 강원지역의 경우 평균규모의 80%에서 62% 수준에 그치고 있다.소도읍의 전체인구는 1990년 3,616천명에서 2000년 3,365천명으로 감소하여 소도읍의 쇠퇴내지 정체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지만 지리적으로 대도시권 근교에 위치하여 모도시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거나 수도권 주변에 있어 수도권의 개발수요가 파급되는 지역의 소도읍은 전반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기반이 발달된 중소도시의 영향권에 있는 소도읍과 독자적 생활권역에서 나름대로 소중심권역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소도읍(군청소재지읍 등)의 인구는 안정적 유지를 보이고 있는 반면 농림수산업‧광업 등 1차산업 의존도가 높은 소도읍은 전반적으로 쇠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소도읍의 인구변화에 따라 인구급증형, 증가형, 급감형으로 구분하여 정주여건을 비교하는 분산‧분석 실시결과 인구수, 공무원 1인당 인구수, 하수도 처리인구, 도로율, 아파트수, 단독주택수, 사업체수, 의료시설수, 시중은행수, 도서관좌석수, 유치원수, 고등학교수가 집단간 9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주여건과 인구변화 특성 분석을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결과 도로율, 아파트수, 고용인원수, 사업체수, 도서관좌석수 등에서 회귀계수가 양(+)으로 나타났다.연구결과 전반적인 소도읍지역에서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소도읍이 입지해 있는 주변지역의 발전수준과 소도읍의 인구가 상호 연관되고 있고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정도와 사업체수 과소여부 등이 소도읍의 인구증가등과 연관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결론적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고도 압축적 산업화시대에 집중되기 시작한 도시 확산이 종착단계에 진입하면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소도읍이 새로운 정주체계의 대안으로 가능성을 보이고 있고 소도읍이 배후 농어촌의 거점지역으로 역할을 하기 위하여는 교육‧문화시설의 질적 수준향상과 도시적 생활편익 기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앞으로 정보통신의 발달, 교통체계의 신속화 등 외부여건 변화에 소도읍의 역할과 기능이 어떻게 전환되어야 하는지 한계에 도달한 도시과밀화 속에서 소도읍이 정주체계에서 갖는 위상 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더불어 이러한 연구진행을 위해 소도읍에 대한 인구변화와 함께 정주실태 등에 대한 체계적 통계관리와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ypical and regional trends of population changes in small towns with the time series analysis and thereby,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trends or characteristics and settlement conditions, in the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conducive to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small town promotion policies. For this purpose, preceding studies were reviewed to examine concept, functions, roles and population changes of small towns, and then, the trend of population changes in the small town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types and as per region, and thereby, correlation between settlement condition indices and population was analyzed. To this end, the population changes in the small towns were analyzed by autonomous province by dividing the small towns into capital area, metropolitan areas, small & medium cities and independent living spheres.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population changes and such settlement condition indices as tap water system, sewage system, roads and other urban infrastructures, industrial activities and medical facilities. Currently, 194 ''ups'' (towns) are designated as small towns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population of these towns ranges from 1,700 (Sangdong-up, Youngwol-gun, Kangwon-do) to 48,967 (Taean-up, Hwasung-si, Kyonggi-do). The average population of small towns amounts to about 17,000. While each of the small towns in Kyonggi, Youngnam and Chungchong regions have about 17,344 residents, the population of those in Honam (Chollanam-do and Chollabuk-do) and Kangwon-do accounts for 62~80% of the former towns'' average population. The entire population of small towns decreased from 3,616 thousands in 1990 to 3,365 thousands in 2000, reflecting the decline or stagnation of small towns, but those small towns located geographically near metropolitan cities show increasing population, because they can complement their mother cities or they are subject to the spreading effects of capital area development boom. On the other hand, while the small towns within the sphere of industrial small & medium cities or those with independent functions (towns harboring the county office area) maintain a stable population, those small towns relying highly on agriculture, fishery or mining seem to decline in general. As a result of variance-analyzing the settlement conditions by dividing the small towns into rapidly increasing population, increasing population and rapidly decreasing population,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of small tow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95% depending on the following variables: number of population, number of per capita public officials, number of population covered by the sewage system, road rate, number of apartment houses, number of detached houses, number of businesses, number of medical facilities, number of banks, number of library seats, number of kindergartens, and number of high schools.On the other hand, as a consequenc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correlation between settlement conditions and population changes, it was found that population changes were affected positively by such variables as road rate, number of apartment houses,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businesses and number of library seats. As discussed above, the population in the small towns was decreasing in general, but it was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ir surrounding areas as well as urban infrastructures and local businesses. In conclusion, as the urban expansion is being ended up since nation''s population began to move into cities and their nearby regions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in 1960''s and 1970''s, the small towns which have been alienated so far are being highlighted as alternative settlements. In order to play a role of base for their background or rural areas, the small towns are requested to improve their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and expand their urban amenities. In this age of crowded metropolitan cities,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tinue to research into the status of small towns in a specific and in-depth way within nation''s settlement system, and particularly into their roles and functions in response to changing external conditions such as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raffic system. Lastly, it is hoped that as the population of small towns continue to vary, future studies will review how to manage the settlement conditions through some systematic statistical management and survey.

      •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거동

        이중재 世明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거동에 대하여 보강판의 제원 및 재하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정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판에 직접 하중이 재하되어 국부거동이 발생하는 경우와 양쪽 리브위에 하중이 재하되어 전체적인 거동만 발생하는 경우와의 차이를 국부거동으로 정의하였으며, 폐단면 리브 안쪽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와 리브와 리브 사이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국부거동의 최대값을 중심으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ㄷ 형 리브와 사다리꼴형 리브를 갖는 여러 가지 보강판에 대하여 판과 리브를 모두 등방성 판요소로 모델링하여 해석한 뒤, 보강판의 국부거동에 대하여 제원 및 재하크기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부모멘트와 국부처짐 모두 보강판의 크기나 산정 위치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하중이 재하되는 패널의 비지지 길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강판의 국부거동은 각 제원과 재하크기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어, 국부거동은 각 제원과 재하크기별 비율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비율함수를 적용한 결과상당한 정확도로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모멘트와 국부처짐을 산정할 수 있었다. 해석 예제와 지지조건이 다른 경우, 재하크기가 다른 경우, 윤하중이 재하되는 경우를 적용한 결과, 해석 예제에 비하여 오차율의 증가가 크지 않아 제안한 비율함수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율 함수를 사용하면, 폐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국부 모멘트와 국부처짐에 대하여 간편하게 상당한 정확도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effect of the loading size and the dimensions of stiffened plates on the local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with closed ribs. The local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were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loaded on the plate and the behavior of stiffened plates loaded on two webs of ribs. For the parametric study on the maximum value of the local behavior, two types of rib positions were considered, stiffened plates loaded at the center of plates inside a closed rib and between two ribs. Stiffened plates with channel type or trapezoidal type ribs were modeled with isotropic plate elements and the sensitivity analysis of local behavior according to the loading sizes and the dimensions of stiffened plat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s that the maximum value of local behavior are constant regardless of the size and estimated position of stiffened plates that are largely affected by the unsupported length of the loading panel. The local displacement and the local moment of stiffened plates can be expressed as a ratio function for each dimensions of stiffened plates and loading size and the application of ratio functions to examples shows good results. The application results to various types of stiffened plates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loading size and wheel load shows that the increment of the error ratio is small compared to examples of this study. Therefore, the local displacement and the local moment of stiffened plates with closed ribs can easily be estimated by using ratio functions proposed in this study.

      • 필라테스 참여자의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및 운동만족의 구조적 관계

        이중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we are free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like worry, excessive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we are more able to live our lives to the fullest. That's why the psychological problems can contribute physical problems, especially, stress and anxiety can also reduce the strength of the immune system. Either way, recently, many people all over the world believe that doing pilates as one of "Slow exercise programs" will make a natural condition and healthy bod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emo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exercise satisfaction for participants in pilates. The subjects(N=200) who participate in pilates as pilates studios membership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200 questionnaire surveys were given, 198 surveys among them were returned and us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M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process data, SPSS 21.0 was u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at .05. As the results, Firstly, The study found that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re affected different level by following exercise emo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exercise satisfaction. Especially, exercise emotion showed that women participants are more higher level than men, whereas subjective well-being showed same high level both of all. Secondly, Exercise emo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exercise satisfaction in their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showe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Thirdly, Exercise emo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xercise satisfaction, and also, exercise emo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Lastly,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xercise satisfaction, and also, subjective well-being and exercis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본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의 일환으로서 통계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필라테스 참여가 세 요인들과의 구조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198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필라테스 참여를 통한 각 요인들의 주조관계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운동정서 수준이 높고 남성은 여성에 비해 운동만족 수준이 높으며, 심리적 웰빙은 남녀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은 연령층이 높을수록 증가하고 운동만족과 연령층에서는 유의한 차이없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참여 경력이 오래될수록 운동정서와 운동만족의 수준은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이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참여횟수는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및 운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 없이 모두 높은 수준을 나타났다. 둘째, 운동정서는 심리적 웰빙과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으며, 운동정서는 심리적 웰빙과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라테스 참여자의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은 상호 영향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운동정서는 운동만족과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으며,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은 상호 영향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웰빙은 운동만족과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으며, 심리적 웰빙과 운동만족은 상호 영향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및 운동만족은 구조적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령층과 경력에서 20대의 영향력이 낮은 결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및 운동만족의 관계는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 필라테스 참여자의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운동만족에 대한 구조관계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폭넓은 대상을 배경으로 참여자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빈도, 참여에 대한 본질적 특성 탐구가 함께 한다면 연구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의 첨가급여가 홀스타인 송아지의 성장과 장내균총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이중재 건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의 첨가급여가 홀스타인 송아지의 성장과 장내균총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농가에서 송아지를 건강하게 육성시키고자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을 혼합한 사료첨가제의 급여효과를 구명하였다. 송아지의 설사 분변에서 미생물을 분리·동정하였고, 그 중 Escherichia coli가 가장 많았다. Shigella sonnei, Shigella dysenteriae, Escherichia marmotae 및 Escherichia coli는 ampicillin, vancomycin, clindamycin 및 tetracyclin 등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부추즙은 Candida glabrata, Escherichia coli, Shigella flexneri균에 대해 특히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발효시킨 부추는 Bacillus velezensis와 Bacillus aryabhattai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생후 1∼2주령의 초유떼기 송아지를 대상으로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CY: Fermented Chinese chives-Yeast extracts) 첨가제를 0.1%(T1)와 0.5%(T2)를 첨가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총 실험기간 동안 대조구와 T1이 T2보다 높은 체중을 보였다(p<0.05). 사료섭취량은 5∼8주에 T2(30.46 kg)가 대조구(41.54 kg) 및 T1(46.67 kg)보다 낮았다(p<0.05). 대조구의 분변에서 Enterococcus faecalis가 동정되었으며, T1과 T2에서는 Enterococcus faecium,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johnsonii가 동정되었다. 8주차 혈액 내의 total glyceride는 T1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이유 후 3개월령 송아지에 4주 동안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을 0.1%(T1)와 0.5%(T2)를 첨가급여하면서 송아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fergusonii, Shigella spp.가 동정되었다. T1에서는 그 외에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hirae, Bacillus stratosphericus, Bacillus pumilus가 동정되었고, T2에서는 감염성궤양증을 일으키는 Staphylococcus cohnii와 세균성 이질을 유발하는 Shigella sonnei가 동정되었다. 발효부추와 효모추출물을 혼합급여한 송아지의 혈액 내 TBIL 및 ALP는 T2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p<0.1). T2의 HDLC가 높은 경향을 보여 부추의 급여가 지방대사 및 혈중 콜레스테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p<0.01). 혈중 NH3 농도는 대조구보다 T2가 낮았다(p<0.05). IL-4 유전자 발현은 T1과 T2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액 내 IgG 농도는 T2가 65.8 mg/dl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p<0.1). 송아지 분변에 대하여 NGS 분석 결과 전체 미생물 중 Firmicutes와 Bacteroidetes 문(Phylum)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Anaerocolumna cellulosilytica는 대조구에만 1.3%로 존재하였다. Ruminococcus bromii, Clostridium saudiense 및 Turicibacter sanguinis는 T1에만 있었고, Ruminococcus flavefaciens는 T2에만 존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젖소의 초유떼기 및 이유 송아지에 있어서 발효부추 및 효모추출물을 사료내 0.1%로 첨가하여 급여하면 송아지의 건강 증진을 위한 사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BSTRACT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Chinese chives with yeast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biota and blood parameters in Holstein calves Lee, Joong-Ja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Chinese chives with yeast extract(CY) as a feed additive on the overall growth performance of Holstein calves. Microb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feces of diarrheic dairy calves and Hanwoo calves. Escherichia coli was the mostly dominated species among all the isolates. Among the isolates, Shigella sonnei, Shigella dysenteriae, Escherichia marmotae and E. coli showed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including ampicillin, vancomycin, clindamycin and tetracyclin. The Chinese chives juice showed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glabrata, E. coli and Shigella flexneri. Fermented Chinese chives juice also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especially for Bacillus velezensis and Bacillus aryabhattai. First, the feeding trial for newborn Holstein calves with the supplementation of 0.1%(T1) and 0.5%(T2) CY was investigated for 8 weeks. During the whole experiment period, the body weight of control and T1 group showed higher value than T2 group(p<0.05). During 5-8 weeks, the T2(30.46 kg) group showed lower feed intake compared to control(41.54 kg) and T1(46.67 kg) group(p<0.05). Considering the effect of CY supplementation on fecal microbiota, Enterococcus faecalis was mainly detected from the control group, while Enterococcus faecium, E. coli, and Lactobacillus johnsonii were identified from the treated groups. Coupling the study for the respective effects on blood parameters indicated that TG(Total glycerid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1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in 8th week(p<0.05). In subsequent experiments,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0.1%(T1) and 0.5%(T2) of CY in 3-month old Holstein claves was conducted for 4 week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fergusonii, and Shigella spp. were observed from the feces of all treatments. In addition, E. coli, Enterococcus hirae, Bacillus stratosphericus, and Bacillus pumilus were also detected in T1 group. On the other hand, Staphylococcus cohnii causing ulcerosis and Shigella sonnei causing bacterial heterogeneity, were mainly detected from T2 group. TBIL(Total bilirubin) and ALP(Alkaline phosphatase) were lower tendency in the samples of T2 group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p<0.1). Whereas, HDLC(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the blood showed increasing trend in T2 group, implying positive effects on the fat metabolism and blood cholesterol levels(p<0.01). The blood NH3 content showed lower value in T2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p<0.01). The pro-inflammation related IL-4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T1 and T2 groups(p<0.05). The blood IgG antibod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2 group(65.8 mg/dl)(p<0.1). For the fecal microbial community,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were observed as the dominated phyla(> 80% relative abundance) in all the treatments. On the basis of(> 1%) relative abundance with species level, Anaerocolumna cellulosilytica(1.3%) was only found in control groups. Ruminococcus bromii, Clostridium saudiense and Turicibacter sanguinis were only observed in T1 groups and Ruminococcus flavefaciens was only observed in T2 group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0.1% supplementation of CY in feed may improve the health of Holstein ca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