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1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 분석

        이준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교육과정 생명과학1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과학 실천을 이용하여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가를 분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연구회(NRC)의 차세대 과학 기준(NGSS)에서 제시한 8가지 과학 실천을 분석틀로 삼아 생명과학1에 수록된 탐구 활동을 조사했다. 연구대상은 5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총 528개의 탐구 활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탐구 활동에 포함되어있는 전체 과학 실천의 수는 1076개였다. 연구 결과, 2015개정교육과정 생명과학1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포함 되어 있는 과학 실천은 과학 실천 6으로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다. 그 뒤로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 순으로 많이 포함 되어 있었다. 반면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가 포함된 탐구 활동의 비율은 낮았다. 탐구 활동에 얼마나 많은 과학 실천 요소가 포함 되었는가 확인 한 결과 평균 2.04개로 적은 수의 실천만이 포함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과학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를 확인 한 결과 과학 실천 당 1~3개의 적은 수의 세부 성취 목표만을 포함 하고 있었다. 또한 탐구 활동 하나당 포함된 전체 세부 성취 목표를 확인 한 결과 대부분 1~5개의 적은 수를 포함 하고 있으며, 11개 이상의 많은 수를 포함한 탐구 활동은 거의 없었다. 이는 2015 개정교육과정 생명과학1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이 편향적으로 실려 있으며, 하나의 탐구 활동에 다양한 과학 실천과 그 세부 성취 목표를 포함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품질속성별 키워드의 가중치 조정을 통한 비기능 요구사항 자동 분류 개선 방안

        이준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초기에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초점을 맞추어야 할 품질속성의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주요 품질 속성을 결정하기 위한 첫 단계는 각 품질 속성에 따라 비기능 요구사항을 분류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초기에는 요구사항이 문법적으로 완전하지 않고, 비기능 요구사항이 여러 요구사항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많은 요구사항에서 직접 비기능 요구사항을 분류해 내는 일은 비용이 많이 드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검색에서의 키워드 추출기법을 이용하여 각 품질 속성을 대표할 수 있는 가중치가 부여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각 품질 속성 카테고리에 맞는 비기능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10개의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교차실험 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한 실험결과 전체적으로 22.32%의 정확도와 88.14%의 재현율을 보였는데, 이는 기존의 자동분류방법과 비교하여, 비슷한 정확도에서 약 8%정도의 정확도 향상과 14%의 재현율 향상의 기여를 하였다. For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decision in the early phase, deciding the most important quality attribute is important. The first step to decide important quality attribute is to classify non-functional requirements into quality attribute categories. However, which can be time-consuming task since requirements in the early phase are grammatically no perfect and non-functional requirements are scattered with a number of functional requirements.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being able to extract keywords representing each quality attribute, and classify non-functional requirements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automatically. Furthermore, for evaluation, we gather requirements specification used in 10 projects and validate the result based on cross validation method. As a result, the method, we propose, produces 22.32% precision and 88.14% recall, which contribute to increase 8% precision and 14% recall compared to previous work.

      • 전주도금 방법으로 제조한 인바에서 어닐링 현상

        이준하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용 Fine Metal Mask(FMM)은 증착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열팽창계수가 0에 가까운 압연 인바(Invar)를 재료로 사용한다. 차세대 고해상도 (UHD급)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FMM의 두께가 10㎛ 이하로 얇아져야 하기 때문에, 보텀-업 방식인 전주도금 방법으로 인바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기술인 연속도금방식의 일부를 모사한 배치형 전주도금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공정조건 제어를 통해서 100 x 100 ㎟ 영역에서 균일한 조성(Fe-33, 36, 42wt%Ni)을 가지는 전주도금 Fe-Ni 합금을 제조하였다. 전주도금 Fe-Ni 합금은 조성에 따라서 각각 36wt%Ni이하에서 α-BCC상, 41wt%Ni이상에서 γ-FCC상, 36~41wt%Ni 범위에서 α-BCC + γ-FCC상으로 존재한다. 제조한 Fe-33, 36, 42wt%Ni 합금에서 미세조직 변화와 상변태가 일어 날 수 있도록 450-530℃ 온도범위에서 열기계적(thermomechanical) 어닐링을 하였다. 열처리 전과 후의 EDS, EBSD, XRD, TMA 측정 결과를 통해 열처리 온도에 따라 변하는 열팽창계수와 상, 미세조직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Invar, whos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tion (CTE) approaches zero,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fine metal mask (FMM) in the evaporating process of producing red–green–blue (RGB)-typ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because the hole size of the FMM should not change during the process. The electroformation of Invar has recently been a hot topic in RGB-type OLED display industries. In the current work, Fe-33, 36, 42 wt.% Ni alloy foils were electroformed by employing batch-type electrodeposition simulating the drum-type cathode for a continuous electroforming equipment. In the as-deposited state, these Invar alloys revealed different distributions of phases depending on the alloy composition as follows. Fe-33 wt.% Ni consisted of the single α phase of BCC structure and Fe-42 wt.% Ni possessed the single γ phase of the FCC structure. In Fe-36wt.% Ni, the α and γ phases coexisted. These thin sheets were annealed under a mechanical load in the range of between 450 and 530 ℃ to investigate the microstructure evolution in terms of phase transformation and its possible effect on CTE values.

      • 브랜드가 아파트 가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이준하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브랜드는 이미 아파트 구매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도입된 아파트명의 브랜드화는, 부동산 가격급등과 함께 거의 모든 공급업체로 확산되어 ‘브랜드 전쟁’이라고 일컬어질 만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강력한 브랜드 마케팅은 소비자들의 구매행동과 주택의 가격결정요인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본 연구는 신규 아파트 시장에서 브랜드가 실제로 가격형성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또 그 영향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브랜드 이외의 변수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공간적 범위를 입지여건, 단지특성 등 주요 주택가격결정 요소가 거의 평준화되어있는 택지개발지구로 한정하고,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를 포함한 다수의 브랜드가 동시에 공급하여 단기간 내에 분양이 완료된 지역을 선별하여 시차에 의한 영향도 최소화 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택지개발지구의 공급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2002년 이후로 하여, 최종적으로 죽전지구, 호평지구, 동천지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2003년부터 2007년까지의 가격변화율과 각 년도별 가격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아파트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요소들을 종합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거쳐 설명력이 높은 변수를 추출하고, 브랜드 선호도를 지수화하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헤도닉 모형을 통해 아파트 가격변화에 대한 브랜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간의 가격변화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헤도닉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브랜드는 가격변화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가 그렇지 않은 아파트에 비해 가격상승률도 높을 것이라는 통념과 선행연구 결과에 반하는 결과여서 주목된다. 다음으로, 3.3㎡당 가격을 종속변수로 하여 2003년부터 5년간 매년도별 분석을 하였다. 2004년을 전후하여 대상지역의 아파트들이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그 때를 즈음해서 서울 및 수도권의 아파트가격이 급등세를 나타내기 시작한 시기라는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각년도별 분석 결과, 2003년, 2004년, 2005년 3년은 브랜드가 아파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6년과 2007년은 브랜드가 미치는 영향이 무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 결과는 2005년을 중심으로 분양권 거래기간과 실물거래기간으로 나누어 해석이 가능하다. 브랜드 효과는 입주초기를 포함한 분양권 거래기간에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가 정보수집비용의 감소, 입주보증 등 각종 위험회피, 지역대표상품으로서의 거래용이와 같은 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주변의 편의시설과 기반시설이 안정되고 실물거래가 일어나는 시점이 되면, 브랜드와 같이 추상적인 요소보다는 전용면적, 향, 층수, 조망권과 같은 전통적이고 실질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면서 브랜드 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브랜드 중심의 단지별 브랜드 프리미엄과 지역지구 전체의 지역 프리미엄과의 관계에서도 이해할 수 있다. 입주가 완료되고 택지개발지구 개발이 완성되어 지역전체의 평가가 형성되면, 지역 내의 브랜드별 가격차이는 감소하고 지역 가치에 대한 평가에 따라 지역전체가 연동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강남․분당’과 같은 지역 브랜드 즉, ‘죽전․동천․호평’이라는 지역 가치가 각 단지별 브랜드 가치에 우선하여 그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다. 소비자가 브랜드를 보고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의미있는 행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 측면에서, 브랜드 영향력이 감소했다는 것은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들이 이미지의 차이만큼 실물시장에서 제품가치의 차이를 인정받지 못했다고 하겠다.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질과 서비스 면에서 보다 차별화된 노력이 필요하다는 평가와 더불어, 브랜드 도입 이후 전체적 품질이 상향평준화 되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가능하다. 아파트의 브랜드화를 촉발시켰던 분양가 자율화는, 브랜드 도입 뿐 아니라 다양한 마케팅, 그리고 주택산업의 질적 양적인 발전과 차별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제 분양가 자율화가 폐지되고,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앞으로 전개되는 시장과 브랜드의 역할 변화에 대해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Brand image has emerged one of the major factors in apartment purchasing decision making process. Brand marketing in residential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introduced since the year around 2000, and spread quickly over the market with sharp increase in apartment price. Such a powerful marketing power gave an impact on the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 and factors in determining pri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d the brand effect on the apartment prices with five year time series data of newly built apartment since 2003 on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districts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s. With the Hedonic price function, the brand factor was estimated by annually and five year fluctuation rate. With a five year fluctuation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brand had negative effect on price increase rate. The result was interesting because it was contrary to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socially accepted idea. With annual price data for five years since 2003, brand was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factor for the first three years - 2003, 2004, 2005. But in the last two years, it was changed into insignificant one. The year 2005 was the turing point in this study. It was the year when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districts construction was completed, and the market changed to trade the real apartment from move-in rights. The research result show that brand factor exercised strong positive influences over the prices during building and early move-in stages, but its impact had decreased or turned into insignificant factor since commencement and settle-down stage. In this study, brand factor shows that it has significant effect in the virtual market where apartment purchasing rights are traded, but in the real market where apartment itself is traded, more practical and conventional factors over brand stand out still in significant elements among price determinants. On the other side, before the site development district was completed, power-brand-apartment price moved strongly relaitive to commom brand, and district name value didn't work. But once it was completed and its potential value was revealed, district's name value overwhelmed each brand and reduced price gap within the district. All apartment prices within the district had a tendancy to move in the same way according to the district value.

      • '몰 모더니티(mall modernity)'에서 도시의 공간 실천과 주체화 연구 : 백화점(department store)에서 어번 엔터테인먼트 센터(urban entertainment center)까지 소비의 연대기

        이준하 성공회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tarfield is a brand name of a shopping mall invested jointly by Shinsegae Property and global mall development company Taverman Asia. Unlike other commercial facilities, Starfield has a variety of amusement facilities such as lounges, spas, aquariums, and virtual experience facilities, as well as an overwhelmingly large shopping mall. and Starfield is aiming at a stay-type space and proposes a new lifestyle to consumers. Since the 2000s, large-scale malls, such as the Lifestyle Center and the Urban Entertainment Center, which are located in the fringes of megacities, have been mixed with shopping,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re different from modern spaces. Consumer culture and consumption space are complementary in the phenomenon, and Starfield is a ‘consumer culture-space of now here' that process of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capitalism. Based on this assumption, Starfield is under investigation from the angle of place and subjectification. The aspect of the modern capitalist consumer culture-space that started from the department store is somewhat similar to that of the region and nation. Department stores that have emerged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lead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city center, and when the market shifts to suburbs due to population saturation, various commercial facilities have appeared. As the modern capitalism era develops, a high level of consumer's reason and fragmented hobbies appear in the form of lifestyle. The urban entertainment center and lifestyle center are the dominant forms of modern capitalistic consumer culture-space. Established in Hanam, a satelite city next to Seoul Metropolitan City in 2016 by the Shinsegae Group, which has the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from the early modern era, ‘Starfield Hanam’ is a commercial facility where shopping, as well as food, entertainment and cultural experiences are made possible. Starfield appears to be a ‘placelessness’ concept by Edward Relph and a ‘non-place’ by Marc Augé, a typical urban entertainment center in the modern city. Relph argues that the authentic ‘Place’ where human and natural order are connected has been lost due to urbanization, and the ‘placelessness’, which is aimed at the other instead of meaning, has occupied the place. The placelessness is a absurd and artificial place that can not find the hidden meaning of the world and the unrecoverable stage of losing a ‘Place'. Augé discuss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ities and distinguishes between ‘an anthropological place’ and a supermodern lonely ‘non-place'. However, Augé does not unilaterally condemn the new place of the modern city. The non-place depicted by Augé is the place where the mediation by text or images is centered rather than human being, such as the airport, the large shopping mall, the multiplex movie theater, the highway, etc. The human being who is granted the anonymous contractual identity here. By combining the words of Relph and Augé, It is a form of ‘one-stop complex commercial facility’ that reflects the desire of urban people to meet labor, education, leisure, culture and consume fantasy in the modern city. In contrast to the strategy of the early department store that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cultural images, Starfield is focusing on lifestyle proposals for consumers' free imaginary pla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culturally constituted world’ and consumer reason is settled, the subject prefer to arbitrarily combine the images and symbols, thereby aiming the active desire. The consumer who confirms desire through the sign of the goods provided by consumer culture-space accepts the object as a cultural symbol, In ‘culturally constituted world’, where the meanings displaced to goods are accumulated, the subject is constantly consumed to meet the lack of meaning. The malling subject floating in world that no longer persistent, not fixed, and equates itself with the meanings assumed to be in goods. Thus, malling subject is connected with the ideology of modern capitalism, the mall modernity, which gave birth to itself. 본 논문은 201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 등장하기 시작한 새로운 상업시설을 대상으로 자본주의 근대 내 소비문화와 공간현상의 공통 경험을 조망하고자 한다. 그 가운데서 신세계 프라퍼티(Shinsegae property)와 글로벌 쇼핑몰 개발업체인 터브먼 아시아(Taubman asia)가 공통 투자한 스타필드(Starfield)는 ‘지금 여기의 소비문화-공간’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본고는 소비문화와 소비공간이 별개의 독립된 영역으로 분절되어 있다기보다 현상 안에서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나타난다는 점, 그리고 스타필드가 우연적으로 창출된 상업시설이 아니라 자본주의 근대의 맥락에서 모방과 재현으로 이어지고 있는 ‘지금 여기의 소비문화-공간’이라는 점을 전제로 스타필드의 장소성과 주체화 양상을 조망하고자 한다. 전례 없는 규모와 체류형 복합 공간을 자랑하는 스타필드는 현대 도시의 대표적인 쇼핑몰 업태인 어번 엔터테인먼트 센터이자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가 개념화한 ‘장소상실(placelessness)’, 혹은 마르크 오제(Marc Augé)의 ‘비장소(non-place)’처럼 보인다. 현대 사회의 복합 상업시설을 지리학의 영역에서 검토하는 렐프는 인간과 자연의 질서가 융합된 진정성 있는 ‘장소’가 도시화로 인해 상실되었고, 그 자리를 ‘의미’ 대신 타자를 지향하는 ‘몰(沒)장소’들이 점유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렐프와 마찬가지로 현대 도시의 장소적 특징을 논하는 오제는 거주민이 장소를 점유하며 상호 공유된 정체성과 역사를 형성하는 ‘인류학적 장소’와 초근대(supermodern)의 고독한 ‘비장소’로 구분하고 있긴 하지만 새로운 장소를 일방적으로 규탄하진 않는다. 오제가 묘사하는 비장소는 기표나 이미지 중심으로 작동하며, 이곳에서 익명의 계약적인 정체성을 부여받은 개인은 일시적인 해방과 유희를 즐긴다. 자본주의 근대가 추동하는 소비문화-공간이 ‘진정한 장소’에서 ‘비장소’로 이행된 결과라고 볼 때 ‘스타필드’는 자본주의 근대의 도시 속에서 노동과 교육, 여가와 문화, 궁극적으로는 환상의 소비를 모두 충족하고자 하는 도시인의 욕구를 반영하는 ‘원스톱 복합 상업시설’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스타필드는 문화적 이미지 형성과 보급에 치중했던 초기 백화점의 전략과 달리 소비자 개인의 자유로운 유희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제안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소비자 이성과 상품 세계의 순환 구조가 안착한 현대 사회에서 개인은 상품의 이미지와 기호들을 자의적으로 조합하길 선호하며, 그로써 능동적인 욕망의 영위를 지향한다. 소비문화-공간이 제공하는 상품의 기표를 통해 욕망을 확인하는 소비자 주체는 대상을 문화적 기호로 수용하며, 상품으로 전치된 의미들이 축적된 ‘문화적으로 구성된 세계’ 안에서 자신에게 결여된 ‘의미’를 마주하기 위해 끊임없는 소비에 나선다. 사상과 담론을 통해 스타필드를 살펴봄으로써 소비문화, 소비공간, 그리고 소비 사회의 이념은 ‘몰 모더니티(mall modernity)’라는 관점에서 유기적인 순환 체계로 연결된다. 이때 현대 사회의 특징적인 장소인 몰에서 사람들은 어느 것도 지속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지 않은 세계를 부유하며 그 스스로를 상품에 있으리라 상정된 ‘의미’와 동일시함으로써 자신을 탄생시킨 자본주의 근대의 이념, 즉 몰 모더니티의 목적과 접속한다.

      • 손 동작 인식을 위한 협동적 의사 레이블 생성 기반의 점진적 반지도 학습

        이준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machine interface technology will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future metaverse applications and system automation. A classic HMI (Human Machine Interface) is a car steering wheel, a joystick, and a mechanical button. In modern times, keyboards and touch panels are commonly used. Recent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ve resulted in the advancement of HMI technology along with developments in various fields. The most important key element in realizing HMI technology is a bio-matrix technology that identifies the control intention of a person who wants to control a machine through human body recognition technology or digitizes and recognizes human body parts. 최근 기계 및 컴퓨터 장치의 급격한 활용 증가로 사람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하는 기술의 첨단화가 진행되고 있다.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장치 제어 명령 전달을 위한 비전 응용 기술 또한 개발된다. 비전을 응용한 딥러닝 기술로 사람의 제어 명령 및 인체의 인식을 위한 방법으로 영상의 분류, 탐지, 분할 등의 기술이 활용된다. 기존의 분류, 탐지 및 분할을 활용한 인체 인식 인공지능 모델의 활용 기술은 일반적 컴퓨터 비전 기술과 비교하여 인식 정확도가 높지만, 사용자 다양성에 따라 학습모델의 정확도 오차가 큰 치명적 단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연구사례로는 약지도 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추가 획득하여 오차를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입력 데이터로부터 자동적으로 학습용 레이블링 특징 검출이 가능하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인식 모델의 갱신이 가능한 협동적 의사 레이블 생성 방법과 점진적 약지도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본 기술은 기존의 인공지능 기술을 위한 빅 데이터 개발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성능 안정화 기술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