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컨텍스트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심 옛 주거지의 변화특성 및 재생방안 : 청주시 남문밖 남주동 일대의 블록

        이준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face of reckless development of old residential areas in the cit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eneration through the context simulation of space, streetscape, and thermal environment from the 1960s to the 2020s, targeting two old residential blocks in Namju-dong outside the historic downtown of Cheongju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through context simulation, First, in conducting context simul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from the 1960s when Cheongju city center began to change rapidly to the present day in 2020, except for the area around the north-south opening road that crosses the block, the old residential areas outside the south gate have been expanded and rebuilt in the form of the old street network, alleyways, and individual lots. Seond, in conducting the streetscape simul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ld street network outside the block, the opening road, and the scenery of the alleyway by period, as three or four-story buildings were built outside the block, ‘Gagujeom’road changed a lot in the 1970s, and the opening road (102 Namsa-ro) and ‘Eunhaengnamu’road changed a lot in the street landscape in the 1990s, Third, in conducting environmental simula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mount of sunlight and wind paths between buildings in relation to street networks and alleys, buildings and external spaces, and spaces between gaps, a small wind road between a narrow alley and a residential yard was found that it disappeared due to the opened roads, connected middle-story buildings, and surrounding high-rise buildings, and was accelerating wind speed. In the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plan based on the change characteristics, First, for houses before the 1970s, which began to be developed in earnest, buildings of historical, spatial, and life value, including three well-used houses to date, were selected for preservation and protection. Second, since the 1970s, existing masonry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built around‘Gagujeom-gil’and‘Eunhaengnamu-gil’in the east-west direc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regeneration, such as remodeling, expansion, and construc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are vacant. These were combined and presented as improvements to the street landscape. Third, for large-scale idle land formed in the 2000s when the blind land of the block was merged with the land adjacent to the road, the gradual development considering the old land unit and the large-scale development method by joint were compared through space, streetscape, and thermal environment simulations. As a result,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wind paths that could be seen in old residential areas. If simulations are supplemented for landscape and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modeling of elements such as planting, fences, and gates, not just buildings, more convincing eco-friendly regeneration measures can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old urban dwellings. 본 연구는 도심 옛 주거지의 무분별한 난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주의 역사적 도심인 남문 밖 남주동 일대의 옛 주거지 2개 블록을 대상으로, 1960년대 모델링과 2020년대 모델링을 먼저 제작 완료한 후, 건축물의 신축연도에 따라 1960년대, 1990년대, 2022년 9월 현재로 3구분하여 공간, 경관 및 열환경의 컨텍스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변화특성 알아보고, 보존 및 재생방안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컨텍스트 시뮬레이션을 통한 변화특성에 있어서, 첫째, 공간변화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LOD 1, 2모델링 작업 결과, 1960년대 낮은 층수와 지붕이 있는 옛 가옥의 모습에서 시대가 지남에 따라 조적조와 철근콘크리트조의 건축물이 주를 이루게 되면서, 상업의 활성화에 맞춰 규모 또한 같이 높아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990년대 이후 도심 공동화와 상권의 쇠퇴에 맞춰 정체되어 있는 모습과 유휴지가 생겨나는 공간의 변화 모습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관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LOD 1, 2에서 간략히 표현한 개구부 형태에 기둥과 보, 기단 및 돌출부 등을 표현한 LOD 3, 4 단계를 활용하고, 보행사선 기능을 사용한 결과, 공간 변화에 맞춰 경관의 변화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다. 블록 외곽은 1960년대부터 넓은 쇼윈도우를 유지하면서도 1층 규모에서 3, 4층 규모로 변화하였으나, 골목길을 중심으로는 조적조의 주택들이 중간 중간 신축되면서도, 기존 가옥들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열환경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일조와 CFD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시기별 배치와 건축물의 형태 변화에 따른 바람길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건축물 간의 일조와 음영지에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골목의 바람길에 있어서도 1960년대 기존의 마당과 길을 중심으로 쾌적한 바람길이 형성되었던 모습에서, 1990년대 높아진 건폐율로 말미암아 마당 공간이 없어지면서 풍속이 2∼3m/s의 풍속이 5m/sec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변화특성을 토대로 한 보존 및 재생방안에 있어서, 첫째,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1970년대 이전 가옥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잘 사용되고 있는 3곳의 가옥군을 비롯하여 역사적, 장소적, 그리고 생활사적으로 가치 있는 건축물을 보존 및 보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1970년대 이후 동서 방향의 가구점길과 은행나무길 중심으로 세워진 기존의 조적조 및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에 대해서, 공실 공가 여부 및 사용 정도에 따라 리모델링, 증개축, 신축 등 재생 방안을 고려하도록 하며, 이를 가로경관 개선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2000년대 들어서면서 블록의 맹지가 도로에 접한 필지와 합필되면서 형성된 대규모 유휴지에 대해서, 예전 필지 단위를 고려한 점진적 개발 및 합필에 의한 대형 개발방식을 공간, 경관 및 열환경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 검토하여 옛 주거지의 도시맥락 및 경관에서 볼 수 있었던 바람길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향후 건축물만이 아닌 식재, 담장, 대문 등의 요소들에 대한 모델링을 거쳐, 경관 및 환경상의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보완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도심 옛 주거지의 맥락 및 환경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보다 설득력 있는 재생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 작곡가 린 마누엘 미란다의 뮤지컬 「해밀턴」에 나타난 힙합적 특징 분석

        이준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작곡가 린 마누엘 미란다의 뮤지컬 「해밀턴」에 나타난 힙합적 특징 분석 지도교수 : 한 경 훈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실용음악학과 이 준 범 뮤지컬은 노래와 춤, 연기 등이 무대에서 어우러지는 종합무대예술로서 1900년대 초 미국에서 발전하여 오늘날 완전히 대중적인 공연 장르가 되었다. 또한 클래식과 재즈 등으로 시작했던 뮤지컬 음악의 장르는 팝, 락, R&B 등 다양한 장르로 확대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최초의 창작 뮤지컬 「살짜기 옵서예」(1966)를 시작으로 판소리 뮤지컬 「서편제」(201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뮤지컬이 현재에도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힙합 장르의 뮤지컬은 최근 힙합의 전 세계적인 인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중적인 흥행을 거둔바가 없었다. 그러나 2015년 브로드웨이에서 최초로 흥행에 성공한 힙합 뮤지컬 「해밀턴」(Hamilton, 2015)이 공연되었고 흥행 성공을 넘어 각종 뮤지컬 관련 상을 수상하며 최고의 힙합이라는 찬사까지도 이끌어내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초로 흥행에 성공한 힙합 뮤지컬인 작곡가 린 마누엘 미란다의 뮤지컬 「해밀턴」의 힙합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 그 성공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뮤지컬 음악 장르의 다양성을 확장시키고자함에 있다. 먼저 작곡가 린 마누엘 미란다의 생애와 작품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음악적 배경과 스타일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뮤지컬 「해밀턴」의 작품의 특징과 줄거리에 대해 간략히 알아본 후 「해밀턴」의 넘버 중 힙합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넘버를 선정해 각 넘버의 악기구성, 리듬(비트) 및 선율(라이트모티브), 가사 및 랩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결과 「해밀턴」의 음악에서 샘플링 사운드의 적절한 배치, 단순한 드럼 리듬의 반복적인 사용, 기존 힙합 음악에 대한 오마주의 사용 등의 힙합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랩과 가사 속에서도 신중한 단어 선택과 치밀한 라임의 구성을 통한 완성도 있는 랩을 극의 상황과 전개에 맞게 들려줌으로써 힙합적 특징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것은 작곡가 린 마누엘 미란다의 힙합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결과물로서 다른 장르를 뮤지컬 음악으로 도입하기위해 필요한 것은 뮤지컬뿐만 아니라 도입하고자 하는 기존 장르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선행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의 뮤지컬 시장의 발전을 위해선 다양한 장르의 뮤지컬 제작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뮤지컬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다른 장르에 대한 관심과 깊이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그 장르의 음악적, 문화적 특징을 사용하여 뮤지컬을 제작하는 과감한 시도 또한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와 시도들은 뮤지컬의 질적 향상뿐 아니라 관객의 관심을 통한 대중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가 뮤지컬 장르의 다양성 확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소망한다. Abstract Analysis of Hip-Hop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composer Lin-Manuel Miranda's musical 「Hamilton」 Advising Professor. KyungHoon Han Lee Joon Beom Dept. of Practical Music Graduate School of Arts Fusion Design Musical is a synthetic performing art, which consists of song, dance and act etc. Musical has been developed in the U.S. since 1900's and it became completely popular performance genre in these days. In addition, the genre of musical music, which was composed of Classic or Jazz etc, is expanding its' area to various genres such as Pop, Rock, R&B etc. In Korea, from the beginning of the original musical 「Saljagi Osserye」 (1966) to Pansori musical 「Seopyeonje」 (2010), diverse genres of musicals are in production recently. However, despite of recent worldwide popularity of Hip-Hop, Hip-Hop genre of musical is not still experiencing public 'hit'. In 2015, Hip-Hop musical 「Hamilton」 (Hamilton, 2015), which was the first successful Hip-Hop musical, was performed at Broadway and this musical was awarded various related awards. Moreover, this musical got a lot of compliments which evaluated the musical as the best Hip-Hop mus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ip-Hop features in Lin-Manuel Miranda's first Hip-Hop musical hit 「Hamilton」 and analyze success factors to expand the diversity of genres of musical music. First, by searching composer Lin-Manuel Miranda's life and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his musical background and style were drawn. Subsequently, the study about features and plot of musical Hamilton was conducted. Lastly, the analysis of composition of instruments, rhythm(beat), melody(leitmotif), lyrics and rap in each number, which was selected by the criteria of Hip-Hop characteristics in Hamilton, was conducted. Hip-Hop features in Hamilton such as the proper arrangement of sampling sound, repetitive usage of simple drum rhythm and the hommage of existing Hip-Hop music etc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In addition, Hamilton showed another Hip-Hop characteristic that used fine rap perfectly fit to the situation of scene by prudent word selection and the composition of rhyme. These facts present that composer Lin-Manuel Miranda had profoun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Hip-Hop and Hamilton was the perfect result of his knowledge. Therefore, not only the study about musical, but the understanding about existing genre is also required to bring another genre to musical music.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usical market, attempts of producing various genres of musicals are needed. Thus, profound study and interest of musical and other genres are required for those attempts. In addition, decisive attempts that use the genre's musical, cultural features are also essential. These studies and attempts will contribute to qualitative development of musical and popularization of musical via interests of audienc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genres of musical.

      • 비타민 C의 미세캡슐화와 이를 이용한 철분강화우유의 생이용도에 미치는 효과

        이준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유에 비타민 C를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미세캡슐화 하는 것과 철분강화 우유에 첨가시 생이용도에 미치는 효과의 측정을 목적으로 두었다. Coating material로 PGMS(polyglycerol monostearate)와 MCT(medium-chain triacylglycerol)를 사용하여 미세캡슐을 하고 수율, 저장기간동안 비타민 C의 유리량, 지방산화도, 관능검사, in vitro, in vivo 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미세캡슐의 수율은 MCT를 coating material로 사용하였을 때 coating material : core material의 비율이 15 : 1일 경우 최고의 수율(95%)을 나타냈고, PGMS에서는 5 : 1일 때 최고 수율(94.2%)을 나타냈다. 4, 20, 30℃로 온도를 달리하면서 30일 동안 저장한 결과 유리된 비타민 C의 양은 MCT와 PGMS 모두 높은 온도에 저장할수록 많은 양이 유리되는 경향을 보였다. 철분과 비타민 C를 첨가한 우유의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화도를 측정한 결과 TBA가(535nm)는 철분만을 첨가하였을 때 0.16에서 미세캡슐한 철분만을 첨가한 경우는 0.13으로 감소하였고, 미세캡슐한 철분과 미세캡슐한 비타민 C를 첨가한 경우는 0.12로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미세캡슐비타민 C를 첨가한 우유에 대한 선호도는 대조군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신맛과 이미의 경우 MCT, PGMS 모두 우유의 유통기간(7일)까지의 저장기간동안에는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MCT와 PGMS로 미세캡슐한 vitamin C가 인공위액에서 pH에 의한 미세캡슐의 안정성을 1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모든 pH에서 vitamin C의 유리량은 각각 4.7~13.2% 와 8~13%로 증가하였다. 인공소장액에서 pH와 효소에 따른 MCT와 PGMS로 제조된 미세캡슐의 안정성을 실험한 결과 pH 6보다 pH 7과 8에서 vitamin C의 유리량(%)이 증가되었다. 미세캡슐하지 않은 ferric ammonium sulfate를 강화한 우유와 PGMS로 미세캡슐한 철분강화 우유 그리고 미세캡슐한 철분강화 우유에 미세캡슐화한 vitamin C를 첨가한 후 생이용성을 검사한 결과, TS(%)는 각각 19, 24, 39%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에 의하면 vitamin C를 미세캡슐화하여 우유에 첨가시 관능적으로 양호하며, 우유의 생화학적 변성과 off-flavor 발생 등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철분강화 우유와 함께 섭취시 철분의 생이용성을 증가시키므로 미세캡슐화방법은 우유의 vitamin C 강화에 매우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tification of vitamin C into milk by means of microencapsulation technique. The TBA value, sensory attributes, sta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iron microcapsules in milk during storage were measured. Coating materials used were polyglycerol monostearate (PGMS) and medium-chain triacylglycerol (MCT), and core materials were L-ascorbic acid and ferric ammonium sulfate. The yield of microencapsulated vitamin C was 95 % with MCT and was 94 % with PGMS when the ratio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s were 15 : 1, 5 : 1, respectively. The rate of vitamin C release was 4~9% when stored at 4℃ for 30 days, and temperature lower than 20℃ did not affect adversely vitamin C release in the milk during the storage. The TBA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microencapsulated than those in uncapsulated vitamin C during storage. In sensory evaluation, the degree of sourness and off-taste were slight and total acceptability was moderate in 10mg vitamin C microencapsule -fortified milk at 8 day storage. In vitro study, microcapsules of vitamin C in simulated gastric fluid with the range of 2 to 5 pHs were released 4.7 ~ 13.2%, however, the capsul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with pH 8 were released 94.0% during 40 min incubation time. In the bioavailability of iron in vivo, transferrin saturation value of microencapsulated vitamin C and iron was two and half times higher than that of uncapsulat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MCT and PGMS as coating materials were suitable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vitamin C and the microcapsules were effective on the bioavailability of fortified iron in milk.

      • 병원 설립주체에 따른 의료수익성에 관한 연구

        이준범 순천향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이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관회계정보공시 홈페이지에 공시된 2017년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대상 병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고, 병원 설립주체별로 의료수익성에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병원 일반적 요인에 따른 설립주체별 의료수익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병원의 경영전략 및 정책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의료기관회계정보공시 대상병원으로 개설자가 법인인 1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267개 중 263개 병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변수는 병원 설립주체, 의료수익성, 일반적 요인 및 재무적 요인을 포함하였다. 분석은 SAS 9.4를 사용하여, 카이제곱검정 및 Univariate검정을 실시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MEANS분석을 통해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와 통제변수 사이에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단변량분석 및 다변량분석을 하기위해 GLM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병원 일반적요인에 따른 설립주체별 의료수익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브그룹별로 다변량 GLM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국공립병원의 평균 의료수익성은 –8.09%였고, 의료법인병원의 평균 의료수익성은 2.78%, 학교법인병원의 평균 의료수익성은 4.73%로 평균 의료수익성이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변량분석결과 의료법인병원에 비해 국공립병원의 의료수익성은 –10.8751%(p<.0001) 낮았고, 학교법인병원의 의료수익성은 1.9467%(p=0.0758) 높았다. 다변량분석결과 의료법인병원에 비해 국공립병원의 의료수익성은 –7.3492%(p<.0001)로 낮았고, 학교법인병원은 –1.3273%(p=0.1897)로 낮았으나 학교법인병원은 의료법인병원과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서브그룹 분석결과 상급종합병원 중 국공립병원의 의료수익성은 의료법인 병원에 비해 –1.8251%(p=0.797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종합병원 중 국공립병원의 의료수익성은 –7.9754%(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병원의 종별구분이 의료수익성에 큰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고찰 : 이 연구를 통해 설립주체에 따른 의료수익성의 차이 및 설립주체와 의료수익성 사이의 관련성, 그리고 병원 일반적 요인에 따른 설립주체별 의료수익성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이 연구는 전국 병원의 가장 최신 회계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병원의 설립형태에 따른 경영전략 및 정책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대학 볼링선수의 형태학적 특성과 하지근력에 관한 연구

        이준범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볼링선수의 형태학적 특성과 악력 및 하지근력에 관한 연구로 우수선수와 일반선수 간의 비교 및 좌측과 우측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규명하여 대학볼링선수의 형태학적 특성 및 하지근력에 관한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볼링선수 중 오른손을 이용하는 선수들 가운데 대한볼링협회에 등록된 우수대학 볼링 선수(16명)와 대학에서 볼링부 활동을 하는 일반 선수(18명)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연령, 경력, 키, 체중) 과 형태학적 특성(상지장, 하지장, 대퇴장, 하퇴장, 상완최대위, 전완최대위, 대퇴중간위, 하퇴최대위, 상완골돌기, 대퇴골너비), 악력 및 하지근력(대퇴사두근, 대퇴이두근)을 측정하고 통계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체측정변인 중 기초측정 변인인 경력, 연령, 체중은 우수선수가 일반선수보다 우세한 반면, 신장은 비슷하였다. 2. 인체측정변인 중 길이 변인에서 상지장, 하지장, 대퇴장, 하퇴장 좌, 우측 모두 우수선수가 일반선수 보다 유의하게 우세하였다. 3. 인체측정변인 중 둘레 변인에서 상완최대위, 전와최대위, 대퇴중간위, 하퇴최대위 좌, 우측 모두 우수 선수가 일반 선수보다 유의하게 우세하였다. 4. 인체측정변인 중 너비 변인에서 상완골돌기, 대퇴골 너비 좌, 우측 모두 우수 선수가 일반 선수보다 유의하게 우세하였다. 5. 인체측정변인 중 악력, 대퇴이두근 좌측에서 일반선수가 우수선수보다 유의하게 우세했고, 대퇴사두근 좌, 우측, 대퇴이두근 우측에서는 우수선수가 일반선수보다 유의하게 우세하였다. In this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of bowlers and strength of grip and the best players in the study and a comparison between regular play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o investigate whether the University of bowler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of characteristics are intended to identif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ight hand of the bowler to use the University of players registered with an excellent college bowlers Bowling Association (16) and a regular player at the University of bolringbu activity (18)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ge, experience, height, weigh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angjijang, hajijang, daetoejang, hatoejang, arm Lieutenant Choi, Choi Lieutenant forearm, daetoejungganwi, leg Lieutenant Choi, lateral projection, the width of the femur), grip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quadriceps, biceps femoris) to measur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that follows. 1. Of variables based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 byeoninin experience, age, weight, the average player a better player than the dominant, whereas the kidneys were similar. 2. Anthropometric variables in variable lengths of sangjijang, hajijang, daetoejang, hatoejang left and right are all very good players than in the normal players were dominant. 3. Anthropometric variables in the upper arm circumference of variables Lieutenant Choi, jeonwachoedaewi, daetoejungganwi, Lieutenant Choi left leg and right all the good players were dominant than in the normal players. 4. Anthropometric variables in the lateral projection of the variable width, the width of the femur left and right all the good players than in the regular players were dominant. 5. Anthropometric variables grip of, the average player on the left biceps femoris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women athletes, and the left quadriceps and right, the best player right biceps femoris than in the normal players were dominant.

      • 파이프 형태를 응용한 도자조형 작품 제작연구

        이준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나 현재 혹은 미래에서도 항상 우리가 보고 느끼고 통하는 것은 자연일 것이다. 때로는 우리가 접근하지 못할 만큼 웅장하며 우리가 소통할 수 없는 존재라 느끼게 하는 대자연, 하지만 그 대자연은 우리에게 소소하게 다가와 우리와 소통하길 바란다. 이러한 자연 속에는 생물적 메카니즘으로 인한 지구상의 모든 활동이 이루어지며 그러한 자연적 현상 즉, 모든 것은 땅에서 생성되어 땅으로 돌아가는 모든 자연의 공식적 흐름을 통한 작품 제작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파이프의 활동과 흐름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파이프 활용의 자료 수집을 통한 개념과 조형적 특징을 잘 파악하고 각종 파이프의 종류와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파이프 형태를 이용한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고찰하여 파이프 이미지의 표현방법 대하여 연구 하였다. 작품 제작 방법으로는 가압기를 이용하여 원, 사각, 육각의 파이프를 만들어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결합 과정에의 접합을 고려하여 강도 및 점성에 알맞은 가소성을 위하여 송추 조합토를 사용하여 제작 하였으며 유약은 흑유와 망간유, 백매트유, 지당유를 시유하여 소성한 뒤 3차소성으로 테라시질레타를 이용해 각 작품들의 이미지와 질감표현에 적절하도록 사용하였다. 또한 파이프의 유동적인 이미지와 직선적 이미지를 적절히 배합하여 다양한 작품의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대 사회의 재료로써의 한 부분인 파이프라는 물체를 작가 개인적인 잦대 로 표현하고 시도함 에 있어 미를 추구하는 행위를 고취시킬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에서 본연구자가 도자예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Nature is what we see, feel and connect with in every day life. It has been so in the past, and will continue to be so in the future. Sometime it is so magnificent we feel that it is hard to approach and cannot be communicated with. That is the Mother Nature. However, the nature approaches us every day insignificantly hoping to communicate through. Every movement on the earth is formed by biological mechanism in the natu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duce a work by showing the official flow of natural event which is based on a theory that every thing created from the earth returns to the earth. The study is based on movement and flow of pipe image and grasps the concept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pes. A variety types and constituent of pipes were analyzed. The work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artists and their expression of pipe image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oduction of the work involved combining circle, square, and hexagon pipes by using pressurizer. Song-Choo compounded mud was used when the pipes were combined so to appropriate suitable plasticity for the intensity and viscosity. The pipes were glazed with black glaze, manganese glaze, matt white glaze , and titanium glaze. They were then fired three rounds. On the third firing, Terra Sigillate was applied to express the image and material of the work pieces. Pipes are material that is used in modern art society. The combination of fluidness and straightness of pipe image pursued a variety impression of the work. The research inspired a creation of beauty through art work by using and expressing with pipes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eramic art.

      • 販賣員의 職務成果 및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 乳製品 訪問販賣員을 對象으로

        이준범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forcusing on household calling dairy product saleswomen. The determinant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inner-directedness vs other-directedness as a salespersons' trait variable, oganizational commitment, role conflict, and firm's support and intimacy with the their supervisors as oganizational variables. Outcome variables includes salesperson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o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Prior studies in the salesperson'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literature were extensively investigated for developing the hypothese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hypothesized to be affected by the salesperson's inner-directedness, job tention, role conflict, and other organizational variables. These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s were hypothesized to affect, in turn,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various moderating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the outcome variables were explored.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the prepared questionnaires.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aleswomen of the dairy manufacture's direct sales offices and the regional sales representatives. 1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25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es. Sever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structs and measures were secured with relevant factor analyses and alpha coefficient reliability analyses respectively. Study results show that salesperson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their inner-directedness, customer-orient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ole conflict. Also salespersons'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ir job Performance, especially behavior-based performance, and in turn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Further, salespersons' role conflicts were theorized to have three dimensions such as the conflicts with the expectations of company, customers, and their own family. These three conflicts affected their job performance in conbination. Salespersons' intimacy with their supervisors was found to affect their performance, reducing role conflicts. The salespersons of regional sales representatives had a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lower role conflict, and higher job performance than the salespersons of direct sales offices, probably resulted from the better human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visors.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could be evaluated to better explain the salespersons' job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his research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academics and practitioners.

      • 곤충 세포에서 베큘러바이러스 다각체 단백질과 부분 융합에 의한 PCV (porcine circovirus) 2형 구조단백질의 재조합 발현

        이준범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orcine circovirus type 2 (PCV2) is a non-enveloped circular single-stranded DNA virus associated with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infectious swine viral disease. PCV2 capsid protein encoded by ORF2 has type-specific epitopes and is very immunogenic and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neutralizing antibodies.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capsid protein, the recombinant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es were generated to express ORF2 without or with two forms of partial polyhedrin fusion. Polyhedrin fusion or non-fusion recombinant capsid proteins were produced successfully, and the yield of protein was high shown clearly visible on SDS-PAGE. Optimal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and infection time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capsid protein were determined as 5 MOI and 4 days, respectively. Immunogenicity of all recombinant capsid proteins produced in insect cells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using anti-PCV2 ORF2 monoclonal antibody and anti-PCV2 porcine serum. Fusion expression with the amino acid 19 to 110 of polyhedri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capsid protein, but fusion with 32 to 85 could not. We did not identify the glycosyl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as a glycoprotein. To improve the level of glycosylation, recombinant capsid proteins were expressed by fusion with amino acid KDEL (Lys-Asp-Glu-Leu) which is known as an endoplasmic reticulum (ER) retention signal. However, none of these strategies demonstrated any improvement of the expression or glycosylation level.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combinant capsid proteins as a diagnostic antigen, the immunogenicity was analyzed by ELISA method. Coating of antigen was performed successfully and the level by ELISA appeared inverse proportion according to dilution of antigen. Detection of PCV2 antibody against recombinant fusion protein with partial polyhedrin 19-110 was better than that of rAc-PCV2ORF2. Alkaline solution was also effective on purification and coating of recombinant proteins. The results of ELISA showed that the recombinant capsid proteins could be used as an antigen for a fast, large-scale diagnosis against PCV2 infected pi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