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제말 경남지역 기독교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대한 연구

        이정호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일제말 경남지역 기독교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기독교사회학과 이정호 본 논문은 일제 말기 경남지역의 기독교인들이 신사참배와 반대운동을 어떻게 전개하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 내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한 군국주의자들은 대륙침략 정책과 절대주의적 정치체제의 구축을 정당화하기 위해 천황제에 근거하여 자신들의 권력을 절대화 신격화하였다. 일제의 한국에 대한 신사참배 강요는 군국주의에의 충성을 요구한 것으로 민족적 세력을 말살시키려는 정치적 탄압이었다. 따라서 기독교에 대한 신사참배의 강요는 단순히 종교적 탄압이 아니라 정치적인 차원의 탄압이었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대해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은 신사참배는 국민의 의례일 뿐이라는 논리로 참배함으로써 배교하였다. 이는 종교적 배교일 뿐 아니라 정치적 변절이었다. 경남노회의 일부 목사와 장로들은 일제의 신사참배에 동참하거나 제국주의 전쟁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반면 주기철 목사와 같은 이들은 절대적 권력은 하나님에게만 있다는 제1계명의 신앙으로 신사참배를 항거하다 순교하였다. 경남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마산, 밀양, 거제, 통영, 진주 등에서 신사참배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경남지역의 신사참배운동이 강력하게 전개된 이유는 다음의 몇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경남지역의 신사참배 반대운동은 사회문화 및 지리적 영향이 매우 컸다. 둘째,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신사참배반대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선 지역은 매우 극단적이고 배타적인 사회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던 곳으로, 이들 지역은 항일운동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곳이기도 하였다. 셋째, 경남지역의 신사참배운동에 앞장선 교회와 목사들은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이 융해되어 그 지역의 사회 문화 지리적 영향으로 정신적․종교적 신념이 매우 강했다. 그러나 경남지역의 교회들은 신시참배반대운동의 위대한 신앙의 유산임에도 불구하고 해방직후 여러 교회로 분열되었다. 이들 교회들은 과거에 대한 성찰과 소통의 부재로 인하여 통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경남지역의 교회들이 해결해야할 역사적 과제라고 하겠다. ABSTRACT A Study on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of Christians i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st Period of Japanese Rule YI, JUNG-HO Department of Christian Sociolog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the militarists who took the political leadership in Japan, defied their power based on the emperor system to justify the continent invasion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absolutism. The enforcement of the shrine visit by Japanese Imperialism was to demand allegiance to the militarism, and it was the suppression to liquidate the Korean racial movement. Therefore, The enforcement of the shrine visit to Christians was a political suppression as well as a religious suppression. Many Christian leaders renegaded by the shrine visit under the logic that the shrine visit was merely a national ceremony. But it was not only a religious apostasy but also a political apostasy. Some ministers and elders of Gyeongsangnam-do presbytery subscribed the shrine visit and were mobilized to the imperialistic war. On the other hand, others and Rev. Chu, Gi-Chul were martyred resisting the shrine visit. They stuck to their convictions that the absolute power is in God.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of Christians in Gyeongsangnam-do area was developed in Masan, Miryang, Geoje, Tongyeong, Jinju, etc. We can see the several points about the reason that strong development of the movement in Gyeongsangnam-do. First,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of Christians in Gyeongsangnam-do was affected by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feature. Second, the areas that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was powerful, were seriously affected by extreme and exclusive cultural feature. Anti-Japanese movement was powerful in those areas, too. Third, the churches and the ministers that led the movement against visit shrine in Gyeongsangnam-do had strong mental and religious faith by fusing Christian belief and national consciousness. However, the churches in Gyeongsangnam-do were split into several churches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even though they were great expectations of the movement against the shrine visit. They are not discussing church unity because of lack of understanding and self-examination about the past. It is a historial task that the churches in Gyeongsangnam-do should solve in the future.

      • 쉼터여성의 부부갈등 요인 분석 : 부부갈등 요인

        이정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쉼터여성의 부부갈등 요인 분석 2013년 2월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李貞浩 지 도 교 수 朴榮信 본 연구는 가정폭력으로 쉼터에 입소한 여성들의 부부갈등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쉼터여성의 실태를 분석하고, 부부갈등의 원인과 이혼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총 분석대상은 170명이었으며, 박영신(2011)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쉼터여성들이 쉼터에 오게 된 가장 중요한 이유로, 가정폭력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생명의 위협, 남편에 대한 두려움, 이혼하기 위해, 지원받기 위해라는 반응이 쉼터 입소 이유로 포함되었다. 쉼터여성은 대부분이 술을 마시며, 가정폭력의 결과 신체적 상해로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편과 연락을 안 하고 사는 경우도 많았으며, 약 95%가 이혼을 생각하였으나, 실제로 이혼을 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둘째, 부부갈등의 대표적인 원인은 가정폭력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폭언, 외도, 중독, 의처증, 성격차이 및 음주가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부부갈등에도 불구하고 이혼을 하지 않은 이유는 자녀 때문이 약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이외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 변화에 대한 기대, 남편의 협박이 포함되었다. 셋째, 쉼터 거주기간별로 쉼터여성의 부부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거주기간 1개월 이상 집단이 1개월 이하 집단보다 부부친밀도는 가장 낮고, 말다툼이나 부부싸움은 가장 많았다. 남편과 연락정도별로 쉼터여성의 부부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편과 연락이 두절된 집단이 연락을 하는 집단보다 부부친밀도가 더 낮았다, 넷째, 쉼터 거주기간별로 쉼터여성의 부부갈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개월 이상 거주한 여성들이 1개월 이하 거주한 여성들에 비해, 남편의 열등의식, 아내에 대한 폭행, 자녀학대, 병적인 의처증, 가족에 대한 무관심, 아내에 대한 전반적 불신, 친정에 대한 무시를 더 많이 경험하였다. 주요어: 부부갈등의 원인, 쉼터여성, 가정폭력, 쉼터 거주기간, 남편과 연락 정도

      • 자동차정비기술교육의 현장성강화에 관한 고찰

        이정호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 자동차정비업 현황을 조사하면서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 대부분의 정비사들이 느끼는 애로사항 중에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자동차기술에 어떻게 대응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신차종과 신기술에 대한 자동차정비기술훈련이 절실히 필요함을 정비사들 스스로가 느끼지만 현실적인 한계성 때문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등록대수는 2009년 8월말을 기준으로 하여 1,700만대에 이르고 있다. 이는 우리 자동차산업의 급속한 발전속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산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팽창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를 정확하게 수리하는 고장진단에 대한 진단기술과 사후관리(점검,정비)시스탬은 그 수준을 밑돌고 있다. 일부 대기업에 소속된 A/S 센터를 제외하면 체계적이고 정확한 정비를 하기보다는 대부분 정비사의 경험과 감각에 의존하는 정비를 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자동차기술에 맞추어 자동차정비분야로 진로를 잡고자 하는 기술인력의 올바른 교육과 훈련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자동차관련 교육훈련기관에서 배출되는 인력의 정비기술수준이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일선 정비업체에서 정비인력들의 재교육이 많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이는 자동차정비불량사고와 자동차정비업계 종사자의 신뢰성 감소 등으로 이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교육훈련기관과 정비업체, 완성차업체는 신차종, 신정비기술교육, 연수교육 등의 주기적 기술교육을 협력 모색해야 한다. 기존 정비인력의 대부분은 기계적 구조에는 익숙하나 전기, 전자적인 지식과 기술이 부족하다. 자동차제조사에서는 자동차A/S강화 차원에서 일선 자동차정비업체의 정비인력들에게 요구되는 재교육에 보다 많은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른 한편에서는 일선 자동차정비인력들과 예비 자동차정비인력들이 신차종과 신기술에 대한 자동차정비기술을 올바르게 습득 할 수 있도록 우선 먼저 선행되어야 할 과제가 자동차실무교재의 현장성을 강화시키는 일이 급선무라 하겠다. 본 논문은 자동차정비실무교육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동차관련 교육 및 훈련기관에서 실무교과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무교재를 중심으로 실무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기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실무교육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전자제어엔진의 현상별 고장을 쉽게 진단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세부진단점검사항을 목록화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동차실무교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① 최신기술과 동떨어진 내용을 다룬 경우 ② 현장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내용을 다룬 경우 ③ 설명이 모호한 경우 ④ 다양한 정비점검방법의 기술이 미약한 경우 ⑤ 종합적인 설명이 부족한 경우 ⑥ 기초이론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 ⑦ 정밀도가 높은 진단방법을 외면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 보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첫째, 실무교재의 특성상 일반이론 교재와는 달리 교재내용을 현장실무기술 발전에 맞추어 개정판을 자주 발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실무교재는 실기작업의 지침이 되어야하는 만큼 교재내용에서 정확한 지시내용의 전달이 중요하고, 작업상 순서라든지 방법이 정확히 기술되어야 한다. 셋째, 자동차 장치의 불량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점검에 있어 종합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넷째, 실무교재에 실무작업의 그 기초이론을 함께 소개하여 실무 작업에 대한 이해를 도우며 이론이 곧 실무라는 개념을 가지게 만들어 웬만한 문제발생시 스스로 책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도록 현장 적응력의 신장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동차의 각종장치에 대한 개별적인 설명을 나열하기 보다는, 자동차에서 각종장치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작동하며, 정비작업자나 교육자가 고장원인을 어떻게 추적하여 찾아내야하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점검절차를 모듈화가 필요하다.

      • 무형문화재 공연상품 소비자의 욕구 및 동기와 만족 간의 관계 분석

        이정호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공연 활성화를 위한 공연관객의 사회․심리적 욕구분석을 통한 관객개발 연구이다. 무형문화재 공연관객의 특성에 따른 관람욕구, 관람동기, 관람위험 및 장애(관람 전, 후), 관람만족의 차이와 공연관객의 관람욕구와 관람동기의 고저집단에 따른 관람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과적 관계로 구성하고,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을 통하여 무형문화재 공연에서 관객의 사회․심리적 욕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향후 무형문화재 제도(정책, 경영)개선 및 발전에 참고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기존 문헌조사와 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도출된 변수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무형문화재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00부의 유효 표본을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v.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 검증, t-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등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특성에 따른 관람욕구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무형문화재 공연관객의 관람욕구 요인은 전통미적 욕구, 의식적 욕구, 사회적 욕구, 교육적 욕구로 나타났으며, 관객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오락적 욕구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둘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특성에 따른 관람동기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연령, 학력, 직업, 공연 분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무형문화재 공연관객의 관람동기 요인은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로 나타났으며, 관객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특성에 따른 관람위험 및 장애(관람 전, 후)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성별, 학력, 공연 횟수, 공연분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무형문화재 공연관객의 관람위험 및 장애 요인은 기능적 위험, 경제적 위험, 사회적 위험, 심리적 위험으로 나타났으며, 관객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공연 전에는 관람 횟수가 많을수록 경제적 위험과 사회적 위험을 더 적게 지각하고, 공연 후에는 관람 횟수가 많을수록 경제적 위험을 더 적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특성에 따른 관람만족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무형문화재 공연관객의 관람만족 요인은 서비스 만족, 공연 만족, 시설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관객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특성에 따른 관람욕구, 관람동기, 관람위험 및 장애(관람 전, 후), 관람만족에 따른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 무형문화재 공연관객의 특성인 소득, 결혼여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관람욕구의 고저집단에 따른 관람만족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수준 1% 수준에서 각각 집단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미적 욕구, 의식적 욕구, 사회적 욕구, 교육적 욕구, 오락적 욕구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 공연 만족, 시설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육적 욕구에 따라 시설만족에 대해서는 집단 간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전통미적 욕구, 교육적 욕구, 오락적 욕구의 고저집단에 따라 공연만족에서 집단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의식적 욕구, 사회적 욕구의 고저집단에 따라 서비스 만족에서 집단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무형문화재 공연 관객의 관람동기의 고저집단에 따른 관람만족의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수준 1%, 5%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 공연 만족, 시설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동기, 외적동기의 고저집단에 따라 공연만족에서 집단 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als with development of audience by means of analysis into their socio․psychological needs for performance in an effort to activate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is respect, the present paper aim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socio․psychological needs of audience for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by thus, to provide basi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policy as well as management)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assuming a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in this context and by investigating the model and hypothesis set forth in this study as part of trie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needs, motives, risks, barriers and satisfaction of viewers for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their characters, and also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viewers divided by groups with high and low needs and motives for viewing such performance. For this aim of study, a model and a hypothesis were set forth through research and survey of existing literature and an enquete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need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variables derived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those who had had experiences of viewing performanc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mong them, 500 valid samples were put to analysis for this study. For empirical purpose, SPSS v. 12.0 statistical program was employed to carry ou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from such empirical analysi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into difference in the needs of viewing by characters of viewers for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The factors of needs of viewers for the performances by intangible cultural assets could be divided into the needs for traditional beauty, and ceremonial,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viewers. Whereas, however, no significant outcomes could be derived from the analysis into the needs for entertainment. Second, from the analysis into difference in motives of viewing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characters of audi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y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in the areas of performance. The motives of viewing the performance by intangible cultural assets turned out to be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one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viewers, too.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idently revealed by gender and education of viewers as well as by frequency and areas of performances from the analysis into difference in risks and barriers of viewing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characters of the audience. The factors of risks and barriers of viewing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were found to include functional, economic,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s, featur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audience. It was significantly noted that, before the performance, the more frequently the audience watched them, the less they perceived the economic and social risks, while, after the performance, the more times the audience watched the performances, the less they perceived the economic risks. Fourth, the analysis into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viewers with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character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Among the satisfaction factors by viewers of the performances made by intangible cultural assets, satisfaction with service, performance and facilities were includ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of audience featured. Fifth, the study on the difference in needs, motives, risks, barriers (before and after viewing) and satisfaction of viewers for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y their characters discove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income and marital status as their characters.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 of 1% between the groups of audience with high and low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at is, the group with higher needs for traditional beauty, ceremony, society, education and entertainment felt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with service, performance and facilities than the group with lower needs for them. In detail, however, it was characteristically confirm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against educational needs. In contras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regard to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ance against the needs for traditional beauty and entertainment as well as educational needs. Besides, there was also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s to satisfaction with service against the ceremonial and educational needs. Seventh, the analysis int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audience with high and low motives of viewing the performanc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featur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a significant levels of 1% and 5%. In other word, the group with higher internal as well as external motives enjoyed relatively greater satisfaction with service, performance and facilities than the group with lower motives. A big difference was also evident between the groups with higher and lower internal as well as external motives for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ance.

      • 고주파 증폭 기반의 주파수 스펙트럼 추정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 복원

        이정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고해상도 영상의 사용 분야가 많아지면서 사용자들은 고해상도 영상을 많이 필요로 한다. 하지만 영상 획득 장치들의 하드웨어적인 문제나 비용 문제, 저장 공간의 문제로 인해 직접적으로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는 대신에 여러 장의 저해상도 영상들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영상으로부터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저해상도 영상 획득 과정에 대한 관측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고 주파수 스펙트럼을 추정하여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이다. 고해상도 영상 복원 과정은 잡음 제거 단계, 블러 현상 제거 단계, 해상도 향상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 별로 성능을 향상시키고 계산량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잡음 제거 단계에서는 개선된 non-local means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 내의 잡음을 제거한다. 기존의 잡음 제거 방법들은 복원하려는 화소 근처에 있는 값들을 이용하거나 잡음에 대한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하였으나 non-local means 알고리즘은 영상 전체에서 비슷한 부분을 검색하여 복원함으로써 잡음 제거 성능을 높인다.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ID 맵을 이용한 개선된 방법을 사용한다. 두 번째 블러 현상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블러 현상의 원인을 정확하게 추정하고 복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블러 현상을 제거한다. 촬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형 모션 블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블러 현상을 유발하는 점 확산 함수에 대한 추정을 하고 반복적인 역 필터링을 통해서 영상을 복원해야 한다. 점 확산 함수의 추정 결과는 복원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정확하게 추정할수록 좋은 결과를 보인다. 영상 복원 방법은 Richardson-Lucy deconvolution 방법을 사용하는데 정확한 점 확산 함수를 추정하더라도 복원 결과에서는 반복 수행으로 인하여 물결 현상이 발생한다. 반복 횟수가 적으면 물결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반복 횟수가 많으면 계산량이 증가하고 영상 전체에 가우시안 잡음의 형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적절한 수의 반복 수행 이후에 물결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단계에서는 점 확산 함수의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 역 필터링 과정 이후의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 단계인 해상도 향상 단계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분석하고 해상도가 다른 영상들 사이의 관계를 정의하여 영상을 복원한다. 입력 영상에 대해 보간법을 이용하여 확대, 축소한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들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추정하는 고해상도 영상의 주파수 스펙트럼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추정하기 위해 다 해상도 영상들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조합하고 재구성된 스펙트럼을 역변환 하여 최종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본 단계에서는 해상도가 다른 영상들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고해상도 영상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추정하여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 단계별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잡음 제거 단계에서는 잡음 제거 정도가 기존의 방법과 유사하면서도 수행 속도가 기존의 방법에 비해 60% 향상되었다. 블러 현상 제거 단계에서는 추정의 정확성이 향상되어 좋은 복원 결과를 보이며, 후처리 과정을 거친 복원 영상은 정확하게 추정된 점 확산 함수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복원한 결과에 비해 영상의 유사도가 15% 정도 향상되었다. 해상도 향상 단계에서는 제안한 방법의 복원 결과가 쌍입방 보간법의 결과에 비해 영상의 유사도가 25% 정도 향상되었고 다른 초해상도 영상 복원 방법들의 결과와 비슷한 수준의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VISCOUS OIL과 DASHPOT을 이용한 바닥진동 저감용 스프링 마운트 개발

        이정호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solation system which is applied to the mechanical equipments or piping, duct etc. are composed with the rubber or coil spring, and i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rubber, it has high internal resistance by viscosity, so the amplitude of vibration is low in the resonance range, and its stability is high by the low transient response time for the vibration, so it has the merit that there is no surging for the coil spring, but relatively natural frequency is high so the isolation effectiveness is low, and also the ambient temperature or the chemical resistance are low so it is hard to maintain the constant material property. The coil spring has merit to secure the low natural frequency easy so it shows excellent isolation effectiveness, but the transfer rate for the resonance range is very high due to the incomplete damping properties and the surging is shown in the specific frequency in the demerit. This isolation system has limit to control the precision equipments such as MRI, semiconductor equipment demand the micro-vibration control by the existing rubber or spring isolation system, so for the precision equipments demand the micro-vibration control, the air mount which shows enough damping properties can be applied by securing 2-3Hz of low natural frequency often, but the price of the mount is high and it should maintain the Air Line and pneumatic system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pressure of Air Mount in configured separately, so it became a heavy burden on businesses for practical apply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Air Mount isolation performance and equivalent performance which meets the vibration criterion of precision laboratory through the performance experiment after all-in-one mounting design and production which does not need the separate damper and maintenance by composing the features of Dashpot having a constant damping ratio by the low frequency isolation characteristic of the coil spring, the viscosity of Viscous Oil and the geometrical features for effectively isolating the impulsive vibration and the steady-state vibration isolation at the same time by substituting the Air Mount for applying the isolation to the HVAC system and pump. 설비나 배관, 덕트 등에 적용되는 방진 시스템은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무의 경우 재료적 특성상 점성에 의한 내부 저항이 높아 공진 영역에서도 진동의 진폭이 낮으며, 진동에 대한 과도응답시간이 짧아 안정성이 높으며, 코일 스프링에서 발생하는 서징 현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고유진동수가 높아 방진 효율이 떨어지며, 주위 온도 변화나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낮으며, 일정한 물성치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코일 스프링의 경우 낮은 고유진동수를 확보함에 있어 유리한 장점이 있어 뛰어나 방진 효율을 보이나, 미비한 감쇠 성능으로 인하여 공진 시 진동전달률이 매우 높으며 특정 주파수에서 서징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방진 시스템은 미진동 제어를 요구하는 MRI, 반도체 장비 등 정밀 장비의 경우 기존의 고무나 스프링 방진 시스템으로 제어를 하는 것에 있어서 한계가 있어 미진동 제어를 요구하는 정밀 장비의 경우 2-3Hz의 낮은 고유진동수를 확보하면서 충분한 감쇠성능을 발휘하는 Air Mount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Mount 자체의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Air Mount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Air Line 및 공압 장치 등을 별도로 구성 유지해야하는 단점이 있어 실제 적용하기에 업체에 큰 부담으로 남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조설비 및 펌프설비에 방진적용 시 Air Mount를 대체하여 정상상태(Steady-state)의 진동 차진과 동시에 충격성 진동 또한 효과적으로 차진 할 수 있게 코일스프링이 가지는 저주파 차진 특성과 Viscous Oil의 점성과 기하학적 특징에 의하여 일정한 감쇠비를 가지는 Dashpot의 특징을 조합으로 별도의 댐퍼와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일체형의 마운트 설계 및 제작 후 성능실험을 통하여 정밀실험실의 진동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Air Mount 방진성능과 동등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 컴퓨터 프로그램 관련 발명의 법적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 특허법을 중심으로

        이정호 배재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전개되어온 컴퓨터 프로그램 관련발명에 관한 주요 이론 및 판례를 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특허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특허법 제2조(정의)의 규정을 중심으로 물건의 발명으로서의 컴퓨터 프로그램 발명에 관해 요구되는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논의된 내용은 다음 4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허성을 갖는다. 또한 이는 저작권의 대상인 컴퓨터프로그램 저작권의 보호를 통해서도 그 보호법익을 긍정할 수 있으므로, 배타권으로서의 특허권과 창작으로서의 저작권을 통해 적절하게 보호될 수 있다. 둘째, 컴퓨터 프로그램 발명을 저장매체 특허와 같이 그 본질적인 특성에 기한 보호가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새로운 거래관계 등에 대한 불합리를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민법의 물건에 관한 규정을 정보사회의 등장에 따라 새롭게 재해석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러한 재해석을 토대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시각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컴퓨터 프로그램은 현행 특허법의 실시규정의 개정을 통해 특허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물건의 발명으로 의제함으로써 법해석에 의존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불안정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현행 특허법에 “컴퓨터 프로그램은 물건의 발명으로서 특허의 대상이 된다”라는 별도의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보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문 신설은 다만 새로운 산업의 발생시마다 매번 정책적으로 이를 접근하여 특허의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논란이 될 수도 있으나 새로운 산업에 대한 신속한 법률에의 반영을 통해 그 보호법익을 인정함으로써 법률의 비보호영역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atter regarding reinterpretation of regulation in the working of invention on Article 2 in Korean Patent Law. Based on the legislative precedents, doctrines and decisions regarding to computer program related invention. This article was characterized on the patentability and the requisition of computer program invention. The contents which is discussed could be summarized with the next 4 followings. The first, a computer program has patentability. This can affirm a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hrough protection of the computer program copyright. And it can be protected suitably through copyrights as a creativity and patent right as an exclusive right. The second, this article is groped for new interpretation regarding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absurdity regarding the new trading relationship that is occurred because the computer program invention isn't protected fully based on the essential individuality like a storage medium.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interpretation about the regulation of product in civil law is occurred,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information society.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hange of recognition about computer program is raised in the field of patent. The the third, the computer program could be patentable through revisions of regulation regarding the working of the Patent Law. A legal fiction about the computer program as a invention of products could remove an instability which is caused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Patent Law. And the fourth, a newly established clause, "A person who invents a computer program may obtain a computer program patent" could protect the computer program inventions. A new clause could make a criticism about an extension of patent object because of a political deal every time new industry comes into being. But rapid reflection in a law about new industry could minimize a scope which is not covered by a law because of a protectiv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수원국 내 공간 분포 특성 : 한국의 중점협력국을 대상으로

        이정호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나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여전히 부의 양극화 문제는 전 세계적 관심사 이며 이의 해결을 위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모두가 잘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원 조자금을 투입하고 있으나 그 결과는 미지수이다.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은 공여국의 외교적∙정치적∙경제적 등의 목적에 의해 사용되어지며 수원국 내 어느 지역에서 하 는지는 관심을 받아오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의 공간 분 포를 분석함으로 국제개발협력 프로젝트가 공간적으로 어떠한 패턴을 보이는지 연 구하는 것은 개발지리학에서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 분포 분석을 위해 한국의 중점협력국 24개국을 대상을 선정했으며, 자료는 국 제원조투명성기구에서 제공하는 국제개발협력 사업들의 위치정보를 활용했다. 위치 자료를 기반으로 행정 구역 별 프로젝트 실시 수준과 인구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전체 사업, 분야별, 경제 수준별, 양자∙다자협력으로 나누어 인구와의 관계를 단순회귀분석한 결과 주요한 3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국제개발협 력 사업은 분야별로 공간 분포에 작은 차이를 보였는데, 보건 분야의 사업들이 공 간적으로 가장 균등하게 분포했으며, 농업과 교육 순으로 지역 배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다른 분야들에 비해 보건분야가 우선적으로 배분이 잘 이루 어진 결과로 추정된다. 두 번째로 경제 수준별로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중저협력국 에서 국제개발협력 사업이 공간분배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농업분야의 경우는 최빈국에서 공간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며, 이는 국가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농업 종사자 비율이 높음의 결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양자, 다자협력 간의 차이를 본 결과 양자협력의 회귀계수가 다자협력의 값보다 높게 나왔으나, R2값이 낮게 나와 회귀식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다자협력은 인구와의 단순회귀분석에서 회귀계수 값 과 R2값이 적정하게 나타나 양자협력에 비해 다자협력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자협력은 수도나 특정도시에 집중하는 반면 다자협 력은 전 지역에 골고루 분포함의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서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공간분포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개발도상국의 빈곤,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간 적 인식의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다. The world is developing continuously in remarkable ways, i.e., economic, political, and environmental relations, and these change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global wealth polarization. The current issues in global wealth polarization have been addressed in numerous ways with the aids from the developed countries. Even though the well-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contributed to uplift the developing countries with well-off community, the outcome of those implications are still uncertain. The international develop- men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development assistance, technical assistance, international aid, overseas ai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r foreign aid are financial aids given by governments and other agencies of donor countries to support the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or recipient countries. Although those projects are anticipated the diplomatic, political, and economic achievements in both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the anticipated progresses in recipient countries have been not received comprehensive courtesy. In this context, the ‘Development Geography’ has been taken a pivotal role in the analysi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to find out their spatial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in varying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categorized under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mainly focusing 24 recipient Korean ODA partner at regional level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Aid Transparency Initiative’. Based on the location data, the level of project execution achieved by the administrative region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was analyzed. In here, we presented three major results based on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nd population under the several categories, i.e., overall projects, sectors, economic levels,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At first,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showed a small difference in spatial distribution by sector and confirmed the most even distribution of the projects in the health sector, while there was a local distribution in the sectors of agriculture and education. Furthemore, this knowledge revealed that the priority distribution of ODA is given to the health sector compared to the other sectors in the selected recipient countries. At second, by concerning the economic level, we observed a well distribu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mong the lower middle income countries. A spatial distribution of agricultural sector was recognized in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consequences of a lower economic level in the country and higher proportion of agricultural workers. At last, a higher regression coefficient was resulted for the bilateral cooperation compared to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however, owing to the lower R 2 value the regression formula was not acceptable. According to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opulation with appropriate regression coefficient and R 2 values, an even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over the bilateral cooperation. Further, it revealed a uniform distribu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across the entire region, while the bilateral cooperation mostly involved in the capital or the certain cities. Consequently, an insightful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such as official develop- ment assistance (ODA) will greatly expand the spatial awareness to reduce the poverty and spatial inequ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 인플레이션이 북한의 체제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교사회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이정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2년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발생한 인플레이션이 과연 북한의 체제 안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인가? ‘북한 체제는 인플레이션을 이겨낸 중국처럼 개혁․개방의 길을 밟아 을 것인가, 아니면 인플레이션을 이겨내지 못하고 체제가 붕괴된 소련의 길을 갈 것인가? 게다가 제2차 북핵 위기의 와중에 미국 조야에서 개진되는 맞춤형 봉쇄 및 경제제재에 의한 북한 체제 붕괴론은 인플레이션이 북한 체제안정성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 라고 하는 의문들에 대해 연구하였다.$$a$$a이에 본 논문은 인플레이션이 체제의 변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던 Goldstone과 국가나 정권의 변동에 있어 지정학적 조건의 중요성을 밝혀냈던 Skocpol의 정치사회변동(혁명)이론을 기반으로 대안적 분석틀을 도출한 후 이에 맞추어 사회주의 개혁․개방 시기 소련과 중국, 7.1 조치 이후 북한에 대해서 비교사회주의적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Goldstone과 Skocpol의 경우 이미 발생한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실(史實)의 인과관계를 거시적인 측면에서 역사․구조적으로만 재조명하다 보니, 지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체제 변화의 유형이 나타날 수 있다는 미래 예측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창안한 대안적 분석틀은 공산독재 체제에서 매우 강력한 작용을 하는 지도자의 선택이라는 미시적 측면을 통합한 점이 특징이다.$$a$$a본 논문에서 창안한 대안적 분석틀에 따라 북한의 체제변화 경로를 예측해 보면 소련식의 체제붕괴의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 결국 중국식 개혁․개방의 길을 갈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판단하는 이유는 본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결론을 얻었기 때문이다.$$a$$a첫째, 미국의 북한 압박은 7.1조치 후 생긴 인플레이션에 의해 촉발되는 엘리트들의 체제적 좌절감을 억제시킨다. 북한이 비록 2002년 7.1 조치 이후 구조적으로 발생한 인플레이션의 심화 등에 의해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청년당원이나 청년장교 등 체제의 핵심 기간성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늘어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제2차 북핵위기와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인권문제와 위조달러 문제 등을 이유로 들며 미국이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것은 북한의 엘리트 등 체제 구성원들로 하여금 인플레이션에 의한 정치사회 불안정과 체제적 좌절감의 원인이 미국과 일본의 강력한 위협 때문인 것으로 오인(misperception)하게 만들거나, 강력한 위협을 행사하는 미국과 일본에게로 인플레이션에 의한 정치사회 불안정과 체제적 좌절감의 원인을 전가하는 투사, 또는 합리화 등의 심리학적 방어기제를 북한의 엘리트 등 체제 구성원들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게 만든다.$$a$$a미국이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현 상황은 소련과 중국이 미국의 참여 속에 조성된 데탕트 및 신데탕트라는 국제적 화해무드를 타고 사회주의 개혁․개방을 실시했던 때의 상황과는 정반대다. 또 사회주의 개혁․개방에 의해 인플레이션이 촉발될 때 국제적인 화해무드가 했던 역할은 소련과 중국의 엘리트들이 체제적 좌절감의 원인을 미국 등에게로 돌리지 않게 만들었으며 도리어 체제 내부로 향하게 만들어 결국 소련과 중국이 혁명적 위기상황을 맞도록 만들었다는데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북한 압박은 7.1조치 후 생긴 인플레이션에 의해 촉발된 체제적 좌절감을 북한 엘리트들이 체제 내부가 아닌 외부로 돌리게 만들고 있다.$$a$$a둘째, 중국은 북한의 핵보유 선언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중국위협론에 대항하기 위해 북한에 대한 전통적 영향권을 유지하려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후진타오 주석의 전면 등장으로 중국의 북한포기론이 개진되었지만 오히려 북한의 핵보유 선언에도 불구하고 북-중간에 여러 경제협정들이 연이어 체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역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중국의 북한 유화정책은 중국의 북한에 대한 전통적 영향권 유지 성향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미국도 일본처럼 중국의 문턱인 조선을 교두보 삼아 중국을 침략할 수 있기에 미국의 조선장악은 용인할 수 없다는 모택동의 한국전쟁 참전 당시의 언급이 상징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중국위협론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중국의 북한에 대한 유화정책은 향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중국의 1개 성(省) 규모도 안 되는 북한은 중국의 영향을 예전보다 더 받으면서 중국식 개혁․개방으로 체제변화 경로를 밟을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중국이 유화정책을 펴고 있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미국의 맞춤형 봉쇄는 성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a$$a셋째, 김정일은 식량난 등 경제난과 미국의 압박 속에서도 당․정․군 및 보안기구를 적절히 통제하고 있고, 인플레이션에 의한 부작용에 대해 나름대로 치리정돈을 하면서 동시에 반미정서 강조를 통해 내부를 단결시키고 있다. 소련이나 중국과 마찬가지로 북한도 7.1 조치 이후 구조적으로 생길 수밖에 없는 인플레이션의 부작용에 대해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실책으로 인플레이션을 더 심화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김정일은 중국의 등소평식 ‘지도자의 선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등소평이 군대를 동원해서라도 유혈 강경 진압했는데 김정일도 선군정치를 내세우고 있는 점이 비슷하며 또 김정일은 2006년 1월 중국을 방문하면서 등소평의 남순강화를 모방하였기 때문이다. 1989년 등소평의 보수파 선택은 소련의 고르바초프가 우유부단하게도 쿠데타가 발발하기 전 보수파나 급진개혁파 중 어느 한쪽을 완전히 지지하지 않아 결국 체제를 붕괴시켰던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a$$a This paper is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influences of the inflation after the economic management reform measures implemented on July 1, 2002 on the regime stability of DPRK? specifically, will the North Korean regime follow the example of China where the government has successfully overcome the inflation crisis and finally reformed and opened up its market, or, will it fail to outlive the inflation and face subsequent regime collapse just as the Soviet Union did? what is the role of the regime collapse through tailored confinement and economic sanctions,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middle of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in the effect of the inflation on the stabil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a$$a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introduces an alternative analytical frame based on the theories of Goldstone who has insisted that inflation affects the change of regimes, and Skocpol who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eopolitical conditions in the changes of nations or regimes, and analyzes the Soviet Union and China in the socialistic reform period as well as DPRK since the July 1 economic reform measures from the comparative socialistic perspective. The arguments of Goldstone and Skocpol have certain limitations in forecasting the diverse patterns of regime changes caused by different leadership choices, because they have recognized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f the Revolutions, which had already occurred, historically and structurally, only from a macroscopic view.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oposes the alternative analytical frame that integrates the microscopic aspect of a dictator''s choice, which, in reality, strongly affects a communist state.$$a$$aBy predicting the changing path of the North Korean regime using this fram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gime will follow the example of the China''s market reform and openness, not the Soviet Union''s case of regime collapse. This conclusion is from the following thre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a$$aFirst, the pressure from the United States will reduce the regime frustration of the elite class caused by the inflation after the July 1 measures. Although North Korea is suffering from the increasing wealth disparity and relative deprivation of the key members of its regime such as elite officers, the pressure from the United States resulting from the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e war against Iraq, the subsequent human rights issue and the North Korean dollar forgery claims will lead the elite group to the unconscious misperception that the main caus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and the regime frustration is the threat fr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not the inflationary pressure itself.$$a$$aThe current pressure from the US is the direct opposite of the international reconciliation period when the Soviet Union and China implemented the socialistic reform and openness policies supported by the international detente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US. In this situation, the international reconciliation mood allowed the elite groups in those communist countries to ascribe the regime frustration to the inside of their regimes, not to the United States, which, in the end, brought the revolutionary crisis situations on their regimes. On the contrary, the current US pressure on the North Korean regime has made the elite group blame the outside factors rather than the economic and political problems directly caused by the inflation after the July 1 measures.$$a$$aSecondly, China has tried to maintain its traditional influential power on North Korea regardles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s in a way to confront the US menace. When Hu Jin Tao took office, it was assumed that China would give up North Korea. Nevertheless, China is still in positiv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increasing mutual economic agreements as well as trade. China''s policy of appeasement toward North Korea needs to be understood as the nation''s intention of maintaining the traditional influence on North Korea. It reminds us of the Mao''s utterance in the Korean War that China would not allow the US to seize the Korean peninsula, as the US, just like Japan, could invade China. Therefore, China will maintain its policy of appeasement toward North Korea to face the US threat. As a result, North Korea, free from the China''s influence, will follow the Chinese market reforms and the inevitable path of regime change. regardless of the North Korean nuclear programs in a way to confront the US menace. Additionally, because of the China''s appeasement policy, the US will have difficulty succeeding in its tailored confin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a$$aThirdly, Kim Jung Il is effectively controlling the communist party, military authorities, security forces and politics under the serious economic crisis and the threat from the US. Also, he is successfully unifying its people by emphasizing the existing feelings of antipathy toward the US in dealing with the side effects of inflation. The North Korean regime has failed to cope with the side effects of inflation promptly and effectively, although the inflationary pressure was in due course after the July 1 economic reform. The regime has even aggravated the inflation with misguided responses. However, it is likely that Kim Jung Il will look to the Deng Xiao Ping''s ''leadership choice'' to tackle this issue. He has urged to have stronger military power just as Deng Xiao Ping used military force to face the regime crisis. Also, Kim imitated the Deng''s tour of southern China while visiting China in January 2006. Deng''s ''leadership choice'' of conservative factions in 1989 shows sharp contrast to Mikhail Gorvachev''s indecisiveness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radical reformists before the coup d''etat outburst, which finally led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regime.$$a$$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