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및 가족부담감에 관한 연구

        이정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사회복귀시설의 증가와 더불어 정신장애들의 이용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그 가족의 가족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확인하여 향후 사회복귀시설의 운영전략 및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 사회복귀시설 8개소(종합훈련시설 7개소, 주거시설 1개소)를 이용한 정신장애인 108명과 그 가족 90명이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6년 7월부터 8월까지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양옥경(1994)이 개발한 대상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와 Montgomery 등(1985)이 개발한 가족의 부담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문항의 빈도와 백분율, 평균값,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포를 확인하였고, 주관적 삶의 질과 가족부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짝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의 평균점수는 2.67점으로 보통수준의 삶의 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복귀시설 이용 전ㆍ후의 1년 동안 입원기관과 입원기간을 비교해 볼 때, 병·의원급 입원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입원기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셋째, 사회복귀시설 이용 전·후 주 보호자 가족부담감은 전체적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넷째, 환자의 주거형태에 따른 가족 부담감은 임대에 사는 사람의 가족부담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2.206, p=0.030). 본 연구 결과, 사회복귀시설 이용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가족의 부담감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조직, 민간단체는 정신장애인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재활복지정책을 마련하고 정신장애인과 그 가족이 보다 더 건강하고, 가치 있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 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주요용어 :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삶의 질, 가족부담감,

      • 초등학교의 학습조직 수준과 교육활동의 질의 관계 연구

        이정자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학습조직 수준과 교육활동의 질의 관계를 연구하여 학습조직 수준의 정도에 따라 교육활동의 질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의 학습조직 수준이 학교 특성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둘째,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의 교육활동의 질이 학교 특성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셋째,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의 학습조직 수준과 교육활동의 질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다. 넷째,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의 학습조직 수준이 교육활동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217개 학교를 선정하여 총1,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255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답변한 것을 제외하고 총 1,144부를 SPSS PC^+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분석 방법은 Pearson r 상관분석과 t-test, 그리고 일원변량분석(f-검증). 중다회귀분석이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조직의 수준을 학교 특성별로 살펴보면, 지역별 학습조직의 수준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요인인 '목적과 비전'에서 서울의 강북 지역이 가장 높고 경기 면지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규모별 학습조직의 수준 차이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별 학습조직 수준 의 차이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조직의 수준은 학교 특성으로 보이는 지역별, 학교규모별, 학부모 사회 경제적 배경별에 따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무관한 것으로 보여 진다. 다음으로 교사들이 인식한 교육활동의 질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별 교육활동의 질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육활동의 질을 서울 강북 지역에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기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규모별 교육활동의 질의 차이는, 학습조직의 수준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별 교육활동의 질의 차이도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교과교육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은 학교 군이 교육활동의 질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조직의 수준과 교육활동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전체적으로 두 변인간의 상관계수는 r=.68로 매우 높은 상관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학습조직의 하위 요인과 교육활동의 질의 하위 요인간의 관계도 모두 r=.40~.58(p<.001)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학습조직 수준의 하위요인 중에서 '목적과 비전'은 교육활동의 질과 r=.64의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으며. 교육활동의 질 하위요인에서 도 학습조직 수준과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r=.65로, '생활지도'가 r=.60으로 높은 상관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학습조직의 수준에 따라 교육활동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조직의 수준을 중앙값(Md)을 중심으로 고/저 집단으로 나누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중앙값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학교를 고 집단으로, 중앙값보다 점수가 낮은 학교를 저집단으로 나누어 각 하위요인 별로 교육활동의 질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학습조직의 수준에 따른 교육활동의 질을 살펴보면, 전체 적으로 학습조직의 수준이 높다고 평가된 학교 군이 수준이 낮게 평가된 학교 군보다 교육활동의 질에서 모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조직의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교육활동의 질이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교육활동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학습조직의 수준을 높여야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하위 요인별로 보면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과 '생활지도'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 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학습조직의 수준이 높은 집단일 경우, 교육활동의 전 영역에 걸쳐서 유의미하게 높은 질적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끝으로, 학습조직의 수준이 교육활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특성별 요인을 통제하고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인 교육활동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조직의 수준은 「지식의 전이」가 38.8%, 「목적과 비전」이 9.6%, 「실험정신」이 1.4%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교육활동의 질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력은 「교과교육활동」에서 「지식의 전이」가 23.0%, 「목적과 비전」이 6.9%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해서는 「실험정신」이 29.1%, 「목적과 비전」이 8.0%, 「팀웍과 협동」이 3.0%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별활동」에 대한 영향력은 「목적과 비전」이 22.9%, 「지식의 전이」가 5.0%, 「실험정신」 이 1.2%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지도 」에 대한 영향력은 「지식의 전이」가 27.7%, 「목적과 비전 」4.9%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교육활동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vari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by vie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in primary schools. The following study contents are fixed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I analyzed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in primary schools by their characteristics, which is perceived by teachers. Second, I analyzed the quality of school's education activity in primary schools by their characteristcs, which is perceived by teachers.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school's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quality of its educational activity. Fourth, I analyzed the effects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A Total of 1,25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17 primary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areas. Among them, 1,144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earson r correlationship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The SPSS PC+ 10.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as a who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by area. However, looking at by subordinate factors, the level of 'objective and vision' factor was the highest in the area north of the Han river in Seoul and the lowest in the Kyonggi area. As for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by school siz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s a whol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by students'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Second, as for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perceived by tea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eachers in the area north of the Han river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in their school most highly, while teachers in Kyonggi area were relatively not. As for the difference by school size and by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However, looking at by subordinate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 education activity': the quality was perceived as the highest in the schools where the average level of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is relatively high. Thir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is r=.68.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ordinate factor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of r=.40~.58 (p<.001). Especially, the 'objective and vision' among other subordinate factor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f r=.64.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educational guida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of r=.65 and r=.60 respectively. Finally, controling for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size, area, and the average level of par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Learning Organization, 'knowledge transfer', 'objectives and vision', and 'the spirit of experiment' explain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by 38.8%, 9.6%, and 1.4% respectively. As for the effect of each subordinate factor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ing-learning activity, 'knowledge transfer' and 'objectives and vision' explain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by 23.05 and 6.9% respectively. As for their effects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he spirit of experiment', 'objectives and vision', and 'teamwork and cooperation explain it by 29.15, 8.05, and 3.0% respectively. In regards to their effects on the management of extracurricular activity, 'objectives and vision', 'knowledge transfer' and 'the spirit of experiment' explain it by 22.9%, 5.0%, and 1.2% respectively. 'knowledge transfer' and 'objectives and vision' explain the quality of educational guidance by 27.7% and 4.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ools need to make themselves a Learning Organization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y.

      • 中學校 環境敎育을 爲한 멀티미디어 CAI 프로그램의 開發

        이정자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ultimedia CAI program to enhanc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developing the program, the related literature study and new multimedia technology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stablish development directions and design strategies. Authorware 5.0 for Windows from Macromedia Co. was used to develop the program as hypermedia,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kinds of multimedia such as images, videos, etc.. The final product was to be disseminated in the form CD-ROM title. This program will have important role in enhancing environmental education as follows, 1) The program is the most updated multimedia too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based on th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2) This program consists of four divisions including various images and videos and it is attracting learners by exploring the virtual scenarios. 3)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 students have to retrieve and analyze the information storage while solving the environment pollution problems. 4) Through the activitie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s, the students obtain the appropriate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성숙도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이정자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maturity level ,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maturity level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Thir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by the teacher's maturity level?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about two hundred and thirty teachers in Chungbuk province. The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eacher's maturity level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Taekyung(2002), LBDQ(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and KTO(Korean Teacher Opinionnaire). To analyze their responses, the descriptive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the one-way ANOVA, and the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maturity level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in the high level of teacher's maturity.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style and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in the low level of teacher's maturit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teachers have to have high level maturity. Second, school principals are required to show efficiency leadership style to improve teacher's degree of job-satisfaction. Third, school principals are not required specified leadership styles to improve the level of teacher's job performance in the high level of teacher's maturity. But school principals are required to show efficiency leadership style , human relation types and task types improve the level of teacher's job performance in the low level of teacher's maturity.

      • Ni 합금전착층의 기계적 성질과 내부응력에 관한 연구

        이정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the hard chrome plating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products that need for wear resistance and high hardness, has raised environmental concerns due to harmful Cr+6, many surface treatment method have been investigated to replace the chrome plating. Among those methods, Ni-based alloy electrodeposition has drawn attention because it is known to exhibit excellent wear resistance, hardness, corrosion resistance and releasing property. In this study, Ni-based alloys where P, W and B are added respectively have been studied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ose alloys have been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such as composition, current density and temperature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focused on minimizing the internal stress to suppress crack generation which has been highlighted as a problem in Ni-base alloy and chrome plating as well.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ardness and internal stress in each of the process conditions, the methods which can minimize the internal stress without degradation of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have also been studied. In the Ni-P electroplated alloy, the current density change did not affect the hardness and internal stress of the alloy. P content of the deposited laye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urrent density, and the electrodeposition efficienc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deposition efficiency was largely dependent on the P content in the deposited layer, and increased efficiency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P content. And the more the current density is reduced, that is, the more the P content increases, the deposited layer becomes more amorphous state. In the Ni-W electroplated alloy, The current density was foun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cracking and internal stress of the deposited layer. As the current density increases, the internal stress and hardness increased remarkably. As the deposi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internal stress is decreased, and the internal stress of less than 10kg/mm2 was obtained at deposition temperature of 80 ℃ and current density of below 0.8A/dm2. In addition, since the hardness of the Ni-W alloy electroplated layer does not dependent on the deposition temperature, minimizing of the internal stress without loss of hardness was confirmed by rais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All the internal stress and hardness were affected by the W content and crystallite size of Ni-W alloy electroplated layer. The internal stress was reduced with the reducing of W content and increasing of grain size, while the hardness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W content and decreasing of grain size. And in order to obtain the internal stress value of less than 10kg/mm2, it was found that the hardness should be remained below 550VHN. In the Ni-B ectroplated alloy, the concentration of DMAB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the internal stress. As the concentration of DMAB was increased, the internal stress and hard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eposi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 internal stress was decreased, and the lowest internal stress was obtained at the condition of the DMAB 0.03g/l, 3A/dm2 and deposition temperature of 65 ℃. The hardness of the Ni-B alloy deposited layer also did not show a dependence on the deposition temperature. Thus, Ni-B alloy same as in the case of Ni-W alloy electroplated , control of the internal stress was possible without loss of hardness by controll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All the internal stress and hardness were affected by the B content of the Ni-B alloy and Crystallite size deposited layer. The internal stress was reduced with the reducing of B content while the hardness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B content and decreasing of grain size. And in order to obtain the internal stress value of less than 5kg/mm2, it was found that the hardness should be remained below 600VHN. In the Ni-based alloy deposited layer for Ni-W and Ni-B alloy, the current density is increased with the hardness increase, and the hardness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the content of each alloy and crystallite size. However, it did not show a dependence on the deposition temperature in these electrodeposited alloys. In the Ni-W and Ni-B alloy on the other hand, it clearly showed that the hardness tends to decrease as the deposition temperature increases. Therefore, it showed that desirable hardness and internal stress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such as alloy concentration of W and B and current density which affect hardness and the electrodeposition temperature which affect internal stress. In this study of Ni alloy electrodeposition, deposition temperature was the process parameters that can contribute to minimize the internal stress and maintain the hardness through the review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hardness and internal stress. And by targeting the process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ternal stress, contour map of the internal stress was completed, which can be used as the main reference for the application of the Ni alloy electrodeposition in related industries. 경질크롬도금은 높은 내마모성, 경도 및 내식성 등으로 인하여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경질크롬도금을 대체하기 위한 습식도금법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Ni계 합금전착은 우수한 내마모성, 경도, 이형성 및 부식 저항성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최근 경질크롬도금을 대체하기 위한 표면처리법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기본으로 하여 기존의 6가크롬 도금 대체가 가능한 니켈도금에 텅스텐, 인, 붕소 등을 공석시키는 Ni 합금전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Ni 합금전착의 기계적 성질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경질크롬도금에서와 마찬가지로 Ni 합금전착의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합금전착층의 내부응력 최소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각각의 공정조건에서 경도와 내부응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여, 경도와 내마모성의 저하없이 내부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Ni-P 합금전착에서 전류밀도 변화에 따른 경도 및 내부응력은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전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착층의 P 함량은 감소하고, 전착효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전착효율은 전착층의 P 함량에 가장 크게 의존하였으며, 전류밀도 증가에 의한 효율증가는 P 함량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전류밀도가 감소할수록, 즉 P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착층은 비정질화함을 확인하였다. Ni-W 합금전착에서 전류밀도는 전착층의 균열과 내부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변수중의 하나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내부응력과 경도 값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전착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응력은 감소하였으며, 전착온도 80℃에서는 전류밀도 0.8A/dm2이하에서 10kg/mm2이하의 내부응력값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Ni-W 합금전착층의 경도는 전착온도에 대한 의존성을 보이지 않아, 전착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경도의 손실없이 내부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부응력과 경도 모두 Ni-W 합금 전착층의 W 함량과 Crystallite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응력은 W 함량이 감소할수록 결정립 크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경도의 경우에는 W 함량이 증가할수록 결정립 크기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서로 상반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그리고 10kg/mm2이하의 내부응력 값을 얻기 위해서는 경도 값은 550VHN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Ni-B 합금 전착에서 DMAB의 농도는 내부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변수 중의 하나인 것이 확인되었다. DMAB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내부응력과 경도 값은 크게 증가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전착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응력은 감소하였으며, 전착온도 65℃에서는 DMAB 0.03g/l, 3A/dm2의 조건에서 가장 낮은 내부응력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Ni-B 합금전착층의 경도는 전착온도에 대한 의존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Ni-B 합금전착의 경우도 Ni-W 합금전착의 경우와 같이 전착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경도의 손실없이 내부응력의 제어가 가능하였다. 내부응력과 경도 모두 Ni-B 합금 전착층의 B 함량과 Crystallite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응력은 B 함량이 감소할수록 감소하였으며, 경도의 경우에는 B 함량이 증가할수록 결정립 크기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서로 상반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그리고 5kg/mm2이하의 내부응력 값을 얻기 위해서는 경도값은 600VHN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Ni 합금전착층에서 Ni-W, Ni-B 합금전착의 경우 전류밀도가 증가하면 경도가 증가하였고, 경도 값은 각 합금함량과 Crystallite 크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합금전착에서 전착온도에 대한 의존성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Ni-W과 Ni-B합금에서 경도는 전착온도가 상승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경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착전류밀도, W, B등의 합금원소의 조성과 내부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변수인 전착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면 원하는 경도와 내부응력을 갖는 전착층의 형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Ni 합금전착에서 경도와 내부응력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전착온도가 경도를 유지하며 내부응력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공정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부응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공정변수를 대상으로 하여 내부응력의 등고선 지도를 완성하였으며, 이는 추후 관련 산업 분야에서 Ni 합금전착기술의 적용에 있어 주요한 참고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단위학교 재정운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교육청을 중심으로

        이정자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단위학교는 상급기관의 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만을 주로 해왔다. 그러나 이제 단위학교에 권한위임을 증대하여, 실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현장에서 각종 자원 활용에 대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단위학교에 책임을 지고 교육활동을 운영해 나가는 학교단위 책임경영이 필요한 시점이다. 효과적인 학교단위 책임경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재정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확보된 교육재정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학교교육의 질과 생산성이 달라질 수 있다 하겠다. 따라서 단위학교 재정운영 제도의 고찰을 위해 교육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의사결정권을 교육행정기관으로부터 단위학교로 위임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학교단위 경영제도와 이런 학교단위 경영제도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단위학교의 교육활동 수행에 필요한 경비를 조달·관리·지출하는 단위학교 재정제도의 전제조건과 효과, 학교회계제도를 통해 단위학교 재정운영 현황에 대해 논하였다. 그리고 단위학교 재정 운영의 문제점을 먼저 살펴본 후 이 문제점에 해당하는 개선 방안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학교자체수입 미비, 학교교육비 배분 방식의 문제, 학교발전기금의 조성 문제 등의 재정 확보 방안상의 문제점, 그리고 예·결산 심의과정, 교직원과 학교운영위원회의 관심과 자질,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 및 평가방법 등의 민주성 확보상의 문제점, 현금주의와 단식부기, 보고체제의 비합리성, 학교회계제도상의 재정운영체제의 통합문제 등의 관리기법상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첫째, 단위학교 재정운영의 민주성 확보 방안으로는 예산심의과정의 합리화, 학교예산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 변화, 결산심의위원의 자질 향상, 학교운영위원회의 의결기관화, 감사보다 평가기능 강조 등을 제시하였다. , 둘째, 단위학교 재정의 확보 방안으로 학교교육비 비중 증가· 총액 배부를 통한 학교교육비의 부족 해결, 학교발전기금 조성, 교당경비와 급당경비 기준이 아닌 계열별, 학교급지별, 학생수별, 교원수별, 건물유지비용, 행정장비 유지비용 등의 세부기준에 의한 교육재원 배분 기준 마련을 제시하였다. 셋째, 단위학교 재정운영 관리기법상의 방안으로 발생주의와 복식부기의 개념 및 도입 필요성, 복식부기 회계에서의 예·결산, 단위학교 재무보고의 적절한 기능 등의 기업회계 개념의 도입과 급식비, 방과후학교교육비의 학부모부담수입 편성 제외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역량 비교

        이정자 동의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청소년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비행이나 범죄로부터 보호하고 예방하려는 차원에서 벗어나 청소년을 독립된 생활인으로 전제하고 그들이 가진 잠재된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청소년들이 가정과 학교생활, 더 나아가 직장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시민의식을 가진 생활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생활역량을 함양해 나가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청소년 생활역량과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다양한 이유와 목적을 가지고 학교를 떠난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역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역량을 측정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교육적인 개입이나 정책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자료수집에 있어서 청소년 생활역량 검사를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교 청소년과 부산광역시 및 울산광역시, 경남지역의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에 소속된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학교 청소년은 222부, 학교 밖 청소년은 127부, 총 349부를 결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