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트랙기반의 수중로봇 구조 및 추진체 설계 연구

        이재헌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thesis, The design of UTR(Underwater Track Robot) which has the benefit of Remotely Operated Vehicle and Track Robot. The UTR was designed to be able to operated in 100m water. It is connected with the USV(Unmmaned Surface Vehicle), and able to follow the path of USV. Its body is linked by a cable with the USV which has power and communication line inside. The control box, motor cylinders, and harmonic cylinders were designed in order to resist the pressure under 100 m water. The control box is located in the back side of body. The motor driving part which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body, is covered by horning pipes, so that it can be a water proof. The total mass estimate of UTR is calculated as 100 kg. The driving part of UTR was design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speed using 150 W motors. Then, the motor capacity of the driving part and water proof of them were studied. For the driving part and control box, pressure-resistant analysis and buckling analysis enduring the pressure of the 100 m depth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dynamics of UTR, the design of the caterpillar wheel and its width on the soft sediment were studied.

      • 원전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 이후 원자력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분석

        이재헌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Local neighboring residents of Gori Nuclear filed a suit against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KHNP) on July, 2012. After 2 years, in 2014, Busan Eastern District Court made a partially favorable judgement on the plaintiff in the first trial to raise the controversy about relation of nuclear power plant and thyroid cancer, which came to increase ambiguous anxiety about living near the nuclear power plant, and negative perception about acceptability of nuclear power to the residents. Nuclear policy, being in the midst of the policy conflict, requires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local residents of nuclear power, including national support, to be successfu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national opinions and attitude about it, in order to secure acceptability about nuclear power plant. Regarding the mentioned,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idents of Busan, is to make a basic data for nuclear policy with the national acceptability considered, by understanding the national perceptional change after the litigation on damage of thyroid cancer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 and perceptional gap between the residents in the neighboring area and remote area of nuclear power plant. Materials and methods: The survey was modified,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consist of (1) risk, (2) preference and economics regarding type of power, (3) perception about the litigation on damage of thyroid cancer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 (4) perception of nuclear power, (5) attributes of media information. Research materials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verified by χ2 test , t-test, one-way ANOVA with attributes of factors considered. The relation of Nuclear power plant relating perceptional sub-factors(acceptability, risk, credibil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is. Result: In order to analyze perceptional gap between the residents in the neighboring area and remote area of nuclear power plant before the litigation on damage of thyroid cancer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 two sample t-test was used, and the result was that the residents in the neighboring area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in general than those in the remote area of the nuclear power plant. Also, to measure perceptional change about nuclear power before and after the litigation, paired t-test was used, and the result was that, in general, perception grew more negative, and the credibility about safety of nuclear power went lower. Next, analyzing the influence of factors on acceptability of nuclear power after the litigation, the result was that the risk of nuclear power had negative(-) effect, and the credibility of nuclear power positive(+) effect, in the aspect of acceptability of nuclear power. Conclusion: On the litigation on damage of thyroid cancer around the nuclear power plant, national perception about nuclear power seemed to change. Especially, notwithstanding the litigation, residents in the remote area were foun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 on acceptability of nuclear power after the litigation. However, the perception about safety and credibility of nuclear power appeared to be negative, giving double perception conflicting with acceptability. Based on the findings, residents in the remote area seems to suspect the safety, even though they admit the advantage and necessity of nuclear power in principle. Therefore, for the constant increased use of nuclear power in the future, national understanding and credibility, includ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nation or the residents in the neighboring area of nuclear power plant, will be necessary. 목적: 2012년 7월 고리 원전 인근주민이 한국수력원자력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였다. 소송 제기 2년여 후인 2014년 부산지법 동부지원은 1심 선고를 통해 원고 일부 승소의 판결을 함으로서 원전과 갑상선암의 관계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원전인근지역 주민에게 거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나아가 원자력 수용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원자력 정책은 대표적인 정책 갈등의 영역으로써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 특히 원자발전소가 입지한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는 원자력 정책의 성패를 좌우하는 필수조건이 되었다. 따라서 원자력에 대한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태도와 견해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원전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 이후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동일한 행정구역내에서 원자력발전소 인근지역과 원자력발전소와 다소 떨어져 있는 시내권에 거주하는 주민간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수용성을 고려한 원자력 정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설문 내용은 기존 연구의 설문문항을 토대로 본 연구목적을 고려하여 수정하였으며 (1) 위험, (2) 발전방식에 대한 선호도 및 경제성, (3) 원전 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에 대한 인식, (4) 원자력에 대한 인식, (5) 매체 정보 특성 등을 평가하도록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변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χ2 test , t-test,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원자력 인식에 대한 하부요인(수용성, 위험성, 신뢰성)들 간의 관계는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원전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 이전 원자력 인식에 대한 원전인근지역 주민과 시내권 주민과의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원전인근지역 주민들은 시내권 주민보다 원자력 전반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원전 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 전후 원자력에 대한 인식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해졌고, 특히 원자력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원전 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 이후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원자력 수용성에 있어서 원자력 위험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자력 신뢰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원전 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전 주변 갑상선암 발병 피해 소송 사건에도 불구하고 시내권 주민들은 사건 이전보다 더욱 원자력 수용성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원자력 안전성과 신뢰성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어 원자력 수용성과 상반되는 이중적인 인식을 보였다. 이는 부산광역시 시내권 주민들의 경우 원자력의 편익, 필요성 등을 원칙적으로 인정하나 안전성에 대해서는 의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원자력의 이용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올바른 이해와 신뢰 그리고 무엇보다 국민 또는 원전인근지역 주민들과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최승자 詩의 自我意識 연구

        이재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승자(1952~ )는 지배질서에 대한 존재론적 비의의 탐구를 치열하게 추구해온 시인으로 1979년「이 時代의 사랑」을 발표(계간『문학과지성』가을호)하면서 시단에 나왔다. 그의 자아의식을 통해 명확하게 증폭되고 있는 것은 ‘존재의 결여’에 대한 치열한 몸부림이다. 그는 불일치와 분열의 시대적 위기에 대한 담론을 형성한 가운데 억압 실체와 소통할 수 없는 자아 균열현상을 명확히 인식한다. 그의 시에서 내밀한 자아의식을 형성하고 있는 경향을 살펴보면 통제할 수 없는 자율성과 강박적인 격정이 개입한다는 사실이다. 그의 욕망 가운데 가장 뚜렷하게 문제가 되는 것이 ‘억압’으로써 그가 체득한 억압은 행동양식인 무의식의 형태로 저장되었다가 어느 순간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활동한다. 그는 자아의식을 통해 세계와의 팽팽한 긴장 속에 억압되었던 욕망이 명료하게 살아나고 있는 궤적을 보여줄 뿐 아니라 ‘단절 인식’과 철저한 ‘소외의 괴리’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실제 분석과정에서 그의 무의식 속에 함축된 욕망이 의식화될 때 현실에 대해 극도의 반발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억압적 삶에 대한 원인을 내면의 욕망과 호흡하지 못하는 자아에게서 찾기 때문이다. 그가 활동했던 70~80년대는 군부독재체제와 산업화로 이어지면서 계층과 세대간의 대립과 대결이 치열했던 폭압의 시대로 파국으로 치닫는 현실적 억압에 시달린다. 그는 존재 결핍의 체험을 통한 자아의식의 발현이야말로 지각의 산물임을 스스로 자각하고 감각적 인식의 범주를 넘어 여성을 불안과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폭력성에 대해 고발한다. 일곱 권의 시집 속에 수록된 총 519편의 시편들은 명확히 인식한 시대 상황을 낱낱이 해부하며 무의식 속에 각인된 억압 실체를 철저히 드러낸다. 그는 극한의 불안으로 치닫는 시대중심에서 자아의식의 영토를 넓히고 전체정신에 접근해 가는 작업을 시행해 간다. 욕망을 의식화하는 과정에서 시의 거점으로 확립된 전율과 공포의 자아의식을 원체험으로 견지하며 억압적 삶을 통찰한다. 이를 통해 그의 시 쓰기는 감정적 충격의 형태로 작용하여 자아의식의 기능을 지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를 지배해 왔던 죽음 충동이 자아의식의 중심적 위치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통제력을 상실한 억압적 욕망을 강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응축된 자아를 억누르고 있는 소외와 절망의 강도가 만만치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시적 표출은 감성적 언어와는 달리 고통과 절망으로 침윤된 시대적 불안에 대응하는 확고한 현재성으로 억압적 현실을 단죄하고 전복하려는 치열한 투쟁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죽음 충동의 고통을 처절하게 노래함으로써 삶을 붕괴시켜 왔던 시대적 절망을 뛰어넘으려 한다. 그는 폐쇄적이고 파행적인 시대에 대한 욕망을 의식화해서 다양한 자아의식의 영토를 넓힐 뿐 아니라 무의식을 의식화해서 전체정신에 접근해 가는 중이다. 인간의 욕망은 의식적 방어기제가 약해지는 순간에 드러내기 때문에 인간정신의 심층을 포괄하고 있는 무의식이 언어와 같이 구조화되어 있다는 것은 라캉의 중심 논제기도 하다. 후기 시로 갈수록 가학적이거나 피학적인 자아 폐쇄성에서 벗어나 여성성을 회복하려는 의지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는 것은 대상과의 합일을 지향하고 있는 본질적 욕망에 기인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동시에 자아와 대상을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자아 성찰로 자기실현에 도달하고자하는 욕망에 비견된다. 인격의 변환과 성숙이 자아의식의 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볼 때 그의 시 쓰기는 궁극적으로 세계와의 화해를 열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존재론적 갈등을 감싸안으며 현존재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그가 근원적 존재의미를 추구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너’와의 대립과 대결이 결국 충돌과 갈등뿐이라는 현실을 자각하고 ‘나’의 결핍을 연민과 사랑으로 반응하여 깊숙이 침전된 상처들의 환기를 꾀한다. 그는 점차 세계와의 소통이 불가했던 자아를 간파하고 억압된 욕망의 개성화를 통해 반전의 결연함을 보인다. 그의 정체성을 확장시키고 있는 ‘고통’은 결정적으로 ‘자아 성찰’로 작용하며 지극한 시적 층위의 긴장력을 확보한다. 본고는 시적 질료로 순치되고 있는 자아의식의 분석을 통해 시의 가치 획득과 자아 실존이 심화되고 있는 최승자의 욕망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무상증자공시가 주가와 주식거래량에 미치는 영향

        이재헌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상증자는 주주로부터 실질적인 자본의 유입없이 장부상의 자본잉여금과 이익잉여금의 일부가 자본금으로 변경되면서 주주들에게 주식의 형태로 무상분배하는 제도이다. 이론적으로 무상증자의 공시는 기업의 실질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론적 주가는 분배 비율만큼 하락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논문결과는 무상증자 공시후 기업 주가는 항상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목에서 말해주듯이 무상증자 공시가 주가와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기업 여러변수의 변동을 알아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자료는 1998년부터 2002년 사이에 증권거래소에 공시된 무상증자 기업을 사용하였다. 무상증자 공시기업중 유상증자나 합병, 분할 등 일일수익력에 영향을 미칠 만한 사건이 분석기간에 발생한 기업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기본적으로 공시일 전후의 초과수익율 분석과 거래량 변동 분석을 실시하였고, 7개의 변수를 넣어서 횡단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간단한 재무비율을 통해서 공시일 전후의 재무비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무상증자 공시는 주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공시일 전후에 초과수익력이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보통 공시일 -4일 전부터 주가가 상승하여 공시일 후에도 어느정도 기간까지 초과수익이 계속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기준수익율로 종합주가지수와 업종별 주가지수 모두를 사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는데 둘 수익률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공시일 후의 주식 거래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무상증자후 주식 유통성이 증가한다는 이론과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증자비율별로 누적 초과수익율을 계산하였는데, 높은 증자비율을 한 기업이 높은 초과수익율을 얻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두 기업집단간의 초과수익율의 차이는 현저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7개의 변수를 넣어서 초과수익율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이 중에서 현금흐름 증가율과 경상이익 증가율이 유의한 값을 보이고 나머지는 유의한 값을 보이지 않았다. 기업규모변수가 유의한 값을 갖지 않아 주의환기가설을 증명하지 못했고, 유동비율도 유의한 값을 갖지 못해 유동성가설도 증명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무상증자 전후로 주요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현금흐름, 기업규모, ROA, 현금배당액, 주가시가총액에 대하여 공시일을 중심으로 -2/+2년간의 CAR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결과가 고CAR기업이 저CAR기업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서 무상증자 공시의 단기효과가 큰 기업일수록 중장기 변수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 실질의 변화가 없는 무상증자에 대해서 주가가 상승하는 시장이나 투자자의 반응이 어느 정도 옳았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경영자의 입장에서도 고CAR기업일수록 기업의 여러비율이 향상되었으므로 무상증자를 함으로써 기업의 호재를 외부로 알린다는 평판가설이나 신호가설도 증명하고 있다.

      • 대전지역 초등학생의 비만수준과 관련 요인

        이재헌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besity rat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Daejeon and relevant factors such as social-demographical factors, genetic factors, birth factors, diet factors and intelligence factors. For the research, 443 fourth grade students, 405 fifth grade students and 417 sixth grade student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ample-surveyed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rmal-weight group, mild obesity group, and moderate or greater obesity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total obesity rat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chool district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14.2%; the rate of mild obesity is 7.2%; the rate of moderate obesity is 5.5%; and the rate of severe obesity is 1.5%. The obesity rate of surveyed boys is 16.9%, and the obesity rate of girls is 11.1%. 2. The obesity rate of students who are in the upper class of social-economic status or whose parents have high BMA is notab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Diet factors are more critical than physical activity factors. The amount of meals, eating speed, and meal frequency are the most important of diet factors. The preference of greasy food is also one of the critical factors. 3. The significant factors for boys' obesity are mothers' BMI, eating speed, constant demand of foods, preference for greasy foods, frequency of eating snacks, daily hours of watching TV, and after-school study programs. The significant factors for girls' obesity are fathers' BMI, mothers' BMI, living standards, constant demand of foods, preference for greasy foods, frequency of eating snacks, and daily walking hours. 4. It was found that students' subjective mind and objective health index are related to obesity. In the case of obese students, they have more concern about their health and more stress from the dissatisfaction of their physical appearance than normal students. The result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incidence rate of the hyperpiesia in the obese student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In particular, the incidence rate of the severely obese or greater student group is 6.8%. From the above evidences, it is apparent that the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strong relations with eating habits rather than physical activities. It is important that healthy eating habits should be formed in early age before establishing the living tendency. It is to be hoped that obesity prevention programs such as effective meal guidance, parental guidance for TV viewing, and intense physical activities will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s of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팔신경얼기 말단가지를 구성하는 신경섬유의 개수 : 척수분절에 따라 집계한 계측학적 연구

        이재헌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팔신경얼기의 말단가지를 구성하는 척수분절에서 참여하는 신경섬유의 개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5가 주요성분인 말단신경으로는 어깨위신경으로 나타났다. 2. C6가 주요성분인 말단신경으로는 근육피부신경과 위어깨밑신경으로 나타났다. 3. C7이 주요성분인 말단신경으로는 정중신경, 노신경, 가쪽가슴근신경 및 가슴등신경으로 나타났다. 4. C8이 주요성분인 말단신경으로는 자신경과 안쪽가슴근신경으로 나타났다. 5. T1이 주요성분인 말단신경으로는 안쪽위팔피부신경과 안쪽아래팔피부신경으로 나타났다. 6. 그 외 겨드랑신경의 경우 구성하는 척수분절인 C5와 C6에서 비슷한 양의 신경섬유가 나왔다. After the counting the paritciapting fiber numbers according to the spinal rami of the terminal branches of brachial plexus following results was obtained. 1. The main components of the terminal braches derived from C5 was suprascapular nerve. 2. The main components of the terminal branches derived from C6 was musculocutaneous and upper subscapular nerves. 3. The main components of the terminal branches derived from C7 was median, radial, lateral pectoral and thoracodorsal nerves. 4. The main components of the terminal branches derived from C8 was ulnar and medial pectoral nerves. 5. The main components of the terminal branches derived from T1 was medial brachial cutaneous and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s. 6. In the axillary nerve, comprising component of C5 and C6 was almost equal of the fiber numbers. In conclusion, particular spinal root injuries following the trauma or the neuropathic damage of the brachial plexus might be estimated according to this results. Also, the most damaged particular nerve might be concluded based on this results. The proper neurotinization procedure may be done comparing this results. And this results present the anatomical significance about the brachial plexus formations.

      • 야구선수들이 인식하는 코치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재헌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 결론 본 연구는 야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야구코치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의 차이와 선수만족의 차이를 밝히고,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대한야구협회에 등록된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는 야구선수 7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4.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otory factor analysis: EFA)과 Cronbach′s α,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야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코치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의 차이 소속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변혁적 리더십은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는 중학생이 대학교, 고등학교 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자극은 고등학생과 중학생이 대학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적 리더십은 상황적보상, 예외적 관리는 중학생이 고등학교, 대학생 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경력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변혁적 리더십은 카리스마 3년 미만의 선수들이 4-6년, 7-9년, 10년 이상의 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은 7-9년의 선수들이 3년 미만, 4-6년, 10년 이상의 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적 리더십은 예외적 관리는 7-9년, 3년 미만의 선수들이 4-6년, 10년 이상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적보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입상경력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변혁적 리더십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적 리더십은 상황적보상은 입상경력이 없는 선수들이 준우승 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외적 관리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야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선수만족의 차이 소속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선수만족은 과제수행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코치의 지도성 만족은 고등학생이 중학교, 대학생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경력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선수만족은 과제수행 만족은 4-6년, 7-9년 선수들이 3년 미만의 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코치지도성 만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선수만족은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은 입상경력 없음, 16강의 선수들이 우승, 준우승의 선수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치지도성 만족은 입상경력 없음, 16강, 8강, 4강, 준우승의 선수들이 우승한 선수들보다 코치의 지도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제수행 만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에 따라 지각하는 야구선수들의 선수만족은 과제수행 만족, 코치의 지도성 만족은 주전, 주전+후보 선수들이 후보 선수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코치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야구코치의 변혁적 리더십 중 개별적 배려는 선수만족의 코치지도성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자극은 과제수행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구코치의 거래적 리더십은 선수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a baseball coach and difference of player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seball players, and to clarify effects tha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on player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733 baseball players affiliated to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at are registered in the Korea Baseball Association of 2009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llected data carried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ronbach's α,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4.0 statistics package, and 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post-hoc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are as below. 1) The difference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a coac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seball players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seemed to show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perceive charismatic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more than university and high school players, and high school players and middle school players perceive intellectual stimulation more than university players. For a transactional leadership, middle school players perceive situational reward and exceptional management more higher than high school or university players.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 player experience seemed to show player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perceive charismatic more than players with 4-6 years, 7-9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Players with 7-9 years of experience perceive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more than players with less than 3 years, 4-6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For a transactional leadership, players with 7-9 years and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perceive exceptional management more higher than players with 4-6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situational reward statisticall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 prize winning experience has no difference. For a transactional leadership, players with no prize winning perceive situational reward more than players with a second place winning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ceptional management. There is no difference i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2) The difference of player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seball players Player satisfaction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seemed to show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perceive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coach leadership satisfaction more than university and middle school players. Player satisfaction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 player experience seemed to show players with 4-6 years and 7-9 years of experience perceive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more than player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coach leadership satisfaction. Player satisfaction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 prize winning experience seemed to show players with no prize winning and round 16 wining perceive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more than players with championship and second place winning. For coach leadership satisfaction, players with no prize winning, round 16 winning, quarterfinal winning, semifinal winning, and second place winning perceive coach leadership more than players with championship. However,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does not have difference. Player satisfaction of baseball players who are late according to their position seemed to show starting players and starting+backup players perceive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coach leadership satisfaction more than backup players,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3) The effects tha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on player satisfac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mong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of a baseball coach has effect on coach leadership satisfaction of player satisfac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s effect on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A transactional leadership of a baseball coach does not have effect on player satisfaction. 2. Proposal A study question and task to be considered for a future research relating to the result and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s below. 1) This study targeted baseball payers, however, there must be difference characteristics between an individual game and ball games. Therefore a study on comparison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coaches between various ball games and individual games. 2)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a baseball coach have in sports filed other than player satisfaction. In a future research, more various study degree must be set and more deep and overall reflect and concern are needed in order to recognize and solve problems of sports field in diverse perspectives. Therefore, a qualitative research, where more in-depth participation research can be achieved, must be progressed along with the existing study model and outline.

      • Matter Power Spectrum을 이용한 암흑에너지 모델들의 비교와 분석

        이재헌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Observations of type Ia supernova in 1998 showed that the universe is currently accelerating. Recent observations support the presence of dark energy as an agent of acceleration, and many theoretical dark energy models have been appearing in the literature. In this work, we try to constrain several dark energy models using the matter power spectrum and the redshift vs. luminosity distance relation. As the dark energy we consider several models: these are the cosmological constant model, fluid model, and the quintessence with three different potentials. For each model, we present evolution of the background energy density and effective equation of state of universe. Using the background evolution, we calculate luminosity distance for each model and compare with the recently observed redshift vs. luminosity distance relation of the supernovae data. Then, we present the time evolution of density fluctuations of baryon, radiation, cold dark matter, and dark energy. Based on these, for each model, we present the matter power spectrum of baryonic density fluctuations. By comparing these theoretical results with the observed matter power spectrum we try to constrain the considered dark energy models and the parameters chosen. In order to make realistic constraints we have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f the observational data, and have to scan some range of parameter space of theoretical models. These are left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