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後期 風俗畵에 나타난 "春意圖" 硏究 : 本人作品을 中心으로

        이재순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本稿는 韓國傳來의 風俗畵중의 "春意圖"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의 表現的의 特性과 情緖的 構造를 파악하고 이 畵目에서 表出된 象徵性과 聯想的 要素를 考察하여 本人의 作品을 비교 분석하였고 三國時代, 高麗時代, 朝鮮時代에 이르는 時代的 變化 속에서 性 風俗畵로 불리는 "春意圖"의 표현구조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특히 18세기 영, 정조 시대에 활동한 대표적인 화가인 김홍도, 신윤복 등이 남긴 "春意圖"를 통해서 당 時代 에로티시즘의 표현역량을 窮究해 보고, 이 "春意圖"의 양식이 近代이후 어떤 식으로 변모되었는지를 규명해 봄으로써 우리 나라 "春意圖"에 나타난 전반적인 에로티시즘의 特質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本稿의 고찰을 통해 검토 연구된 朝鮮後期의 "春意圖"는 부드러운 筆墨 技法과 수채화 같은 투명한 淡彩, 은은한 詩的 서정성과 審美的인 藝術的 感興 등이 주는 樣式的이 特質이 東洋 三國 중 단연 독특한 美學을 지녔다고 판단되며 美道合一의 濃密한 에로티시즘 또한 獨創的인 美感의 완결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나타난 "春意圖"는 당 時代의 生活相과 社會的 風流情緖 등의 記錄的 價値와 함께 일반 畵風과의 연결관계를 客觀的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美術史的 硏究價値가 높다고 확인되었다. 結論的으로 本稿는 이 방면에 뚜렷한 足跡을 남긴 핵심적인 두 화가였던 김홍도와 신윤복이 남긴 作品들을 본격 考察 한 결과 韓國 傳來의 繪畵的 特徵 중 하나인 주제와 부제, 또는 인물과 배경의 어느 한쪽이 두드러지지 않게 표현하는 樣式的 造化 관계가 "春意圖"의 표현에서도 技法的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硏究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 동안 美術史的에 觀點서 거의 관심 분야 밖으로 밀려난 "春意圖"가 예외로 美術史的 價値가 높은 作品이었음을 檢證하려 하며, 실제로 韓, 中, 日, 東洋三國을 통해 가장 뛰어난 예술성을 가진 "春意圖"를 객관적 시각 하에 재정립하는 것은 傳統繪畵의 올바른 수평적 발전과 함께 現代繪畵의 발전적 繼承을 위해서 필요한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考察을 통해 "春意圖"에 대한 보다 現代的t이고 客觀的인 재해석과 繼承이 모색되어진다면 이는 本稿가 의도하는 바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my work by grasping the expressive feature and emotional structure of eroticism which appeared in "Chooneui drawing" out of Korean traditional genre painting and studying the symbolical nature and associating element expressed in this painting item and tried to comprehend analyze how the expression structure of "Chooneui drawing" which is referred to as sexual genre painting has been unfolded in the change of period up to the period of Three States, Koryo period and Chosun period. Especially, this researcher tries to grasp the feature of whole eroticism which appeared in "Chooneui drawing" of our country concretely by trying to study the expression ability of then eroticism through "Chooneui drawing" that Kim, Hong Do and Shin, Yoon Bok etc. to be the representative painters who acted at Young dynasty and Chung dynasty in the 18th century and trying to examine how the style of this Chooneui drawing was transfigured after modern times. As for the "Chooneui drawing" at the latter Chosun period which was examined and studied through the study of this thesis, it is judged that the stylistic feature that soft technique of pen and ink, transparent light coloring like watercolor painting, dim poetic lyrical nature, and esthetic artistic interest etc. give has special aesthetics out of 3 states in the East, and it can be said that the dense eroticism of the union of beauty and reason is the completion form of original aesthetic sense. As for "Chooneui drawing" which appeared in this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value of characteristic of fine art history is high in that it is reflecting the relation of connection with general custom objectively with the record value of then life condition and social taste emotion etc. In conclusion, this researcher tries to confirm that the stylistic harmony relation to express to enable a certain side of subject, subtitle or person and background to be one of Korean traditional pictorial features not to be conspicuous is being maintained technically in the expression of "Chooneui drawing" also, as the result that this researcher studied the works that Kim, Hong Do and Shin, Yoon Bok who were 2 core painters to leave clear footmarks in this field left on a full scale, through study. Through this, this researcher tries to verify that "Chooneui drawing" which was pushed outside interest field from the viewpoint of characteristic of fine art history in the meantime was the work that the value of characteristic of fine art history is high exceptionall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Chooneui drawing" to have the most excellent artistry at 3 States in the East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under objective viewpoint for the developmental succession of modern painting with the right horizont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painting. Thus, it can be said that groping for more modern and objective reinterpretation and succession about "Chooneui drawing" through this study is what this thesis intends.

      • 崔漢綺 氣學에 관한 硏究

        이재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scholar, Hyekang, Choi, Han-Ki(1803-1877) takes before 19th century in the latter half, and was active, last great master of in the latter half Silhak in the Korea times. In Hyekang's philosophical ideology, the core-like concept is Qi(氣) and Qi is in key-word of outlook on nature in Unhwaqi(運化氣). In this, as for the true character of Qi(氣), where Un(運) to harmonize, and to generate all things is the main constituent of becoming it grasps all forms and essence as a source of all existence including the human being and existence of immenseness, the highest point that it is in the "pneumatics(氣學)", becoming it it more precisely, and analyzes an aspect of the Hwal?Dong?Un?Hwa(活動運化). Hyekang establish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rue school, and worsened it by building a system of one's unique Qi-philosohy, and contributed in large quantities. Hyekang accomplish big achievements to expand a base of the Korean philosophy by having reclaimed pneumatics, and a new dimension of pneumatics can judge it to have opened at the same time. Hyekang did the original, epoch-making study system which I put up the philosophy which assumed 'Unhwaqi' concept the best principle and established it by oneself and showed with pneumatics. All world existence is constructed in Qi(氣), and it is existence independent of subjective will human as objective substance exercising consistently. In Hyekang, 'activity luck expressed a property of Qi(氣)' and was going to elucidate a phenomenon of Qi(氣) which became activity luck and all problems such as nature, an ethic, politics, education, the technology. Hyekang try to expect that this might give a beginning having one thought in this time living in the present age by the opposition between generations in absence of facilitation. Hyekang runs through the philosophical basic concept of own in Qi(氣). He showed it as 'Sinqi(神氣)' and 'Unhwaqi(運化氣)' and established one's concept system. Of the lump which performed "of Sinqi(神氣) in Hyekang live, and recognize kineticism of Sinqi(神氣) and character of the life as motion definitely. It is the existence that the existence of Qi(氣) penetrates in all things, and a subsumption does all. Anything becomes basis of the existence that I leave the flag, and cannot exist and becomes the entirety. It is the word one lump that separation is right impossible that a product cannot express the 'small empty chance, and I can break it, and all exists as for the thing as for' which there is not. An activity Un(運) show 'the property itself' that Qi(氣) exercises in a concept of Qi(氣) of Hyekang. The tool that it should be come to a mutual understanding for a human being in the target world, and a human being can communicate with things in the thing as the object is the engine which human form comprised, but, as for the ability that facilitation did, it is said with power of Qi(氣). As for the sadism of Hyekang, there are not other things other than the study that activity luck is going to vividly show an aspect of becoming it of Qi(氣). Nature and a human being and the social true figure which he continues one's new thought and study and change. He took pride when he told the true way where all human beings should follow because it showed precisely the real condition of the person objectively. A human being can say life to the sky of 'pneumatics(氣學)' practically again when it is atmosphere and nature. Come in information history, and is bound together by having met becoming it, and, as for becoming it, one is new the luck of the person my luck;, as for making it it, sexual relations luck can know that making it it is formed without making it it the luck of the person my luck by generating F yes. As for the sexual relations, the human being main constituent meets other things, and there is Qi(氣) on the mask; in this way.I say a phenomenon of the life that the sky and the sexual relations of a person, a person and a person, a person and the thing change, and comes to a mutual understanding. Such relationship is displayed in various domains, but can know that there is order of the all in one principle. Human beings cannot run the life of the person alone, and there must be a person to run the world. In addition, human beings can accomplish the office work of big things and small things if a person and a person associate each other and are reconciled with each other. And it is what can express humanity of the space if world all people unify knowledge and opinions together.So at first you must keep a human being under control first of all if you are going to do the contact with the human being, control, adjustment properly. In addition, the humanity is the what one should do that naturally a human being must perform. And human being can know that living needs five cardinal principles of morality and practice of In(仁), Ee(義), Che(禮), the law with another person that the human being who cannot do it harmonizes each other and does 'coexistence and coprosperity(共存共榮)' and the contribution of the peace and order in spite of being help based on religion and politics. In addition, human beings stated that the knew the ability for human recognition (guess intelligence) with thinking about before the fact and experience of the nature and human being company society. The humanity is peculiarity only for a human being, and a human being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reatures in it by a guess because there is it as the thing which I got. When naturally you should do it as a person, a human being and a human being are interpreted as a living method not what exist in the sole unit human nature product that is unrelated to society by the cause. It is used in a meaning same as a principle of the shrine society which a human being lives for immediately, but it may be said that it is a principle of Tong?Min?Un?Hwa(統民運化). 혜강 최한기(1803?1877)는 19세기 전?후반에 걸쳐 활동하던 실학자로서 조선후기 실학의 마지막 거장이다. 惠岡의 철학사상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氣(Qi)이고, 氣는 運化를 속성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運化氣 개념은 자연관 및 惠岡 철학사상의 중심 단어가 되는 것이다. 惠岡은 『氣學』序에서 氣의 본성은 모든 만물을 조화? 생성하는 運化의 주체인 神氣는 모든 形質을 애포하고 天地와 人間을 포함하는 모든 存在의 근원이 되는 至大?至高의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氣(神氣)의 運化를 活動運化로 더욱 정밀하게규정하고 活? 動 ? 運? 化의 작용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혜강은 자신의 독자적인 기철학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실학파의 철학적 기초를 확립하고 심화시키는데 막대하게 기여하였다. 기철학(氣學)을 개척함으로써 한국 철학의 기반을 확장시키는데 큰 업적을 이루었고 동시에 氣學의 새로운 차원으로 열어준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운화기’ 개념을 최고의 원리로 삼는 철학체계를 세워 스스로 정립하고 제시한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학문 체계를 ‘氣學이라고 하였다. 세계의 모든 존재는 氣로 이루어져 있고, 氣는 끊임없이 운동하는 객관적 실체로서 人間의 주관적 의지로부터 독립된 존재이다. 惠岡은 이 氣의 속성을 ‘活動運化’라고 표현하고 活動運化하는 氣의 현상으로 자연, 윤리, 정치, 교육, 과학기술등의 모든 문제를 해명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疏通의 不在로 세대간의 갈등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에 惠岡의 사상이 하나의 실마리를 줄 수 있을거라 예상해 본다. 惠岡 崔漢綺는 자신의 철학적 기본 개념을 氣 로 관철하고 있다. ‘神氣’ 및 ‘運化氣’로 제시하여 자신의 개념체계를 확립하였다. 惠岡은 神氣를 “한덩어리의 살아 움직이는 것”(一團活物)이라 하여 神氣의 운동성과 生命的 성격을 명확히 인식하고 잇다. 氣의 존재는 모든 사물속에 침투해 있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존재이다. 아무것도 기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存在의 根據가 되고 총체가 된다. ‘작은 빈 틈도 만들어 낼 수 없고 깨뜨릴 수도 없다’는 것은 모든 존재하는 것은 바로 분리가 불가능한 하나의 덩어리라는 말이다. 崔漢綺의 氣 개념에는 氣의 운동하는 성질 그 자체 ‘運化’내지 ‘活動運化’ 를 제시하고 있다. 人間에게 있어서 대상세계는 소통되어야 할 대상으로서의 사물이고, 인간이 사물과 소통할 수 있는 도구는 인간의 형체가 갖춘 기관이지만 疏通하게 한 능력은 氣의 힘이라 한다. 惠岡의 기학은 氣의 活動運化의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려고 하는 학문 외에는 다른 것이 아니다. 그는 자신의 새로운 사상과 학문이야 말고 끝없이 변화하는 자연과 인간과 사회의 참된 모습. 즉 天地 인물의 運化之氣의 실상을 정확하가 객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모든 人間이 따라야 할 참된 길을 가르쳐 준다고 자부했다. ‘氣學’의 天은 또한 인간이 현실적으로 삶을 영위하고 있는 대기와 자연이라고 할 수 있다. 見聞閱歷할 수 있고, 나의 運化는 남의 運化와 만남으로 맺어져 새로운 하나의 운화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의 運化도 남의 運化도 아닌 交接運化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交接은 人間 주체가 다른 事物과 만나는 것이며 氣가 상통하는데 있다. 이렇듯 天과人, 人과人, 人과物의 교접은 변화하고 소통하는 삶의 현상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人間關係는 다양한 영역으로 나타나지만 하나의 원리 속에서 一統의 질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의 ?은 혼자서 영위할 수 없고 세상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또한 사람과 사람이 서로 交際하고 화합하여야만 크고 작은 事務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세상사람 모두가 함께 지식과 견해를 통일해야만 우주의 人道를 밝힐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과의 접촉, 통제, 조정등을 제대로 하고자 한다면 먼저 인간을 파악해야만 한다. 또한 人道는 인간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당위이다. 그리고 남과 더불어 살 수 밖에 없는 인간이 서로 和合하고 도우면서 政敎에 의거하여 共存共榮과 治安의 도모를 하기 위하여 五倫과 仁 ?義 ?禮? 律의 實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인간의 認識能力(推測知能)은 자연및 人間社會의 經驗을 가지고 未然및 當然을 헤아릴 줄 안다고 하였다. 人道는 인간에게만 고유한것, 곧 그것을 推測에 의하여 얻은것으로서 그것이 있음으로써 인간이 다른 생물과 구별되고 있다. 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하는 것으로, 사회와 무관한 단독적 개인의 性品 속에서 원래부터 存在하는 것이 아니라, 人間과 人間이 살아가는 方法으로 해석된다. 곧, 人間이 살아가는 社會的原理와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는데 統民運化의 原理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 당귀와 감초 복합 한약추출물의 육모 촉진효과

        이재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생후 6주령 된 웅성 C57BL/6 마우스의 배부에 당귀와 감초의 복합 한약추출물을 1일 1회, 주 6회, 매 회 0.2mL씩 3주 동안 경피 도포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군(saline 도포군), 용매대조군(ethanol ? jojoba oil ? 물 도포군), 양성대조군(3% Minoxidil 도포군), 실험군(당귀와 감초 복합 한약추출물 도포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12마리씩 실험에 사용하였다. 음수량 및 식이량은 매주 1회, 체중은 실험 시작 직전과 매주 1회 측정하였고 육안적 모발성장 효과는 매주 1회 관찰하였다. 실험 1, 2, 3주 후에 각 각 3, 4, 5마리씩 처치하여 채취한 혈액으로 혈액학적 분석을 하였고, 적출한 피부 조직으로 조직학적 관찰 및 IGF-1 발현량과 SCF 면역반응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육안적 관찰에서 기존의 FDA 공인 제품인 3% 미녹시딜을 도포한 양성대조군은 약 88%의 모발성장을 보였고 실험군은 약 62% 모발성장을 보여 5% 이내의 모발성장을 보인 정상군과 용매도포군에 비해 뛰어난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나타냈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실험군과 양성 대조군은 모낭 크기와 수, 모낭 길이에서 정상군과 용매도포군에 비해 뚜렷한 성장 촉진효과를 보였다. 모발 성장과 관련한 인자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발 성장과 함께 모낭상피세포를 성장시키는 IGF-1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이 용매대조군에 비해 각 각 약 74.5%(p<0.001)와 53.3%(p<0.01) 높았다. 성장기 모낭에서 강한 반응을 보이고 모발성장주기에 의존적으로 반응하는 stem cell factor 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 관찰에서 양성대조군은 피지선과 bulge 부위에서 강한 면역반응과 표피 기저층에서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보였다. 실험군은 피지선과 bulge 부위에서 중등도의 면역반응을 보였으며 용매대조군에서는 피지선 부위에서 미약한 반응을 보였다. 정상군에서는 거의 면역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안전성 확인을 위하여 음수량, 식이섭취량 및 체중을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과 실험군이 정상군에 비해 각 각 8.2%와 4.1% 체중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장의 상대무게와 절대무게도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액학적 분석에서 실험 1주에 정상군에 비해 양성대조군에서 호산구가 유의하게 높았고(p<0.05), 실험 2주에는 정상군에 비해 양성대조군에서 백혈구와 림프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 3주에는 정상군에 비해 실험군이 적혈구와 헤마토크리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당귀와 감초의 복합 한약추출물은 FDA 공인 모발성장 촉진제인 3% 미녹시딜과 비교할 때 육안적 및 조직학적 관찰에서 약간 뒤 떨어지지만 비슷한 수준의 우수한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모낭 성장기 발현지표인 IGF-1 발현량에서는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체중 및 장기무게와 혈액학적 분석을 통한 안전성 확인에서는 3% 미녹시딜보다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귀와 감초 복합 한약추출물은 모발성장 촉진 및 탈모예방제로서 실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et oriental medicine extracts on hair growth in a shaving animal model of C57BL/6 mice. Six weeks old male mice were acclimated for one week under 22±1℃ room temperature, 50±5% relative humidity and 12 hrs of a light/dark cycle before beginning experiment.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cluding normal group (saline, N), vehicle control group (jojoba oil+100% ethanol+saline, VC), positive control group (3% MXD, PC), and experimental group (oriental medicine complex extracts, E) and they were topically applied with an amount of 0.2mL once a day, 6 days a week, for 3 week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the photographical,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observations and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 including IGF-1 in the skin of mice. Topical applic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et oriental medicine complex extracts for 3 weeks to dorsal skin accelerated hair regrowth faster than the N and VC groups and a little bit slower than PC group, as evaluated photographically. E and PC groups promoted development and elongation of hair follicles compared with N or VC group. IGF-1 expression in the ski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PC(p<0.01) and E(p<0.001) groups compared with N or VC group. Immunolocalization of SCF antigens was heavily stained in sebaceous gland, bulge and epidermis in PC group, mildly stained in sebaceous gland and bulge in E group, weakly stained in sebaceous gland in VC group and little stained in 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and water intake and body weight among group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solute and relative weight of spleen among groups. In a first week of experiment,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value of eosinophil in PC group compared with N group (p<0.05). In a second week of experiment,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values of WBC and lymphocyte in PC group compared with N group (p<0.05). In a third week of experimen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values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in E group compared with N group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gelica gigas Nakai and Glycyrrhiza uralensis Fischet oriental medicine complex extracts effectively stimulated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via several mechanisms and that it can be used practically for hair growth or prevention of hair loss in human beings.

      •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 : 제7차 교육과정 5학년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이재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 교과 학습 활동에서 창의적 표현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에 관한 연구를 실천하여 학생이 주도한 주제 탐색, 표현 방법의 탐색, 표현 재료와 용구의 탐색 학습 활동이 전재되어 다양하고 독창적인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이 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인한 획일적인 미술 수업을 탈피한 학급 교육 과정의 운영으로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학생 주도의 다양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지도에 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미술 교육에서의 열린 교육의 실천 이론과 미술 교과의 창의적인 학습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유도하기 위한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을 위한 협동 학습 활동 모형에 관한 이론적 해경을 고찰하였다. 2.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을 위한 기반 조성으로 제7차 미술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하여 미술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지역 사회 실태, 학교 실태 및 학교 행사, 학급 실태 및 학급 행사, 계절 등을 고려한 학급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한 연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3. 교과서 위주의 학습 활동에 익숙해진 학생들의 고정 관념 탈피를 취한 학생 주도의 학습 활동 전개를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모형 구안하고, 창의적인 학습 활동 전개를 위한 협동 학습 활동 모형을 구안하였다. 4. 학생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표현 재료와 용구 탐색을 도울 수 있는 지도 자료의 구성과 교사가 계획한 학습 활동을 지시에 의하지 않고 학생 주도의 학습 활동 전개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도 자료를 구성하였다. 5. 학생들의 상상력을 길러주어 이로 근거로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여 창의적인 표현력 신장에 도움이 되어질 수 있는 이야기 자료의 구성과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증폭시킬 수 있는 배경 음악 및 효과 음악 자료를 구성하였다. 6. 창의적인 표현력을 신장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의 지도는 느낌 표현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상상 표현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사실 표현을 위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 토픽 학습 활동을 활용한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을 구안 지도하였으며, 학생의 자기 평가 학습 활동 지도로 자기 평가 관점에 따라 자기 평가를 하는 과정을 지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 활동 결과에 관한 설문 조사의 응답 반응을 분석해 보면 연구 후의 학생의 학습 활동의 면화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학습 활동이 자기 주도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발전된 형태의 창의적인 미적 체험 학습 활동이 가능하였으며, 작품 주제의 결정을 자기 주도적으로 결정하여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 학습 활동을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중심으로 하여 자신의 의사에 따라 결정하여 활동하며, 친구와 의견을 교환하고 협동하여 창의적이고 활발한 학습 활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교과서를 모방하거나 교사의 지시에 의하지 않고 자기 주도적으로 창의적인 표현 학습 활동으로, 작품적 완성도가 높아지고 학습 활동 결과에 대한 만족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to enhance the creative expression in the art subject learn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lead to search for subject expression methods to develop searching for learning activities of expression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ools and the did various original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manage the class curriculum which emerged from uniform art class, resulted, from running national-level curriculum. This study also was intended guides for students experience centered by various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The contents of the study to fulfill the above mentioned objectives are as followed: 1. Considered practical theories of open education in the art edict 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s which induced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Also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s of creative education in order to lead creative thinking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model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expression. 2.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rt subject curriculum in order to reorganize the 7th art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and planned to establish annual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run the class curriculum which was considered by community actual condition, school actual condition and school events, class actual condition and class events and seasons. 3. Designed the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models in order to develop student-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nd made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textbook- lead learning activities emerged from fixted ideas. 4. Let students express expression materials of subject and search for tools which helped form teaching materials, and also formed various, specific teaching materials to help students lead teacher-planned learning activities not by instructions but by student-lead to develop learning activities. 5. Let students improve their imagination which lead to creative thinking and formed story materials which helped enhance creative expression and also formed background music and effective music materials in order to amplify students creative thinking. 6. Guides for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and creative expression. Planned and guided activities and creative expression for feelings and expression,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guide for imagination expression, aesthetic expression learning activity guide for applied topic learning activities.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y guide for applied project learning activity formed and lead rel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Guided students self-evaluated by learning activities in view of self-evaluation point-of-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 of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1. Students lead their own self-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nd were able to do advanced creative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determined self-centered subject of art works and thus did creative leaning activities. 2. Students determined and did learning activities by their own thinking and feelings, exchanged ideas with their friends, co-operated, were creative, made active learning activities, not imitated textbooks, nor teacher's instructions, enabled to lead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and upgraded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ir art works and thus showed very high sense of satisfaction in the results of art works.

      • 동화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활동이 어린이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타인이해를 중심으로

        이재순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화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활동이 어린이 도덕성 발달(자아존중감, 타인이해, 장애아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대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은 저학년 아동의 도덕성 발달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1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은 저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2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이 저학년 아동의 타인이해하기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동화책 읽어주기' 활동은 장애아이해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경기도내 시 지역 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76명을 선택하여 1개 학급의 38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 38명을 통제집단으로 정하고, 실험집단에 한하여 주 1회 이상(40분)의 동화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활동 학습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동화 도덕성활용자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자아존중감과 타인이해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동화 40편의 이야기자료를 만들어 바른생활 교과과정과 연계하여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하여 SPSSWIN(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0.0 version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평균값과 표준편차 등의 기초적인 기술통계치(descriptive statistics) 및 문항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ronbach α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평균값의 차이에 대한 집단간의 유의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Paired Samples t-test 방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책 읽어주기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 활동은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켰다. 둘째, 동화책 읽어주기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 활동은 아동들의 타인에 대한 이해능력을 증진시켰다. 셋째, 동화책 읽어주기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 활동은 아동들의 장애아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활동이었다. 넷째, 동화책 읽어주기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 활동이 전반적으로 아동들의 도덕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동화를 통한 통합적 도덕교육활동이 어린이 도덕성발달(자아존중감, 타인이해, 장애인이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이론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children's moral development(self-esteem, understanding others and disabled children) of integrated moral education activities with fairy tale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for these purposes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and moral development in low-grader children? 1-1.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and 'enhancement of self-esteem' in low-grader children? 1-2.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and 'understanding others' in low-grader children? 2.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and 'understanding disabled children' low-grader children? According to this purpose, it were sampled two second-grade classes, 76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38 students from 1 class were alloted to experimental group, other students were alloted to comparative group. In turn,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activities with fairy tales over one times(40 minutes) per week. For the study, it were composed of 40 fairy tales that mainly dealt with 'self-esteem' and 'understanding others' and performed by these materials in relations to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analyze the results, SPSSWIN(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 10.0 version was utilized. By this program it were calcula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lik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of Cronbach α to verify the item-total consistency. Also, it was adopted the method with paired samples t-test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mean value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enhanced children's self-esteem. Second,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enhanced children's abilities in understanding others. Third,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enhanced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abled children. Fourth,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enhanced children's overall moralities. In conclu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rough 'activities in giving read the fairy tales' had a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moral development(self-esteem, understanding others and disabled children). Futhermore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provides with the fundamental data to theoriz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 1인가구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이재순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들어 1인가구 주택수요에 대한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1인가구가 사회주류로 등장하여 어떠한 사회적 구성요소를 형성할 것이며 주거공간에서는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가는 우리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서울의 경우 일반가구 중 1인가구가 자치하는 비중은 1985년 6.72%에 불과하였으나 2005년에는 20.42%, 2010년에는 24.4%로 급속히 증가추세에 있으며, 2030년 예측치인 24.9%에 웃돌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 및 대책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구규모의 소형화는 전통적인 가족중심의 가구형태가 약화되고 있다는 일반론에 그치지 않고 주택시장과 도시계획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할 것이며 도시공간과 커뮤니티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지금까지 가족가구를 중심으로 해 온 주택정책도 변화하고 있다. 2009년 주택법에 “도시형 생활주택”이 도입되었고, 2010년 4월에는 노인복지주택, 오피스텔, 고시원 등 주택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사실상 주거기능을 제공하는 거처를 대상으로 “준주택” 개념이 주택법에 도입되었다. 이러한 정책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단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사례로, 1인가구의 주거특성과 공간적 분포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서울시 1인가구전체를 대상으로 거처유형별, 연령별, 거주형태별로 주거특성을 살펴본 후, 같은 방식으로 동별로 살펴본 후, 이 밖에 LQ지수 응용 거처유형별 분포, 점유형태별분포, LQ지수 응용 점유형태별 분포로 구분하여, 시각화(Arc Gis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1인가구를 대상으로 공간적 분포가 지역적 특성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전체1인가구, 20대이하 1인가구, 60대이상 1인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를 정책적으로 보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첫째, 먼저 주거특성 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젊은층에서의 주택이외의 거처(오피스텔)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결국 소형주택이 정책적 차원에서 공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물론 이미 도시형생활주택 등이 공급되고 있는 실정에 있지만, 이와 더불어 좀더 저렴한 임대형태의 주택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시행중인 대학기숙사형 임대주택(Youth Housing)을 확대시행하여, 증가하는 젊은층의 1인가구 수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소형주택 의무비율과 임대아파트 의무비율을 활성화 하여 공급을 늘릴 필요가 있다. 둘째, 고시원의 경우 준주택으로 분류되면서, 안전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임대료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일정부분 보조하는 대책을 추진하여, 고시원이 좀 더 안전한 주거환경을 갖도록 하고, 임대료를 보조하도록 하는 방법(주택바우처)을 강구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인층의 경우 종합병원 접근성이 높은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바 있다. 따라서 이를 노인복지주택의 입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준주택제도의 도입을 통해, 노인복지주택의 활성화 꾀한바 있지만, 고시원과 오피스텔이 준주택제도 도입 이후, 인허가가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으로 노인복지주택의 인허가 실적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주자격이 60세이상 노인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운영상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계약당사자의 경우 부양의무자도 가능토록 하여 노인복지주택의 입주기회를 넓힐 필요가 있고, 이 밖에 시설설치자가 운영관리를 성실하고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시설운영손실에 대비한 충당금을 확보하도록 하고, 분양금 또는 보증금의 일부를 금융기관에 예치토록 하여 부실 운영에 대한 조치를 강화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