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 예측모형

        이임선(LEE IM SUN)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047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구조방정식 모형구축 연구이다.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을 설명하고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정보-동기-행동기술모델을 적용하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아동발열관리 지식 및 태도는 외생변수로, 아동발열관리 자기효능감 및 간호수행은 내생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근거로 비판적 사고성향은 외생변수로, 문제해결능력은 내생변수로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북, 대전지역에 소재한 2개 간호대학생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370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2년 10월 4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결측 자료를 제외한 34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확인적 요인분석 및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정도는 전공 만족도, 실습 만족도, 실습 동료와의 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는 χ2=536.234(df=197, p=.000), Normed χ2=2.722, GFI=.864, AGFI=.825, NFI=.880, TLI=.906, CFI=.920, RMSEA=0.071, SRMR=0.048로 나타나 만족할 만한 수준을 보였다. 셋째, 총 10개의 연구가설 중 검증결과 4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넷째, 내생변수 아동발열관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내생변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내생변수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동발열관리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이었고, 가장 강력한 변수는 아동발열관리 자기효능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발열관리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이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아동발열관리 간호수행을 증진할 수 있도록 최신의 근거중심 실무지침 프로토콜 개발 및 적용하여 아동발열관리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간호학 교육과정 중 문제해결능력 및 비판적 사고능력을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struction study attempting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of graduating grade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ategies to enhance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Applying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technology model to explain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and construct a hypothetical model,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hild fever management of graduating grade nursing students are exogenous variables, and child fever management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It was set as an endogenous variable, and based on previous studies,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was adde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an endogenous variab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from two nursing colleges located in Gyeongbuk and Daejeon, and 370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expressed as convenie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4 to October 30, 2022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343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missing data.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goodness-of-fit test of the hypothetical model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AMO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in the graduating year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practic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with practice colleagues. Second, the goodness of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χ2=536.234 (df=197, p=.000), Normed χ2=2.722, GFI=.864, AGFI=.825, NFI=.880, TLI=.906, CFI=. 920, RMSEA=0.071, and SRMR=0.048, showing satisfactory levels. Third, out of a total of 10 research hypotheses, 4 hypotheses were supporte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Fourth, the factor affecting self-efficacy in child fever management was identified as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ifth, the factor affecting problem-solving ability was identified a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ixth, endogenous variables factors affecting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were child fever management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strongest variable was identified as child fever management self-efficacy. Taken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in child fever management wer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rategy to enhance self-efficacy in child fever management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latest evidence-based practical guideline protocol to promote child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It is thought that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