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콘빔 전산화단층촬영(CBCT) 시스템에서 기계적 오류에 관한 연구

        이이성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e of setup variance by the rotating unbalance of gantry in image-guided radiation therapy. The equipments used linear accelerator(Elekta Synergy ™,UK) and a three-dimensional volume imaging mode(3D Volume View) i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system. 2D images obtained by rotating 360°and 180° were reconstructed to 3D image. Catpan503 and homogeneous phantom was used to measure the setup errors. Ball-bearing phantom was used to check the rotation axis of the CBCT. The volume image from CBCT using Catphan503 phantom and homogeneou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images from conventional CT in the six dimensional(X, Y, Z, Roll, Pitch, and Yaw) The variance ratio of setup error had difference in X 0.6 ㎜, Y 0.5 ㎜ Z 0.5 ㎜ when the gantry rotated 360°in orthogonal coordinate. whereas rotated 180°, the error measured 0.9 ㎜, 0.2 ㎜, 0.3 ㎜ in X, Y, Z respectively. In the rotating coordinates, the more increased the rotating unbalance, the more raised average ratio of setup errors. The resolution of CBCT images showed 2 level of difference in the table recommended. In the conclusion, this CBCT had a good agreement compared to each recommended values which is the mechanical safety, geometry accuracy and image quality. The rotating unbalance of gentry vary hardly in orthogonal coordinate. However, in rotating coordinate of gantry exceeded the ±1° of recommended value. Therefore, when we do sophisticated radiation therapy six dimensional( X, Y, Z, Roll, Pitch, and Yaw) correction is needed. CBCT 시스템의 기하학적 정확도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는 영상유도방사선치료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엄격한 정도관리가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형가속기의 회전불균형의 영향으로 발생 되는 CBCT 영상의 setup 오차 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불균형에 대한 정도관리의 필요성을 연구 하였다. CBCT 시스템의 3차원 체적영상모드를 이용하여 360° 회전과 180° 회전으로 Catphan503 팬텀과 균질 팬텀의 3차원 영상을 획득하였고, setup 오차를 측정하기위해 나선형 CT의 기준영상과 함께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ball-bearing 팬텀을 사용하여 회전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CBCT 시스템에 대하여 표준 정도관리의 절차를 시행하여 정상적인 상태를 확인하고, 임의적으로 갠트리의 회전균형을 조절한 후, 균형상태와 불균형상태의 각각 CBCT 영상에 대하여 X, Y, Z, Roll, Pitch, and Yaw의 6차원적 관점에서 setup 오차를 측정, 분석하였다. Setup 오차의 변화율은 갠트리 회전균형의 보정 전·후를 확인한 결과, 직교 좌표계에서 360°의 회전은 최대 X축 방향으로 0.6 mm, Y축 방향으로 0.5 mm, Z축 방향으로 0.5 mm의 변화율을 보였다. 180°의 회전은 X축 방향으로 0.9 mm, Y축 방향은 0.2 mm, Z축 방향은 0.3 mm의 최대 변화율을 보였다. 또한 회전 변환계에서는 회전 불균형이 커질수록 평균적인 값의 차이가 점점 증가하였고, 최대값은 1.1° 를 나타내었다. 영상의 분해능은 영상분석 툴에서 2 lp/㎝ 차이를 나타내었다. CBCT 시스템의 정도관리는 기준 권고안을 만족하였다. 갠트리의 회전 불균형이 클 때, setup 오차의 직교 좌표계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회전 변환계의 변화율은 기준 권고 값인 1°에 해당하는 값과 초과하는 1.1°를 나타내었다. 이는 갠트리의 불균형이 setup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회전 변환계의 setup 오차에 대한 6차원적인 보정이 더욱 요구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하고 정교한 영상유도방사선치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갠트리의 균형도를 확인해야 하며, 정도관리 항목으로 추가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어진다.

      • 행정의 융합적 발전 가능성에 관한 고찰 : 시민 중심적 융합행정 서비스를 바탕으로

        이이성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악> 행정의 융합적 발전 가능성에 관한 고찰 - 시민 중심적 융합행정 서비스를 바탕으로 - A,Study on the possibility of fusional development of Administration - By citizen-centered fusional services - 어떤 학문을 연구 하거나 이해하는 데 있어서 접근 방법을 고찰하는 일은 매우 기초적이고 중요한 일이다. 인터넷이 발달되면서 먼 나라 이야기가 바로 우리의 이야기가 되고 높게만 느껴지던 정보의 장벽이 허물어져 이제는 시민과 각종 사회단체가 행정에 직,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 되었다. 이제는 그야말로 시민 누구나 행정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참여 할 수 있게 되어서 행정 서비스를 더 많이, 더 질 좋은 행정서비스 제공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에 공공 행정은 한정된 재원으로 더 많고 더 질 높은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서 기존의 행정체제나 행정과정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새로운 행정행태를 규율하고 융합된 가치체제를 갖추어야한다. 이것이 변화된 행정문화의 페러다임인 것이다. 행정문화는 행정행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로 간주된다. 행정에 경영마인드를 도입하여‘마케팅적 사고’로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이나‘피터 드러커’가 지적한 바와 같이‘공공행정은 최대의 서비스 산업’이라고 할 수 있기에‘공공부문도 본질적으로 민간부문과 같이 재화와 용역을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은 방식의 행정관리는 분명 한계가 있다. 기존의 행정관리 방식에서는 방만하고 비효율적인 운영, 시장에 대한 정부개입의 과도화, 행정권한의 지나친 중앙 집중화, 업무수행의 결과에 대한 무관심과 결과중심의 관리, 주민을 행정서비스 대상으로서의 고객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업무수행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행정학의 접근방법에는 매우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어떤 분야의 학문이든 무엇을 어떻게 연구 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다양한 견해나 관점들이 끊임없이 제시되기 때문에 우려 할 사항은 아닐 것이다. 행정은 공공문제나 공공서비스를 단일 행정기관에 의해 효과적으로 다루려고 하지만 성격상 다른 기관이나 민간과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지방자치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역 특화 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과거와는 다르게 지방 행정에도 이윤과 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경영적 요소를 도입하여 능률성과 경제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과 더불어 열악한 지방자치재원으로 보다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행정 서비스를 적기에 맞춰 주민에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융합행정과 같은 적극적인 활용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융합이라는 말은 당초 민간부문 특히 산업현장에서 발전되어 온 것이나 위에서 지적 한 바와 같이 이제는 공공 부문에도 수요자 중심의 행정이 필요 하다는 인식하에 학자들의 관심영역에 놓이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이 과연 공공부문에서 어떻게 적용 할 것인가 하는 가능성 문제와, 또한 이들 기법들이 행정과 융합 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들로는 어떠한 것들 이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 부분의 서비스 마케팅과 같은 기법들을 활용하여 실제 국민들에게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주의해야 될 문제는 무엇인가 하는 주제 역시 본 논문의 주요 연구대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