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의 관계 : 대인존재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의빈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적 도움추구와 관련된 사회적 낙인과 자기 낙인의 관계에 대인존재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53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에 있어서 Marsh, Wen과 Hau(2004)가 제안한 비제약 방법(nonstrained approach)에 따라 SPSS 22.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 구조모형의 모형 적합도 지수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항에서 종속변수에 이르는 경로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나 대인존재감이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이 입증되었다. 구체적으로,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자기 낙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대인존재감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자기 낙인이 상대적으로 더 낮으며 특히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높을 때 대인존재감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자기 낙인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대인존재감이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으로 내재화 되는 정도를 완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대인존재감이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으로 내재화 되는 정도를 낮춰 개인이 낙인을 내재화 하는 것을 조절하는 것을 밝혀 낙인의 내재화에 대한 보호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대한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이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이의빈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Gender roles are prevalent in today’s society and influence many people. Gender role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women's lives, particularly on women's career development. There are many young adults who are struggling with choosing their career, and experience anxiety and confusion as a result. This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 role identity on career aspiratio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of this study consist of standardized measures and demographic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nd of 2018 to March 23rd of 2018. Two hundred and forty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Primary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chievement aspiration, leadership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gender role identity in the achievement aspiration, leadership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Lastly, contrary to expectation, androgyny identity group did not show the highest levels of achievement, leadership, and education aspiration. Androgyny identity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and leadership aspiration than a femininity identity and undifferentiated identity group, and it showed higher level of education aspiration than an undifferentiated identity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have negative influence on career aspiratio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역할이 개인의 삶 전반에 분명하면서도 은밀하게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여성의 삶, 특히 그들의 진로 발달 과정에서 보다 억압적인 기능을 한다는 점과, 진로 및 직업 선택의 기로에서 진로미결정 상태에 놓여 불안과 혼란을 경험하는 청년 및 대학생이 많다는 현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이 여대생의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 및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도출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본 연구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척도와 인구사회학적 질문들을 활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기에 앞서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정보의 윤리적 보호를 위하여 성균관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 과정을 거쳤으며, 2018년 1월 15일 심사 승인을 받았다. 유의표집을 통하여 서울 및 수도권 소재의 남녀공학대학교, 여자대학교 각각 2개, 총 4개의 대학교를 선정하였고, 할당표본추출방법을 통하여 학교유형과 전공계열에 대해 일정 수를 할당한 뒤 표집을 진행하였다. 접촉한 연구 참여자에게 직접 질문지를 배부하고 완료된 설문지를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2018년 3월 2일부터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총 308부를 배부하였고, 그중에서 306부를 회수하였으며, 분석에는 최종적으로 총 240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중앙치분리법, 상관분석, 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역할 고정관념은 여대생의 성취포부, 리더십포부, 교육포부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 다음으로,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성취포부, 리더십포부, 교육포부 모두에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양성성 정체감은 타 유형보다 성취포부, 리더십포부, 교육포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다. 예상과 달리 양성성 정체감은 미분화 정체감과 여성성 정체감보다 높은 성취포부, 리더십포부 수준을 보였으며, 미분화정체감보다만 높은 교육포부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하여 여성의 진로에 대한 자유로운 탐색과 선택을 위해서는 기존의 고정관념화된 성역할 관념에서 자유로워지는 것, 그리고 여학생들에게 ‘여성성’이라는 성유형화된 정체감을 강조하는 것보다 다양한 특성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들의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사회화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가정 및 학교교육,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의 영역에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한부모가정 양육 유형과 청소년 자녀 적응 유형 사이의 관계 : 사람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을 활용하여

        이의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가족 유형의 다양성 증가라는 사회적 변동 속에서 다양한 가족에 대한 포용과 차별의 해소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가치이자 과제라 볼 수 있다. 그러나 한부모가정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과 편견은 여전한 실정이며, 학문적 영역에서도 가족 구성원의 결손을 이유로 한부모가정 자녀는 양부모가정 자녀보다 부정적인 발달결과를 보이리라는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가족구성원의 결손으로 인해 한부모가정 자녀는 부적응할 것이라는 기존의 가정이 오늘날에도 과연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자녀의 적응이 어떠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자녀의 적응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호자 양육 유형에 주목하였으며, 보호자 양육방식이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한부모가정 보호자 양육 유형과 자녀 적응 유형 간 관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을 활용하였는데, 초4 패널과 중1 패널의 2차년도 자료에서 한부모가정 자녀 케이스 총 323개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할 때 분류 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3단계 접근(three-step approach)을 활용하였다. 보호자 양육 유형(프로파일)과 청소년 자녀 적응 유형(프로파일) 간 관계는 두 프로파일 간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활용되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정 보호자의 양육방식은 ‘심리 욕구 지지형’과 ‘긍정-부정 혼합형’이라는 2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심리 욕구 지지형은 높은 수준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제공을 보인 반면, 낮은 수준의 거부, 강요, 비일관성을 보였다. ‘긍정-부정 양육 혼합형’은 낮은 수준의 따스함, 자율성 지지, 구조제공을 보인 반면, 높은 수준의 거부, 강요, 비일관성을 보였다. 무엇보다, 긍정-부정 혼합형은 심리 욕구 지지형 양육과 비교하였을 때 긍정적 양육 지표와 부정적 양육 지표 간 점수 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지 않았다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의 적응 유형 또한 ‘적응 수준 낮은 집단’과 ‘적응 수준 높은 집단’이라는 2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적응 수준 낮은 집단은 높은 수준의 정서 및 문제행동(우울, 사회적 위축, 공격성)과 낮은 수준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업 성적)을 보였다. 적응 수준 높은 집단은 낮은 수준의 정서 및 문제행동(우울, 사회적 위축, 공격성)과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업 성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부모가정 청소년 자녀는 심리 욕구 지지형의 보호자 양육을 경험할수록 적응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안에서도 긍정적인 양육을 경험하며 잘 적응하는 자녀들이 존재함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family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cluding increase of different and diverse types of families. With this change, embracing diversity of families and reducing stereotypes on certain types of families have become important values to pursue. However, negative perceptions and stereotypes on single parent families are still pervasive. In the body of studies on single parent families,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were assumed to be in a vulnerable and deficient position compared to those from intact families; thus, they were expected to show negative developmental outcomes relative to those from intact families. The present study questioned the assumption of the traditional family ideologies which assumed intact families with two parents as a norm and postulated negative developmental outcomes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Rather than comparing adolescents’ adjustment between family types (structures), this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and diversity in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Moreover, this study focused on parenting style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adjustment types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d the parenting profiles or types to enhance further and specific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yles in single parent families. Lastl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types (profiles) and adjustment types (profiles) of adolescents in single parent families. To explore parenting types and adolescents’ adjustment type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323 cases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were derived from 2nd wave (2019)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Especially, in terms of latent profile analysis, this study used three-step approach, which is regarded as an advanced approach as it considers classification errors. Moreover, sinc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latent profiles (parenting profiles and adjustment profiles),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adopted which is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latent profiles.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parenting style, two parenting types were identified. The 1st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warmth,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and lower levels of reject, coercion, and inconsistency. As parental warmth,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are known to fulfill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hildren, this group which showed higher levels of warmth,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was named as ‘supporting psychological needs type’. Compared to the ‘supporting psychological needs type’, the 2nd group show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warmth,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and higher levels of reject, coercion, and inconsistency. Moreover, this group was characterized by mixture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Therefore, the 2nd group was named as ‘mixed type’. Second, two adjustment types were identified. The 1st type showe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lower level of self-perception (self-esteem) and low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relationship with frie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academic achievement). Thus, it was named as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adjustment’. The 2nd group showed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an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eacher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group was named as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adjustment’. Third, parenting type was associated with adjustment type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who experienced ‘supporting psychological needs type’ of parenting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adjustment’. In conclusion, aforementioned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raditional family ideologies which assumed negative adjustment and developmental outcomes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cannot be universally suppor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what matters to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single parent families is the positive and quality parenting not the family structure itself.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