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교육관점에서 본 초등역사교과서의 내용 분석

        이은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가 다민족․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다문화교육은 2007 개정교육과정에 반영되었고 역사영역에서도 다문화주의적 관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편찬된 초등역사교과서를 다문화교육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초등역사교육의 내용 구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교육관점에서 초등역사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서 먼저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다문화사회의 특징을 살펴보았고,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갈등을 중심으로 다문화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내용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초등역사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내용요소로 ‘편견과 고정관념’, ‘다양성’의 2가지를 추출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해 단일민족주의/자민족 중심주의로 분석한 결과 ‘단일민족’관련 용어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여전히 한국사에 존재했던 이민족의 역사를 배제하거나 축소시키는 경향이 보였다. 대외관계 및 다른 민족에 대한 서술에 있어 편견을 갖고 있거나 자국 중심의 서술은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다양성’에 대해 소수자/관점의 다양성/상호교류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여성 및 피지배계층(어린이)의 역사가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서술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정치 및 항쟁사 관련 역사적 인물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다양한 역사주체의 삶을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점도 보이나 상호교류에서 다른 문화 집단과의 교류와 영향에 대해 전통문화 속에 내재된 다문화적 특성을 서술하고 있다. 다문화교육관점에서 기존의 역사교과서에서 문제시되었던 서술내용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으나, ‘편견과 고정관념’ 및 ‘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관점의 서술내용은 종래의 역사교과서에 비해 진일보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은 그 동안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제기되었던 문제점들과 낯설지 않은 것으로 다문화교육관점에서 초등역사교과서의 내용구성을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사회에서 초등역사교과서는 통사적 접근을 탈피하여 ‘민족’의 이름이 아닌 소수자를 포함한 다양한 집단들의 역동적인 삶을 역사의 주된 내용으로 삼아야 한다. 다문화 역사교육 관련 연수자료 등을 개발하고, 자국사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원적 관점의 역사 이해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게는 부모 나라의 역사를 배우게 함으로써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체성을 갖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다문화 역사교육을 통해 한국인이라는 ‘복수적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나’가 아닌 ‘타자’를 이해할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의 목표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오우크쇼트 도덕교육론에서의 습관의 의의 : 습관의 시적(詩的) 성격을 중심으로

        이은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습관의 시적 성격에 대한 오우크쇼트의 논의를 습관의 도덕교육적 의의를 해명하는 이론으로 해석하는 데에 있다. 도덕교육에서 올바른 습관의 형성은 꾸준히 강조되어왔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나는 습관의 형성 이전에 습관 자체가 지닌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강조되었는가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의문에 대해 오우크쇼트의 도덕교육론은 습관이 지닌 창의성 혹은 자발성이라 할 수 있는 습관의 시적 성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오우크쇼트는 습관이 지닌 자발성 혹은 유연성이 드러나고 있지 못한 이유를 현대 사회의 합리주의 경향에서 찾고 있다. 합리주의적 사고방식에는 현실 세계가 문제의 연속이라는 고정되고 경직된 인식이 있기 때문에 습관을 포함한 모든 활동이 지닌 특유의 시적 성격이 결여되어 있다. 합리주의자의 이와 같은 견해와 달리 우리가 속한 세계는 시를 짓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삶이며, 이는 ‘박쥐의 맹목’처럼 어두운 동굴에서 갈 길을 자유자재로 찾아가는 삶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습관을 따르는 도덕생활에서 발견되는 것은 시인이 시를 지을 때 혹은 장인이 예술작품을 창작할 때 드러나는 ‘시적 사고’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인류의 ‘대화’ 가운데 점차 희미하게 들리는 ‘시적 관조’라는 고유의 어법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습관의 시적 성격은 활동을 구성하는 지식의 한 종류인 ‘실제적 지식’에서 드러나는 자발성과 유사한 면이 있다. 우리의 삶은 기법이나 이념만으로 결코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도덕적 습관을 끊임없이 실행하는 사람과의 계속적인 접촉을 통해 ‘실제적 지식’의 획득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습관이 지닌 특유의 자발성에 주목한 오우크쇼트의 안목은 교과로 도덕을 가르치는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도덕과를 포함한 교과교육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습관적인 교수와 학습의 행위 이면에는 그 행위를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것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시적 사고가 존재한다. 즉, 그의 이론은 관례에 따라 이루어져 온 학습과 교수활동이 무의미한 반복행위가 아니며 그것을 시를 창작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는 안목을 제공해준다. 교육 상황에서 학생들이 이와 같은 습관의 시적 성격을 인지하고 음미할 수 있도록 할 때,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교사의 모범’이라 할 수 있다. ‘교사의 모범’은 언설만으로 전달할 수 없는 습관의 시적 성격을 드러내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함축한다. 오우크쇼트의 도덕교육론은 우리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습관에 대한 편견이나 오해를 불식시키고 그것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제공한다. 또한 습관의 시적 성격이 내포되어 있는 우리의 도덕생활과 도덕교육의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하며, 이때 교사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전류패턴을 이용한 스파스 매트릭스 컨버터의 고장진단

        이은실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스파스 매트릭스 컨버터의 스위치 개방사고 진단 방법을 제안한다. 스파스 매트릭스 컨버터는 기존의 매트릭스 컨버터와 기능은 동일하나 필요로 하는 스위치의 개수가 적다. 제안하는 고장 진단 방법은 입력과 출력의 전류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고장 난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전류의 특성은 다르므로 이를 통해 고장을 판별해 낼 수 있다. 이 방법은 간단한 수식을 통해 스위치의 개방사고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고장 난 스위치의 위치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초등국악창작동요의 효과적 지도방법 연구

        이은실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악(國樂)은 한국인들이 가진 고유한 정서를 담은 세계의 음악이 되고 있으며, 이는 서양의 음악만이 중심이라는 사고에서 벗어나 동서양 각자의 음악에서 찾을 수 있는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므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악창작동요는 현시대의 생활상이 드러나 있는 살아있는 음악이며, 전통을 계승할 수 있는 연속적인 음악이기에 충분히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제작된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 내의 국악창작동요 10곡 중 지도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7곡을 선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교과서 및 지도서를 지도요소 및 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방법을 수정·변형하여 지도하여 교사는 좀 더 쉽게 가르치고, 학생은 더욱 이해하기 좋으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창작동요는 크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장단의 제시가 미흡하여 악곡이 가지는 빠르기나 셈여림, 분위기를 알기가 어렵고, 한국인 고유의 장단감에 따른 흥을 느끼기 어려우며, 기보에 있어서도 박자와 마디를 구분하여 제시할 때 미흡한 것이 많다. 둘째, 선율의 흐름은 어린 학습자가 쉽게 부를 수 있는 동요의 적절한 음역의 사용과 도약진행을 이루어야 하나 가창 학습시 부분적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몇몇 악곡은 전통적인 선율진행(선법)보다는 일본식 선율을 연상하게 하는 진행을 하여 수정을 요하였다. 셋째, 가사의 내용 및 율격은 전통적인 소재에서 주로 많이 차용하였으나 현재를 담을 수 있는 정서적인 면에서 거리가 있었고, 내용이 특히 어둡거나 부정적인 것도 있었다. 넷째, 몇몇 악곡 중 정간보를 사용한 학습활동을 제시하여 시김새 및 리듬 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대부분 서양의 악보 및 악상기호를 사용하여 미숙함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의 분석 및 다른 많은 국악창작곡이 지닌 문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지도요소를 제시하여 교수·학습할 것을 제시하였다. 먼저 선율(음계와 선법)은 가창하기에 적절한 음역을 사용하고 5음뿐 아니라 12율까지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토리와 연결하여 지도할 수 있는 것을 활용한다. 또, 속도감을 느끼거나 학습자에게 익숙한 장단과 박자를 사용하되 다양한 속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한배의 따른 형식 등이나 혼합박자까지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12/8박자나 9/8박자의 기보는 가사의 흐름 및 장단 진행에 맞도록 기보하여야 할 것이다. 가창에 적절한 형식이면 크게 제한을 두지 않아 다양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며, 오늘날의 생활상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가사내용 혹은 어린이의 정서를 정화시키고 즐겨 부를 수 있는 가사 및 율격을 사용한 곡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장단과 관련시켜 셈여림을 지도하고, 토리와 관련하여 시김새를 지도할 수 있는데 특히 서양식이 아닌 고유의 기보표현, 혹은 고유한 기보를 토대로 창의적으로 제시하여 전통적인 악보의 장점을 이해할 수 있는 악곡을 선정하도록 하여야겠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으로 국악창작동요를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의 한국음악은 교사와 학생이 서로 발전시켜 나가는 진정한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이루며 세계 음악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믿는다.

      •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실태조사

        이은실 한경대학교 전자정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twenty-first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globalization and fierce competition, domestic universities are also moving towards internationalization. More and more overseas students from China and other countries come to study in Korea. Therefore the domestic universities have to compete with the universities 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ba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ir adapting eχtent of language, life and culture so as to help them to adapt to the Korean culture quickl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The study can also provide the school with management policy of foreign students and assist them in completing the plan of studying abroad. The content of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language adapting capability, life adapting capability and culture adapting capability. The acquisition of materials i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objects of questionnaire are 61 Chinese overseas students at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including language learners, undergraduates, postgraduates and so on. SPSS 14.0 is used to analyze Chinese overseas students' adapting and satisfactory eχtent of language, life and culture and take the χ2 verification based on the variables response rate i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collectives. Based on this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verseas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language programs of their universities, which are helpful to the study of undergraduates; but they are not so satisfied with their capabilities of language communication, understanding the professor's lessons and finishing the assignment. Most of them can not understand the content of TV and newspapers. The fact that most language learners have great difficulties in term eχaminations indicates the poor writing capability of students. Secondly, most students live in the dormitory or tenement near by the school and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housing conditions. They are also satisfied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school, and they consider that it is a good choice to study abroad in Korea since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re helpful. What is more, the students do part-time jobs two or three times a week, and average monthly pin money is 300,000. The biggest problems the overseas students may face are language problem and economic issue and the language problem hinder them from making friends with Koreans. Thirdly, as for the culture aspect, most students like watching Korean movies and TV drama programs and know the Korean tide. As for the Korean culture, etiquette and folk-custom, most students know a little. As for the places of historical interest in Korea, most students know nothing. In a word, to some eχtend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out the cultural and living satisfactory eχtend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in Korea. But since this study is conducted under limited conditions, more samples are needed to further the study in order to universaliz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foreign actual conditions study, the basic plan of making the domestic university more global will be realized and this study will be an aid to help more Chinese overseas students adapt to the life in Korea. 21세기 무한경쟁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국내 대학도 이제는 세계화에 발 맞춰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들로부터 많은 유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대학들 간의 경쟁에서 세계 대학들과 경쟁으로 시야를 넓혀야 비로소 국제 경쟁력을 갖춘 대학으로 평가 받는 시대가 온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유학생들을 대상자로 그들의 일반적 특성과 실제로 경험하는 언어적, 생활적, 문화적 적응을 분석함으로써, 빠른 기간 내에 한국문화에 잘 적응하고, 한국생활을 잘 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특히 그 목적은 중국유학생들이 처한 난제를 학교 측에 반영하여 대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외국인 유학생 관리전략을 제시하고 이들이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종합적으로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은 세 가지 영역으로 언어적 영역, 생활적 영역, 문화적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학생들이 적응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설문지조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은 H대학교에 재학 중인 전체 중국인학생 즉 어학연수생, 학부생, 대학원생을 포함하여 6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국 유학생들의 언어적, 생활적, 문화적 적응과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한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14.0으로 집단 간 차이검증을 위한 배경 변인별 응답율의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적 방법에 의해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소속대학교에 유학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소속대학교 언어프로그램에 만족한다는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언어 프로그램이 학부수업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의사소통능력, 교수 강의 이해정도, 과제수행은 모두 보통이며 미디어나 신문은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영역에서 현재 학생들이 제일 어려움을 겪는 문제는 학기시험 응시 수준이었다. 이는 학생들이 한국어 쓰기에 취약하다는 것으로 보여준다. 둘째, 거주지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현재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하고 있는 거주지에 만족한다는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 학생들이 학교 기숙사와 학교 근처에 있는 원룸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속대학교 생활환경에 만족하고 있고 한국유학을 잘 선택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수님 및 학생들의 도움도 받는 정도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하는 횟수는 2∼3일/1주로 나타났으며 용돈은 월 평균 30만 원 정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학중 가장 어려운 문제는 언어적인 문제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경제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이런 언어적인 문제는 또한 한국친구들을 사귀지 못하는 원인으로 연결된다. 셋째, 문화적 영역에서 학생들은 한국의 영화나 드라마를 가장 즐겨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한류에 대해 아는 정도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한국의 문화와 예의범절, 여가 문화 적응은 중간 정도로 나타났지만 한국의 명승고적에 대한 이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현재 소속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태를 언어적 측면, 생활적 측면, 문화적 측면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가 제한적인 조건에서 추진된 만큼 보다 많고 다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여 후속 연구가 수행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외국인 학생들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소속대학교는 세계화된 대학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그들이 한국에서 유학하는 동안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 사이버범죄 국제공조 수사의 효율성 강화 방안 연구

        이은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ransnational crimes, including cybercrimes, are exponentially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 extreme cases, cybercrimes begin to evolve into terrorist-style attacks in that they can be easily committed without special expertise or high costs. In this context, international investigative cooper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essential, noticeably in the collection of relevant digital evidence and the arrests of criminals of cybercrimes. The international investigative cooperation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types: “Act on International Judicial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Extradition Act”, and finally “Interpol Noti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countermeasures for reinforcing the efficiency of international investigative cooperation in cybercrime respons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first explored investigative cooperation examples and practical methods internationally and nationally employed. Moreover, the research carried out investigations into police investigators’ perceptions and opinions regarding how the current international investigative cooperation is being carried out and how it can be further improved. Finally, the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representative experts in the sphere of international investigative cooperation,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s. In the end, the research provides two policy suggestions. The first suggestion is that “country-customized” investigative cooperation systems should be established, in particular by analyzing other states’ preference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n, approving more specific and dedicated bilateral treaties. The second one is to actively utilize an "Interpol Notices System", in order to collect digital evidence and data located in other nations - recognizing Interpol for its very fast and extensive global networks. The author strongly believes that the two suggestions derived in this study can practically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efficiency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Korean cybercrime investigations. 초국가적 범죄의 증가와 함께 클라우드 환경의 확대, SNS 등 글로벌 서비스 제공 업체의 발전 등으로 인해 특별한 지식이나 고가의 비용 지불 없이 손쉽게 외국의 인터넷 서비스 및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사이버범죄는 국내외 인터넷망을 거치며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테러형 범죄로 진화 중이다. 일반적으로 현행 국제공조수사는 형사사법공조, 범죄인인도, 인터폴을 통한 공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이버범죄 뿐 아니라 전통적 범죄의 증거수집 및 피의자 검거를 위해서도 국제공조가 필수 불가결한 추세에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범죄의 특성상 신속한 국제공조가 요구되는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제공조 수사의 효율성 강화방안 도출을 위해 국내외 사이버사건 국제공조 방법과 사례를 살펴보고, Snowball Sampling 표본 추출하여 수사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국제공조 수사에 대한 현황 및 인식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경찰분야 국제공조수사 전문가에게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효율적인 사이버범죄 수사를 위해서는 양자조약 체결을 통해 국가별 맞춤형 공조체계를 확립하고, 신속하게 상대국에 있는 디지털 증거와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피의자를 추적․검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세계에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는 인터폴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연구를 통해 현행 공조제도 중 가장 신속하다고 평가받는 인터폴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제공조가 필요한 국가별 중요도를 분석하여 양자조약을 체결하는 등 사이버범죄 수사를 위한 국가별 공조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펄스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중금속 처리특성 연구

        이은실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물리화학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중금속 오염 토양을 처리하는 기술로는 in-situ soil flushing과 ex-situ soil washing이 알려져 있으나 투수성이 낮은 토양에서는 투입하는 세척제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고 비교적 세공이 큰 지점으로 흐름이 형성되는 편류현상이 발생하여 처리 효율이 감소되는 주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동전기(electrokinetic)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적용상의 어려움이 있어 기술적 보완이 필요하다. 주요 원인은 장기간 운전 시 토양의 저항 증가와 전극의 부식으로 인하여 전력소비가 증가하고 안정적인 운전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이에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펄스파워가 인가된 동전기 시스템을 이용한 토양의 중금속 처리 효율을 검 토 하였다. 직류전원이 인가된 일반 동전기는 장기간 운전 시 토양 셀에서 나타나는 저항 증가에 따른 전류량 감소 및 투입전력 감소 현상이 있으나, 펄스 동전기는 일정한 저항을 유지하여 전력 감소 현상 없이 안정적 운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투수성이 낮은 오염토양의 in-situ/ex-situ 처리에 타 기술대비 경쟁력이 높다고 판단된다. 주요 적용분야는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 분야 (광산 폐기물 및 주변 농경지, 산업단지, 군부대, 하상침적토, 슬러지) 이며 유류 오염토양 분야 (철도차량기지, 민군 차량정비창, 석유/전자 산업단지) 에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예상한다. The technology using of conventional physical & chemical methode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by heavy-metals has been well known as in-situ soil flushing and ex-situ soil washing. However, It can make some problem that above technologies are applied to the soil having low water permeability, which can be brought on undesirous solution flow in soil area and decreasing treatment efficiency, finally.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technology of electrokinetic treatment is being developed but there are still several difficulties of field application left over for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The major causes of difficulties are the increase of electric resistance inner soil for a long term operation continuously and electrode corrosion as a resulted from low life time of anode, which can bring on the rise of power consumption and the difficulty of stable operation. Pulse-powered electrokinetic system has been developed as new methode to treat contaminated soil by heavy-metals in consideration of high performance and economic efficiency. Pulse powered EK system has been identified that stale operation maintained without reduction of electrical power, keeping constant electrical resistance during a long time operation, while DC powered EK system indicated that the reduction of current amount and electrical power occurred as electrical resistance increased in the same period. As the result of comparing Lab. test with Pilot plant test by using the same soil samples, their removal efficiency of heavy-metals in soil and consumed electric energy per unit removal amounts proved to be similar with each other about 90% level. This study can be applied from contaminated soil by heavy-metals (ex : tailing area, industrial area, military area, waste sludge) to contaminated soil by waste oil (ex : a railroad car area, vehicle maintenance area, petroleum or electronics industri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