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의 흐름, 관계 개념을 적용한 예술학교 도서관 공용부 실내 계획 : 디지털 시대 문화예술의 흐름을 분석하여

        이은순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이란 민간의 다양한 지적활동 중에서 가장 총체적이고도 고도의 균형을 요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예술은 이성과 감성, 지식과 상상력의 긴밀한 균형을 통해 인간에게 가장 고차원적인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예술은 이와 같이 인간 본연에의 기여뿐 아니라, 실제적이고 일상적인 경험에서도 존재한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문화예술의 흐름은 영역간의 경계를 허물고 다원화의 경향과 동시에 기존 형식에 대한 일탈과 재정의를 요구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다.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대중문화 시대가 전개되면서 문화예술 분야에서 추구하는 새로운 개념을 표현의 다양성과 그 표현을 관객과 함께 한다는 소통성에 의미를 두는 것이다. 여기에 디지털 환경은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 정보의 흐름과 교환을 가능하게 하였고, 정보는 다양한 미디어적 유형을 띠면서 이미지로 재현되고 있다. 더불어 오늘날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정보기술의 발달, 디지털 매체에 의한 문화 혁명, 가상현실의 출현은 대상을 보는 인간의 태도와 감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전자시대의 인간은 기계를 통해 인터페이스하고 커뮤니케이션 한다. 이러한 사회문화 전반의 변화는 공간을 다루는 조형예술에서도 영향을 미치며, 여기에 상응하는 실험적 이론과 일탈이 여러 방향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전자 미디어와 그로 인한 문화적 상황에 대한 현실적인 해석과 건축이 지니는 실용성‘예술적 표현, 개념적 재해석의 구도를 통해 올바른 균형좀을 찾아내는 데에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무차별한 정보화가 가져오는 철학적 문제와 인간과 환경에 대한 건축적 입장 변화, 미디어를 수용하는 감성적 태도가 공간조형에 선행되어야 할 조건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본 계획은 2장에서 전자 매체의 발전과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한 디지털 시대의 문화예술 전반의 흐름과 동향을 고찰하고, 현대 예술과 공간조형에 있어 미디어적 특성을 개념화하여 3장의 실내 계획을 통해 미적 공간 개념을 프로그램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정보사회에 인간에게 필요한 교류 공간과 예술적 접근, 공간과 이미지에 대한 관계성을 분석하여 계획에 반영한다. 또한, 예술학교라는 다의적인 건축적 상황에 대해 내부공간의 관계와 흐름을 고려하여 복합적이고 기능적인 도서관 공용부위 실내 계획을 통해 새롭게 접근하고자 한다.

      • 간호사의 인지된 공감리더십과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직무만족과의 관계

        이은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고 있는 공감리더십과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직무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3곳의 33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3월 15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하여 323부 회수하였으나 기록을 누락하였거나 불성실한 응답 16부을 제외한 307부(93%)을 실증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부서 중 중환자실이, 직장근무 경력은 3년 미만인 집단에서 조직만족이 가장 높았다. 만20대가 만30대 이상에 비해 기회만족이 높았고, 4년제 대학교이상, 근무부서는 중환자실, 직장 근무경력은 3년 미만, 현부서 근무경력 1-3년 등의 집단에서 기회만족이 가장 높았다. 둘째, 공감리더십과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공감리더십과 구조적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조직만족에는 공감리더십이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고, 기회만족에서는 구조적 임파워먼트의 하위 요인인 지지요인이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다. 결론: 간호사의 인지된 공감리더십과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간호 관리자의 공감능력 및 구조적 임파워먼트를 제고하는 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ing effects of resonant leadership and structural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in registered Nurses. Methods: Data were surveyed from 330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15th to 31, 2016. We used 307 cases by deleting 16 incompletely or not sincerely answered cases. We analyzed data by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Organizational satisfaction,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highest in intensive care unit (ICU) and in group with less than 3 years in work experience. Opportunity satisfaction were highest score in 20s aged group compared to 30s or more (age), college graduated group (education), ICU department (working department), less than 3 years (work experience), and 1-3 years work experience of current department. Job satisfaction of nurs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resonant leadership and structural empowerment. Conclusions: Resonant leadership and structural empowerment of registered nurses wered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would be applied to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for nurses.

      •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학습양식의 관계

        이은순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의 다중지능의 프로파일과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선호하는 하는 학습양식에 따라 다중지능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어떠하며 이러한 다중지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습양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6학년 남자 138명, 여자 176명 총 314명을 대상으로 다중지능 검사(K-MIDAS), 학습양식 검사(Grasha, Riechmann의 학습양식검사, Kolb의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을 t-test, ANOVA 등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프로파일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개인이해 지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대인관계 지능, 논리수학 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음악지능, 신체운동 지능, 자연탐구 지능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녀별 다중지능을 비교한 결과, 남학생은 대인관계 지능, 신체 운동적 지능, 논리 수학적 지능이 높았으며, 여학생은 대인관계 지능, 음악적 지능, 공간적 지능에서 높았다. 둘째, Grasha와 Riechmann 학습양식에서는 남여가 학습양식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선호하는 학습양식에 따라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Grasha와 Riechmann 학습양식에서 독립형 학습양식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의존형 학습양식을 선호하는 학생들보다 모든 영역에서 다중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형의 학생은 회피형 학생보다 음악적 지능과 신체 운동적 지능 이외의 지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쟁형의 학생은 논리 수학적 지능에 있어 협동형조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olb의 학습양식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보면, 음악적 지능에 있어 분산자와 비교하여 융합자 학습양식의 음악적 지능이 가장 높았다. 신체 운동적 지능에서는 분산자에 비해 수렴자 학습양식의 점수가 높았다. 논리 수학적 지능에서는 분산자, 융합자와 비해 수렴자가 높았다. 공간지능은 학습양식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언어적 지능에서는 분산자에 비해 수렴자가 높았다. 대인관계 지능에서는 분산자에 비해 수렴자, 적응자 학습양식이 높았다. 개인이해 지능에서는 분산자에 비해 수렴자 학습양식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자연 탐구적 지능에서는 학습양식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양육곤란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이은순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최근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5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역할만족도 관련 요인과 양육곤란의 조절 효과를 부자가족과 모자가족으로 나누어 규명해 봄으로써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를 제고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17개 광역시도 한부모 2,500명이며, 본 연구에 사용한 최종 표본 수는 결측치와 무응답 등을 제외한 총 1,572명이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전체 한부모와 남성 한부모, 여성 한부모 각각의 건강 배제, 경제적 배제, 사회관계망 배제 등 사회적 배제가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양육곤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한부모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부모역할만족도의 각 집단별 차이 및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성별, 학력, 한부모가 된 기간,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사회적지지, 본인차별, 자녀차별, 소득, 취업, 정부지원 유형, 주거환경공간, 주거환경교육, 학업지도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일 때, 학력이 높을수록, 한 부모가 된 기간이 짧을수록, 우울하지 않을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주관적 건강상태, 본인 및 자녀의 차별정도와 부모역할만족도는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자일 때, 기초보장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아닐 때 부모역할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거환경공간과 주거환경교육은 부모역할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자녀양육 시 학업지도곤란의 정도가 클수록 부모역할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 각 집단별 차이와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연령, 학력, 한부모가 된 기간, 장애, 우울, 소득, 취업, 정부지원유형, 주관적 건강상태, 주거환경교육, 사회적지지, 본인차별, 자녀차별, 학업지도곤란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 한부모의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한부모가 된 기간이 짧을수록, 장애와 우울이 없을 때, 소득이 높을수록, 취업자일 때, 기초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아닐 때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 본인 및 자녀의 차별정도와 부모역할만족도는 부적 관계를, 사회적 지지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주거환경공간과 주거환경교육은 정적 관계를, 학업지도곤란과는 부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여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 각 집단별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력, 한 부모가 된 기간, 우울, 소득, 취업, 정부지원유형, 동거가족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지지, 본인차별, 자녀차별, 주거환경공간, 학업지도곤란, 생활지도곤란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한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한부모가 된 기간이 낮을수록, 우울이 없을 때, 소득이 높을수록, 취업자일 때, 기초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아닐 때 여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거가족수, 주관적 건강상태, 본인 및 자녀의 차별, 학업지도곤란과 부모역할만족도는 부적 관계를, 사회적지지, 주거환경 공간과 부모역할만족도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넷째, 전체 한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배제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부모가 된 기간, 소득수준, 주거환경공간, 사회적지지가 부모역할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녀 양육곤란의 조절효과, 즉 양육곤란에 따라 사회적 배제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가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업지도곤란, 소득과 학업지도곤란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 속에서 자녀 학업지도 시 어려움이 클수록 부모역할만족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사회적 배제가 미치는 영향과 자녀 양육곤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소득과 학업지도곤란, 소득과 생활지도곤란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는 관계 속에서 학업적인 측면의 양육곤란도가 증가할수록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는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소득이 증가할수록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는데 이 때 자녀 양육에서 생활지도에 어려움이 클수록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사회적 배제가 미치는 영향과 자녀 양육곤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학업지도곤란, 소득과 학업지도곤란, 주거환경공간과 학업지도곤란의 상호작용항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주거환경공간이 증가할수록 여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아지는 관계에서 학업지도곤란이 증가할수록 여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전체 한부모와 남성 한부모,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 양육곤란의 조절효과는 분석대상별로 상이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소득과 학업지도곤란은 남성 한부모와 여성 한부모 공통으로 부모역할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과 생활지도곤란은 남성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한부모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와 학업지도곤란, 주거환경공간과 학업지도곤란이 부모역할만족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자가족과 모자가족 특성에 따른 정책 및 서비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전국적인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부모의 건강 배제, 경제적 배제, 사회관계망 배제 등 사회적 배제가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녀 양육곤란이 사회적 배제와 부모역할만족도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사회적 배제의 영향과 자녀양육곤란의 조절효과가 한부모의 성별, 즉 남성 한부모와 여성 한부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한부모의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시한 연구로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diverse factors affecti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single parents and provide policies and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us, based on data from the 2015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single-parent familie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is study attempted to improve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single parents and verify parental role satisfaction-related factors, with single parents into male and female single parents, whil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difficulty.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2,500 single-parent family members (male an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in 1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including Jeju Province. The number of final samples for this study was 1,572 people, with missing value and non-response samples exclud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when verifyi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all the research subjec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 related factor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y were male and less depressed, had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shorter periods as single parents. It was also found that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erceived health states and self-discrimination and child-favoritism, while having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s. When they had more income and were employe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higher, and when they received higher levels of governmental supports, they had high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s well.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 while hav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Secondly, when examining differences in the related factors in single-father families, this study discovered that when single fathers were younger and employed, had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shorter periods as single parents, had no physical disorder or depression, had higher levels of income and higher governmental supports, they had high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erceived heath states and self-discrimination and child-favoritism, while having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s. Besides, i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 while hav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Thirdly, when examining differences in the related factors in single-mother families, this study discovered that when single mothers were employed, had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shorter periods as single parents, had no depression, had higher levels of income, and their governmental support type was ordinary household,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higher. I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y lived with, their perceived heath states and self-discrimination and child-favoritism, and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while havi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Fourthly, when carrying ou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for both single-mother and single-father familie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period as single parents, the level of income,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and social suppor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When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very variable, this study discovered that when social supports and the level of income were higher as pure moderating variables,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higher.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as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was high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lower.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parental satisfaction model for all the single parents was found to be 0.224. Lastly, with all the research subjects divided into single-father families and single-mother familie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factor. In male single parents, when their level of income was higher as a pure moderating variable,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higher. On the contrary, as they had more parenting difficulty in the academic aspect, they had low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sides, as they had more income,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higher. Interestingly, as they had more life guidance difficulty, they had high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as well.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parental role satisfaction model for single-father families was found to be 0.263. In single-mother familie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terms between social supports and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between income and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and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and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as pure moderating variables. Their parental role satisfaction became higher as they had more social supports, more income and more residential environment space. However, as they had more academic guidance difficulty, they had low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parental role satisfaction model for single-mother families was found to be 0.245.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verifying important factors affecting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single parental satisfaction-related factors and rearing difficulty. Particularly, by verifying differences between single-mother families and single-father families, this study attempted to increase parental role satisfac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dvanced policies and services will b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ir difference characteristics.

      • 圓의 象徵的 表現에 關한 硏究 : 本人의 繪畵作品을 中心으로

        李銀順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現代美術의 傾向은 그 槪念이나 造形性이 擴散 多邊化되면서 종래의 形式에서 벗어나 多樣한 表現樣式이 追求되고 있다. 본 硏究는 自然의 이미지(Image)의 象徵的 形象 들을 造形化하는 過程을 통하여 本人의 藝術에 대한 意識體系와 表現間의 關係를 照明하고, 象徵的 空間의 表現 樣式과 造形的 觀點을 自然對象의 한 部分에서 찾아 自然의 이미지(Image)를 圓을 통하여 美的으로 分析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이에따라 本人의 主觀的인 作品世界의 表現에 있어 純粹造形要素를 根據로 하여 非定形的인 形態를 自然의 이미지(Image)와 結付시켜 書面에서 圓과 線, 色彩의 構成으로 造形性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自然에서 받은 感興과 自然對象의 한 部分을 把握함에 있어서 直觀에 의한 對象의 把握으로 自然의 이미지(Image)를 抽象化 시키며, 圓들은 精神的인 측면을 象徵·含畜하고 있는 圖形이라는데 그 主要한 意味를 지니고 있다. 다양한 圓의 象徵的 形象들은 世界觀의 造形化된 실체이고, 畵面은 象徵的 形象들의 總體的 結合으로 有機的 關係를 形成하며, 隱喩的이고 含蓄的인 象徵空間을 演出하는 媒介體이다. 다시말해서 圓은 本人의 世界觀이 可視的 形態로 變形된 意味深長한 記號인 것이다. 圓이 가지는 象徵的인 槪念을 分類함으로써 작품속에서 圓을 통해 表現하고 자한 意味를 圓에 內在된 精神性과 根源的 自我의 意味로 나누어, 이에 관한 內容을 藝術, 哲學, 宗敎, 心理學 등의 資料에 依存引用하여 論 하고자 한다. 실제 作品 製作過程에서는 圓의 象徵性을 통해 本의 感性表現과 表親材料의 物性이 混合된 바탕을 마련하여 單純하고 隱喩的인 背景을 만들어 내고 있다. 圓의 象徵性과 自然의 이미지(Image)는 本人의 積極的인 意志의 개입으로 有機的 關係의 秩序를 追求함으로써 ‘精神性’과 ‘根源的 自我’의 意味로 總體化된 象徵空間의로서의 ‘統合性’을 形成한다. 이렇게 形成된 畵面은 多樣한 色料와 顔料에 의한 비닐기법의 混合, 반복되는 表現으로 인해 總體化 된 象徵空間의 性格을 表出한다. 圓의 象徵的 表現의 結果인 作品은 作家의 本質, 意識體系, 世界觀의 結合體로서 本人의 繪畵觀을 定立하는데 母體가 되고 있다. 그리고 本人의 作品을 分析함으로써 作業에 대한 反省과 함께 좀더 깊이 있는 圓의 象徵的 表現에 關한 作品製作의 可能性을 摸索해 보고자 한다. The trend of modern arts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formalities to search for a various expressive modes, with enlarging and diversifying its concept or formativenes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esthetically the nature's image through the medium of a circle by finding out it in a part of a natural object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cious system and expression of my art in the course of making forms of the symbolic figures of the nature's image. Thus, I tried to draw out a formativeness in the composition of a circle, line, and color on the screen by combining the unformed shape and the nature's image based on a pure formative element in expressing the world of my subjective works. Therefore, in understanding sensation from the nature and a part of the natural object, it is most meaningful that the nature's image can be abstracted by understanding the object by intuition and that the circles are figures to symbolize and imply a spiritual aspect. The symbolic shapes of various circles are the formalized entities by the view of the world, and a media which produce a metaphorical and implicative symbolic space, with its screen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by the total association of symbolic shapes. In other words, the circle is a meaningful sign into which a visible shape is transformed by my view of the world. The meaning to be expressed though the circle in the works sh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y classifying the symbolic concept of a circle whose content will be relied on the data such as art, philosophy, religion, and psychology for quotation. The symbolic shapes of a circle and nature's images form a 'unity' as a symbolic space integrated into 'spirituality' and 'basic ego' by searching for an organic relation and order through pouring my positive intention. The screen formed through this process represents integrated symbolic space owing to the repeated expression and vinyl technique using various colors and pigments. In reali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works, the background composed of my sensible expression and properties of matter is prepared to produce a simple and metaphorical setting through the symbolic shapes of a circle. The worker's essence, conscious system, and view of the world are combined in the work, a result of symbolic expression of a circle, in order to establish my view of painting. Finally, the analysis of my works wa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works about more profound symbolic expression of a circle along with introspection abou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