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은령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 체제에 의한 검인정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와 교과서포럼의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의 서술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서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제7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역사과에 심화 선택과목으로 ‘한국 근·현대사’가 신설되었다. 기존의 국사 교과서가 국정이었던 것과 달리 검정 체제를 취함으로써 6종류의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가 출판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준거안을 지키는 범위 안에서 교과서 집필진에 따른 일정 정도의 다양한 역사 서술이 가능해 졌다. 뉴라이트 계열의 교과서포럼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가 좌편향적이고 친북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비판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를 출간하였다. 본고는 교과서포럼의 책이 과연 대안적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를 분석하기에 앞서 교과서포럼이 지니고 있는 역사 인식을 정리하였다. 교과서포럼은 문명사관에 입각하여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수탈론을 비판하고 소농사회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을 지지한다. 아울러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체제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있다.교과서포럼 스스로 교과서를 표방하였기 때문에 형식적인 측면을 검토하여 교과서로서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풍부한 사진자료와 A4 크기의 판형은 대안적이나, 교육과정 지침을 따르지 않은 점과 분량을 고려할 때 시대적으로는 현대사, 영역별로는 경제 분야에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는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학생 활동 자료가 적다는 것도 비판점이라 할 수 있다.본 연구의 분석 결과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의 서술이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첫째, 개항기 서술에 있어서 문명사관에 입각하여 조선의 내재적 발전 가능성에 대한 언급을 생략하였다.둘째, 일제강점기 서술에 있어서 식민지 근대화론에 입각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로 인해 민족운동에 대한 내용이 매우 축소되었다.셋째, 현대사 서술에 있어서 이승만 정부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의 국가 건설과 박정희 정부의 근대화를 위한 경제발전에만 초점을 맞추어 서술했기 때문에 당시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균형잡힌 시각을 갖기가 어렵다.넷째, 북한 현대사를 보론으로 분류하고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체제로 이루어진 북한의 후진성만을 강조하고 있어 북한에 대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이해를 저해하고 있다.결국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 역시 또 다른 쪽으로의 편향성을 띤 서술이 되어 있었다. 이러한 편향성을 극복하고 학생들을 위한 교과서로의 근현대사를 서술하기 위해서 신문화사적 역사서술을 제언한다. 지금까지의 역사서술이 지배층의 것이었음을 감안하여, 앞으로의 역사서술은 역사의 거대한 과정 속에서 매몰되거나 지배구조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복원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 스스로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현재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논란은 역사학계가 아닌 정치권에서 계속되고 있다. 아직까지 역사가 지배층의 논리에 의해 좌우되는 안타까운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가 정치권에서의 소모적인 근현대사 논쟁을 그치고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로운 ‘역사’ 교과서와 ‘한국문화사’ 교과서 서술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s the authorized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lternative Textbook: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developed by the Textbook Forum in terms of descriptive contents and to critically analyze the latter's historical descriptions.Before analyzing the Alternative Textbook: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historical perceptions of the Textbook Forum, which criticizes the hypothesis of internal development and colony exploitation and supports the small farmer system and the modernization hypothesis of colony based on the views of civilization history. In addition, it finds the greatest value in free democracy and the economic system of free market.Considering that the Textbook Forum itself declared it's a textbook, I reviewed its formative aspects to see if it's proper as a textbook. Although its rich photographs and A4-size format were alternative enough, it did have some shortcomings including the fact that it didn't follow the guidelines of the curriculum and allotted too many pages on the modern history in terms of period and economy in terms of areas considering the entire pages. It's also criticized for lack of student activities materials.The analysis results sh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ve Textbook: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terms of description:First, it omitted mentioning the internal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Chosun based on the view of civilization history while describing the port-opening period.Second, its description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dominated by the contents based on the modernization hypothesis of colony, which resulted in a considerable reduction of the contents about nationalist movements.Third, it focused on democracy and economic system of free market during Lee Seung-man's administration and on the economic growth for modernization during Park Chung-hee's administration in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which made it difficult to have a balanced view of those periods.And finally, it categorized the modern history of North Korea into the left out section and emphasized only the backwardness of North Korea composed of socialism and communist regime, thus disturbing an objective and neutral understanding of North Korea.In the end, it's apparent that the Alternative Textbook: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criticized the existing textbooks for being inclined towards a direction and contended it would suggest alternatives, turned out to be inclined towards another direction in its descriptions. Historical descriptions based on the new culture history were suggested in the study to overcome such inclinations and help to describ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or the students. Considering that the historical descriptions so far were done by the ruling class, those in future should be supported by the efforts to restore the lives of those who are buried in the massive historical process or alienated from the ruling system. Thus the students should be given a chance to exercise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for themselves.Today discussions about textbook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ntinue on not in the history community but in politics, which reflects a sad reality that history remains in the hands of the ruling class's logic.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wrapping up the exhaustive controversy over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mong the politicians and writing new 'history' and 'Korean culture history'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 S. Barber의 <Knoxville : Summer of 1915> Op.24 에 관한 연구

        이은령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 미국음악을 대표하는 주요 작곡가의 사무엘 바버(Samuel Barber, 1910-1981)의 <Knoxville: Summer of 1915> op.24 (1947)에 관한 연구이다. 바버의 음악은 낭만주의에 기초하여 전통적이고 다소 보수적인 경향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 20세기의 새로운 양식을 적절히 융합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음악은 서정적이고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새롭고 독특하여 연주자와 청중 모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작곡가이자 바리톤 가수였던 바버는 성악가와 성악작품에 대하 이해가 뛰어나며 미국 가곡 발전에 핵심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가곡은 바버 자신의 음악적 서정성을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었던 분야로 그의 작품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문학적 조예가 깊었던 그는 가곡을 작곡함에 있어 가사선택을 가장 근본적인 기준으로 삼고 있다. 바버는 여러 시인들의 글을 가사로 사용했는데 그 중 제임스 에이지(James Agee, 1909-1955)의 글을 많이 사용하였다. <Knoxville: Summer of 1915>도 에이지의 소설 <가족의 죽음(A Death in Family)>의 프롤로그로써 바버는 이 프롤로그에서 느낀 작가와의 동일한 정서를 음악을 통해 직접적이고 아주 강렬하게 재창조해 내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바버의 원숙한 작품시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본 논문에서는 작품에 사용된 바버의 전형적인 형식, 선율, 조성, 리듬, 화성의 분석을 통해 그의 독특한 음악양식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This thesis is the analysis of Knoxville: Summer of 1915, op. 14 (1927) by Samuel Barber, one of the great composers in twentieth-centry America. Barber is categorized as neo - romantic composer. He kept a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trend based on romanticism and also united twentieth-centry modern forms with this trend. Accordingly, new and unique, they have appealed both to performed to audiences and have been performed frequently. Barber was a composer and baritone singer, who had the ability to understand both singers and songs. Now he is regarded as one of the musicians who have developed the modern American art song. Barber's lyricism is well expressed in about his song. When he composed these songs, he prudently chose the words using the poem as the base of each work. Knoxville: Summer of 1915 is one of the best works with coincidence of words and composition. Here, directly and intensively, Barber recreated the very emotion that James Agee created in <A Death in the Family>'s prologue. As this work was composed in composition.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Barber's specific techniques by analyzing the forms, melody, structure, rhythm and harmony of the work.

      • 다이어트 센터 예술심리치료 이용자의 헬스커뮤니케이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은령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Obesity has become the most debatable topic as the modern society is westernized and industrialized. The media hypes a better shaped body, “being diesel,” overemphasizing importance of being skinny and making it as the universal standard of judging a person. As a result, even people who are not overweight are so physically and mentally stressed that they struggle to lose weight these days. A changed lifestyle has reduced the amount of daily exercise, however, and incorrect information spread over by the media causes people to plan for indiscreet weight-loss; this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for it makes people lose their own health. The reason the diet center market grows year by year is that there is a great demand for it. Furthermore, health communication theory in accordance with economic growth is the basis of diet center, allowing it to provide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s that can meet both aesthetic satisfaction and healthiness. The complex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iet industry in health community figure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personal belief in health, which is the health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when people on diet act to the belief; people who use diet centers that art-psychotherapy, which is based on health communication theory, is built to are studied. In specific, the causality model showing how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personal health belief model, which is a health communication theory that emphasizes personal health and prevention of disease, including important variables like recognized sensitiveness, recognized seriousness, recognized disability, recognized usefulness, and self-efficiency, affects the parameter variable, action to the personal health belief, representing how emotion and an individual’s judgment on his own value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has been suggested. To positively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data of 165 people surveyed, which is the total number of members enrolled at the art-psychotherapy based diet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has been utilized. Through this, the health communication based art-psychotherapy diet center customers can regain their confidence and correct diet health behaviors. This positive recogni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leads the clients to be loyal to the centers, resulting in recognizable profits. Hence, a diet center needs to prepare for the profit strategy through developing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s that could arouse people done with die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atching their own figures after the diet. It is thought t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conversion study that the causality betwee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effects of the health communication theory (health belief model) on the health communication based art-psychotherapy diet center clients is positively verified. Diet should be done in a sense of the health communication theory, not of mere weight-loss, which means that the diet should be fundamentally healthy. The theory then should work as a kind of preventive medicine, by which a person recognizes obsession as a disease. For people obsessed with a skinny shape today tend to repeat incorrect forms of diet and stress leads to wrong eating habits, professionals specialized in treating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in nutrition should help people suffering from the obsession relieve stress, establish healthy self, and recover self-esteem via customized nutritional remedy and psychotherapy done by customized advice and art-psychotherapy exercises.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could be enhanced when the customized study, which results in sustainable diet and health, based on the health communication becomes active. Therefore, a company running a diet center should put effort into developing a diet program and investing in utilizing a health community that corrects diet behaviors rather than founding employing a marketing strategy that simply commercializes diet. 현대사회에서 서구화 및 산업화에 따라 비만이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그리고 미디어에서는 아름다운 몸매라는“몸짱”을 부각하여 남녀노소 , 나이불문 날씬함을 강조하고 사람들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정상 체중인 사람들까지도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다이어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변화된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운동량이 줄어들고 잘못된 미디어의 정보로 무분별한 다이어트 반복이 개인 건강함까지 잃게 되는 것이 사회적 문제 요인으로 대두 되고 있다. 해를 거듭할수록 다이어트 센터의 양적 성장과 활성화는 고객의 욕구와 수요에 맞물려 있고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또한 경제적인 성장과 함께 등장한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바탕을 둔 다이어트 센터는 미적 만족을 위한 다이어트와 동시에 건강추구까지 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건강 서비스가 결합된 형태로 다이어트 산업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예술심리치료를 응용한 다이어트 센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헬스커뮤니케이션 특성인 개인 건강신념이 다이어트 건강 행동 실천을 통해 고객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독립변수인 개인의 질병예방 및 건강을 강조하는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인 건강신념모델의 중요한 변수인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장애성 , 인지된 유익성 ,자아 효능감이 매개변수인 다이어트 건강 행동 실천을 통해 자신의 가치에 대한 판단 및 감정이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헬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기반으로 한 예술 심리치료를 응용한 다이어트 센터를 이용하는 서울·경기 소재 다이어트 센터 전 지점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65명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개인 건강 신념의 인지된 심각성 요인, 인지된 장애성 요인, 자아효능감은 다이어트 건강행동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고, 다이어트 건강행동실천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이어트 센터의 이용자들은 다이어트 성공에 대한 자신감 회복과 건강 행동 교정 습관까지 챙길 수 있는 개인 건강신념을 통한 긍정적인 인식과 고객 만족은 고객 충성요인이 되고, 이는 다이어트 센터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 센터는 이용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으로 다이어트 이후에도 개인의 건강 행동 실천을 기반으로 한 몸매관리의 중요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전략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질병을 예방하는 헬스커뮤니케이션이론(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해 개인 건강 신념이 다이어트 건강 행동 실천으로 연결 될 수 있게 하고, 그로인해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고객만족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실증 검증함으로써 융・복합연구에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고 사료된다. 근본적인 다이어트는 건강함을 기본으로 행동 실천해야 하며, 질병으로 인한 비만의 인식으로 자신의 건강을 예방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는 예방의학으로 발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마른 몸매에 대한 강박증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의 잘못된 다이어트의 반복과 정신적 스트레스는 바르지 못한 식습관으로 연결되므로, 단순 식이요법이 아닌 개인 맞춤 영양학적 음식 치료, 강박증 해결을 돕는 심리치료로 자아 형성, 자존감 회복을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헬스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개인 행동학적 맞춤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만 지속 가능한 건강한 다이어트 성공으로 고객 충성도와 만족도가 높아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다이어트 센터를 운영하는 기업에서는 단순히 다이어트를 상품화 시키는 마케팅 전략보다는 국민 건강 원칙 경영으로 고객을 위한 다이어트 건강 행동 교정 헬스 커뮤니티의 공간 활용에 투자 및 다이어트 프로그램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 시간의 순환성을 소재로 한 도자조형 연구

        이은령 경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도예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활용 접목하여 유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도자조형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흙이라는 매체를 예술적인 표현 수단으로 사용하면서 용(用)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자연물의 오브제, 발견된 오브제, 해석된 오브제 등 다양한 오브제를 접목시키므로 시각성과 공간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의 순환성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순환하는 행위의 과정과 그 속에 존재하고 있는 형상 속에 의미된 시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하여 이를 조형화 시키고자 하였다. 시간의 순환성 (윤회(輪廻))은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 과 같이 생명이 있는 것, 죽어도 다시태어나 생이 반복된다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작품에서 뜻하는 것은 생명을 부여받고 구축적으로 쌓여가며 소멸되는 과정들이 반복되는 의미를 두고 있다. 본 작업의 모티브가 된 자연적 소재들은 비, 바람, 파도에 의한 풍화작용으로 오랜 시간 바닷물에 의해 마모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사람의 인위적인 힘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이며, 인간은 갈수록 자연에 대한 그리움 향수를 느끼며 또한 메말라가는 정서나 삭막함 속에서 또 다른 안정을 찾고자 한다. 살아온 환경과 풍토에 의한 문화적인 요인과 개인적인 성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내면에 잠재된 의식이 질료적 물질을 통해 조형적으로 형상화되며 다양한 소재에서 영감을 얻어 도자기에 응용하거나 그이야기를 도자 속에 담으며, 인간의 심리상태나 혹은 사회적인 발언으로서 한 장르에 국한 시킬 수 없는 예술적인 깊이를 서로 다른 매체간의 결합과 오브제를 통하여, 시간의 순환성이라는 개념을 재해석하고 조형적 형태를 찾고자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조직후원인식과 조직방해인식이 종업원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특권의식의 조절효과

        이은령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xisting studies on the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has been heavily focused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owever, in reality,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has a stronger impact on the employee behavior tha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many cases, employee decision-making is determined by nagative perceptions. Despite the practical importance, our understanding on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is relatively weak in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and to establish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In order for thi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theoretical study, a supposition was established and proof analysis was done. For the proof analysis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done on 622 people on/off line. This study focused on three question. First,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and employee behavior? Second,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behavior? And third, is it reasonable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and Employee Behavior.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employees distinguish negativ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with the organization(POO) from supportive or neutral social exchange elationships(POS). Overall, results from this studies drawing on different samples of employees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demonstrate that the POO scale is internally consistent and unidimensional, demonstrates discriminant validity with respect to existing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constructs, and explains additional variance in the modified EVLN framework.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ased of the prac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which predict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would be influence on employee behavior, was supported. Hypothesis 2, which predict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ould be effect on employee behavior, was also supported. Hypothesis 3, which predicted that psychological entitlement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and employee behavior, was supported. Concretely, Psychological entitlement has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and considerate voice, aggressive voice, neglect and OCB.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entitlement did not show an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and exit, patient. Hypothesis 4, which predicted that psychological entitlement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behavior, was partially supported. Materially, Psychological entitlement has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neglect, OCB.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entitlement did not show an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ther factor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has academic value. It aims to motivate integrated thinking about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social exchange theor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OO to the academic literature of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s in Korea; demonstrate that for Korean businesses, it is possible to develop approaches to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business environments, and that it is possible to persuade members of an organization of the importance of social exchange theory by consciously pointing out negative perceptions and behaviors in organiz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of perceived organizational obstruction by developing an theoretical model, incorporating the POS and modified EVLN. Furthermore, This research indicates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between employee perception and employee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organization developing modified EVLN, POS-POO and improving workplace psychological entitlement of employees need to be considered to adopt.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s theoretical, managerial implica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노인복지시설과 초등학교의 교류프로그램에 따른 복합화 계획에 관한 연구

        이은령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급증하는 노인의료 및 장기요양비용은 국가 경제에 많은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장기요양시설로의 입주를 가능한 지연시키고, 지역사회에서 노인들을 돌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국내 노인인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90년대 중반부터 노인복지시설의 건립이 증가하고 있지만, 수요에 비해 항상 부족한 상태이다. 국내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과 비슷하고, 노인·아동 인구 증가비율의 역전현상을 경험하여 이미 초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시설건립에 따르는 한계를 노인복지시설과 지역시설들을 복합하여 시설 건립 및 운영에 따르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왔다. 또한 중학교 단위로 데이케어센터 1개소 설치하기로 한 골드플랜의 목표가 수립되고 저 출산으로 인해 발생한 여유교실을 데이케어센터 등으로 전용하는 것을 제도화 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교를 새로 신축·합축 하여 개발하는 경우, 지역시설 공동체를 결성하여 지역시설과 대규모 노인주거, 복지시설을 함께 복합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는 부재하지만, 노인복지시설과 공립 초·중학교의 복합화를 추진하여 지역사회의 세대 교류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 분석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와 노인복지시설의 복합 시 시설의 공간 특성을 살펴보고, 노인·아동의 교류를 촉진하는 데 유효한 교류프로그램과 관련 교류공간의 특성을 기초로 복합 시설 계획 시 적용가능 한 공간구성체계를 밝혀, 향후 국내 노인복합시설의 건립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노인세대와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징과 행태적 특성의 유사성을 고려해 상호교류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초등학생과 개호 및 개호예방을 위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자립형 노인으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국내외 문헌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노인복지시설과 복합화, 세대간 교류프로그램에 관해 알아보고, 한국과 일본의 고령화동향과 사회적 변화, 주요 노인복지정책의 변화 등을 비교하고 지역사회에서 노인복지시설의 정의,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노인복지시설의 복합화 개념과 분류, 그 실례를 파악한다. 또한 노인·아동 세대간 교류의 장으로서 교류프로그램과 복합시설의 공간적 특징과 노인복지시설과 초등학교의 복합화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기존 문헌조사와 사례대상관의 공간 구성을 조사하여, 노인복지시설과 학교의 공간 분석기준을 제시하여 복합 시 공간특성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노인복지시설과 초등학교의 복합 건축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공간구성체계 모델을 제시한다. 일본 노인복지시설과 초등학교의 복합된 사례를 중심으로 설문, 인터뷰 조사를 통해 세대간 교류의 발전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 교류프로그램의 유효성에 따른 특성을 바탕으로 교류프로그램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류를 촉진하는 학교-노인복합시설의 공간구성체계를 모식도로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시설과 초등학교의 복합은 지역사회에 있어 보호대상인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복지시설과 14세 미만을 대상으로 하는 아동시설의 복합화의 이상적 대안으로 볼 수 있으며, 그 필요성을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복지거점으로서의 역할, 복지정책의 실현과 경제적 효율성, 세대간 교류와 평생교육의 실현의 관점에서 주목하였다. 둘째, 사례를 통해 조사된 교류프로그램을 5개의 유효성항목(상호성, 학습성, 흥미성, 주체성, 빈도수)을 기준으로 유효성 평가에 따른 교류프로그램 유형 군을 4가지로 1군: 상호·유도 교류, 2군: 일방·유도 교류, 3군: 상호·자주 교류, 4군: 일방·자주 교류로 명명하였다. 셋째, 교류 유효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세대간 교류유형은 상호성과 주체성이 높게 나타난 상호·자주 교류이다. 노인과 아동의 교류가 주체적 상호관계에서 이루어 질 때 연속적, 자주적, 상호공생의 목표를 이룰 수 있다. 교류를 인위적으로 유지시키고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사회적 지원 비용이 들어간다. 교류의 유효성평가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이 아니더라도, 교류 목적에 부합한 교류형태는 상호·자주 교류이며 현재, 가장 활성화 되어 있는 상호·유도 교류형태는 상호·자주 교류로 발전하여 생활 속에 연속되어 지속 될 수 있다. 넷째, 상호·자주 교류가 활성화되는 사회적·물리적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지속적인 교류가 중요하다는 의미이며, 이를 위해서 현재 학교 주도의 교류프로그램 진행이 아닌 상호 협의를 통해 운영체계의 공동영역을 확보하여, 각 시설의 순기능에 부합하는 커리큐럼과 교류프로그램을 개발, 접근하여야 한다. 이때 시설이 목적인 교육과 복지사이에서 관리자의 체계적 교육도 중요하다. 다섯째, 교류를 촉진시키기 위한 물리적 공간구성체계를 교류의 입장에서 전용공간(학교)-교류공간(학교)-공용공간-교류공간(노인복지시설)-전용공간(노인복지시설)의 위계로 구성하여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교류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와 시설에 관련된 공간구성체계와 같은 하드웨어(Hardware) - 공간 배치와 효율적인 공간계획 - 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공용공간을 실내와 실외에 걸쳐 운동장을 중심으로 한 놀이터, 정원, 중정의 발코니, 데크, 배회정원, 벤치, 파골라, 비오톱 등의 장치를 배치하고, 지역 개방 존으로 활용 가능한 체육관, 강당, 수영장, 다목적실 등 과 두 시설의 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BOP 룸 등을 배치한다. 이는 상호·자주 교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일방·유도, 일방·자주 교류의 프로그램도 수용하는 복합시설 교류장소의 중심이 된다. 여섯째, 노인복지시설과 학교의 경계영역에 존재하는 공용공간과 함께, 각 시설 간의 교류공간을 인접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노인복지시설의 공용기능공간과 학교시설의 지원영역 및 필요시설이 각 시설의 교류공간에 포함되며, 프로그램 상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두 시설 모두에서 접근이 용이하게 계획하여야 한다. 특히 식당이나 도서관, 오락실, 강당(다목적교실), 시청각실 등을 두 시설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 노인과 아동의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이러한 활동이 양자 모두에게 정서적인 이점이 될 수 있다. 상호·유도 교류의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장소로서, 상호·자주 교류로 발전하는 학교·노인복합시설 내부의 교류의 중심이 된다. 본 연구에서 제언한 교류프로그램을 통한 교류공간의 특징과 공간구성체계는 일본의 상황을 연구해 만든 것이다. 이를 국내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류프로그램의 유효성과 학교의 교육상황 등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an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rapidly growing elderly medical expenses and the long-term care expenses become a big burden to the national economy. As a result, the admission date for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s being delayed, and a lot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care for the elderly within a neighborhood community, to save expenses, and to effectively provide services. South Korea is considered to have the most rapidly aging population in the world. From mid-1990's, the construct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facilities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e demand. In the case of Japan, which has simila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Korea and has experienced a reversed phenomenon--a higher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an in children,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neighborhood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integrated to resolve the limited spac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o combat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constru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facilities. Additionally, by establishing a goal of the Gold Plan for constructing one daycare center at each elementary school, and by implementing a system which allows an exclusive use of spare classrooms, resulting from a low birthrate, for a daycare center, the Japanese government is actively involved in improving the conditions of elderly care. When constructing new schools or combining old schools, community facilities and large-scale elderly residential complexes and welfare facilities are integrated by organizing a neighborhood-servicing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cases of Japan, which have integrated public elementary/middle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to form neighborhood community bases where different generations can interact. In this stud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will b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ng space used for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that are effective in promoting an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he elderly, a spatial composition system applicable to planning such multi-functional facilities will be explo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nstructing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the future construct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elementary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and the elderly, who lead an independent life and use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for disease prevention care.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the integrated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are investigated; the aging trend and social changes as well as the changes in major elderly welfare policies in Korea and Japan are compared; and the meaning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local communities, the types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the concepts and classifications of the integrated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their actual cases are investigated. Additionally, the need and the concept regarding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functional facilities as a meeting place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are discussed. Second, b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and investigat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subject facilities under study, an analytical standard for the space of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s suggested,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fter integration are presented. Lastly, a spatial composition system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planning an integrated building of an elementary school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s suggested. Focusing on the integrated facilities in Japan, a direction for developing an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is explored using the research methods of surveys and interview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interaction programs,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 spatial composition system of schools and the welfare facilities for promoting interactions are presented in a diagra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s considered to be an ideal alternative for multifunctional facilities for both the elderly residents who are over 65 years of age and children who are under 14 years of age. Such multifunctional facilities has an important role as a constant interaction base in the community, both realizing welfare policies and economic efficiency and actualizing life-time educ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Second,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investigated from a case study are named as the following four types depending on the five aspects of efficiency (mutuality, learning, interest, interaction, and frequency): (1) Type 1: a mutual, inducing program, (2) Type 2: a one-way, inducing program; (3) Type 3: a mutual, voluntary program, and (4) Type 4: a one-way, voluntary program. Third,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which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was a mutual, voluntary type with the highest degree of mutuality and interaction. The goal of con-existence can be realized when an interaction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ren is voluntary. Maintaining and inducing 'involuntary' interactions and participations will cost a lot to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of effective interactions, an inter-generational type, which corresponds with the goal of interaction, is found to be a mutual, voluntary interaction. However, a mutual, inducing interaction type, which is most activated at the present time, will eventually develop into a mutual, voluntary interaction that can be continued and maintained in everyday life. Fourth, a social, physical situation, which activates a mutual, voluntary interaction, should be promoted. This means that a continuous interaction is important, and that a mutual, voluntary interaction or a mutual, inducing interaction should be activated from a one-way, inducing way. For this, an joint area of the operation system should be secured through an interactive cooperation, not through school-initiated programs, and inter-generational curriculum or program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fac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approached. In addition, the systematic training for managers, who are in between education and welfare, is also needed. Fifth,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a physical spatial composition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in an order of Exclusive Space (school)/ Interaction Space (school)/ Shared Space/ Interaction Space (elderly welfare facility) from a perspective of interaction. For this, the software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and the hardware of a spatial composition system (e.g. effective spatial layout and planning), which are related to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shared space, facilities such as indoor/outdoor playgrounds, gardens, courtyards of balcony, deck, strolling garden, bench, pagora, and biotop should be placed; and gymnasium/auditorium/swimming pools/multi-purpose rooms, which can be used as an open zone for the community, as well as base-of-playing (BOP) rooms to promote an interaction between the two facilities, should be placed. Such placements will become the central interaction spots for multi-functional facilities that can promote the programs of a mutual, voluntary interaction, as well as the programs of a one-way, inducing interaction or a one-way, voluntary interaction. Sixth, along with the shared space that exists in a boundary between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 interaction space between the two facilities should be planned closely. The shared, functional space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as well as the subsidiary area and the required amenities for schools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action space of each facility. Especially, if the two facilities share the amenities of cafeteria or library, recreation room, auditorium (multi-purpose room), and audio-visual room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derly and children will be very active, and such activities will be emotionally advantageous to both groups. A shared space is a place for accommodating the programs of a mutual, inducing interaction between schools an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it will turn into a central spot for a mutual, voluntary inter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generational space and the compositional system of the space through the inter-generational programs, which are suggested in this study, have been constructed based on Japanese cases. To apply them to Korea,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nd on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school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