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만족도

        이유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만족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유리 본 연구는 유아특수체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학부모의 인구사회학 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인식도를 조사-분석 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 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조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특수 체육 아동발달센터의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얻는 방법은 설문조사로 진행 되었고, 자료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rogram 2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과, 연 구방법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체육 프로 그램 효과에 대한 학부모 인식도 (신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를 분 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발달 되는 부분은 정서발달, 신체발달, 인지발달 순으로 도움을 많이 준다고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를 통 계학적으로 나타났을 때,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서 학부 모의 학력 또는 연령에서 만족도 요인이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만족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셋째, 유아특수체육 프 로그램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하위요인인 운영만족이나, 지도자 만족에 서 낮은 상관성이 있는 걸로 나타났고,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경우 학 부모의 인식도와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이 상관관계를 면밀히 파악하여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 이다. 주요어: 유아특수체육, 학부모 인식도, 학부모 만족도

      • 중학교 2종 교과서 연극을 활용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 -역사교과연계뮤지컬 사례를 중심으로

        이유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is a study paper of Production Note and effect for Textbook connected Musical according to the 2nd-class textbook play's content to study the aspect and effect, improvement point when the textbook 'play' is applicated in 2018, refer to that Subject 'Play' is newly established as a big unit in Korean Subject or High-School selection process in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15 years, Korean Education has taken an innovation and revolution rapidly comparing to the Foreign Education base. Doing away with th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that just sitting on the desk and hearing the teacher's speaking, They have developed and applicated Student highly-participated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lik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ree Semester", "havruta". Therefore, City or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or related Education Institution or Corporation, Foundation have produced and applicated 'Textbook connected Musical' in many subjects as an Education Method, thus, They have adopted that educational effect and established subject 'Play' as a essential or selected subject in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In the advanced research, Pedagogy majored researchers who almost haven't produced any play or Musical have studied the effect of textbook connected Musical, they just submitted Possible agenda or studied theoretically. When I meet the teachers, they confessed, they didn't learn any play or Musical Production, even he or she doesn't have clear resolution or play making senses, so They know exactly that textbook connected Musical is good for Education but they are in trouble how they can adopted that method. Even in the advanced research, researched suggested some collaboration between the subject teacher and artistic tutor, so they imply they can't lead the text connected play or musical on their own. Therefore, Researcher have produced Textbook Connected Musical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Culture&Art Group "Kkumtta" in Seongnam-Si with the 2nd-class textbook "Play" which is published on the market, and recorded the Production note in detail and studied students' textboot learning effect, Crea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awareness by T-test using SPSSWIN 22.0, Questionnaire, Interview. Also, Researcher suggested improvement point of 2nd-class textbook 'Play' and detailed education method when producing Textbook Connected Musical. Researcher again affirms to say that establishing of Subject "Play" is encouraging and developmental work on the Korean Educational future pursuing Creative-fusion Elite, and Textbook Connected Musical will be Highly qualified Education Metho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on formation of Creative-fusion whole personality to Korean Youth and wish to produce the Synergy effect when qualified Art-Eductiaon method are developed more and mor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Art and Play. 본 논문은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연극과목이 신설되어 국어대단원 또는 고등학교 선택과정에 적용됨에 따라, 2018년도 연극과목이 학교에 실제 적용되었을 때의 그 양상과 효과, 개선점을 연구하고자 중학교 2종 연극교과서의 내용에 따라 교과연계뮤지컬을 제작하여 제작노트를 기록, 그에 따른 효과를 기록한 연구논문이다. 최근 15년간 한국교육은 해외와 비교했을 때 교육방식의 혁신과 개혁을 급속도로 진행해왔다고 볼 수 있다. 책상에 앉아 교사의 학습내용을 주입식으로 듣기만 해야 했던 교육방식을 탈피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하브루타 등 학생참여도가 높은 자기주도학습형 메소드를 지속적으로 계발 적용시켜왔다.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 또는 많은 관계교육기관, 사단,재단법인 등에서 교육메소드로 “연극”을 교과내용과 접목시키는 ‘교과연계뮤지컬’을 다양한 과목에서 제작, 적용시키기에 이르렀고 그 교육적 효과를 채택하여 연극 교과목이 중,고등학교에 필수 또는 선택과목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극, 뮤지컬제작을 실제 해보지 않은 교육학전공자들이 교과연계뮤지컬에 따른 효과를 연구하여, 교육 가안을 짜본다던지, 교과연계뮤지컬의 효과를 이론적으로 연구하는데 그쳐있었다. 교사들을 실제 만났을 때 대부분 토로하는 것이, 연극,뮤지컬을 본인이 배워보지 않았고, 자신도 연극적 감각 또는 티칭기술이 명확하지 않으니 교과내용을 연극,뮤지컬에 접목시키는 교육방법이 매우 좋다는 것을 알지만, 어떻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도 연기예술을 전공한 예술강사와 교과교사의 접목을 제안하며 교과교사 혼자서는 이끌어 갈 수 없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2종 교과서 ‘연극’을 가지고 성남시 문화예술동아리 ‘꿈따’의 중학생들과 함께 교과연계뮤지컬을 제작하여 그 제작노트를 상세히 기록해보았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학습적 효과와 창의성, 자기주도학습력, 정서인식의 효과를 SPSSWIN 22.0 을 사용한 T-test, 설문지,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2종 교과서의 개선점과 교과연계뮤지컬 제작시의 구체적인 학습메소드를 제안해 보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를 추구하는 한국교육의 미래에 연극교과목의 도입은 매우 고무적이고 발전적인 작업이 아닐 수 없으며, 교과연계뮤지컬은 양질의 교육메소드가 될 것이라고 다시 한 번 단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한국청소년들의 창의융합적 전인적 인격체 형성에 긍정적 도움을 주기를 바라며 또한 양질의 예술교육메소드가 더욱 더 계발되어져 예술과 교육의 접목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크게 일어나기를 소망한다.

      • 금속유기구조체의 합성 및 흡착/촉매 활용 연구

        이유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금속유기구조체 (metal-organic frameworks, MOFs)는 금속 이온/클러스터가 견고한 구조의 방향족 유기 리간드와 배위 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1차, 2차, 3차원적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결정형 다공성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MOF는 넓은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 규칙적인 세공 구조 및 높은 금속함유 등의 뛰어난 물리화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 가스 흡착/분리, 촉매, 약물전달 및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 최근 가장 주목받고 있는 나노 다공성 물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열안정성이 높은 MOF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스/금속이온 흡착과 촉매활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Chapter 1은 MOF의 전반적인 소개, Chapter II는 다양한 합성법을 통한MOF와 MOF막 제조 및 이들의 물성평가, Chapter III은 이산화탄소/메탄 흡착 및 희토류 금속 이온 흡착/분리, Chapter IV는 MOF의 촉매 활용 연구를 기술하였다. 마지막Chapter V는 MOF 제조 및 공업적 활용에 있어 발전 가능성과 해결해야 할 항목들을 제시하였다. Chapter II에서는, 대표적 MOF 구조체의 합성방법 비교, 합성규모 확장, 및 MOF 막 제조연구를 수행하였다. 합성방법에 따라 ZIF-8의 물성과 입자 크기 및 morphology 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olvothermal 또는 dry-gel방법으로 제조한 촉매가 입자크기가 작아서 Knoevenagel condensation 반응의 활성이 우수하였다. ZIF-8 구조체 내부에 Fe3O4 나노 입자를 도입하여 액상 촉매 반응에서 쉽게 촉매 입자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UiO-66(Zr)를 상업용의 합성 유기전구체 및 용매를 사용하여 100L 규모의 batch reactor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합성된 UiO-66(Zr) 물질은 우수한 물리화학적 특성 (1387 m2/g BET 비표면적 및 수율 > 93 % )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Zn 및 Ti 기반의 IRMOF 및 Ti-MIL125-NH2 MOFs를Al2O3와 TiO2 지지체 상에 고정화하여 MOF membrane을 다양한 합성조건 (합성 시간, 온도, Power)에서 제조하고 물성 조사를 수행하였다. Ti-MIL125-NH2/TiO2막이 IRMOF-3/Al2O3 막보다 안정성이 높은 것을 Knoevenagel condensation 반응의 재활용 시 전환율이 높게 유지되는 것을 통해 확인하였다. Chapter III에서는 MOF를 이용한 기상 이산화탄소 및 메탄 흡착/저장과 액상 조건에서의 희토류 금속 이온 흡착/분리 연구도 수행하였다. UiO-66(Zr)을 PVA 바인더와 섞어 펠렛을 제조하고, 입자 크기별에 따른 CO2 에 대한 흡착 실험 결과, 298 K, 20 bar 조건에서 191 mg/g의 CO2 흡착량 및 36의 CO2/N2 선택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흡착량은 입자크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Ni-MOF-74를 제조하고, 표면을 polydimethylsiloxane (PDMS)로 코딩하여 얻어진 시료의 메탄 저장능을 상압/고압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BET 비표면적과 메탄 흡착량의 선형적 관계를 통해 메탄이 물리 흡착함을 확인하였다. 메탄 저장능은 7일간 유지되었으나 수분 노출 30일 이 후에는 약 60%의 메탄 저장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하게 유기기능화시킨 MIL-101을 제조하고, 희토류 금속이온(Rare earth elements) 흡착능을 측정하였다. -C=O, -NH2, 및 -PO3H 기능기를 동시에 함유한 MIL-101-PMIDA (N-(phosphonomethyl) iminodiacetic acid, PMIDA)가 희로튜 금속 이온들 중에서도 Gd3+ 이온에 대한 흡착량이 90.01 mg/g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Gd3+ 이온은 전이금속 이온 대비 약 90%의 선택성을 보였으며, 5번의 흡탈착 재생실험에도 흡착량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통해 흡착제로서의 높은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Chapter IV에서는 MOF의 촉매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염기 기능기가 동시에 부착된 MIL-101-NH2-SO3H 를 제조하여 benzaldehydedimethylacetal 의 tandem 반응을 수행한 결과 산, 염기성분이 각각 따로 기능화된 시료에 비하여, 높은 전환율과 최종 생성물 trans-1-nitro-2-phenylethylene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얻었다. 또한 4가지의 MOF (UiO-66, MIL-101, UiO-66-SO3H, MIL-101-SO3H) 구조체 내부에 Pd 나노입자를 도입한 촉매들을 제조하고, 과산화수소 (hydroperoxide, H2O2) 직접 합성반응에 적용하였다. Pd/MIL-101-SO3H는 견고한 MIL-101 구조 내 강한 산성도와 높은 비표면적으로 과산화수소 생산성이 Pd / HBEA (SAR = 25) 또는 Pd/술폰화 수지 촉매의 2.3 또는 1.7 배인 361 mmol H2O2 mmol/Pd/h를 나타내었다. Hot-filtering 및 촉매 재사용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안정된 불균일계 촉매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ZIF-90 구조체 내 aldehyde와 2-mercaptoethylamine 과의 imine condention 반응을 통해서 thiol(-SH)기능기가 기능화된 ZIF-90-SH 물질을 제조 후, Mn(II) 이온을 고정화시켜서 ZIF-90S[Mn]을 합성하였다. 이를 alkene 물질 (cyclohexene, cyclooctene, stryrene)의 epoxidation 반응 실험의 촉매로 적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40oC, 5시간 동안, cyclohexene, cyclooctene, stryrene는 각각 65 %, 61.7 %, 53.8 %의 전환율과 77.4 %, 80.2%, 81.2 %의 선택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실험 결과들로 구조 안정성이 우수한 MOF의 제조방법이 시료의 물리화학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고, 기상 및 액상에서 흡착제로서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 염기, 및 산화반응 등 다양한 액상 전환 반응에 촉매로서의 적용 가능성도 확보하였다. 앞으로 MOF의 공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1) MOF 합성에 있어서, 제조 규모 확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또한, 합성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DEF, DMF 등)도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 대체 용매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2) MOF 구조체는 상온/상압에서 흡착 성능 및 선택성이 뛰어난 흡착제로 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공업적 응용을 위해서 수분 존재하에서도 높은 MOF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된다. 3) 액상 반응에서의 촉매 재사용 및 반응 후 촉매 분리의 용이성 향상시키기 위한 MOF의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된다. 4) 정밀화학 중간체 및 광학이성체 합성에 MOF 촉매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Metal organic frameworks (MOFs) are porous crystalline materials of one-, two-, or three-dimensional networks constructed from metal ions or clusters and multidentate organic linkers with bi- or trivalent aromatic carboxylic acids via coordination bonding. Since MOFs have high surface areas and high pore volumes in uniformly sized pores as well as high metal contents, they have emerged as interesting materials for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including energy storage, gas adsorption/separation, catalysis, drug delivery, sensor, and others. In this thesis, the synthesis of representative MOF structure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the synthesis of MOFs with high hydrothermal stability and their application for gas/metal ion adsorption and catalytic reaction were carried out. Chapter 1 provides a general introduction to MOF, Chapter II describes the preparation of MOF and MOF membranes via various synthetic methods, and Chapter III, carbon dioxide(CO2)/methane(CH4) adsorption and rare earth metal ion adsorption/separation. Finally, Chapter V outline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nd issues to be solved in MOFs synthesis and their industrial applications. In Chapter II, comparison of synthetic methods of representative MOF structures, large-scale synthesis, and MOF membrane fabrications studies were condu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xtural properties, particle size, and morphology of ZIF-8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ynthesis methods, and the catalytic activities of Knoevenagel condensation reaction was excellent due to the small particle size of the catalyst prepared by the solvothermal or dry-gel conversion method. Fe3O4 nanoparticles were introduced into the ZIF-8 structure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catalyst particles in the liquid phase catalytic reaction. UiO-66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solvothermally in 100 L pilot scale using an industrial grade substrate and solvent with reduced acid amount in 24 h. The prepared UiO-66(L) showed high porosity (1387 m2/g BET surface area) with high product yield (>93%) under the synthesis conditions of significantly increased substrate concentrations. A densely-packed IRMOF-3 and Ti-MIL125-NH2 membranes on Al2O3 and TiO2 disc supports were prepared, respectively, via microwave-assisted and sonochemical synthesis methods under various synthetic conditions (synthesis time, temperature, and power). The prepared membranes were systematically characterized and applied as a heterogeneous catalyst for the Knoevenagel condensation reaction. Ti-MIL125-NH2/TiO2 membrane was found to be more stable than IRMOF-3/Al2O3 membrane through the recycling of the catalytic reaction, suggesting that in case of Ti-MIL125-NH2/TiO2 no structural deterioration or detachment of the membrane layer from the TiO2 disc occurred after the reaction. In Chapter III, the studies of CO2 and CH4 adsorption/storage in gas phase and rare earth metal ion adsorption/separation in liquid phase using MOFs have been carried out. UiO-66 in both powder and ground/sieved pellet forms were tested for CO2 adsorption properties by employing both static and breakthrough instruments. At 298 K and 20 bar, UiO-66 showed 191 mg/g of CO2 adsorption capacity with high CO2/N2 selectivity of 36, and its adsorption capacity decreased steadily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d. Ni-MOF-74 was prepared by microwave heating and coated with polydimethylsiloxane (PDMS) via vapor deposition. Both the pristine and the PDMS-coated Ni-MOF-74 samples were exposed to moisture in air (relative humidity of 75%)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and their methane storage capacities under 35 bar conditions were measured. The methane storage capacity data were linearly correlated with the BET surface areas of the Ni-MOF-74 samples, suggesting CH4 adsorbed physically on the sample. The CH4 adsorption capacities were maintained for 7 days, but after 30 days of moisture exposure, the CH4 storage was reduced by 60 %. An acid-resistant chromium-based MOF, Cr-MIL-101, and its derivatives with organic functional groups were successfully prepared using two post-synthetic modification methods, fully characterized, and explored for their effectiveness in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REEs (La3+, Ce3+, Nd3+, Sm3+, and Gd3+) from aqueous solutions. Among the functionalized MIL-101 materials, MIL-101-PMIDA (N-(phosphonomethyl) iminodiacetic acid, PMIDA) containing -C=O, -NH2, and -PO3H exhibite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of Gd3+ (90.01 mg/g). The Gd3+ selectivity was higher than 90 % in the presence of competitive transition metal ions, including both trivalent and bivalent cations and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recycled MIL-101-PMIDA was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during five consecutive cycles,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MIL-101-PMIDA was confirmed. In Chapter IV, the catalytic properties of MOFs were investigated. Acid–base bifunctional metal–organic framework, MIL-101–NH2–SO3H, was prepared by direct solvothermal synthesis using two mixed (–NO2, –SO3H) terephthalate linkers followed by post-synthesis reduction to the NH2 form and applied it for one-pot tandem reaction of benzaldehydedimethylacetal to trans-1-nitro-2-phenylethylene under mild reaction conditions.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samples in which the basic components were functionalized in isolated system, the MIL-101–NH2–SO3H exhibited a higher conversion with high selectivity for the final product. Pd-supported MOFs (UiO-66, MIL-101, UiO-66-SO3H, MIL-101-SO3H) catalysts were prepared and applied them for the direct synthesis of H2O2 from H2 and O2. The H2O2 productivity of Pd/MIL-101-SO3H catalyst reached 361 mmol H2O2 mmol/Pd/h, which was 2.3 or 1.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d/HBEA (SAR = 25) or Pd/sulfonated resin catalyst, respectively, owing to the contribution from the strong acidity and highly porous nature of the robust MOF support used. A thiol-functionalized ZIF-90 (ZIF-90-SH) was prepared via condensation between the free aldehyde of the ZIF-90 and the amine group of 2-mercaptoethylamine to form an imine, which was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catalytically active manganese(II) acetate to furnish a hybrid material (ZIF-90-S[Mn]). It showed good activity and selectivity in the epoxidation of cyclohexene, cyclooctene, and styrene (conv. 65 %, 61.7 %, and 53.8 % and sel. 77.4 %, 80.2 %, 81.2 %) using molecular oxygen as the oxidant and in the presence of trimethylacetaldehyde. This solid catalyst could be recycled several times without a significant loss of activity or selectivity. As a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 the effects of the MOFs production method with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OF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nd the excellent performance as an adsorbent in the gas phase and the liquid phase was confirmed. Also, the possibility of MOF applications in various liquid phase conversion reactions such as acid-, base-reaction, and oxidation reaction was confirm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possibilities of industrial applicability on MOFs. 1) The MOF synthesis studies on the laboratory scale have been intensively developed at present, however, large-scale synthesis of MOFs is not well investigated. In addition, organic solvents (DEF, DMF, etc.) used for synthesis are not preferable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us, the research on large-scale synthesis of MOFs should be economical, and synthesized them under mild conditions using commercially acceptable solvents. 2) The MOF structure can be used as an adsorbent with excellent adsorption performance and selectivity at room temperature/atmospheric pressure. However, MOF structural stability is required even in the presence of water for industrial application. 3) The structural stability of MOF is requir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catalyst reuse in the liquid phase reaction and the ease of catalyst separation after the reaction. 4) It is considered that MOF catalysts are highly applicable in the synthesis of fine chemical intermediates and optical isomers.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 SNS 게시물 분석 : 트위터 게시물을 중심으로

        이유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나타나는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을 수집하여 주요 등장 단어와 핵심 토픽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10월 30일까지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게시물로 선정하였고, 자해 관련 해시태그 ‘#자해', ‘#자해계', ‘#자해러'와 자살 관련 해시태그 ‘#자살’, ‘#자살시도’, ‘#자살충동’, ‘#자살사고’, ‘#죽고싶다’, ‘#죽고싶어’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게시물을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 결과, 총 11개의 핵심토픽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해 관련 토픽은 '죽고 싶지만 자해하며 살아가고 있어', ‘칼로 내 몸을 긋고 있어', ‘자해하는 나를 탓하지 말아줘, 관심과 사랑을 주면 좋겠어', ‘나와 함께 이야기해줄 친구가 필요해', ‘자해 흉터는 나를 움츠러들게 만들어', ‘나는 정신장애와 함께 살아가고 있어'이었다. 둘째, 자살 관련 토픽은 ‘죽고 싶은 생각이 들 때는 도움을 요청하세요', ‘연예인 자살에 대한 반응들', ‘범죄 후 자살하는 사람들에 대한 엇갈린 시선들', ‘이젠 혼자 버틸 힘도 없으니 제발 날 좀 도와줘', ‘죽고 싶지만 자해하며 살아가고 있어'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온라인상에서는 오프라인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자해 및 자살의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SNS를 도움요청의 경로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에서 공유하는 공통적인 기능과 공유하지 않는 차별화된 기능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해 및 자살사고 경험자와 자해 및 자살 관련 이슈를 바라보는 대중의 의견을 이해하고, 자해 및 자살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기존의 정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key emerging words and key topics by collecting posts related to ‘Self-injury' and ‘Suicide' appearing on Twitter.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posts containing related hashtags from October 29, 2019 to October 30, 2020. Hashtags related to self-harm were #자해(Self-harm / Self-injury), #자해계(Self-injury account), #자해러(Self-injury ID), and hashtags related to suicide were #자살(Suicide), #자살시도(Suicide attempt), #자살충동(Suicidal ideation), #자살사고(Suicidal thoughts), #죽고싶다(want to die), #죽고싶어(want to die). Text mining based on collected posts resulted in a total of 11 key topics. The main message in the topic is as follows. First, self-harm topics were “I want to die, but I'm living with self-harm,", “I'm cutting myself with a knife.", “I need a friend to talk to me.”, “Don't blame me for hurting myself, I want you to give me attention and love.", and “I live with a mental disorder.". Second, suicide topics were “Ask for help when you feel like dying", “Response to celebrity suicide", “Opposing views on people committing suicide after a crime.", “Please help me because I don't have the energy to stand alone anymore" and “I want to die, but I'm living with self-harm". These results mean that offline, the experience of self-harm and suicide is frankly expressed and SNS is used as a route for requests for help.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opinions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elf-harm and suicide accidents and the public regarding issues related to self-harm and suicide. This proposed a new direction by exploring effective measures for self-harm and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existing policies.

      •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 구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유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대학 무용학과는 소속된 단과대학의 불분명함과 한국무용/발레/현대무용 이라는 삼분법적인 전공편제에 따른 실기수업위주의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무용학과에서 추구하고 있는 목표와 교육과정이 상응하는지, 소속 단과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현행 대학무용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체계적 설계를 위해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설문을 통하여 현 교육과정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대학 무용학과의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8개 대학 무용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요구사항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는 전문무용인양성이라는 큰 틀 아래 각 단과대학이 갖고 있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오늘날 필요로 하는 진정한 무용전문예술인 양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대학의 무용학과는 한국무용/현대무용/발레라는 3분법적인 전공편제에서 벗어나 무용수(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안무가/무용이론가/공연예술(무용공연연출, 기획, 마케팅, 경영, 분장, 의상 음악 등)/무용교육이 라는 새로운 편제를 통해 각 전공별로 세부적이고 심화된 교육을 실시함으로서 미래의 전문 무용예술인을 배출해내야 할 것이다. 또한, 순수 무용관련 교육 외에 무용경영·기획·마케팅, 무대기술·의상·음악·사진 등 공연관련 전문인과, 재즈댄스, 요가, 필라테스, 댄스스포츠 등 사회무용 전문인을 양성할 수 있는 무용인접분야 과목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영역에서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직접 무용 현장에서 체험 수 있는 프로그램(무용지도 워크숍, 공연예술 워크숍 등)을 활성화시켜 다양한 사고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기존의 레퍼토리 습득 형식의 실기수업에서 탈피해 창조적이고 학생 개인의 창작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는 즉흥수업과 안무구성 수업 등의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가 다양한 현황 조사와 이론적 고찰 및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몇 가지 한계점이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 무용학과 교육과정에 유익한 방안을 제시하고 무용교육 발전을 이루는데 긍정적 개선책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resent, the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is demand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practical-focused class according to being divided in the three major parts such as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with obscurity of college belonging. Along with this, this study tried to research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dance curriculum in university as reviewing whether the aim to pursue in modern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meets with its curriculum and whether the curriculum is composed organically of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belonged college.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a right curriculum as researching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in contemporary curriculum through the question sheets on the students at university for organized curriculum plan. Above all, this study grasped the conditions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in Korea, analyzed the conditions of university situated in Seoul city and researched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curriculum on junior and senior students of 8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situated in Seoul city based on conten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the education aim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should present in detail and concretely the educational contents as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of each college under a main frame growing professional dancer and be composed organically of growing true dance-professional artist necessary in present. The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should produce professional dance artists in future as practicing a detail and intensive education depending on each major through new composition called as dancer(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dance director, dance theorist, performance art(dance performance producer, project, marketing, management, decoration, dress, music, etc.) and dance education from major composition being divided in the three major parts such as 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And the dance department should be able to give a help to choose the job in the various areas as activating the dance-neighbored fields to grow social dance professionals such as the performance-related professionals of dance management · project · marketing, stage technology · dress · music · photo, etc. and the social dance professionals of jazz dance, Yoga, pilates, dance sports, etc. besides dance-related education. Also, it should give a chance to gain various thoughts as activating the programs (dance-instruction workshop, performance-art workshop, etc. ) possible to experience directly in the dance spot to the students. The dance department should develop the curriculums such as improvisatorial class, dance composition one, etc. possible to grow the creative power of each student from the practical-focused class of existed repertory-learning method.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based on reviewing various conditions, considering theory basis and researching satisfaction presents a plan beneficial to the curriculum of dance department in university in Korea and expects to use as a positive improvement for developing the dance education.

      • Maguy Marin 작품에 나타난 시각표현의 특성 연구

        이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기 마랭(Maguy Marin) 작품에 나타난 시각표현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실험적이고 탐구적인 정신으로 다양한 방법으로의 표현효과를 창출해 낸 그녀의 안무방법의 성과를 논의하기 위해서 활발한 활동 시기인 1980년대부터 2000년대의 대표적 작품을 연구하였다.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중심으로 전개된 표현주의의 시작은 현대무용에 그들만의 독특한 양식을 창조하게 된다. 이것은 외적인 사실성을 거부하고 사물의 잠재적 의미 구현에 가치를 두고 있던 예술 사조로서 일상적인 동작과 형태들을 수용하면서 아이디어나 감정을 표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모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형식에 있어서 보다 자유롭고 다원적인 새로운 양식의 급진적 사상을 가진 안무방식이 많은 안무가들에게서 행해졌다. 예술전반에 걸쳐 표현주의 영향으로 다양한 문화양식이 들어서게 되고 이것을 접하게 된 무용가들은 인간의 경험을 주축으로 대상의 재현이 아닌 주관 안에서 상징적인 사고에 의해 다시 구성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인간의 경험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보는 사람의 감정에 대한 반응은 각기 다를 수 있으나, 예술작품 속에 표현되어진 의도는 보는 이의 경험과 기억 등에서 체험되어진 공감각(共感覺)에 의해 안무자와 감상자는 상호교감을 이룰 수 있고 작품 내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은 무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가가 하나의 이미지를 생산하여 그것이 감상자들로부터 반응을 일깨우는 문제로 승화될 때, 그것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이며 감성적 인식영역인 시각적 전달언어가 되는 것이다. 마기 마랭은 그 안무방법의 다양한 전개방식과 그 양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시켜 안무 작업을 해온 무용가 이다. 그녀는 이 시기 안무가들에게서 행해지는 규격화되고 정형화된 형식에 타 예술 장르와의 혼용을 접목하고 공간적, 청각적 특히 시각적 표현에의 측면을 그녀만의 독특한 작가정신을 내포하여 다양한 매체의 개발과 종합적인 연출 방식으로 무대공연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이미지의 표현을 위한 하나의 제시로서 표출되는 창조의 세계를 마기 마랭의 안무 형태를 대표하는 작품 「May B」, 「Waterzooi」, 「Les Applaudissements ne se Mangent pas」를 통해 다양한 표현의 시각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작품을 안무개념, 이미지의 시각화, 움직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으며 시각화에 따른 이미지의 사용이 마기 마랭의 창작 작업에 있어서 어떻게 인식되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시각화가 예술가에게 많은 상상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았다.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느껴지는 여러 가지 표현요소는 감상자에게 이미지의 전달뿐만 아니라 안무자의 의도가 내포된 감성까지도 전달하며 이것은 일방적 전달이 아닌 예술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예술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하는 인간본질에의 접근을 뜻하는 것이다. 예술의 가장 기본이 되는 표현요소인 시각언어를 이해하고 작품과 소통하는 것은 설득력 있는 작품에 대한 이해로써 나아가서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일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sual expressions shown in Maguy Marin's works and thereupon, discuss her choreographic achievements featuring an experimental and exploratory spirit conducive to diverse effects of 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her works produced for her active period from 1980's till 2000's. Since the world war, expressionism began to evolve centering around Germany, and therewith, the modern dance also began to create its own unique mode. The new arts current refused the external reality and instead, valued implementation of a potent meaning of object, and thus, accommodated ordinary movements and forms to express ideas or emotions for every possibility. In terms of the form, many choreographers practiced freer, multi-faceted and radical choreographies. Thus, every genre of arts would be influenced by expressionism and therefore, a variety of cultural forms would flourish only to stimulate choreographers to reorganize human experiences in some visual images subjectively with some symbolic thoughts rather than simply re-present them. Since human experiences are subjective, audience may respond differently to the visual images, but the intention of their expressions in art works was to urge choreographer and audience to share a mutual sympathy by means of a synesthesia experienced or memorized and therewith, expand the potential of communication unlimitedly through the images shown in art works. Accordingly, when an artist produces an image and sublime it into an issue awakening the audience, the image would be a visual language or message most fundamental and emotionally cognitive. Maguy Marin used diverse choreographies and their modes to visualize for her choreographies what she wanted to express. She grafted the specified and stereotyped conventional choreographies on other genres of arts to develop diverse media and synthetic choreographies for her stages by implementing her own unique spirit of artist for spatial, auditory, and particularly, visual expression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reviewed the creative world represented by such diversified visualization of expressions in Maguy Marin's model works such as "May B", "Waterzooi" and "Les Applaudissements ne se Mangent pa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her works in view of choreographic concepts, visualization of images and movements in order to confirm how much important the visualized images were for her creative work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visualization of images would help artists to strike various ideas for expressions of their works. A variety of expressive elements perceived by body movements are delivered to the audience in the forms of images and emotions connoting choreographers' intention, and such a delivery is not unilateral but bilateral for understanding of arts and a communication through arts towards an essence of human beings. Such understanding of the visual language or the expressive element as basics of art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artist and audience may be a pre-requisit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lausible art works as well as for a better life quality of us.

      •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유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독창적인 디자인은 제품의 가치를 정하는 데 큰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21세기 사회가 요구하는 디자인의 역할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해 가치 높은 것을 창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에 있어 창의적인 아이디어 창출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자인 교육 과정은 창의성 계발보다는 단순한 표현 기법 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에서 창의성을 개발 할 수 있는 체계적인 디자인 교육이 필요하다. 포스터는 시각디자인 4대 매체 중 하나로, 하나의 지면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 표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상력과 창의력을 계발시켜주며 조형요소와 원리, 재료와 용구에 대한 탐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디자인 교육 매체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포스터 디자인 과정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포스터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 많은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부분이 아이디어 발상 과정과 시각적 표현 과정이다. 현재 교육 현황을 살펴 본 결과 아이디어 발상 과정에서만 발상법을 활용하고 시각적 표현 단계에서는 발상법 적용 없는 표현 위주의 결과 도출 단계를 진행하고 있어 학습자가 아이디어 발상 후 표현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진단된다. 연상 단계와 마찬가지로 시각적 표현 단계 역시 학습자가 발상법의 적용 없이 진행 할 경우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과정이다. 또한, 아이디어 발상 단계 역시 어휘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아이디어 발상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발상법인 ‘브레인스토밍’이나 ‘마인드 맵’ 등만을 활용하는 한계점을 보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의 제약을 넘을 수 있는 발상법인 ‘비주얼브레인스토밍(VisualBrainStorming)’과 ‘스캠퍼(SCAMPER)’라는 두 가지 발상법을 각각 아이디어 발상 단계와 시각적 표현 단계에 적용하여 체계적인 포스터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포스터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의 활용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포스터 디자인 교육의 특징 및 목적, 전개 과정 등을 국내외 출판 도서와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포스터 디자인 교육의 실태 파악을 위해 현직 디자인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분석, 정리하여 연구 방향을 잡았다. 셋째, 포스터 디자인 교육에서의 아이디어 발상 기법들의 고찰을 통해 아이디어 발상 단계와 시각적 표현 단계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발상법을 모색하였다. 이에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 발상법을 도출하고 제안하게 된 배경과 개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포스터 디자인 교육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프로그램 수업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 지도 계획과 디자인 수업의 단계별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수업 전, 후의 산출물에 대한 비교, 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수업 에 대한 연구의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이해 단계로서 포스터 디자인 교육의 이론적 이해와 함께 진행하게 될 주제에 대한 문제와 상황을 이해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한다. 2단계는 연상 단계로서 주제와 관련된 자료들을 종합하여 비주얼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을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또 세분화하여 비주얼브레인스토밍의 적용을 발상 단계, 확장 단계, 추출 단계 등으로 나누어 적용한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디어의 질보다 양을 확보하는데 주력한다. 3단계는 구상 및 표현 단계로서 2단계에서 추출된 콘셉트 이미지를 바탕으로 스캠퍼를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 단계에서 또 세분화하여 스캠퍼의 적용을 발상 단계, 구체화 단계, 정리 단계 등으로 나누어 적용함으로서 이미지의 질을 높이고 레이아웃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4단계는 세부적 표현 및 완성 단계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다양한 재료를 선택해 최종 결과물을 세부적으로 표현하고 완성하는 단계이다. 학습자에게 완성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켜 완성도 있는 작품이 나올 수 있도록 지도한다. 5단계는 발표 및 평가 단계로서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 기법의 단계별 적용을 통하여 완성시킨 포스터 디자인의 결과물을 발표하고 평가한다. 평가는 교사 평가와 자기평가를 병행한다. 자신이 완성한 작품의 발표를 통해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주얼브레인스토밍과 스캠퍼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의 창조적 사고를 계발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능력 향상 시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확산적 이미지 연상’단계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을, ‘시각적 구체화 단계‘에서 스캠퍼를 활용한 Recently, the creative design has become one of the major factors in determining product value. The role of the design asked by the 21st century is to produce high value through creative ideas. Therefore, in designing it is important to generate creative ideas. However, current design educations in high schools specialized in design are emphasizing only the expressional techniques rather than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systematic design education enabling to grow creativity in the schools' educational program. Poster, one of the four main media of the visual design, is able to enhance imaginative and creative powers for its ability to express various images through limited space. Also, it enables to explore and learn about various materials and tools, which all make it as an educationally important medium. Based on this background, we suggest th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poster design, In the poster design education where many of the learners find difficult are the idea generation and its visualization. Exploring th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the idea conception is not utilized in the visualization phase and only focused on the expression, which appears to make learners feel difficult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following the idea generation. Like in the idea generation, the visualization could be very difficult for the learners without the process of idea conception. Also, the idea generation is largely limited to the 'brain storming' and 'mind map', which is the techniques considered difficult if not supported by the considerable range of vocabulary. As solutions to current issue, we suggest to use 'Visual Brainstorming' and 'SCAMPER techniques that can overcome linguistic limitations in the idea generation and visualization process, respectively, to make the poster design educational program more systematic. To explore application plan of the 'Visual Brainstorming' and 'SCAMPER' techniques, we conducted the study as below. First,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bjectives and process of the poster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texts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s. Second, to understand current condition of poster design education in the high schools specialized in design, we conducted a survey directed to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analysis follow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the study. Third, through exploration of the idea conception techniques, we tried to find the best idea conception method to be used in each of the idea generation and visualization step. Here, we introduce the background of our consideration of 'Visual Brainstorming' and 'SCAMPER' as the appropriate method, their definition and possibility of future utilization. Forth, we suggest the detailed curriculum and step-wise process utilizing the 'Visual Brainstorming' and 'SCAMPER' in the poster design education. Also, we explore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we suggest through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the classes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application. Fifth, we finish with the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for the poster desig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Visual Brainstorming' and 'SCAMPER' that we suggest throughout the article. The summary of our poster design educational program is as below: First step is the 'understanding', where students understand the theories of poster design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issue of the specific theme of the poster, and research the related resources. Second step is the 'association' where all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integrated to generate new ideas through visual brainstorming. This step is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generation, expansion and extraction. In this step, focus is the quantity of the idea rather than its quality. The third step is the 'planning and expression' where the visualiz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concept images generated in step 2 using the SCAMPER. This step is again,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generation, refinement, and summariz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images and organize the basic layout. The forth step is the 'detail expression and finalization' where the final product is completed in detail and finalized using various materials and tools including computer software. In this step, it is important to teach the criticality of the degree of perfection to encourage their efforts to the final stage. The fifth step is th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where students present their works and evaluations follow. Evaluations should entail both teacher's and self evaluations. Through presentation of one's work, students' self-efficacy can be enhanc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nhancing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their ability to generate creative ideas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Visual Brainstorming' and 'SCAMPER techniques. Also, we have successfully verified that by using the visual brainstorming in the 'expansible image association' phase and the SCAMPER in the 'visual refinement' phase, the learners power of idea generation, visualization and problem solving can be positively influenced.

      • 불안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와 마음챙김인지치료의 효과 비교

        이유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불안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효과를 비교․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비프로그램을 실시 한 뒤, 발견된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및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은 만 11~12세의 인지적 수준에 초점을 두었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인지행동치료 모델을 이해시키고 적용하기 위해 인지행동치료 용어를 수정하였으며, 흥미를 끌 수 있는 그림이나 워크시트, 은유․비유적 표현, 게임, 이야기 등을 활용하여 아동의 흥미수준과 참여도를 높였다. 특히, 본 프로그램에서는 인지행동치료의 주요 요소인 인지적 재구성 훈련과 노출훈련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기감찰, 왜곡된 사고 바꾸기, 대처 전략 개발하기를 통해 불안상황에 따른 왜곡된 지각을 교정하는데 초점을 두고, 실제 불안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점진적 노출훈련 및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마음챙김을 이해시키고 적용하기 위해 이야기와 행동 실험 등을 활용하였다.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는 마음챙김 명상과 인지적 탈중심화 및 노출훈련에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기 감찰과 명상훈련, 다감각 훈련을 활용한 인지적 탈중심화, 실제적인 대처능력을 키우기 위한 노출훈련 및 사회기술훈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 연구 대상은 경기도 파주 시 A, B 초등학교 5~6학년을 선정하였다. 이 중 개정판 아동 불안 척도(RCMAS)와 특성불안 척도(TAIC)를 사용하여 임상수준에 해당하는 아동들을 선별한 뒤 임상심리사 2인의 K-SADS-PL면접을 통해 최종적으로 불안장애를 진단받은 아동을 선별하였다. 대상아동은 인지행동치료 집단,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되었으며,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아동은 주 2회 총 1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불안장애 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불안장애 관련 인지변인으로는 자동적 사고 척도, 긍정적․ 부정적 미래예측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변인으로는 특성불안 척도(TAIC), 개정판 아동 불안 척도(RCMAS), 사회불안 척도를, 행동변인으로는 사회적 기술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변인과 정서변인은 아동에게 직접 실시하였으나, 행동변인은 교사가 보고하는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알아보기 위해 담임교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및 통제 집단의 동질성 검증과 프로그램 사후 집단 간의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Kruskal-Wallis 검정을 실시하였다.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및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사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Bonfferoni correction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의 프로그램 사전-추후 점수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으며, 추후 치료집단 간 점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 분석에서 나타난 검정 결과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인지행동치료 집단의 사고 및 신념 변화 내용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의 마음챙김 기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자가 직접 작성한 자동적 사고 및 신념 기록지, 다양한 워크시트, 연구자의 회기별 평가 기록, 보조 연구자 및 관찰자의 보고서 등을 중심으로 치료집단 구성원의 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사전-사후를 비교한 결과 인지행동치료 집단 아동의 자동적 사고, 부정적인 미래예측,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사회적 기술에서는 부정적인 사회적 기술이 감소하였다. 또한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아동의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나, 자동적 사고, 긍정적․부정적 미래예측 및 사회적 기술과 관련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사후 검사 시, 인지행동치료 집단 및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아동의 자동적 사고, 불안(TAIC, RCMAS), 사회불안은 통제집단에 비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2개월 후 실시 된 사전-추후검사 결과 인지행동치료 집단은 자동적 사고, 긍정적․부정적 미래예측,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에서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에서는 사후검사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자동적 사고 척도의 하위요인 중 신체위협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났으며, 불안(TAIC, RCMAS)에서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불안에서는 효과가 유지되지 않았다. 넷째, 추후검사 결과 자동적 사고, 긍정적․부정적 미래예측, 불안(TAIC, RCMAS)과 사회불안에서 인지행동치료 집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집단 간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아동 대상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불안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마음챙김인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검증하였다. 셋째, 체계적이고 명확한 프로그램 효과검정을 위하여 아동기 불안장애 관련 변인을 인지, 정서, 행동 변인으로 나누어 다양하게 측정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하였다. 넷째, 임상진단 면접과 다양한 척도를 통해 불안장애 아동을 엄격하게 진단하여 선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level of anxiet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nd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For these purpose, the study developed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finalized their structures after making modifications to the preliminary treatment programs conducted on children. The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cognitive level of age 11 and 12.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make effective applications, the study modified terms used in CBT, and used pictures, worksheets, metaphors, games and stories to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CBT program was constructed with a special emphasis on cognitive restructuring and self-disclosure training. To be more specific, by introducing self-inspection, change of distorted thinking patterns and development of coping strategies, the program focused on correcting one’s distorted perceptions in anxiety-causing situations and carried out self-disclosure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to develop abilities to cope with anxiety-causing situations in real life.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used stories and behavioral experiment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mindfulness and make applications.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were mindfulness thinking, decentering and self-disclosure training. To be more specific, the program offered self-monitoring and meditation training, cognitive decentering using multi-sensory training, self-disclosure training to develop practical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kills training. The first screening selected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A Elementary School and B Elementary School based in Paju City of Gyeonggi Province. Afterwards, the study chose children in the clinical level of RCMAS, and then, selected final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an anxiety disorder through K-SADS-PL interviews conducted by two clinical psychologists. These children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different groups: a group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 group for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with no therapy. Children in the first two groups received therapy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o close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therapy programs, variables related to anxiety disorder were categorized under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Cognition comprised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K-CATS),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on scale. Emotion comprised TAIC, RCMAS and K-SAS-A, and behavior comprised MESSY. The cognition and emotion variables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directly while the data for behavior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port of children's homeroom teachers. The results obtained by these scale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WIN 21.0.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were calculated to find out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for homogeneity test and comparison of post-therapy assessments among the CBT group,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herapy scores of the CBT group,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and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to compare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sults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scores of the CBT group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d the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between the therapy groups. Lastly,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verified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examine the changes in the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of the CBT group and the mindfulness skill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nalysis on the participants’ changes was made based on the participants’ written records on automatic thoughts and beliefs, worksheets, researchers’ evaluation for each session and the reports of assistants and observ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s of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 children in the CBT group were marked with a significant decrease in automatic thought, negative predictio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as well as in negative social skills of social skills scale. For the children in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was marked i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whereas no change was found in automatic thoughts,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on and social skills. Secondly, the post-therapy assessment revealed that the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Thirdly, according the pre-therapy and follow-up assessment of the CBT group, the positive effect on automatic thoughts,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o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was maintained. Also, for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group, the effect on the physical threat recognition, unlike other subscales of automatic though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follow-up assessment. The effect on TAIC, RCMAS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n social anxiety was not. Fourth, according to follow-up assessments, the effect of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differed in automatic thoughts, positive and negative future prediction, TAIC, RCMAS and social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ways. Firstly, taking children’s cognitive levels into account, the study developed a CBT program and 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program which could be applied effectively. Secondly, it compared and verified the effects of CBT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Third, for a systematic and accurate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programs, anxiety disorder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nd the effects were continually examined by pre-therapy assessment, post-therapy assessment and follow-up assessment. Finally,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were effectively screened and selected through interviews for clinical diagnosis and various types of scales.

      •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이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을 예언하는 경로를 밝히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남자 청소년 297명(평균연령: 15세)과 그들의 아버지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Hovestadt와 그의 동료들(1985)이 개발한 원가족 척도(Family of Origin Scale: FOS)를 기초로 최현미(1997)가 제작한 원가족 분위기 척도(FOS-5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혼만족도는 Roach, Frazier와 Bowden(1981)이 개발한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을 번안하여 수정한 유은희, 박성연(1991)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Pavot 와 Dinner(1993)가 제작한 SWLS(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고, 지지적 양육행동과 심리통제에 관한 문항은 Barber(2005)가 개발한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부-자간 친밀감은 Walker와 Thompson(1983)이 개발한 친밀감 척도를 바탕으로 지지영(2001)이 재구성한 정서적 친밀감 문항과 Barnes와 Olson(1982)이 제작한 PACI (Parent-Adoles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수정한 오미경(1997)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관계 분석 및 AMOS 7.0을 사용한 구조방적식 모형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으로 설정한 경로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지지적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결혼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를 통해 지지적 양육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지적 양육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는 결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결혼만족도는 통제적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통제적 양육행동은 부-자간 친밀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가 삶의 만족도를 통해 통제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아, 삶의 만족도는 부-자간 친밀감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분위기와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부-자간 친밀감에 미치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원가족의 경험이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나 삶의 만족도, 그리고 양육행동을 통해 현재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는 아들이 성장하여 형성하게 되는 가족관계에 현재 가정에서의 양육경험이나 가정분위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로서 부모-자녀관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nd father-son intim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7 adolescents and their father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such as parenting behavior, farther-son intimacy, farther'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farther's origin of upbringing. Data were analysed by simpl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7.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ther's marriag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the farther-son intimacy through the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supportive parenting behavior. Third,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rther-son intimacy through only marital satisfaction and controling parenting. However,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does not directly affect either controling parenting or supportive parenting. In conclusion, the father's origin of upbringing affects father’s satisfaction in life and marriage and thereby supportive or controling parenting behavior predicting farther-son intimacy.

      • 조직적지원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콜센터를 중심으로

        이유리 광주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based on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at call center, that is business support & official authority, system support, training & coaching, compensation, a senior official's support & counselling. And key questions about this research are whether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job stress, and job stress has an influence on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research, I reviewed the literature and hold the actual proof when beginning a research project. Counselor in the call center make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Managing consultant for companies to prevent job stress and support are different. Management turnover is the latest buzzword. Turnover for the management of each company is preparing various measures. To support various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and the importance of internal activities is emphasized. However, companies feel that the difficulties in the internal action plan. There are various consideration on a specific character of the call center and on approaches toward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component parts, job stress,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customer orientation. Also it involves consideration of rel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an inquiry into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This study concludes that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tress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Second, job str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ork participation. This negative sentiment is job-related requirements to perform the duties of the volunteer work involved means that the reduction. Thir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The higher the job stress, job gajigi positive emotions is difficult. Fourth, job stress, job involvement,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The counselor's job stress have a higher turnover increases. Business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 higher the degree of turnover is reduced. Thus, five kinds of targets in a call center counselors organizational support affects job stress. These organizations support the proper level of management to control if the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the work of counselors, with improvements in the reduction of turnover intention is to get a result. However, every call center industry and business forms, business aspects and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all centers because of smoking, adjusted for firm characteristics and the realities of organizational support measures are required. factors. key words : Call-Center, Organizational Support, Job Stress, Participation,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콜센터에서 상담사는 기업의 최일선에서 고객과 직․간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이다. 기업에서는 상담사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상담사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여러 가지 지원을 한다. 최근 콜센터 산업의 화두가 이직관리인 만큼 각 기업에서는 이직관리를 위해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능동적인 업무참여를 위한 동기유발, 이직의도 감소,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조직적인 지원과 내부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갈수록 내부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기업에서는 조직적지원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내부 활동 계획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콜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여러 차원의 조직적지원과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측면에서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서 효과적으로 조직 관리를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사의 능동적인 업무참여와 이직의도, 직무만족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각 항목들 간에 상관관계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적지원 요인 중 업무지원, 시스템지원, 교육지원, 성과지원, 관리지원 등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에서 다각적인 차원의 적절한 수준의 지원을 해주었을 때, 상담사들의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담사들이 자신들의 직무에 만족하면서 고객의 요구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고객만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업무참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직무와 관련된 자극이나 요구가 심리적 안정을 위협하여 상담사가 부정적인 감정으로 직무를 수행 할 때 자발적인 업무참여도는 감소한다는 것을 말한다. 즉 자발적인 업무참여를 위한 동기부여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 방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에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기 어렵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감성적인 측면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해소한다면 상담사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업무참여도와 직무만족이 증가할 것이다. 또한 상담사는 질적으로 향상된 서비스로 고객만족을 실현하며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업무참여도, 직무만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고, 반면 업무참여도와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이직의도가 곧 이직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최근 이직관리가 대부분 기업의 화두인 만큼 이직의도를 줄이는 방안의 하나로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미리 예방하며 자발적인 업무참여도와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조직적지원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콜센터에서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5가지 조직적지원, 즉 업무적인 측면의 지원, 시스템 측면의 지원, 교육적인 측면의 지원, 성과적인 측면의 지원, 관리적인 측면의 지원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적인 차원의 지원을 적절히 관리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조절하게 된다면 상담사들의 업무참여와 직무만족의 향상과 함께 이직의도의 감소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콜센터마다 업종과 업무형태, 기업적인 측면에서의 콜센터의 역할의 중요도 등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업의 특성과 현실을 감안한 조직적지원 방안이 요구된다. 주제어 : 콜센터, 조직적지원, 직무스트레스, 업무참여도, 이직의도, 직무만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