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만족도

        이유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 및 만족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이유리 본 연구는 유아특수체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학부모의 인구사회학 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인식도를 조사-분석 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 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조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특수 체육 아동발달센터의 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얻는 방법은 설문조사로 진행 되었고, 자료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rogram 2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과, 연 구방법을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체육 프로 그램 효과에 대한 학부모 인식도 (신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를 분 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발달 되는 부분은 정서발달, 신체발달, 인지발달 순으로 도움을 많이 준다고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 특수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를 통 계학적으로 나타났을 때,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서 학부 모의 학력 또는 연령에서 만족도 요인이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만족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셋째, 유아특수체육 프 로그램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하위요인인 운영만족이나, 지도자 만족에 서 낮은 상관성이 있는 걸로 나타났고, 인지발달과 정서발달의 경우 학 부모의 인식도와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가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 므로 이 상관관계를 면밀히 파악하여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 이다. 주요어: 유아특수체육, 학부모 인식도, 학부모 만족도

      • 중학교 2종 교과서 연극을 활용한 프로그램 사례연구 : -역사교과연계뮤지컬 사례를 중심으로

        이유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is a study paper of Production Note and effect for Textbook connected Musical according to the 2nd-class textbook play's content to study the aspect and effect, improvement point when the textbook 'play' is applicated in 2018, refer to that Subject 'Play' is newly established as a big unit in Korean Subject or High-School selection process in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15 years, Korean Education has taken an innovation and revolution rapidly comparing to the Foreign Education base. Doing away with the cramming method of teaching that just sitting on the desk and hearing the teacher's speaking, They have developed and applicated Student highly-participated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lik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ree Semester", "havruta". Therefore, City or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or related Education Institution or Corporation, Foundation have produced and applicated 'Textbook connected Musical' in many subjects as an Education Method, thus, They have adopted that educational effect and established subject 'Play' as a essential or selected subject in Middle and High School. However, In the advanced research, Pedagogy majored researchers who almost haven't produced any play or Musical have studied the effect of textbook connected Musical, they just submitted Possible agenda or studied theoretically. When I meet the teachers, they confessed, they didn't learn any play or Musical Production, even he or she doesn't have clear resolution or play making senses, so They know exactly that textbook connected Musical is good for Education but they are in trouble how they can adopted that method. Even in the advanced research, researched suggested some collaboration between the subject teacher and artistic tutor, so they imply they can't lead the text connected play or musical on their own. Therefore, Researcher have produced Textbook Connected Musical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of Culture&Art Group "Kkumtta" in Seongnam-Si with the 2nd-class textbook "Play" which is published on the market, and recorded the Production note in detail and studied students' textboot learning effect, Creativ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motional awareness by T-test using SPSSWIN 22.0, Questionnaire, Interview. Also, Researcher suggested improvement point of 2nd-class textbook 'Play' and detailed education method when producing Textbook Connected Musical. Researcher again affirms to say that establishing of Subject "Play" is encouraging and developmental work on the Korean Educational future pursuing Creative-fusion Elite, and Textbook Connected Musical will be Highly qualified Education Method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on formation of Creative-fusion whole personality to Korean Youth and wish to produce the Synergy effect when qualified Art-Eductiaon method are developed more and mor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Art and Play. 본 논문은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연극과목이 신설되어 국어대단원 또는 고등학교 선택과정에 적용됨에 따라, 2018년도 연극과목이 학교에 실제 적용되었을 때의 그 양상과 효과, 개선점을 연구하고자 중학교 2종 연극교과서의 내용에 따라 교과연계뮤지컬을 제작하여 제작노트를 기록, 그에 따른 효과를 기록한 연구논문이다. 최근 15년간 한국교육은 해외와 비교했을 때 교육방식의 혁신과 개혁을 급속도로 진행해왔다고 볼 수 있다. 책상에 앉아 교사의 학습내용을 주입식으로 듣기만 해야 했던 교육방식을 탈피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자유학기제, 하브루타 등 학생참여도가 높은 자기주도학습형 메소드를 지속적으로 계발 적용시켜왔다.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 또는 많은 관계교육기관, 사단,재단법인 등에서 교육메소드로 “연극”을 교과내용과 접목시키는 ‘교과연계뮤지컬’을 다양한 과목에서 제작, 적용시키기에 이르렀고 그 교육적 효과를 채택하여 연극 교과목이 중,고등학교에 필수 또는 선택과목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극, 뮤지컬제작을 실제 해보지 않은 교육학전공자들이 교과연계뮤지컬에 따른 효과를 연구하여, 교육 가안을 짜본다던지, 교과연계뮤지컬의 효과를 이론적으로 연구하는데 그쳐있었다. 교사들을 실제 만났을 때 대부분 토로하는 것이, 연극,뮤지컬을 본인이 배워보지 않았고, 자신도 연극적 감각 또는 티칭기술이 명확하지 않으니 교과내용을 연극,뮤지컬에 접목시키는 교육방법이 매우 좋다는 것을 알지만, 어떻게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도 연기예술을 전공한 예술강사와 교과교사의 접목을 제안하며 교과교사 혼자서는 이끌어 갈 수 없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2종 교과서 ‘연극’을 가지고 성남시 문화예술동아리 ‘꿈따’의 중학생들과 함께 교과연계뮤지컬을 제작하여 그 제작노트를 상세히 기록해보았고, 이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학습적 효과와 창의성, 자기주도학습력, 정서인식의 효과를 SPSSWIN 22.0 을 사용한 T-test, 설문지, 인터뷰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그에 따른 2종 교과서의 개선점과 교과연계뮤지컬 제작시의 구체적인 학습메소드를 제안해 보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창의융합형 인재를 추구하는 한국교육의 미래에 연극교과목의 도입은 매우 고무적이고 발전적인 작업이 아닐 수 없으며, 교과연계뮤지컬은 양질의 교육메소드가 될 것이라고 다시 한 번 단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한국청소년들의 창의융합적 전인적 인격체 형성에 긍정적 도움을 주기를 바라며 또한 양질의 예술교육메소드가 더욱 더 계발되어져 예술과 교육의 접목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크게 일어나기를 소망한다.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유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정보화 시대에서 4차 산업 시대에 들어서며 국가성장에 도움이 되거나 전문화 될 수 있는 직업이 아니면 배제 시키며, 인성교육 보다 경쟁을 앞세운 학교 교육으로 인해 중요한 성장기 학생들에게 필요한 전인교육은 정상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신체적 정신적 미성숙 단계인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는 갈수록 심해지고 올바른 해소 방법을 찾을 수 없어 폭력이나 타인을 향한 괴롭힘 등 잘못된 방법을 택하고 있다. 1990년대 들어서 학교폭력 문제가 공론화 되었고 현재까지 학교 폭력은 항상 존재하며 그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2017년 교육부 조사 통계를 보면 학교폭력이 이루어지는 장소 69.6%가 학교 내였으며 그중 32.6%가 교실에서 일어났다(교육부, 2017). 배움의 산실인 교실에서 일어났다는 결과가 안타깝지 않을 수 없다. 그리하여 수업대상을 최근 학교폭력의 수위가 걷잡을 수 없이 높아지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중학교 교육과정의 목표가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기르고 바른 인성과 함양에 집중하며 학생들의 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 및 문제 해결력을 키워 공동체 사회 속에서 제대로 성장 할 수 있는 교육을 하는 것에 있으므로 이제 학교 교육에서도 학생들의 실제 삶과 관련을 맺을 수 있는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야 할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교육부, 2015). Anderson과 Milbrandt(2007)에 의하면 미술교육은 미적 가치를 위해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데 필수인 교육 이라고 말하면서 미술교육의 목적은 좁은 의미에서는 순수한 미적 탐구이지만 궁극적 목적은 타인을 존중하고 조화로운 삶은 추구하는 인간형성에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은 지금 학생들에게 필요한 전인교육을 실천함에 있어 매우 적합한 가치를 지녔으며, 학생들에게 학교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주제로 삼고, 미적체험과 표현, 협력학습을 하여 자발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과 의식을 기르고, 심리적인 안정과 함께 사회성 증진, 올바른 인격과 정서도 함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학교 안과 밖에서 사회에서 일어나는 실제적인 주제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타인의 의견과 감정을 이해하여 개인을 넘어 사회적인 발전을 이루는 것에 목표를 두고자 한다. 따라서 현재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겪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인 학교폭력을 주제로 하여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미술중심의 주제중심 통합 교육 지도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교 폭력의 개념과 유형, 현재 학교 폭력의 실태에 관한 조사와 연구를 이론적 근거로 삼고, 현재 학생들의 학교 폭력의 형태를 파악하여 그 부분을 예방 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연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폭력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학생들이 본인의 삶의 경험을 통합해 생각해 보고, 학교 폭력에 상황에서 본인이 어떤 입장을 가졌는지 반성하며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의지를 함양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변화 탐색

        이유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hanged in mathematics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Therefore, in this study, a qualitative method in which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diversified data after observing classes of research participants rather than a statistical experiment or survey was implemented. For this research, 2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ing educational career of 2 yea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releva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class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colleague coaching and journal writing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Nvivo 10. The result deduced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class content relate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hanged. Second,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teaching method relate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hanged. Third,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hanged. Fourth,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knowledge of learning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changed. Fifth,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an opportunity of being able to newly understand the 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mselves was provided. 이 연구는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특수교사의 PCK를 탐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 실험이나 조사보다는 연구 참여자의 수업을 관찰한 후 심층적인 인터뷰와 다양한 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신규 특수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 면담, 동료 코칭, 저널 쓰기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Nvivo 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수업에서 특수교사의 수업 내용 지식이 변화하였다. 둘째,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수업에서 특수교사의 수업 방법 지식이 변화하였다. 셋째,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수업에서 특수교사의 장애 학생의 특성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였다. 넷째,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수업에서 특수교사의 학습 환경 지식이 변화하였다. 다섯째, 반성적 사고를 적용한 수업에서 특수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특수교사가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이로 인해 특수교사는 수업 전문성을 함양하게 될 것이다.

      • 중소기업가의 창업가적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이유리 국립목포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level of the minimum wage, compared to incomes ranks five among OECD countries and the recent Korea’s economy is in the upper ranks of OECD countries. However, labor productivity is under the OECD average. Especially, small and medium-sized firms which account for 99 percent of Korea firms have difficulties paying for the minimum wage that rises sharply. Both employments and sales profits also reduce and Korea is caught in a vicious circle of businesses. There occur problems such as productivity and wage gap and income inequality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conglomerates because of the conglomerate-oriented growth system. This is leading to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Korea should pave the way for innovative and new growth engines to solve these problems. As one of alternatives, Korea should arrange for the new economy system by considerin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having high and quantitative importance in Korea industries as growth engines. Thus, this study suggested founders’ roles and importance of the social capital as a relationship role based on businessmen’ entrepreneurship and networks inside and outside firms and trust and reciprocity norms as alternatives for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strengthenin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how small and medium-sized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ffect firms’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For carrying out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research of small and medium-sized CEOs and executives who have their places of businesses in Jeollanam-do and Gwangju metropolitan by mak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previous study and used 282 questionnaires for an analysis. Also, this study used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s program to verify the study model and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and gap analysis. Results of study’s empir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entrepreneurship. Second,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social capital. Third, entrepreneurship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social capital. Fourth, entrepreneurship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business performance except for relationships between inter-corporate social capit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s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with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and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entrepreneurship, only locus of location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entrepreneurship. Also,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social capital. Lastly, locus of location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self-leadership in relationships with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sequential mediations,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on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innovativeness of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inside firms and on finance performances through inter-corporate social capital. Especially, social capital inside firms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as mediation effects between variables. However, self-leadership, one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hadn’t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between other variables because its recognition was low. As this study examined these causes, small and medium-sized firms had lower capital than that of conglomerates, so they had difficulties investing in capital for employees’ education training. Also, establishments of the internal operation system are not enough unlike conglomerates and many efficient projects are arbitrarily carried out rather than not being systematically carried out. Thus, entrepreneurs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need to invest in organization managements inside firms for efficient business performances. They need to improve employees’ education training system. Wills of executives who establish alternatives for business managements and carry out them are important for strengthening their own internal capabilities. Lastly, the ga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pondents’ sex and age and business history and the number of workers and academic background and sales volume and recognition on business performances among experienced workers.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gap analysis on business history showed that start-ups in under less than three years perceived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and finance performances as important items in the business management, compared to companies that have lasted over ten years. Also, bachelors thought social capital and business performances more importantly. Thus, functional supports for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uch as finance and technology and human power and market and customized supports through considerations for start-ups should be focused and efforts for developments in entrepreneurship to train innovative entrepreneurs should also be made. This study should strengthen and develop cooperation relationships through inter-corporate trusts for growths and developments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reckoned that entrepreneurship activities that can accumulate social capital improve business performances and sustainabi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lso,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on government supports for their protection and nurture and their own capability developments as implications by recognizing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in Korean economy once agai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n uniformly applying study results and implications on every small and medium-sized firm of Korea because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research by focusing on CEOs and executives who have their places of businesses in Jeollanam-do and Gwangju metropolitan. Also,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cluding small businessmen.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on not reflecting the company size of small businessmen and small companies and medium-sized companies. Afterwards, it is reckoned that more different results can be suggested as policy alternatives if it is carried out, improving these limitations. 최근 한국의 경제는 소득대비 최저임금 수준이 OECD 국가 중 5위 이내로 상위권 수준이나, 노동생산성은 OECD 국가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 전 사업체의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최근 급격히 상승한 최저임금의 지불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고용과 영업이익 또한 감소하는 등 경영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대기업 중심의 성장체제로 인하여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및 임금 격차, 소득불평등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점차 사회·경제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대안 중 하나로 한국 산업에서 높은 양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을 성장 동력으로 하는 새로운 경제체제 마련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창업가의 역할과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 기업 내·외부의 네트워크, 신뢰, 호혜성 규범 등을 기반으로 한 관계역할로서의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즉,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기업가의 창업가적 특성이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내 사업장을 둔 중소기업 대표자 및 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82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 차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적 특성은 기업가 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가적 특성은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 정신은 사회적 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기업 간 사회적 자본과 비재무성과의 관계를 제외하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한 경영성과의 관계와 기업가 정신을 매개로 한 창업가적 특성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창업가적 특성의 통제위치만 기업가 정신을 매개로 하여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가적 특성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가 정신과 사회적 자본을 순차적 매개로 한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창업가적 특성의 통제위치와 셀프리더십은 기업가 정신의 혁신성과 기업 내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 간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한 재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 내 사회적 자본의 경우 변수 간의 매개효과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가적 특성 중 셀프리더십은 인식이 낮아 다른 변수 간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을 살펴보면,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본규모가 작아 직원들의 교육훈련에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 운영시스템의 구축이 대기업에 비하여 미비한 상황으로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체계적이기 보다 상황에 따라 임의적으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경영자는 효율적인 경영성과를 낼 수 있도록 기업 내부의 조직 관리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그리고 직원의 교육 훈련 체제를 개선하고, 자체적인 내부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 운영 관리 방안을 구축하여 실행하고자 하는 경영진의 의지가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차이 분석 결과, 응답자의 성별, 연령, 기업의 업력, 근로자 수, 학력, 매출규모, 해당업무 경력자 간 경영성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업력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3년 미만 초기 기업이 10년 이상 중·장기 기업에 비하여 창업가적 특성과, 사회적 자본, 재무성과 항목을 기업경영에서 중요한 항목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자가 사회적 자본과 경영성과에 대하여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융, 기술, 인력, 판로 등의 기능별 지원과 창업 초기 기업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에 집중하고, 혁신적 창업가 양성을 위한 기업가 정신의 제고와 노력이 병행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의 대학교에서는 재학생이 졸업 후 안정적인 창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교내 창업 시스템 구축 조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기업 간 신뢰를 통한 협업관계를 강화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차원의 기업가 정신 활동의 수행이 경영성과를 향상시켜 중소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한국 경제에서 중소기업의 사회·경제적 역할을 재인식하고, 중소기업의 보호·육성에 관한 정부 지원과 중소기업의 자체적 역량개발에 대한 방향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 내 사업장을 둔 대표자 및 임원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모든 중소기업에 대한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소상공인을 포함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나, 소상공인, 소기업, 중소기업 등 사업 규모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연구 한다면 보다 다양한 결과를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무용전공 대학생의 학업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학업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1년 현재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무용(학)과에 재학중인 무용전공 대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집은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수법을 이용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300부를 표집 하였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편중 성향을 보이는 36부를 제외하였다. 이에 자료 분석에 최종 사용된 설문지 총 264부를 최종 결과처리에 사용하였다. 조사절차는 연구자와 사전에 교육된 보조자들이 직접 서울․경기 소재 4년제 대학교 무용(학)과를 방문하여 담당자에게 협조를 얻은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 시 유의한 사항과 설문 문항에 대한 내용, 설문의 목적을 설명한 뒤 설문내용에 대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여 응답된 설문지를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였으며, SPSS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분석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학업만족도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무용수업 인식에서는 성별, 학년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내용 만족 및 무용활동 만족에서는 성별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시설 만족 및 지도 만족에서는 성별, 전공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중도탈락의도에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즉, 학교의도에서는 무용경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의도에서는 성별, 학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학업만족도는 중도탈락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학교의도 및 학생의도에는 지도 만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학업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는 학생들과 지도자의 상호적인 노력으로 긍정적인 수업분위기 속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무용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더 나아가 무용활동에 대한 인식과 학업만족도가 높아짐으로써 적극적인 참여를 도모할 수 있으며 중도탈락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dance-major college students affects their intention to drop 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chosen from dance-major students in four-year-course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ki Providence in 2011. Purposive Sampling method is used,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questionnaires, factor analysis by the correlation method is done. Dance-major students are sampled. 36 questionnaires from the samples that were unfaithful or biased were excluded. Then the total of 264 questionnaires tha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s used for final processing. The course of this study proceeded as follow: the researcher and trained assistants visit dance major departments in four-year-course colleges in Seoul and Gyeongki Providence in person; get permission from the authorities; hand out questionnaires to the subjects; let the subjects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by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explaining to them instructions and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s, that are answered, immediately and on the spot.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that are apparently insufficient and invalid, the data is entered into a computer. Using SPSS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he data is analysed as follow. the methods for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are frequenc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tc. Through such methods and process, a conclusion is drawn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dance-major students partially show personal difference in academic satisfaction. That is, the perception of the major was distinguished by sex or university year, the satisfaction for dance classes and sessions was distinguished by sex, and the satisfaction for facilities and instruction was distinguished by sex and major. Second, dance-major students partially show personal difference in their intention to drop out. That is, the students' intention was distinguished by sex or university year, and the school's intention was distinguished by personal dance experiences. Third, the academic satisfaction of dance-major students is partially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drop out. That is, students' intention and schools' intention are affected by their satisfaction for instruction. To conclude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proven that academic satisfaction for dance-major students is an effective variable for their intention to drop out.

      • 영유아 신앙성장을 위한 유대인 부모교육에 대한 연구

        이유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정 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에게 부모의 존재는 매우 중요 하다. 영유아는 부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이며, 부모를 통해 자아 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님께 자녀를 양육할 책임을 부여받은 부모는 부모교육을 통해 자녀의 신앙성장을 도울 수 있다. 유대인들은 자녀에게 신앙을 전수하는 것이 목숨보다 중요한 일이라 생각하고 가정에서 출생 후부터 철저한 신앙교육을 시킨다. 그로인해 그들은 신앙이 성숙한 성인, 부모가 될 수 있고, 대대손손 자녀에게 신앙교육을 시킨다. 이러한 유대인들은 신앙이 잘 전수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민족이 탁월하게 세계 속에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영유아 신앙성장을 위한 부모교육을 연구하면서 유대인의 신앙교육을 자세히 살펴 한국 부모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유대인의 신앙교육의 면모를 살펴 유대인의 신앙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둘째,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모들에게 부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하는데 있다. 셋째, 영유아 신앙성장을 위한 유대인의 부모교육을 고찰하며 유대인 부모교육의 모습을 통해 부모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론 제 2장에서는 유대인의 영유아 신앙 교육의 특징과 자녀를 양육하는 유대인 부모의 교육관과 교육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신앙 교육의 특징은 가정과 부모를 통한 교육, 의식과 상징을 통한 신앙 교육으로 살펴볼 수 있다. 유대인들의 신앙 교육은 세 살까지는 공식적인 종교적 의식과 의무 속에 포함되진 않았지만, 가정 안에서 부모를 통한 교육은 이미 시작되어 있었고, 어릴 적 가정 안에서 부모를 통해 이루어진 신앙 교육은 자녀가 어른이 되어서도 하나님을 떠나지 않게 했다. 또한 아직 언어를 사용 할 수 없던 자녀에게 종교 의식과 상징을 통해 일찍부터 깊은 신앙의 이미지를 새겨 놓아 자녀들을 신앙적으로 양육하고자 했던 유대인 부모들의 노력과 애씀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유대인 부모 스스로 가정 안에서 의례히 자녀들을 신앙으로 가르칠 책임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유대인 가정이 신앙 교육의 장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부모들의 특별한 교육관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들은 자녀의 출생을 하나님의 은혜이며, 특별한 축복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들은 자녀에게 더욱 열심히 말씀 교육을 할 수 있게 했고, 자녀 교육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부모 아래서 교육 받은 유대인들은 같은 방법으로 최선을 다해 자녀를 교육하게 되는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유대인의 부모교육 개념과 의미, 부모교육의 원리와 부모의 역할을 문헌을 통해 알아보았다. 사실 부모교육 이론이 정립된 것은 20세기 이후에서였기에, 유대인의 부모교육은 이론적으로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그들이 평생에 걸쳐 받아온 신앙 교육을 ‘유대인 부모교육’이라고 보았다. 자녀는 하나님과 부모의 관계, 혹은 하나님과 친밀한 부모의 생활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특별히 영유아에게 있어 부모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기독교 가정에서 부모는 교사의 역할, 상담자의 역할, 삶의 지도자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데, 이를 잘 감당하기 위해서 반드시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제 4장에서는 유대인의 부모 교육에 대한 이해를 분명히 하기 위해 유대인의 부모 교육의 목적, 내용, 특징, 방법을 살펴보았다. 유대인의 교육 목적은 한 마디로 표현할 때, 성결 교육이라 할 수 있고, 이를 구체적으로 세 가지로 언급할 수 있다. 첫째, 세속을 떠난 여호와 하나님을 향해 분리된 삶이다. 둘째, 하나님의 거룩에 점점 더 가까이 나가는 삶, 셋째, 순결한 삶을 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유대인 부모들은 자녀에게 쉐마 교육, 토라와 탈무드를 가르쳤고, 이러한 말씀 교육이 생활에 적용되도록 직업 교육도 시켰다. 이러한 내용들을 교육하는 방법으로 구전, 반복과 암송, 참여와 경험, 질문과 토론의 네 가지 방법을 들 수 있다. 유대인 아버지들은 나라의 기억들이나 역사를 구전을 통해 자녀들을 교육했고, 말을 할 수 있는 자녀에겐 말씀을 아침저녁으로 반복하여 암송하도록 했다. 또한 예배 의식이나, 종교적 의식에 참여하고 경험함으로 지식으로 얻지 못하는 것을 경험을 통해 하나님을 확실히 알고 느끼게 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부모는 자녀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한 방법으로 질문을 사용하였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배움의 주체가 되도록 하고, 적극적으로 참여케 만드는 효과가 있다. 유대인 부모 교육은 크게 4가지 특징으로 평생교육, 발달단계를 통한 교육, 일상생활에서 부모를 통한 교육, 지혜교육의 강조이다. 가장 큰 특징은 부모 교육이 평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유대인 부모들은 하나님의 진리를 발굴해 인류에 공헌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연구하고 배우기를 멈추지 않는다. 둘째, 유대인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단계에 맞게 교

      • Maguy Marin 작품에 나타난 시각표현의 특성 연구

        이유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기 마랭(Maguy Marin) 작품에 나타난 시각표현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실험적이고 탐구적인 정신으로 다양한 방법으로의 표현효과를 창출해 낸 그녀의 안무방법의 성과를 논의하기 위해서 활발한 활동 시기인 1980년대부터 2000년대의 대표적 작품을 연구하였다.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중심으로 전개된 표현주의의 시작은 현대무용에 그들만의 독특한 양식을 창조하게 된다. 이것은 외적인 사실성을 거부하고 사물의 잠재적 의미 구현에 가치를 두고 있던 예술 사조로서 일상적인 동작과 형태들을 수용하면서 아이디어나 감정을 표출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모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형식에 있어서 보다 자유롭고 다원적인 새로운 양식의 급진적 사상을 가진 안무방식이 많은 안무가들에게서 행해졌다. 예술전반에 걸쳐 표현주의 영향으로 다양한 문화양식이 들어서게 되고 이것을 접하게 된 무용가들은 인간의 경험을 주축으로 대상의 재현이 아닌 주관 안에서 상징적인 사고에 의해 다시 구성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인간의 경험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보는 사람의 감정에 대한 반응은 각기 다를 수 있으나, 예술작품 속에 표현되어진 의도는 보는 이의 경험과 기억 등에서 체험되어진 공감각(共感覺)에 의해 안무자와 감상자는 상호교감을 이룰 수 있고 작품 내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의 가능성은 무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가가 하나의 이미지를 생산하여 그것이 감상자들로부터 반응을 일깨우는 문제로 승화될 때, 그것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이며 감성적 인식영역인 시각적 전달언어가 되는 것이다. 마기 마랭은 그 안무방법의 다양한 전개방식과 그 양식을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시켜 안무 작업을 해온 무용가 이다. 그녀는 이 시기 안무가들에게서 행해지는 규격화되고 정형화된 형식에 타 예술 장르와의 혼용을 접목하고 공간적, 청각적 특히 시각적 표현에의 측면을 그녀만의 독특한 작가정신을 내포하여 다양한 매체의 개발과 종합적인 연출 방식으로 무대공연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이미지의 표현을 위한 하나의 제시로서 표출되는 창조의 세계를 마기 마랭의 안무 형태를 대표하는 작품 「May B」, 「Waterzooi」, 「Les Applaudissements ne se Mangent pas」를 통해 다양한 표현의 시각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작품을 안무개념, 이미지의 시각화, 움직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으며 시각화에 따른 이미지의 사용이 마기 마랭의 창작 작업에 있어서 어떻게 인식되고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시각화가 예술가에게 많은 상상력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았다.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느껴지는 여러 가지 표현요소는 감상자에게 이미지의 전달뿐만 아니라 안무자의 의도가 내포된 감성까지도 전달하며 이것은 일방적 전달이 아닌 예술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고 예술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하는 인간본질에의 접근을 뜻하는 것이다. 예술의 가장 기본이 되는 표현요소인 시각언어를 이해하고 작품과 소통하는 것은 설득력 있는 작품에 대한 이해로써 나아가서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일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sual expressions shown in Maguy Marin's works and thereupon, discuss her choreographic achievements featuring an experimental and exploratory spirit conducive to diverse effects of 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her works produced for her active period from 1980's till 2000's. Since the world war, expressionism began to evolve centering around Germany, and therewith, the modern dance also began to create its own unique mode. The new arts current refused the external reality and instead, valued implementation of a potent meaning of object, and thus, accommodated ordinary movements and forms to express ideas or emotions for every possibility. In terms of the form, many choreographers practiced freer, multi-faceted and radical choreographies. Thus, every genre of arts would be influenced by expressionism and therefore, a variety of cultural forms would flourish only to stimulate choreographers to reorganize human experiences in some visual images subjectively with some symbolic thoughts rather than simply re-present them. Since human experiences are subjective, audience may respond differently to the visual images, but the intention of their expressions in art works was to urge choreographer and audience to share a mutual sympathy by means of a synesthesia experienced or memorized and therewith, expand the potential of communication unlimitedly through the images shown in art works. Accordingly, when an artist produces an image and sublime it into an issue awakening the audience, the image would be a visual language or message most fundamental and emotionally cognitive. Maguy Marin used diverse choreographies and their modes to visualize for her choreographies what she wanted to express. She grafted the specified and stereotyped conventional choreographies on other genres of arts to develop diverse media and synthetic choreographies for her stages by implementing her own unique spirit of artist for spatial, auditory, and particularly, visual expression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reviewed the creative world represented by such diversified visualization of expressions in Maguy Marin's model works such as "May B", "Waterzooi" and "Les Applaudissements ne se Mangent pa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her works in view of choreographic concepts, visualization of images and movements in order to confirm how much important the visualized images were for her creative work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visualization of images would help artists to strike various ideas for expressions of their works. A variety of expressive elements perceived by body movements are delivered to the audience in the forms of images and emotions connoting choreographers' intention, and such a delivery is not unilateral but bilateral for understanding of arts and a communication through arts towards an essence of human beings. Such understanding of the visual language or the expressive element as basics of art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artist and audience may be a pre-requisite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lausible art works as well as for a better life quality of us.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자해’ 및 ‘자살’ 관련 SNS 게시물 분석 : 트위터 게시물을 중심으로

        이유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나타나는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을 수집하여 주요 등장 단어와 핵심 토픽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10월 29일부터 2020년 10월 30일까지 관련 해시태그를 포함한 게시물로 선정하였고, 자해 관련 해시태그 ‘#자해', ‘#자해계', ‘#자해러'와 자살 관련 해시태그 ‘#자살’, ‘#자살시도’, ‘#자살충동’, ‘#자살사고’, ‘#죽고싶다’, ‘#죽고싶어’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게시물을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한 결과, 총 11개의 핵심토픽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해 관련 토픽은 '죽고 싶지만 자해하며 살아가고 있어', ‘칼로 내 몸을 긋고 있어', ‘자해하는 나를 탓하지 말아줘, 관심과 사랑을 주면 좋겠어', ‘나와 함께 이야기해줄 친구가 필요해', ‘자해 흉터는 나를 움츠러들게 만들어', ‘나는 정신장애와 함께 살아가고 있어'이었다. 둘째, 자살 관련 토픽은 ‘죽고 싶은 생각이 들 때는 도움을 요청하세요', ‘연예인 자살에 대한 반응들', ‘범죄 후 자살하는 사람들에 대한 엇갈린 시선들', ‘이젠 혼자 버틸 힘도 없으니 제발 날 좀 도와줘', ‘죽고 싶지만 자해하며 살아가고 있어'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온라인상에서는 오프라인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자해 및 자살의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SNS를 도움요청의 경로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자해 및 자살 관련 게시물에서 공유하는 공통적인 기능과 공유하지 않는 차별화된 기능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해 및 자살사고 경험자와 자해 및 자살 관련 이슈를 바라보는 대중의 의견을 이해하고, 자해 및 자살 예방 및 개입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기존의 정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key emerging words and key topics by collecting posts related to ‘Self-injury' and ‘Suicide' appearing on Twitter.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posts containing related hashtags from October 29, 2019 to October 30, 2020. Hashtags related to self-harm were #자해(Self-harm / Self-injury), #자해계(Self-injury account), #자해러(Self-injury ID), and hashtags related to suicide were #자살(Suicide), #자살시도(Suicide attempt), #자살충동(Suicidal ideation), #자살사고(Suicidal thoughts), #죽고싶다(want to die), #죽고싶어(want to die). Text mining based on collected posts resulted in a total of 11 key topics. The main message in the topic is as follows. First, self-harm topics were “I want to die, but I'm living with self-harm,", “I'm cutting myself with a knife.", “I need a friend to talk to me.”, “Don't blame me for hurting myself, I want you to give me attention and love.", and “I live with a mental disorder.". Second, suicide topics were “Ask for help when you feel like dying", “Response to celebrity suicide", “Opposing views on people committing suicide after a crime.", “Please help me because I don't have the energy to stand alone anymore" and “I want to die, but I'm living with self-harm". These results mean that offline, the experience of self-harm and suicide is frankly expressed and SNS is used as a route for requests for help.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opinions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elf-harm and suicide accidents and the public regarding issues related to self-harm and suicide. This proposed a new direction by exploring effective measures for self-harm and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existing policies.

      •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한 조사 지도 내용 연구

        이유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orms of the Korean language make it possible to have smooth communication in that language, and postpositions play a crucial role in making up a sentence, which is the smallest unit to express the ideas or emotion of the speaker or wri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stained errors of learne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and the state of postposition education in an attempt to seek new ways of teaching postpositions.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state of postposition education, and the writing written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as reviewed to check into the types and aspects of their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So far, postpositions were taught mostly in conjunction with parts of speech without being linked to every part of grammar, and there was no hierarchical, systematic education about postpositions for different graders. Moreover, just a very small number of postpositions were introduced, and there weren't enough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ractice making sentences by utilizing postpositions. Furthermore, inquiry problems were presented just in accordance with the views of the academic circles, which resulted in detracting from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inquiry problems. Although continuing education was conducted about postpositions, students still continue to make errors in that regard. In order to let students learn about the diverse use of postpositions, lists of postpositions provided by earlier studies were put in order to prepare a new postposition list. And the meaning of postpositions in different contexts was explained, and illustration materials were offered to teach learners to learn that postpositions could be used in various ways. The complex patterns of their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ere described, and the types of errors related to each grammar unit were analyzed to improve postposition education in light of their errors. Such a classification of error types has been attempted in studies of improper spelling, and that could be attempted in relation to the use of postpositions as well in a mov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prepara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ypes of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ere analyzed and then put in order, and the types of phonetic errors were rul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ow to prevent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as mapped out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plan devised in this study was basically based on existing teaching practices but tried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existing education such as a lack of hierarchical system, a shortage of authentic practice problems and a shortage of appropriate inquiry problems in an effort to stir up the positivity of learners and let them use the right sentences in different contexts. This study focused on postposition education, which had just been partially covered by earlier studies of grammar norm errors. Even existing studies of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just provided information on lists of errors among the same graders, but this study attempted to take a closer look at postposition education to find out what problems it was confronted with. Moreover, the patterns of errors made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ere analyzed to suggest how to teach students about postpositions to prevent them from making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국어 규범은 국어의 표현과 이해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조사는 화자나 필자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할 때 완결된 내용을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인 문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오류 실태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살피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밝히며 새로운 조사 지도 내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로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진단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그 교육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 학교급별 실제 학생들의 작문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유형별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은 전 문법 영역에 연계되지 못하고 단어 단원의 품사와 관련하여 주로 다뤄지고 있었으며, 학년별 위계화나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불어 소개되는 조사의 종류가 매우 적고 조사를 활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연습도 부족했다. 또, 탐구 문제에 학계의 의견을 그대로 가져옴으로써 진정한 탐구 문제로서의 교육적 가치가 떨어진다. 조사 지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그 오류 양상이 여전한 데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사의 다양한 사용을 위해 각 연구에서 밝힌 조사 목록을 계량화하여 새로운 조사 목록을 마련하였다. 이에 상황 맥락에 따른 의미와 예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다양한 조사의 쓰임을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실제 조사 사용 오류에서 나타나는 복합적 양상을 밝히고 이를 교육적으로 수용하여 지도 내용으로 삼고자 문법 단위 마다의 오류 유형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 유형 분류는 기존의 맞춤법 오용 연구에서 시도되어 오던 것으로, 조사의 지도에 있어서도 같은 체계를 가져옴으로써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음운을 제외한 형태, 통사, 의미의 단위의 문법 유형을 나누고 각각의 실제 오류 양상들을 분류하여 체계화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조사 사용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제도적 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실제 조사 사용 오류 양상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지도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따르되, 위계화와 연습 부족의 문제, 적절한 탐구 문제의 마련 등을 담아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능동성을 지향하여 국어 문장을 형태적으로 정확하고 의마나 사용의 맥락에도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법 규범 오류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졌던 조사 지도 내용을 초점화하고, 동일 학년의 단순한 오류 사례 나열에 그쳤던 조사 사용 오류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 기존의 조사 지도 내용을 살펴 문제점을 제기하고 실제 학습자들의 학교급 간 오류 양상을 언어 단위별로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오류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조사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