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와우 수술에 대한 청각장애 성인의 인식 조사

        이유경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attitude and perspective on cochlear implant according to hearing impaired adults' characteristic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unity of Deaf society and the society related with cochlear implant.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136 hearing impaired adults in Gyeonggi-do, Seoul, Daegu, Busan. And the data from them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6 items categorized into four subarea: 4 items of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7 items of cochlear implant itself, 10 items of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and 5 items of Deaf identity related to cochlear implant.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coded and implemented verification by using Cronhach's Alpha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ethod. In addition, thes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eception on cochlear implant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sex, kind of hearing aid,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of attendance at school for the deaf, and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aural langage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sign language or both of sign and aural language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Second,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cochlear implant itself. The perception level of cochlear implant itself differed according to age, type of hearing aid and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of forty and over have relatively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others. In addition,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operated on cochlear implant were recognizing positively,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wearing hearing aids and wearing no aid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And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aural langage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sign language or both of sign and aural language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Third,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differed according to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operated on cochlear implant were recognizing positively,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wearing hearing aids and wearing no aid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Especially, there was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aural language and sign language or none than any other subarea in this study. Fourth,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Deaf identity related cochlear implan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differed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ere relatively more positive to Deaf identity related cochlear implant than other groups. Moreover,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aural langage have moderat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sign language or both of sign and aural language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Fif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bout correlation between subarea of perception on cochlear implant, such subarea of that had positive correlation. Especially, the perception on cochlear implant itself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But there are low correlation between other subarea. Therefore, the communicat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ith accurate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system, cochlear implant device should be one of the alternative that they keep their unique cultural identities but also play a role as a member of society.

      • 윤을수 신부의 인격존중 사상의 카리타스 실천을 위한 의미 : 1965년 성목요일 강론을 중심으로

        이유경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윤을수 신부의 인격존중 사상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기준으로 판단함으로써 윤을수 신부의 인격 존중 사상이 현대의 가톨릭적인 사랑실천, 곧 카리타스 실천에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윤을수 신부가 인보성체회원에게 남긴 유언인 동시에 그의 인간존중사상의 핵심이 담겨 있는 1965년 성목요일 미사 강론을 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총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에서는 성목요일 강론 녹취록을 분석해 그의 사상을 귀납적으로 파악했고, 둘째 단계에서는 분석으로 도출한 핵심주제를 사랑실천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관점에서 연역적으로 판단했으며, 셋째 단계에서 분석과 판단의 결과를 종합해 현대 카리타스 실천을 위한 제안을 했다. 첫 단계에서는 사람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록한 질적 데이터인 연구대상에 적절한 개방성을 유지하면서도 최대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필립 마이링(Philipp Mayring)의 질적 내용분석의 요약기법과 설명기법을 사용했다. 요약의 결과물인 5개의 범주에서 평등주의, 인격존중, 행복, 용서, 그리고 진실/겸손이라는 5개 핵심주제를 도출했고, 그 핵심주제들을 윤을수 신부의 다른 유고와 저술의 관련 본문의 도움을 받아 설명했다. 둘째 단계에 서 이 핵심주제들의 내용을 성경과 제2차 바티칸공의회 문헌, 그 후에 나온 교황 회칙들, 그리고「가톨릭교회 교리서」와 「간추린 사회교리」의 가르침 이 도움을 받아 해석하고 판단했다. 셋째 단계에서는 이전 두 단계의 결과물을 토대로 그것이 오늘 카리타스 실천에 가지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 , 윤을수 신부처럼 카리타스 실천의 원천이고 기준인 예수 그리스도의 실천을 모델로 삼아야 한다. 둘째, 평등주의 사상은 카리타스 조직으로 하여금 모든 형태 차별 반대, 약자와 연대, 그리고 형제자매다운 조직문화를 촉구하고 있다. 셋째, 카리타스의 본래 목적이자 본질인 인격존중을 조직 외부를 향한 실천뿐만 아니라, 내부의 상호관계에서도 구현해가야 한다. 왜냐하면 스스로 체험한 인격존중이 타인의 인격존중을 위한 토대이기 때문이다. 넷째, 예수그리스도를 따라 사는 삶에서 발견하는 참된 행복을 카리타스 실천의 동기로 삼도록 권고한다. 다섯 째, 카리타스 조직과 그 구성원은 갈등에 직면했을 때, 자신에게 억울한 일과 그 일을 행한 사람을 구별하고 자기가 살고 싶은 삶 전체의 시각에서 그 갈등을 상대화시킬 수 있기를 요청한다. 여섯 째로 카리타스인의 기본자세인 진실과 겸손은 먼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일 것과 상대방에게 귀를 기울이고 상대방 요구에 응하려는 의지를 갖추도록 기대한다. 그러므로 카리타스 구성원은 자신이 속한 사회나 수도 공동체 안에서 원활한 소통을 통한 자기표현과 서로의 평등을 주장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 및 서로의 차이를 좁혀갈 수 있는 성숙한 발전 또한 필요하다. 또한 각자가 속한 공동체 안에서의 평등이 사랑 실천의 원동력이 되어야 하고 특별히 카리타스 조직 구성원들을 비롯한 모든 사람은 인간을 사랑하는 방법으로 인격을 존중하는 카리타스 정신을 적극적으로 살아 가야 할 것이다.

      • Evaluation of swallowing function in infants with dysphagia

        이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뇌성 마비, 신경 근육 질환, 발달 장애 및 경관 수유 의존성과 같은 광범위한 질환에서 영유아의 삼킴 장애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가 적용되어 왔다. 따라서, 영아에서 식이 상태를 기술하고 삼킴 장애를 가진 영아의 치료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검증된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여러가지 평가도구가 영아의 식이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평가 도구의 대부분은 체크리스트 형식이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주관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는 출생 후 48 미만의 월경 후 연령 (postmenstrual age) 에서 영아의 빨기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육안 관찰 방법이다.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의 관찰 항목 중 비조직 (disorganization) 에 속하는 항목은 3개의 군집으로 나뉘게 되는데 군집 2는 불규칙한 (arrhythmical) 빨기를 보이는 경우이며, 군집 3 는 빨기를 지속하기 힘든 (unable to sustain) 경우이며, 군집 4는 부조화된 (incoordination) 빨기를 보이는 경우이다. 이 군집 시스템은 다양한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 결과를 범주로 그룹화했지만 각 범주의 임상 적 유용성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기능적 구강섭취척도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성 구강 섭취 변화에 대한 기록을 위해 개발되었다. 성인의 연하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기능적 구강섭취척도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아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영아는 월 령에 따라 섭취하는 음식이 변화하기 때문에, 성인의 기능적 구강섭취척도를 그대로 적용하기 힘들다. 본 학위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 중 비조직 (disorganization) 빨기 패턴을 가지는 조산아를 대상으로, 특정 군집의 빨기 패턴이 완전 경구 수유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지 조사했다. 둘째,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 중 부조화된 (incoordination) 빨기 패턴이 미숙아의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를 대상으로 한 기능성 구강 섭취 척도의 검사자 간 신뢰성과 타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월경 후 연령 (postmenstrual age) 50 주 이전에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에서 비조직 (disorganization) 빨기 패턴을 보이는 조산아를 포함하였다. 비조직 (disorganization) 빨기 패턴 (n = 109)을 보이는 조산아는 3 개의 군집 (군집 2-4)으로 분류되었고,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양성 (군집 4) 및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음성 그룹 (군집 2 및 3)으로 나누어 완전 경구 수유에 도달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8-12 개월, 18-24 개월 령의 발달과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패턴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연구에서는 71 명의 조산아의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를 포함하였다.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양성 및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음성 그룹에 대한 Bayley-III인지 점수를 독립 t- 검정으로 비교하였다. 영아에 대한 기능적 구강섭취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는 연구에서 비디오 연하 조영 검사를 시행한 영아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비디오 연하 조영 검사 당시의 영양 기록은 영아를 위한 5 점 기능적 구강섭취척도를 사용하여 두 명의 평가자가 별도로 평가하였다. 비디오 연하 조영 검사를 통해 객관적인 삼킴 장애 점수 및 흡인 점수를 얻었다. 첫 번째 연구에서,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양성의 조산아는 완전 경구 수유에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이 중앙값 22 일 (범위: 4-121 일)로 부조화 음성 그룹 (중앙값 6일, 범위: 1–25 일)보다 더 길었다. 다변량 선형 회귀 분석에서, 전이 시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변수는 종합 비경구 수액 지속기간, 재태령에 비해 작은 태아 및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패턴의 존재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 67 명의 비조직 (disorganization) 빨기 패턴을 보인 조산아는 중에서,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양성군은 18-24개월 Bayley-III인지 점수 중앙값 90.0 점으로 부조화 빨기 음성군 (중앙값 100.7점) 보다 낮았다 (독립 t-검정, p = 0.005). 다중 선형 회귀 분석 결과,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패턴 양성, 등급 3 또는 4 의 뇌실내 출혈 및 중등도/중증의 기관지폐이형성증이 18-24 개월 령에 인지 발달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에서 영아에 대한 기능적 구강섭취척도의 평가자 간 신뢰도는 201 명의 평가 된 영아들 사이에서 95.5 % 의 절대 동의로 높았으며, 이 척도는 비디오 연하조영검사에서의 흡인 점수와 연관성이 존재하였다. 평가 당시 부분 경구 식이 중이었던 33 명의 영아들이 평가 후 1 년 이내에 완전 경구 수유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26 명의 영아가 1 년 후 완전 경구 식이에 도달하였으며, 1년 후 완전 경구 식이에 도달한 아이들이 평가 당시에 튜브 대신 입으로 영양을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요약하면, 치료가 필요한 조산아를 선별할 때,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에서 부조화 (incoordination) 빨기 패턴을 보이는 경우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발달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또한 영아의 5 점 기능적 구강섭취척도는 충분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있어, 신생아 구강 운동 평가 척도와 기능적 구강섭취척도를 영아의 삼킴 장애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terventions for dysphagia have been applied to infants and children with various conditions, such as cerebral palsy, neuromuscular disorders, and a wide range of other conditions, such as developmental disorders and tube-feeding dependency. There is a need for a tool that can aid clinicians in describing feeding status and measuring outcomes of the management of infants with dysphagia. Various evaluation tools have been developed for infants with feeding problem. However, most of these assessment tools are in the form of checklists and are often not validated or subjective. The Neonatal Oral-Motor Assessment Scale (NOMAS) is a method of visual observation that is used to assess non-nutritive and nutritive sucking in an infant from birth to 48 weeks of postmenstrual age (PMA). The observational items compatible with disorganization in the original NOMA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rrhythmical, unable to sustain, and the incoordination items; cluster 2 (arrhythmical), 3 (unable to sustain), and 4 (incoordination). Although this cluster system grouped various NOMAS findings into categories, the clinical usefulness of each item has yet to be demonstrated. The 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IS) was initially developed for the clinical documentation of changes in the functional oral intakes by stroke patients. Despite the wide use of the FOIS to evaluate dysphagia in adults, it has not been validated for use in infants. The direct application of the FOIS to infants is challenging, as they are developing rapidly and will experience an expansion of the oral diet with age. In this thesis, three individual studies were performed.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specific items within the disorganized sucking patterns described by the NOMAS could estimate the time to full oral feeding (FOF)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difficulty. Second, we investigated whether stress signals in NOMAS during bottle feeding in premature infants are a relevant factor for developmental outcomes at 10 months of age (corrected for prematurity). Final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IS) for infants was analyzed. In the first study, preterm infants diagnosed with a disorganized sucking pattern in the NOMAS evaluation before 50 weeks of postmenstrual age were included. Premature infants who exhibited disorganized sucking patterns (n = 109)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clusters 2–4) and further divided into incoordination-positive (cluster 4) and incoordination-negative groups (clusters 2 and 3). In the study evaluating the association of stress signals with developmental outcomes at 8-12 and 18-24 months of age, NOMAS of 71 premature infants was obtained. The Bayley-III cognition composite scores for the incoordination-positive group and the incoordination-negative group were compared by independent t-test. In the study asses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OIS for infants, infants who underwent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ir nutrition records at the time of the VFSS were separately evaluated by two raters using the five-point FOIS for infants. Categorical swallowing and aspiration impairment scale data were also obtained from the VFSS. In the first study, premature infants in the incoordination-positive group (cluster 4, which means stress signals) showed a median transition time of 22 days (range: 4–121 days) which was longer than that in the incoordination-negative group (median 6 days; range: 1–25 days). In a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revealed to be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time were TPN duration, SGA, and the presence of stress signals (incoordination-positive group) among disorganized sucking patterns. In the second study, seventy premature infants exhibited a disorganized sucking pattern according to the NOMAS. The average Bayley-III cognition composite scores at 18-24 months were higher in incoordination-negative group (n=46, 100.7±11.5) than incoordination-positive (n=21, 90.0±17.9) group (p=0.005).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sence of uncoordinated sucking pattern, grade 3 or 4 germinal matrix hemorrhage–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moderate to severe bronchopulmonary dysplasia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development at 18-24 months of age. In the third study,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FOIS for infants was high (95.5% absolute agreement) among the 201 evaluated infants, and this scale was correlated with aspiration severity in the VFSS. This analysis included 33 infants who were receiving both oral and tube feeding (i.e., POF).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infants with partial oral feeding (POF) at the FOIS evaluation had achieved full oral feeding within 1 year of the evaluation and used this information to estimate whether the caloric contribution, as well as consistency of oral feeding, affected the feeding outcomes. Among them, 26 infants achieved FOF without tube feeding after 1 year. Their initial contribution from oral feeding was higher than that in infants who still maintained POF after 1 year (28.46 ± 22.79 vs. 6.00 ± 5.45%, p < 0.001). In summary, when selecting premature infants to be treated with swallowing therapy, it is reasonabl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coordination-positive group described in the NOMAS to shorten the time to attain FOF and monitor the developmental milestones. Also, the five-point FOIS for infants, which reflected the expansion of their oral diet with growth, had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NOMAS and infantile FOIS can be used complementarily to assess swallowing function in infants.

      • 만2세반 영아의 식습관 형성을 위한 실행연구

        이유경 총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Action Research about How to Develop the Dietary Habits on Two-Years-Olds Children Lee, Yoo Kyu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problems posed in guiding a two-year-old's dietary habits and looked at the subsequent changes in infants, child care teachers, and families by implementing specific measures of cooperation between the home and the community. Ultimate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help babies form healthy dietary habit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the activities implemented to form infant dietary habits? 2. What are the changes to infants, child care teachers and families in implementing infant dietary food development program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ugigae class seven infants aged 2 at the H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G. The dietary issues of infants were identifi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participation observations, parental and teacher interviews. Relevant literature has been reviewed based on recognized issues and established implementation plans for infant dietary food formation program activities, family and community affiliation activities, teacher training and study meetings. The research period will be from September 1, 2017 to February 9, 2018,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will be based on problem identification and analysis, detection of implementation measures for the formation of dietary habits, and evaluation based on implementation method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researchers collected data such as field observations, recordings, photos, teacher and parent interviews, diet checklists,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distribution of home links, teacher study groups, and researchers notes. The data collect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by selecting the symbols, reconfiguring the upper category, focusing on whether or not infant dietary habits are changed or not, and whether parents and teachers are changing eating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implementation of a desirable dietary development program for mugigae class infants has been identified and organized. The dietary problems of infants in research institutions were caused by lack of food guidance between the infant's development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lack of link between home and child care, insufficient community cooperation system, and lack of awareness and skills of nurser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infant dietary habits, the Commission presented diverse teaching methods such as exploration activities, cooking activities, language activities, gardening, and molding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interest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s. In order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households and the local community, the related organizations provided ways to connect the food management support center and food suppliers with the globalization of domestic activities, parental interviews,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concerning nutrition education. Childcare teachers also regularly conducted teacher training and study meetings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dietary guidance. Second, if we look at changes in infants, child care teachers and households through a program to develop healthy dietary habits, infants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development as well as healthy dietary habits. Childcare teachers have also developed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guiding foods in childhood. And families have turned into daycare centers, where they are constantly striving to care about their children's diet and provide healthy dietary hab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child care teach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nfant dietary habits and are able to establish healthy dietary implications for children when applying them in conjunction with home and local communities. 본 연구는 만 2세반 영아의 식습관 지도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실행하여 이에 따른 영아, 보육교사, 가정에 나타난 변화를 살펴보았다. 궁극적으로 영아가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기 식습관 형성을 위해 실행되는 활동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 영아기 식습관 형성 프로그램 실행 중 영아, 보육교사, 가정에 나타난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S시 G구에 소재한 H어린이집의 무지개반 만 2세 영아 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영아의 식습관 문제를 참여관찰, 부모 및 교사 면담 등의 다각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인식된 문제를 바탕으로 관련된 문헌 자료를 검토하였고, 영아기 식습관 형성 프로그램 활동 구성, 교사 교육 및 스터디 모임,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활동 등의 실행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2018년 2월 9일까지이며 실행과정은 식습관에 나타난 문제 인식 및 분석, 식습관 형성을 위한 실행방안 모색, 실행방안에 따른 적용, 실행에 따른 평가 등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실행과정 중 연구자는 현장관찰, 녹화, 사진, 교사 및 부모 면담, 교사용 식습관 체크리스트, 가정과의 연계활동지 배부, 교사 스터디 모임, 연구자 노트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영아의 식습관의 변화 유무, 부모와 교사의 식습관 지도 형태 및 인식의 변화 유무에 초점을 맞추어 부호를 선정하고 상위범주를 재구성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분류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지개반 영아들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 프로그램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고 구성하였다. 연구 기관의 영아의 식습관 문제는 영아의 발달적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식습관 지도, 보육교사의 식습관 교육의 인식과 기술 부족, 가정과 어린이집 식습관 지도의 연계부족, 지역사회 협력체계 미흡 등의 4가지로 나타났다. 이에 무지개반 영아의 식습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영아에게 흥미와 개인차를 고려하여 탐색활동, 요리활동, 언어활동, 텃밭 가꾸기, 조형 활동과 같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영아기 식습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가정과의 연계활동지 구성, 부모 면담, 영양교육 관련 부모교육 안내문 배부와 유관기관으로 급식관리지원센터와 급식 공동업체 등과의 가정 및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을 구축하였다. 또한 보육교사는 식습관 지도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 교사교육과 면담, 스터디 모임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였다. 둘째, 영아기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 프로그램을 통해 영아, 보육교사, 가정에 나타난 변화를 살펴보면, 영아는 올바른 식습관 형성 뿐만 아니라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보육교사는 영아기 식습관 지도의 전문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어린이집과 연계되어 자녀의 식습관에 관심을 가지고 건강식단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가 영아기 식습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린이집이 가정과 지역사회와의 협력한 식습관 형성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적용할 때 영아의 바람직한 식습관을 구축해 나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이유경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이탈주민들의 국내 입국 인원은 2006년 연간 2,000명대에 진입한 이후 2014년 현재 약 27,253명에 이를 정도로 점차 확대되었으며, 이 수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을 위해 정부에서 실시하는 다각적인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은 기존의 사회체제와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 적응해 나아가는데 여러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 가운데 특히 남북한 간의 이질적인 언어 차이로 야기되는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에서의 문제야말로 이들의 정착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변인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사회 내에서의 언어적 의사소통 체험과정 중 나타나는 여러 다양한 결함 양상과 관련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살핌으로써,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책 마련의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한 사회에 정착한 지 5년 이내인 성인 북한이탈주민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이들이 남한 입국 후 가정, 직장, 지역사회 및 기타 개인적인 대인 관계 속에서 겪었던 실제 의사소통 실패 사례와 육성 체험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첫째,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실패와 단절 경험 및 관련 요인, 둘째,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사회 의사소통 적응 과정이라는 커다란 두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실패와 단절 경험 및 관련 요인은 언어의 의미적 측면, 초분절적 측면, 그리고 화용적 측면으로 다시 하위 범주화되었다. 의미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은 다시 남북한 간의 어휘 의미차이와 어휘 이질화 그리고 남한 사회 인구들의 빈번한 외래어와 신조어 사용에 따른 어려움으로 세분되었다. 초분절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은 남북한 간 억양 및 강세차이에 따른 의미 변동, 남한 지역방언이 가지는 특징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세분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용적 측면에서 대상들이 가지는 어려움은 남북한 간 문화적 차이, 관용어, 에두르기식 표현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이 주된 요소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 사회 의사소통 적응 과정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자신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자가평가 영역에서 전체 15명 중 9명이 스스로를 ‘중’ 수준으로, 그리고 나머지 6명이 ‘하’ 수준으로 평가 하여, 스스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을 ‘상’으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었다. 대상들은 남한 사회에서의 언어적 적응에 이르기까지 개인에 따라 6개월에서 5년이 소요된다고 하였고, 이는 대상자들의 개인적 특성 역시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의 언어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일부 대상들 가운데에서는 북한식 말투와 표현으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이 드러날 것이 두려워 남한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일부러 침묵을 택하는 수동적인 태도를 취한 경우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남한 입국 직후, 남한 정부가 운영하는 탈북자 집단교육 시설인 ‘하나원’에서의 언어교육은 그 내용과 방식에 있어 대개는 형식적이며 단편적인 것에 국한되어있어 실질적으로 이들의 남한 사회 정착을 돕는 것에는 크게 미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사회의 언어 사이에 나타나는 다양한 영역, 특히 의미, 초분절 그리고 화용적 영역에서의 차이에 비롯되는 이질감을 쉽게 극복하지 못하고 영역마다 나타난 다양한 하위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위해 특화된 효율적인 초기 언어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즉, 언어의 의미, 초분절 및 화용 영역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이 보이는 강점과 약점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에 대한 맞춤식 교육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 내에서는 언어의 표면적 영역에 그치는 일반적인 주입식 교육이나 단순한 암기를 강요하기보다는 일상생활 또는 구체적인 맥락이 포함된 실제 대화상황으로 교육 환경을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서 나타나는 남한 사회 내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에 대한 실제적이면서도 체계적인 기초 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본 연구에서는 대상들을 성인연령에 국한시켰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실제 언어적 적응은 개인의 능력 수준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이므로 대상들을 연령 및 학력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실제 개인들 간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에서는 말과 함께 동반되는 제스처나 표정 등의 비언어적 기술이 미치는 영향 역시 배제할 수 없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을 구성하는 언어 및 비언어적 기능을 다각적으로 아우르는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노력이 종합되어 비로소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사소통 수행 양

      • 시간 기반 분리 도입을 위한 실증연구: 제주공항을 중심으로

        이유경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종 접근 시 항공기는 최소 분리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이 거리는 바람의 세기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강한 정풍 조건에서 분리 거리를 유지할 경우 항공기 지상 속도(Ground Speed)를 감소시켜 항공기 간 시간 간격을 증가시키며 이는 착륙률을 감소할 수 있으며 공항 수용량을 제한할 수 있다. 시간 기반 분리(Time Based Separation)의 개념은 최종 접근 시 모든 정풍 조건에서 안정적인 착륙 수용량을 허용하는 것이며, 항공기 간 시간 간격을 안정화함으로써 달성된다. 기상 정보와 항공기 성능을 기반으로 항공기 간 최적의 시간 간격을 동적으로 계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해당 시스템을 히스로공항에서 최초로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공항의 시간 기반 분리 도입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풍 속도가 5 kt 단위로 증가함에 따라 시간 간격은 증가하였으며, 거리 간격은 감소하였다. 또한 정풍 속도 5 kt 단위별 시간 간격 차이가 있으며, 거리 간격 차이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는 정풍 속도가 지상 속도(Ground Speed)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절차 개선을 통해 시간 기반 분리 도입 시 항공기 간 분리 간격 축소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 기반 분리 연구가 국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 기반 분리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인 정풍 속도, 항공기 간 시간 간격 및 거리 간격을 수식으로 표현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한 것에 의의가 있다.

      • 원격 역사수업의 현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모색

        이유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 19 발생 이후 실제 원격 환경상의 역사수업 운영을 알아보고 역사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원격 환경의 장점 및 가능성을 규명하여, 교사가 원격으로 역사수업을 설계할 때,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방안과 원격 환경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역사수업의 지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9인에게 설문 및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교사에게 제공되는 국가 발행 자료는 원격 수업 운영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교사들은 동료 교사 간의 수업 사례 공유를 더욱 선호한다는 점을 알았다. 그러나 동료 교사 간의 수업 사례 공유는 다소 산발적이어서, 다양한 주제의 역사수업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해 실제 역사 교사들의 원격 수업 운영을 살펴보고,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원격 역사수업의 원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사들이 COVID 19 이후 실제로 활용하는 원격 수업의 유형은 ‘현장 수업 녹화 강의’, ‘원격 수업을 위해 설계한 녹화 강의’, ‘실시간 쌍방향 플랫폼 이용 강의’로 나타났다. 이들은 수업 상황에 따라 수업의 유형을 혼합하여 이용하기도 하였다. 교사들이 원격 수업에서 가장 많이 느끼는 어려움은 학생과의 소통 문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원격 수업에서 개별화된 소통의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자료 조사의 용이성이나 활동 과정 기록의 수월함 등 역사수업에 도움이 될만한 지점을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의 4장에서는 교사들이 꼽은 원격 수업의 장점과, 이들의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원격 환경에서 ‘학생 주도 학습’, ‘과정 중심 평가’, ‘심화 수업’을 구현할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발해사 원격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원격 환경에서도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생이 주도하고 과정으로 평가하는 수업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나아가 원격 수업을 통해 학교 간 교류, 지역 교류, 국제 교류를 시도해볼 수 있으며, 학생의 관심사에 바탕을 둔 심화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도 깨달았다. 앞으로도 원격 역사수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원격 기술을 활용한 역사수업 발전 방안에 대한 고찰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 세대와 역사교육의 새로운 장을 펼쳐나갈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advantages and possibilities of the remote environment available in the history curriculum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maxim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tudent" and "student-student" when designing the history class remotely. To this end,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on nine teachers.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ly published data provided to teachers were not very helpful in remote class management, and teachers preferred sharing of class cases among fellow teachers. However, class case sharing among fellow teachers was somewhat sporadic,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universally to history classes on various topic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operation of remote classes by actual history teachers and to seek principles of universally applicable remote history classes. The types of remote classes that teachers actually use after COVID-19 were 'on-site class recording lectures', 'recorded lectures designed for remote classes', and 'real-time interactive platform use lectures', and they also used a mixture of class types according to the class situation. The most difficulty teachers felt in remote classes was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with students. Nevertheless, teachers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ized communication in remote classes, and talked about points that could be helpful in history classes, such as ease of data investigation and ease of recording activity processes. In Chapter 4 of this study, based on the advantages of remote classes selected by teachers and their actual class cases, a plan to implement 'student-led learning',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in-depth classes' in a remote environment was derived. Furthermore, these measures were applied to remote classes at the issuer. Through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ufficient interaction could be achieved even in a online environment, and that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classes led by students and evaluated as courses. Furthermore, through remote classes, exchanges between schools, regional exchanges, and international exchanges can be attempted, and in-depth classes based on students' interests are also realized. In order for remote history classes to develop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onsider ways to develop history classes using remote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open a new chapter in history education with the next generation.

      • F. Schubert의 피아노 작품 「Impromptus Op. 142」에 관한 분석 연구

        이유경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초는 음악을 포함하는 모든 예술사조가 엄격한 고전주의 양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감정과 표현을 중요시하는 낭만주의로 넘어가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대표적 작곡가 슈베르트는 소나타뿐만 아니라 수많은 성격소품을 작곡하였는데, 그 중 8개의 즉흥곡은 조성의 성립이 명확하고 서정적, 몽환적 선율, 그리고 일반적이지 않은 화성과 전조가 나타나면서도 고전적인 형식을 벗어나지 않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8개의 즉흥곡은 4곡씩 나누어 Op. 90과 Op. 142로 분류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Op. 142의 특이한 화성진행을 깊이있게 분석하여 곡에서 나타난 슈베르트의 자유롭고 색다른 표현들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특히, 변성화음, 이명동음과 반음계적 전조, 비화성음적 분석, 특수한 5도권 진행 등 슈베르트가 사용한 그리고 슈베르트의 느낌이 나는 화성들에 대해 분석해 보고 일반 화성학에서 다루지 않는 것들에 대해 심도있게 분석해 보려고 노력해 보았다. F. Schubert,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early 19th century, showed the profound musical expression and romantic imagination directly in his musical works. The Impromptu, his piano work, is obvious in establishing its tonality as well as colorful harmony, and addition of beautiful and lyrical melody. As a result, it displayed the early Romantic tendency without escaping the classical form. His Impromptus Op. 142 No. 1 is the sonata form, No. 2 compound ternary form, No. 3 variation form and No.4, ternary form. As a whole, this work was composed within the classical form and showed his creative color with a varity of colorful harmonic progression which was not generally dealt with at that time. He mainly used nonharmonic tones when starting the measure in every four piece of Op. 142. It seemed to apply short pedal points. In addition, he employed the unexpected variant chord, and this strikingly showed the special color expressing with the feeling of modulation. In this music, the modulation was expressed in different ways. In particular, there could be difficulties in the chromatic modulation to clarify its relation between the harmonies. However, the use of Neapolitan and enharmonic chords could make the relatedness with the original key clearly and became natural modulation. And he often hid the circle of fifth progressions. To avoid very definite circle of fifth progressions, it tended to make the harmonic analysis difficult because one or some of the bass(es) was(were) deleted often. And, some unique circles of fifth progressions by using the secondary chords and inverted chords can be models which can give the composers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more. By analyzing the peculiar harmonic progression of this music professionally, this study was to take a close look at F. Schubert's free and different expressions as shown in the music, and to express the main backbone by simplifying the complicated harmonic progression. To analyze this, it has been determine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in raising its readability and making the readers underst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