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attitude and perspective on cochlear implant according to hearing impaired adults' characteristic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unity of Deaf society and the society related with cochlear implant.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136 hearing impaired adults in Gyeonggi-do, Seoul, Daegu, Busan. And the data from them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6 items categorized into four subarea: 4 items of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7 items of cochlear implant itself, 10 items of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and 5 items of Deaf identity related to cochlear implant.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coded and implemented verification by using Cronhach's Alpha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method. In addition, thes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eception on cochlear implant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sex, kind of hearing aid, academic background, experience of attendance at school for the deaf, and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aural langage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sign language or both of sign and aural language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Second,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cochlear implant itself. The perception level of cochlear implant itself differed according to age, type of hearing aid and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of forty and over have relatively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others. In addition,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operated on cochlear implant were recognizing positively,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wearing hearing aids and wearing no aid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And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aural langage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sign language or both of sign and aural language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Third,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differed according to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operated on cochlear implant were recognizing positively,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were wearing hearing aids and wearing no aid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Especially, there was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aural language and sign language or none than any other subarea in this study. Fourth,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ere recognizing negatively Deaf identity related cochlear implant. The perception level of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differed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and main method of communication.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ere relatively more positive to Deaf identity related cochlear implant than other groups. Moreover, whil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aural langage have moderat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hearing impaired adults who use mainly sign language or both of sign and aural language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chlear implant itself. Fif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bout correlation between subarea of perception on cochlear implant, such subarea of that had positive correlation. Especially, the perception on cochlear implant itself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cochlear implant. But there are low correlation between other subarea. Therefore, the communicat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the hearing impaired adults with accurate cochlear implant information, And through this system, cochlear implant device should be one of the alternative that they keep their unique cultural identities but also play a role as a member of society.
이유경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1 국내석사
본 논문은 선교의 성장기를 맞고 있으며 세계에서 3번째로 선교사를 파송한 한국 교회와 선교 단체가 이제는 선교의 양적 성장이 아니라 질적인 성장을 이루는 밑거름을 마련하고자 하는 바램으로 출발한다. 그리고 질적인 성장은 파송되어지는 선교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선교의 주역인 선교사가 겪게 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선교사를 돌보기 위해서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이 논문의 구성은 서론을 통하여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및 목적 등을 제시하고 II장에서는 선교에 관한 전이해를 하였다. 선교의 개념 및 한국 선교의 성장 그리고 중도 포기에 관한 연구를 하였는데 이것은 한국 선교가 양적으로 상장하였지만 이러한 성장 못지 않게 선교사의 중도 포기 현상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하고 이러한 선교사 중도 포기의 원인이 되는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II장에서는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이론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 스트레스와 탈진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제시하였다. 즉 스트레스는 Lazarus의 이론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선교사의 스트레스는 인지적인 평가와 대처 방식을 통해서 쉽게 극복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탈진은 Maslach와 Caroll과 White의 이론을 중심으로 선교사의 탈진은 개인과 작업 환경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요인 및 다양한 체계들이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연구하였다. IV장은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에 대한 요인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II장의 이론을 배경으로 선교사의 요인을 체계적인 관점으로 조사하였고 이를 위해 먼저 스트레스와 탈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V장은 이러한 이론적으로 고찰한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통하여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스트레스와 탈진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스트레스와 탈진의 요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한국 대학생 선교회의 파송 선교사 67명을 중심으로 조사한 이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선교사는 스트레스와 탈진 상황에 놓여져 있다는 결론이 나왔고 하지만 스트레스와 탈진의 상관 관계는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교사의 스트레스의 요인으로는 인정과 보상, 그리고 성취감이 가장 상관관계가 높이 나타났고 탈진은 소명이 상관 관계가 가장 높이 나타났다. 이는 선교사의 직업적인 특성과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이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VI장은 이러한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을 극복하기 위해서 목회적 돌봄을 바탕으로 한 선교사의 돌봄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선교사의 돌봄은 Haward Clinebell의 전인 건강을 바탕으로 한 선교사의 통전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선교사 개인적 차원의 돌봄과 조직적인 차원에서의 지지적인 돌봄을 나누어서 선교사 돌봄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선교사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연구를 통하여 선교사를 위한 구체적인 돌봄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교회의 선교가 양적 선교에서 질적인 선교를 하고자 하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A problem to be solved in Korea missionary work, which has grown up second in the world by sending many missionary and play an important main role of world mission, is about not growth of quantity, but also growth of quality. The most problem to be solved for growing the quality of mission will be the management and care of missiona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studied on the stress and exhaustion to care the missionary through knowing what difficulties missionary have.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we proposed the suggestion of problem, method and object of research in introduction. In partII, was presented all of mission. That's, it was studied on the concept of mission, growth of mission in Korea and abandonment. With these fact we know the mission in Korea has grown of quantity as well as abandonment of missionary with actual statistics. It was known that the reason of abandon in middle was same as reason of the stress and exhaustion of missionary work. In partIII, was presented basic theses on the stress and exhaustion to get theoretical basis of them in missionary work. It was studied on basis stress's theory in center of Lazarus's theory. In his theory, it was proposed that the stress of missionary easily will be overcome according to cognizant remark and the method to meet with station. On the exhaustion in missionary work was studied that it was connected each other personal situation, various system as well as personal and environment in center of Maslach, Caroll and White's theory, In partIV, it was studied on the primary factor of stress and exhaustion of missionary. For study, it was first presented necessity of basic understand on the stress and exhaustion of missionary with theory of partII. Then, it was studied on the basic primary factor of stress and exhaustion respectively in center of Caroll and White's theory. In partV, it was questioned on the stress and exhaustion of missionary with above theory, and studied on how much the stress and exhaustion of missionary missionary have, how relation between stress and exhaustion, what for stress and exhaustion happen. It was questioned in center of 67 missionaries from C.C.C in Korea. In the result, missionary in reality is not state of stress and exhaustion yet, but the relation of them was very high. This fact shows that was very intimate relations between vocational character and stress or exhaustion in missionary work. In part VI, the concept of care for missionary in basic of pastoral care was proposed to overcome the stress and exhaustion of missionary. This was aim at universal growth of missionary in center of whole man's health of Haward Clinebell. It was proposed of strategy about care for missionary divided personal care and systemic care concretely Therefore in this study, concrete care for missionary was preposed through research of the stress and exhaustion in missionary work, and aimed to get a firm stand to grow quantity and quality of church in Korea.
현대 예술의 생태학적 지향과 카오스모제의 회화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는 점차적으로 인간에 의해 파괴되는 자연과 인간, 지구적 환경을 주목하고 예술적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긍정적 해결 방안과 생태 미술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가적 문제의식과 생태학적 담론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지구적 자연환경 변화에 대해 새로운 지평과 담론을 제시한 펠릭스 가타리의 생명철학,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마음 생태학, 브뤼노 라투르의 혼합생태학의 함의를 기반으로 생태학적 회화의 이미지를 생태 미술로 실천한 작가들이 개척한 지평과 쟁점들을 두루 살피고 본 연구자의 생태학적 작품 세계와 연관된 접점과 전략 및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 등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인간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가져오기도 한다. 왜냐하면 포스트 휴먼 관점의 생명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생명과 목숨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생물이나 세포에 관한 것들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현대미술은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물질을 통해 영감을 얻고 그것 자체의 실제적 삶을 추구하면서 풍부한 상상력의 구상을 창안하고자 열망해왔다고도 볼 수 있으므로 물질들 안에 자신의 에너지를 쏟고 무엇보다 예술과 삶, 예술과 물질을 통합하려 한 점은 본 연구자의 향후 작품 활동에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또한, 자연의 섭리를 존중하며 지금 떠안고 있는 생태학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자는 예술가로서 작품을 통해 자연을 회복하고자 생태에 개입하는‘에코벤션’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에코벤션은 향후 연구를 통하여 예술가뿐만 아니라 식물학・동물학・생태학・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노력을 통해 생태적 회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자는 자연적 재료의 변화를 체험하고 산을 회화적으로 표현하며 생태학적 접근한 실험적 작업 과정의 변화 양상을 작품 분석 과정에 담았다. 이를 종합하여, 생명을 관찰하며 인간 중심 사고의 심연 저편에 내재되어 있는 이기주의적 사피엔스 사고를 반성하고 살아 있는 모든 다른 생물들로 존경과 외경심을 확장하여 하였다. 우연성과 결합된 자연 재료들을 화면 위의 의미 있는 존재로 재탄생 시키는 작업은 일종의 연금술로 상징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이질적이고 잡종적인 소재들을 재조립하여 자연 시스템의 순환 고리를 인정하고 단순히 완성된 결과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의 우연적인 발견이 곧 완성체라는 질서로 자리잡혀가는 카오스모제 회화를 긴밀하게 갈구한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유기적 형태들과의 공생을 불러일으키며 지구 상의 존재론적 문제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카오스모제의 철학적 담론에 기반한 인간 공동체의 위치에 대한 재고를 아울러 가져올 것을 기대한다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놀이성의 경로분석 : 연령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유경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놀이성이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유아 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만 3세, 만 5세 유아 247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로분석과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 거부, 자율, 통제 모두 사회적 유능 성으로 가는 경로와 놀이성으로 가는 경로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애정과 자 율적 양육태도의 경우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놀이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적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만이 유의하였다. 거부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매 개하여 사회적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와 의도적 통제능력과 놀이성을 순차적으로 매개 한 경로가 유의하였다. 통제적 태도는 직·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연 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서는 어머니의 통제적 태도가 의도적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크게 영향을 받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외적 변인을 통합적으로 고 려하여 살펴보았다. 그 경로에서 매개요인을 의도적 통제능력 뿐만 아니라 놀이성을 포함하여 확장시켰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의도적 통제능력과 놀이성을 순 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적 유능성에 간접효과를 나타냄을 밝힌 것에 의의를 갖는다.
태블릿 PC 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가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 표현 정확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어휘를 배우고 습득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어휘들을 조직화하여 범주화를 형성, 의사소통을 할 때는 범주화 된 틀 안에서 목표하는 어휘를 찾는 어휘 선택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범주화에 대해 Light(1992)는 네 가지 어휘 선택 경로를 제시하였는데 일반적인 전형성 및 위계적 질서에 따른 분류학적 범주화, 사건 도식에 따른 도식적 범주화, 알파벳순으로 나열하는 철자 범주화, 개인적 경험 및 사고에 따른 개인적 범주화 등 네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이하 보완대체의사소통) 기술은 지적장애를 동반한 복합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언어를 사용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자연스러운 언어 발달과 보완 또는 대체적인 대체의사소통이라는 두 가지 목표 모두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 의사소통 및 사회관계적 특성, 학습상의 강점, 지적장애를 지닌 아동들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전반적인 발달 패턴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언급한 어휘 선택 경로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최근에 장애 정도와 상관없이 보완대체의사소통 서비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점 더 받아들여지고 있다(National Joint Committee for the Communication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003).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기존의 어휘 연구는 아동보다는 성인에게 맞추어져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보완대체의사소통은 아이들에게 지나치게 많은 학습과 초과된 용량, 주의 집중력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보완대체의사소통 분야에서 아동을 위한 새로운 보완대체의사소통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의사소통의 힘은 어떤 상황에서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데 있지만, 사용자가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그 기술을 알기 쉽게 최소한의 교육만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기능적 배열, 공간적 배열)가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잠정적 대상자인 지적장애 아동을 정상발달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어휘 선택 경로를 다르게 사용하는지를 살펴보고 지적장애 아동들이 실제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학습 용량을 줄이고 목표 어휘에 대한 선택 경로의 구조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및 경기도,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이 만 4;0-6;8세인 경계선급-경도 지적장애 아동 13명을 실험집단으로, 지적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3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로는 보편적 설계 기반 PC로 장애아동들은 물론 다양한 사람들이 모두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 PC ATIV를 본체와 분리하여 태블릿 PC로 사용하였다. 이 태블릿 PC에 지식경제부 산하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사업(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 사업과제인 한국형 의사소통 콘텐츠 및 프로토콜로서 음성합성 기능을 가진 보완대체의사소통 프로그램 '마이토키(가칭)'를 탑재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과제적응단계, 정확도 평가단계, 선호도 평가단계 순서로 진행되었다. 과제적응단계에서는 마이토키의 사용에 적응하기 위해 연습용 목표어휘를 제시하여 아동이 제시된 배열에서 어휘 선택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정확도 평가단계에서는 기능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에 따른 목표어휘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대상 아동들은 연구자가 과제유형에 따라 임의적으로 나눈 실험세트에 따라 반은 기능적 배열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먼저 실시하고, 반은 공간적 배열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먼저 실시하였다. 선호도 평가에서는 기능적 배열 및 공간적 배열의 어휘 선택 경로가 동시에 제시되며, 목표어휘를 듣고 배열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 정확도 점수에서는 지적장애 아동 집단(MR)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CA-N)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LA-N) 집단이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CA-N 집단에 비해 지적장애 아동은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산출하였고, CA-N 집단에 비해 LA-N 집단 아동도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의 점수에서 유의하게 더 낮은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지적장애 아동 집단과 LA-N 집단은 집단간 어휘 유형에 따른 정확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휘 배열 유형에 따른 정확도 점수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세 집단 모두 기능적 배열보다 공간적 배열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산출 하였다. 세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정확도 점수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세 집단간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정확도 점수는 기능적 배열과 공간적 배열 모두 CA-N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기능적 배열에서는 지적장애 집단, LA-N집단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배열에서는 LA-N 집단, 지적장애 집단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에 따라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어휘 표현 선호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지적장애 아동 집단과 LA-N 집단은 기능적 배열보다 공간적 배열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고, CA-N 집단은 기능적 배열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했던 태블릿 PC의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어휘 선택 경로가 일반 및 지적장애 아동의 어휘 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지적장애 아동 집단이 어휘 발달이 지체되어 있기는 하나, 생활연령이 어린 일반아동의 정상적 발달과 비슷함을 보였다. 즉, 집단간 어휘 경로 배열에 따른 정확도 점수에서 지적장애 아동 집단은 생활연령이 빠른 CA-N 집단 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LA-N 집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아동의 어휘 발달단계가 생활연령보다는 언어연령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또한, 특정 어휘 선택 경로에 따른 정확도 점수가 기능적 배열 보다 공간적 배열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지만, 선호도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지적장애 아동이 어휘 선택 경로에서 위계적으로 조직화 되고 범주화 된 배열이든, 사건과 경험에 의해 범주화된 배열이든 일반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목표어휘에 대한 정확도는 공간적 배열이 기능적 배열에서 보다 더 높을지 모르나, 선호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일만큼 더 선호하는 어휘 선택 경로의 배열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이 역동적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사용 할 때, 사건과 경험에 의해 범주화 되는 공간적 배열에서 정확도가 더 높았으나 선호도에서 어휘 선택 유형에 따른 배열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어휘를 선택 할 때 특정한 어휘 선택 경로에 한정하지 않고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과 경험을 고려하여 어휘 유형 경로에 따른 배열을 유연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Korea children with normal and mental retardation on different language organizations. The curren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technologies are largely based on conceptual models of adults who are not disabled (Light, 1993; Light & Drager, 2002; Light & Lindsay, 1991). As a result, there are cognitive demands placed on young children as well as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In previous studies,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language organization conditions. Play contexts were developed by eliciting each of the target vocabulary items; the rates of using this system, however, were low especially in free play situation. The purposes of study were (1) how accurate are group 4- and 6-year-old Korean children locating vocabulary pre-stored in AAC technologies using an place-related and categorical organizations , and (2) which language organization would be preferred in the group. We used place-related organization condition instead of event-related organization con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personal event schema of young children. Thirty-nine children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rteen children are with mental retardation(MR) age from 4 to 6, thirteen are chronical age matched peers(CA-N) and thirteen are language age matched peers(L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locate vocabulary item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n accuracy testing session and a preference testing session. The 27 items (18 items for accuracy test and 9 items for preference test) were selected from lists of words frequently used by young children. All vocabulary items were concrete nouns. The findings from the two-way mixed ANOVA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n accuracy based on place-related. There was difference in group between MR and CA-N, CA-N and LA-N in accuracy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MR and LA-N.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on accuracy based on categorical organization. All of these three groups(MR, CA-N and LA-N) show higher effect in the placed-related condition rather than categorical one. There was effect of interaction among three groups of children based on language organization(categorical & placed-related). CA-N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both language organizations, categorical condition of the MR was higher than that of LA-N, placed-related condition of the LA-N was higher than that of MR. Second, there was no effect of interaction among three groups of children by language organization(categorical & placed-related) preferred 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laced-related condition is more effective than categorical condition for accuracy performance in MR children's vocabulary items. However, the two language organizations of preference performa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suggests that 4- and 6-year-old children struggled to organize their language concepts. Although the stud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help in better understanding the language organizations of AAC systems for MR children. And this study allow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particular vocabulary choice navigation type is not limited to the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f naviga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condition of preferred to the array of vocabulary should be provided flexibly.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불확실성이 유방암 환자의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Mishel(1981)의 불확실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질병 심각성을 자극 변수로,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사회적 지지를 구조제공 변수로, 그리고 불확실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 이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일종합병원에서 2010년 7월 26일부터 10월 15일까지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전체를 표적모집단으로 하여 150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질병 심각성은 Side-effect burden scale (Longman et al., 1999)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Sherbourne & Stewart(1991)가 미국의 Medical Outcomes Study(MOS)에서 의료기관 내 환자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MOS Social Support Survey, 불확실성은 Mishel(1981)이 개발한 33문항의 불확실성 척도(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를 사용하였다. 또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OL) 중 전반적 삶의 질과 건강을 다루는 4문항을 이용하였다(민성길, 김광일, 박일호, 2002).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보완대체요법의 전체 이용 빈도, 즉 비정기적으로든 정기적으로든 여러 번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9.1%이었다. 식이요법을 한번이라도 이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84.0%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보완대체요법 이용도는 낮았지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질병 심각성과 보완대체요법 만족도는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와 불확실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불확실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만 유의하고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와는 달리 보완대체요법 이용의 경우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다섯 개의 변수들이 삶의 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43.1%이었다. 요약하면, 질병심각성이 심할수록, 보완대체요법 만족도가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불확실성은 높았다. 또한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았다. 반면에 보완대체요법 이용 자체가 불확실성을 낮추거나 높이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질병심각성 심할수록, 보완대체요법 이용도가 높을수록, 보완대체요법 만족도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번역에서 나타난 묘사표현에 대한 연구 : 공지영 소설을 중심으로
이유경 부산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15 국내석사
韓国国内では、日本の小説への関心が依然として高い。教保文庫が2005年から2015年2月まで10年間、作家別の本の売上ランキングを発表した結果によると、村上春樹が古典·現代、国内·海外、詩·小説·エッセイまですべての部門で最も多い89万4000部を記録し、本の売り上げランキングで1位を占めたという。また、村上春樹の「女のいない男たち」は、ベストセラー6週連続1位(YES24)を占めており、東野圭吾の「ナミヤ雑貨店の奇蹟」も2年連続ベストセラー10位内(教保文庫)に入るなど、大きな人気を得ている。このように韓国で日本の小説は、発売と同時に話題になるなど、人気を博している。 「文芸年鑑2014」によると、韓国の国立中央図書館に納本された2013年の外国翻訳文学の単行本は全て1,829種で、2012年の1,815種と比較すると、14種の増加したという。このうち、詩は30種(2012年66種)、小説が1,363種(2012年1,221種)、エッセイが276種(2012年313種)、評論と人文が122種(2012年156種)、戯曲38種(2012年59種)であった。特に小説の場合、全体的な翻訳物の減少傾向にもかかわらず、増加したことを考えれば、翻訳の中でも、小説が最も多く翻訳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 それでは、日本での韓国小説への関心はどうだろうか。最近日本でも韓国の小説への関心が高まり、様々な韓国小説が日本に進出している。 東京韓国文化院の資料によると、ファンタジー作家のチョン・ミンヒの『ルーンの子供たち』(40万部)をはじめに、小説家のイ・チョルファンの長編小説に『月の街山の街(原題・練炭の道)』(10万部)、シン・ギョンスクの『母をお願い』(1万8千部)、ハン・ガンの『菜食主義者』、キム・ジュンヒョクの『楽器たちの図書館』、孔枝泳の『私たちの幸せな時間』、『トガニ 幼き瞳の告発』などが人気を集めているという。 しかし、村上春樹の小説がブームとなったり、数百万部が売れたりすることを考えれば、日本国内で韓国小説が人気あるとは言いにくい。また、日本で出版される韓国小説の数も少なく、出版状況も悪いのが現状だ。 本稿では、韓国文学が今後日本の出版界に進出することに少しでも役立つため、現在日本で出版されている韓国の小説を選定して、現在どのような方法で翻訳が行われているのかを分析する。また、効率的な翻訳戦略について考察してみる。特にその中でも、小説で最も多く登場する描写表現を中心に、翻訳者が読者の可読性に忠実な翻訳を実現したのかを分析する。 本小説は、描写表現とともに比喩表現が使われる場合が多いため、その場合には、比喩表現についても考察する。また、描写表現と比喩表現の違いについても説明する。
컴퓨터 게임 중독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에 관한 연구
이유경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중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게임 중독 청소년들의 사회적 관계 및 적응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게임 중독으로 인한 청소년의 사회적 부적응에 대한 적절한 심리 · 사회적 개입과 적응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에 거주하며 컴퓨터 게임을 이용하는 남자 고등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게임 중독 점수에 따른 상위 25%를 게임 중독 집단(81명)으로, 하위 25%를 비중독 집단(79명)으로 구분하였으며, 게임 중독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Young의 온라인 중독센터에서 만든 인터넷 중독 검사를 번안 · 수정한 게임 중독 검사와 사회적 관계와 적응에 대한 척도로 Peterson 등(1984)이 제작한 청소년용 자기-상 질문지(Self-Image Qustionnarie for Young Adolescents: SIQYA)와 심혜숙과 김명권(1998)이 제작한 청소년 행동특성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조사에서 게임 중독 집단은 비중독 집단보다 게임 이용 시간이 더 많았으며, 게임 이용 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게임 중독 집단은 머그 · 머드 게임을 주로 이용하며, 게임을 친구와 이용하기보다는 혼자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그 이외의 게임하는 장소, 게임 경력, 게임을 이용하는 시간대, 게임에 쓰는 비용, 게임을 제한하는 요인 등에서는 게임 중독 집단과 비중독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게임 중독 집단이 비중독 집단에 비해 부모의 통제를 많이 받는 편이었고, 게임 이용에 쓰는 비용에 있어서도 비중독 집단보다 높은 액수의 돈을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게임을 하는 이유로는 두 집단 모두 주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게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와 관련하여, 컴퓨터 게임 중독 집단은 비중독 집단보다 가족관계와 친구관계에 대해 더 부정적인 지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적응과 관련하여, 게임 중독 집단은 비중독 집단에 비해 충동통제력과 대처능력이 더 낮았으며, 학교애착과 학교적응, 공부적응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학교에 대한 적응수준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력감과 아노미아(anomia)를 포함하는 사회적인 상황에 따른 소외감도 게임 중독 집단이 비중독 집단보다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게임 중독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사회적 소외감과 관련한 아노미아(anomia), 친구관계, 충동통제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상황과 관련한 아노미아(anomia)로 인한 소외감이 높을수록, 친구관계에 대한 지각이 부정적일수록, 충동통제력이 낮을수록 게임 중독의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컴퓨터 게임 중독 청소년들이 비중독 청소년들에 비해 전반적인 사회적 관계 및 적응이 원만하지 못하며, 그로 인해 사회적인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게임 중독 청소년들이 사회적 소외감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게임 중독 청소년들의 원만한 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먼저 그들이 겪는 사회적인 소외감을 줄일 수 있는 심리 · 사회적 개입이 필요하며, 적절한 치료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친구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지각도 게임 중독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게임 중독 청소년들의 친구관계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게임 이외의 다른 놀이문화의 개발 및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adjustments of the computer game - addicted adolescents, especially to help try psychological & social intervention and develop social - adjustment programs for the computer game - addicte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st, 2nd and 3rd grade male adolescents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Internet Addiction Test(which revised into computer game) score,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upper 25% and lower 25%; the computer game - addicted group(n=81) and the non - addicted group(n=79). The devices of measurement for this study were the Internet Addiction Test that modified by So - Young Lee(2000), Self - Image Questionnarie for Young Adolescents(SIQYA) related to Social relationships and adjustments, Korean - Teenagers Activity Inventory(K - TAI) by Hye - sook Shim & Myoung - Kwon Kim(1998) related to school adjustments and social alienation. Statistical methods applied were crosstabs, t - test,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 computations were done by SPSSWI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ame - addicted group significantly spends more time than the non - addicted group in playing computer games. Moreover, the game - addicted group had a tendency to think that they should reduce time to play computer games. Also, the game - addicted group tends to play MUG(Multi - User Graphic Game) & MUD(Multi - User Dungeon Game) and they tend to play computer games alone. Both the game - addicted group and the non - addicted group tends to play computer games in order to get rid of their stress. Second, for the social relationships, the game - addicted group tends to perceive their family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more negative than the none addicted group. For the social adjustments, the game - addicted group perceived themselves as having low level impulse control ability and mastery & coping ability and they had low level school adjustment included attachment to school, adjustment to school and adjustment to study. Moreover, the game - addicted group had a higher level sense of alienation than the none - addicted group. Third, the anomia related to social situation, peer relationship and impulse control ability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had influence on computer game addiction. Therefore, the more adolescents have high level sense of alienation, negative perception of peer relationship and low level impulse control ability, the more they are likely to be addicted with computer ga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omputer game -addicted adolescents are dissatisfied with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they have low level social adjustments. Therefore, I suggest that we should provide effective psychological & social intervention and develop social - adjustment programs to reduce sense of alienation for the computer game - addicted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ther amusements except computer games for developing good social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