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스트레인이 보상된 InGaAs/GaAsP 양자우물구조 성장

        李龍浩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GaAs 기판위에 효율이 높은 장파장 대역(980 ~ 1000 nm)의 이득층 성장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InGaAs/GaAs 양자우물구조에서 In의 조성비 변화를 통해 원하는 파장의 양자우물을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InGaAs 와 GaAs 사이에는 격자상수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In의 조성비가 높아질수록 두 물질의 스트레인(strain)은 커지게 된다. 또한 결함이 없는 변형된 InGaAs 층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에피층의 두께가 임계두께(critical thickness) 이하라야 하는데, In의 조성비가 높아지면 임계두께는 매우 얇아지게 된다. 임계두께 이하에서 양자우물을 성장했을 때에는 양자우물의 광효율은 현격하게 떨어지게 되고, 소자로의 응용성 또한 떨어지게 된다. 또한 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In이 높은 조성비를 갖는 InGaAs/GaAs 양자우물구조를 임계두께 이상 성장했을 경우 임계두께 이상에서도 어느 정도 광효율이 증가되기는 하지만 결함 또한 차츰 증가하게 되어 광효율은 물론 결정성(crystalline quality)이 점점 깨지게 되어 소자로서의 응용이 어렵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In의 조성비가 높아지더라도 스트레인에 의한 결함 발생이 적고, 높은 광효율과 결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 GaAs barrier를 대신해서 GaAsP barrier를 사용하였다. GaAsP barrier는 InGaAs와 GaAs의 격자상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압축 스트레인을 GaAsP와 GaAs의 격자상수 차이에 의해 생기는 인장 스트레인으로 보상시켜서 주는 역할을 해준다. 스트레인이 보상된 InGaAs/GaAsP 양자우물을 성장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In 조성비에 의한 InGaAs 박막의 격자변형(lattice mismatch), 박막의 두께와 조성, 박막의 주기(period)에 의한 압축 스트레인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barrier로 사용하게 되는 GaAsP 박막의 격자변형, 박막의 두께와 조성, 박막의 주기에 의한 인장 스트레인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well층과 barrier층 각각의 성장조건을 이용하여 계산상 스트레인이 보상된 양장우물구조를 설계하였다. 이 양자우물구조에 걸리는 스트레인을 구조상으로 살펴보면 well층은 압축 스트레인 1.34 %를 받는 80 Å 두께의 In_(x)Ga₁-_(x)As 18.7 %의 에피층 10주기와 barrier로는 인장 스트레인 0.36 %를 받는 297 Å 두께의 GaAs₁-_(y)P_(y) 10 %이다. 계산된 성장 구조를 이용해서 InGaAs/GaAsP 양자우물구조 10 주기를 성장할 수 있었고, 성장된 양자우물구조의 시료를 HRXRD 분석해서 두 스트레인(압축 스트레인 & 인장 스트레인)이 보상되었음을 구조적인 측면에서 증명하였고, PL 측정을 통해서 같은 파장에서의 InGaAs/GaAs 양자우물과 InGaAs/GaAsP 양자우물의 광발광효율을 비교를 통해서, 같은 파장에서 InGaAs/GaAs 양장우물에 대해 스트레인이 보상된 InGaAs/GaAsP 양자우물구조가 광효율이 월등히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FM 측정을 통해서 같은 파장에서 InGaAs/GaAs 양자우물구조의 표면 거칠기가 13.62 Å이고, InGaAs/GaAsP 양자우물구조의 표면 거칠기가 3.55 Å으로 스트레인이 보상된 InGaAs/GaAsP 양자우물구조의 표면상태가 좋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In 조성 19 %의 InGaAs well과 P 조성 10 %의 GaAsP barrier에 의한 10주기의 양자우물구조는 In 조성 18.6 %인 InGaAs 양자우물구조 3주기와 비교했을때, PL 파장은 같지만, 다층의 양자우물구조를 성장했을 때에도 스트레인에 의한 결함이나 발광효율의 저하없이 고속소자나 광전소자의 활성층으로 사용하기에 뛰어난 광학적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We have studied the Epitaxial growth of InGaAs/GaAsP quantum well structures by using MOCVD method at the growth temperature of 620 ℃ and the pressure of 60 torr. The characteristics of In composition are examined through InGaAs/GaAs quantum well structures to simplify and clarify the analysis, which is done by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ion and photoluminescence measurement. To compensate the compressive strain in MQW structures, the layers of GaAsP are applied to the barrier. As a results, we came to know that there is almost no strain compare to the non-compensated InGaAs/GaAs MQW structures, where the compressive-strain of 1.33% was measured. Also, through comparing the PL (Photoluminescence) measurement between InGaAs/GaAs and InGaAs/GaAsP MQW structures, we obtained the results that the PL efficiency of the strain-compensated MQW is more 5 times than that of non-compensated MQW. Finally, the surface morphology is analysed by AFM(Atomic Force Microscopy). The RMS roughness of the InGaAs/GaAs MQW structures is 13.62Å, meanwhile, that of InGaAs/GaAsP is 3.55Å. Consequently, we can come to conclusion the strain-compensated MQW structures are superior to the non-compensated MQW structures.

      • 세라믹 구를 이용한 동적파괴 특성연구

        이용호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라믹 재료는 금속 재료에 비하여 가볍고 강도가 높으며, 특히 고속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세라믹재료의 고속 충격에 의한 파괴거동은 발표된 여러 이론에도 불구하고 별로 알려진 사실이 없다. 금속재료와 세라믹재료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금속재료는 용융-응고 공정을 거쳐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조직이 대체로 일정하고 거동도 단순하다. 그리고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 반면, 세라믹재료는 소결 공정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공동(pore, 기공)이 존재하게 된다. 세라믹 재료에서의 재료적 불균질성을 야기하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가 공동이며, 이 공동의 크기나 분포 등이 세라믹 재료의 특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러한 세라믹 재료는 내부 미시적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공정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재료의 특정한 특성을 파악하려면 응력 또는 변형상태가 단순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험방법을 사용하여야 된다. 그러나 빠른 변형에 관계되는 실험 방법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특히 고속변형이 진행되고 있을 때 재료내부에서 일어나는 상태를 관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세라믹재료의 동적 거동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볼 임팩트 실험을 선정하였다. 이 실험은 세라믹 구(sphere)를 원하는 속도로 강체벽에 충돌시켜 볼이 반사되어 나오면서 발생하는 파손현상을 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관찰하는 방법이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모두 직경이 10mm 볼이고, 주로 AD99(Al_(2)O_(3) 99.9%)와 자연석(화강암, 오석, 사암)이 사용되었다. 볼 임팩트 실험장치는 크게 운반장치, 속도 측정장치, 충돌장치, 촬영장치, 시간지연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100㎲이내에서 모든 현상이 일어나는 볼 임팩트 실험은 시간에 따른 4장의 연속된 사진을 얻어 이 사진을 바탕으로 세라믹의 동적 거동을 파악하게 된다. 볼 임팩트 실험 장치를 통해서, AD99 볼의 critical rebound 속도, 볼의 파괴 형상, 파괴까지의 시간 등을 알 수 있었고,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자연석과의 비교를 통해 AD99와의 차이점과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볼 임팩트 실험을 통해 얻은 실험 결과를 3차원 고속충돌 및 파괴 해석이 가능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NET3D를 사용하여 비교 검토해 보았다. 실험결과와 수치해석 결과는 상당히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무엇보다도 고속 충격시 볼에서 발생하는 동적파괴 현상을 시각적으로 규명하였다. In this study, a ball-impact test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dynamic fragmentation of brittle materials. The ball impact test has been composed of a transport device, a velocity counter, a target system, an image converting system and a time delay device. In this experiment, ceramic spheres impact against a hard target and are observed and measured dynamic fragmentation processes of the sphere. The fragmentation process was observed using high-speed photography. The materials used were mainly aluminium oxide (Al_(2)O_(3) 99.9%) and granite, black ore and sandstone. The diameter of the balls were all 10mm. Entire fragmentation sequence was finished within 100㎲. A critical threshold impact velocity of aluminium oxide balls was measured from the ball-impact test. The ball splits into two, three or four of similarly shaped fragments. Fracture incubation time of balls was measured about 15-20㎲. Also, In this experiment, the difference of results between aluminium oxide balls and natural stones was observed. The general fragmentation patterns of the ceramic spheres are independent the grain size of the spherical particles. In order to ascertain this understanding, finite element simulations of the ball impacting on a target were carried out.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showed that the results are similar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bout fragmentation patterns. This experiment provides a means of an advanced study for dynamic fragmentation of brittle materials.

      •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반탄화 방법별 고형연료화 가능성 연구

        이용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하여 반탄화 방법을 통해 고형연료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중 최초 짐전지에서 발생되는 생슬러지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반탄화 방법은 건조방법, 유중방법, 건조 후 유중 방법 3가지 방법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건조반탄화와 유중반탄화 실험 시 반응온도는 200℃, 215℃, 230℃로 차이를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반응 시간은 15분, 30분, 45분으로 15분의 차이를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건조반탄화 후 유중반탄화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할 시 반응온도를 200℃로 고정하였으며, 건조반탄화 15분 후 유중반탄화 15분, 건조반탄화 15분, 유중반탄화 30분을 진행하여 생성물을 제작하였으며, 건조반탄화 30분 후 유중반탄화 15분을 진행하여 총 반응시간이 45분을 초과하지 않게 생성물을 제작하였다. 건조반탄화 방법으로 생성된 생성물은 반응온도 230℃, 반응시간 30분 후부터 고형연료기준인 3,500kcal/kg에 준하는 반응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생성물의 함수율 역시 반응온도 230℃, 반응시간 30분 이상부터 10%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유중반탄화 방법으로 생성된 반응물의 경우 반응온도와 반응시간에 상관없이 생성물 모두 고형연료기준에 부합하였으며, 함수율 역시 10% 이하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건조방법과 유중방법의 반탄화를 혼합하여 사용할 시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을 보다 높게 제거할 수 있었으며, 발열량 역시 건조반탄화에 비해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반탄화 방법을 통해 하수슬러지의 고형연료화 시 유중반탄화 방법이 함수율 제거와 발열량 측면에서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researched on feasibility of solid fuel process by torrefaction methods by using sewage sludg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using raw sludge generated from the first sedimentation area among sewage sludge. For torrefac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hrough 3 methods, which are drying method, fry method, fry after drying method. When conducting drying torrefaction and fry torrefaction experiment,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200℃, 215℃ and 230℃ and reaction time was 15 minutes, 30 minutes and 45 minutes. When conducting experiment by fry torrefaction after drying torrefac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fixed as 200℃, I produced products by progressing 15 minutes of fry torrefaction after 15 minutes of drying torrefaction, 15 minutes of drying torrefaction and 30 minutes of fry torrefaction, and I produced products not exceeding 45 minutes of total reaction time by progressing 15 minutes of fry torrefaction after 30 minutes of drying torrefaction. For the products generated by drying torrefaction method, I could get the reaction products conform to solid fuel standard 3,500kcal/kg at the condition of reaction temperature 230℃ and after reaction time of 30 minutes. And I observ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roduct decreased to below 10% at the condition of reaction temperature 230℃ and after reaction time of 30 minutes of reaction time. In case of reaction product generated by fry torrefaction method, it fulfilled solid fuel standard regardles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and below 10% of moisture content. When combining drying method and fry method torrefaction, I could remove moisture content of sewage sludge higher and I could observe the caloric value showed higher efficiency than drying torrefaction. Therefore, it was observed that fry torrefaction method for solid fuel production of sewage sludge through torrefaction method shows higher efficiency in terms of removing moisture content and caloric value.

      • 김치산업 동향 분석과 김치지수 선물 타당성 분석

        이용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채소를 김치의 원재료로 품목을 제한하여 선물상품의 대상이 되는 김치지수를 개발하고, 해당지수의 선물상품화 가능성을 타당성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김치산업의 현황파악을 위해서 김치 원재료의 수급동향, 생산 및 판매 현황, 수출입 등의 국제시장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적으로 김치 원재료의 높은 가격 변동성과 국제적으로 가격 경쟁 어려움에 대처해 나가기 위한 합리적인 대안으로 선물시장을 제안하였다. 현실적인 업계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설문조사에서 원재료 가격 변동이 김치생산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각 업체들마다 원재료 가격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구매전략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치선물상장시에 이용하고자 하는 의사도 80%가량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김치선물 상장을 위해 필수적인 김치지수 개발을 위해 먼저 김치지수가 성립가능한가를 경제학적, 계량경제학적 이론을 토대로 검증하였고, 기존에 개발되어 운영중인 지수를 분석하였다. 그 후 김치지수 개발을 위한 기본원칙과 선물대상지수로서의 국제적인 기준 그리고 본 연구의 특성을 감안하여 최종적으로 개발된 지수를 제시하였다. 김치선물의 상장타당성 분석을 위해 가격 변동성, 현물시장규모, 가격 결정의 경쟁성 및 시장구조, 정부의 시장개입 정도 4가지의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상장 가능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시장규모로 인해 상장가능성이 희박해 보였던 채소류를 김치시장으로 범위를 현실화 하여 지수를 개발하였고, 해당 지수의 선물상품화가 가능성이 있음을 보이고 있다. 또한 농산물관련 품목의 지수 선물 상품관련 선행연구로도 의의가 있다.

      • 힘 제어를 이용한 교량 보수용 로봇의 실링 자동화 기술개발

        이용호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손상된 교량 하부의 유지보수를 시행함에 있어 교량 하부의 크랙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공법의 사용이 가능하나 크랙실링(crack sealing)공법은 예방적 차원에서 교량하부에 발생된 크랙을 초기에 효과적으로 보수할 수 있는 방법으로 크랙의 발전을 지연시킴으로써 후속 크랙을 방지하고, 방수효과로 교량 하부구조를 보호하여 동결 피해의 방지, 교량 하부 구조물 부식방지 및 지연 등 교량의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교량 하부의 유지보수 작업의 경우 노무자가 열악한 작업환경 내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안전성 확보에 문제가 있고, 교량하부 유지보수 작업의 특성상 현장 노무자의 잦은 이직 및 3D업종의 기피로 인한 숙련공의 부족현상은 현 교량의 유지보수 작업의 품질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는 교량 하부면의 크랙실링 작업을 자동화 하기위한 실링 로봇 및 장비를 개발하는데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크랙실링 공법의 자동화를 위한 힘 센서를 이용한 제어방법중 기존의 힘 제어 방법인 임피던스 힘 제어방법과 PID제어를 사용하였으나 로봇의 크랙 실링 작업 중 외부적 위험에 따른 회피 제어 및 실링 작업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하이브리드 퍼지 제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힘 제어방법에서의 오차를 줄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sealing automation technique development of robot for damage bridge which uses a force control. Crack sealing is a maintenance procedure that is commonly used to reduce damage bridge degradation. If cracks in damage bridges are not sealed, surface water penetration can reduce the strength of the slab layers, which can result in increased deflections of the damage bridge. Reduced strength of the slab also accelerates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Crack sealing is performed to reduce water and debris penetration, thereby helping to maintain damage bridge structural capacity and limiting future degradation. The process of sealing cracks in damage bridge is however dangerous, costly, and labor-intensive operation. Labor turnover and training are increasing problems related to crack sealing crews, and as traffic volumes increase, crack sealing operations become increasingly disruptive to the general public. Automating crack sealing can reduce labor and road user costs, improve work quality, and decrease worker exposure to bridge hazard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 automated damage bridge crack sealing system, and developing of algorithms for hybrid controlling.

      • 외식브랜드의 심벌마크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이용호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제기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외식업체의 브랜드 심벌마크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외식업체들의 브랜드 심벌마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외식산업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시각적 요소를 평가하는 정도가 달라지는지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한 결과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기능적 요소, 가치적 요소, 심미적 요소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시각적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3.213, p<.01). 즉 독립변수별로는 기능적 요소(β=.280, p<.01)가 브랜드 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곧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기능적 요소가 높을수록 브랜드 이미지는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시각적 요소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379, p<.01). 독립변수별로는 기능적 요소(β=.206, p<.05)가 브랜드 선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곧 브랜드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기능적 요소가 높을수록 브랜드 선호도는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가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시각적 요소가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항을 분석하기 위해 외식 브랜드 심벌마크의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브랜드 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2.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75.230, p<.01). 독립변수별로는 브랜드 이미지(β=.269, p<.01), 브랜드 선호도(β=.364, p<.01)가 브랜드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국내 외식브랜드를 볼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은 기업의 이름과 디자인에 외식브랜드 심벌마크를 볼 때 가장 먼저 인식하게 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외식브랜드를 기억하게 되는 동기는 광고, 홍보, 간판으로 인한 노출효과가 심볼마크를 기억하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심벌의 중요성을 높여 주었다. 또한 외식 브랜드의 심벌마크에 대한 평가에서도 가독성, 기억용이성, 주목성 등의 기능적 요소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평가 되었고, 고급성, 미래지향성, 신뢰성 등의 가치적 요소, 독창성, 심미성, 차별성 등의 심미적 요소 순으로 평가된 점에서 외국계 다국적 기업에 대응하기 위한 토종브랜드의 심벌마크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purpose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ymbol mark of Korean food service brands on consumers' attitude and based on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ast food industry.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evaluation variance of the visual factor of symbol mark of food service brands by sex using t-test of independent samples, men found to evaluate high functional, valuational and aesthetic factors of symbol mark of food service brands compared to women. Second, with reference to influence of symbol marks of foodservice brands on brand image, explanation ability of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13.5% and recursion formula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13.213, p<.01). By independent variables, functional factor was analyz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β=.280, p<.01). This means that the higher functional factor of a symbol mark is, the higher brand image rises. Third, with reference to the influence of visual factor of symbol marks on brand preference, explanation ability of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3.8% and recursion formula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3.379, p<.01). By independent variables, functional factor was analyz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preference (β=.206, p<.05). This means that, like the case of brand image, the higher functional factor of a symbol mark is, the higher brand preference rises. Fourth,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isual factor of symbol marks on purchasing intention of a brand, brand image and brand preference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brand purchasing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it, explanation ability of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32.5% and recursion formula was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75.230, p<.01). By independent variables, both of brand image (β=.269, p<,01) and brand preference (β=.364, p<.01) were found to have positive significance on brand purchasing int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perceives first name and design of the business when they see symbol mark of a food service brand. These also show that the most effective motivation to recollect food service brand is symbol marks with exposure effect owing to advertisement, PR and signboards, which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symbols. In the evaluation of symbol mark of food service brands too, functional factor, such as readability, easiness to recollect and noticeability, was evaluated the highest, to be followed by valuational factor, such as luxuriousness, future-oriented and trust, and aesthetic factor, such as originality, aesthetics and uniqueness. This suggests that to effectively compete with multinationals, diverse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enhance recognition of symbol mark of Korean brands.

      • 균형성과표(BSC)를 활용한 정부와 공공부문의 성과관리 경영체제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 : 정부의 성과관리 도입정책 중심으로

        이용호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는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공부문에 목표관리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하였으나, 최근 중앙정부에서는 목표관리제를 폐지하고 이를 대체하는 성과관리수단으로써 BSC를 도입하였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성과평가 및 관리에 대한 논의가 민간 뿐 만이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성과평가 및 관리의 방안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BSC 이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성과평가 관리제도는 기존 행정관리문화와의 부조화와 성과관리에 대한 불신 풍조 때문에 공공부문 운영의 기본 패러다임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전시를 위한 형식주의로 흐르는 가운데 공공부문에서는 BSC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성과평가 프로젝트가 동시에 여러 기관에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실질적으로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관도 공공부문의 성과관리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일천하여 도입과 추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와 공공부문에서 BSC를 도입할 경우에 직면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처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두고, 이를 위하여 미국과 한국을 대상으로 한 비교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서는 선행연구 (박영강, 육근효 : 2006)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수립하였으며, 공공부문에서 성과평가 및 관리체계 도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안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차후 새로운 성과평가 관리 체계를 도입하려는 많은 공공기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