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대칭 폐 유순도 모델에서 기도 폐쇄가 환기의 분배에 미치는 영향
Background: Unilateral lung hyperinflation occurring in obstructive lung disease with asymmetric lung compliance leads to acute vital instabilities. Unilateral lung hyperinflation is mainly due to dynamic hyperinflation, which can be affected by compliance, tidal volume, airway resistance and respiration rate changes. Methods: The model was made by using two test lungs, each named lung1 and lung2. To make asymmetric lung compliance, two groups were set by manipulating lung1 compliance as ARDS lung (ARDS group) and COPD lung (COPD group), while fixating lung2 compliance as normal lung. In addition, control group with symmetric compliance of normal lung was set, resulting in total 3 groups. Respiratory variables were measured above (proximal measurement) and below (distal measurement) the model’s trachea. The model was mechanically ventilated, while airway diameter was changed from 3 to 8 mm serially by 1 mm interval. Results: PEE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below ID 5 mm, and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hroughout airway diameter change in COPD group versus control group and ARDS group. was similar to in most of the group at distal measurement, but approached to value of 1 in distal measurement of COPD group at ID 3, 4 mm. Conclusions: Ventilatory distribution was proportionate to lung compliance. PEEP was statistically increased when airway cross sectional area decreased to 7.1 cm2 (ID 3 mm) in ARDS group and 19.6 cm2 (ID 5 mm) in control, COPD group. COPD group alon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EEP. Adequate limitation of flow and inspiratory pause may ameliorate uneven ventilatory distribution. Key Words: asymmetric compliance, unilateral lung hyperinflation, distribution of ventilation, PEEP, airway obstruction
이용헌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79 국내석사
Curriculum is a blueprint to organize effectively the purpos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education and to get the expected results of education. The substantial results depends upon the practice of them on the spot. Here, curriculum and the structure of the spot have significant importance as a part of systematic situation and als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base for educational actions. To see through the curriculum an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spot, therefore, we ne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heir main factors, Which Seems to be a near way to a searching of their essence and finding improvement plans. An analysis on the condition of the spot shows all th problems of it and also shows a need to make an active effort to improve them. So it Seems to be obvious that the condition of the spot must be condidered of great importance when the developmental works of the curriculum are decided. And the concrete process of the educational action should be designed before the education is given on the spot so that we can determine the exact goal of the education and the substance of the process and get the expected results of our efforts. When I treated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as a set of patterns and observed them as a structural situation, I came to realize that the system approach model would be a good way to improve the problems. As a result, many meaningful results came out from the activities of designing the practical process and structuring the problems of the spot according to the system model. The main factors of the spot structure of the curriculum which I observed are: (1) Idealogical factor (2) normal factor (3) regional or shcool unit planning factor (4) environmental factor (5) currental events factor (6) actual proof factor (7) guiding-developmental factor (8) evelauational factor I used Roger A. Kaufmann's "The process of General Education Management" as a process of system approach. (1) search the problems (2) decide the plans to improve them (3) select the details of the strategy (4) operate (5) make sure of the effects of the operation (6) feed back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process plan are as below and many important data could be seen after its application. (1) problems search and data selection (2) subject analysis (3) instituing and data selection (4) evaluation and data selection (5) a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ystem approach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 could understand the practical problems on performing the curriculum and systemizing them. scond, I selected the reasonable methods to improve them and get the proper date. Third, the betterment of the problems has brought advancement of students. Fourth, the effect of training the present teachers has been increased by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and thoughts on curriculum. Fifth, it was Possible to concentrate the directions of the school management with the results achieved by the betterment of the school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s, effecting of financial investment and strengthening the teachers' consciousness of their mission. Education is a planned activity which aims at the desirable changes of students. I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the methods of analyzing its result. The teaching methods of school, therefore, must be concentrated on raising the desirable effect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practical structure of curriculum.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국문초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근 이상기후에 따른 재해로 피해가 증가하여 하천에서 치수안정성이 강조되는 한편 국민소득 증가의 영향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는 등 하천에서 안정성 제고와 하천환경 보전 및 개선의 필요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호안 공법개발도 호안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바탕으로 식생활착을 통해 하천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식생 활착을 위해서는 호안사면에 복토가 필수이나, 초기 식생활착이 이루어지기까지는 복토된 흙의 유실이 빈번하여 많은 시간적 물질적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안에 식생활착을 위한 복토의 유실을 막아 친환경 호안사면이 되도록 하고, 또한 식생활착의 조기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호안석 간극과 토사유실방지재에 따른 토사유실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손곡천 호안에 설치된 스톤매트리스의 복토의 유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토대로 토사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토사유실방지재를 개발하였으며, 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사유실률 산정을 위해 실시한 실험에서 호안석 간극 비율에 따른 토사유실률과 다양한 하천 경사도에 따른 토사유실률에 중점을 두고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 두 가지 조건의 호안사면경사에서 토사유실방지재의 설치 유무에 따른 효과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제 하천에서 대부분인 직경 20 cm의 호안석 간극의 넓이를 바탕으로 하상경사 및 유속 변화에 따른 최소한의 토사유실심도와 호안석 설치 간극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다양한 하상경사에서 호안석 간극의 넓이에 따라 최소한의 호안석 간극의 깊이를 설정할 수 있는 식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하천 공사설계시 반영할 수 있도록 염두에 두었다. 또한 토사유실방지재는 40 % 정도의 토사유실 저감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현장에 기설치된 호안석의 간극에 복토된 토사를 보존하고, 호안석 간극에 복토한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 간단하게 보강만 하고, 추가적인 전면 보수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방법도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depending upon the Void Ratio among Revetment Ripraps and the Soil Constraints in River Lee, Yonghun Department of Civil, Environment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due to the disaster caused by extreme weather events, the damage has increased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river has been emphasized. Meanwhile,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has been emphas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life, as well as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in the river and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 river environment are simultaneously required .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river protection technologie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store the river ecosystem.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 of stability of ecosystem and structural strength,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surface of the lake with the natural friendly material. However, it takes for a while to stabilize the natural friendly bank structures by the vegetation and it is hard to protect the bank.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was established for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il loss by the interstice gap and soil erosion prevention material so as to make eco - It is aimed to establish a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For this purpose, the cause of the loss of the soil of the stone mattress installed in the Sonok Gwacheon, Yongin - si, Gyeonggi - do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we developed a soil - losing material to prevent the loss of soil. In the experiments conducted to estimate the soil loss rate, the soil loss rate and the soil loss rate according to various river slop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oil erosion prevention material on the inclination of the arc surface of two condi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width of a 20 cm diameter interstice gap, which is the most common in the actual stream, the minimum depth of soil loss and the gap between the seawall according to the slope and flow velocity changes were examined. In other words, we have developed a formula that can set the minimum depth of revetment gap according to the width of revetment gap in various river slop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oil ash loss prevention material exert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oil ash loss by about 4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lso effective to save the buried soil in the gap between the revetment bases installed on the site, to simply reinforce the buried soil in the revetment gap, and to avoid the need for additional repair work.
차량 진동 특성 향상을 위한 고무부품의 동적 특성 예측에 관한 연구
자동차의 정숙성이나 승차감과 연관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특성은 사용자들이 운전과정에서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갈수록 그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제작사에서 자동차의 진동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자동차의 NVH 문제는 엔진, 구동계, 샤시(Chassis)계, 배기계 등에서 야기되는데 구동계는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센서장착을 이용한 NVH 특성 측정이 난해하고, 차체(Body) 등 다른 시스템의 NVH 문제와 대별하기 어려워 개념설계단계인 설계초기에 예측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NVH 문제해결에 있어 차량 개발 기간의 단축은 실험을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로 대체하여 시간적 이득뿐만 아니라 경제적 이득까지 얻으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AE를 통한 구동계의 NVH 특성 평가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결요소에 사용하고 점탄성 거동을 보이는 고무부품의 비선형 특성 구현이 난해하여 결과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이처럼 자동차 제작사들의 NVH 개선 방안에 대한 큰 현안들은 시간과 정확성, 그리고 경제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의 접근으로 이 현안들을 개선하였다. 첫째, 엔진 토크의 변동에 의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연결요소로 사용되는 고무부품의 특성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새로운 방법과 이론식을 제시하였다. 특히, 차량 시스템의 여러 가지 다양한 조건에서 고무부품에 작용하고 있는 Preload를 고려한 고무부품의 동적 강성계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해석 모델의 입력값으로 사용하였다. 고무부품의 동적 강성계수는 고무소재에 대한 실험을 통해 기본적인 고무소재의 기본 물성값과 정적, 동적 강성계수를 파악하였고, 그 기본 물성값을 고무부품의 정적 특성 해석 시 입력값으로 이용하였으며 고무부품 동적 강성계수 예측 이론식에 의하여 해당하는 Preload에서 고무부품의 동적 강성계수를 예측하였다. 여기서 임의의 Preload를 받고 있는 고무의 동배율(Dynamic Ratio)은 고무소재나 고무부품 모두 그 형태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관계를 제시하였고 그 타당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전통적으로 동배율을 1.2~1.5로 사용하고 있고, 고무부품의 동적 강성계수를 정적 강성계수의 선형구간에 대해 1.2~1.5배를 단순 곱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무부품에 작용하고 있는 Preload를 고려한 동적 강성계수는 선형구간의 값이 아닌 해당 Preload에 대한 순간 정적 강성계수를 사용하여 예측하였고, 이것을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이렇게 예측된 고무부품의 동적 강성계수는 갈수록 중요시 되는 CAE 해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여 차량 개발과정에서 실험차량의 제작대수 및 실험횟수를 감소시켜 시간적 경제적 이득을 가져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기존의 구동계 실험벤치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구동계 실험벤치를 설계하였고, 제작하여 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구동계 NVH 실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구동계 실험벤치에서는 NVH 특성을 평가 및 개선하기 위해 파워트레인(Powertrain)을 포함시키지 않았고, 차량 시스템의 주요 가진원인 엔진에 의한 가진 토크 변동(Torque Fluctuation)에 초점을 맞추어 가진기(Exciter)를 이용하여 토크 변동을 구현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는 파워트레인을 장착하여 구동계의 고속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 연료 시스템, 냉각 시스템, 흡기 시스템, 배기 시스템 등을 함께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증가하는 제작비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구동계 실험벤치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고무부품 동적 특성 예측 이론과 Preload를 고려한 유한요소해석 방법의 정당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고무소재에 대한 기본물성실험과 정적 동적 특성 실험을 통해 그 고무소재로 제조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Preload를 받고 있는 고무부품에 대한 동적 특성을 추가적인 실험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파워트레인을 가진기로 대체한 새로운 구동계 실험벤치를 설계 및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차량 구동계 특성 파악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두 가지 연구성과는 고무부품을 포함한 시스템에 대한 CAE 해석의 정확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고, 간소화된 구동계 실험벤치의 구성 및 실험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차량 NVH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Proteolytic Processing and Functions of CadC Transmembrane Signaling in Salmonella
이용헌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실은 대학원] 2009 국내박사
Transmembrane signaling is an essential feature common to all living cells, and has become an increasingly attractive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microbial drugs. In recent years, regulated proteolysis of membrane-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ignaling mechanism conserved from bacteria to humans. This proteolytic switch warrants a rapid cellular response by activating preexisting pools of dormant transcription factors. However,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is mechanism in bacterial transmembrane activators. The Salmonella CadC protein, a member of the ToxR-like family, is a membrane-spanning transcriptional activator with a cytoplasmic DNA-binding domain and a periplasmic signal-sensing domain. Upon acid stress CadC activates genes of lysine decarboxylase system (cadB/A), which contributes to the acid tolerance response. Despite its long history of study,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governing the activation of CadC remain unknown. The present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CadC is made as a dormant membrane-localized precursor but rapidly cleaved in response to the low pH and lysine signal, leading to the induction of target gene transcription. As full-length CadC is degraded, the N-terminal fragment containing the DNA-binding domain accumulates in the inner membrane, unlike eukaryotic transcription factors which are released from the membrane. CadC is actually cleaved in the vicinity of amino acid residue 210. Moreover, C-terminal truncations of CadC abolish its degradation, resulting in complete loss of activator function. Thus, site-specific proteolysis at the periplasmic domain of CadC generates a biologically active form of N-terminal DNA-binding domain to promote target gene activation. Through a genetic screen, two gene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which might be responsible for CadC proteolysi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CadC is a global regulator that affects the expression of numerous proteins, including OmpR and FliC. Proteome analysis using 2D gel electrophoresis identified 23 of the putative CadC-regulated proteins. The response regulator OmpR, whose transcription is repressed by CadC, forms a two-component pair with its cognate histidine kinase EnvZ to regulate multiple cell functions. In summary, the principal contribu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e discovery of a novel type of proteolytic transmembrane signaling mechanism, and a cross-talk between the CadC and OmpR signaling systems. 세포막을 통한 신호전달은 모든 살아있는 세포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며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막결합 전사인자(membrane-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s)의 정교한 단백질분해과정이 중요한 신호전달 메카니즘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이 메카니즘은 세균에서부터 사람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명체에서 잘 보존되어 있다. 이 단백질분해 스위치는 이미 만들어져 비활성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신속한 유전자 발현을 보장한다. 하지만, 세균의 막횡단 전사활성자(transmembrane activators)에서의 예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병원성 세균 Salmonella의 CadC단백질은 ToxR-like family에 속하는 막횡단 전사활성자로 세포질내 DNA결합 도메인과 주변세포질내 신호인식 도메인을 모두 가진다. 산성스트레스 환경에서 CadC는 산내성반응에 기여하는 라이신 탈탄산효소 시스템의 유전자들(cadB/A)을 활성화시키는데, 오랜 역사를 가진 연구분야임에도 불구하고 CadC의 활성을 조절하는 분자메카니즘은 여전히 미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CadC가 비활성상태의 막결합 전구체로 만들어지며 산성 pH와 라이신 신호에 반응하여 신속하게 절단된 후 표적유전자의 전사를 유도함을 증명하였다. 전체 길이의 CadC가 분해되어 사라짐에 따라 DNA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N-말단 단편이 내막에 축적되었다. 이 현상은 진핵생물의 전사인자가 단백질분해성 절단에 의해 막으로부터 방출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메카니즘이다. CadC는 210번째 아미노산 근처에서 절단되었고, C-말단 주변세포질 도메인이 제거된 CadC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았으며, 전사활성자로서의 기능도 완전히 상실하였다. 따라서, CadC단백질의 주변세포질 도메인에서의 부위특이적 절단에 의해 DNA결합 도메인의 생물학적 활성형(biologically active from)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CadC신호전달 시스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단백질분해효소 및 조절 시스템을 규명하기 위해 genetic screening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연관된 2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2차원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체 분석으로 CadC에 의해 조절받는 23개의 새로운 단백질을 동정하였으며, CadC가 OmpR과 FliC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global) 조절자임을 증명하였다. CadC에 의해 발현이 저해되는 반응조절자 OmpR은 히스티딘 인산화효소 EnvZ와 함께 two-component 신호전달 시스템을 이루어 수 많은 세포기능을 조절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의 의미는 단백질분해과정을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발견하고 CadC와 OmpR 신호전달 시스템 사이의 cross-talk을 밝힌 것이다.
고차원 데이터 군집 분석에서 오토인코더 기법을 통한 차원 축소 방법
이용헌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It is not easy to apply general cluster analysis methods to high-dimensional data due to the curse of dimen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method of dimensionality reduction first and then clustering. As a method of reducing the dimension, there are a linear meth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a non-linear method, an autoencoder-based meth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duces the dimensionality in a way that preserves the variance of the raw data as much as possible, and the autoencoder uses a deep neural network to reduce high-dimensional data into a low-dimensional latent space. Therefore, high-dimensional data can be clustered with high accuracy by performing cluster analysis after dimensionality reduction for high-dimensional data. In this study, experiments using various benchmark data, which can be called high-dimensional data, are conducted. For high-dimensional data, the dimensions are reduc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autoencoder methods, and the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 is applied. After cluster analysis, we find the appropriate number of clusters based on the silhouette width and compare which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 is suitable for cluster analysis with the silhouette width and DB index in the appropriate number of cluste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encoder method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n most of the data.
시지각 요인에 따른 이모티콘 표현유형별 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등장하면서 커뮤니케이션방식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이다. 특히, 현대인들에게 스마트기기는 일상에서 필수불가결한 대표적인 도구가 되면서 원거리에서도 메시지를 통한 정보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편리한 기능으로 인해 점점 사용이 많아지면서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기능적이면서 정보적인 성격이 강조되는 현상이 늘어났다. 기존의 대면 커뮤니케이션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화자의 행동이나 표정을 통한 감성적 성격의 메시지 전달 기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방법으로 이모티콘은 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 알 수 있었던 감정 전달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해 사용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제는 감정 전달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써 다양한 형태로 발전된 이모티콘은 간단하게 활자를 조합한 간단한 표정부터 다양하면서도 개성있는 캐릭터로 감정을 표현하는 유형의 이모티콘도 나오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에 그치지 않고,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이나 감정을 세분화하여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캐릭터 외적인 요소로 텍스트 및 보조적인 요소들까지도 더해져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모티콘에서 나타나는 여러 요소들이 증가하면서 형태가 점차적으로 복잡해지고, 스타일이 다양하게 되면서 본연의 기능인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 메시지와 이모티콘의 시각적 표현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작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보여지는 좋은 이모티콘이 명료하면서도 정리된 디자인으로서 시지각 차원에서 기준으로 검토와 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SNS 어플리케이션 중 최대 이용자인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표현요소와 표현유형에 따라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각 표현유형에 따라 대표하는 5가지 이모티콘에 대해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바탕으로 한 ‘일관성’, ‘간결성’,‘친숙성’, ‘주목성’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를 온라인 설문 조사한 뒤, 앞의 사례 분석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론적 배경으로 이모티콘의 개념과 표현유형,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의 개념과 종류를 국내·국외 논문 및 문헌·간행물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 국내 SNS 중 카카오톡 이모티콘 중 5가지 표현유형을 대표하는 각 이모티콘을 판매순에 따라 선정하여 이모티콘이 가지고 있는 표현요소와 표현유형을 사례 분석하였다. 세 번째, 웹사이트를 통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이모티콘 표현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을 바탕으로 ‘일관성’, ‘간결성’, ‘친숙성’, ‘주목성’에 따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이모티콘 표현유형을 대표하는 각각의 이모티콘에서 사용된 캐릭터의 얼굴형은 둥근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모티콘의 체형은 둥근형과 역삼각형이 주로 사용되었다. 한편, 색 요소 중 색조는 밝거나 연한 색조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색상은 흰색, 빨강, 노랑 순으로 주된 컬러로 사용되었다. 한편, 보조요소로는 하트, 반짝임, 눈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두 번째,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의 특성에 해당하는 일관성과 주목성은 이모티콘을 중간형이나 사실형, 극단순형으로 나타내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간결성과 친숙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통일성을 갖추면서 한 그룹으로 보여지거나, 각각의 요소가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될 수 있는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에 따른 이모티콘의 표현유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로 시사하는 바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 번째, 이모티콘 플랫폼 중 카카오톡으로 한정한 상태에서 진행하였기 때문에, 다른 SNS 커뮤니케이션 이모티콘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두 번째, 표본의 수가 적고, 특정 세대에 다소 집중된 연구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세대에 따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모티콘을 제작할 시 효과적이면서 시지각 측면에서 효율적인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이론적인 바탕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나날이 발전하는 이모티콘 디자인 연구와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