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s for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on

        이용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An efficient operating plan for multiple reservoir systems should be developed based upon the effects of both long-term storage and short-term release policies. For finding such an efficient operating plan, we may have to rely on a “model”, which is an abstract idealization of the real problem. Operation planning for multiple reservoir systems is a complex and challenging problem because of inherent uncertainties in inflow forecasts. In this study, to deal with inflow uncertainty, the two-stage and multi-stage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models are developed for the long-term storage and short-term release planning. For the long-term storage planning, long-term inflow predictions are required for the planning of reservoir releases for water supply and hydropower generation. However, the practice of using several inflow predictions does not fully capture the important elements of decision-making under uncertainty analysis, such as non-anticipating decisions or the serial correlations imbedded in the inflow. In this study, stochastic linear programming (SLP) was applied to deal with inflow uncertainties. Specifically, an SLP model was developed for the coordinated operation of a multiple reservoir system. The model optimizes the monthly reservoir storage variation and was formulated as a multi-period, two-stage SLP based on the “fan of individual scenarios.” The inflow scenarios were generated by a multivariate periodic model AR(1) that considers both serial and spatial correlations. For the short-term release policies, the multi-stage and scenario-based, stochastic linear program with a recourse model was suggested incorporating the meteorological weather prediction information for daily, coordinated, multi-reservoir operation planning. Stages were defined as prediction lead-time spans of the weather prediction system. Multi-stage scenarios of the stochastic model were form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liability of rainfall prediction for each lead-time span. A rainfall-runoff model based on the rainfall forecast was used to generate the future inflow scenarios. For short-term stage (2 days) scenarios, the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information was employed, and for mid-term stage (more than 2 days) scenarios, precipitation from the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 was used as an input for the rainfall-runoff model. After the 10th day (3rd stage), the daily historical rainfall data were used following the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ESP) procedure. The expected benefit of the stochastic models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ased on value of information measu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lutions of the stochastic model were much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the deterministic model with average inflows, and that this effectiveness was also maintained in real-time operation in the presence of uncertainty. The benefit of applying this stochastic model to the Nakdong River basin in Korea was presented. The study implies the greater effectiveness of using the stochastic model in real-time operation in presence of uncertainty.

      • 주민소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대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민소환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발전 방안을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2009년에 실시되었던 제주특별자치도지사에 대한 주민소환 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여 외국의 사례와 비교ㆍ검토하고 우리나라 주민소환제의 제도적 보완 등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관련 문헌조사를 통하여 주민소환제도의 의의, 필요성, 유형,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다음은 우리나라의 법제도의 개선방안을 찾기 위하여 주민소환과 관련한 외국의 법제도와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행법제도를 분석하였으며, 제도의 시행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한다. 끝으로 우리나라 주민소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요약 및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행 주민소환제를 본래의 기능을 다하도록 다음과 같은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주민소환사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한 규정을 두지 않고 포괄적으로 둔 것은 합리적이라 할 수 있으나 소환청구사유의 시의 적절성 여부를 비롯해 소환사유 사전심의기구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주민소환청구자나 수임인, 그리고 주민소환투표운동을 할 수 있는 자 등도 너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어 서명활동에서부터 투표운동에 이르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서명인명부에 서명을 하는 것조차 까다로워 서명활동에서부터 난관에 봉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주민소환법이 소환청구 및 소환투표운동을 지나치게 억제하는 방향으로 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민소환청구자나 소환투표운동을 할 수 있는 자의 제한규정 완화를 비롯해 유권자들에게 보다 많은 소환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방향으로 법 규정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는 주민소환대상자 역시 확대되어야 한다. 현재 주민소환법에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지역구의원 등 선출직 공직자로 한정하고 있다. 또한 제주도특별법에는 선출직인 제주도교육감에 관한 주민소환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비례대표 지방의회 의원이나 다른 지역의 선출직 교육감에 대한 주민소환규정은 마련되지 않아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규정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는 제주자치도지사인 경우 지방선거를 1년 앞둔 시점에서 주민소환을 하다 보니 시의성 문제, 소환되었을 때 보궐선거 실시여부 문제, 사회적 비용 문제, 행정공백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그래서 소환대상자의 잔여임기 제한 규정을 최소한 1년 6개월 이상으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는 소환투표가 발의되면 소환투표 실시 전에 양측이 대화를 통해 조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주민소환법에는 이런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어느 한쪽이 포기하지 않는 한 주민소환투표 결과가 나올 때까지 법의 규정에 따라 치열한 대립양상만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사전 조정제도 방안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가 수익률과 거래량 변화율간의 동적 관계 분석

        이용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that movement of stock prices in Korean stock market have on trading volume and that trading volume has on stock prices. The analyzed data were extracted from daily data from Jan. 4, 2000 to Dec. 28, 2012 through the Korea Stock Exchange and Data Guide. To analyze influence between trading volume and stock prices, the model of vector auto regression (VAR) was used. Also, to find out influence and explanation power between mutual variables,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analysis methods, by dividing the whole period into each accident and setting it into E-1 (IT bubble), E-2 (credit card fiasco), and E-3 (financial crisis); analyses by period, size, and main agent were conducted. At the analysis result, as time went by, it was checked that a causal relationship by situation reduced. It was very rare that trading volume led stock prices, similarity was measured low. In case of daily analysis, a causal relationship was shown but it disappeared over time. From the analysis result by size, in case of large-capital stocks, a causal relationship was not shown or weak relations were shown in all periods. In case of small- and medium-capital stocks, it was represented that consecutively stock prices led trading volume. At the analysis by subject of investment, as time went on, causal relations of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foreigners had decreased or disappeared. At the sensitivity of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nfluence and explanation power of stock prices against trading volume were shown to be greater than values of trading volume against stock prices.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재무적 건전성 그리고 기업가치에 관한 연구

        이용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verifi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of companies and enterprise value, financial solvency. The period of analysis was set from 2011 to 2019 and ESG grade announced from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was used as the variable. The influence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on long and short-terms of company values and cost of capital were analyzed. And the group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ased on financial status and ESG grade to find out if financial solvency should be backed up regarding performing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of companies and the determinant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was investigated to check which variable influences if financial status of companies is important regarding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As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it appeared that previous period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influenced on short-term value of companies in negative way. The environmental and social grades did the same as well as integrated grade of ESG and it was shown that both this and previous terms of activities influenced on company value in case of governance structure grade.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negative influence was loaded as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was regarded as the cost to short-term value.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were the positive factor to company value for long term as previous period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structure grades as well as integrated grade of ESG) influenced on long-term value in positive way.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upon capital cost of company, it appeared that previous term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increased cost of equity capital and decreased the capital cost of others. It showed all the same results in the integrated grade, environmental and governance grades and it was recognized that both this and previous periods of activities decreased the capital cost of others. It can be interpreted that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decrease capital cost of others decrease by mitigating information asymmetry but cost of equity capital that is required rate of return increases as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is forwarded as the negative information to the stockholders. Fourth,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is period of company value for comparison by classifying them to 4 groups based Return On Equity (ROE) and ESG grade of companies in previous term, it was recognized that improving financial performances with priority was effective for elevating company value rather than performing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in case of the companies in no good financial condition. And the company that performs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sincerely with excellent financial performance should satisfy with financial responsibility that is the primary purpose of companies prior to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as the additional rise of company value is provided and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is required for the company with excellent financial condition to raise company value additionally. Fifth,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eterminants of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it appeared that the previous term of return on asset operating profit, return of assets and earned surplus influenced on this period of integrated ESG grade and cash and cashable asset influenced in negative way. It was shown that previous term of return on asset operating profit, return of assets and earned surplus influenced on this period of environmental and social grades in positive way and return on asset operating profit, cash and cashable asset loaded the negative influence on governance structure grade meaningfully. The socially-responsible activities should be performed dynamically as the investment that raises company value for long term by persuading the stockholders through this research but financial solvency should be treated with priority.

      • 사용자의 심리와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모바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기법

        이용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s users have huge amount of multimedia contents and can access it with mobile device everywhere and anytime because of advance of the internet and computer technologies. But, in existing file structure system, users need much time to find multimedia contents that users wanted in many multimedia contents. Specially, users that use mobile device have a difficulty because of mobile device's small display and interface of poor control. So, intelligent management technique for multimedia contents needs to access a number of multimedia contents more effectivel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echnique to find easily and enjoy multimedia contents in personal computer and to create a personalized list of the contents for mobile device. For providing personalized mobile multimedia contents we use user's situation and psychology. And we implement the PMMCP(Personalized Mobile Multimedia Contents Provider) applied above techniques. The technique we proposed gave users more satisfaction than Top-N technique that recommends user many used contents.

      •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 구현방안에 관한 고찰

        이용대 동의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1978년 행정전산화를 필두로 한 행정정보화 사업이 지난 1987년 행정 전산망 사업, 1994년 초고속정보통신망 사업으로 확대 진행되었고, 1995년에 정보화사업의 구상을 시작,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자정부"의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다. 1999년 '24시간 원스톱서비스가 가능한 열린 행정구현'을 포함한「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 2002년 전자정부 구현을 목표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으며 이에 따라 2001년에 전자정부 구현 11대 추진과제를 선정하여 2002년 말과 2003년 초에 거쳐 모두 완성하였다. 한국의 전자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대표적인 것은 민원 서비스 시스템으로 민원 업무혁신(G4C) 이다. 이는 복잡한 민원 절차의 까다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주민, 부동산, 기업, 세금, 자동차 분야의 주요정보를 관련 기관 간 공동활용 체계를 마련하여 민원 서비스처리를 위한 구비서류의 감축 및 서명 인증과 같은 전자민원처리 운영을 말한다. 정부기관들은 전자정부라는 새로운 기술을 급속하게 도입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전자정부가 대 국민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는 말할 것도 없고, 전자정부가 정확하게 무엇이냐에 대해서 많은 혼란이 존재하고 있다. 전자정부는 인터넷과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국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행정을 재구성 하는 등 국가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정부부문은 공익이라는 상위의 목표를 추구하며, 이를 행정서비스를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정부의 고객인 일반국민의 편익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즉 사기업과는 달리 조직내부의 효율성을 향상하고 이를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기업도 내부적인 비용절감과 소비자인 고객의 만족을 우선시 한다는 점에서 정부부문의 목표와 다를 것이 없어 보이지만 사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고객만족을 통한 이윤 극대화이고 정부부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효율성 제고를 통한 정부 서비스의 개선이라는 점에서 명백한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정부의 대국민 서비스는 반드시 개선되어야하며 국민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이를 가장 실현 가능하게 집행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의 구현인 것이다.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란 공급위주의 행정 중심적인 정부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민간부문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일반국민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수요중심의 행정을 펼치는 정부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전자정부는 현재의 초고속정보통신망과 응용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정보기술의 기반 위에서 정부의 행정정보를 공동 활용함으로써 정부의 고객지향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병행해서 정부의 행정과 조직의 혁신 등 제도적 개선이 병행될 때 제반 기술과 정보공동활용의 효과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의 전반적인 이해를 거친 후, 우리나라의 전자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모습과 연구논문과 문헌등에 비친 전자정부의 모습을 통해 문제점을 고찰해 나가겠다. 그리고 몇몇 선진국들의 민관협력에 의한 전자정부의 모습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나아갈 길을 제시해 보았다. Recently, various transformations of the government's operation policy attributed by the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can be understood through an electronic government(e-Gov.). The main objective for establishing e-government includes not only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various government activities but also managerial innovations to transform to a new governance - achieving various national reforms, improv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citizens, improv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recent, the e-government program is the proposal to public-private partnership(PPP) model that used to a number of counties for successful e-gover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to main issues of Korea e-government and consider the boundary of developing e-government by the government. In this paper, we also analyzed the ESD Life site(www.esdlife.com) of Hong Kong e-government as successful PPP model based e-government and proposed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developing PPP model based e-government.

      • 韓國寺刹의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 八公山 및 琵瑟山 地域의 山地中庭形 寺刹을 중심으로

        이용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takes up DONG HWA(桐華) temple, PA GYE(杷溪) temple, EUN HAI(銀海) temple, UN BU(雲浮) temple, BUK JI JANG(北地藏) temple, HWAN SUNG(環城), YONG YOUN(龍淵) temple YONG CHEON(湧泉) temple UN HEUNG(雲興) temple and the NAM JI JANG(南地藏) temple, which makes clear the space structure and the belief form of those Buddhist temples. The above-mention temples have been already investigated in other research's. However Now day, The temples are a lot of changes 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urrent situation Moreover Each Buddhist temples was not investigated detailedly. So this research's aim is current temple's situation investigation and each temple's detailed research 1) The construction of all temples goes back even to the Silla Dynasty. Howev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n Buddhist temple was completion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with the courtyard clearly now in a Chosun Dynasty. Especially,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grand gate which the component of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to be assumed the 17th century of which the middle of a Chosun Dynasty. 2) Moreover, it is a building where it was built to be paid attention most in the space structure of the investigated Buddhist temple for folk beliefs. Belief objects is deified to these buildings are SAN SIN(山神), DOK SUNG (獨聖), and CHIL SUNG(七星). Especially being paid attention is SAN SIN(山神) belief. There was a belief to SAN SIN(山神) from ancient times. However, coming to be deified in the temple is from a furnace in the 17th century. By the way, it was able to be confirmed to have come to be built in the temple which had been investigated by this research in the 20th century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 담임교사와 전담교사의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용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는 목표 아래 1997년부터 영어가 정규교과로 시작 된지 이제 만 5년째 접어들었다. 초등 영어 교육의 실시와 더불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논의되어져 왔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영어 수업은 담임교사와 전담 교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영어 수업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의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정 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는 대구 지역 361명의 초등학생과 경상북도 지역 756명(총 1117명)의 초등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담임교사 16 명과 영어 전담교사 16명(총 32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에게는 정의적 영역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통해 1학기초에 조사를 실시하고, 같은 내용의 설문 조사를 1학기말에 다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은 다음 네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자아 존중감, 동기, 모험시도, 불안감, 교사들에게는 영어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지도 방법. 영어 학습에 대한 이해와 지도 방법, 영어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이해와 지도 방법. 영어 교사로서의 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담임교사가 전담교사보다 초등학생들의 전반적인 정의적 영역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정의적인 영역은 3학년 학생들이 교사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여학생들이 남학생들 에 비해 정의적으로 더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넷째, 영어 학습과 관련된 제반 지식의 이해와 지도 방법에 있어서 담임교사들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생들의 정의적인 영역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담임교사들이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사가 초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사는 영어수업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정의적인 요인도 세심하게 고려해야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수업 운영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한다. 이처럼 정의적 영역에 대한 교사의 효과적인 지도가 있을 때 초등학생들의 영어교육은 한 차원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eachers on the affective domai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English. Its focus i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homeroom teachers and subject teachers teaching English in elementary schools. 1117students and 32 teachers in Kyung-buk province and Daegu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given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32 items in the beginning and end of spring semester in 2001.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assess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self-esteem, motivation, risk-taking, and anxiety. The teachers were also given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44 items measuring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characteristics, English teaching methods, affective aspects, and attitudes as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meroom teacher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subject teachers in positively influencing the overall affective domain of the students. Secon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students in third grade was most influenced by both teacher groups than in any other grade. Third, female students were more positively changed than male students by both teacher groups. Fourth, homeroom teachers had better results in demonstrating their attitudes as well as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eaching methods, and affective aspects.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the teachers, particularly homeroom teachers, played positive roles in affecting the affective domain of the students learning English in elementary schools. In particular, the students in higher grades were less affected by the teachers in changing their affective domain. It is thus suggested that the teachers be aware of efficient ways of teaching the higher graders to encourage positive changes in their affective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