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자녀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단일사례연구

        이요나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겪는 아버지와 자녀 1쌍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상호작용 미술치료가 부-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 H 어린이집에서 실시하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부-자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지원한 아버지와 아들 한 쌍이다. 연구설계는 사전, 사후, 추후 설계로 부모-자녀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먼저 프로그램의 구성은 유고운(2016)의 부모-자녀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본 연구 대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첫째. 부-자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기간과 유지 기간에는 부-자의 자유 놀이 영상, 중재 기간에는 2회기부터 9회까지의 가정에서 부-자 미술치료 영상을 연구자와 관찰자 2인이 부모-자녀 상호작용 코딩시스템(DPICS)에 따라 관찰·측정하여 기초선·중재 ·유지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2-9회기까지의 부-자 미술치료에 대한 회기별 부-자 상호작용의 변화 내용을 분석 기술하였다. 둘째,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기초선 · 중재 · 유지 기간 동안 조작적 정의 문제행동의 빈도수를 가정 내에서 부모가 직접 측정하였고, 아동 행동 평가 척도(K-CBCL)검사를 사전 · 사후에 실시하여 아동 문제행동의 변화를 비교·측정해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자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후 연구 대상 부-자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향상되었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는 유지되었다. 둘째, 부-자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였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는 유지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상호작용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부-자 상호작용 향상과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on parent-child interaction and problem behaviors in a single case study involving a father and child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ir interaction. The participants were a father and son who sought support due to difficulties in parent-child interaction in a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program conducted at G City H Childcare Center. The research design included pretest, post test, and follow-up measurements, with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program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adaptation of Go Un Yoo's (2016)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program to suit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Firstly, to examine changes in parent-child interaction, video recordings of free play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during the baseline and maintenance periods, as well as art therapy sessions from the 2nd to the 9th session, were observed and measured by two observers using the 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ystem (DPICS).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were compared to assess changes in parent-child interaction. Additionally, the content of changes in parent-child interaction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from the 2nd to the 9th session was analyzed and described. Secondly, to measure changes in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the parent directly measured the frequency of operationally defined problem behaviors within the home setting during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eriods. Moreove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was administered as a pretest and posttest to assess changes in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program,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improved, and this improvement was maintained in the follow-up period Secondly,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child's problem behaviors, and this effect was also maintained in the follow-up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child interaction art therapy program in improving parent-child interaction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이요나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communication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contribute to children's adolescence, Especially their self-esteem which is influenced by their parents really matters on their personality and socialisation. In this research, 4 types of child-parents relationships were defined. First, type "open father-open mother" is a type of their relationship that means both parents are communicable with their children. Second, type "open father-closed mother" describes the relationship where only the mother has a communication problem with their children. Third, type "closed father-open mother" is the one where only the father has a communication problem with their children. Fourth, type "closed father-closed mother" is the one where both parents have a communication problem with their children.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mid-adolescent phase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order to find out what type of relationships they have with their parents among those mentioned above and how it influences their self-esteem. As a result, we will be able to come up with basic elements improving their self-esteem and programs developing their parents' communication skill with them as well. Subjects are both boy and girl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and the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264 students were finally referred to statistically. Results are like these: First, type "open father-open mother" relationship and the self-esteem showed a remarkably close connection to each other. the more communicable they are with each other, the higher the self-esteem is. So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order to be self-esteemed. Second, there was nothing remarkable in the connection to self-esteem with either type "open father-closed mother" or type "open mother-closed father". This suggests that we need to promote a communicational improvement program for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target not only the mother but also the father. It also tells us that self-esteem is very important to children. Self-esteem was proved to be a precursor of their adaptation to their society, home, and school. So, children should deserve a proper care such as group counseling programmes in the youth center or their school so that they can evaluate themselves as precious and positive. Based on the result, practical and useful programmes for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 유기촉매를 활용한 비대칭 conjugate addition - cyclization cascade 반응 연구

        이요나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An organocatalytic enantioselective Michael addition/aza-cyclization cascade reaction of aldehydes with 2-amino-β-nitrostyrenes has been developed for the construction of fully substituted chiral tetrahydroquinolines. The reaction, promoted by diphenylprolinol TMS ether as an organocatalyst, generated the chiral tetrahydroquinolines in good to high yield with excellent diastereo- and enantioselectivities (up to >30:1 dr, >99% ee). The method also provided an alternative access to chiral 1,4-dihydroquinolines, which are difficult to synthesize by other methodologies.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촉매 반응을 활용하여 생리 활성적으로 유용한 tetrahydroquinoline과 dihydroquinoline유도체를 거울상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Hydroquinoline 고리화합물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의 골격 중 하나이다. hydroquinoline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항HIV성, 항균성, 항곰팡이, 항말라리아제, 항암성, 심혈관제와 같은 넓은 범위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보이며, 여러 의약품의 중간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우선 diphenylprolinol TMS ether를 촉매로 사용하여 aldehyde와 2-amino-β-nitrostyrene과의 Michael addition/aza-cyclization cascade 반응을 통하여 높은 거울상 선택성을 갖는 chiral tetrahydroquinoline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제시된 반응을 통해 높은 수득률과 최대 30:1의 dr값과 최대 99%의 ee값을 얻을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다른 합성 방법으로는 합성하기가 쉽지않은 chiral 1,4-dihydroquinoline을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었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요나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및 환자안전관 리활동의 정도를 살펴보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 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의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9명이었고, 자 료수집 기간은 2023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이었으며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의료기관인증 평가항목과 국제환자안전목표 (Inter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IPSG)의 6개 영역을 기반으로 박현희(2013)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 구미옥(1984)이 간호사를 대 상으로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7개 영역을 기반으로 최영진(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직몰입은 Mowday 등(1979)이 개발한 영문도구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s)를 이명하(1998)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Sherer 등(1982)이 개발하고 정애순(200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3.36점, 조직몰입은 3.12점, 자기효능감은 3.62점, 환자 안전관리활동은 4.3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조직몰입(r=.314, p<.001), 자기효능감(r=.316, p<.001)과 통 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조직몰입(β=0.26, p=.002), 자기효능감(β =0.22, p=.006), 직무스트레스(β=0.17, p=.02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회 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0.82,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설명력 은 15.7%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조직몰입이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 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두 번째 영향요인, 직무스 트레스가 세 번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 몰입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환 자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 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영화 파생상품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중국시장 진출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이요 청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As a kind of film and television product, documentar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American market analysis company NPD Group, the overseas profits of Hollywood movies in 2017 mainly came from the profits from movie derivatives (including copyrights selling), and the box office revenue only accounted for 30% - 40% of the annual profit. Currently, the United States is the most active and successful country in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movie derivatives. Secondly, due to the large number of anime films, Japan has also achieved some success in movie derivatives. The film industry in South Korea is also very developed and has advantages in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so it is likely to make more achievements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ovie derivatives in the future. With China’s large population base and an increase in income, the consuming willingness and consumption level of the public are rising rapidly.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box office of Chinese films has been creating new peaks year by year, which forms favorable conditions to form an ideal movie derivative market. This paper tries to make foreign scholars and enterprises transcend cultural differences, understand the needs and consumption habits of Chinese consumers, attempts to redefine, explore and expand the connotation and extension of movie derivatives, and creatively put forward the ‘overall product concept of movie derivatives’, designs ‘marketing flow chart of movie derivatives’ and ‘industry chain of movie derivatives’ to form various discourse systems of ‘consequent derivative’, ‘reverse derivative’ and ‘interactive derivativ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representative countries' movie derivatives and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na's movie derivatives market. This paper also puts forward the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for movie derivatives entering the Chinese market based on the marketing theory, which provides decision-making references for enterprises, South Korean enterprises in particular, to carry out the international marketing of movie derivatives. 미국 시장리서치회사인 NPD Group에 따르면 2017년 할리우드 영화의 해외 수익의 30~40%는 박스오피스에서 나왔고 나머지는 영화 파생(派生)상품(電影衍生品)(Movie Derivatives)과 판권 판매에서 나왔다고 한다. 현재 영화 파생상품의 디자인과 생산이 가장 활발하고 마케팅이 가장 성공한 나라는 미국이다. 일본은 수많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생상품으로 성공했다. 한국의 영화산업은 잘 되어 있고 제품 디자인과 개발 등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한국은 미래의 영화 파생상품 개발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기본적으로 인구의 수가 많고 소득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의 이유로 대중의 소비의지와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에 중국 영화 흥행은 매년 최고를 기록해 영화 파생상품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파생상품의 현황과 특징 분석을 통해 외국 학자와 기업이 중국 영화 파생상품 시장의 현황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화적 차이를 넘어 중국 소비자의 수요와 소비 습관을 알 수 있다. 영화 파생상품의 내포와 외연확장, 창조성을 재지정하려는 영화 파생상품 전체 제품 개념을 제시했다. 그리고 영화 파생상품 마케팅 흐름도, 영화 파생상품 산업구조(產業鏈) 및 영화 파생상품 마케팅 시스템과 생태계를 설계하여 순방향 파생, 역방향 파생, 상호 파생 등의 말 체계를 형성하려고 시도했다.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이론에 따라 영화 파생상품의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려고 한다. 특히 한국 기업에게 영화 파생상품의 국제 마케팅을 위한 의사결정에 대해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두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 본 연구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영화 마케팅(Movie Marketing) 이론, 마케팅 환경(Marketing Environment) 이론,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이론, 그리고 영화 파생상품의 정의를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영화 파생상품의 특징과 마케팅 사례에 대해 분석했다. 제4장에서는 영화 파생상품과 문화 IP를 분석했다. 영화 파생상품은 문화 IP 가치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방식이다. 제5장에서는 중국 영화 파생상품의 발전(發展)과정과 시장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 제6장에서는 중국 시장의 영화 파생상품 마케팅 전략을 모색했다. 제7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 본 연구에 주요 관점과 연구 성과를 총괄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 영화<와호장룡(臥虎藏龍)>의 미국 수용에 대한 고찰

        이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일반적으로 무협 장르는 통속성과 오락성으로 대중문화 속에서 인기를 모인 것이지만 통속 문화와 엘리트 문화를 절묘하게 결합시켜서 무협장르 창작의 고유형식을 넘어 현실 문화 환경에 맞춰서 현대적 의미를 표현할 것이다. <와호장룡>은 무협장르의 현대적 창작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클래식 영화의 품질에 도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일반 관객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영화 <와호장룡>의 시각적인 동양미, 패미니즘 풍조, 그리고 의사소통 측면의 원활한 자막번역 세 방면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와호장룡>의 미국 수용을 분석하며 이 문화현상이 생성된 원인을 탐색하려고 한다. 타자화 인식으로 인해 서양영화 속에 동양인 이미지는 항상 부정적이었다. 이소룡은 쿵푸스타로 나타나서 뛰어난 격투 실력으로 동양 무술의 매력을 선보였다. 동양무술은 서양 격투술 보다 공격 효율이 높으며 동작이 민첩하고 시각적인 미감도 갖춤으로 서양에서 인기를 누리게 된다. 그러므로 쿵푸영화는 서양에서 수용도 가장 높은 장르로써 서양관객에게 비교적 높은 호소력이 있다. 이안 감독은 이 무협장르를 다룰 때도 그의 일관적인 연출방식을 고수하여 흥행요소를 채택하면서 예술성을 편중하게 연출했다. 그러므로 <와호장룡>은 다른 쿵푸영화처럼 단순히 동작의 복잡함과 화려함으로 관객을 이끌지 않고, 대신 소박하고 부드러운 액션과 동양산수화 같은 색채, 그리고 각양각색의 동양 기호를 충분히 운용해서 동양 유도사상의 풍운(?L??)을 관객에게 전달하고 환상적인 예술 분위기를 구축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와호장룡>은 일반 쿵푸영화보다 초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메인스트림 영화 속에서 여성은 보편적으로 남성관객의 감상 대상으로 설정된다. “본드걸’ 캐릭터는 이러한 영화서사의 대표적인 예다. 이러한 섹시하고 연약한 여성에 대한 구원을 통해서 남성관객들이 여성을 훔쳐보는 즐거움을 만족시키고 남성으로서 지배적 지위를 확보한다. 일부 진보적인 영화는 이러한 보편적인 현상에 대항하는 여성의 자아의식의 각성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재 미국 대중 영상 속에 “남자보다 사나운” 여성캐릭터의 흥행 현상은 겉에서 진보적 여성의식을 가진 영화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여성을 남성관객의 소비대상으로 한 본질이 여전히 변함이 없으며 오직 다른 형식의 변형에 불과하다. <와호장룡>에서 나타난 이러한 대중문화 속의 유행풍조와 부합한 요소는 수용을 받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고 해야 한다. 하지만 이안은 주인공의 자아의식의 각성과 운명에 대한 반항을 통해서 이 여성 주제를 인성의 차원에 올렸으므로 영화의 의미를 심화시킨다. 동시에 세 여성의 투쟁정신은 현대사회의 여성들에게 공감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현실 측면의 진보적인 의미를 지니다. 그리고 <와호장룡>은 간결하고 명확한 영어자막이 달려 있어서 미국 관객과 지장 없이 원활한 소통을 이뤘다. 자막 역자는 수용자인 미국 관객의 입장에서 출발하여 원문과 경쟁하고 타협하는 방법으로 중국문화에 담긴 단어들을 효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영화의 미국 수용을 확보한다. <와호장룡>의 미국 수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세계가 일체화 되는 추세아래서 동양문화가 세계에게 적극적으로 자아 표현하는 가능성과 경험을 짐작할 수 있다. 台&#28286;&#30005;影&#23548;演李安在2000年拍&#25668;的&#30005;影<&#21351;虎藏&#40857;>在美&#22269;&#30005;影市&#22330;&#25472;起一&#38453;中&#22269;狂潮,成&#20026;了有史以&#26469;美&#22269;上映&#33719;票房最高的外&#35821;片,&#24182;一&#20030;&#22842;得&#22885;斯&#21345;四&#39033;大&#22870;。 本&#35770;文以一般受&#20247;的&#35270;角入手,&#23581;&#35797;&#23545;<&#21351;虎藏&#40857;>在美&#22269;的收用原因&#36827;行初步的分析。&#29616;今,在&#19996;方主&#20041;的心理作用之下,西方&#30005;影中呈&#29616;的中&#22269;在&#28176;&#28176;&#21457;生&#36716;&#21464;,&#20174;一味的歪曲丑化到&#29616;在的部分美化,李安以他的特殊文化背景&#23545;他想象中的中&#22269;作了一次唯美的&#35808;&#37322;,他在&#30005;影中&#33829;造的&#19996;方意境&#24102;&#32473;西方&#35266;&#20247;全新的&#20307;&#39564;,&#24182;借助了在西方接受度&#36739;高的武&#26415;&#39064;材,以富于想象的影像&#35821;言&#20256;&#36798;了&#19996;方思想的境界。<&#21351;虎藏&#40857;>中的女性形象的意&#20041;&#19982;&#29616;代美&#22269;大&#20247;文化中流行女性主&#20041;的契合使影片在被接受的&#36807;程中,毫无障碍的得到了西方&#35266;&#20247;的共&#40483;。<&#21351;虎藏&#40857;>的字幕&#32763;&#35793;也在&#24456;大程度上促成了西方&#35266;&#20247;&#23545;影片的理解。 本文&#32508;合&#36816;用了&#19996;方主&#20041;理&#35770;,影像&#20256;播受&#20247;理&#35770;以及社&#20250;心理&#23398;理&#35770;及&#32763;&#35793;&#23398;理&#35770;,&#23545;<&#21351;虎藏&#40857;>得以在美&#22269;等西方&#22269;家受&#27426;迎的原因&#36827;行了初步的分析和&#24635;&#32467;。希望可以&#20174;此借&#37492;在&#24403;今的&#22269;&#38469;文化&#27675;&#22260;下如何更有效的&#23558;&#19996;方文化展&#29616;&#32473;世界。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이요나 고려대학교 그린스쿨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VRFB) were synthesized and charaterised. First, BIm (2-mesityl benzimidazolium) as anion exchange group, was attached to the C2-position of polybenzimidazole via a hexyl spacer. For the synthesized product, BhPBI, it is expected that the crystalline phases of mPBI will be interrupted and that the vanadium permeability will be reduced by bulky and cationic BhPBI side groups. Although both water and sulfuric acid uptake of BhPBI were lower than for mPBI, BhPBI showed higher conductivity than mBPI. In VRFB cell test, the BhPBI membrane exhibited higher performance than mPBI with excellent CE and higher VE, which could be explained by low vanadium permeation due to charge repulsion, in addition to the narrow size of those domains and ex-situ higher conductivity of BhPBI. Second, sulfonated copper phthalocyanine (CuPCSA) was embedded into Nafion membranes in ratios of 0, 1.25, 2.5, 5 and 7.5 wt%. The absence of CuPCSA related peaks in WAXS patterns indicated that CuPCSA did not form a crystalline phase during membrane formation.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were highest in the range of 2.5-5wt% CuPCSA. As demonstrated for Nafion 212, the weight gain and swelling in water based solutions decreases when the sulfur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s from 0 to 2M. In 2M sulfuric acid, addition of CuPCSA increases the weight gain. In the flow battery, the coulomb efficiency increases with the amount of CuPCSA. This affects the energy efficiency so strongly, that it follows the same trend as the coulomb efficiency. During cycling, the cell with Nafion/7.5 wt% CuPCSA showed the highest discharge capacity and the lowest difference between charge and discharge capacity. A strong drawback is the insufficient stability of CuPCSA in the presence of VO2+. VO2+ ions entering the membrane immediately oxidatively hydrolyse CuPCSA to sulfonated phthalimide. XPS analysis of a degraded membrane still showed the presence of nitrogen species after VRFB testing. Thus, the remaining degradation products of CuPCSA control the properties of the membranes in an advantageous way.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VRFB)용 membrane이 합성되었으며, 분석되었다. 먼저, 음이온 교환 그룹인, BIm (2-mesityl benzimidazolium)은 폴리벤즈이미다졸의 C2위치에 헥실 스페이서를 통해 연결되었다. 합성된 BhPBI는 bulky한 양이온의 side group으로 인해, mPBI의 결정상이 방해받으며, 바나듐 투과성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록, BhPBI는 물과 황산의 흡수도는 mPBI 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더 높은 전도성을 보였다. VRFB cell test에서 BhPBI membrane은 mPBI보다, 우수한 쿨롱 효율과 높은 전압 효율을 보이면서 더 높은 성능을 보였는데, 이는 domain 의 작은 크기뿐 아니라 전하 반발력으로 인한 낮은 바나듐 투과성과 높은 전도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두번째로, sulfonated copper phthalocyanine (CuPCSA)는 Nafion membrane에 0, 1.25, 2.5, 5, 7.5% 비율로 삽입되었다. WAX 패턴에서 CuPCSA peak가 관찰이 되지 않았는데, 이는 membrane 형성 중 CuPCSA가 결정상을 형성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Tensile strength 와 Young’s modulus는 2.5-5wt% CuPCSA 범위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Nafion 212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물을 기반으로 한 물의 흡수도 와 팽창도는 황산의 농도가 0-2 M로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2M 황산에서 CuPCSA의 양이 증가할수록 황산의 흡수도가 증가하였다. 플로우 배터리에서 쿨롱 효율은 CuPCSA의 양에 따라 증가였는데, 이것이 에너지효율에 강하게 영향을 끼쳐, 쿨롱 효율과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사이클 동안, Nafion 과 7.5wt% CuPCSA membrane의 셀은 가장 높은 방전 용량 과 충/방전 간 가장 낮은 용량 차를 보였다. 단점으로 VO2+ 존재 시, 안정성이 불충분해진다. VO2+는 membrane 안으로 들어가, 즉시 CuPCSA를 sulfonated phthalimide 로 산화분해한다. 분해된 membrane의 XPS 분석을 통해, VRFB 테스트 후에도 여전히 질소 종의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남아있는 분해된 CuPCSA 물질이 membrane의 성능을 유용한 방식으로 조절한다.

      • 고객체험이 고객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객특성 및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

        이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생활의 수준이 향상하고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고객들은 단순히 생활을 유지하는 생활필수품뿐만 아니라 즐거움이나 편리를 가질 수 있는 전자제품의 수요가 급하게 증가하였다. 경영자들은 치열한 경쟁 중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마케팅과 차이가 있는 체험마케팅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징에 있는 전자제품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고객체험이 고객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다. 그리고 고객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고객특성 및 브랜드 이미지가 조절변수로 고객체험과 고객태도에 영향관개에 대한 조절관계를 검증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고객체험이 고객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고객체험이 좋을수록 좋은 고객태도를 형성하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둘째, 고객체험이 고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고객특성이 조절효과가 있다. 남자가 여자보다 좋은 고객체험이 좋은 고객태도를 형성하는 가능성이 더 높다. 셋째, 고객체험이 고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브랜드 이미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나지 않다. 넷째, 고객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고객태도는 좋을수록 구매의도가 높다. 그리고 연구 분석결과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과 연구의 방향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consumer demand for electronic products increase. Operators in order to win in the fierce competition, began to use new one operation strateg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in electronics flagship store customer experience in the formation of custo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lso analysis the customer attitude and brand image as the regulating effect of regulating variable customer experience and customer attitude. Experimental results show briefly as follow: 1. Customers attitudes have an impact on customer experience. 2. Customer experience has regulating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and customer attitude. 3. Brand image does not have regulating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and customer attitude. 4. Customer attitudes have an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is thesis discusses the strategic revelation points of the research,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as well as the limitations.

      •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적용한 테크웨어 디자인 연구

        이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e 2000s, movements to expand various aesthetic concepts and areas expanded in the fashion field, and design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ly. In particular, the culture of the 20th century, which led to changes in the rapidly changing era and social environ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fashion design, and fashion design continued to change in style, formativeness, and materials by reflecting these cultur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which presented new values and perspectives in the mid-to-late 20th century,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ism expressed in architecture as a motif, and applied experimental design to techwear, which is emerging in men's fashion in the 21st century. wanted to develop it.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was to theoretically analyze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deconstr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ist architecture, fashion with deconstructionist characteristics, and techwear through prior research and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recent trends in techwear, Images of techwear style were analyzed in men's fashion collections(New York, Paris, Milan, London) for each year (2017-2024).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deconstruction was proposed by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a in the 1960s. It criticized the substance and essential certainty of Western philosophy, which was the absolute value of the time, and presented a new context in which the existing structural system was dismantled, reconstructed, and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was applied to design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fashion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n the 1970s and 1980s, raising questions about form, func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and presenting experimental designs that destroyed and reconstructed them. The representativ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were analyzed as repetitiveness, amorphousness/indeterminacy, distortion and fragmentation of form, and post-phenomenon. The charac teristics of deconstructivist fashion were also analyzed to be similar to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such as post-phenomenon, indeterminate method, incongruity, and boundary dissolution. It was confirmed that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Architecture and fashion with deconstructive values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solid aesthetic values and apply new design perspectives, values, and components to present designs that reflect the values of the times from the lat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Techwear, which originated from military culture, reflects cutting, material, and style considering activity and functionality, and has transformed into a modern style by combining the aesthetics of streetwear. Techwear is currently an emerging field in men's fashion,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ensuous style not only for outdoor activities but also in everyday life. Since 2010, it has been presented in various fashion collections, and its scope in the fashion market is expanding. In this study, amorphousness/uncertainty, distortion and fragmentation of form, and post-phenomenon were derived as the main element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e architecture. Irregularity /uncertainty represents elements of uncertain and fluid direction and irregular lines, distortion and fragmentation of form represent folding wrinkles and layering for uncertain overlapping of fragments, and dephenomenalization refers to decomposition and division of fragments, merging and colliding with them. It represents a type of reconstruction. These were applied in fashion design as a method of expression of the composition of indeterminate incisions and layered lines, atypical lines, three-dimensional shirring wrinkles and changed layering of pieces, as well as disassembled and divided pieces, incisions of unstable lines, and dual reconstruction through incisions and layering. The five men's techwear designs ultimately developed included a bomber jacket, field jacket, hooded coat, deck jacket, vest, and pants. Each design applied fashion expression techniques that reinterpret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ve architecture selected earlier, resulting in expressions such as contrast between flat and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 of lines and colors, and overlapping surfaces. Each design was developed into fashion illustrations, schematics, and color mapping diagrams, and was ultimately completed as an actual costume. The techwear desig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presented a design that combined the uncertainty of deconstruction, the concepts of de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the functionality of techwear.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echniques such as wrinkles, layering, incision, and color combination were applied to each design in different compos itions, resulting in a collection that was unifi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designs. This study combined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ism, and the trend of techwear to present a design with new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for techwear that is emerging in the men's fashion market. In the changing 21st century men's fashion industry, it can be considered a practical, functional, and original design by extracting and applying unique design elements through the fusion of the changed concept of social design of the era and realistic market tendencies. 2000년대 들어 패션분야는 다양한 미적 개념과 영역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확대됐고, 디자인은 그에 따라 다각도로 변화했다. 특히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이끌었던 20세기 문화는 패션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패션디자인은 이러한 문화적 흐름과 특성을 반영하여 스타일, 조형성, 소재 등에서 변화를 지속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세기 중후반 시대의 새로운 가치와 관점을 제시한 해체의 개념과 이를 건축으로 표현한 해체주의의 조형적 특성을 모티브로 하여, 21세기 남성 패션에서 대두되고 있는 테크웨어에 적용한 실험적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해체의 철학적 개념과 해체주의 건축의 특성, 해체주의 특성의 패션, 테크웨어에 대해 선행연구 및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으로 분석하였고, 최근 테크웨어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최근 7년간(2017-2024) 패션컬렉션(뉴욕, 파리, 밀라노, 런던)의 남성복에서 테크웨어 스타일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해체의 철학적 개념은 1960년대에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당시 시대의 절대적 가치관이었던 서구 철학의 실체 및 본질적 확실성을 비판하고 기존의 구성 체계를 해체하고 재구성, 재해석한 새로운 맥락을 제시하였다. 해체의 개념은 1970~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이 영향 하에 건축과 패션 등 디자인 분야에 적용되어 형태, 기능, 구성, 구조 등에 의문을 제기하고 그들을 파괴하고 재구성한 실험적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해체주의 건축의 대표적 조형적 특성으로 반복성, 비정형성/불확정성, 형태의 왜곡과 단편화, 탈현상으로 분석하였고, 해체주의 패션의 특성 역시 탈현상, 비확정적 방식, 부조화, 경계 해체 등 해체주의 건축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체적 가치의 건축과 패션은 기존의 굳건했던 미적 가치를 탈피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관점과 가치, 구성 요소를 적용하여 20세기 후반에서 현재까지 시대적 가치관을 반영한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 밀리터리 문화에서 발생한 테크웨어는 활동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컷팅, 소재, 스타일을 반영한 것으로 스트리트 웨어의 미학을 융합하여 현대적 스타일로 변화한 것이다. 테크웨어는 현재 남성 패션에서 대두되고 있는 분야로, 야외 활동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감각적인 스타일로 주목받고 있다. 2010년 이후 패션컬렉션에서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패션시장에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적 특성으로 비정형성/불확정성, 형태의 왜곡과 단편화, 탈현상을 주요 요소로 도출하였다. 비정형성/불확정성은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인 방향성과 비정형적 선의 요소를 나타내며, 형태의 왜곡과 단편화는 단편의 불확실한 중첩을 위한 폴딩 주름과 레이어링을, 그리고 탈현상은 조각을 분해, 분할하여 병합과 충돌하는 듯한 형태의 재구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패션디자인에서 불확정적 절개와 레이어링된 선의 구성과 비정형적인 선, 입체적 셔링 주름과 조각들의 변화된 레이어링, 그리고 분해 및 분할된 조각, 불안정한 선의 절개, 절개와 레이어링을 통한 이중적 재구성의 표현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5개의 남성 테크웨어 디자인은 보머 재킷, 필드 재킷, 후디드 코트, 덱 재킷, 베스트, 바지를 포함하였다. 각 디자인은 앞에서 선정한 해체주의 건축의 조형적 특성을 재해석한 패션의 표현 기법이 적용되어 평면과 입체의 대비, 선과 컬러의 교차, 중첩된 표면 등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각 디자인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컬러 맵핑 도식화로 전개되었고, 최종적으로 실물 의상으로 완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테크웨어 디자인은 해체의 불확정성, 파괴와 재구성의 개념과 테크웨어의 기능성을 결합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주름과 레이어링, 절개, 배색 등의 기법의 공통적 특성을 각 디자인에 각기 다른 구성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특성과 통일된 컬렉션으로 완성되었다. 본 연구는 해체의 개념과 해체주의의 특성, 그리고 테크웨어의 트렌드를 융합하여 남성 패션 시장에서 대두되고 있는 테크웨어에 새로운 특성과 구성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변화하는 21세기 남성복 패션산업에서 시대 사회적 디자인의 변화된 개념과 현실적 시장 성향의 융합을 통해 독특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실용적, 기능적, 독창적 디자인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