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과 문화적응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옥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부부적응에 영향을 주는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과 문화적응이 부부적응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들 변수 간의 매개효과를 포함한 경로관계와 구조를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의 건강성과 문화적응이 다문화가정 부부적응에 기여하는 순기능적인 역할을 파악하고 임상적 함의를 도출해내는데 연구의 근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과 문화적응요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을 16개의 하위문항을 통해 알아본 결과 평균은 3.78이었고, 대체적으로 수용적이고, 존중과 배려를 받는 가정에서 자랐고, 형제들과 공평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면서 자랐다. 문화적응태도 중 다문화수용태도 평균은 3.48로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한국어를 배우고, 남편과 한국어로 대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자문화전달태도 정도는 평균이 3.11로, 자국의 문화를 남편에게 전달하는 태도에 있어서는 모국의 생활방식과 예절에 대해 말로 전하고, 모국의 음식을 남편에게 알려주는 것에 대해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정도는 균이 3.17로, 결혼이민자이기 때문에 한국사회에서 제대로 대접을 못 받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결혼이민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 적응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부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결혼이민여성의 연령’, ‘결혼이민여성의 학력’, ‘결혼이민여성의 국적’, ‘결혼이민여성의 결혼기간’, ‘결혼이민여성 자녀수’, ‘결혼이민여성 결혼유형’, ‘결혼이민여성 가족형태’,‘ 결혼이민여성 가족관계’, ‘결혼이민여성 경제적 지원’, 변인을 선정하여 그에 따라 부부 적응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는데 모든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셋째,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과 문화적응요인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과 문화적응요인이 부부 적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부부 적응도가 좋고, 문화적응스트레스보다는 문화적응태도가 부부 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민여성이 남편의 문화를 배우고 이해할수록, 남편에게 자국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부부 적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혼이민여성의 원가족건강성(r=0.351) 보다는 문화적응요인(r=0.587)이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부부가 적응을 잘 하기위한 문화적 배려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등 실천 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know the effect of health in family of origin and cultural adapta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on dyadic adjustment of married couples and to promote role is to allow positiv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arried women migrants in the regions of Seoul province, who included 143 women.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As for data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verage of health in family of origi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got 3.78 and they grew up in acceptance and respect and consideration. The recipient attitude toward multiculture of married women immigrants average was 3.48 and attitude of conveying native culture average was 3.11. The culture adjustment put pressure average was 3.17. Second, as a connec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yadic adjustment of married couples was not a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health in family of origin and cultural adaptation of married women immigrants has meaningful impact on dyadic adjustment of married couples. Health of Immigrant Women ie that higher marital adjustment to the family of origin has a good,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attitude adjustment a couple more influence. Effect of the cultural adjustment(r = 0.587) on the couple adjustment h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strengths of family of origin(r = 0.351) in Immigrant Women. Base on the results, variety of program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actices were proposed to facilitate multicultural families adaptation.
적송잎 추출물의 proanthocyanidin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검증을 통한 추출 공정확립
Flavonoids in pine needles are known to be effective scavengers of free radical. Especially, proanthocyanidin, a kind of flavonoids possesses cardiovascular protec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This stydt evaluated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pine needle extracts prepared by using hot water, ethanol, hexane or sub-supercritical CO2. And two pine needle extracts prepared by combined extraction methods and compare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Amounts of proanthocyanidin of sub-supercritical hotwater precipitate(SSHP) and sub-supercritical hotwater supernatant(SSHS) were 9.9 and 3.6 mg/g, respectively. Thus, the ratio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over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SSHP and SSHS were 4.3 and 3.9%, respectively. Analyses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and proanthocyanidin in each extracts indicated that sub-supercritical hotwater extracts contain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but sub-supercritical extract contained the lowest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in each extracts showed that sub-supercritical extract possessed the highest content, but hot water extract possessed the lowest cont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xtract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both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and proanthocyanidin could be obtained by using sub-supercritical hotwater extracts. Each extracts indicated that SSHP contain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but sub-supercritical extract contained the lowest concentra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IC50) of SSHP and SSHS measur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were 41.5 and 50.7 μg/m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two combined extracts, SSHP and SSHS show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ies than extract prepared by hot water or sub-supercritical. In conclusion, extraction procedures for SSHP and SSHS could be useful methods for preparing the effective components of functional food products.
국선도 수련의 주관적 건강 수준과 생활만족도의 인지변화
국문초록 국선도 수련의 주관적 건강 수준과 생활만족도의 인지변화 이 옥 희 운동처방 및 건강관리 전공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본 논문은 국선도를 지속적으로 수련하면서 나타나는 국선도의 수련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점검에 의한 수련전후 신체적 정신적 건강수준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수련 이전 대비 수련 이후 신체적 정신적 만족도에 대하여 수련의 강도(Strength)인 건강수준의 변화량과 수련 후 건강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나타나는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선도 수련 과정에 체험한 건강문제를 수련 전, 후“최하”의 수준부터 “최상”수준까지7단계로 구분한내용과 14개 건강계통 즉 비만, 체형, 척추이상, 관절염, 견비통, 요통 등 형신계통과 호흡기계, 혈, 순환기계, 내분비계, 배뇨기계, 부인과계, 피부과계, 두통 정신적 스트레스 등 정신신경계에 대하여 2015년 7월에 면담과 8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련 후의 건강수준 평균 변화량이 크게는 혈, 순환기 계통의 경우 수련 전 대비 약 20%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건강계통 전반에 걸쳐 수련 후가 수련 전보다 상당 수준 개선되어 나타났다. 수련 기간이 오래될수록, 주간 수련빈도가 많을수록 건강수준의 변화량은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국선도 수련에 따른 건강수준의 개선효과는 신체의 특정부위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나기보다, 신체부위가 서로 연계되어 전반적인 개선으로 결합되어 나타났다. 더욱이 정신신경과 계통과도 그 효과가 상관관계를 갖고 있어, 국선도는 심신 모두의 건강을 유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심신수련법임을 실증할 수 있었다.
<산아지타령>은 전승범위나 전승양상을 고려할 때 남도지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요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했던 1. <산아지타령>의 명칭 2. 演行과 傳承樣相, 3. 사설에 투영된 민중의식에 관한 고찰을 통해 <산아지타령>의 총체적인 의의와 남도민요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찾고자 하였다. 첫째, <산아지타령>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명칭 가운데 민요조사자들이 <산아지타령>이라는 명칭을 대표명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굳어지게 되었다. '타령'이라는 어휘에 주목한다면 '가창유희요'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하겠으나 <산아지타령>의 성격을 제대로 밝히기 위해서는 演行樣相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산아지'의 산은 山을 의미한다. <산아지타령>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간지역을 본원지로 하는 민요이기 때문에 山과의 관련성은 필연적이다. '산+아지'의 결합은 음악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음절수를 변화시킨 것으로 보여지나 앞으로 더 심도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산아지타령>의 演行樣相을 살피기 위해 <산아지타령>의 연행현장과 예술적 형식을 살펴보았다. <산아지타령>은 논매기, 논매기를 끝내고 하는 장원질, 물레질, 밭매기 등의 노동현장에서도 불리우고, 노동의 현장을 떠나 산다이판 등의 노래판이 벌어질 때, 여럿이 모였을 때, 흥이 나면 아무때나 등으로 다양한 연행현장에서 사랑받은 노래였다. <산아지타령>의 연행현장을 살펴볼 때 노동요로 불리웠을 때에도 필수적으로 행동의 통일이 요구되는 경우보다는 비교적 일하는 사람이 일의 속도에서 자유로운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산아지타령>의 예술적 형식은 4歌步格의 歌唱構造와 分章體 형식과 詩想展開의 二段構成, 육자배기토리의 旋律構造 등으로 정리된다. 歌唱構造는 사설과 창곡을 연결짓는 틀을 의미하며 歌步는 창곡과 사설이 만나 함께 덩이지는 처음의 단위를 말한다. <산아지타령>은 4가보격의 가창구조를 지닌다. <산아지타령>의 詩歌文學的 형식을 살펴보면 분장체 형식이면서 각 聯은 시상의 완결단위로서 사설이 독립해 있다. 또한 문장의 구성은 接續文의 형식을 취하는데 이러한 형태는 바로 <산아지타령>의 詩想이 先後接續이라는 二段構成을 취해 실현됨을 의미한다. 先行文과 後行文이 결합할 때 두 행은 서로 대등하거나 대조적이거나, 서로 보완하는 형태를 취한다. <산아지타령>의 선율구조를 살펴보면 '미 라 시 도 레'의 전형적인 육자배기토리의 선율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산아지타령>의 분포현황과 기능의 확대, 재창조의 양상을 통해 <산아지타령>의 본래적인 근원지와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산아지타령>은 본래 지리산과 섬진강 유역을 근간으로 하는 논매기 노래였다. 이들 지역은 호남의 좌도 풍물굿과 판소리 동편제의 지역과 일치하며, 음악에 있어 힘차고 남성적이며 우도에 비해 가락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산아지타령>은 교통의 발달로 인해 지역간의 교류가 확대되는 외적인 요인과 남도민요의 전형적인 선율구조와 뛰어난 예술성을 보유한 내적인 요인에 힘입어 다른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되었으며 기능이 확대되고 <물레타령>과 <진도아리랑>으로 재창조될 수 있었다. 넷째, <산아지타령>의 사설에 투영된 民衆意識은 노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家族에 대한 책임의식, 抗日 批判정신, 醉□의 遊樂意識 등으로 정리된다. <산아지타령>은 가장 기층적인 민중의 삶과 밀착된 민요로서 사설에는 민중들의 갖가지 생활 모습과 더불어 삶의 즐거움과 보람, 그리고 삶의 모순에 대한 애환과 비판이 꾸밈없이 드러나고 있다. <산아지타령>은 전형적인 남도민요의 특징을 갖춘 민요이다. 남도지역의 全域에서 사랑받은 가장 기충적인 민중의 노래로서 사설에는 남도민들의 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보편성과 예술성을 기반으로 노동요에서 가창유희요로 기능이 확대 되었으며 다른 민요로 재창조되었다. Studies of <San Ah Ji Ta Ryung> are very rare though it has much mire weight in Namdo area considering its range or aspect of transmission. This study is for uncovering total significances and position where it located through survey these ; 1. The name of <San Ah Ji Ta Ryung> 2. Performances and aspects of transmission 3. Considering about the people consciousness which include in story. First, the name, <San Ah Ji Ta Ryung> became settled by using a representation name of <San Ah Ji Ta Ryung> used to by folk researchers among various names. It could be a strong character 'Taryung' means but discovering its style clearly, we have to know the type of performance. 'San' of 'Sanahji' stands for mountain. Folk songs have deep relation with lives of people because it is created by people's need. <San Ah Ji Ta Ryung> also connected mountain because it is based in the mountain area, Mt. Jiri. Combination of two words between 'San' and 'ahji' seems a changing to get a sounds effect but it need study more. Second, this study has surveyed for searching art type and performance event of <San Ah Ji Ta Ryung>. <San Ah Ji Ta Ryung> is the song that sung while people work in the field like weeding a rice field, Janwonjil, spinning and when they get together or make a place by people. It sung any time and any where that people make small groups and played performance very popularly. <San Ah Ji Ta Ryung> is quite freely performed as follow worker acting instead of acting equal when it used for working song. Art type of <San Ah Ji Ta Ryung> is consist of these : 4 foots song structure, verse separating style, double construction of story, Uykjabaegitori melody forming. Song structure means tool of connecting words and tunes. Foots meaning first unit that made up for join words and tunes. <San Ah Ji Ta Ryung> is consist of 4 foots structure. Shape of < San Ah Ji Ta Ryung> as a poem and song is verse separating style. And also every stanzas are support themselves as a perfect unit of story lines. In addition sentence are composed with conjunction that realized for double construction which <San Ah Ji Ta Ryung> story line reached back and forth. When lead verse and fallow verse are united, both are equal or contrast or complement each other. Melody organizations of <San Ah Ji Ta Ryung> is typical forms to Uykjabaegitori : Mi, Ra, Si, Do, Re. Third, this study found a origines of <San Ah Ji Ta Ryung> and its worth while through distribute range, function expansion and recreation conditions. The origins of <San Ah Ji Ta Ryung> is song for weeding rice field form the key note on Mt. Jiri and Sumjin river area. There are same place from farm playing and Pansori Dong Pyun Jae. Strong powerful and fast song type is main character of <San Ah Ji Ta Ryung>. <San Ah Ji Ta Ryung> spreads very fast in both side; often interchanging between region to region as growing transport services out side, concluding a excellent art of typical melody form in Namdo itself. Finally it recreated as <Mulreitaryung> and <Jindo arirang>. Fourth, the consciousness of people which reflected to the word to <San Ah Ji Ta Ryung> is remaining positive mind of work, responsibilities to their family, anti - Japan out look, enjoy their life one another with happy drinking. <San Ah Ji Ta Ryung> is adhere closely to life that the lowest masses and words says a lot of their life picture happiness fruit, joys and sorrows of livings frankly by common people with fondness which reached closest part of their life and the words appear Namdo people's significant. It expended from function songs to nonfunction song founded on superior art and remake as other folk songs.
초기 한국개신교 형성에 미친 권서들의 활동에 대한 연구
이옥희 한신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지금까지 우리는 개신교 수용기의 한국교회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권서들의 성경번역과 반포, 전도와 권서활동, 교회설립과 민중 지도력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켜 왔다. 한국 기독교는 100년이라는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교회의 폭발적인 증가와 활발한 선교사업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음의 전도자로서 한국교회의 기초를 닦으며 교회를 세운 '권서'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교회사에서 그들에 대한 정당한 자리매김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권서'라는 용어 자체가 한국교회사의 서술에서 낮선 것은 그 동안 한국기독교사 연구가 선교사 중심적 혹은 영웅주의적 시각을 견지해 왔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본 논문은 선교사들의 영웅적인 선교활동과 네비우스 선교정책의 그늘 아래서 제대로 주목받지 못한 권서들의 선교활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평가를 촉구하며 '권서'들이야말로 오늘의 한국교회 기초와 특징을 형성한 한국교회 개척전도의 실질적인 주역이며 민중의 지도력이었음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자료의 부족으로 권서들의 선교사들과의 관계와 교회활동, 역사의식과 사회참여를 자세하게 다루지 못하였으며 그들에 의해 개종한 제2, 제3의 평신도들의 자발적인 선교 · 사회 활동과 교회설립 그리고 선교사 입국 후에도 여러 권서들에 의해 세워지는 많은 교회들과 초기 권서들의 관계와 영향을 고찰하지 못하였다. 서상륜에 대한 자료는 그런대로 구할 수 있었지만, 김청송, 이응찬, 백홍준, 이성하, 김진기, 류춘천 등에 대한 자료는 몇 페이지 또는 몇 줄에 불과하였다. '권서'들에 대한 깊은 관심과 정확한 인식과 정당한 자리매김이 자료발굴과 학문적 정리작업들에 의해 지속되어 21세기 한국교회 부흥과 갱신을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unseling experience process of clients to confirm counseling outcomes, and investigated which personality strengths of the counselors influence and effectively act on counseling in the process. For this, a hermeneutic grounded theory method suitable for understanding human subjective experiences was selected, and 10 client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82 semantic units, 24 subcategories, and 9 hermeneutical themes were derived,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discover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mbining them and aligning and organiz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nected categor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counseling experience process by linking the meanings between categorie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unselor's therapeutic relationship, promotion of counseling relationship, self-opening, self-understanding, acceptance and stability, cognitive change, problem solving process, positive self-awareness, change and potential The stage of discovery was drawn. Next, as a result of continuous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nd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ategories and the categories through an analytic cycle, the core categories of counseling experience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re self-understanding and self-understanding based on therapeutic relationships. It was the expansion of awareness and the discovery of potential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problem solving. The most effective counselor's personality strength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was kindness (n=9), and sincerity (n=8), purposefulness (n=7), insight (n=5), passion, leadership, and devotion (n=4), humility, humor (n=3), openness, patience, love, fairness, hope (n=2), curiosity, forgiveness (n=1), in order of high frequenc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the counselors according to the counseling process, personality strengths such as kindness, sociality, and sincerity appeared mainly in the early stages, and in the middle period,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the counselors related to problem solving such as insight, purpose, leadership, and passion were remarkable. In the latter part, the counselor's humility, love, and hope appeared as personality strengths. Personality strength is a factor that is naturally revealed in the counseling proce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unselor's personality strength is used as a powerful tool for counseling in the counseling scene based on interaction, and as a result, has an effective effect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performance.
중소벤처기업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이 직원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관계혁신문화의 매개효과
이옥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raw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the stable growth of the organization by reduc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EO's core competency and corporate culture, breaking out of the existing approaches in terms of personnel system, such as compensation and promotion, etc. Through the resource-based theory(Barney, 1991)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CEO’s core competencies such as entrepreneurship, decision-making competency, and work competency were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s. The relation-innovation culture was set as mediated variable to study the relationship with employee’s turnov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EO's decision-mak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turnover rate, but entrepreneurship and work competenc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Since the CEO's desirable decision-making on compensation,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benefits immediately and directly affects the interests of employees through changes in company policies or systems, there is a possibility of highly significantly lower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O's core competenc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cultu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corporate culture is not only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CEO’s core competency, but also the speed and direction of construc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EO's influe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rporate relation-innovation cultur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ee’s turnover rate. It can be confirmed that employees of companies with a well-established relation-innovation culture have high job satisfaction based on corporate culture pride and have the effect of lower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Fourth, the relation-innovation cultur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s decision-making capability and the employee’s turnover rate, but it has no mediated effect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work competency on the employee’s turnover rate. Is is because decision-making competency can not only have a greater impact on the interests of employees but also exert direct and coercive power than entrepreneurship and work competenc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while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approached the personnel system, such as compensation and promotion, to manage the employee’s turnover rate in SMEs, this study breaks a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 flow and proposes managing employee’s turnover rate by the CEO's core competencies and corporate culture. Second, By presenting quantitative figures for the current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new employees, and the number of turnovers by company, as well as deriv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by the calculation method applied i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roblem of common method bias,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survey, was partially overcome,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were improv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resource-based theory and CEO’s core competency modeling, CEO’s core competencies such as entrepreneurship, decision-making competency, and work competency were derived as research variables. Four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two stages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tool an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concept.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making competency is much more effective in managing the employee’s turnover rate than the entrepreneurship or work competency, because the CEO has the power to directly coordinate the interests of employees through decision-making. Second, in an era where the speed of change is fast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is becoming common, it is important to elicit cooperation from members. CEOs should seek decision-making that emphasizes the balance among rationality, intuition, and dependence rather than blindly excluding intuition or dependence. Third, relation-innovation culture, unlike mission-bureaucracy culture, can be said to be a people-centered corporate culture that values innovation and creativit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human resourc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t was confirmed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uld also make efforts to establish relation-innovation cultur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ed role of relation- innovation culture is increasing to stably manag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well as employee’s turnover rate in uncertain times of the business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벤처기업의 직원이직률 관리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보상, 승진 등 인사제도 측면의 기존 접근 방식을 탈피하여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과 기업문화 관점에서 직원이직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조직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자원기반이론(Barney, 1991)과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의사결정역량, 업무역량을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으로 채택하여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며 Cameron & Quinn(2005)이 분류한 기업문화 유형에서 관계와 혁신문화를 결합한 관계혁신문화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직원이직률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은 직원이직률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기업가정신과 업무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 근무조건, 복리후생 등에 대한 최고경영자의 바람직한 의사결정은 회사의 정책이나 제도의 변화를 통해 직원들의 이해득실에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직원이직률을 유의하게 낮출 가능성이 높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은 관계혁신문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계혁신문화는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최고경영자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구축 속도와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의 관계혁신문화는 직원이직률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혁신문화가 잘 구축된 기업일수록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고 기업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바탕으로 직원이직률이 낮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관계혁신문화는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역량과 직원이직률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나 기업가정신 및 업무역량이 직원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역량은 기업가정신과 업무역량에 비해 직원들의 이해관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직접적이고 강제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이직률 관리를 위해 주로 보상, 승진 등 인사제도 측면에서만 접근하였지만 본 연구는 기존 연구흐름을 탈피하여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과 기업문화에 의한 직원이직률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둘째, 기업별로 현인원, 입직인원, 이직인원에 대한 계량적 수치를 제시하고 통계청 ⌜중소기업실태조사⌟에서 적용되는 계산방식에 의해 직원이직률을 도출함으로써 설문조사의 한계인 동일방법 편의의 문제를 일부 극복하고 연구결과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셋째, 자원기반이론과 최고경영자 핵심역량 모델링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가정신, 의사결정역량, 업무역량 등 최고경영자의 핵심역량을 연구변수로 도출하였다. 넷째,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제고하고 구성개념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2단계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는 의사결정을 통해서 직접 직원들의 이해관계를 조율할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사결정역량이 기업가정신이나 업무역량보다 훨씬 더 직원이직률 관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수평적 조직문화가 일반화되고 있는 시대에는 구성원들의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최고경영자는 직관성이나 의존성을 무작정 배제하기보다 합리성, 직관성, 의존성 간의 균형을 중시하는 의사결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계혁신문화는 과업위계문화와 달리 혁신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사람중심 기업문화라 할 수 있다. 인적자원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중소벤처기업들도 관계혁신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시기일수록 직원이직률 뿐만 아니라 조직유효성과 기업성과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계혁신문화의 매개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놀이중심 집단상담이 정신건강지수가 낮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최근 우리사회에는 집단 따돌림, 학교폭력, 자살 등 청소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회문제에 대한 대상 연령층의 나이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그에 따른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매우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이 취약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후 치료적 개입이 아닌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시도되는 것이며, 실제 놀이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또 그 동안 소외되었던 아동의 놀 권리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보다 바람직한 청소년들의 취약한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적 처치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NEO 성격 검사를 실시한 후 정신건강지수가 45점 이하인 하위 15% 범위에 해당하는 학생을 추출하여 그 중 실험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28명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전국재의 청소년과 놀이문화 연구소에서 개발한 아자! 놀이로 하는 사회 기술 개발 ‘즐거운 만남과 사귐’ 초등학교 고학년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자가 ‘지도자 기본 과정’을 이수한 후, 연구 목적과 대상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1회 60분씩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각각 사회성 검사와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한 후 공분산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중심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놀이중심 집단상담이 정신건강지수가 낮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아동의 성장발달에 있어 놀이가 가지는 본연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입증하는 것이다. 우리사회의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해결이 무엇보다 다급한 상황에서 보다 근원적인 대책과 사전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의 주요 활동 무대인 학교에서의 개입은 교육적 차원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열 경쟁과 학업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다소 긴장을 풀고 본연의 권리이자 과업인 놀이, 그 자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이것을 지원해줄 유용한 프로그램과 교육적 처치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인성장을 위한 밑거름이 될 뿐만 아니라, 미래의 희망인 우리 아이들이 지(智)‧덕(德)‧체(體)의 조화를 이룬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 발달해나가는데 디딤돌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ociality and school adaptation for the inferior mental health group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assum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First, in terms of sociality, the group which has participated in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s not participated. Second, in terms of school adaptation, the group which has participated in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s not participat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mong the 266 5th∼6th grade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selected were 40 subjects who got the lowest mental health scores in the NEO personality test. And 28 volunteers in 40 possible subjects were finally chosen for the test and separated into two groups; 14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subjects for the control group.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ere t-tested in preliminar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60 minut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a weekly basis fo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8 weeks later, the post test was applied to the both groups.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by Jeon Gukjae(2014). Data from the test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Program in order to obtain means and deviation values of scores for sociality and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n using Co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ity of the inferior mental health group i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inferior mental health elementary students. As verified in the above study,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is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lev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and school adaptation. As a result,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helping children to solve their problems, to grow and develop themselve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through dynamic interactive 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