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접교수법을 통한 중심내용 찾기 전략 지도가 국어 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영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직접교수법의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수업 설계 원리에 의해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4학년 국어 학습부진아동에게 적용하여 읽기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독해전략의 하나인 중심내용 찾기 전략을 이해하고,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 이해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직접교수법의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읽기 프로그램 설계 원칙에 의하여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을 구안할 수 있는가? 둘째,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을 직접교수법으로 지도하는 것이 국어 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과 일반부진아 프로그램이 국어 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능력 신장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B초등학교 4학년 중 국어 교과 학습에 부진을 보이는 아동 10명과, S초등학교 4학년 중 국어 교과 학습에 부진을 보이는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에게는 사전검사와 직접교수법에 의한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게는 사전검사와 일반부진아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집단과 같은 시기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중심내용 찾기 전략을 단계별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중심내용 찾기 전략에 관한 개관, 단어 목록에서 중심내용 찾기, 문장에서 중심내용 찾기, 문단속에서 중심내용 찾기 등 3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직접교수법의 단계에 의해 지도한 후 읽기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략 지도용 글은 한국교육개발원 프로그램의 설명문과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의 내용에서 선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읽기 이해 능력 검사로 사용한 사전, 사후 검사는 예문에서 이해 및 어휘, 추론, 제목붙이기 능력 등을 세부적으로 측정하는 주관식 검사지를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직접교수법에 의한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이 국어 학습부진아의 읽기 이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읽기 이해력 사후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읽기 이해력 5가지 하위영역 점수를 비교한 결과, 4가지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추론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점수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직접교수법의 수업 설계 원리에 의한 중심내용 찾기 전략 프로그램이 국어 학습부진아들의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how does strategic instruction of finding main idea through direct method that is explicit and systematic principle for planning classes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ho underachieve in Korean by applying it to the language underachievers who is in the fourth grade.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was set up to investigate whether strategic program for teaching how to find main idea through direct instruction is effective in reading comprehension. First, can we map out strategic program for teaching how to find main idea on the explicit and systematic principle of reading program? Second, what effect does instructing strategic program for finding main idea by using direct instruction have on language underachiever's reading comprehension?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strategic program for teaching how to find main idea and general program for underachiever in improvement in language underachiever's reading comprehension? Ten children who underachieve in language among forth graders who are at B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ten children who underachieve in language among forth graders who are at S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was selected as object to solve the above research subjects. Experimental group is given preliminary examination and is given post-examination after implementing strategic program of finding the main idea using direct instruction. Comparative group is given preliminary examination and is given post-examination after implementing general program for underachieve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rough ten session, using stepwise programs for strategy of finding main idea. The programs are comprised of three steps, overview of strategy for finding main idea, strategy for finding main word in wordlist, and strategy for finding main idea in the sentence. Test for reading comprehension was conducted after teaching in direct method stage by stage. Test result was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10.0, statistical software. Guidance for strategy is from explanatory note of program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extbook for forth grader, and post-examination used the subjective test which assesses he ability of understanding, inferencing, and entitling thoroughly. The result that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strategic instruction of finding main idea through direct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ho underachieve in language shows the vari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in four sections among five sections in reading comprehension. In inference section, the improvement in language underachiever's reading comprehension? The outcome shows that strategic program for finding main idea using principle of planning classes based on direct instruction improves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language underachievers.

      • 부동산가격공시제도의 공법적 과제

        이영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동산가격공시제도는 시장가치에 부합하는 부동산의 적정가격(適正價格)을 평가‧공시하여 부동산의 적정한 가격형성 및 각종 조세‧부담금의 형평성을 도모하고 나아가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부동산가격공시제도는 각종 조세저항과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1989년 도입 이래 지금까지 낮은 현실화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저평가된 공시가격은 세부담의 형평성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감정평가사에 의한 조사‧평가와 한국감정원에 의한 조사‧산정으로 양분되어 있는 독특한 조사체계는 공시가격의 부정확성과 유형간 불형평을 야기하고 있으며, 공시가격에 대한 한국감정원의 ‘셀프 검증’ 역시 우리나라 공시제도의 신뢰성을 떨어트리는 주된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에 본 글은 부동산 공시가격의 적정성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부동산시장의 안정과 조세형평에 기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최근 정부의 급격한 공시가격 현실화가 사적 재산권에 대한 지나친 제한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바, 헌법상 인정되는 토지공개념의 시각에 입각해 그 재산권 침해 여부를 고찰하고 기본권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시가격 현실화 방안을 함께 강구한다. 상술한 문제인식 하에 본 글에서 제시한 제도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상 감정평가사와 한국감정원으로 양분되어 있는 표준지공시지가 및 표준주택가격 조사체계를 전문자격자인 감정평가사로 일원화하여 공시가격의 유형간 불형평을 해소하고 정확성을 제고한다. 둘째, 공시가격에 대한 산정과 검증을 한국감정원 직원이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현행의 공동주택가격 검증체계는 전문가에 의한 3단계 검증체계를 명시한 헌법재판소의 입장과 상충되는바, 보다 객관성을 담보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투입해 공시가격에 대한 신뢰도 및 정확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토지재산권은 다른 기본권과 비교해 헌법상 강한 사회적 기속성이 인정되는바, 우리 헌법 역시 토지재산권에 대한 공법적 기속을 의미하는 토지공개념을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다소 큰 폭의 공시가격의 상향이라고 할지라도 그 수단이 현저하게 불합리하고 불공정하지 않는 한 재산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했다고 판단하기 어렵고, 지금까지 낮은 공시가격으로 훼손되었던 조세정의를 바로잡는다는 측면에서 공시가격 현실화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다만 세부담 당사자의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고 급격한 현실화에 따른 사회적 갈등을 경감하기 위한 최소한의 입법적 조치는 병행되어야 할 것인바, 이를 위해 공시가격을 행정목적에 따라 가감(加減)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감조정제도의 기능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은 인간 생활의 기반이 되는 재화로서 이를 국민 일반이 고르게 영위하는 것은 헌법상 사회국가원리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전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시장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기형적으로 운영되어온 부동산가격공시제도는 그 정상화를 위한 제도개편이 불가피하다 할 것이며, 앞으로도 공시제도의 목적 달성과 발전을 위한 입법‧정책적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R eal E state P rice D isclosure System has its objectives on evaluating the price of land and housings to the real market value, setting proper price range and equitable taxations, and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However, due to various forms of tax resistance and technical limitations, the public price of real estate has always been lower than the market pric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1989, which prevents reasonable price settings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damages the tax balance. Moreover, the unique feature of Korea’s research protocols, that private certified appraisers are responsible for evaluation while Korea Appraisal Board (KAB) – a public institution – conducts computation, is causing inequity in official prices, and the insufficient verification process on public housings without experts, known as the ‘self-verification’, is also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that degrade the credibility of the R eal E state P rice D isclosure System. This paper searches for improvements that could increase the adequacy and credibility of the system, and would ultimately strives to contribute for further stabilization of the real estate market as well as equitable taxation. Additionally,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the P ublic Concept of Land Owne rship, the paper will look into the suitability of restricting real estate properties for public purposes. Under the aforementioned issue, the paper proposes three recommendations as follows. The first is to unify the research protocols, of which the duties are currently divided into certified appraisers and the KAB, to resolve inequity among different real estate categories and increase research accuracy. The second is to alter the current public housing verification process, which the KAB deals with both computations and verifications in the present, by inviting experts from the outside, who can guarantee objective verifications, and improve the accuracy and credibility of disclosed price. The third is to strengthen the price-adjusting process on the system and minimize social conflicts caused by the increase of public prices and introduction of the P 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The price-adjusting process is a legal buffer that could ‘adjust’ the public price on demand, which can resolve social discourse followed by the growth of public prices, such as the failure to claim for welfare benefits. However, the present legal system, such as “Laws on Real Estate Price Disclosure” and “Real Estate Compensation Law”, lacks concreteness and has practical limits to effectively utilize the adjustment procedure, hence requires strengthening of its features by legal amendments. The real estate is a basic asset of daily lives, and the evenly distributed appreciation of it would be an important premise for the realization of the social state principle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which had been managed abnormally without properly reflecting the market value is inevitably necessary, and the legal and policy-oriented studies to achieve and improve the R e al E state P rice D isclosure System must be continued.

      • 다산 유적지와 실학박물관 활동지 개발 방안 : 다산 정약용의 삶과 학문

        이영실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ctivity worksheets helpful for making students accept historical sites and museums as places for history lessons and have field experiences in depth. The writer came to try to develop field activity sheets which can make possible history lessons using story telling for fun and in-depth historic inquiries, particularly history lessons focusing on a certain historic figure’s life as a whole. To begin with, this study searched into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historical imagination and experience study models in order to look into the effect of history lessons using historic figures. The writer selected Dasan, Jeong Yak-Yong already well known even by school children as historic character and researched the Museum of Silhak (located in Namyangju-si) and the historical sites of Dasan whose purpose is to provide their visitors with the opportunities of learning the abstract ideals of Silhak to try to develop field activity programs centering on historic persons that can be utilized at a variety of study sites including school classes. The development of field activity programs focusing on historic characters is aimed at making school children break away from such stereo-typed history learning by remembering and memorizing history just as hardened “facts.” That is to say, as if listening to fun old stories, school children will have stronger interest in history, make more meaningful questions, and have experience going back to the historic person’s own period. To make school children use more diversified historical imagination based on such experiences as above is the excellence of history lessons through field experience activities focusing on a certain historic figure. The field study program is devised for students to break away from their already known fixed ideas about Dasan, Jeong Yak-Yong and Silhak, have fresh viewpoints and look after ‘the true reasons of studying’ sought for by the Silhak scholars. As results of such explorations above, school children will experience ‘learning leading to living’ whereby the students themselves apply what they learned to their lives. Therefore, the field study sheets including well-designed questions, well-selected anecdotes about the historic figures, circulation planning, and the general questions are essential to field experience activities. The overall learning activities and field experience sheets are divided into listening to and reacting to the anecdotes about the historical sites and the museums, answering to questions, doing critics about the museums, and follow-up activities. Very vivid and graphic field experience activities that cannot be achieved merely through history text books or stories of historical heroes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field activity sheets developed hereby. School children will be able to explore and remember Dasan, come to understand Silhak interpreted from Dasan’s point of view, and furthermore have the occasion to feel the difference from what the Museum of Silhak shows and tells them about Silhak even a little bit. By using the field activity sheets developed hereby, the teachers and instructors as well will be able to conduc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entered on school children’s learning by self-exploration and self-Q&A free from the tensions and stresses of historical site explanations and exhibition interpretation. The method of learning history studied herein can be used and applied on the occasions of school children’s individual field trips to museums as well as at school classes, and it is expected to be further developed into the dimension of life-long education. Key-words: historical imagination, historic figures, Dasan, Jeong Yak-Yong, the historical sites of Dasan, the Museum of Silhak 본 연구는 학생들이 유적지와 박물관을 재미있는 역사 수업의 공간으로 받아들이고 깊이 있는 탐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활동학습지를 개발해야할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재미있고 깊이 있는 역사적 탐구를 위해 이야기를 활용한 역사수업, 그 중에서도 한 인물의 생애를 통째로 들여다보는 역사적 인물 중심의 현장체험활동지 개발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역사적 인물을 활용한 역사수업의 효과를 점검하고자 역사적 상상력의 의미와 교육적 효과, 체험학습 모형에 대하여 문헌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역사적 인물인 ‘다산 정약용’을 역사적 인물로 선택하였고, ‘실학’이라는 추상적인 내용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둔 남양주 실학박물관과 다산 유적지를 중심으로 현황을 조사하여 학교 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역사적 인물 중심의 체험활동지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역사적 인물 중심 현장체험활동지 개발은 학생들이 굳어져버린 옛날 사실로 역사를 기억하고 암기하는 방식의 학습에서 벗어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재미있는 옛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며 인물이 살았던 시대로 돌아가는 경험을 갖게 하는 것이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역사에 대하여 다각적인 상상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 ‘역사적 인물 중심의 현장체험활동’이 가지는 역사 수업의 탁월함이다. 기존에 알고 있는 다산 정약용과 실학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실학자들이 가졌던 ‘공부하는 이유’를 탐구하도록 구안하였다. 탐구의 결과로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삶에 적용해 보는 ‘삶으로 연계되는 배움’의 경험을 갖게 된다. 따라서 주제를 탐구하는 체험활동이 진행되도록 잘 고안된 질문과 인물의 일화 선정, 동선과 질문을 포함하는 활동학습지는 체험활동의 정수이다. 전체적인 학습활동과 학습지의 구성은 유적지 기념관과 유적물과 관계된 일화를 듣고 활동하거나 질문에 답해 보도록 하였으며, 박물관 비평 활동과 사후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활동학습지를 활용한다면 교과서나 위인전으로는 경험할 수 없는 생동감 넘치는 현장체험활동이 되리라 생각한다. 학생들은 스스로 탐구하고, 다산 정약용을 기억하며 그가 바라보는 ‘실학’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실학박물관이 들려주는 ‘실학’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교사 또한 이러한 체험활동지를 활용한다면 유적지 설명과 전시 해설에 대한 긴장감에서 벗어나 학생 스스로가 탐구하고 답해보는 배움중심의 교수-학습 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연구한 학습 방법은 학교뿐만이 아니라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다른 박물관을 관람할 때 응용 발전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평생교육의 차원으로 확대하여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뮤추얼펀드의 成果評價分析

        이영실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utual fund is a joint-stock corporation dealing with an investment trust fund, in which investors participate in the company as a shareholder, and the company seeks profits by making investment in stocks, bond, and other securiti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risk-adjusted investment result of listed mutual funds in the Korean stock market. Riding on the expectation that the Korean stock market will be prosperous this year, many mutual funds have been making high-profit since the No. 1 Mirae Asset Park Hyun Joo fund made its successful debut in December 1998. Recently, investment and trust companies are increasing a lot of series of mutual funds. However, it is requested to examine that those fund managers really could obtain the enough profit against high risk due usually high return are associated with high risk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esearches about beneficiary certificates, many funds tend to gain lower profit rather than some successful funds, which made the exceeded profit after risk-adjust. The data for this work are as follows. Stock price index: KOSPI, KOSPI 200 index, an unsecured company debenture interests, and natural bond and public bond interests of all daily data from the each listed or registered day to 8th October 1999 of 30 funds, which are the twelve mutual funds listed in the stock market and eighteen mutual funds registered in the KOSDAQ Market-other eleven funds was eliminated due their deal was not successful in all 30 registered funds in the KOSDAQ market- until the end of August 1999. For this thesis, Jensen measure, Treynor measure and Sharp measure was used. Specifically, the result of analysing Net selectivity, Treynor-Mazuy Model, Henriksson-Merton Model that could know security selectivity, market timing, the market on average couldn't surpass the market on average. This research shows it is difficult for such mutual funds to gain higher profit than normal average profit after risk adjust, therefore it evaluates the Korean stock market is relatively efficient. It also recommends investing in index fund rather than mutual fund to spread risks and increase profit, because it did not find any proof that fund managers ability can be very superior for high profit seeking. The analysis result from KOSPI 200 Index in this research supports this viewpoint. 뮤추얼펀드(mutualfund)란, 유가증권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된 독립투자형 투자신탁으로서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한 후 그 자금으로 유가증권에 투자·운용하고 그 운용수익을 주주(투자자)에게 이익배당형태로 분배하는 회사이다. 우리나라에서 뮤추얼펀드는 1998년 12월 처음으로 판매된 박현주1호를 시작으로 하여 그 동안의 주식시장 호황으로 인해 많은 뮤추얼펀드가 고수익률을 달성하였으며 현재 만기가 도래하기 시작하여 펀드를 청산하거나 재연장하는 절차에 들어가고 있다. 근 1년동안 많은 뮤추얼펀드들이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였는데 고위험의 투자는 고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펀드운용자가 위험에 상응하는 수익률을 달성하였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존의 주식형 수익증권 연구에 의하면 위험조정후 초과성과를 달성하는 우수한 펀드보다 저성과를 달성하는 펀드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뮤추얼펀드는 어떤 성과를 달성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1999년 8월말까지 상장된 12개의 펀드와 코스닥시장에 등록된 29개의 펀드중에서 종종 거래가 성사되지 못한 11개의 펀드를 제외하여 총 30개의 펀드를 대상으로 펀드마다 상장·등록된 날로부터 10월8일까지 일별자료를 사용하여 종합주가지수, 코스피200지수, 회사채 수익률과 3년국고채 수익률을 데이터로 각각 사용하여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 ( CAPM : Capital Asset Pricing Model)에서 사용하는 평가도구인 젠센지수(Jensen measure)와 트레이너지수(Treynor measure), 샤프지수(Sharp measure), 그리고 구체적으로 자산선택능력(microforecasting, security selectivity)과 시장예측능력(macroforecasting, market timing)을 알아볼 수 있는 순선택능력 ( Net Selectivity )과 Trenor-Mazuy 모형과 Henriksson-Merton모형에 근거하여 Newey-West Heteroskedasticity autocorrelation consistent covariance matrix estimator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뮤추얼펀드들이 위험조정 후에 정상이상의 고수익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고 결국 우리 나라의 자본시장은 비교적 효율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펀드매니저의 능력이 우월하다는 증거도 별로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주식투자를 원한다면 지수펀드(index fund)에 투자하는 것이 위험도 분산시키고 수익률도 증가시키는 현명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코스피인덱스(kospi 200 index)를 시장대용 포트폴리오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가 그런 입장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 남성노인의 성(性)인식 및 성(性) 욕구해소 경험

        이영실 광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종묘공원을 이용하는 남성노인의 성인식 및 성 욕구 해소 경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있는 그대로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남성노인들의 성인식이나 성 욕구 해소경험에 종묘공원이 주는 의미를 파악하여 사회복지적 관심을 고취시키고, 종묘공원을 이용하는 남성노인의 경험적 특성과 욕구에 기반한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종묘공원을 이용하는 남성노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집방법은 질적 연구 시에 주로 사용하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4월 부터 6월 까지 약 3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방법은 1:1 면접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 참여자인 남성노인의 성인식 및 성욕구 해소 경험을 총 8개의 핵심개념으로 나타났다. 8개의 핵심개념은 <노년기 성(性)생활의 긍정적 효과>, <여전히 존재하는 성(性)욕구>,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 <다양한 욕구의 배설 분출구>, <자존감 충전소>, <개방된 성(性)문화 존재>, <성(性)욕구 해소에 따른 문제위기 출현>, <성욕구해소를 위한 지원요구>등이다. 이러한 핵심개념들 간의 상호 보완관계를 전체적 맥락에 따라 성 인식 및 성욕구 해소경험의 구조를 제시하여 이를 기술하였고, 이러한 경험의 의미들을 사회복지와의 관련성속에서 논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과 노인 당사자 뿐만이 아닌 가족이나 자녀들을 대상으로 노인의 성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원에 상담소와 교육장을 신설하여 각종오락 프로그램, 여가나 취미, 건강교실, 성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활성화 하여 남성노인뿐 아니라 여성노인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자연스런 이성과의 만남을 가질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deeply for the sex recognition and sex desire relief experiences of senior men who use JongMyo park in their perspectives. Through this research we ar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JongMyo park as about senior men's sex recognitoin and sex desire relief experiences, inspire the social welfare interest, and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the effective, differentiated service based on senior men's desire and experiential characteristic who use JongMyo park. To achieve such goal, in this research, we performed the qualitative method by selection of 6 senior men who use Jongmyo park that locates in Jongro-gu, Seoul city. Sampling method is snowball sampling method, which is mainly use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date collection period is about 3 months from April to June in 2011, and the data collection method used 1:1 interview.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research participant senior men's sex recognition and sex desire relief experiences appear in 8 key concepts. 8 key concepts are <positive effect of sex life in old age>, <still existing sex desire>, <negative social recognition>, <excretion outlet for various desires>, <widely openned sex(性) culture existence>, <self-esteem charge source>, <various experiences for sex(性) desire relief>, <emergence of crisis issue by sex(性) desire relief >, <aid requirement for sex desire relief>.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these key concepts in overall context suggests sex recognition and sex desire relief sturcture, and we discuss these experiences in the relation with social welfare. Based on the research, we suggest the need for the social recognition change about senior men's sex, and the need for the program development not only for senior men, but also for their family. Also, counselling center and education place in the park where senior men use is needed for various entertainment program, hobby, health class, and sex education that not only for senior men but also senior women can participate, hence naturally the opposite sex can meet.

      • 2차원 바코드와 스트림 암호 기반의 모바일 OTP를 이용한 온라인 뱅킹용 인증 시스템

        이영실 동서대학교 디자인&IT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점차 늘어나면서 국내 휴대폰(Mobile Phone) 시장에서 스마트폰의 인기는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만큼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스마트 폰용 OTP의 개발과 보급이 이슈화되고 있지만, 현재 스마트폰에서 OTP 서비스의 사용이 어려운 현실이다. 스마트폰이 OTP 서비스에서 제외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보안성 때문인데, WIPI 상에서 제공되는 OTP 서비스의 경우 개인이 물리적인 해킹이 어렵지만 스마트폰에서 구동될 경우에는 해킹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어나는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으며, 향후 국내 모바일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스마트폰 환경에서 제공 가능한 OTP의 개발 역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모바일용 OTP는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 기반에 스마트폰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 및 구현되었다. 제안한 모바일 OTP에 사용된 암호 알고리즘인 NLM-128은 새롭게 개발된 2128 비도 수준(Security level)을 갖는 스트림 암호로써, 안전성 및 구현 용이성 등의 특징을 갖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뿐만 아니라 RFID/USN 등의 저전력, 제한된 메모리 및 컴퓨팅 사양에서 적용하기에 용이한 알고리즘으로, 현재 대부분의 OTP가 해쉬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보다 높은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상생활에서 전자금융서비스의 거래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온라인 뱅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은행에 해당하는 보안카드가 각기 필요하다. 하지만 보안카드를 이용한 현재의 서비스 방법은 언제 어디서 온라인 뱅킹을 이용하겠다는 계획이 항상 있는 게 아니다보니 보안카드가 없는 상황에서 급하게 온라인 뱅킹을 이용해야 될 때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며, 이는 현대의 이동이 낮은 모바일 라이프와 맞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보안카드를 대신하여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뱅킹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온라인 뱅킹용 인증 시스템에서는 앞서 제안한 스트림 암호 기반의 모바일 OTP와 함께 현재 국제 및 국내 표준으로 채택되어 있는 2차원 바코드 중 하나인 QR-code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 익산지역 중학생의 생활습관 및 음식기호도가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실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습관 및 음식기호도가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익산소재 중학생의 14-15세 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비만군으로 분류하여 음식기호도 및 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전체응답자 302명 중에 저체중은 56명으로 18.5%, 정상체중은 221명으로 73.2%, 비만은 25명으로 8.3%를 차지하였다. 설문조사내용은 외식정도, 자신의 체형에 대한 견해, 자주가는식당(한국식, 서양식, 패스트푸드점, 중국식), 아버지의 체격, 어머니의 체격, 영양지식습득매체, 식사의양, 아침식사여부, 텔레비전 시청시간, 게임시간, 운동시간, 음식의 기호도(서양식, 패스트푸드, 한식, 중국식, 과자류)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외식횟수, 자주가는 식당, 아버지의 체격, 어머니의 체격, 영양지식습득매체, 영양지식정도, 한끼식사의양, 규칙적인식사여부, 아침식사섭취여부, 텔레비전시청시간, 게임시간, 운동시간, 음식기호도(서양식, 한식, 중국식, 패스트푸드, 과자류)가 p<0.05수준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즉, 비만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신의 체형에 대한 견해로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그저그렇다에 많이 답을 한 반면 비만군은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는 비만도와 관련하여 p<0.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3. 외모로 인해 놀림 받은 경험은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놀림 받은 경험이 없다에 많은 답을 한 반면 비만군은 놀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비만도와 관련하여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비만인 학생은 외모로 인해 놀림 받은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호하는 평소 생활습관과 음식형태(서양식, 패스트푸드, 한식, 중국식, 과자류)가 비만도에 끼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왔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reveal the effects of the life style and the food preference on the degree of obesity. A subject was composed of 14-15 aged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Iksan area and the subject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groupA:low-weight group, groupB: normal-weight group, groupC:obese group). We investigated the food preference and the life style in each groups. Total responders were 302 students and 18.5% of total responders were the low-weight group, 73.2% were the normal-weight group, and 8.3% were the obesity group. The research contents are composed of the frequency of eating out, the prefered type of the restaurant (korean-style food, western food, china-style food, fast food), the physique of father, the physique of mother, a medium picking up nutrition knowledge, degree of nutrition knowledge, a quantity of eating per once, a teased experience due to obesity, diet experience, regularity of eating, whether or not of morning eating, daily TV watching time, daily game time, food preference(western food, fast food, korean-style food, china-style food, confectione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like thi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the prefered type of the restaurant (korean-style food, western food, china-style food, fast food), the physique of father, the physique of mother, a medium picking up nutrition knowledge, degree of nutrition knowledge, a quantity of eating per once, a teased experience due to obesity, diet experience, regularity of eating, whether or not of morning eating, daily TV watching time, daily game time, food preference(western food, fast food, korean-style food, china-style food, confectionery) and the degree of obesity. 2. Group A and B thought that their body appearnce are normal but group C was not and felt the need of diet. 3. A teased experience due to obesity was revealed from the group C but not in the group A and B. We concluded that the food-style preference(western food, fast food, korean-style food, china-style food, confectionery) and the life style are not related to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