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주《호재진사일록(浩齋辰巳日錄)》

        이영삼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번역논문인 ≪호재진사일록(浩齋辰巳日錄)≫은 경상좌도인 풍기와 인근 지역에서 창의군(昌義軍)의 군량유사(軍糧有司)로 활약했던 곽수지(郭守智)가 전쟁 초기부터 의병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경험과 전문(傳聞), 조보(朝報), 관문(關文) 또는 편지 등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을 기록한 전쟁체험 일기이다. 이 책은 2권 2책으로 구성된 석판본이며, 1권은 1592년 4월 17일부터 1593년 12월 29일까지 2년간, 2권은 1594년 1월 1일부터 1598년 9월 3일까지 5년간을 기록하고 있다. 작자 곽수지(郭守智, 1555~1598)는 함창(咸昌)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1574년 결혼한 뒤에는 부모의 뜻에 따라 처가가 있는 풍기(豊基)에 옮겨 살았다. 이때부터 그는 어린 시절 학문의 종장(宗匠)으로 여겼던 퇴계 선생을 사모하여 매월 반드시 도산사당에 참배하였다. 그는 1585(선조18)년 사마시에 합격하였고, 과거를 준비하던 중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임진왜란 초기 그는 잠깐 소백산(小白山)으로 피란한 뒤에 하산하여 바로 고향의 여러 뜻있는 선비들과 의병을 일으켜 풍기군 일언리(逸偃里)의 진목정(眞木亭)에 의병 군진을 설치하여 도적과 왜군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이어서 그는 큰형인 수인(守仁), 둘째 형인 수의(守義), 셋째 형인 수예(守禮) 등과 함께 함창의 황령사(黃嶺寺)에서 창의한 뒤에 풍기와 고향인 함창을 내왕하며 모병과 군량 조달 및 서기의 일을 맡아 활동하였다. ≪호재진사일록≫은 경상좌도인 풍기와 인근 지역에서 창의군(昌義軍)의 중군(中軍)과 군량유사(軍糧有司) 등으로 활약했던 곽수지가 쓴 전쟁체험에 대한 기록이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그도 당시 거주지였던 풍기 지역에서 창의하여 군량유사로서 의병 활동을 하였다. 당시 그의 임무는 주로 군량의 조달과 모병과 관련된 일이었기 때문에, 직무상 전투에 집적 참여하기보다는 후방의 지원 업무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호재진사일록≫은 거주지인 풍기 지역을 중심으로 함창과 문경(聞慶), 용궁(龍宮), 예천(醴泉), 순흥(順興), 영천(榮川), 안동(安東), 예안(禮安) 등 경상좌도 지역의 의병 활동과 백성들의 비참한 참상을 사실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곽수지의 임진왜란 기록은 그가 의병 활동에서의 후방 지원업무에 집중한 점과 풍기 지역이 전란의 화를 피했다는 점에서, 여타의 기록들이 당시의 전투 상황과 이에 따른 공과를 기록하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호재진사일록≫은 임진왜란 당시 풍지 지역의 의병 활동과 사대부로서의 일상적 삶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당시 풍기 지역에 대한 전쟁체험기의 미시사적 또는 생활사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곽수지는 의병 활동과 자신의 일상 중에 경험하거나 보고 들었던 내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는데, 그 내용적 측면의 가치는 다음 몇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임진왜란 시기 경상좌도의 의병 활동 및 관(官)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임진왜란 중 사대부들이 일상적 삶을 지속하기 위해 애쓰는 모습과 과거(科擧)의 노정을 통해 보여준 양반 사회의 보편적 욕망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임진왜란 시기 조선 사회의 신분 제도가 붕괴되는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임진왜란 시기 백성들의 참상과 이를 구제하고자 하는 의병과 관의 노력을 파악 수 있다는 점이다. ≪호재진사일록≫에 따르면, 당시 의병과 풍기, 함창의 수령은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백성들의 일상화된 굶주림과 처참한 죽음 앞에서 나라를 대신해 이들을 구제하고자 노력했는데, 이러한 노력과 실천은 생명의 존엄에 바탕을 두고 있어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그 시사하고 있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곽수지는 ≪호재진사일록≫에 당시 풍기 지역을 포함한 인근 고을에서의 의병 활동뿐만 아니라, 풍기와 인근 지역에서 일어난 주요 사건과 중앙 및 지역 인물들과의 교류 현황, 백성들의 비참한 참상 등을 가감 없이 사실적으로 기록하였다. 따라서 ≪호재진사일록≫을 역주한 본 번역논문은 임진왜란 시기 경상좌도인 풍기 지역의 의병 활동 및 관(官)과의 관계, 당시 지방 사족들의 교유 양상과 일상적 삶을 지속하고자 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왜란 때 백성의 구제와 관련된 제도 및 당시 인명이나 지명을 비롯한 지방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 역주《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

        이영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남한해위록(南漢解圍錄)》은 석지형(石之珩, 1610~미상)이 27세 때에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 이하 工曹佐郞이라 함)으로 어가(御駕)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가서 겪은 내용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은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 전의 배경에서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이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부터, 이듬해 인조(仁祖, 1595∼1649)가 항복한 후 소현세자 등이 청에 압송될 때까지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본 번역 논문인 《남한해위록》은 필사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며 간행된 해는 미상이다. 본 필사본은 1책 37장(74면)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1면부터 66면까지는 석지형이 직접 임금을 호종하고 남한산성에서 겪은 병자호란을 기록한 것이고, 그 나머지는 구봉 송익필(宋翼弼, 1534∼1599) 등의 시와 갑인년(1854, 철종5) 11월 29일 수원 유생들이 당시 경상도 관찰사 조석우(曺錫雨, 1810~1878)가 그의 고조부인 조하망(曺夏望, 1682∼1747)의 문집인 《서주집(西州集)》을 간행한 것에 대해 토죄하기를 청하는 통문(通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인 《남한해위록》은 병자호란 당시 27세의 공조 좌랑이었던 석지형(石之珩)이 남한산성에서 겪은 일을 기록하고, 난이 끝난 이듬해인 1638년(28세, 判官)에 자편(自編)하여 서문과 발문을 지어서 세상에 알린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직접 쓴 서문과 발문에서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간 이후 자신이 목격한 사실들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그 내용은 여진족이 금을 거쳐 청에 이르는 연원을 간략히 밝히고, 이어 정묘호란과 그 이후의 조선과 후금과의 관계 및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 양상을 기록하였다. 이어서 1636년 12월 병자호란의 발발에서부터 이듬해 1637년 11월까지, 왕실이 강화도와 남한산성으로 나누어 피난하게 된 상황, 남한산성에서의 방어와 청군과의 소규모 전투 내용, 남한산성에서의 군량 및 물자의 부족 상황, 청과 조선 사이의 강화회담의 진행 과정과 척화파 주화파 간의 대립 양상, 강화도 함락에 이은 인조의 항복과 환도, 이후 세자와 대군 및 대신들이 청으로 압송되는 모습 등을 시간 순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남한산성에 피난한 기간은 매일매일 날짜를 밝히며 일기 형식으로 기록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난 날인 1636년 12월 9일부터 이듬해 3월 6일까지는 12월 12일, 13일과 1월 7일, 8일을 제외하고 매일 썼으나, 그 이후 4월부터는 월별로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다. 병자호란과 그 뒤 사후 처리에 관한 기록은 총 66면 분량이다. 이어서 67면부터 74면까지는 최초 필사자인 이운회(李雲會)가 추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논문을 번역함에 《남한해위록》과 관련이 없는 67면부터 74면까지는 제외함을 밝혀 둔다. 병자호란을 기록한 책은 《조선왕조실록》 중에서 《仁祖實錄》과 당시 대표적 척화파인 예조판서 김상헌(金尙憲)이 쓴 《南漢紀略》, 최명길의 《丙子封事》, 공조참의 나만갑(羅萬甲)이 쓴 《丙子錄》, 승려였던 법홍(法弘)이 쓴 《南漢紀略》, 석지형이 쓴 《南漢日記》와 《南漢解圍錄》, 그리고 이긍익이 쓴 《練藜室記述》의 제25권, 제26권, 남급(南?)의 《南漢日記》, 어한명(魚漢明)의 《江都日記》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김상헌이 쓴 《남한기략》은 필사본으로 1636년 12월 12일 저자가 고향인 경기도 양주의 석실(石室)에서 변보(變報)를 전문(傳聞)하였을 때부터 다음해 1월 삼전도(三田渡)에서 왕이 항복한 후 환도할 때까지의 사실을 일기체로 서술하였다. 《남한기략》은 산성의 수비 및 척화파(斥和派)·주화파(主和派) 사이의 알력을 척화파 입장에서 기술한 것이 특징이며, 병자호란 당시 조정의 동향과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갈등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는다. 최명길의 《병자봉사》는 말 그대로 병자년의 상소문을 모은 책으로, 당시 척화파인 김상헌과 주화파인 저자 사이에 서로의 주장을 치열하게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남한기략》과 《병자봉사》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당시 척화파와 주화파는 비록 갈등관계에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적 이해관계가 아닌 나라를 아끼는 같은 마음에서 치열하게 서로의 주장을 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만갑이 쓴 《병자록》은 《白登錄》, 《丙子南漢日記》라고도 하며, 화의(和議)의 진행과 농성(籠城), 척화파(斥和派)의 화의 반대와 항복 등의 경과를 생생하게 기록하여, 병자호란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승려인 법홍이 쓴 《남한기략》은 필사본으로 1권 1책이며, 주로 남한산성 안에 있는 사찰의 연기(緣起)와 승군설치(僧軍設置) 등의 경위를 밝히기 위하여 쓴 것이다. 그러므로 병자호란과 산성제도(山城制度)·군사제도·승군(僧軍)에 관한 일 등을 알아보는 데 참고가 된다.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은 병자호란 관련 기록을 수집하여 모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남급의 《남한일기》는 석지형의 《남한해위록》과 유사하게 병자호란 당시의 기록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고, 더하여 강도관련 기사와 당시의 군권을 장악한 장수들의 공과를 서술한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1637년 1월 30일 인조가 항복하기 위해 출성할 때 남급도 함께 출성하여 당시 직접 목격한 것을 기록한 부분은 다른 어느 기록보다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석지형이 쓴 《南漢日記》는 청군의 군비상황과 부대배치, 적장의 인적 사항과 당시 남한산성의 전란방어책과 청군의 격퇴상황 등이 면밀히 기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1992년 경기도 광주문화원에서 번역하였다. 어한명(魚漢明)의 《강도일기(江都日記)》는 수운판관이었던 저자가 병자호란 발발 직후 수운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강화도로 들어가려는 피난민들의 적나라한 모습을 경기도 김포의 통진 나루에서 직접 목격하고 생생히 증언 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강화도 일대에서 벌어진 피난 상황을 직접 기록함으로써 병자호란 당시의 이면 정황을 이해하는데 매우 긴요한 자료가 된다. 《남한해위록》은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년) 전의 배경에서 시작하여 1636년 12월 9일 청이 조선의 국경을 넘은 날부터, 이듬해 인조(仁祖, 1595∼1649)가 항복한 후 소현세자 등이 청에 압송될 때까지의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저자가 자신이 직접 쓴 서문과 발문에서 인조를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간 이후 자신이 목격한 사실들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하려는 목적으로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밝히고 있듯이, 그 내용은 가감 없이 왕실이 강화도와 남한산성으로 나누어 피난하게 된 상황, 남한산성에서의 방어와 청군과의 소규모 전투 내용, 남한산성에서의 군량 및 물자의 부족 상황, 청과 조선 사이의 강화회담의 진행 과정과 척화파 주화파 간의 대립 양상, 강화도 함락에 이은 인조의 항복과 환도, 이후 세자와 대군 및 대신들이 청으로 압송되는 모습 등을 시간 순으로 객관적으로 기록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병자호란에 대한 기록은 각기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기록하였으나, 본서처럼 처음부터 병자호란에 대해 사대부 지식인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당시 조정 안팎 관원들의 무능과 기강의 문란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고, 이를 통해 후세에 경계로 삼고자 했던 편찬 의도를 가지고 기록한 것은 그리 많지가 않다. 따라서 본서는 당시 공조 좌랑이었던 당하관의 입장에서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병자호란 당시 및 그 전후의 사정과 풍속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적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병자호란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 상업용부동산 경매의 입찰의사결정 행태

        이영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동산 경매시장에서 상업용부동산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활성화 되지 못하는 점을 인식하고 주거용 부동산 연구에 편중되어 있는 부동산 경매 관련 연구실태를 인지하여, 상업용부동산 경매에 대한 연구분야의 확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상업용부동산 경매 입찰과정에서 참여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입찰의사결정의 중요 영향변수를 부동산 특성 요인(위치, 유동인구), 참여자 특성 요인(투자목적, 자기자본 비율, 투자시기 결정) 및 경매 특성 요인(경매상황, 권리관계, 임차인 유무)을 선정하여 성과변수인 입찰참여 의사결정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 적합도 및 가설 검증은 타당성 분석 단계에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해 점검하고 요인화 되지 않는 항목을 제거한 후, 총 8개의 요인을 통해 연구모형 적합도 및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모형 적합도 결과에서는 부동산 특성 요인(위치, 유동인구), 참여자 특성 요인(투자목적, 자기자본 비율, 투자시기 결정), 경매 특성 요인(경매과정, 권리관계, 임차인) 모두 입찰참여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검정 결과에서는 8개 가설 모두 채택되었고, 입찰결정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찰의사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동인구, 경매과정 및 권리관계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3가지 변수 모두 경매 입찰 시 수익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동산 경매가 게임이론에 입각하여 입찰 참여가 진행되는 것을 고려할 때, 경매 참여자들이 여러 가지 투자대안을 선택하는데 있어 참여자들이 기대하는 수익과 관련한 요인을 평가하여 결정하는 행동특성이 게임이론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집단 분석결과를 통해 나타난 입찰참여의 중요 요인과 비교했을 때 부동산 특성 요인과 경매 특성 요인 관련 변수는 일반인에서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이 자기자본 비율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과 다르게 일반인의 경우 자기자본 비율 요인에 대한 영향값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인들의 경우 경매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적어 전문가와 달리 수익성 판단의 중요한 요소로 자기자본 비율 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경매입찰 참여자의 다양한 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매 입찰경험 유무 및 자기자본 비율에 따른 입찰의사결정 행태를 추가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경매 입찰 무경험자와 유경험자 및 상업용부동산 낙찰 경험자는 입찰 경험 및 노하우에 따라 입찰 의사결정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자기자본 선호비율에 따른 입찰의사결정요인 분석 결과에서는 공격적 투자성향을 보이는 30% 이하, 일반적 투자성향을 보이는 31~50%, 보수적 투자성향을 보이는 51% 이상에 따라 입찰의사결정의 중요 요인에 차이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부동산 경매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상업용부동산에 대한 연구로서, 주거용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는 부동산 경매 관련 연구분야를 상업용부동산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과 상업용부동산 경매입찰 참여자들의 입찰의사결정의 행동특성을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경매물건의 특성으로 인하여 상업용부동산을 ‘상가’로 한정하여 분석한 점이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기에 향후 상업용부동산 관련 연구에서는 상업용부동산 전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부동산 경매 관련 연구의 다양성 측면에서 토지나 특수시설 분야에서도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하겠다.

      • 신문의 기사식 광고에서 미디어 신뢰도와 정보원 신뢰도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삼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 중반에 도입된 기사식 광고의 국내 연구 자료는 대부분 신문의 기사식 광고에 대한 기만성 및 문제점 그리고 일반 광고와 비교한 기사식 광고의 광고 효과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수에 의해 소비자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오늘날처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영역의 확대와 인터넷과 모바일 등의 새로운 뉴미디어가 등장하는 시대적 상황에는 소비자 태도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향후 기업의 광고 전략 수립에 있어서 실무적 기초자료 제공과 후속 연구자를 위한 학술적 가치가 더욱 높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발전과 매체 전략에 중요한 변수인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디어 신뢰도와 정보원의 신뢰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연구하고, 아울러 신문 매체의 기사식 광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전략적 광고 집행에 있어 신문 기사식 광고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기초자료 제공과 후속 연구자를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의 직장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험적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기사식 광고와 일반 광고를 신문 형태와 동일한 크기의 인쇄물로 제작하여 설문지에 삽입하여 진행하였고, 미디어 신뢰도와 정보원의 신뢰도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을 살펴보았다. 회귀분석과 이원 변량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지지받은 가설을 두 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미디어 신뢰도가 높은 소비자는 신문 기사식 광고가 일반 광고에 비해 인지적 반응, 호감도, 구매 의도가 높고 미디어 신뢰도가 높으면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 또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일반 광고에 비해 신문의 기사식 광고의 인지도, 호감도, 구매 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정보원의 신뢰도가 높으면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 또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오늘날 신문을 구독하는 소비자는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 확률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소비자는 신문의 정보원을 신뢰 한다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처럼 신문과 신문의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소비자는 일반 광고 보다는 기사식 광고가 소비자 태도에 좀 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러한 의미는 오늘날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 환경에 기사식 광고의 영향력과 향 후 기사식 광고의 메시지 전략 수립에 있어 미디어와 정보원의 신뢰도가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와 광고를 진행하는 관련 매체 에게 실무적 기초 자료로서 유용한 의미가 있을 것이고, 기사식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알 수 있는 학술적 기초 자료로서도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진행함에 있어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밝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하게 신문의 기사식 광고와 일반 광고만을 비교 연구 한 것으로 끝났는데, 소비자들이 실질적으로 혼동 하거나 혼동 가능성을 유발하는 단서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외생 변수를 차단할 수 있는 실험실 연구가 필요한 부분 이였으나, 시행하지 못한 점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모집단을 대상으로 기사식 광고와 다양한 매체에 관련된 소비자 태도를 밝혀내는 후속 연구자들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oday, media communication technology is fast developing, and a change in diverse media and advertising market environment is further developing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 increasing amount of advertisements are featured in media, and their types are undergoing change and evolvement, attempting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to continuously experience strategic development for the enhancement of attention and effects. Advertorial, introduced since 1990, are at the heart of this trend. Amid long term sluggish economy, advertisers have questioned the effect of advertisements, which led to media companies' revenues decreasing gradually, and to enterprises choosing the more effective advertorials over general advertisements. Amid this trend, advertorials have continued to grow. This study sees that these advertorials will continue to grow and have a great impact on the advertising markets, and aimed to define improvement measures and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execution of advertorials, and to addres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advertorials. Also,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working data to enterprises and advertisers as well as to researchers of advertisers by researching on the effect of the media reliability and the third-party endorsement recognition on consumer attitude about advertorials. Thes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onsumer re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al response - which are influenced by advertorials - have an important correlation with the media reliability and the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recognition levels. This suggested that local advertorials have a great effect on consumer attitude while crucial for devising adversarial message strategies. All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Data were measur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To measure the reliability, based on research by Garbarino and Johnson(1999), and Jeong Seon-yeong (2008), questions were devised such as ‘Believable’, ‘Reliable’, ‘Can trust.’ For the media reliability, based on research by Gazino & Mc Grath (1986), and Hovland & Weiss (1951), questions were devised such as ‘Is the information believable?’, ‘Is the information reliable?’, ‘Is the information fair?’, and ‘Is the content not biased?’ Based on research by Ban Hyeon, Gwon Yeong-sun (2007), and Park Jeong-ui (2001), questions were devised such as ‘Is the information provided speedily?’, and ‘Is the advertisement in good harmony with the social environment?’ Based on research by Johnson & Kaye (1998), ‘Does the information have in-depth content?’, and ‘Is the information content in detail? Also, for consumer attitude, based on research by Secord (1966), Mills(1969), and Jhoson & Kaye(1998), questions were devised such as ‘Is the information source reliable?’, ‘I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source accurate?’, and ‘Is the information source reliable?’ Based on research by Secord(1966), Berlo & Lamert(1961), Triandis(1976), Go Jun-hwan (1992), Schweiger(2000), Kim Gwang-jae (2001), and Eastin(2001), questions were devised such as ‘Is the information source specialized?’, ‘Is the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true?’, ‘Is the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fair?’, ‘Does the information source cautiously deliver the information? ’, ‘Does the information source deliver the information closely and in detail?’, and ‘Is the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believable?’ Also, company employees and students i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surveyed. Advertorials and general ads used in the study were produced ins such a way as to have the same patterns, sizes and materials as featured in newspapers, the ad content was about a fake brand Waterpark, and newspaper company names were fake o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general ads, advertorials with high media reliability offered high recognition,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The higher the media reliability was, the greater positive effect the consumer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endorsement had. Second, the higher the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recognition level was, the higher the adversarial recognition, attra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compared with general ads. The higher the third-party endorsement effect was, the higher the media reliability was. This study defined the effect of media reliability and third-party endorsement on consumer attitude about advertorials, and has yet to be furthered. Only newspaper advertorials and general ads were compared, so they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diverse media. Also, the population targeted only a specific region and those in specific age range and should be expanded for later research. In order to define clues that caused the possible consumer confusion, experimental study has yet to be conducted to verify that. Research should thus be furthered.

      • 사업장 화재경보음 전달특성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이영삼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업현장에서 화재발생 시 경보음이 원활하게 작업자(재실자)에게 전달되지 않아 피난 여유시간 부족으로 인명피해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 들어 건축기술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고 더불어 쾌적한 작업공간에 대한 요구증가로 작업공간을 복도 및 타 작업실로부터 구획된 시공을 하고, 대부분의 경보장치를 복도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 경보장치가 작동 되더라도 적절한 경보음이 복도와 격리된 장소의 작업자에게 명확히 전달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욱이 작업공간에 소음이 존재하고 그리고 방음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어 작업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경보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청취조건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화재발생 시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에게 화재발생 상황을 알리는 화재경보장치의 전달특성을 분석하여 적정 청취조건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사업장(공장)의 화재발생현황과 화재경보음에 관련한 기준 및 문헌을 조사·분석하였다. 그리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경보장치의 음압을 평가하였다. 또한 사업장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유틸리티 기계인 공기압축기, 냉동기, 보일러, 모터펌프를 대상으로 음압을 측정·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일조건의 실험장소에서 문의 개·폐조건과 거리별로 경보발생장치의 음량을 인공귀 + 음량측정기를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피험자를 대상으로 문의 개·폐조건 및 귀마개착용, 귀덮개착용, 귀마개 + 귀덮개착용, 방음보호구 미착용 조건 하에서 경보음의 인지정도를 정성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1) 국내 시판중인 여덟 개의 경보발생장치 제품을 대상으로 음향감쇠특성을 측정‧분석한 결과, 정격 기준에서는 모두 만족하였으나, 전압강하를 고려한 19.2볼트에서는 37.5%가 법적기준 이하로 평가되었다. 2) 사업장의 대표적 기기의 평균소음을 92 dB(A)로 기준 했을 때, 실제 작업장에 도달된 경보음량과 암소음의 차이(Gap)가 10 dB(A)이상 발생하여, 소음‧진동규제법에 따라 경보음이 음폐(Masking)가 되어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 피험자를 대상으로 암소음 발생 하에서 기기실문의 개·폐 및 귀마개착용, 귀덮개착용, 귀마개 + 귀덮개착용, 방음보호구 미착용 조건을 만들어 경보음의 인지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문을 닫고 방음보호구를 착용 또는 미착용할 경우 저주파 대역을 많이 가지고 있는 보일러를 제외한 모든 기기에서 “거의 안 들린다(Level 4이하)”로 평가되었다. 4) 기기음(암소음)과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현재의 일률적인 화재경보음 설계는 경보음 전달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소음‧진동규제법 공장소음·진동의 배출허용기준(배출시설의 마력용량에 따른 소음발생규제) 및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제품의 소음발생기준을 고려한 화재경보음 설계‧시공을 권장하며, 또한 장소특성을 고려한 설계‧시공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유치권이 부동산 경매 낙찰가에 미치는 영향

        이영삼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al estate auctions are frequently delayed during the process. The reason of the delay is often due to the flood of declaration of the liens. And successful bidders, renters, and creditors are all taking economical and social losses constantly by these frequent declarations. In this study, we have looked for the theories related to the lien and other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e same subject matters. In this study, we have also conducted the positive analysis study on the same matter. The study results were presented with positively analyzed statistics about the subject matter with lien declaration. The scope of this study was gathered from data of one metropolitan city and six mega polis’ subject matter with declaration of lie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9 (twelve months) and 1,616 cases have been analyzed. Each subject matter’s successful bidding price was settled as the dependant variable to look for the effect of the lien. Characteristics of each auctioned subject matter and outside effect variabl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assumption of Hedonic price Model.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the successful bidding price. And by this, we expect to find the decisive elements. The issues that affected the price of the auction’s subject matter with lien were as followings. The number of the participation parties, trade rate of the building, trade rate of the apartment, consumer price index, and the negative elements were the number of the failed auction, the current unsold apartment, trade rate of land, employee rate and internal rate of return of the government bond. This study has researched for the influential elements regarding the auction of real estate property with lien declar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ay help on analyzing the rights and calculating the bidding price. 부동산 경매과정에서 유치권 신고의 난립으로 인하여 경매절차가 지연되고 낙찰자, 임차인, 채권자 등 손해를 입는 대상들도 많아 경제적ㆍ사회적인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권과 관련한 이론들 및 기존 연구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통한 실증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한 통계자료를 가지고 유치권 신고 된 물건들의 비교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자료의 범위는 1개 특별시 및 6개 광역시의 자료에 대하여 유치권이 신고된 물건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총 12개월 동안의 유치권 낙찰물건 총 1,616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치권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개별 물건들의 낙찰가율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개별 경매물건의 특성과 외부 영향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Hedonic Price Model를 추정하여 낙찰가율에 각각의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함으로 낙찰가율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유치권이 신고된 경매 물건들이 낙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수는 입찰자 수, 건축물거래량, 아파트거래량, 소비자물가지수 등이며, 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변수는 유찰횟수, 미분양현황, 토지거래량, 고용률, 국고채수익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여 본 연구는 유치권이 신고된 부동산 경매 물건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았으며, 향후 권리분석 및 응찰가를 산정하는 데 있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바람이다.

      • 成功的인 新製品 開發을 爲한 經營戰略에 關한 硏究

        이영삼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품개발에 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기업의 성공적인 신제품개발을 위한 총체적인 기업경영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즉, 오늘날의 기업경영의 핵심인 연구개발(R&D)에 있어서 성공적인 신제품개발을 위한 경영전략에 그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것이다. 기업에 있어 연구개발이란 신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이윤을 창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제품의 개발도 기업 경영의 세밀하고 계획된 경영전략의 수반 없이는 시장에서 좀처럼 성공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신제품 개발의 경영전략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업을 경영하는 도구이며 치열한 경쟁상황을 돌파하는 무기가 된다. 따라서 경영전략은 기업의 기본적인 업무수행 및 집행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명령이 되는 것으로 전사적인 관점에서 전체적이고 통합된 기본적인 행동 결정이라 볼 수 있다. 21세기 세계화, 국제화에 따른 국내외 경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경영전략의 수립은 현 우리 기업들의 사명이기도 하다. 또한 경영활동에 있어서 성공적인 신제품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것보다 기업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하거나 대외경쟁력 강화에 대한 확신을 제공해 주는 방법은 없다. 결론적으로, 기업은 끊임없이 신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서의 성공으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기업 내/외적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경영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비용과 위험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적 사례 분석으로 구성된다. 문헌 연구는 기존 문헌 및 논문을 중심으로 신제품에 대한 개념과 유형, 신제품 성과에 관한 국내연구 및 신제품개발전략과 성공적인 신제품개발을 위한 경영전략의 특성에 관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를 시도하였으며 필요한 사례들을 가능한 많이 인용하였다. 실증적 사례 분석에 있어서는 국내외 성공적인 기업의 경영전략적 특성을 각각의 제시된 경영전략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국내 성공 기업의 경영 전략적인 측면에 관한 분석연구를 수행하여 성공적인 신제품개발을 위한 경영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