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보육시설 이용현황과 보육 서비스 인식 차이

        이연화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 Utiliz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Service Perception Lee Yun Hwa Major in Child Welfare and Child Education General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Kim Ki Hyun As active childcare enterprises were performed due to proclaiming infant and young child care law in 1991, there was quantitative expansion in childcare centers with diverse types including national public, private, and workplace childcare facilities, and full-time, part-time, and night-time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car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Even though this expansion implies that the government promotes multi-dimensional childcare enterprises so as to accommodate the childcare needs of primary caregivers using childcare services, actually mothers as a service user criticize that qualitative aspects are insufficient (Kim Myeong Suk, 2001). Now, owing to realizing gender equality, women’s higher education attainment, and increasing self-actualization needs in our country, married women’s employment rate is increasing and the responsibilities of child care are not ascribed to mothers only. As a result, as it is natural to search for substitute caregivers, there is an increase in depending on childcare centers to be able to care for children safely instead of hom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 utilization of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service perception.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confirm more factual and realistic results in that most preceding studies are reviewed to differ somewhat from current overall patterns using childcare centers as they had been conducted before 2013 when free childcare and childcare allowance were expand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using childcare facilitie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service perception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perceiving the education contents of childcare facilitie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using childcare facilitie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if free childcare discontinu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entrusting their children to childcare centers within the jurisdiction of Jeonju-si. Over such subjects, this study distributed 340 copies of its questionnaire, and so excluded 48 copies of improper responses among 280 collected copies, and then used a total of 232 copies for its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center use status, needs for facilities, and perceptions on educational services, this study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measurement tools having been used in Ju Hyeon Jeong(2001), Jeong Eun Ju(2012), and Jo Seong Eun(2012). This study executed cross tabu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using childcare facilities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reasons to use childcare facilities, considerations for choosing facilities, and use hours, employed mothers hoped that their children would enjoy safe and high-quality education services in near facilities during their comfortable working hours without substitute caregivers due to nuclear family. In contrast, unemployed mothers hoped that their children would stay in their childcare facilities during a long time so as to form peers’ social relationships and correct basic life habits to be difficult to acquire at home. Second, the differences in childcare service need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preferred female teachers in their thirties who were healthy and bright in character with the education level of more than technical college graduation irrespective of marital status. Both groups regarded the government as the subject of bearing childcare costs. In hoping holiday childcare, the response rates of yes(29.4% and 23.6% respectively) and no(70.6% and 76.4% respectively) were similar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In composing desirable childcare rooms, ‘by age’ was the highest for both groups. In the core programs which mothers hope, ‘forming correct life habits’ was the highest for both groups. In satisfaction with the ratio of teachers vs.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sponse of dissatisfaction was 25.9% for employed mothers and 30.7% for unemployed mothers, which was not low rates. Third, the differences in perceiving the education contents of childcare facilitie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bear additional childcare fees if education contents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useful to their children. Additionally, in the education to be difficult to perform at home, both groups selected ‘prosocial peer relationships’. In the education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care facilities used in the present, the response of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for both groups. Fourth, the differences in using childcare facilities between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if free childcare discontinue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employed mothers responded that there would be no change in using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having no person to care for their children and owing to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On the other hand, unemployed moth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use childcare facilities owing to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 연어 중심 어휘지도가 중학생의 어휘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연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휘지도의 두 형태, 즉 개별 어휘 목록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어휘지도 방법과 연어 중심의 어휘지도 방법이 중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창원시 소재 P중학교 3학년 남, 여학생 120명으로 선정하였고, 일주일에 두 번씩 정규 수업시간의 일부를 할애하여 명시적인 어휘지도를 12회 정도 실시하고 중간에 부분 정리 시간을 3회 가져 총 15차시의 실험기간을 가졌다. 실험집단은 개별 어휘 목록 중심으로 어휘를 학습하는 남, 여 각 1개반과 연어 중심으로 어휘를 학습하는 남, 여 각 1개 반으로 구성하여, 어휘노트를 제공하고 입력 강화 학습 자료를 만들어 익힌 어휘를 연습하게 하였으며, 또한 학습한 어휘를 활용하여 예문을 적게 하였다. 그리고 각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별로 알아보았다. 또한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통해 각 집단별 어휘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정의적인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집단별 어휘지도는 학생들의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두 실험집단 모두 사전 평가 점수보다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둘째, 연어 중심 어휘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어휘 능력에 있어 개별 어휘 목록 어휘지도 방법에 비해 더 큰 향상을 보였지만 두 유형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두 집단은 흥미와 태도 면에서 각각의 어휘지도 방법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연어 중심 어휘학습 집단이 개별 어휘 목록 어휘학습 집단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며, 두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가 있었다. 즉, 연어 중심 어휘 지도가 학생들의 흥미를 북돋우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어떤 방법이든 체계적인 어휘지도는 분명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어휘도 영어 학습의 주요한 일부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험 기간이 짧아 두 유형의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할 수는 없었으나 점수의 향상 정도와 설문지로 알아본 정의적 반응에서 연어 중심 어휘지도가 개별 어휘 목록 중심의 어휘지도보다는 어휘력 향상에 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는 잠정적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러므로 연어 중심의 어휘지도가 어휘력 향상에 인지적으로나 정의적으로 효과 있는 좋은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icacy of the two methods of English vocabulary instruction-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G1) and the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G2)―on the enhancement of the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lexical competence and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improve their lexical competence. The subjects were one hundred and twenty third year students (60 boys and 60 girls) of P middle school in Changwon. They had a total of fifteen class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hich were twelve explicit and systematic vocabulary lessons and three review hou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wice a week as part of a regular class. G1 was composed of thirty boys and thirty girls each. G2 was the same. They were given vocabulary notebooks with new words and worksheets for practice. After learning new vocabulary, they were asked to make sentences using the vocabulary. The efficacy of each method was examined by each group. Also, the data collec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experiment on students' affective domain was done with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ways of vocabulary teaching conducted by group were found to be effective to enhance students' lexical competence.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students' post-vocabulary test resu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tudents' pre-vocabulary test results. Secondly, it was found that collocation-based instruction did have a larger effect on students' vocabulary compete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vocabulary competence. Thirdly,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both G1 and G2 showed the positive response of each vocabulary instruction in interest and attitude, but G2 was more positiv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o to speak, it was proved that collocation-bas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making vocabulary teaching interesting. In short, regardless of the ways, it was obvious that systematic and explicit vocabulary teaching was helpful to enhance students' lexical competence and it should be treated as a main part of English learning. Although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not proved because of the time limit, judging from the improvement in score and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earcher concluded provisionally that the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would have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an 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Therefore, the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has been seen to be another effective way of improving students' lexical competence cognitively and affectively.

      • MCFC 발전 시스템의 촉매연소기 내 메탄 및 프로판의 촉매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CFC 발전시스템의 주변 보조 장치인 BOP에서 촉매연소기는 연료극(anode) 출구와 공기극(cathode) 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연료극의 배가스 중에 포함된 미반응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공기극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고온의 혼합가스를 공급한다. 하지만 연료극 출구가스에는 다량의 와 가 포함되어 연료가스를 희석시키므로 가연한계 이하로 내려가게 되어 통상적인 연소방식에 의한 완전연소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촉매연소 방식을 도입하였다. 촉매연소는 통상의 연소방식과는 달리 담체에 코팅된 촉매의 표면에서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적인 반응에 의한 연소방식으로서 통상의 연소방식에 비해 매우 희박한 연소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소 효율 및 연료 호환성이 좋은 에너지 절약형 연소 방식이며, , , 등과 같은 배기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 연소방식이다. 하지만 촉매연소기의 상업적인 적용은 요구되는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는 촉매 개발의 어려움으로 인해 지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는 촉매연소기의 연소특성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먼저, 실험 결과와 수치해석 결과의 비교를 통해 수치해석 모델을 검증하였고, 과잉공기비 및 공간속도와 같은 작동조건 변화에 따른 촉매 성능 연구를 통하여 최적 설계 조건을 설정하였다. 최적 설계 조건을 바탕으로 250kW MCFC 발전시스템의 실제 운전 조건하에서 입구온도, 공급율, 그리고 MCFC 시스템의 시동스케줄에 따른 촉매연소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작동조건이 와 촉매연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MCFC BOP 시스템의 및 의 촉매연소 특성을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 핀테크 거래의 현행과세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P2P대출 중심으로

        이연화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Fintec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to utilizing the financial system in existing models. With the convergence of existing finance and IT technologies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fintech service secto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ayments, remittances, asset management and loans. The development of P2P transactions enabled the lending of fintech services without going through financial institutions. The volume of P2P-accumulated loans reached about 6.2 trillion won at the end of June 2019, more than a 10-fold increase from the end of 2016. This is a stable investment by investors with extra funds, and transactions are brisk because borrowers have relatively low interest rates. Individuals who are not registered as lenders for P2P loan investment returns are taxed on interest of non-business loan in view of transactions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 business operators or corporations registered as loan businesses are classified as business income and can be deducted as a deduction by deducting the related expenses into the required expenses. This raises the issue of taxing the loan differently by categorizing it as business income or interest of non-business loan (interest income) depending on whether the loan is registered. In addition, the legal statements for P2P loan transactions can be classified into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equity securities and equity-type collective investment investments, with all P2P loan transaction returns taxed as interest of non-business loan. The government revised the plan to temporarily cut the withholding tax rate to 14 percent for two years from 2019 on interest income earned by individual investors from eligible P2P investments, a vague part of classifying all gains from P2P investments as interest of non-business loan. In this study, the current P2P loan investment returns were taxed as interest of non-business loan,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sought. First, it is mandatory to register a loan in order to make a P2P loan transaction without having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loan is registered. In the event of a one-time transaction, obtaining a business registration may be a hassle, so the process of registering a business license should be simplified and legislated so that it can be done over an electronic system network. Next, it is reasonable for P2P loan transactions to be classified as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equity securities and equity investment in accordance with their business model and taxed on dividend income rather than interest of non-business loan. It is reasonable to classify P2P loan transactions as the nature of investment rather than loan of money as they pose a risk of not being repaid in the distribution stage of P2P brokerage houses. Finally, the services provided by P2P Platforms are easier than the procedures provided by existing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generate returns from investments online or mobile, and thus require the same withholding tax rate of 14 per cent as financial institutions. The government lowered the tax rate to "on interest income from eligible P2P investments.". Failure to comply with this qualifying requirement makes it reasonable to regulate P2P platform companies by capital market law or other methods, not by the withholding tax rate of investors. by Lee, Yeon Hwa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ark, Sung Ook 핀테크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존의 모델에서 금융시스템을 활용한 새로운 대안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4차 산업혁명기술에 맞게 기존금융과 IT기술의 융합으로 핀테크 서비스 분야로는 결제, 송금, 자산관리, 대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핀테크 서비스는 P2P거래가 발달하여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P2P누적 대출규모는 2019년 6월말 기준으로 약 6.2조원으로 2016년 말 기준 대비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여유자금을 가진 투자자들이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차입자 들은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거래가 활발하다. P2P대출 투자수익에 대해서 대부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개인들은 개인 간 거래로 보아 비영업대금이익으로 과세되고 있다. 대부업 으로 등록한 개인사업자나 법인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관련비용을 필요경비로 산입하여 손금으로 공제받을 수 있다. 이는 대부업 등록 여부에 따라 사업소득 혹은 비영업대금이익(이자소득) 으로 분류하여 다르게 과세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P2P대출거래에 대한 법적성격을 투자계약증권, 지분증권, 지분형 집합투자증권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모든 P2P대출거래 투자수익을 비영업대금이익으로 과세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정부는 개인투자자가 적격 P2P투자에서 얻은 이자소득에 대해 2019년부터 2년간 한시적으로 원천징수세율을 14%로 인하하는 것으로 개정 하였는데, P2P투자에서 얻은 이익을 모두 비영업대금이익으로 분류하기는 애매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P2P대출 투자수익에 대해서 비영업대금이익으로 과세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대부업 등록 여부에 따라 분류할 필요 없이 P2P대출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대부업 등록을 의무화한다. 일회성 거래일 경우에는 사업자등록 발급 받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사업자등록 절차는 전자 시스템 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서류나 절차를 간편화하여 입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P2P대출거래는 그 사업모델에 따라 법적성격을 투자계약증권, 지분증권, 지분형 집합투자증권으로 분류되어 비영업대금이익이 아닌 배당소득으로 과세되는 것이 타당하다. 우리나라 P2P대출거래는 간접대출형 으로 P2P중개업체의 분배 단계에서 상환 받지 못할 위험도 떠안게 되므로 금전의 대여가 아닌 투자의 성격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P2P플랫폼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기존 금융사에서 제공하던 절차보다 간편한 시스템으로 온라인 또는 모바일을 통하여 투자수익을 발생시키므로 금융사와 동일하게 원천징수세율 14%를 적용하여야 한다. 정부는 “적격 P2P투자에서 얻은 이자수익에 대하여”로 한정하여 세율을 인하하였다. 이 적격의 요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투자자들의 원천징수세율이 아닌, 자본시장법이나 타법으로 P2P플랫폼사를 규제함이 타당하다.

      • 도덕 교육에서의 공감 교육을 위한 멘토링 학습의 적용 방안 연구

        이연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도덕교육에서의 진정한 도덕성 함양을 위한 ‘공감’ 교육의 필요성에 목적을 두고, 도덕교육에 있어 도덕적 정서인 공감의 의미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덕적 정서로부터 발단되는 행위의 동기인 ‘공감(sympathy)’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도덕교육에서 공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관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멘토링(mentoring)’ 교육을 적용하여 학습하고자 한다. 먼저, 우리의 도덕성 형성에 있어 도덕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적 본성을 깨닫고 도덕적 가치관과 신념, 태도를 모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활동과 동시에 타인과의 도덕성 발달을 위하여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도덕 교육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우리가 도덕적 사고와 행위의 실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도덕성은 지식과 규범의 이해로부터 판단되는 이성적 판단에 의해서가 아니라 타인에 대한 공감과 경험으로부터 나오는 정서적 판단으로 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정서의 발달과 작용에 의해 도덕성은 인간은 내면에서부터 도덕적 행위의 실천 동기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정서적 판단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 가지 경험과 교육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 할 수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인간의 ‘공감’ 능력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있어서 이성적 판단보다는 정서적 판단에 우위를 두고 있는 철학자들의 사상을 바탕으로, 도덕교육에서의 도덕성 형성에 있어 공감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공감 형성을 위한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도덕적 행위에 있어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다’라고 주장하는 흄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교육에서의 공감 개념의 발달을 알아보았다. 그는 도덕성 형성에 있어 공감의 발달을 도덕적 상상력과 상상력으로부터 나오는 도덕적 감성(moral sense)으로 설명하고 있다. 흄에 따르면 인간의 도덕적 판단력과 행위의 실천에서 중요한 특성은 이성의 판단이 아니라 정서의 작용이다. 그 이유는 도덕교육에서는 무엇보다도 도덕적 행위의 실천이 중요한데 정념은 행위의 동기가 될 수 있는 반면, 이성은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도덕적 판단을 위해 올바른 도덕적 추론을 하여야 한다고 한다. 즉, 도덕적 추론은 타인과의 공감을 통해서 발달되는데 이는 인간의 정서로부터 작용되는 도덕적 상상력을 이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도덕적 상상력이 올바르게 함양되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라 올바른 판단력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도덕적 안목, 즉 도덕적 감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흄의 도덕적 감성에 이어 호프만 역시 도덕적 행위의 원천은 공감(sympathy)에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공감은 타인에게 적절한 반응이다’라고 주장하면서 도덕성 형성에 있어 타인과의 공감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또한 흄의 이성과 정념의 역할을 더 발전시켜 도덕성 형성에 있어 인간의 이성적 판단과 정서적 판단의 조화의 중요성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그가 말하는 도덕적 공감은 어느 한 측면에 의해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와 이성의 두 관점이 조화롭게 이루어 질 때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공감은 타인에 대한 관심과 친사회적 도덕적 감성의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호프만이 정의하는 공감이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내적 상태에 접근하는 도덕적 감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흄의 도덕적 감성과 호프만의 공감 이론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며, 관계를 통하여 공감과 진정한 도덕성은 발달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러한 관계의 모습을 철학자 부버의 만남(encounter)의 이론을 통해 보다 자세한 의미로 이해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의 모든 참된 삶은 만남’이라고 하면서 만남을 통해 형성되는 도덕적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즉, 도덕성 형성에 있어 공감의 발달은 만남의 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이러한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중시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렇듯 앞의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는 공감과 만남의 관계를 현대적 의미인 ‘멘토링(mentoring)’을 통해 도덕교육에 있어 좀 더 교육적 접근을 할 수 있다. 도덕 교육에서의 멘토링 학습의 적용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로부터 변화하는 모습과 그 과정을 통해 타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교육적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멘토링교육은 도덕 교육에서 관계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관계지향적 학습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의 멘토링 학습교육은 멘토링의 내면적 의미에 보다 깊이 접근함으로써, 단지 학업성취만의 목적이 아닌 도덕성 형성에 있어서 공감을 발달시키기 위한 인간관계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 교과에 적용하는 멘토링 학습은 일반적인 학업 성취의 목적보다는 인격적인 관계를 통한 공감 형성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도덕과 수업에서 멘토링 효과를 위한 실질적인 학습 적용을 위하여 도덕과 교수 · 학습모형 중에서도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 MI) 학습모형을 선택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지능발달을 통한 공감과 멘토링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중지능 발달의 멘토링 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다중지능 발달 학습모형에 멘토링 활동 과정을 적용한 모형으로써, 도덕 교실에서의 멘토링 교육은 교사-학생의 일반적 관계를 넘어 학생-학생의 동료 멘토링 관계의 모습으로 발전 되어 나타난다. 즉, 동료 멘토링의 관계형성을 통한 학습 진행과정에서, 학생들은 서로의 학습 경험을 교류함으로써 학업성취에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가가는 모습을 이룰 수 있는 학습모형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는 도덕 교과에 멘토링 활동학습을 적용하여, 인간의 도덕성 계발을 공감과 관계형성을 통해 교육하고자 한다. 즉, 멘토링 학습의 의미 자체가 교사와 학생이 하나가 되어 서로에게 도움과 배움을 주는 관계의 과정으로 시작됨으로써 학생들에게 스스로 인지하고 배우는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러한 멘토링의 교육적 의미는 교육의 본질을 살린 교육방법으로, 마음속 깊은 내면에서 도덕적 행위가 나타날 수 있는 도덕적 정서를 학생들에게 보다 깊이 자리 잡아주기 위함이다. This study aims at necessity of 'Sympathy' education for cultivating true morality and pays attention to the meaning of sympathy as the moral emotion in the moral education. In this sense, through the research procedures below, it intends to inspect the importance of 'sympathy' as the motive of acts resulted from the moral emotion. And, it also intends to apply 'mentoring' education which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for effective education of sympathy in the moral education. First,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our moral education has to make students realize their internal nature and grope for moral value, belief and attitude. Also, for developing morality with others in addition to activities above, it has to make them learn principles and methods to form smooth human relations through the moral education. Therefore, morality, from which we can obtain moral thought and practice, originates not from the rational judgment through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norm but from the emotional judgment through sympathy and experience with others. Through the developments and operations of emotion, morality appears as the practical motive of the moral acts from the internal side of human. Emotional judgement appears as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to others through experiences and educations we've had, and it may be formed by human ability of 'sympathy'. So, based on the thoughts of philosophers to put superiority on the emotional judgement rather than the rational in the human moral act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s of sympathy in the morality formation and importance of human relation for sympathy formation in the moral education. First, based on the theory of Hume the influential factor of moral judgement is not reason but emotion in the moral acts, the study inspected development of sympathy concept in the moral education. He explains the development of sympathy, in the morality formation, as moral imagination and moral sense from imagination. According to Hume, the important property, in human moral judgment and practice of act, is not reasonal judgment but emotional action. The reason is that he thought practice of moral ac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emotion can be a motive of act but reason cannot. He also asserted correct moral reasoning must be required for moral judgment. In other words, he said moral reasoning may be developed through sympathy with others and moral imagination from human emotion must be used.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moral imagination correctly, it may be required for moral appreciative eyes to judge correc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is, moral emotion. In addition to moral emotion of Hume, Hofmann also explains the source of moral act is sympathy. He argues 'Sympathy is a reaction adequate to others' emphasizing importance of sympathy with others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Furthermore, developing roles of reason and emotion of Hume, he refers to the importance of harmony of human reasonal and emotional judgments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He says moral sympathy is possible when both angles of emotion and reason can be formed harmoniously rather than unilaterally from one side. He defines sympathy has the important meaning in the developments of interest in others and society-friendly moral emotion. Therefore, it may be said sympathy, which Hofmann defines, is moral emotion approaching internal state through relationship with others. As seen from moral emotion of Hume and sympathy theory of Hofmann, people live on relating with others, and sympathy and true morality may be developed through relationship. And, we can understand such relationship in detail through the Encounter theory of Buber, a philosopher. He says 'Every true life of human is encounter' and explains moral relationship formed by encounter. That is, he argues that development of sympathy is a process done by encounter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and we cannot ignore importance of such human relations. Based on such theories above, we can approach relation of sympathy and encounter more educationally through 'mentoring' of its modern meaning. The application of mentoring learning to the moral education has the educational meaning to influence profoundly on life of others through the process of human mutual relationship and changes from it. In this respect, mentoring education can be said as relation-oriented learning to emphasize importance of relationship in the moral education. In addition, mentoring learning of this study can be mentioned as the beginning of human relations for developing sympathy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rather than mere purpose of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in-depth approaching internal meaning of mentoring. So, mentoring learning in the moral course puts weight on sympathy formation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 rather than general purpose of academic achievements. Henc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earning aimed at mentoring effects in the moral course, among moral instructional - learning models, selected a Multiple Intelligence (MI) model. And it presented a 'mentoring learning model of MI developments in order for students to activate sympathy and mentoring activities through the various intelligence developments. This is a model to apply mentoring activity processes to the existing MI development learning model, and mentorig education in the moral class develops into the comrade mentoring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tudent beyond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 other words, during learning process through relationship of comrade mentoring, students exchange their learning experience. It is a learning model to obtain academic achievements more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ducate developments of human morality through sympathy and relationship formation while applying mentoring learning to the moral course. In other words, because mentoring learning itself is the beginning of relationship which teachers and students become one and give help and learning to each other, education is possible which students recognize and learn by themselves. As the method to respect educational nature itself, future mentoring has the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makes students establish moral emotion to reveal moral act from their deep-rooted internal side.

      •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로봇 콘텐츠 개발 연구

        이연화 동아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로봇 인지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개선의 효과를 알아보고, 전통적 인지치료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해 효과를 파악하여 그들의 재활 과정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B시에 소재한 W요양병원에 입원한 61세~88세 사이의 경도인지장애 노인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집단과 비교집단 1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비교 집단은 뇌졸중 집단의 연령, 성별, 학력에 맞게 짝짓기한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로봇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처치하였고, 측정도구로 노인용 인지검사(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CSOA)를 사용하여 전체지능, 기초지능, 관리지능, 주의기능, 작업기능, 언어기능, 시공간력, 기억을 사전-사후 반복측정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인지치료 프로그램은 주의기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로봇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전체지능과 기억 기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블록 조립을 통한 로봇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기억기능 향상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인지치료와 로봇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동시 시행은 인지기능 전체에서 지능지표 3가지 영역(전체지능, 기초지능, 관리지능)과 하위지표의 주의기능과 기억기능의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에 있어 블록조립을 통한 로봇 인지재활이 전통적 인지치료와 상호보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고, 임상적 유용성을 갖춘 도구로써 전통적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상호보완적 활용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기술하였다.

      • 實用主義敎育에 관한 考察

        이연화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방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들어온 朱子의 性理思想에 대할만큼 큰 세력을 가지고 전래된 사상이 實用主義哲學을 기본으로 하는 進步主義 敎育思想이라고 할 수 있다. 진보주의 교육철학은 자유주의에 입각하여 個人의 자기표현과 자기활동을 키워주며 미래보다 현재를 중요시하며 經驗의 복합성과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本 硏究는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實用主義 敎育의 역사적 배경과 발달, 實用主義敎育의 이론과 실제 및 敎育的 意義를 논의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용주의교육의 歷史的 背景과 發達 실용주의 발상은 변화 그 자체가 만물의 속성이라고 여긴 헤라이크레이토스에 있다. 中世의 암흑시대 속에서 인간본연의 자세를 복귀하려는 것이 바로 교육을 통한 人間解放運動이다. 그 이후 루소, 페스탈로찌 등 새로운 敎育思想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실용주의의 철학은 피어스, 제임스, 듀우이에 의해서 발전하여 왔다. 듀이에 와서 완전히 敎育改革運動으로 성격이 바뀌게 되었다. 이 새 교육운동의 추진기관으로 미국에 「進步主義 敎育協會」가 창설된 것은 1919年이었다. 이 협회는 교육을 아동중심으로 전환시키고자 7개조항에 이르는 강령을 채택하였다. 1944년에 이르러 「미국교육동지회」로 개칭하였다가 1955년에는 기관으로서의 사명을 다 하였음을 선언하고 해산하였다. 2) 실용주의 敎育理論과 實際 실용주의자의 견해는 敎育이란 발달의 過程이라고 주장한다. 교육자는 항상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지식에 따라서 敎育의 方法을 계획하며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듀이는 「民主主義와 敎育」에서 生活의 필요로서의 교육,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成長으로서의 교육을 설명하고 있다. 넓은 의미로 교육적 철학인 프라머티즘은 변화만의 실재이며, 인간은 사회적 생물학적 존재가 아니고 지식을 자기 문제 해결과정에서 만드는 존재이며, 價直란 각자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實在論, 人生論, 認識論, 價値論위에 서있는 이 철학의 교육관, 생도관 교육목표관, 교육과정관의 네 측면에서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은 生命을 지속시키는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여생을 통해서 아이들에게 사회에 적응하며 나아가서 그 사회를 개혁하면서 자신의 생활을 확충할 수 있는 心的, 道德的 性向을 길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생도는 미성숙자이지만 수용력과 잠재적 능력을 갖춘 발전적 成長體로 보아야 한다. 세째, 교육목적은 固定되어서는 안되며 밖으로부터 주어져서도 안된다. 교육을 받을 兒童과 협력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네째로 교육의 過程은 끊임없는 경험의 재구성의 과정이다. 이러한 敎育思想을 실험하기 위하여 1896년 듀이는 실험학교를 발족하였다. 이 실험학교를 창설한 目的은 전통적인 학교를 개혁하려는데 있다. 실험학교 교육의 원리는 학교의 社會化, 아동중심화, 학습의 작업화와 사상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으로 진보주의 교육운동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던 것이다. 3) 實用主義의 敎育的 意義 프라그마티즘이 오늘의 교육에 담긴 공헌이란 지대한 것이다. 특히 시대에 뒤떨어진 形式主義에서 무시당했던 경험주의를 이룩해 놓은 것은 큰 업적이다. 그러나 소련이 미국을 앞질러 인공위성을 날림으로써 미국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졌다. 이것은 바로 進步主義敎育의 한계를 말하는 것이다. 첫째, 가장 기본적인 知識을 철저히 가르치질 못했고, 둘째로 가치·지식 중에는 영원·불변의 것도 분명히 있는데 그것을 소홀히 하였고 세째로, 오늘날처럼 급격하게 변하는 社會에 敎育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힘과 哲學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보주의는 금세기 초 30∼40년동안 미국사회를 지배했으며 민주주의적 자유주의의 理想을 학교실제에 심어놓았다. 해방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들어온 프라그마티즘 철학은 Dewey를 중심으로 그 주축을 이루었던 것이다. 1949년 봄부터는 듀이교육이론을 기초로 하는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와 실천이 활발히 일어났다. 실용주의 사상이 韓國敎育에 미친 공적은 지대한 것이다. 교육의 理想性을 강조한 나머지 현실의 생활성을 무시하다 싶이했던 구교육의 脫俗的교육관을 세속적인 것으로 돌이키는데 공헌하였다. 또한 아동을 하나의 인간으로서 존중받게끔 한 점과 교육의 社會化를 강조하여 교육계에 있어서 커뮤니티와 부단한 대화를 권장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과학적 교육의 강조로 기술존중 교육을 낳게 되어 一人一技敎育과 과학교육·기술존중교육을 문교 장학정책으로서 대두되었다. 이와같이 한국에 있어서 실용주의 교육은 近代化의 정신적 기초로서 또는 사상적 근거로서 대변되고 그 구체적인 방책을 강구하는 원천적 자본이 되었던 것이다. 사회전반적으로 민주화를 부르짖는 길목에 서서 교육의 民主化 實現을 염원하면서, 실용주의 교육철학의 훌륭한 점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고 그 교육의 한계점을 보완 , 수정해나가는 창조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With the advent of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ideology (thought) that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with a big power as equally as the principle on human nature and natural law by Chu-tzu may be considered as the progressive educational thought based on pragmatic philosophy. The progressive educational philosophy has its character that would recognize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experiences with laying importance on the present rather than the future through fostering the self-expression and self-activity of an individual on the basis of liberalism. This particular study is aimed at discuss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pragmatic education based on its bibliographic research, the theory and the fact of the pragmatic education as well a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contents are described as follows: (1)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Pragmatic Education. The conception of pragmatism is attributable to Herakleitos who considered the variation itself as a property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 attempt to restore the inherent posture of a human being in the medieval Dark Ages is, by all means, the liberation campaign for mankind through education. Since then the prominent figures such as Rousseau and Pestalozzi, etc. who advocate a new educational thought have been appeared. The philosophy of pragmatism has been developed by Peirce, James and Dewey. With the advent of Dewey, it has been totally transformed into the campaign of educational reformation. It was in 1919 when "The Educational Association for Pragmatism" was found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a propulsion organ of this new educational drive. This particular association adopted the general principles ranging over seven (7) articles in an attempt to convert the education into the one with laying emphasis on children. In 1944 the association was renamed as "American Educational Fellow Society" and then in 1955 it was dispersed upon the declaration that the association had fully performed its mission as a propulsion organ for the new educational campaign. (2) The Theory and Fact of Pragmatism The opinions of pragmatists assert that the education is a process of development. They claim that the educators should always plan and change a series of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society and newer knowledges. In the meantime, Dewey explained in his "Democracy and Education" that the education should be the one based on the necessity of living, the one composed of among environment, the one as guidance and the one as growth. In a broad sense, the pragmatism as an educational philosophy is a fact among changes, and the human being is an existence in terms of social biology. Thus, the human being is not only an subsistence that would merely receive knowledges but also the one that creates the knowledge in the course of resolving self-problems, and the four aspects of educational view, the view for students, the view for educational goal and the view for educational course of this particular philosophy that are based upon the realism, the theory of life, epistemology and the theory on value which would assert that the value has no other alternative but change itself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 is the work of sustaining life. Because we are able to teach children through students to be adapted to the society and further psychological, moral propensity that would enable one to amplify self-living through reforming the society. Secondly, the student should be regarded, although he or she is prematured, as a developing growth subsistence equipped with receptivity and potential capacity. Thirdly, the educational goal should not be fixed and it should not be also given from outside. Thus, it should be decided in cooperation with the educated children. Fourth, The process (course) of education is a recomposing process of constant experiences. In order to experiment these educational thoughts, in 1896 Dewey inaugurated an experimental institute. The purpose to found this experimental institute was aimed at reforming a solid traditional school. The principle for the education of an experimental institute was motivated to accelerate its spur the progressive educational drive with the socialization of school, the centralization on children and the educational thought of progressivism through the idea of working process for studies. (3)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agmatism The contribution in which the pragmatism is contained for today's education is to be enormous. Particularly, that the experimentalism which was ruled out in the formalism behind the age was set up should be regarded as an immense achievement.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Soviet Russia launched a man-made satellite ahead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voice of criticism has been raised against America. This phenomenon speaks itself the very limitation on the education of progressivism. Firstly, the most basic knowledge was not throughly taught, secondly, although there should be eternal, unchangeable ones among the values and knowledges, those were neglected, and thirdly, the education has not been equipped with substantial power and philosophy to actively cope with the society that has been rapidly changing as today. However, the progressivism ruled the American society for the period of 30-40 years in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Therefore, the democratic, liberal ideal has been planted on the practical fact of school. With the advent of liberation, the philosophy of pragmatism that was introduced to our country, Korea set up the principal axis with laying emphasis on Dewey. Since the spring of 1946 a series of researches and practices have been briskly developed toward the educational method based upon the educational theory Dewey. The achievement that the thought of pragmatism effected on the education in Korea is to be enormous. Through the excess of emphasizing the idealism of education,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convert the unearthly educational view of old education that would almost ignore the living propensity of the reality. Also,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fact the children should be respected as a human being, with laying stress on the socialization of the education, the ceaseless dialogue with communicator in the educational society has been encouraged. With laying emphasis on scientific education it has produced the education respecting technology, and "One technology per man" education, scientific education and the education respecting technology have been raised as the scholarship polic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is way, the education of pragmatism in Korea would be represented as the spiritual basis of modernization or the ideological substructure, and it has become the original capital that would devise its structural scheme. In conclusion, standing at a turn in a road that clamors for democratization in the society as a whole, while seeking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democratization, it is required that the meritorious points for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pragmatism should be succeeded and developed as well as supplementing the limiting points of its education and further more creative posture to revise them one after another should be imperative in this particular regard.

      • 통행배정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도로용량 및 통행시간 산출방법

        이연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행배정기법 중 사용자균형배정법은 개별 이용자가 자신의 통행비용을 최소화하도록 배정하는 기법이므로, 통행수요는 통행비용의 정확성에 의해 좌우된다. 여기에서, 통행시간은 분석대상 가로망의 용량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통행배정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용량을 실제상황에 최대한 유사하도록 산정함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통행비용함수의 변수 중 용량이 대상도로의 특성만을 반영하는 것에 비해, 대상도로 및 그와 교차하는 도로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링크용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링크용량을 실측했으며, 주도로 및 부도로의 녹색시간 비율 및 차로수 비율을 이용하여 산출한 링크용량과 비교·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BPR함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BPR함수의 변수 중 용량값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링크용량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며, 또 다른 대안으로 통행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자유교통류시간에 신호교차로의 지체를 합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대안을 통해 통행배정의 신뢰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서울시 간선도로 중 11개 지점의 현장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현시 및 4현시 교차로와 주도로에서 부도로로의 좌회전이 허용되는 3현시 교차로의 경우, 주도로 및 부도로의 녹색시간 비율을 대신해서 차로수비율을 이용해 링크의 서비스교통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둘째, 부도로에서 주도로로의 좌회전이 허용되는 3현시 교차로의 경우, 부도로의 녹색시간 비율이 차로수 비율에 비해 커지게 되므로 주도로 및 부도로의 차로수 비율에 10~20%를 가감하여 서비스교통류율을 산정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apacity and travel time of an interrupted flow. User chooses the route to minimize his own travel cost in user equilibrium assignment of network assignment methods. Therefore, travel demand depends on the accuracy of travel cost. Furthermore, travel cost depends on link capacity, so that to estimate link capacity exactly is very important. A field study for this purpose was performed. A link capacity was measured actually at 11 intersections, and th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urvey, the function of capacity, the number and types of lanes, activity level of the area, and number of signal phase. The estimation of travel time of interrupted flow is free-flow travel time plus dela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