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 기반 면역증강제시스템의 메르스 백신에 대한 면역증강활성 평가

        이연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동호흡기증후군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약 35%의 높은 치사율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사람에게 적용 가능한 백신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toll-like receptor 4 (TLR4) 작용체인 de-O-acylated lipooligosaccharide (dLOS)와 alum을 혼합한 면역증강제시스템 CIA06을 재조합단백질 메르스백신에 적용하여 항체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분석하였다. 메르스백신 항원 S1 또는 RBD와 면역증강제시스템 CIA06을 함께 마우스에 주사했을 때, 마우스 혈청 내 메르스백신 항원 특이적인 IgG 항체역가와 메르스 pseudovirus에 대한 중화항체역가를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면역증강제 alum에 비하여 IgG 항체와 중화항체를 빠르게 유도하여 항체성 면역 유도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A06은 메르스백신 항원용량과 횟수를 감소시켜도 IgG 항체역가를 유지시켰으며, 마지막 면역화로부터 38주 후까지 IgG 항체역가가 유지되어 면역지속성을 향상시켰다. CIA06은 Th1 타입 세포성 면역반응인 IFN-γ의 분비량을 증가시켰으며, CD4, CD8 T 세포 면역반응을 모두 유도하였다. 특히, 면역화로부터 1주만에 항원 단독 또는 alum에 비해 IFN-γ 분비를 현저히 증가시켜 Th1 타입 세포성 면역반응을 빠르게 유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dLOS 기반 면역증강제시스템인 CIA06을 메르스백신 항원에 적용했을 때, 메르스백신 항원의 면역원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항체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 모두 빠르게 유도하고 오래 유지시켜 메르스백신의 면역증강제로서 적용가능함을 나타내었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is an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infection with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Although MERS has a 35% of fatality rate, there is no vaccine for human use. In this study, the adjuvant system CIA06 was applied on MERS vaccine, and the immunopotentiating activity was investigated. BALB/c mice were immunized with MERS S1 or RBD antigen alone or in combination of adjuvant, and their immune responses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CIA06 enhanced MERS vaccine antigen-specific serum IgG and neutralizing antibody titers. Even after a single immunization, CIA06 induced IgG and neutralizing antibody more rapidly than alum, signifying strong humoral immune response. Also, mice immunized with the CIA06-adjuvanted vaccine maintained serum IgG antibody levels until 38 weeks post-immunization. Furthermore, CIA06 increased MERS antigen-specific IFN-γ secretion and induced both CD4+ and CD8+ T cells, suggesting induction of Th1-type-predominant immune respon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CIA06 as an effective adjuvant system for MERS vaccine.

      • 교원과 교육행정직원간의 직무인식 비교

        이연정 창원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er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task recognition of teaching members and school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offers the mutual cooperation solutionsw. The education is homework of our society that needs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This task is not only for teaching members and students, but for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ive members within organizations set up for the greater goal of education and also the country that has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such organizations. Currently, the purpose and management of school organization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school administrative members are also experiencing more diverse roles. After the analysis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task recognitio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had a general relationship that lacked a mutual understanding, where administrative members agreed that teachers think and act in a self-centered way. Also, school administrative members thought teachers showed an arrogant attitude and teacher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members tend to act authoritatively. Examining how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are understanding each other, the regulations of the task execution or the procedural part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of administrative members than teacher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both thought that their workloads were excessive and their boundaries of the workloads were unclear. They also felt that there are often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in the budget execution process and the demands of teachers were often turned down due to the shortage of the budget. About the compensations and the working relationships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many people replied that they were unsatisfied with the pay rate at the entrance level for both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embers in their entrance level salary. Teachers are considered professionals and based on their education and licenses, there will be extra points to set the salary and the administrative workers do not have such advantages. Only, the experiences before the employment will affect the salary rate. The work form, working hours, overtime hours, and/or holidays, all received unsatisfactory answers. It show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thoughts regarding the perspectives and the regulations in the interrelationships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Teachers tend to have higher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ality and the independence, and administrative workers have higher understanding of the plausibility and efficiency. Regarding the rights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they answered that the teachers’ rights are protected but the administrative workers do not have such protections. Teachers have organizations, such as the teachers associations, teachers unions, etc, to protect the rights of themselves, but administrative workers do not have such protections. Of the reasons of why the conflicts between the groups arise,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each others’ tasks and the unclear boundaries of the tasks showed the highest rates. Administrative workers often replied that they actively help the teachers regarding the administrative tasks and the teachers often replied that they actively understand the tasks of administrative workers and also admit the professionality of administrative workers.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workers thought that teachers are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chool and they also admit the professionality of teachers. The principal of the school sometimes received a positive response that they help the smooth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but there were replies that said not at all. In a question asking whether the principals only protect the roles of teachers, many replied yes. Administrative workers and teachers both wanted the principals to faithfully fulfill the roles of the intermediaries between teachers and general affairs manag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school organizations, the principal who leads the school needs to develop the abilities to analyze, diagnose, and treat the difficult situations within a school to improve the task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and also relieve the conflicting factor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The maintenance of the goo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workers can be achieved by encouraging the emotional independence, organizing a burden-free atmosphere for an effective communication, relieving the distrusting relationships and helping the morale. 본 연구자는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직무인식에 대하여 비교, 분석해보고, 상호협력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교육은 평생 동안 끊임없이 행하여야 할 우리 사회의 과제이다. 이 과제는 교육의 중심에 있는 학생과 교원만이 풀어 가는 것이 아니라, 교육이란 커다란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조직 내 포함되어 있는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그리고 이 조직을 뒷받침 해주어야할 의무가 있는 국가가 함께 풀어 나가야 할 과제인 것이다. 오늘날 학교 조직의 목적 및 운영은 점점 복잡 다양화해 가고 있고, 학교 행정가의 역할도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직무인식에 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일반적 관계에서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상호 인식차이는 결여 되어 있다고 느끼며, 교육행정직원들은 교원의 생각과 행동이 자기중심적이라는 의견에 공감을 보였다. 그리고 교육행정직원들은 교원이 우월적인 자세를 많이 보이고, 교원은 교육행정직원의 관료적 태도를 많이 보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 업무 처리와 관련하여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업무 추진의 규제나 절차적인 면에서는 교원보다는 교육행정직원이 이해 정도가󰡐높다󰡑라고 나타났으며,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모두 업무량이 과다 하다는 생각을 하며, 업무 한계가 불명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예산집행과정에서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상호 의견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다’라고 느끼고 있으며, 예산부족으로 교원들의 요구사항을 적절이 집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보수 및 복무관계에 대해서는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모두 초임호봉 산정에 불만족스럽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은 초임호봉 산정과정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교원은 전문성을 띄는 직업이므로, 학력에 따라, 가산점을 부여하여 호봉을 산정하고, 교육행정직원은 학력에 따라, 자격증에 따라 가산점이 부여되어 호봉을 산정하지 않는다. 단지, 임용 전 경력만으로 호봉을 산정한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근무 형태․근무시간․초과근무 시간․휴직 모두 불만족스럽다. 라는 응답이 나왔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인간관계에서는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가치관의 차이, 법규에 관한 생각 차이가 많은 것으로 보여 진다. 교원은 전문성과 자율성에 관한 인식이 높고, ‘교육행정직원은 합법성과 능률성에 관한 인식이 높다’라고 나타났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권익보호는 󰡐교원은 권익에 관한 보호를 받고 있다.’라는 응답이 많았고, ‘교육행정직원은 권익을 보호 받지 못하고 있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교원들은 교원단체, 전교조 한교조 등 교원의 권익을 보호 하는 단체가 있지만 교육행정직원은 그렇지 못 하는 게 현실이다. 상호간의 갈등요인에 관하여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상호 업무에 대한 이해 부족, 업무한계의 불분명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행정직원은 교원의 교육활동을 적극적으로 도와준다는 의견이 많았고, 교원들은 교육행정직원의 업무에 관해서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교육행정직원의 전문성을 인정 한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교육행정직원은 교원들이 학교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원의 전문성을 인정한다. 라고 응답하였다. 학교장은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간의 원만한 인간관계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지만, ‘전혀 아니다’라는 의견도 있었다. ‘학교장이 교원의 입장만 옹호 한다’라는 응답에서는 ‘그렇다’라는 응답이 월등히 많았다. 교육행정직원과 교원은 ‘교장이 교무와 서무의 중재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을 원하고 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학교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학교를 이끌어 가고 있는 학교장이 학교 내에서 공존하고 있는 어려운 현상 등을 분석․진단․처방하는 능력을 개발함으로써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업무 만족도를 높여주고, 교원과 교육행정직원간의 갈등요소를 해소 시켜 줄 수 있다. 교원과 교육행정직원간의 원만한 대인관계의 유지는 정서적 자율성을 격려 하여 주고 부담 없는 분위기를 조성해주어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불신 관계를 해소 시켜 주며, 사기 양양에 도움을 줌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Ethosome에 캡슐화된 Palmitoyl Tripeptide의 항균효과

        이연정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새로운 항균제인 palmitoyl tripeptide (M330)는 최소저해농도(MIC) 결정 실험에서 기존 화장품 방부제인 메칠파라벤, 페녹시에탄올보다 적은 농도로도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M330을 화장품 방부제로 사용하기 위해 화장품 제형에 혼합하였을 때, 화장품 속 점증제인 carbopol과의 정전기적 인력 결합으로 침전이 생기면서 점도가 떨어졌으며, 기존 방부제에 비해서 항균 효과도 크게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화장품 제형에서 침전형성을 방지하고 M330의 항균효과를 회복시키기 위하여 ethosome 베시클로 M330의 캡슐화를 시도하였다. M330을 캡슐화 할 때 펩타이드, 지질 등 구성 성분 간 조성 비율이 ethosome 베시클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베시클에 캡슐화되는 M330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베시클 입자가 커지게 되는데, 전체 용액 대비 M330의 농도를 5% 이상으로 할 경우, 베시클이 형성되지 않고 층 분리가 일어났다. 지질성분을 HPC (hydrogenated phosphatidyl choline) 단독으로만 사용하여 ethosome을 만들 경우 겔 상태가 되거나 입자 크기가 수 ㎛가 넘는 불안정한 상태의 베시클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HPC에 10% 정도의 콜레스테롤을 혼합하였다. Ethosome에 캡슐화된 M330을 화장품 제형에 첨가했을 때 침전이 형성되지 않았고 캡슐화되지 않은 M330 수용액을 첨가했을 때보다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 비교를 위해 화장품 제형에 ethosome으로 캡슐화 된 M330을 넣고 챌린지테스트를 시행하였다. 균주로는 진균에 A. niger, C. albicans, 그람 음성균에 P. aeruginosa, E. coli, 그람 양성균에 S. aureus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그람 음성균인 E. coli나 P. aeruginosa에서는 M330을 수용액 상태로 첨가했을 때보다 캡슐화하여 첨가했을 때 항균성이 더욱 향상되었지만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와 진균인 C. albicans, A. niger에서는 캡슐화에 의한 효과가 없었고, 특히 C. albicans, A. niger에서는 1주일 동안 생균수의 감소가 전혀 없었다. 항균효과의 증가를 위해 M330과 EDTA를 혼합하여 챌린지테스트를 한 결과 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두 성분을 함께 캡슐화 했을 때는 더욱 빠른 속도로 C. albicans가 사멸하였지만 A. niger에 대해서는 여전히 항균 효과가 없었다. A. niger에 대한 항균력을 갖게 하기 위하여 M330, EDTA를 모두 캡슐화한 ethosome에다 기존에 화장품 방부제로 쓰이는 페녹시에탄올을 소량 혼합하여 첨가한 결과 3일 안에 대부분의 균이 사멸하였다. Palmitoyl tripeptide (M330),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Miwon Commercial Co.,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methyl paraben or phenoxyethanol throug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However, when the M330 was added into cosmetic formulation, white precipitates formed due to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M330 and carbopol as thickener in cosmetics, and the viscosity of cosmetics decreased sharply. Also,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330 in cosmetics became lower than those of methyl paraben or phenoxyethanol. Thus, encapsulation of M330 in ethosome vesicle was attempted in order to recover the decline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330 in cosmetics and prevent the precipitates from forming. Composition of constitu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ethosome vesicles. The particle size of ethosome vesicles increased with M330 concentration and then the vesicles were not made at M330 concentrations above 5% of the total solution. The vesicles became move stable when 10% of cholesterol was mixed with HPC. When ethosome-encapsulated M330 was added into cosmetics, the precipitates did not form, and the decrease in the viscosity of cosmetics was not large compared to the addition of M330 in water solution. Challenge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cosmetics containing ethosome-encapsulated M330 in order to observe the encapsulation effect of ethosome vesicles. Fungus such as A. niger, C. albicans, and bacteria such as P. aeruginosa, E. coli, S. aureus were used as test organism. Challenges test showed tha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were improved by the encapsulation of M330, but the encapsulation was not effective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and fungus. A combination of M330 with EDTA showed synergistic inhibitory potential against C. albicans. After coencapsulation in ethosome, antimicrobial activities prov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unencapsulated M330 and EDTA.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A. niger could be obtained by adding a little phenoxyethanol into the coencapsulated M330 and ETDA.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서핑여행 앱 특성에 따른 서핑참여자의 참여의도 분석

        이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Leisure life in modern society aims for an ideal and balanced life by using free time. However, as there are restrictions on leisure life due to social anxiety and social distancing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odern people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sustainable and nature-friendly leisure sports. Surfing is a marine sport that protects the environment and is in harmony with nature, and the participation of modern people is increasing. Surf participants use various types of apps for the purpose of surfing, and through this, they participate in surfing by finding waves that are optimised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urfing trip app and surfing participants' intention to participate by applying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a population of those who had surfing experience and used the surfing trip app defined in this study for the past 3year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hose who had surfing and had used the surfing trip apps defined in this study. 381 questionnaires were sampled by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A total of 37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research analysis, except for 11 parts where the answer to the questionnaire was either non-response, unsatisfatory and missing.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used to analyze the constituent concep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using thes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us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according to age and number of annual surfing participation.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users, perceived ease of u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nual surfing participation was foun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us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usefulness and participatory inten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nual surfing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use of surfing trip app per month. Second,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surfing trip app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but optimised information, design quality, and system qua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rd, optimised information,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the surfing trip app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the perceived usefulness, but design quality and system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perceived ease of us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Fifth,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ticipatory intention in surfing. Six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ing trip ap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ticipatory intention in surfing. 현대사회의 여가생활은 자유로운 시간 활용으로 이상적이고 균형있는 삶을 목적으 로 한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감, 사회적거리두기 등으로 여가생활에 제약이 따르면서 현대인들은 지속가능하고 자연친화적인 여가스포츠에 많 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서핑은 환경을 보호하며 자연과 더불어 하는 해양스포츠로 현대인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서핑참여자들은 서핑을 목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앱 을 사용하고, 이를 통하여 개인에 최적화된 파도를 찾아 서핑에 참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서핑여행 앱 특성과 서핑참여자들의 참 여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핑 경험이 있고, 본 연구에서 정의한 서핑여행 앱을 사용해 본 경험자들로 모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 중 편의표본추출법 (Convenience Sampling)을 적용하여 381명을 표집하였다. 무응답, 불성실한 설문 및 결측치 11부를 제외한 총 370부를 최종 연구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한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대 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 적 특성에 따라 지각하는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참여의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서핑여행 앱 특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참여의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연구모형의 구성개념들을 분석하였고 요인들 간 영향관계는 경로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핑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연간 서핑참여 횟수에 따른 서핑여 행 앱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간 서핑 참여 횟수에 따른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 계학적 특성 중 연간 서핑참여 횟수, 한 달 서핑여행 앱 사용 횟수에 따른 인지된 유 용성과 참여의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핑여행 앱 특성의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치 지 않았으나, 맞춤형정보, 디자인품질, 시스템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서핑여행 앱 특성의 맞춤형정보,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은 인지된 유용성에 영 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디자인품질, 시스템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서핑여행 앱 특성에 대한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서핑여행 앱 특성의 인지된 유 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서핑여행 앱 특성에 대한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서핑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핑여행 앱 특성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서핑 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虛應堂 普雨大師의 詩世界 硏究

        이연정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Great Monk Heoeungdang Bou (1507~1565) was a Buddhist monk of high virtue, who devoted himself to the renaissance of Buddhism in the days of King Myeongjong of Joseon, when the persecution against Buddhism saw its peak. In addition, while he was a zen monk, he also was a literary man who showed a brilliant ability to create poems. This great monk had profound knowledge of Confucianism and Taoism as well as Buddhism with his experiences in long periods of ascetic discipline. With such a broad range of scholarship and his candid personality, he made friends with several Confucian scholars and provided a momentum for the renaissance of Buddhism. What he first did while being engaged in political activities for the renaissance of Buddhism was revive the both of the two Buddhist sects, Zen and nonZen sects. He also made great efforts to cultivate next generations. Reviving various systems that had been once abolished with the persecution against Buddhism, he picked out many monks including Great Monks Hyujeong and Samyeong,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saving the nation later. Great Monk Bou presented through his poems all of his feelings of HiRoAeRak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at he felt about what had happened from his first training in Mount Geumgang to the final moment of life. Moreover, he left writings for various Buddhist occasions, texts about various practices and principles of ascetic exercises, and miscellanies for common people. After he passed away, such writings along with his other poems and miscellanies were compiled by his students into Heoeungdangjip, Naamjapjeo, Su woldoryanggonghwabulsayeohwanbinjumongjung mun dap, and Gwonnyeomyorok. These materials not only have great literary values, but also provide bases for examining his life and philosophy. Great Monk Bou made brilliant achievements in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in Buddhism. However, he also was rather distortedly evaluated as a weird monk or a monstrous monk by Sadeabu’s, who held the initiative at that time. Though some work was later attempted at for the purpose of the right evaluation of him, most of it was about unknown parts of his life. Afterwards, the Buddhist realm has tried to study his achievements and thoughts. All that have been carried out about his poems that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about him and that implicationally contain everything about him have been just fragmental studies. Thus,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studying his poetry intensively. Its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 1 explic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study of the great monk, and presents the analytical method and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which takes his poetic works as its subject. Chapter 2 takes a look at his life as his literary and philosophical basis, and further discusses the literary works, writings, and thoughts that he left for us. Chapter 3 expl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and analyzes the 623 poems in Heoeungdangjip. They a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including poems for the presentation of Buddhist principles and enlightenment, poems of loyalty to the king and love for people, poems of exchanges with Confucian scholars, and natural poems. Some representative poems among them are analyzed in regard to their contents. Chapter 4 tries to determine the literaryhistorical significance of his poetic works based on the discussions in the previous chapters. It further continues to attempt to re-evaluate Great Monk Bou, who has been regarded as a weird or monstrous monk so far. This thesis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Great Monk Heoeungdang Bou from a viewpoint different than those of other studies so far by wholly examining his poetic works and evaluating their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허응당 보우대사(虛應堂 普雨大師 : (1507~1565))는 불교에 대한 박해 가 가장 심했던 조선 명종시대에 태어나 불교 중흥을 위해 헌신했던 고승이었다. 아울러 그는 선승이었지만 시 짓는데도 탁월한 능력을 보인 문인 이었다. 대사는 오랜 수행기간을 거쳐 불교뿐만이 아니라 유교와 도교에도 깊은 학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넓은 학식과 바른 성품을 바탕으로 당시 여러 유학자들과 교유관계를 맺게 되고 불교중흥의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그가 불교중흥을 위하여 정치적 활동을 하면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선교양종을 부활시키는 것이었다. 또 후학을 양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였다. 불교가 탄압받으면서 폐지되었던 여러 가지 제도들을 부활시켜 훗날 나라를 구하는 업적을 남긴 휴정대사와 사명대사를 발굴해 내었다. 대사는 처음 금강산에 들어가 수련할 때부터 임종에 이르기 전까지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과 그로 인해 그가 느꼈던 희·로·애·락의 모든 감정들을 시를 통하여 나타내었다. 아울러 각종 불사 때 쓴 글과 수행들을 위해 수행상의 여러 가지 실천과 법관에 대해 쓴 글, 일반 대중들을 위하여 글 등을 남겼다. 이러한 글들은 대사가 죽고 그의 제자들이 그가 남긴시들과 잡문들을 모아서 편찬한 것으로 『허응당집(虛應堂集)』, 『나암잡저(懶庵雜著)』,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권념요록(勸念要錄)』이 있다. 이 자료들은 문학적인 가치만이 아니라 대사의 생애와 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대사는 불교계에서만이 아니라 국문학계에서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대사는 당시 주도권을 잡고 있던 사대부들에 의해서 요승 또는 괴승이라는 왜곡된 평가를 받고 기록되었다. 후대 대사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위한 연구가 시도 되었으나 대부분이 대사에 대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생애 연구에 대한 것이었다. 그 이후에는 불교계에서 대사의 업적이나 사상과 관련한 연구가 있었다. 대사에 대해 객관적인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모든것이 함축적으로 담긴 시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전부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의 시세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대사의 전반적인 연구사를 검토하며 그의 시작품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배경과 분석방법에 대해 제시 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대사의 문학적 사상적 기반이 되는 생애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가 남긴 문학과 저술, 사상을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허응당집』에 수록된 시 623편을 각각의 특징을 파악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크게 시법·교화시, 불사시, 충군·애민시, 유학자들과의 교유시, 자연시 5가지로 분류하였고 그 중에서 대표되는 몇 수의 내용과 함께 분석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위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대사의 시작품에 대한 문학사적 의의를 정의 내려 보았다. 이러한 연구 성과로 그동안 요승 또는 괴승으로 인식되어 왔던 보우대사를 재평가 해보는 논의로 이어졌다. 이 논문에서 허응당 보우대사의 그가 남긴 시작품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문학사적 의의를 평가함에 따라 지금까지와는 또 다른 관점에서 보우대사를 재평가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

      •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키치(kitsch) 연구

        이연정 동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키치의 수용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시대흐름의 변화와 예술의 가치체계의 전환에 따른 키치의 수용적 가치를 분석해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서의 키치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미술사의 일반적인 흐름에서 나타나듯이 미술작품은 시대적으로 표현 형식을 달리하고 있을 뿐, 항상 그 사회의 정치적, 경제적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 왔으며 사회적 욕구에 대한 반영을 통해 실질적 가치를 창출하여 왔다. 산업화이후 현대미술의 작품성향은 대중적이미지를 차용한 키치적감성을 수용하며 우리시대의 소비적 성향과 이데올로기를 대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키치는 사회구조에 대항하거나 순응하는 문제로써 현대에 이르러서는 고급 지향적인 미술로 변형되기도 하고 사회문화구조안에 자연스레 소통되어지며 표현 형식의 문제에 있어서는 대중과의 소통이 용이한 구상의 형식을 빌어 쓴 미술로 접근되어지기도 한다. 이런점에서 현대미술에 있어서 키치가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큰 것이라 하겠다. 키치는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여 살아오면서 존재하였고 19세기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문화적 변화로 부흥기를 맞이하였으며 폭발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는 소비사회에 이르러 또 한번의 부흥기를 맞이하고 있다. 키치는 인간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환경사이의 상호작용이자 그 산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키치의 부흥에는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조건이 요구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인류 역사의 곳곳에서 찾을 수 있는 현상이다. 산업혁명이후 생산의 증대에 따른 풍요라는 경제적 기반, 사회적 변화, 자유로운 소비가능성에서 그 발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것들의 변화와 함께 발전해옴을 알 수 있다 키치의 주된 동인은 고급문화로부터 소외된 대중들이 그것의 실제적 가치를 모방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키치는 모방, 복제, 대리만족, 장식성, 과시, 가벼움등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팝아트는 이러한 키치가 취하는 방법적인 면과 이미지의 차용으로 키치적 산물을 전략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예술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이후 현대미술에서는 키치를 차용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저항과 풍자의 요소를 한층 강화시키기도 하고 대중감각, 혹은 산업문화의 논리속에서 이미 공유된 정서와 감각을 집어내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키치적 현상들은 작품적으로 대중적이고 통속적인 현상을 미술로 끌어들여 예술과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일상생활과 사회의 문화적 성격을 자연스럽게 나타내주는 새로운 형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하겠다. 현대미술의 생성과정을 반추해보면 여러 형식으로든 키치를 차용하거나 생산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치의 의미와 그 감각성도 보다 넓어지는 것이다. 키치가 예술을 차용할 뿐만 아니라 예술 역시 키치를 차용, 희석시키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사회적인 미의식의 변화로서도 그 의미확대를 구현해왔음은 더 이상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해볼 때 더 이상 가치론적인 기준으로 키치를 저울질하기보다 키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예술의 가치와 키치의 감각성의 조화로운 결합으로 새로운 예술형식을 정립하는 것이 현대미술의 과제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sibility of kitsch as a new artistic style by examining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the style in contemporary art and analyzing acceptable values of kitsch under changes in periods and artistic value systems. As suggested in the history of art, artistic works were always sensitive to contemporary political and economic variations and represented realistic values through reflecting social needs, although their forms of express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ituations. Since the period of modernization, contemporary art has tended to accept kitsch-related senses borrowing popular images, representing trends of consumption and ideologies in the modern times. In a dimension of resistance or adaptation to the structure of modern society, kitsch is transformed into an quality-oriented work, smoothly communicated among social cultures or approached as a form of expression to be easily faced by the public. Thus kitsch has a very significant position in contemporary art. As a social phenomenon, kitsch has been always with human society. It was boosted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9th century brought social and cultural changes. Now kitsch is facing its second renaissance as the society of enormous consumption is emerging. It may be said an outcome of interactions among humans and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This suggests that the renaissance of kitsch requires reasonable conditions of psychology, society and environment.Such conditions could be identified over many parts of human history. The first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kitsch may be attributed to conditions brought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production increase and thereon, abundant economic foundations, social changes and free consumption. And the new style of art was promoted by the public alienated from qualitycultures, who tried to imitate realistic values of such cultures. Attributes of kitsch include imitation, copying, substitutional satisfaction, decorativeness, ostentation andlightness. Pop arts provide new possibilities of art by using strategies in which methodologies and images related to kitsch are borrowed. For contemporary art, kitsch becomes a means of strongly resisting or satirizing the capitalist society and drawing common senses and emotions from logics sensitive to the public and industrial culture. All these situations indicates that kitsch is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artistic style that attracts popular phenomena into art works, break borders between art and public culture and better realizes the composition of daily life and social, cultural aspects. In retrospect, contemporary art has borrowed or produced kitsch in any ways. Accordingly, kitsch has been developed in meaning and senses. Consequently, it is no doubt that kitsch has borrowed art and at the same time art has borrowed anddiluted kitsch to be developed as a change of social aesthetic sense following the turn of the periods. Contemporary art should seek to establish another artistic style based on harmony between artistic values and senses of kitsch through positively accepting kitsch rather than evaluating it from the view of value philosophy.

      • 한식의 세계화요인이 외국인의 한국 이미지, 태도 및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과 일본인을 중심으로

        이연정 경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식의 세계화요인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한국 태도 및 한국 상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여 한식 경험이 있는 중국과 일본의 현지인 384명을 대상으로 한식의 세계화요인(홍보 노출, 한식 우수성 인식, 상품 품질, 체험 참여)과 한국의 국가이미지, 한국 태도 및 한국 상품 구매의도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식의 효과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한식의 세계화를 통한 한국의 국가이미지 고취와 한식의 관광체험 붐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토대 위에 연구모형을 구축하였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설계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조사방법을 통한 자기기입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미 조사 설계 및 실증분석에서 이들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과 모형적용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어졌으며, 연구결과에 따라 몇 가지 논의를 통해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의 우수성 인식, 홍보 노출정도, 상품 품질, 체험 참여 등 한식의 세계화요인이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1에서 1-4를 검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식의 세계화를 통해 한국의 이미지 제고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국가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한식의 세계화요인은 상품 품질로 나타나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김치, 비빔밥 등의 대표적인 한식 상품의 우수한 품질 유지, 다양한 종류 개발, 적정한 가격 유지, 구매용이 등 한식의 상품 품질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한식의 체험 참여가 한국 상품 구매의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인의 한국 상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한식 요리법 체험 기회 제공, 한식관련 축제, 이벤트 참여 기회 제공, 김치, 비빔밥 등 한식을 만들 수 있는 기회 제공, 한식관련 TV 드라마(대장금), 잡지, 책, 만화책 등을 볼 수 있는 기회제공 등 적극적인 한식 체험 참여 기회를 부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한국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한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것으로 한국에 대한 이해와 동경 및 호감도가 형성되고 있음을 볼 때, 한식의 세계화요인은 한국을 우호적으로 평가하는 국가태도 형성에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셋째, 국가이미지가 한국 상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3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한류열풍 이후 한류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문화상품뿐만 아니라 한류의 파생상품 및 한국 일반상품 구매까지도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 한식의 세계화를 통한 국가이미지 제고 구축이 한식관련 상품 뿐 만 아니라 일반 소비제품에 까지 구매의도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한식의 세계화는 무엇보다 필요한 사업이라고 여겨진다. 넷째, 한국 태도가 한국 상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4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한식의 세계화를 통한 한국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가질 때, 한국 상품 구매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의 요약 및 결과에서 이미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연구에 적용되고 있는 투입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졌으며, 한식의 세계화요인, 한국의 국가이미지, 한국 태도 및 한국 상품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는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의 세계화요인은 외식산업의 시장 세분화, 마케팅믹스, 시장목표, 전략 수립 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고, 이론적 연구모델이 수용 되어 한식 세계화요인 변수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계화전략수립 및 범사회적인 추세와 방향의 정책결정, 한식에 대한 교육 및 홍보 등에 대한 새로운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한식의 세계화로 국가 간의 상호 이해를 통해 이들 민족의 잠재적인 심리와 기대를 이용하여 한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또한 중국과 일본인들의 한식문화에 대한 인식 및 관광상품화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통해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부각시켜 한국식문화관련 상품에 대한 구매와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 중국과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한국 상품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한국식문화관련 상품 뿐 만 아니라 일반 소비재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구매 유도 방안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한류와 더불어 ‘웰빙'과 `LOHAS'열풍이 일어나고 있는 요즈음, 본 연구는 이에 적합한 한국식문화관련 상품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켜 적극적으로 관광상품화하면 경제적 부가가치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itutive relationship how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affect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toward Korea. Through this study, I wished to contribute to make up sightseeing experience boom and setting effective development plan of Korean food, and furthermore is Korean image inculcation through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is study constructed study model and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is on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preceding study for th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384 research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Chinese and Japanese people who have experience korean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oboration and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suggested model showed very satisfactory diagram of model appropriateness. T-test, ANOVA and line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hypothesis of study.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lobalization factors(marketing exposure, excellence perception, product quality, experience participation) of korean food affected to image in Korea. This is previewing that Korean image-building is enough available through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is study shows that among the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significantly affecting korean country image, product quality is most influential. Second, the image in Korea affected to the attitude regarding Korea namely, to be having good impression and emotion to korea. Third, the image in Korea affected to the Korean product buying intention. Forth, the attitude regarding Korea affected to the Korean product buying intention.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globalization factors(marketing exposure, excellence perception, product quality, experience participation) of korean food affect korean country image and the good attitude regarding Korea plays important role in Korean product buying intention. Moreover,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highe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the higher Korean image and attitude are, thereby increasing Korean products bought by Chinese and Japanese. These result that country image is formed by direct experience for culture, mass media contact, contact between goods and country through service, the international event, informer and goods form, and specially is considered that research that see in standpoint that affect in raising goods of food are country image inculcation. By Japanese and Chinese consumer's Korean wave syndrome after 2000, like drama, song, masscult with movie only just present state that prefer indeed even Korean goods is appearing and tourists who these goods use visits the Korea directly with positive attitude for the Korea are increasing both. Moreover, when interest for Korean food is enlarged, and sees that comprehension for Korea by this and admiration and good feeling are formed,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can speak as requirement in country attitude formation that evaluate the Korea friendlily. As was already presented in summary and result of study, could know that interrelation between injection variables been applying in this study was construed by very high thing. and Korean image inculcation through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considered tha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business because province of purchase appeared that is enough possible to general consumption product. In theoretical suggestion point, globalization factor of Korean food will supply basic data in more real and specific strategy establishment when establish market segmentation of food service industry, marketing mix, market target, strategy. Along with theoretical suggestion point, working-level suggestion poin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Country image for Korea of Chinese and Japanese and attitude for Korean manufacture and knows Korean culture-related product only just it may be said that readied continuous purchase intend for general consumer goods. This study can enjoy economic value added if do signtseeing commercialization actively rousing interest for suitable Korean culture-related product that 'Wellbeing' and 'LOHAS' strong wind are occurring along with Korean wave nowadays and hereupon. This study can improve Korean image because drives specialized way culture sightseeing, epicurism experience sightseeing and give hope and pride about Korean people's life along with economic income.

      • 환경건강(Environmental Health)개념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이연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respond to and solve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health,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ause of the problems that we are in and seek countermeasures. Environmental health-related education with a various point of view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at school as well as in society and at home. Then they will be aware of and resolve the problems themselves with the ability to raise. Teach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important, but recent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does not work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at the fundamental data are offered for systemic environmental health-related teaching source and materials to develop, after analysis of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analysis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in 7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science, technology․home economics, sports, society and environment textbook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were selected. And for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health-related concepts,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hen connection by grades and subjects is analyzed with 3 types of subject.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nection of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about ecological environment domain is analyzed by grades and subjects. Analysis shows that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configuration of the atmosphere is presented and no other information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And in high school, mainly the kind of poll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causes, effects and measures are presented. Middle school physical curriculum presents mainly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logical elements and rela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ealth. In High school, physical curriculum shows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impact on ecosystems and health, but mainly physical training is performed. Thus additional review is need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curriculum, the various symptoms and causes of the ecological pollution with social problems is presented.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which are focused on cause of pollution and measure of international treaties are also shown. Environment subject deal with the attributes of the ecological element and ecology pollution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In order to study systematically the environmental health concepts related to ecological environment with regard to connection between subjects, features and attributes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lements should be learned first and then influence of environment elements on natural ecosystems and health and problems of ecological pollution are learned, which will be proper. Second, connection of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about living environment domain is analyzed by grades and subjects and the result shows that it contains food safety, nutrition and obesity, substance abuse and smoking, and residential life. Scinece curriculum presents nutrition and obesity, substance abuse and smoking inform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human body and physiological process with connection by grades. And high school optional subjects shows food safety and residential life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presents contents related to contamination of food, nutrition and indoor environment. And physical curriculum approach to food sanitation, nutrition, drugs, and indoor environment by using the health-related concepts. Environment subject indicates residential life by ecological aspect. In the living environment domain, scienc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subjects show common environmental health topics with a various point of view with regard to learning objective properties. Thus, first, concepts of related contents are learned corresponding to learning objective and feature. And then teachers should guide for the integrated thinking ability, which is proper. 스스로 환경건강의 문제점을 깨닫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필요가 있어 환경건강교육에 대한 학습지도가 중요하나 현재 학교교육과정을 통해서 환경건강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건강 관련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환경건강 관련 학습지도 및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7차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환경건강 관련 학습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건강과 관련 있는 과학, 기술․가정, 체육, 사회, 환경 교과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분석틀을 개발하여 각 교과별 3종씩을 대상으로 학교급간, 교과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환경영역의 환경건강 관련 학습 내용을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교과는 대기 구성, 대기오염의 종류, 물·토양오염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체육교과는 대기·물·토양의 구성과 기능, 대기·물·토양과 건강과의 관련성, 대기·물·토양의 오염으로 인한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교과는 대기·물·토양의 오염 현상을 사회문제와 결합시켜 제시하고 있으며, 환경과목은 생태요소의 특성과 생태환경오염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생태환경 측면의 환경건강 개념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중학교의 과학교과에는 타 교과에 비해 관련 내용이 적게 제시되었다. 따라서 환경건강 개념이 STS적인 과학개념으로 중학교 과학교과 내에서 대기와 물과 토양 등의 과학지식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관련 내용들의 제시순서의 배려가 필요하다. 둘째, 생태환경영역의 계열ㆍ계속성 측면으로의 연계성을 보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면서 대기와 물 영역의 내용이 주로 반복, 발전되었고, 토양 영역 내용은 발전되어 제시되고 있다. 중학교에서 생태환경 요소의 특성 등 포괄적인 내용이 먼저 제시되고, 고등학교에서 생태환경 요소의 오염으로 인한 영향과 대책 등의 구체적인 내용이 제시되어 적절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토양 영역의 경우 중학교에서 토양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내용이 환경과목에만 제시되고 타 교과에서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환경과목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환경건강에 대한 지식을 배울 기회가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어 범교과적인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생활환경영역의 환경건강 관련 학습 내용을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교과에서는 과학 개념을 중심으로 생활환경의 식품안전, 영양과 비만, 약물 남용 및 흡연, 주거생활 등 4가지 영역의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기술․가정교과에서 식품안전, 영양소와 비만, 주거생활 관련 내용이 실생활의 활용을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고, 체육교과에서는 보건 관련 개념으로 4가지 영역을 다 제시하고 있으며, 환경과목은 주거생활과 관련한 내용을 생태적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기술·가정과 체육교과의 경우 관련내용이 중학교에서 다 제시되어 있으나 고등학교에서는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다. 고등학교 교과의 다양한 단원에서 환경건강으로의 생활환경의 연계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생활환경영역의 계열ㆍ계속성 측면으로의 연계성을 보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면서 식품안전, 영양과 비만 영역에서는 격차와 반복이 일어나고 있다. 약물남용 및 흡연 영역에서는 반복이 일어나고 있으며, 주거생활 영역에서는 발전과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효과적인 위계적 연계성을 위해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오면서 반복과 발전이 잘 이루어져야 하는데 생활환경 영역의 학습내용들이 대게 중학교에서만 제시되고, 고등학교에서는 과학교과를 제외하고 다른 교과에 거의 제시되지 않아 STS적 학습요소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또한 과학교과의 경우에는 고등학교 2, 3학년의 선택과목에서 배우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적인 원리와 개념을 학습할 기회가 적은 편이다. 그러나 과학교과에서 환경과 건강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이 기초가 된 상태에서 환경건강 관련 학습을 하게 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교육과정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과 학습내용 구성의 개발을 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