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변화와 적용에 관한 연구 : 청소년수련시설을 중심으로

        이승일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Changements and applications of youth sports activity In terms of COVID-19 - Focusing on youth center - Lee, Seung-Il Graduate Schoo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Major of Sports Yout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rrect direction of youth sports activities in the future untact era by analyzing and sharing the changes in youth sports activities caused by COVID-19.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youth sports activities caused by COVID-19,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previous research (Lee Nam-gyu, 2001; Kim kuk-hyun, 2003), the questions were composed with reference to the National Sports Participation Survey(2018) made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research targets were 201 instructors in youth facilities in the capital region, and the results of studies u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ion of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experience and importance recognition of sports activities before COVID-19 based on occupation.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after COVID-19,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ports activity guidance experience, but the person in charge had higher experience in sports activity guidance after COVID-19 compared to the middle manager (secretary general, general manag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experience and importance recognition of sports activities before COVID-19 based on educational background.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after COVID-19,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ing experience of sport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ost-test, High school graduates had more experience in sports activities since COVID-19 than graduates of 4-year colleges or master’s degree. Third, it was found that in the situation before COVID-19, most of the respondents valued the sports activities of youth, and there were many programs that were actually implemented. It was also shown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as very high. Fourth, even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youth sports activities was still high, but it was shown that sports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before COVID-19. As for the difficulties, the responses of ‘the limit of the program due to observance of epidemic prevention precautions’ and ‘recruitment of participants’ were high.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conducting non-face-to-face sports activities for youth is mainly carried out online in real time, and the person in charge develops the program directly. Problems during program development are "lack of related information" and "lack of social awareness". The development of mixed youth sports activities also appeared mainly as a part of the person in charge, and it is also shown that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activities increased after COVID-19. In relation to the difficulty of conducting sports activities for adolescents, "concerns about infec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difficult part. Fifth, on opinions of what is needed after the end of COVID-19, responses of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new programs were the most. As a result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policy support for sports-related budgets for youth institutions. Effective budgetary support will enable the quality of youth sport activities needed during adolescence. Second, it is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effective government-level youth sports activity programs. The development of youth sports activity programs should not be left to only sports personnel and youth academia personnel, and in order to reduce the sense of dissociation between developers and enforcers, youth leaders in the field should also be in the development. Third, national-level research is needed for youth sports activities. Most of the data on youth sports activities were studies on the impact of conducting sports activities.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adolescents' preference to participate in sports, but most of them focus on specific classes rather than on youth in general. If there is a limit to surveying all adolescents, it can be considered to survey youth-related organizations nationwide first. Fourth, after selecting the theme of this study, there was a try to search for related questionnaires for quantitative research, but only the questionnaires for adults were searched that matched the research model. So,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additionally referring to the material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questionnaire for young people and carry out the resea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Also, although FGI was not conducted by COVID-19, qualitative research that can directly express the opinions of youth leaders in the field may be meaningful in subsequent studies. Fin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institutions with sport-related facilities and sports activity programs within the institution, in order to secure meaningful data. So,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eded not to specialize in the target area.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all youth-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youth activities and youth sports activities. Key words: Youth, Youth Activities, Sports, Sports Activities, Youth Sports Activities, COVID-19 국문요약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변화와 적용에 관한 연구 - 청소년수련시설을 중심으로 - 이 승 일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스포츠청소년지도전공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공유함으로 다가오는 언택트 시대의 올바른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방향을 모색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변화에 대해 파악하고자 선행연구의 설문지(이남규, 2001; 김국현, 2003)를 기초로,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2018)를 참고하여 문항을 구성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청소년 관련 시설 내 지도자 201명 이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확인,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e분석을 사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급에 따른 코로나 19 이전 스포츠 활동의 지도 경험과 중요성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 이후의 중요성의 인식 차이는 없으며, 스포츠 활동 지도 경험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무자가 중간관리자급(사무국장, 부장)보다 코로나 이후 스포츠 활동지도 경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력에 따른 코로나 19 이전 스포츠 활동의 지도 경험과 중요성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19 이후의 중요성의 인식 차이는 없으며, 스포츠 활동의 지도 경험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고등학교 졸업이 4년제 대학 졸업, 대학원 석사 수료/졸업보다 코로나 이후 스포츠 활동 경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 이전의 상황에서 응답자의 대부분이 청소년 스포츠 활동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도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만족도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도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높게 나타 났으나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여 스포츠 활동이 많이 축소되었음이 나타 났다. 애로점으로는 ‘방역수칙 준수로 인한 프로그램의 한계성’ ‘참가자 모집’의 응답이 높았다. 비대면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실시방법은 주로 온라인 실시간으로 진행이 되며 담당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발 시 문제점은 ‘관련 정보의 부족’ ‘사회적 인식의 부족’이다. 혼합형 청소년 스포츠 활동의 개발도 주로 담당자의 몫으로 나타났고 코로나 19 이후 대면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 났다. 청소년 스포츠 활동을 실시하는데 어려운 점에 관련하여서는 ‘감염우려’가 가장 어려운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로나 19 종식 이후의 필요한 사항에 대한 의견은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 기관에 대한 스포츠 관련 예산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예산의 지원은 청소년기에 꼭 필요한 질 높은 청소년 스포츠 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정부 차원의 효과적인 청소년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이다. 청소년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 개발은 스포츠 관계자나 청소년 학계 관계자들에게만 맡겨서는 안 될 것이며 개발자와 시행자와의 괴리감을 줄이기 위해 현장의 청소년지도자들도 함께 개발에 참여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 스포츠 활동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연구 조사가 필요하다. 청소년 스포츠 활동에 관한 자료는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스포츠 활동 실시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였다. 청소년들의 스포츠 참여 선호도에 관한 연구가 일부 존재하나 그 대상이 청소년 전반에 관한 사항이 아닌 특정 교급 위주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전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하기에 한계가 있다면 우선적으로 전국의 청소년 관련 기관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사항이다. 넷째, 본 연구의 주제를 선정 한 후 양적연구를 위해 관련 설문지를 검색하였으나 연구 모형과 부합하는 설문지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지만 검색이 되어 연구자가 문화체육관광부의 자료를 추가로 참고하여 설문을 구성 하였는바 후속 연구 시는 연구 초기부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설문지를 개발하여 연구를 시행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FGI를 실시하지 못하였는데 후속 연구 시는 현장 청소년지도자들의 의견을 직접 담아 낼 수 있는 질적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유의미한 데이터의 확보를 위해 기관 내 스포츠 관련 시설이 있는 기관과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기관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 하였는바 후속 연구 시는 대상을 특화 시키지 않고 해당 지역의 모든 청소년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청소년 활동과 청소년 스포츠 활동과의 비교분석도 필요 할 것이다. 주요어: 청소년, 청소년 활동, 스포츠, 스포츠 활동, 청소년 스포츠 활동, 코로나 19

      • 대학생의 성의식,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 서울지역 대학생 중심으로

        이승일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의식,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수준을 가지고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연구조사 하였다. 먼저 설문에 응답한 대학생들의 전체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71명의 대학생들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성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의 관계에서는 남녀에 따라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과 성태도 하위요인이 수준에 있어서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행동 하위요인에서 99.9%의 신뢰도를 가지고 여자가 남자보다 성행동에 대하여 점수가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의 관계에서는 남자와 여자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과 성태도 하위요인이 수준에 있어서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수준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수준과의 상관관계에서 직분유무에 있어서 직분을 가지고 있으면 성태도 요인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회출석 횟수가 높을수록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 요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에서 세례연수에 있어서 세례를 받았던 기간이 증가하면 정서 완화적 대처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회에서 직분을 맡을수록 소망적 사고 대처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대학생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방적인 성견해와 높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사교적인 대인관계와 관련이 있으며,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이 진보적인 성태도를 갖고 있었다는 결과와도 일치한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존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을 회피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보다 적극적이며 적극적인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였다. 여섯째, 대학생의 성의식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는 이는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성행동이 적극적일수록 소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의식,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서로에게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를 토대로 대학생 치유와 상담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농어촌지역의 학교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 분석 : 소규모학교 통폐합 중심으로

        이승일 전북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rural schools and social capital in the rural communities. Specificall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irst, how do residents and teachers in rural communities perceive small school consolid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in rural districts according to areas involving consolidated schools, small schools, and revitalizing schools?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of school social capital based consolidated schools, remaining small schools, and revitalizing schools? Finally, how is relationship betwin small school consolidation and local community and school social capital?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modified by researcher were administered to 1,915 local residents and rural elementary teachers. 667 local residents(out of 810) and 748 rural elementary teachers(out of 1,105) responded significantly to the questionnaires. Using a systematic analysis divided into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chool social capital, the perceived level concerning socal capital of local residents and teachers were measured. Based on the basic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est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naires and necessity of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relationship analysis. In addition, analyses were performed by SPSS version 18.0. The major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level regarding school consolidation in rural communities was highly negative. While local residents showed average score of 2.56, rural teachers were more negatively perceived with average score of 1.92. Second,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on social capital in rural consolidated schools, small schools, and revitalizing schools, the perceived level of rural resident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a remarkably low social capital score in rural communities involving closed schools as a way to consolidate schools as compared to those based sustaining schools, espec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ties based revitalizing schools. The results suggests that system of ‘school’ in rural communities greatly affects social capital accumulation and its maintenance, and rural school consolidation has a negative function on social capital within rural areas. Third, as for differences of social capital within consolidated schools, sustaining small schools, and revitalizing schools in rural communities, there showed a little difference between consolidated schools and small-scale schools, however, level of social capital in revitalizing schools was higher than any two types of schools. It was also identified that potential of children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operation of schools. This results imply that school consolidation policy only based on school size need to be reexamined. Finally, as for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chool consolidation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capital within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Conversely, the association and revitalizing schools and social capital within local districts and schools was positive. This results showed that when small rural schools were revitalized instead of consolidation, social capital within schools was related as a meaningful variable. Therefore, school consolidation had no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social capital within schools. The majo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rther policy making on small school consolidation. A school as a social institution in a rural commun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especially it is identified that small rural school consolidation is a very negative variable in relationships with social capital within rural communities. Keywords : small school consolidation, social capital, community social capital, school social capital, revitalization of rural schools

      • 건설현장 화재예방을 위한 화재감시자의 역할제고에 관한 연구

        이승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현장에 안전을 담당하는 관리자가 있다.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인데 그들의 역할은 법에서 명시가 되어 있고, 역할이 분명하여 현장에서 관리를 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공사금액과 인원수에 따라서 안전관리자와 보건관리자를 의무적으로 선임해야 한다. 건설현장에서 안전관리자로 일을 하려면 건설안전기사 및 산업안전기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학력이 높고 안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관리자로서 일을 할 수 있다. 보건관리자도 마찬가지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명확히 명시가 되었다 하지만 관리자의 영역을 떠나서 직위에 맞는 역할은 필수적이고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2017년3월부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 일부 추가된 사항이 있다. 풍속관련 사항을 비롯해 몇 가지 있었는데 그 중에서 화재감시자가 신설이 되었다. 화재감시자는 화기작업 구역에서 불티 등의 비산을 보고 화재의 여부를 보면서 화재발생 시 대피를 돕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9개월이 지난 현 시점에 화재감시자의 역할과 배치기준이 건설현장 상황과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무엇보다 화재감시자의 역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대피계획도 들어만 보았고 심지어 모른다는 화재 감시자도 있다. 대피로 및 소화기 작동법도 확실히 알 고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 화재의 심각성과 예방의 중요성을 알아 국가기관에서 제정한 화재감시자 조항이 그저 보여주시기에 급급한 나머지 성의 없이 제정된 느낌이다. 역할도 단순 업무에 그치며, 배치의무화의 기준이 되는 현장의 크기나 특성 반영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기준이야 그렇지만 무엇보다 역할부분에 제고가 필요한 듯하다. 설문결과에서도 보여 지듯이 화재감시자 조차도 실제 화재 발생 시 소화기 사용이나 대피로, 대피요령 등의 역할에 자신이 없는 듯 한 결과를 보였고, 타 근로자들이 바라보는 화재감시자의 모습도 무관심이나 역할에 큰 활약을 보이지 않는듯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과거 사례가 보여주듯이 질식에 의한 사망은 기본이고 화상 등 인생을 살아가는데 고통이 수반되는 부상도 많다. 화재가 발생하면 재산 및 이미지 등 여러 가지 피해의 심각성은 측정 불가이다. 이러한 고도의 심각성을 망각하고 제정된 화재감시자 역할이 단순하여 진다면 화재감시자들이 건설현장에서 역할을 명확히 수행할 수 있을지, 큰 힘이 느껴지지도 권한의 부여도 없는 화재감시자의 말을 어떤 근로자가 따를지 미지수다. 화재감시자와 타 근로자의 설문과 그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과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본다. There is a Manager in charge of safety in work place. It is a safety manager and these safety manager include role in Law, so easy to manage for safety rule in sites. Furthermore, safety manager are assigned by duty. Because safety manager are working on sites, construction accidents have been reduced than before. Also, to protect accidents on sites, Manager who work on sites should carry out each role. Especially, it is about fire prevention. From the new Law in March 2017, there are items that set a Fire-surveillant during the fire work on sites. It will happen many casualties when fire. As a past case, there is a injury with pain in life from burned, it is a basic to death from suffocation. If fire happen, Image for company, property, seriousness of damage are unpredictable. If Fire-surveillant role is a simple without seriousness oblivious, not sure to do exactly their role on sites, there is still no way of knowing whether follow Fire-surveillant's order or saying any power or authority. This Study is surveyed designated Fire_surveillant like a Fire watch. And include figure of Fire-surveillant from labor in work place. Stand on the basis of survey, Fire-Surveillant role's problem is investigated. With the problem as a lesson, we need to increase the role of fire-surveillant, so Fire-surveillant to prevent fire are able to perform their roles correctly.

      • 광촉매와 한약재를 이용한 항균 Mortar 개발에 관한 연구

        이승일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바이오-테러리즘이라고 하여 세균들에 의한 주거환경의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유 없이 두통이 생긴다든지, 피부에 염증이 생긴다든지, 아니면 알레르기나 만성 기관지염 등이 그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항생제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서 박테리아의 항생제 면역능력이 증가하여 ‘슈퍼박테리아’라는 내성균이 등장하여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항균, 살균 및 오염물질 제거의 수단으로 광촉매가 국내외적으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광촉매는 빛을 받아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의 한약재에서도 살균 성능이 우수한 약재들이 많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와 한약재(감초, 황백, 어성초, 초피나무)를 이용하여 친환경 항균제품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이를 모르타르에 적용하여 건축재료로서의 적절성 여부도 검토해보았다. 실험결과 한약재에서는 초피나무에서 가장 항균성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고, 광촉매 역시 항균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르타르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항균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pollution of habitat by bacilluses is becoming problem speaking that is bio - terrorism. It can be said that a headache occurs baselessly, or inflammation occurs in skin, or it is representative problem that allergy or chronic bronchitis etc. appears thereby. Also, by indiscreet use of antibiotics, antibiotics immunocompetence of bacterium increases is threatening human's life because resistant bacteria 'Super - bacteria' appears. At recent times, Photocatalyst is big domestically and exteriorly by antibacterial, sterilization and means of pollutant exclusion. photocatalyst has removed pollutant to gets light but is known as that excellent efficiency is. Also, there are a lot of medicines that steriliza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in our medicinal herbs. In this research, tried to make Lord Chinhwan antibacterial product using storehouse catalyst and medicinal herbs (licorice root, Hwangbaek, Eoseongcho, super linden tree). Also, examined appropriateness as building materials applying this to mortar. Experiment wave and medicinal herbs could know that antibacterial performance excels most in super linden tree, and confirmed that photocatalyst has antibacterial performance. Could confirm that have antibacterial performance in case of applied to mortar.

      • 영어 합성어의 복수형 접사 첨가와 강세에 관한 연구

        이승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합성어(compound)의 복수형 접미사 첨가와 강세부여에 대하여 이전의 분석들과 현재 널리 통용되고 있는 최적성 이론(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McCarthy & Prince 1995)을 비교 하면서 최적성이론이 더 나은 설명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이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합성어와 복수형 굴절접미사(plural inflectional suffix)와의 관계를 최적성 이론(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McCarthy & Prince 1995)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일반화된 정렬제약(Generalized Alignment; McCarthy & Prince 1993)과 어휘적으로 색인된 유표성 제약(Lexically Indexed Markedness; Pater 2000)을 사용하여 영어 합성어에서 복수형 굴절접미사의 실현을 설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핵(head)을 포함하고 있는 내심적 합성어들(endocentric compounds)은 Williamss(1981)의 우측핵 규칙(Right hand Head Rule)에 의해 올바른 분석을 이끌어 낼 수 있지만, 핵이 합성어 우측에 오지 않거나 핵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외심적 합성어들(exocentric compounds)에 대해선 올바른 분석을 이끌어 낼 수 가 없다. 본 논문은 그간의 어휘 형태음운론(Lexical Morphology & Phonology)에서의 계층(strata)에 입각한 합성어와 복수형 굴절접미사 첨가에 관한 분석들의 문제점을 논하고, 제약들과 제약들의 서열에 기반을 둔 최적성 이론의 틀 내에서 이 현상을 재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2.1에서는 합성어의 복수형 굴절접미사 첨가에 대한 이전의 어휘 형태음운론적 분석들의 문제점을 논하고, 2.2에서는 제약에 의거한 최적성 이론적 분석이 더 나은 설명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3장에서는 영어 합성어에서의 강세부여에 관한 현상을 최적성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면서, 최적성 이론적 분석이 이전의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과 율격 이론(Metrical Theory)적 분석보다 더 나은 설명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이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영어 합성어에서의 강세부여는, 마지막 요소에 강세를 부여하는 구(Phrase)강세와는 달리, 첫 번째 요소에 강세를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구와 합성어의 경우 강세 부여는 핵 강세 규칙(Nuclear Stress Rule)과 합성어 강세 규칙(Compound Stress Rule)에 의해 올바른 형태를 이끌어 낼 수 있다. 하지만 합성어 강세 규칙만으로 모든 합성어에서의 올바른 강세부여 형태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의 합성어 강세부여에 관한 이론들의 문제점들에 관하여 살펴보고, 합성어 강세 규칙만으로 올바른 분석이 불가능 하여 예외로 치부해왔던 자료들에 초점을 맞추어 최적성 이론의 틀 내에서 재분석하고자 한다. 3.1에서는 영어 구와 합성어의 강세부여에 관한 이전 이론들의 분석간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논하고, 3.2에서는 최적성 이론적 분석이 이전의 분석들 보다 더 나은 설명력을 갖는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영어 합성어에서의 복수형 굴절접미사 첨가와 강세부여의 현상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어떻게 결론 내리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realization of the English inflectional plural suffix /z/ in compounds and English Compound Stress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McCarthy & Prince 1993, 1995). In chapter 1, I introduce the outline and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n the second chapter reconsidering plural suffixation in English compounds, I show that none of the previous rule-based analyses provide a satisfactory and unified account of the phenomena. I argue that plural suffixation that occurs in compounds is best analyzed in terms of Generalized Alignment Constraint (McCarthy & Prince 1993) and Lexically Indexed Markedness Constraint (Pater 2000). I specifically propose lexically indexed markedness constraints W_(ORD)PLURAL_(L) and W_(ORD)PLURAL_(P), which apply only to those lexical items indexed for their application. W_(ORD)PLURAL_(L) outranks alignment constraint A_(LIGN)P_(LURAL)H_(EAD), which in turn ranks above another lexically indexed markedness constraint W_(ORD)PLURAL_(P), while W_(ORD)PLURAL_(L) ranks beneath the general markedness constraint N_(O)P_(LURAL)A_(DJECTIVE). With the constraint ranking, it is shown that realization of the English inflectional plural suffix /z/ in compounds can be accounted for in a straightforward way. I also show that plural formation of compounds such as 'craftsman', which could not be accounted for within the framework of Lexical Morphology & Phonology is best analyzed under the analysis assumed in this thesis. In chapter 3, I show that, compared with previous rule-based analyses of English compound stress, a constraint-based approach can provide a better account of the phenomena. That is, Proposing Branching Node Prominence constraint and Non-Head Stress constraint, I argue that, given the constraints, compounds which are composed of more than two words, can be accounted for in a satisfactory wa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branching. I also assert that compounds with mixed branching structures such as [[labor union][strike force]] can be accounted for straightforwardly by using Rightmost constraint. I finally show that with Copulative Compound Stress constraint and Neoclassical Compound Stress constraint, both Copulative and Neoclassical compounds can be best analyzed under the analysis argued for in this thesis. Finally, chapter 4 summarizes the 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