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당세액공제제도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추가조세부담액 측정

        이승민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업 경영활동의 결과인 법인소득에 대하여 법인단계에서 법인세가 과세되고, 법인세 납부 후 순이익으로 지급되는 배당소득에 대하여 주주단계에서 소득세 또는 법인세가 과세됨으로써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개인주주의 배당소득은 이자소득과 함께 금융소득으로 분류되어 금융소득 종합과세 규정이 적용되며,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 조정을 위하여 그로스업(Gross-up)과 배당세액공제가 적용된다. 현행 배당세액공제제도는 배당지급법인의 법인세부담률을 법인세 최저세율인 13%로 가정하고 있어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를 완벽하게 조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개인주주들의 배당소득 과세에 대한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법인세부담률과 배당세액공제에 대한 국세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배당세액공제제도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개인주주들이 추가로 부담하고 있는 조세부담액을 측정하고, 배당세액공제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5년간의 연도별 법인세 부담률과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의 배당세액공제대상 배당소득금액 자료를 이용하여 배당세액공제액을 재계산하였으며, 이를 실제 배당세액공제액과 비교함으로써 개인주주들의 추가적인 조세부담액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배당세액공제제도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개인주주들은 2002년에 242,557백만원, 2003년 288,841백만원, 2004년 453,844백만원, 2005년 456,904백만원, 2006년 397,405백만원의 소득세를 추가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과세의 약 50~60% 정도만이 조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당에 대한 이중과세를 완벽하게 조정하고 공평과세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1997년과 1998년에 시행하였던 방식과 같이 배당지급법인의 실제 법인세 부담률에 기초하여 배당세액공제를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실제 법인세 부담률의 확인을 위해 행정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있으나, 전자신고 등 전산화를 통해 조세행정의 환경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으므로 과거에 비해 행정적인 부담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배당소득에 대한 이중과세조정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머물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국세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배당세액공제제도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개인주주들의 추가적인 조세부담액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며, 과세당국의 정책적인 판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double taxation problem is occurred in case that the corporation tax is imposed in a corporation step for the income of corporation as the result of the management of business and then the income tax or the corporation tax is imposed in the stockholder step for the income from stock dividends which are received as net profit after the payment of the corporation tax. The dividend income of a personnel stockholder is classified as financial income together with the income from interest, it is applied to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consolidated taxation for financial income, and in order to adjust the double taxation, Gross-Up and Tax Credit System for dividends received are applied. The current tax credit system for dividends received is criticized that it does not adjust completely the double taxation for dividends income because it assumes the corporation tax burden rate of the corporation to pay dividends as 13% which is the minimum tax rate. Owing to this, the dissatisfaction for dividends income taxation of personnel stockholders grows heavi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tax burden that a personnel stockholder should bear additionally due to the incompletion of tax credit system for dividends received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system using by the statistical national tax data for the corporation tax burdenrate and tax credit for dividends receiv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personnel stockholders have paid the additional income tax of 242,557 million won in 2002, 288,841 million won in 2003, 453,844 million won in 2004, 456,904 million won in 2005 and 397,405 million won in 2006 due to the incompletion of tax credit system for dividends received and just 50~60% of the double taxation has been adjusted for a while. To adjust the double taxation for dividends completely and to realize fair taxation, it will be most desirable for permitting so that tax credit for dividends received can be applied based on the real corporation tax burden rate of the corporation to pay dividends. The problem that administrative job grows heavier in order to check the real corporation tax burden rate still remains. But, it is judged that the administrative job will be decreased remarkably than in the past because the environment of tax administration is improved rapidly through computerization such as e-report and etc. Almost preceding studies remain criticize the problem for the adjustment of double taxation about the dividends income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Bu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studies at the point that this study measured the additional tax burden of personnel stockholders due to incompletion of tax credit system for dividends received by using the real statistical national tax data, and it is meaningfulat the point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current issue for the political judgment by tax authorities.

      • 함침법으로 제조된 고체촉매를 활용한 Styrenated Phenol Alkoxylate의 합성

        이승민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Styrenated phenol alkoxylate (이하 SP-A)는 일반적으로 균일계 염기 촉매 하에서 styrenated phenol (이하 SP)과 ethylene oxide (이하 EO)로부터 합성된다. 그러나,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EO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 중 공정 제어가 가능한 고압 반응 장치의 설계가 필요하다. SP-A의 합성에서 균일계 염기 촉매를 사용하면 반응 후 잔존하는 촉매를 제거하는 중화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촉매와 생성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균일계 염기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KOH를 La2O3에 담지하여 소성시킨 후 얻은 불균일계 염기 촉매를 제조하여 얻은 후 SP-A를 합성하였다. 또한, SP-A의 합성에서 취급이 어려운 EO 대신 고체 형태의 ethylene carbonate (이하 EC)를 사용함으로써 고압 반응장치를 설계하지 않고 상압반응 조건에서 SP-A 합성이 가능하였다. 합성된 SP-A의 평균 분자량 크기는 반응 조건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KOH/La2O3 촉매 하에서 합성된 SP-A는 반응온도, 촉매의 첨가량 및 EC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평균 분자량 크기가 임의로 조절되었다.

      • 영생 부활체의 육체성과 영성적 현현: 장-뤽 낭시와 장 칼뱅의 부활체 비교를 중심으로 -‘복음-관계-존재-인식’론적 ‘복음·포월·확장체’의 ‘복음적 초인과율 지향성’ 논증 및 ‘신체영성신학’까지-

        이승민 아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Today, humanity has entered the era of trans-humanism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otechnology. Philosophical trends have converged into “body philosophy,” and humanity is filled with optimistic expectations of having a better eternal body. In response to this humanistic trend, what is “the most excellent body of saints” that Christianity can present with a biblical basis? Based on John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body through comparison with Jean-Luc Nancy, this dissertation presents it as His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united with Jesus through the gospel. This dissertation has constructed “the meta-integrative perspective of the gospel” especially using “the counterpoint method,” and demonstrated for “the present physicality of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gospel-relational- ontological-epistemological physicality). I confirm that ‘the ontological reality’ of ‘time·space- eternity-eternal life’ is linked to the epistemological reality of “causality-transcausality-gospel transcausality,” so that ‘the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is ‘a spiritual reality’ experienced in the present, when they can recognize, enjoy and orient towards it because of “the gospel.” Ultimately, the present physicality of “the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is “its orientation towards gospel-transcausality” revealed in reality because of “the Gospel.” Therefore, wherever a believer who is in evangelical union with Christ recognizes, enjoys, and orients towards “gospel transcausality” because of “the gospel,” ‘the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appears as “spiritual reality” in the reality of “between already and not yet.” Today, humanity has entered the era of trans-humanism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otechnology. Philosophical trends have converged into “body philosophy,” and humanity is filled with optimistic expectations of having a better eternal body. In response to this humanistic trend, what is “the most excellent body of saints” that Christianity can present with a biblical basis? Based on John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body through comparison with Jean-Luc Nancy, this dissertation presents it as His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united with Jesus through the gospel. Just as “the kingdom of God” and “eternal life (salvation)” begins as spiritual reality in the present of “between already and not yet” with “evangelical union”, the body of Jesus is “His resurrection body” in himself and he is “eternal life” also, so Jesus is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which is the present (manifested) body given in the eschatological hope to the saints who live today between “already and not yet.” However, the current serious problem in the Christian area is that many believers do not recognize themselves as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The reason is that their perception is trapped in “the semantics of the gospel.” Intrinsically, when a person unifies with the gospel, “the meta-integrative view of the gospel” is given to the believer along with “the confession of faith,” but due to the absence of this, many Christians have lost their present identity as “His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given amidst eschatological hop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restores “the meta-integrative perspective of the gospel” contained in the confession of faith, and aims to help the saints be able to perceive, enjoy, and orient themselves towards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in the present reality of “already and not yet.” Furthermore, in this age of body idolization, I aim to help the saints achieve spiritual victory by knowing “the spiritual reality” (present manifestation) of “His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which is “the most excellent bod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dissertation has constructed “the meta-integrative perspective of the gospel” especially using “the counterpoint method,” and demonstrated for “the present physicality of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gospel-relational-ontological- epistemological physicality). After covering the general theories (the body and the resurrection body as understood in science, mathematics, modern philosophy, eastern philosophy, comparative relig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etc.) at the level of prior research,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resent physicality of His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which is captured in logical connection with various perspectives: firstly, the perspective of ontology (comparison between Jean-Luc Nancy’s and John Calvin’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body, Corpus as “an immanent-transcendent-extending body,” and the resurrection body as “a gospel-immanent-transcendent-extending body,” and composion of “an ontology of eternal life” based on “the gospel-relational-ontology”); secondly, the perspective of epistemology (epistemological expansion of perception and enjoyment of “gospel transcausality,” construction of an epistemological transcausality” hermeneutics of “its orientation towards gospel based on “gospel-relational-ontological epistemology”); thirdly,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theology (spiritual application of “its orientation towards gospel transcausality,” composition of spiritual theology of “its orientation towards gospel transcausality”). With this, I confirm that ‘the ontological reality’ of ‘time·space- eternity-eternal life’ is linked to the epistemological reality of “causality-transcausality-gospel transcausality,” so that ‘the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is ‘a spiritual reality’ experienced in the present, when they can recognize, enjoy and orient towards it because of “the gospel.” Ultimately, the present physicality of “the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is “its orientation towards gospel-transcausality” revealed in reality because of “the Gospel.” Therefore, wherever a believer who is in evangelical union with Christ recognizes, enjoys, and orients towards “gospel transcausality” because of “the gospel,” ‘the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appears as “spiritual reality” in the reality of “between already and not yet. Although the idolization of the body is accelerating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otechnology, if believers in their eschatological hope are convinced that the most excellent body in the world is “His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and orient towards “gospel transcausality” because of “the Gospel,” “the saint’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will manifest in all areas of life. In the Bible, saint’s orientation towards “gospel transcausality” for the present manifestation of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is best expressed in “carrying in the body the death of Jesus” (2 Corinthians 4:10-11, ESV). This dissertation is “a theo-philosophical attempt” that reorganizes the existing “traditional reformed evangelical theology” (content) into “the meta-integrative perspective of the gospel” (“gospel-relational-ontological epistemology”, form). There are seven theological significance: First, this dissertation is a “philosophical theology of the age” (a metaphysical theology of the body) constructed with the dialectical purpose of penetrating into the era of body philosophy with the gospel; Second, an “evangelical integrative theology” in terms of form, encompassing the humanities, comparative religion, biblical theology, systematic theology, christian ethics, christian worldview, art, practical theology, spiritual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and spiritual theologythrough the gospel; Third, in terms of subject matter, a “new theology” (“its manifestation of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that follows the “already-not yet” theological lineage(kingdom of God, eternal life, etc.) with a new focus on “His resurrection body as eternal life”; Fourth, a “meta-integrative Christian worldview theology” having the most macro (ontology)/micro(relational epistemology) perspective; Fifth, a “prescriptive theology” for checking religious pluralism by discerning “eternity” and “eternal life” based on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the gospel); Sixth, a “confessional theology of body-spirituality” that leads the saints with a “confession of faith” to live their lives as an evangelical reality; Seventh, an open-ended “humanistic gospel theology” that can encompass personal faith and church issues, as well as ethics, education, politics, society, economics, culture, history, art, and more through “the gospel.” 오늘날 인류는 ‘인공지능’과 ‘생명공학’의 발전으로 ‘트랜스휴머니즘 시대’를 맞았다. 철학의 사조는 ‘몸 철학’으로 수렴되었고, 인류는 ‘더 좋은 영원한 몸’을 갖게 될 낙관적 기대로 충만하다. 이러한 인본주의적 시류에 대응하여 기독교가 성경적 근거를 갖고 제시할 수 있는 ‘성도의 가장 탁월한 몸’은 무엇인가? 장-뤽 낭시와의 비교를 통한 ‘장 칼뱅의 부활체 이해’에 근거하여, 이 논문은 그것을 ‘복음’으로 ‘예수’와 연합한 ‘성도의 영생 부활체’라고 제시한다. 이 논문은 특히 ‘대위법 방식’을 통해 ‘복음의 메타 통합적 관점’을 구성하여 ‘영생 부활체의 현재적 육체성’(복음-관계-존재-인식론적 육체성)을 논증했다. ‘시·공-영원-영생’의 존재론적 실재가 ‘인과율-초인과율-복음적 초인과율’의 인식론적 실재와 연동하기에, 성도가 ‘복음’ 때문에 ‘복음적 초인과율’을 인식·향유하고 지향할 때 ‘영생 부활체’는 현재적으로 경험되는 ‘영적 실재’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결국, 성도의 ‘영생 부활체의 현재적 육체성’은 현실 속에서 ‘복음’ 때문에 드러내는 ‘복음적 초인과율 지향성’이다. 따라서 ‘이미와 아직 아니 사이’의 현실 속에서 ‘그리스도와의 복음적 연합’을 이룬 성도가 ‘복음’ 때문에 ‘복음적 초인과율’을 인식·향유·지향하는 곳마다 ‘영생 부활체’는 ‘영적 실재’로 ‘현현’한다.

      • 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학급긍정훈육법이 학생들의 소속감, 자기존중감, 학급 응집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승민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학급긍정훈육법이 학생들의 소속감, 자기존중감, 학급 응집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긍정훈육법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학생들의 소속감이 더 높아질 것이다. 둘째, 학급긍정훈육법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학생들의 자기존중감이 더 높아질 것이다. 셋째, 학급긍정훈육법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학생들의 학급 응집력이 더 높아질 것이다. 넷째, 학급긍정훈육법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아질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각기 다른 초등학교의 실험집단 4학급(대구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1학급, 대구 소재 W초등학교 6학년 1학급, 서울 소재 G초등학교 3학년 1학급, 서울 소재 O초등학교 6학년 1학급 총 89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절차로는 실험을 하기 전 연구 참여자에게 소속감, 자기존중감, 학급 응집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지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처치는 2019년 3월부터 5월 30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3개월 동안 학급긍정훈육법의 기초기술들을 집중적으로 익혔고, 매주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학급회의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가 끝난 5월 말, 6월 초 연구 참여자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소속감, 자기존중감, 학급 응집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서 수집하였다. 소속감 검사 도구는 Rattistich(1995)가 연구한 것을 바탕으로 김동일(2008)이 번역한 ‘학생 및 학교 수준의 공동체의식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존중감 검사 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기존중감 검사를 전규혁(1999)이 재작성한 것을 김석화(2008)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급 응집력 검사 도구는 Carren, Widmeyer와 Brawley(1985)가 만든 집단 환경 검사지를 안정선과 정상원(1999)이 학급을 고려하여 20개 설문 문항으로 재구성하고 초등학교 수준으로 강신석(2000)이 수정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도구는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제작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ler 개인 심리학에 근거한 학급긍정훈육법은 학생들의 소속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Adler 개인 심리학에 근거한 학급긍정훈육법은 학생들의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Adler 개인 심리학에 근거한 학급긍정훈육법은 학생들의 학급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Adler 개인 심리학에 근거한 학급긍정훈육법은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공학계열 전공 선택 예측요인의 성별 차이 탐색 연구

        이승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world has experienced technological chang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ngineering field has become crucial and the need for engineering professionals has arisen.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or engineers, we are faced with the problem of mismatch between demand and supply and persistent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the engineering field. Since engineering major choice is considered as the first step to accumulating expertise and skills, we need to identify predictors for engineering major choice to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engineering major as their possible option and foster to become engineering professionals. To foster outstanding engineering talents and seek to address the gender gap in engineering major choice, we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t factors that predict engineering major choice and how they vary by gender. However, there is a lack of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that explores the factors predicting major choice and gender gap in engineering major choi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engineering major choice and compare them by gend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the engineering major choice among all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engineering major choice among male students? Third,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engineering major choice among female students? Fourth, how do the important predictors for engineering major choice differ by gend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data from 1st wave(2016) to 5th wave(2021)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KEEP II), the nationwide longitudinal data,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4,376 undergraduate students (2,086 male students and 2,290 female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 about their major. The response variable was the choice of engineering majors reported in the third, fourth, or fifth waves, while the explanatory variables consisted of item-level variab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waves, with a total of 576 variables included in the overall model and 575 variables in each male and female model. Random forest models were separately created for the choice of engineering majors among all student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SHAP(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was used as the variable importance index.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is important predictor of engineering major choice. Second, in predicting engineering major choice among all students, science preference, interest, and self-efficacy emerged as important predictors. Third,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reading and mathematics, this study found tha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and social studies, as well as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major predictors, implying the need for consideration of these variables in understanding engineering major choice in South Korea. Fourth, factors such as aspiration in STEM-related occupations, the gender and number of friends, and parental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s future occupations which were rarely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were newly identified as important predictors for engineering major choice. Fifth, important predictors derived fro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clude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cience, occupational and educational aspirations related to STEM, and involvement in STEM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s study has highlighted that science preference, interest, and self-efficacy particularly stood out as crucial predictors in female students’ engineering major choice. Sixth, the study has particularly revealed gender differences in the prediction of college engineering major choi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tailored interventions for promoting engineering major choices, considering the distinct predictor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dditionally, it has proposed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reconstruct and integrates theories related to major choice. Specifically, it is required to develop gender-specific theoretical models for engineering major choice. Furthermor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emphasizing the newly identified factors as potentially important predictors of engineering major choice to expand understanding of major choices. 학생들이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으로 선택하기를 기피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공학 인재 양성이 국가과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양적인 측면에서 수요에 비해 공학 인재의 공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다양성 측면에서 여성의 공학 전공 선택 및 분야 진출 비율이 지속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학생들은 대체로 전공에 따라서 능력과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전공과 관련된 직업을 선택하므로, 더 많고 다양한 공학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공학계열 전공 선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학 전공 선택에 대한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양적 연구는 국내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비율이 현저히 낮은 공학계열 전공 선택의 성별 차이에 대한 국내 연구 또한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학계열 전공 선택의 주요한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주요 예측요인을 비교하며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생의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남학생의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여학생의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 이하 KEEPⅡ) 1차년도(2016년)부터 5차년도(2021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KEEPⅡ 3, 4, 5차년도 조사에서 대학 전공계열을 응답한 4년제 일반대학 학생 4,376명(남학생: 2,086명, 여학생: 2,290명)이다. 반응변수는 공학계열 전공 선택 여부이며, 설명변수는 1, 2차년도 조사의 문항 단위 변수로 전체 모형에는 576개, 남학생과 여학생 모형에는 575개가 투입되었다. 전체 학생, 남학생, 여학생의 공학계열 전공 선택에 대한 랜덤 포레스트 예측모형을 각각 생성하고 주요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는 변수 중요도 지수로는 SHAP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공학계열 전공 선택에 대한 주요 예측요인으로 드러났다. 둘째, 과학에 대한 선호, 흥미, 자기효능감은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데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읽기 및 수학에 주목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과학 및 사회 관련 심리적 특성과 교육 경험이 주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 포부, 친한 친구의 성별 및 수, 부모가 기대하는 자녀의 미래 직업이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데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새롭게 탐색하였다. 다섯째, 남녀 학생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주요 예측요인은 과학 관련 심리적 특성, 진로 및 진학 포부, 교육 경험이었으며, 과학 관련 심리적 특성은 특히 여학생의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학계열 전공 선택에 대한 주요 예측요인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학계열 전공 선택을 장려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맞춤화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공 선택에 관한 이론을 재구성하여 다양한 학문적 관점을 통합하는 이론을 만들고, 공학계열 전공 선택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이론적 모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불어, 새롭게 탐색된 공학계열 전공 선택의 주요 예측요인을 중심으로 전공 선택에 대한 확장적인 이해를 도모하며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사회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의 관계

        이승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는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 현재 수도권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정규사원으로 근무하는 사회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은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추출의 절차는 남·녀 지도자를 총 280명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5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에 대한 도구는 김문재(1992)가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사회화 과정은 김경숙(1995)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 연령, 지도경력, 자격증, 전공, 결혼여부, 총수입, 학력, 시설유형에 따른 직전교육은 집단간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일반지식은 남자가 높으며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연령이 많은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높았고 지도경력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경력이 높은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상위로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경기지도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집단이 모두 높았고 전공여부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전공자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 에서, 결혼여부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기혼인 집단이 각각 높았다. 총수입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급여수준이 200만원이상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높았으며, 학력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학력이 상위인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높았고, 시설유형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민간종합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에서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높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 연령, 지도경력, 자격증, 전공, 결혼여부, 총수입, 학력, 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화 과정에는 집단간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에서는 여자가 높고, 성취에서는 남자가 높다. 연령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 성취에서 연령이 많은 집단이 높았고, 지도경력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경력이 많은 집단에서 기대, 성취가 높았다. 자격증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경기지도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높다. 전공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에서는 차이가 없고, 성취에서는 전공자가 높다.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미혼인 집단에서 기대가 높으며, 성취에서는 기혼인 집단이 높다. 총수입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200만원이상의 집단이 기대, 성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집단에서 기대, 성취가 높았다. 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공공체육시설, 민간단일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에서 기대가 높고, 성취에서는 민간단일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이 높다. 셋째,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이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공지식, 현장실습의 대한 직전교육이 높을 수 록 사회화 과정의 하위변인인 기대. 성취가 높다. This study is intended for a positive examination of what relation the prfeservice education for the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ort instructors") has with their social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made with those sport instructors who were working, as regular employees, for sport centers bas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in 2000. The cluster sampling was used for sampling of the objects of survey. A total of 280 sports instructors, male and female, were selected in the sampling process. Data from 256 out of these were actually applied to the study. As tools for collecting and measuring the data required for study, the questionnaires adopted Moon-Je Kim(1992) and Kyung-Sook Kim(1995)were used respectively for the data o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hose on the social process.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was based on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de by above-mentioned appro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social process in sport instructors: Firstly, the following differences relating to the preservice education are found among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teaching experience, certified qualification, majoring subject, marital status, gross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sports facilities involved: - By sex, male instructors are superior in general knowledge to female ones, and vice versa in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 By age, older instructors are superior to younger ones in all areas general knowledge,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 By other factors, groups of instructors, who are married and more experienced in teaching, who hold qualification certificates and who majored in the same subjects as they are presently involved in, prove to be superior to their counterparts in all areas-general knowledge,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Secondly, differences are also found with regard to the social process of sports instructors, among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teaching experience, certified qualification, and type of sports facilities involved: - By sex female instructors are higher in the expectation than female ones and vice versa in the achievement. - By age, older instructors are higher than younger ones in both expectation and achievement. The same applies to those who are more experienced in teaching and who hold qualification certificates. Thirdly,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the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has an impact on their social process. Particularly, the higher the presercvice education on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the higher the expectation and achievement in social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