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글로벌 자본의 현지화와 지역여성의 정치

        이숙진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글로벌리즘이 미시적인 경제공간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지역여성들과 어떠한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 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통계적 수치나 지표가 아니라 일상적인 경험속에서 여성들은 글로벌 자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만약 글로벌 자본과 여성들이 특정한 경험을 갖고 있다면 이러한 경험은 왜 발생하는 것인가. 이러한 의문을 본 논문은 한국에 진출한 초국적 유통기업의 현지화 과정과 지역여성들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국가의 탈규제 정책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단일 지역의 단일 기업에 대한 사례연구인 본 논문은 면접법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글로벌 자본과 지역여성의 관계는 산업적, 지역적 특성을 중심으로 초국적 기업의 현지화 정책에 내재한 복합적인 갈등과 저항, 그리고 특정한 담론의 유통과정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의 사례에서 초국적 유통기업과 지역여성들은 노동자, 구매자, 그리고 지역주민의 다층적 관계로 민족, 성, 계급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지역여성들은 글로벌 자본에 의한 로컬 노동의 지배라는 단순한 도식적 관계만을 구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복합적인 이해관계에 개입하지 않으려는 국가의 탈규제 정책은 글로벌 자본과 지역여성간의 갈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었다. 국가 정책(state policy)은 초국적 유통기업의 진출을 위하여 탈규제를 주된 정책내용으로 삼았다. 또한 초국적 기업은 현지 국가(state)의 제도적인 간섭없이 자유로운 경영활동을 위해 탈규제 정책을 요구했다. 그러나 하나된 세계를 주장하는 글로벌 시대의 담론과는 달리 초국적 유통기업의 기업중심적인 현지화 과정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이 그들 나라의 제도적, 문화적 차이를 확인하는 과정이 되었다. 언어와 경제적 합리성 등에 관한 차이와 그로인한 갈등은 글로벌 경제하에서 여전히 존재했다. 초국적 개별 기업내의 자본과 노동의 관계는 일방적인 것이 아니며 또한 이해관계의 갈등 역시 단일한 요소에 의한 것만은 아니다. 민족국가 구성원으로서, 노동자로서, 지역주민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발생하고 충돌했다. 이러한 복합적인 갈등이 발생하는 가운데 국가의 탈규제 정책은 조정의 역할을 포기함으로써 갈등을 증가시키고 이는 저항의 동기가 될 수 있음을 본 사례는 보여주었다. 초국적 성격을 지닌 프랑스 유통기업과 한국 지역여성들은 그들 국가의 제도에 따른 노동조합제도와 여성고용정책 상의 차이를 경험했다. 지역여성노동자들은 초국적 기업에서의 고용경험을 통해 그들 자신의 국가가 규정한 여성노동에 대한 지위를 인식할 수 있었다. 프랑스 기업의 실질적인 시간제 노동에 대한 정규직 고용은 임시직으로서의 고용불안과 보다 낮은 대우를 감수해야 하는 국내에서의 시간제 기혼여성노동자의 지위를 제고하도록 했다. 동일 노동에 대한 동일 임금의 적용 역시 성별화된 직종에서 남성 가장에 의한 생계부양과 가족임금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인 한국사회의 성별분업구조와 갈등을 일으켰다. 임금상승을 위해 승진기제에 더욱 잘 통제되는 남성노동자들과는 달리 거주지 이동이 자유롭지 않고 주로 시간제로 고용된 기혼여성노동자들은 승진에서 배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제는 남성노동자들이 승진을 위해 노동조합을 탈퇴하는 반면 여성노동자들로 하여금 노동조합에 잔류하도록 했다. 또한 더 낮은 노동기준을 향한 초국적 기업의 고용정책은 노동시간의 연장에 대한 기혼여성노동자들의 저항에 직면했다. 가족 내 노동의 여성전담이 구조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기혼여성들은 제한된 노동시간만을 판매하고자 했으며, 이를 일방적으로 연장하려는 초국적 기업과 갈등을 일으켰다. 이는 노동조합을 통한 조직적 저항의 발단이 되었다. 더 낮은 노동비용으로 노동자들간의 경쟁을 통해 이윤을 증가시키려는 초국적 기업의 노동통제에 대하여 여성노동자들은 손실 발생에 대한 방관, 시간 때우기 식의 근무로부터 시작되어 노조 재결성에 의한 집단적 저항을 가져오게 되었다. 초국적 기업의 현지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국가정책의 무간섭은 기존의 규제를 폐지함과 더불어 갈등이 유발되는 요소에 대해 개입하지 않는 것을 통해 나타나기도 했다. 영업시간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없고, 휴무일에 대한 지정이 없으며, 시간제 노동자의 정규직에 비례한 대우가 정착되지 않고, 성별화된 직종과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한국사회에서의 유통업 환경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로 하여금 국가의 제도적 차이를 인식시킴과 동시에 갈등과 저항의 동기를 마련한 것이다. 구매자로서의 권력이 작동되는 유통업의 특성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의 이해관계가 구성되는 영역을 보다 확대시켰다. 지역여성들은 구매자로서 소비와 유통을 담당하는 역할을 통해 초국적 유통기업의 이윤실현에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된 초국적 유통기업에 대하여 불매의 담론을 유통시킨 것은 지역주민이자 구매자인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초국적 기업의 이윤축적방식에 대하여 민족 국가 구성원으로서의 갈등을 드러냈으며 이는 불매로 가시화되었다. 지역여성들은 국가의 법과 제도가 개입된 일상의 정치학을 작동시키고 있는 행위자이다. 이들은 국가 제도의 차이를 드러내는 초국적 기업과 갈등하고 충돌했다. 글로벌 자본이 국가의 경제적 주권을 약화시키면서 정책적인 탈규제를 주장하고 있는 맥락에서, 국가정책은 초국적 기업과 지역여성들간의 이러한 갈등에 개입하지도 조정하지도 않아야 한다는 역할을 요구받은 것이다. 그러나 무조건적인 탈규제화가 노동기준의 국가적 차이에 의한 글로벌 여성노동 갈등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은 오히려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1주에 한 번씩 휴점하고, 동노동임을 적용하며, 시간제에 대한 비례대우를 지키고, 그리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도록 하는 국가정책이 글로벌 자본에게 반드시 불리한 것만은 아니다. 본 연구의 사례는 글로벌 시대의 자본과 여성노동이 단일하거나 일방적인 관계를 구성하지 않으며, 초국적 기업의 현지화 과정에 개입하는 지역여성들의 갈등과 저항이 구성되는 경험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글로벌 시대가 무정부, 무국가의 혼돈을 결과하지 않는 한 국가정책의 역할이 남아있으며, 따라서 글로벌 자본과 여성관계에 국가 역할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기하고자 했다. This thesis has its background on the authors interest in how globalism acts in the micro economic place and also what kind of relationship it has established with the women of the local community. To illustrate, this paper focuses on how local women view the identity of global capital entities through everyday interaction rather than through mere statistical figures, and if they have a special relationship with global capital, understand why such relationships have been established. The author has, through this paper, sought to answer these questions by analysis of antagonistic relations that have been formed between female member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transnational corporate entities in the retail distribution industry that have advanced into the Korean economic society. As a case research of a single company in a single region, this thesis is based on the qualitative method, collecting data through inter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capital and the local women can been analyzed as a complicated form of conflict and resistance that was inherent in the localization process of the transnational entities, and as a process of dissemination of particular discourse, focusing on industri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ase example that was the subject of study for this thesis was configured of various interests, such as race, gender or class, among workers, purchaser and local residents that formed the multi-layere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ity and the local women. This is why the local women society did no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s a forthright association, with labor being subordinate under the rule of the global capital. Further more, the states deregulation policy, through which it tried to disconnect itself from the complex relationship, has also become a factor that has compounded the hostility between the global capital and the local women. As mentioned above, the main pillar of state policy was deregulation, in order to induce foreign transnational companies to advance into the Korean economic arena. The foreign companies had also requested that the state enact deregulation policies so that their managerial activities may be freely conducted without any institutional interference from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unlike the dissertation in the global era, calling for "a united world", the process of localization for the transnational distribution companies had turned into a that for confirming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is clearly showed that the gap in language and economic rationality and the consequent antagonism still exist, unresolv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labor is not a unilateral one, nor are their conflict of interests limited to a single factor. There were in fact, various interest relations, also causing conflict and collision, among nation-state members, laborers, local residents and female members of the society. It was in such a complicated world of conflicting interests that the state had abandoned its responsibility to regulate the nation, increasing conflict and creating a motivation for resistance. The French transnational company and the Korean local women had experienc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rade union system and the female employment policy. Female work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position as defined by the state through their experiences working in the transnational companies. Full-time employment in the French companies also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nhance the status of married women as part-time workers in the domestic working environment, where women were treated low and had to risk unstable employment. The unilateral pay rates that were applied to the limited type of work open to women also divided roles according to gender and thus caused antagonism in the Korean society, where men(fathers) were perceived as being the only bread-earners in the family. Unlike men who were relatively more accustomed to the promotion conditions for pay increase, married women were less free in moving residence and had limited opportunity to be hired for full-time jobs and thus, were excluded from the promotion system. However, while men were more bound to bolt from trade unions in order to be promoted, women tended to remain in the unions. But as the companies employment policy was aiming for lower employment standards and at the same time extended working hours, the company came to confront resistance from married women employees. In a society where women had to be solely responsible for domestic labor and as far as such practices remain unchanged in the society, women were trying to sell only their limited labor hours, and had to conflict with the transnational entities whose aim was to extend working hours. This had become the ground for organizational resistance through trade unions. As the corporate entities tried to increase profits through competition by lowering pay rates, female workers responded with negligence to profit loss and irresponsible attitudes to their duties in the workshop, leading to collective struggle against re-establishment of labor unions. Despite the localization policy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e negligent attitude of the government was represented from not only state deregulation policies but also from the indifference to the cause of conflict between the two parties. There were no legal regulations on working hours, no definition of holidays, no settled employee treatment rules for full and part time workers, no adherence of rules set for application of equal work equal pay, and gender-based role definitions. Such limits clearly showed the female members the gap between transnational enterprises and state institutions and also created a motivation for antagonism and opposition against such practi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which the purchaser has the power to se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ities and female workers became extended to other yet unaffected areas. Female members were now able to directly affect the performances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as buyers and consumer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other words, it was these buyers and consumers that led the consumer boycott against the transnational distribution companies in commercial circles around their residential areas. Such campaigns brought into the surface the ethnic -based antagonism against the method of profit accumulation on the part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e local women are less than the actors leading the everyday politics in a states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It was none other than these actors that were confronted with collisional and opposed relationship with their counterpart. Another problem existed in the fact that, as the global capital weakened the economic sovereignty of the state while requesting deregulation in local trade practices, the state was required not to interfere nor adjust interests or relations between the corporate entities and the local female society. However, the non-conditional deregulation policy had, contrary from expectations, rather become the cause of conflicting interests, necessitating the role of the state as a mediator for narrowing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flicting parties. Reducing working hours, closing shops once every week, applying a equal work equal pay, providing appropriate treatment for part-time workers, and establishing government policies contributing to local community cannot be perceived as being only loss-making factors to the global capital entities. The case examples demonstrated in this thesis ha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owners in this global era and the female labor community is not one-dimensional or unilateral, and also how sentimisms of resistance and antagonism has been created among the female society during the localization of the transnational corporations. Through these examples, the author has trie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the role provided by government policies as long as the global era does not result in a state of anarchy or disorder, and also argue for the need for change in the government role to become the mediator between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the local women.

      • 유보통합을 위한 보육교사의 자격조건 및 양성체제에 관한 연구

        이숙진 수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realize the integration of child care teachers reserve the quality way to nurture conditions for research qualification. First recogniz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promotion of the background and the reserve,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ren through research the literature House of teacher qualifications and training course looking at. Data collection for the Director of the children's home in Gyeonggi-do, children working at home nine people interview with teacher to 1, 200 people targeted questionnaire collects data by deploying. Reserves in this study for the integration of child care teachers ' qualifications and positive thing to be an improvement in the system is as follows. Through a variety of institutions of an open system of nursery teachers ' quality and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s certification dumps. As a kindergarten teacher, such as a college or four-year college teachers in this qualification has been won through qualifying to the integration will have to be to realize this mandate.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in Korea grows quality child care and education to infants and toddlers to be able to benefit from equal. In a subsequent study for the integration of the right to continue to be suspended.

      • 인구감소 도시의 대응 : 도시기본계획 평가를 중심으로

        이숙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인구감소 도시가 변화하는 패러다임 속에서 미래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인구감소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고 관련 전략 및 정책들을 도시기본계획에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인구감소 도시의 기본계획을 평가하기 위해 20년간의 도시인구변화패턴을 기반으로 연구대상 도시를 선정하고 해당 도시의 도시·군기본계획 55개를 수집하였다. 그 후 축소도시를 위한 전략들을 바탕으로 축소도시계획전략평가 지표(Strategy Score Card)를 도출한 뒤, 각 기본계획을 평가하여 도시계획전략점수(Strategy Score)를 산정하였다. 평가한 점수 결과를 축소도시패턴, 도시규모, 도시·군기본계획의 목표연도와 기준연도 그리고 축소도시계획전략평가 지표에 따른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산광역시가 가장 높은 점수인 65점을 얻었으며,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28.86점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 유형에 따른 결과로는 유형의 따른 점수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기본계획의 수립연도가 최근일수록 점수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평가지표 40개 중 어느 도시에도 적용되지 않은 전략이 6개가 존재했다. 본 연구는 결과에 대한 해석 및 결론으로 미래 도시인구변화와 산업변화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시민들과 논의를 시작하여야 할 것을 제안하며, 기본계획 수립 시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인구 및 산업변화와 유형에 따른 수립지침의 개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말한다. 더불어 적용이 되지 않은 전략들의 현실적인 운영방침 등에 대해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며, 무리한 인구추정을 지양하고 저성장 및 인구감소의 흐름에 따른 계획의 수립을 위한 관련 법제도의 개선 또한 필요할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도시·군기본계획과 관련한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과 도시·군기본계획 수립 절차 및 수립 관계자의 인식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d how depopulating cities in S.Korea recognize population decrease so as to reflect smart decline strategies in their comprehensive plans. In pursuance of evaluating 55 comprehensive plans of the depopulating cities using the “Strategy Score Card,” which recalled the 40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from previous scholarly literature and the actual plans of shrinking cities. The score of each city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ir shrinking patterns, population size, target and base year of the plans, and scoring group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city of Busan ranked the highest (65 out of 100 points), while the average score of other cities was 28.9. The shrinking patterns—temporal decrease vs. constant decrease—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Meanwhile, the target and base year of the plans were likely to have higher cores when it comes to the latest. Six strategies that dealt with down zoning, reduction of public services, integration and relocation of residents, land banking and permission of temporary use of vacant house and land were never mentioned. To respond appropriately and keep the quality of remaining residents, cities should acknowledge the trend of population growth/decrease, industrial changes under the open discussion with citizens. Related legal systems should deter excessive population projection when proposing comprehensive plans and establish provisions to include essential planning tools for the low growth and depopulating cities. Despite the fact that the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since the study used a limited number of evaluation item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n effective milestone for the comprehensive plans of depopulating cities and urged the prompt change of the growth-oriented planning paradigm.

      • 급성 하벽 심근경색 환자에서 표준 12 유도 신전도의 측부 유도의 ST 분절의 특성과 병변 동맥과의 관계

        이숙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역행적 방법으로 우관상동맥 폐쇄와 좌회선동맥 폐쇄시 측부 유도(aV_L , I, V_5 , V_6 )에서 ST분절 편위의 특성을 알아보고 급성 하벽 심근경색시 표준 12유도 심전도에서 병변 동맥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찾기 위함이다. 연구배경 : 지금까지 여러 연구들이 급성 하벽 심근경색시 병변 동맥에 따라 심전도 소견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통해 진단 당시에 병변 동맥을 예측하여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심장의 측벽은 좌회선동맥으로 혈액 공급을 받고 있으며 하벽 경색시 reciprocal change가 나타나는 곳으로서 그 중요성이 커서 측부 유도 aV_L , I, V_5 , V_6 )의 ST분절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 통일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방법 : 급성 하벽 심근경색으로 진단받은 51명을 대상으로 평균 입원 8 일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실시하여 좌회선동맥 병변과 우관상동맥 병변으로 나누어 각각 진단 당시 심전도상 유도 aV_L 및 I의 ST분절 하강이 1mm이상인 경우와 그 미만인 경우의 빈도와, 유도 V_5 및 V_6 의 ST분절 상승이 0.5mm 이상인 경우와 그 미만인 경우의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 급성 하벽 심근경색 환자 51명 중 42명은 우관상동맥 병변이었고 9명은 좌회선동맥 병변이었다. 유도 aV_L 의 ST분절 하강이 1mm이상인 경우는 좌회선동맥 병변 환자군의 44%, 우관상동맥 병변 환자군의 71%에서 관찰되었다 (p = 0.140). 유도 I의 ST분절 하강이 1mm이상인 경우는 좌회선동맥 병변 환자군의 11%와 우관상동맥 병변 환자군의 43%에서 관찰되었다 (p = 0.128). 유도 V_5 및 V_6 의 ST분절 상승이 0.5mm 이상인 경우는 좌회선동맥 병변 환자군의 56%에서 관찰된 반면에 0.5mm 미만인 경우는 우관상동맥 병변군의 81%에서 관찰되었다 (p = 0.036). 결론 : 급성 하벽 심근경색시 표준 12 유도 심전도의 측부 흉부 유도인 V_5 및 V_6의 ST분절의 상승은 병변 동맥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고, 우관상동맥 병변에 의한 급성 하벽 심근경색시 유도 V_5 및 V_6 에서 ST분절이 0.5mm 미만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 공원 내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적 운영 개선 방안

        이숙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원 내 공공체육시설의 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분석함으로서 공원체육시설의 효율적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소재한 중앙공원의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남·녀 406명을 대상으로 유층집락무선표집방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2.0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용자들의 특성에 따라 공원 체육시설의 이용만족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주 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공원 내 체육시설의 재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공원 내 체육시설의 재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공원 내 체육시설의 재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지역사회 공헌에 대한 만족도는 공원 내 체육시설의 재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공 체육시설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은 쾌적한 자연 환경 보존과 이용자들의 불편 해소 방안이 선행되어진 후, 공공 체육시설의 전문화, 다양화, 고급화 새로운 시설과 기술, 그리고 장비의 개발과 이용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한 안전성과 편리성을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시민에 대한 배려와 혜택, 부대시설, 안전시설, 보조시설과 직원들의 관심과 친절한 서비스 등의 요인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또한, 공원 내 공공체육시설 재이용을 위해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이용자의 만족을 극대화시키는데 있어서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세분화하여 지역주민의 생활체육 활동 참여 프로그램과 다양한 이벤트, 부대시설 등을 적극 조성하고 관리하게 되면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이용수준은 극대화될 것이다. 특히, 공공체육시설은 개발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어야 하며 주민들이 중심이 되는 관리를 통해 사랑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아울러 이용자들의 주인의식이 병행되게 되면 공원 내 공공체육시설의 활용도와 기여도로 인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은 더욱 향성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earch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 and a user satisfactory of public sports facility inside the park and fine out efficient operation improvement of park sports facility. The location is the Central park in Bundang-gu, Seongnam Kyonggi-do ; also, it used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extracted 406 people who use park sport facility randomly. The data which is colleted applies a SPSS WIN 12.0 porgram and the result which executes frequenci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test, one-way ANOVA draw a conclusion. First, it followed in quality of the users and to use satisfactory of park sports facility appeared the difference. Second, the satisfactory of the factory inside the park effect positively to re-use sport facility. Third, the satisfactory of subsidiary facilities inside the park effect positively to re-use sport facility. Fourth, the satisfactory of program inside the park effect positively to re-use sport facility. Fifth, the satisfactory of community inside the park effect positively to re-use sport facility. Sixth, the satisfactory of staff service inside the park effect positively to re-use sport facility. To try to put together this result, effective civil official plan of public sports facility as a result, after effective civil official plan of public sport facility comes to precede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is comfortable and inconvenience of users solution, it needs to get public sport facility of specialization, multiplicity and upgrade and new facility and technique, development of equipment and safety and convenient of users. especially, it needs to get citizens of care and benefit, command installation, immediacy facility, cadence facility, interest and kindly service of staffs and so on. Also, users of public sport facility in park are managed specialize and systematic care for re-using and luring; for this reaserch is base on result of demography characteristic, physical training activity participation program of the local resident, various event, management of command installation will increase the use a public sports facility. Specially, public sports facility have to be correspond in objective of development and civil officail where the residents are center it will lead and it could be loved in order, and must endeavor; also, with master ceremony of the users does together and practical use adegree, contribution adegree of public sports facility in the park, the local residents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fact will improve more and more.

      • 전남 지역문화축제와 연계한 목포시립무용단의 공연실태에 관한 연구

        이숙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제 실시 전․후의 지역문화축제 개최 현황과 목포시립무용단의 공연 현황을 파악하여 이 지역의 전통적인 춤사위와 특색 있는 테마를 구성하여 다양한 공연활동을 펼치고 있는 목포시립무용단을 중심으로 전남지역 문화축제와 연계한 무용공연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대상자들과의 심층면담이 효과적이라 생각하여 목포시청 문화예술과를 직접 방문하여 시립예술단체 담당관의 허락을 받아 직접면담과 자료를 제공받았고, 관광기획과의 지역축제담당자에게 축제 평가보고서 등의 자료를 제공받아 축제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의 홈페이지에서 통계자료를 수집하였다. 아울러 목포시립무용단을 방문하여 안무자와 단무장, 단원들과의 직접면담을 실시하였고 공연현황 등의 자료를 제공 받았으며, 현재는 퇴임한 전 목포시립무용단 단원들과의 직접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정리·수집·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방자치제 전과 후의 지역문화축제 개최현황으로는 현재 개최되고 있는 34개의 축제 중 6개가 지방자치제 전부터 개최되었고, 28개는 지방자치제 후에 새롭게 개최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방자치제 시행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과의 차별화를 위해 지역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민들에게 문화향유기회를 제공하고자 지역문화축제가 새롭게 기획․개최되었다. 목포시립무용단의 연도별 공연현황은 1980년 창단 때부터 2010년 9월 현재까지 총197회의 공연이 펼쳐졌으며, 지방자치제 전인 1980년 창단부터 1994년까지 총 39회의 공연으로 19.8%를 나타냈고 지방자치제 후인 1995년부터 2010년 9월 현재까지의 총 158회의 공연으로 80.2%를 나타내 지방자치제 이후 무용공연이 활성화가 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역문화축제와 연계한 공연 참가 현황을 살펴보면 1980년부터 1990년까지 스포츠이벤트에 3회 공연, 시 행사 관련 경축행사에 6회 공연, 전국 시․도 단위 무용 페스티벌에 2회의 공연이 이루어졌으며, 1991년부터 2000년에는 스포츠이벤트 2회, 시 행사 관련 경축행사 10회 공연, 전국 시․도 단위 무용 페스티벌 19회의 공연, 지역문화축제 9회로 전년도에는 공연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지역문화축제에 참가공연이 이 때 중반부터 활성화가 되어 이루어졌다. 2001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는 스포츠이벤트 4회, 시 행사 관련 경축행사공연이 16회, 전국 시․도 단위 무용 페스티벌 24회, 지역문화축제 44회로 가장 많은 증가를 보였다. 셋째, 무용단의 무용공연 효과로 다양한 작품연구와 제작, 공연기회의 확대, 예산지원의 확대, 지역민들에 대한 인식 제고, 단원들의 소속감에 대한 긍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효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역 전통문화 계승·발전, 지역문화예술 활성화, 지역이미지 홍보, 지역주민의 정서 함양과 볼거리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관람객으로서는 지역문화요소 인지, 지역문화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 기회, 문화적 욕구충족과 정서를 함양, 지역 주민으로서 보람과 자긍심을 갖게 되고 있다. 위의 연구결과로 볼 때, 지방자치제 이 후 지역문화축제가 활성화 되면서 타 지역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지역의 전통문화 보존과 지역민들의 문화적 욕구 충족을 위해 여러 가지 문화상품이 기획․도입되어 시행되었다. 따라서 이와 연계한 무용공연 기회의 확대로 다양한 작품이 연구되고 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무용공연예술이 활성화되고 지자체의 경제적 지원이 늘어나면서 단원들의 소속감에 대한 긍지가 향상되었고 창작활동도 활발해져 다양한 공연의 기회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체언+용언'형 연어 연구

        이숙진 강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Some of foreign Korean learners have studied the meaning of Korean vocabulary, but often make unnatural expressions or make errors due to inaccurate usage of vocabulary. For this reason, they have understood the meaning of individual words but have failed to accurately study the usage and conjugation of such words. In actual communication situations, learners should not only know the meaning of vocabulary but also properly understand and u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vocabulary is used in order to make proper communications. Thus, learners should learn the vocabulary and the frequently used vocabulary in its collocation relationship. Against such backdrop,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education for foreign Korean learners. The collo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defined as the relationship of two lexemes being co-currently combined, and this study focused on ‘uninflected word+predicate-type’ collocations among lexical collocations that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Korean collocations. A massive Korean 'substantive+predicative'-type list was made based on 『Sejong Collocation Dictionary』,『Korean Collocation Dictionary for Learners』 an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 addition, the validity and practicality of such listed collocations were reviewed, and their educational utility was examined, so a list of ‘uninflected word+predicate-type’ collocations for Korean education was presented. Next, ‘uninflected word+predicate-type’ collocations for Korean educa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tems of meaning for learners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meaning of vocabulary based on the meaning. To that end, under the principle of materialization and integration, seven items of meaning - body, emotion,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od and shelter, social life, education and leisure activities, and nature - were set up. In addition, to boost the efficiency of learning vocabulary, the colloca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learners' learning grades. Collocations were classified not only according to their components' difficulty levels, their practicality, and their easiness of learning, but also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and abstractness of collocation types and their frequency of use based on corpus. This study developed and presented an objective and systematic list of collocations for Korean education for teachers to use the list as a reference for writ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or for conducting Korean classes. The list will also serve as a meaningful vocabulary material for learners to expand their vocabulary qualit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