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장년 고용 원인 분석 :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이숙자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 analysis on the Reasons for Hiring the Elderly -Focusing on Survey result of the Company Owners and Personnel Managers- Lee, Sook Ja Advisor : Prof. Lee, Min Chang Ph. 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asons for employing the elderly based on the awareness of company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strategies to activate employment of the elderly and enhance more active employ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company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working in Gwangju City using a questionnair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2014 to March 30, 2014 and 253 of the 305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58.9% of companies responded that they would employ the elderly in the future. Females were preferred, but 47.7%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preference with regards to hiring men or women. 49% of companies preferred people in their forties. When a chi-test was carried out on companies which had the intent to employ the elderl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their intent to employ them according to business types, intent to emplo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business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t according to sex and the age of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Second, through SPSS, it was discover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activate employment in the elderly were a reform in thinking, an enhanced employment support system, simple support procedures, and a change in employers' minds. Third,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mean scores of the response on the awareness of an employment support system by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it was discovered that awareness was low. The subjects were well-aware of employment promotion funding and job training education, and it was thought that they would have effects on employment. However,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hardly knew anything about employment environment improvement funds for the elderly and thought the funding did not have any effect on employment. 11.9% of companies used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and it was discovered that most support was given to the Saeil Women's Internship System. Fourth, a t-tes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ocial awareness on the elderly on their employment,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awareness that it was hard for the elderly to ask for work, their unemployment rate was low and their degree of experience was high all had an effect on employment in the elderly. Fifth, when the means of responses on preferred employment routes were compared, a preference on advertisement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irst, the awareness of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on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had an effect on employment in the elderly. However,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system was very low. To increase the awareness level, briefing sessions on the system should be held for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or the guidance with regards to the system should be actively displayed on the home-pages of each company. Second, to gain the maximum effect of net-employment through the system, the system should be innovated. Through a precise survey of demand targeting companies, as beneficiaries of the system, systems with low awareness levels or low utilization should be eliminated, and systems with high utilization should be expanded and supported further. In considering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with regard to business type, the impetus to support in business involved in construction, food and accommodation, and social welfare where it is thought that employment intent would be high, should be expanded and funding limits should be adjusted. Third,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had an effect in initial employment as it is directly related with making profits, but it did not have an effect as an incentive for long term service. The employment quality should be increased by providing motivation for long term service for employers and the elderly as employees. When more than 1 year of employment of the elderly is maintained, the support system for them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manpower problems of small and middle sized companies should be solved and employment quality could be improved. Fourth, the awareness level of job training was the highest (M=3.6), but it had only a slightly higher effect on employment(M=3.34). This result indicated the necessity of the job training. Current job training is mostly composed of low-experience and easy jobs. As it is inclined to a formal aspect, it did not help in practice. Field-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connections with companies as consumers in the labor market. In particular, customized training in areas such as public health and medical care where it is expected there would be higher employment int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the role of public employment agencies should be reconsidered. The employment support organizations for the elderly 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Representatives and personnel managers preferred an employment route of advertising through public or private job agencies. It was thought that this was derived from problems in promotion at the public employment agencies or a lack of staff with expertise. So, active promotion through briefing sessions with companies is needed. Compulsory and regula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staff working for public employment agencies to enhance their expertise. Sixth, for active employment of the elderly, awareness of them should be promoted, the support system should be expanded, the support procedure should be simplified, and the awareness of employers should be improv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as laborers, companies as consumers, and the government should interact instead of making a one-sided effort to activate employment of the elderly. The elderly should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Workfare or with awareness education not connecting their current positions to their past position. Therefore, they should become qualified as workers not with passive or dependent attitudes. Employers considered employing the elderly when it was thought that they would not quit their job easily and had high experience in the position. The elderly are helpful in areas requiring stable manpower. This should be made known through promotions such as public advertisement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s as motivation to induce employment. In reality, it should give benefits in business areas where employment of the elderly is expected, and simplify the support procedures. key words : employment of the elderly, active employment of the elderly,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employment route, job training, public employment agency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중․장년의 고용 원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에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중․장년의 고용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고용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2014년 2월 20일부터 2014년 3월 30일까지 총 30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중․장년 고용의사가 있다는 기업은 58.9%였으며, 고용시 선호하는 성별은 여자를 더 선호하고, 상관없다는 응답도 47.7%로 조사되었다. 선호연령은 40대가 49%로 주로 40대를 선호하였다. 고용의사가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업종에 따라 중․장년 고용의사가 다른지를 알고자 교차분석(카이검정)을 실시한 결과 업종별로 중․장년 고용의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중․장년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항을 알고자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장년층의 의식개혁, 고용지원제도 확대 및 지원절차 간소화, 고용주의 의식전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의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인식을 응답점수의 평균으로 비교한 결과 인식이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는 고용촉진지원금과 직업훈련교육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장년고용환경개선자금은 잘 모른다고 응답했고, 고용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다. 고용지원제도를 이용한 업체는 11.9%였으며, 새일여성인턴제를 가장 많이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장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중․장년은 일 시키기 곤란함, 이직률 낮음, 업무숙련도 높음에 대한 인식이 중․장년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경로에 대한 선호도를 응답점수의 평균으로 비교한 결과 광고에 의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의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인식은 중․장년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인식수준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었다. 고용지원제도의 인식수준을 높이기 위해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설명회 개최 및 각 기업의 홈페이지를 이용한 고용지원제도 안내 등의 적극적 홍보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고용지원제도로 인한 순고용 효과를 최대로 얻기 위해서는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현실적인 제도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고용지원제도의 수혜자인 기업을 대상으로 정확한 수요조사를 통해 인지도나 활용도가 낮은 제도는 없애고, 활용도가 높은 제도를 확대․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업종별로 중․장년 고용에 차이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중․장년 고용의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건설업, 숙박음식업, 사회복지업종에 대한 지원대상 및 지원금 한도 조정 등 고용지원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용지원제도는 기업의 이윤창출과 직결되기에 입직시에는 효과가 있으나 장기근속에 대한 유인효과는 없다. 사업주와 중․장년자 쌍방에게 장기 고용유지를 유인하여 고용의 질을 올려야 한다. 중․장년자가 1년이상 고용을 유지할 경우 사업주와 중․장년 본인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도입해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고용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 직업훈련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은 가장 높은 수준(M=3.6)으로 나타났으나 고용에는 보통보다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3.34). 이 연구결과는 직업훈련교육 개선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직업훈련교육은 대부분 저숙련 및 단순직 위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형식적인 면에 치중해 단기위주의 교육으로 끝나 실제 업무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노동시장의 수요자인 기업과 연계를 통한 현장맞춤형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향후 중․장년 고용의사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복지업 및 보건․의료업에 맞는 맞춤형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공취업알선센터의 역할에 대해 제고해 보아야 한다. 중․장년 고용을 위한 고용지원기관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등으로 다원화 되어있다.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는 공공 및 민간취업알선센터 보다는 광고에 의한 고용경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공공취업알선센터에 대한 홍보부족과 종사자들의 전문성 결여의 문제에서 기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을 대상으로 설명회 등을 통한 적극적 홍보가 필요하다. 또한 공공취업알선센터 종사자의 의무교육 및 정기교육의 실시로 전문성을 길러야 한다. 여섯째, 중․장년의 고용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장년층의 의식개혁, 고용지원제도 확대 및 지원절차 간소화, 고용주의 인식전환을 우선 고려사항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런 결과는 중․장년의 고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노력보다는 노동공급자인 중․장년자와 수요자인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상호작용이 수반되어야 함을 실증분석을 통해 증명해 주고 있다. 중․장년자의 입장에서는 과거 자신의 지위를 현재와 연계시키지 않고 재취업교육 및 의식교육 등의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수동적, 의존적 자세에서 탈피하여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고용주의 입장에서는 중․장년자는 낮은 이직률, 높은 업무숙련도가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숙련도를 요구하는 직종에서 보다 안정적인 인력운영에 도움이 된다. 이런 이점을 공익광고 등의 홍보를 통해 중․장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정부차원에서는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고용유인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고용지원제도에 대한 현실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실제로 중․장년 고용이 많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에 혜택을 주고 고용지원제도의 지원절차도 간소화를 해야 한다. 주제어 : 중․장년 고용, 중․장년 고용활성화, 고용지원제도, 고용경로,직업훈련교육, 공공취업알선센터

      • 중학생이 선호하는 학급 담임교사에 관한 연구

        이숙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급담임교사에 대한 중학생들의 기대를 성별로 알아보고, 학교현장에서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급담임교사의 인적사항 및 특성, 교사상 및 자질, 생활지도, 학급경영 등의 4개 영역으로 분류하고 이에 관련된 21개 문항을 작성하여 경기도 수원 시내 중학생 450명에게 응답하게 하여 그 결과로 중학생이 선호하는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성별로 분류하고 전체적인 경향을 알기 위하여 백분율에 의하여 비교를 하였으며, x^2 검증으로 유의도를 산출하여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인적사항 및 특성 먼저 교사의 인적사항 및 특성에서 학급담임교사의 성과 혼인상태에 대한 기대는, 남학생의 경우에는 27.12%가 미혼인 여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성과 혼인상태에 상관없다가 14.04%로 나타났지만, 미혼인 남 교사도 13.08%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미혼인 교사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급담임교사의 연령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녀 모두 29세 이하의 담임선생님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과 함계 호흡할 수 있는 젊은 선생님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학급담임교사의 용모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학생의 경우에는 인물이 잘 생기고 호감이 가는 선생님을 19.61%로 가장 선호했고, 그 다음으로는 검소하고 수수하며 소탈한 선생님이 16.46%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검소하고 수수하며 소탈한 선생님을 30.27%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급담임교사의 복장에 대한 기대에서는 검소하고 깔끔하며 활동에 편리하게 입는 선생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담임교사의 성격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여학생 모두 다정다감하고 항상 명랑하시며 쾌활하신 선생님을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우머가 있고 친구처럼 편안한 선생님을 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학급담임교사의 담당학과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학생의 경우에는 여체능과, 수학과, 사회과, 과학과의 순으로, 여학생의 경우에도 여체능과, 수학과, 사회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녀 모두 예체능과 담임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교사상 및 자질 교사상 및 자질"에서 어떤 분이 담임교사로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58.6%가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다재 다능하고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시는 선생님을 선호하였으며, 학급의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데 최선을 다하는 선생님에 대해서도 34.6%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가장 싫어하는 선생님에 대해서는 남·여학생 모두 권위적이고 성적위주로 학생을 평가하시는 선생님을 싫어하는 것으로 보아 학생을 인격체로 존중하고 개인차를 이해하면서 소외감을 갖지 않도록 관심과 애정을 베풀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급담임교사의 교육방식에 대한 견해에서는 남·여학생 모두 매사에 학생을 이해하고 자유롭게 참여하도록 도와주는 선생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학급담임교사의 대화방식에 대한 견해에서는 남·여 학생 모두 친구와 같이 다정하게 이야기하는 선생님을 79.2%로 선호했고, 그 다음으로 부모님과 같은 입장에서 충고해 주는 선생님이 17.4%로 나타난 결과로 보아 역시 학생과 격의 없이 친구처럼 지내는 선생님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급담임교사의 교직에 대한 태도에 대해서는 학습지도 방법 개선 및 자기연수 등을 통해 실력향상에 부단히 노력하시는 선생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생님이 먼저 솔선 수범하는 자세를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 생활지도 생활지도에서 학급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식에 대한 견해로는 남·여 학생 모두 학생과 자주 대화의 기회를 갖고 학생 스스로 말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는 선생님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학생에 대한 학급담임교사의 태도에 대해서는 남·여학생 모두 상담을 통하여 행동의 원인을 밝혀 추후 사고 예방에 힘써주기를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제 학생에게도 꾸준한 관심과 사랑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학급담임교사의 체벌에 대한 견해에서는 남학생은 18.16%가 교사의 체벌보다는 훈화지도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선호했고, 그 다음으로는 16.46%가 체벌은 교육적으로 필요 하다를 응답하였다. 여학생은 19.13%가 교사의 체벌은 교육적으로 필요 하다를 선호했고, 그 다음으로는 16.22%가 체벌보다는 훈화지도가 더 효과적이라고 응답해 남·녀가 선호도에서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교제 시 학급담임교사의 지도에 대한 견해에서는 두 사람을 조용히 불러 바람직한 교제가 되도록 지도해 주기를 바라는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되도록 간섭을 안 했으면 좋겠다 라는 반응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활동에 대한 견해에서는 남·여학생 모두가 학생이 먼저 상담을 원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 개개인에 대한 관심과 정보를 많이 갖고 있어야 함은 물론 자상한 이해와 배려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라.사회적원망격차 사회적 원망격차를 알아보는, 내가 도달하기 원하는 단계와 내가 실제 도달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단계에 대하여 권력, 명성, 경제력으로 구분하여 10단계로 응답토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권력에 대한 원망격차와 명성 원망격차 그리고 경제력 원망격차 모든 부문에서 2-3단계 수준의 원망격차가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 학급경영 학급경영에서 학급담임교사의 학급운영 시 중점사항에 대한 견해로는 남·여학생 모두 교우관계 및 협동생활에 관련 및 지도를 가장 원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남학생의 경우 예절 및 기본생활 습관지도를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습분위기 조성 및 학교 성적 향상에 대한 지도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급담임교사의 학급운영 방법에 대한 기대에서는 남녀 학생 모두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학급을 이끌어 가도록 하시는 선생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임교사의 엄격한 통제보다는 그들을 이해하는 입장에서 조언해주고 도와주어 자발적인 학급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학급담임교사의 학급분위기 조성항법에 대한 견해에서는 간혹 다과회, 오락회, 체육활동 등의 모임을 통해 분위기를 새롭게 조성해 주는 선생님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담임교사와 학생이 일체감을 느끼고 즐거운 학교 생활이 될 수 있도록 동기 유발을 시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학급담임교사에게서 기쁨을 느겼을 때는 남·여학생 모두 나에게 다정하게 관심을 가져주실 때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평소 학급담임교사에게서 실망을 느꼈을 때는 급우들 앞에서 결점을 지적하거나 꾸지람을 하실 때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학급담임 교사는 학생 한사람 한사람을 인격체로 존중해주어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을 베풀 때 담임교사와 한마음이 되어 오고싶은 학교 머무르고 싶은 학교로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숙자 同德女子大學校 女性開發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의 향상과 생활수준의 개선, 그리고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2000년에는 7.1%, 2022년에는 14.3%, 2030년에는 19.3%에 달하는 고령사회가 될 전망이다. 이렇게 변화하는 고령화 사회현상으로 노인문제가 여러측면에서 발생하는데 소득원의 상실에 관한 빈곤문제, 질병치료 및 건강유지문제,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상실문제, 고독과 소외문제, 주거문제, 여가선용문제, 경로효친의 전통적 가치관의 변화에 의한 문제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노인들의 여가활용과 관계된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이고 국민의 복지증진이라는 정책적인 관심에서 빠져서는 안되는 문제이다. 연구자는 이에 노인들의 여가활동 현황과 만족도에 관하여 서울시와 인천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노인이 61.3%, 연령대는 66-75세 사이가 78.0%, 교육수준은 초등학교졸업이 45.9%, 한달용돈은 11-20만원 사이가 31.2%, 건강상태는 50%이상이 건강, 자녀와 함께 산다가 48.3%, 주거형태는 아파트가 51.1%, 주거소유형태는 본인집이 72.7%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은 라디오 청취와 텔레비전 시청으로 여가시간을 가장 많이 보내며 다음으로 우인교류형의 여가활동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소일형의 여가활동은 노인들의 5분의 2 이상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 만족도는 일반적인 특성과 경제적 요인에 따른 상관관계로 분석해 보았는데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종교, 한달용돈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의 여가활동은 라디오 청취와 텔레비전 시청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다음이 가족과 친구, 이웃 등과의 모임, 경로당과 노인회관의 참여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노인들의 여가활동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며, 교육수준, 건강상태, 종교, 한달 용돈이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에 따라 이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겠다. The average life span has been extended owing to increase in income, improvement of standard of life, and development of medical science in accordance with a rapid economical growth. Thus, it is expected to be an aging society where the rate of senior people's in the total population will be 7.1 % in 2000, 14.3% in 2022, and 19.3% in 2030. This phenomenon of such a changing aging society causes problems of the aged from various aspects: poverty, disease cure and health maintenance, role loss in family and society, solitude and alienation, residence, making good use of spare time, and the one owing to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view of values like respect for the old and filial duty. At this point of time, the problem related with the senior people's making good use of leisure time is a socal problem and it sh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strategical interest in the welfare improvement of the n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about the present status of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ion degree targeting the senior people who reside in Seoul and lnchon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ld female appeared 61.3%, with age bracket of 66-75 31.1 %,elementary school graduates in case of educational standard 45.9%, 110-200 thousand won in case of monthly allowance 31.1 %, healthy in case of health status more than 50%, living with children 48.3%, apartment in case of residence style 51.1 %, and owning one's own house in case of residence possession type 72.7%. Second, the senior people spent leisure time most in listening radio and watching TV, and then the leisure activity of friendly companion type occupied above the majority, and more than two fifths of senior people participated in pastime type leisure activity. Third,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isure activity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al factors, among which age, educational standard, state of health, religion, and monthly allowance showed high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senior people's leisure activity was most concentrated in listening to radio and watching TV, and next in meeting with family members, friends and neighbors and participation in a hall for the aged and a club for senior citizens. Th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opularized in order to satisfy the senior people's needs for leisure activity and because educational standard, state of health, religion, and monthly allowanc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degree, a strategical aid for them is required.

      • 미용 전문잡지에 나타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디자인 변화에 관한 연구

        이숙자 광주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04년까지 미용전문잡지에 나타난 컨슈머와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에 사용된 미용기법, 디자인요소와 메이크업 변화양상을 종단적으 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차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컨슈머 스타일을 중심으로, 연구Ⅱ에서는 헤어바이 나이트 스타일을 중심으로 시기별 변 화양상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용기법, 디자인요소, 메이크업 유형의 세부 유목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미용기법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커트기법의 변화를 살펴보면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 모두 탑 부분의 경우, 1980년대에는 탑 부분을 살리지 않았으나 199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탑 부분을 살려주는 커트기법을 사용하였다. 프린지는 1980년대 앞머리를 자르지 않은 길고 무거운 형태에서 1990년대 이후부터는 전체적인 커트선이 가벼워지면서 앞머리 가 대칭 비대칭으로 짧게 커트된 형태가 많이 나타났으며, 네이프의 경우, 전 시 기에 걸쳐 수평라인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컬러링 기법에 있어서는 탈색기법 위 주에서 1990년대 이후 염색과 탈색이 병행된 기법이 사용되어 다양화가 이루어 졌으며, 오리지널 세트기법에 있어서도 1980년대는 젤, 무스 등으로 디자인의 무 게감과 형태감을 강조한 몰딩기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컬의 느낌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드라이 기법 중심으로 두드러진 변화양상을 보였다. 다음으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디자인 요소들의 각각의 변화양상은 다음 과 같다. 전체 윤곽선을 보여주는 디자인 모양은 컨슈머의 경우에는 1980년대는 삼각형과 마름모형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삼각형 모양의 디자인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헤어바이나이트의 경우에는 1980 년대는 사이드 전두부 쪽에 S웨이브의 볼륨감이 풍성한 마름모형 디자인에서 1990년대 이후 전반적으로 가벼운 커트선을 강조해주는 삼각형 디자인 연출의 크게 증가하였다. 컬 유형의 변화를 살펴보면, 컨슈머의 경우에는 탑, 백과 네이 프 부분에는 전 시기별로 주로 C컬이 사용되었으나 프론트와 사이드의 경우에는 1980년대는 S컬이, 1990년 이후부터 J컬이 많이 나타났다. 헤어바이나이트는 컬 유형에 있어서는 탑의 경우, C컬이 전 시기별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2000년 이후에는 J컬 또한 증가하였다. 프론트와 사이드에 있어서는 1980년대 중반에는 디자인의 무게감 또는 연결성을 나타내는 S컬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 중 반부터는 앞머리 커트가 길고 가벼워지면서 자연스럽게 연결된 웨이브의 흐름인 J컬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C컬의 디자인을 대부분 사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색 상계열을 살펴보면, 1980년대에는 옐로우, 브라운, 오렌지 색상과 같은 단색이 주 로 많았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는 옐로우- 오렌지 또는 레드- 오렌지와 같은 색상 으로 모발 끝으로 갈수록 밝아지는 그라데이션이 강조된 색상 연출이 두드러졌 다. 또한 헤어바이나이트 스타일의 특징인 피스 사용에 있어서는 1980년대는 1개 의 피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1990년대는 2개로 증가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부 터는 3개가 사용되어 시기별로 사용 개수가 증가하였다. 피스사용 위치는 1980 년대에는 네이프를 중심으로 연출되다가 1990년대부터는 탑과 전두부인 정면에 서의 디자인 연출이 이루어졌으며, 형태에 있어서도 최근으로 갈수록 뱅· 분수· S형· 원형 등의 혼합 형태가 많이 나타나 화려한 컬러와 함께 피스를 이용한 장 식적인 효과에 대한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헤어바이나이 트에 사용된 장식소품으로는 주로 보석(큐빅류)· 비쥬 및 크리스탈이 많이 사용되 었다. 마지막으로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에 사용된 메이크업 유형은 다음과 같 이 변화하였다. 1980년대는 색상위주의 A유형 메이크업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에는 눈과 입술을 중점으로 아웃커브 라인을 강조하는 B유형 메이크업 이 증가하였고 2000년대는 가벼운 커트선 및 컬 유형을 강조하고 색상의 다양성 과 화려함으로 연출하는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변화로 인해 메이크업 역시 펄과 라인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고 예술성을 살린 아트메이크업 형태인 C유형 메이크업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위에서 보는바와 같이 20여년의 자료 분석을 통해 컨슈머와 헤어바이나이트의 기법 및 유행변화 ,시대별 흐름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결과로서 앞으로는 미를 창 조하는 헤어 드레서 들은 위에서 나타난 스타일에 따른 베이직 적인 부분의 이 론과 기술적인 부분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섬세히 연구 기록하여 쉽게 받아 들이고 이해하므로 습득 할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어떤 스타일이건 유행의 변화와 다양성을 추구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고 발휘해야 한다고 본다. 변화를 살펴보았다. 컬의 유형은 J컬, S컬, C 컬로 총 3가지로 구분 하여 백, 탑, 프론트, 사이드, 네이프 부분으로 나누어 통 계를 낸 결과로는 우선, 탑의 분석은 < 표 9>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χ2 =13.376, D.F = 6 , P < 0.001). J컬이 1980년대 후반기까지는 나타나지 않다가 2 주기, 3주기부터 각각2건(2.9%), 4건(5.9%)으로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현재 까지 3건(4.4.%)으로 쓰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컬의 경우 1주기와 4주기에 만 각각 1건(1.5%)으로 나타나 사용비율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고1990년도 초반기부터 2000년도 현재까지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컬의 경우 1980 년 초반기부터 5건(7.4%)으로 나타났으나 1990년대 후반기까지 23건(33.8%)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000년도에서 현재까지 28건(41.2%)으로 가장 많은 분석결 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탑 부분의 컬 유형은 C컬을 주로 사용하여 백, 탑, 프론트, 사이드, 등 에 자연스럽게 연결 하는 결론이다.

      • 영어 운율듣기와 운율읽기 중심의 수업효과 비교

        이숙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0년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수준별 이동수업 하반 학생들은 이중고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곧 다가올 수능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고 동시에 영어기초실력을 급하게 배워 다른 수험생들을 따라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고등학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등의 시험문제는 모두 상급이나 중급반 학생위주로 만들어져 있어 하반 학생들에게는 너무나도 힘겨운 것이 현실이다. 시험대비 식의 문법 설명을 교사가 아무리 하여도 초급학습자인 하반 학생들에게는 이해가 가지 않는 어려운 개념일 뿐이다. 이에 본 논문은 고등학교 영어초급 학습자에게 글자와 음의 상관관계부터 시작하여 그들이 단어인지를 우선 하게 한 후 강세와 내용어를 가르치어 문장리듬을 배우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문법과 독해에 보다 더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주는 수업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에 언어학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분야중의 하나인 운율학 즉 리듬을 읽기와 듣기에 결합하여 하나는 운율 읽기 반, 다른 하나는 운율 듣기 반의 두 가지 운율수업 모형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고등학교 초급학습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운율수업방식을 찾고자 한다. 운율수업의 장점은 의미상, 그리고 문법상 중요한 단어에 강세가 붙음으로써 생기는 리듬에 학습자가 학습의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리듬으로 어휘와 문법에 접근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문장리듬으로 독해까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리듬으로 가장한 문법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마침내 스스로 자신만의 학습법을 찾을 수 있는 독립적인 학습자를 만드는 데 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Man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uffer from limited preparation time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is especially true for students in low level classes. These students are under pressures such as limited time, and the lack of English knowledge. However, the school system always focuses on the best students in school. Therefore, students in low level classes often feel being left behind. To solve this problem, teachers need a curriculum which helps students' fundamental grammatical knowledge, in addition to preparing students for crucial tests. To satisfy their needs, this thesis proposes prosodic reading and prosodic listen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faces by lower level learners. These methods are designed to improve a student's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interesting rhythm. Rhythm wears the mask of grammar on it. So, once students start identifying sentence rhythm, they start to understand content words and functions words. Eventually, they will also be able to understand reading questions. Rhythmic grammar has become a rising star in linguistics. However, there are never enough teaching ways for low level high school students. This thesis may suggest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new trend of grammar in terms of prosodic reading and prosodic listening.

      •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숙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 A. Thesi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Lee, Sook Ja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Gab S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n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by carrying out the group art therap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6 children in the 6th grade students attending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The half of them were arranged as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were arranged as controled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was carried out during 16 sessions for 80 minutes twice a week from November 2, 2009 to December 24, 2009. The research tools are the motivation for learning scale by Kim Yong rae(2000) and academic self-efficacy scale by Kim A young·Park In young(2001).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ed group were evaluated by using pretest and post test, further test. The data materials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At first, this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for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 score of pre-test in the whole category and its subcategories(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continuing motivation, instructional motivation), the score of post-test is improved significantly, and for further test, it is also shown that its effect still sustains. Secondly, this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parison with the score of pre-test in the whole category and its subcategories(self-confidenc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he score of post-test is improved significantly, and for further test, it is also shown that its effect still sustains.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is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국문 초록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 숙 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미술치료전공 지도교수 김 갑 숙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에서 학습동기검사를 실시하여 점수가 낮은 학생 16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09년 11월 2일부터 2009년 12월 24일까지 주 2회,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용래(2000)의 학습동기 척도와 김아영·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변량분석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추후 검사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 하위요인 즉 수업동기, 계속동기, 내적동기, 외적동기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추후 검사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즉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자신감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교통사고 경험에 따른 NLP 선호감각유형 및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연구

        이숙자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통사고 유경험자 성격유형과 교통사고 무 경험자 성격유형 중 NLP선호감각유형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중 특정유형과 각 유형간의 차이를 검증하여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 설정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교통사고 유경험자 성격유형은 NLP 선호감각유형 중 특정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교통사고 유경험자 성격유형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중 특정 유형이 다 른 유형에 비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교통사고 무 경험자 성격유형은 NLP 선호감각유형 중 특정 유형이 다 른 유형에 비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교통사고 무 경험자 성격유형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중 특정 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경기도 ㅈ 아파트 주민과 서울, 경기 지역 운전자,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 유경험자 100명, 교통사고 무 경험자 100명을 선정하여 표본 조사 하였다. 설문 조사는 9월 1일부터 9월 30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산 분석 후 사후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설기문(2003)의 선호감각 유형 검사지와 한국 에니어그램 협회에서 제작한 성격유형 진단 검사지(간이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교통사고 유경험자 성격유형은 NLP 특정유형과 에니어그램 특정 유형이 각각 다른 유형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교통사고 유경험자 100명중 NLP 선호감각유형에서 K 유형의 평균이 다른 유형들의 평균보다 P<.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교통사고 유경험자 100명중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서 7 유형의 평균이 다른 유형들의 평균보다 P<.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교통사고 무 경험자 성격유형은 NLP 특정유형과 에니어그램 특정 유형이 각각 다른 유형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교통사고 무 경험자 100명중 NLP 선호감각유형에서 D 유형의 평균이 다른 유형들의 평균보다 P<.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교통사고 무 경험자 100명중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서 1 유형의 평균이 다른 유형들의 평균보다 P<.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NLP 선호감각 유형에서 K 유형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서 7 유형이 교통사고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NLP 선호감각 유형에서 D 유형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서 1 유형이 교통사고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통사고 예방 및 감소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운전면허 적성검사에 성격 유형 검사를 활용하고 검사 결과를 토대로 교통관련 교육에 심리적 특성을 고려해 실시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교통분야의 심리 전문가 양성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셋째,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어려운 교통상황에서 운전자의 특성(성급함 또는 심리 상태)을 운전자 스스로 인식하도록 도와주며 감정상태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꾸준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교통상황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청각과 시각적 감각을 수용하여 교통사 고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았듯이 운전자 개인의 성격유형을 앎으로서 운전자 자아상을 알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몇 가지 보완할 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를 다르게 하여 특성별로 다양하게 연구를 실시해 볼 것을 제언한다. 예를 들면 직업(특히 직업기사, 일반 운전자), 면허취소 대상자, 음주 운전자, 운전하지 않는 보행자 등으로 구분하여 특성별로 지속적인 연구 를 통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성격유형 검사지를 적성검사 대용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검사지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통심리관련 교육자료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