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SO 14443 type A 표준을 이용한 RFID 태그 Analog Front End 설계
In this thesis,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ransponder AFE(Analog Front End) circuit using ISO 14443 type A standard has been proposed and verified by circuit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AFE circuit consists of rectifier, modulator, demodulator, regulator, POR(Power On Reset), and DPLL(Digital Phase Locked Loop). Constant frequency clock is important at digital control block. ISO 14443 type A standard uses the modulation principle of ASK(Amplitude Shift Keying) 100% to create a "pause". Normal clock recovery circuit is difficult to recover clock during pause period. The proposed AFE generates clock during pause period. The proposed AFE is fabricated in 0.18 ㎛ CMOS process. AFE core size was 350㎛ × 230㎛. The measurement result shows that DPLL using demodulator output signal generates constant 1.695MHz clock during pause period.
Wind power generation is the natural source energy without pollution, and is the method of power generation without environmental impact such as the thermal pollution caused by heating, air pollution, radioactive leakage, etc, unlike the power generation which uses fossil fuel, uranium, and others, as it uses the wind, the clean energy with the highest economic efficiency among renewable energies. Amid the recent development of small wind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an be installed in the super high-rise buildings or complex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alyses on appropriate locations in a bid to promote efficient power generation in those locations. In this study, relative weight of the elements required for the wind power generation were estimated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Busan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in Busan City were expressed. As a result, 'Dadae 1-dong, Cheolma-myeon, Noksan-dong' was selected as the optimal candidate region inside Gangseo-gu, Gijang-gun, Saha-gu by us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M. Ravel의 <Cinq mélodies populaires greeques>에 관한 분석.연구
이수주 경원대학교 음악대학원 2011 국내석사
<국문초록> M. Ravel의 <Cinq mélodies populaires greeques>에 관한 분석.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음악학과 성악전공 이수주 지도교수:김 영 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무렵에 이르면 그때까지 전반적인 음악을 지배해 왔던 낭만주의에 대해 반기를 들고 새로운 양식의 음악이 대두된다. 20세기 전반은 그야말로 격동의 시대였다. 세계대전을 두 번이나 겪고 공산주의 혁명, 파시즘(fascism)의 등장 등으로 지구촌 전체가 뒤흔들리는 와중에 기존의 사회제도, 경제 , 관습 등이 급속도로 무너져 갔다. 또한 20세기에 들어서서 사람들의 생활 구석구석에까지 침투한 기계문명도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후반의 파리는 눈부신 예술의 도시였다. 미술, 문학, 음악 모든 분야에서 형형색색의 꽃을 피웠으니 전세계 문화의 중심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인상파 회화, 상징주의 문학의 헤게모니(hegemony)를 쥔 나라도 프랑스 였다. 프랑스적인 전통은 본질적으로는 다소 고전주의적인 것이다. 음악을 표현이라고 생각하는 낭만주의적인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음악을 음향의 형식으로 생각하는 데 기초를 두고 있다. 질서와 절도가 모든 것의 기초가 되고 감정과 묘사는 완전히 음악으로 형태를 바꾸었을 때만 전달된다. 그 음악은 가장 단순한 선율에서부터 시작해서 음, 리듬, 색채의 가장 섬세한 형태에 이르기까지 어떤 것이나 대상이 되고 있다. 19세기 말경 낭만주의 시대에 새로운 사조는 자연적인 현상과 표현들을 음악을 통해 가능케 함으로서 인상주의라는 새로운 음악적 특징을 만들어 낸다. 이는 프랑스로부터 건너와 미술, 음악 등 예술계 전반에 걸쳐 새로운 음악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20세기 작곡가들에게 선율, 화성, 리듬, 형식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자연을 소재로 한 표현을 시도함으로써 이전의 음악양식과는 차별을 이룬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인 라벨(Maurice Ravel 1875~1937)과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에서 그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뷔시와 같은 부류에 포함되는 라벨의 작품은 드뷔시의 작품과 서로 유사한 듯 하지만 서로 다른 면을 보여준다. 인상주의 작곡가라 불리는 라벨은 고전주의적인 선율의 취급, 견고한 구성, 명확한 리듬 등을 사용하여 드뷔시와는 다른 방법으로 인상주의 음악을 발전시켰다. 드뷔시의 음악에 비해 라벨의 음악은 사실적이며, 힘찬 남성적인 인상주의 음악을 추구하였다. 라벨은 처음에는 인상주의에 가담했으나 그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지성적이며 명쾌한 양식으로 나아갔다. 그의 기법은 때로는 새롭고 때로는 보수적이었다. 드뷔시가 끝까지 인상주의자였고, 관점에 따라서는 말기적 낭만주의에 포함되는 데 비해 라벨은 좀 더 명확한 형식을 갖춘 균형 잡힌 형식미를 지향 했다는 점에서 드뷔시와는 확연히 다른 작곡가였다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를 가리켜 ‘신고전주의자’라고도 한다. 인상주의 전성기는 라벨(M. Ravel)의 영향 하에서도 빛을 발하였고, 드뷔시와 함께 두 작곡가에 의한 인상주의 시기는 ‘후기 인상주의’ 라는 개념으로 나눌 수 있는 발전과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This thesis describes molecular and biochemical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rhamnolipid and polyhydroxyalkanoic acid (PHA) by Pseudomonas aeruginosa and genes involved in cold-induced exobiopolymer (EBP) in Pseudomonas fluorescens BM07. Pseudomonas aeruginosa is known to synthesize PHA and rhamnolipid whose precursors are provided through PhaG and RhlA when grown with unrelated carbon source such as fructose. 2-Bromooctanoic acid (2-BrOA) known as an inhibitor for PHA synthesis from fructose was found to inhibit rhamnolipid synthesis, too. However, 2-BrOA didn’t inhibit PHA and rhamnolipid synthesis when grown with octanoate. In addition of 2-BrOA to the medium, the cells lost the swarming motility. Fourteen mutants were tested for PHA and rhamnolipid production against fructose and octanoic aci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A metabolism and rhamnolipid synthesis. The mutants (phaG, phaC1, phaC2, phaF, phaP, phaR) related with PHA synthesis decreased not only PHA amount but also rhamnolipid production when grown with fructose. PHA and rhmanolipid synthesis are RpoN-indepent and RpoS plays different roles for PHA and rhamnolipid synthesis from fructose and octanoate. RhlAB, rhlR mutants lost rhamnolipid and accumulated more PHA. The metabolic pathway of rhamnolipid and PHA synthesis from octanoic acid was investigated using the 99% isotope C-13 enriched octanoic acid at the position of C-1. The 13C-NMR spectra further confirmed that phaZ mutant contained higher amount of PHA. Pseudomonas fluorescens BM07 was found to excrete a large amount of exobiopolymer (EBP) by decreasing the temperature down to as low as 10℃. The exobiopolymer was compositionally uniqu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ld-induced EBP in BM07 are hydrophobic polypeptide(s) (up to 85%) and saccharides (8%). Carbohydrate analyses revealed glucose, glucosamine and galactosamine as major components of the sugar units in the EBP. Pseudomonas fluorescens BM07 also accumulated PHA at the same culture condition. Transposon mutants were screened for genes involved in EBP formation and PHA production. Ninety mutants were found deficientcies in slime production by the change of colony morphology. Eighty-five EBP-deficient mutants were further observed. Thirteen mutants lost lipopolysaccharide (LPS) can’t produce EBP. The results coincided with the data from SDS-PAGE that LPS was the component of EBP. Sixty-seven mutants lost swimming motility. And most of the mutants accumulated more PHA when compared to wild-type. One EBP-deficient mutant named BM07-59 was detailedly studied. BM07-59 lost swimming motility, LPS and trehalose, while accumulated much more PHA compared to wild-type. BM07-59 also showed the low mercury(II) biosorption. It was also found that cAMP regulated EBP production. In this study, rpoN mutant was found to produce much more EBP compared to wild-type and decreased the PHA production when grown with fructose at 10℃. The sugar units from rpoN mutant are different from wild-type. Analysis of the ninety mutants indicated that multiple pathways participate in EBP formation.
장수주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2 국내박사
인류가 지속 가능한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친환경 생산과 소비가 절실한 때, 천연염색과 천연색소는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자연에서 얻기 힘든 청색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쪽은 한해살이 마디풀과 식물로 청색을 내는 대표적인 한국전통 염료식물이며 자연에서 유일하게 청색염료와 색소를 얻을 수 있다. 쪽은 섬유나 종이를 염색할 때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약리적 기능이 있어 예로부터 약으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청대는 쪽 염료를 만들 때 생기는 청색 거품을 모아 말린 것으로 한의학에서 해열, 해독, 염증 치료로 사용하였고 현대에는 건선 피부염, 아토피, 대장염, 암, 알츠하이머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청대에는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고 염증, 암 등 질병 치료에 효과적인 indirubin이 있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청대에 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하며 용어조차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다. 쪽잎 분말을 청대라고 일컫기도 하고 석회-패분이 결합된 쪽 염료(니람)를 건조한 염색용 쪽 분말을 모두 청대라 부르며 혼용하고 있다. 현재 청대는 대부분 중국산이 유통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생산, 판매하지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식용, 약용 및 피부에 활용 가능한 안전한 청대의 생산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먼저, 쪽 염료 제조과정에서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쪽잎, 청대, 니람(건람), 쪽물에 대하여 올바르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문헌 자료와 실제 생산과정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청대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 청대의 항염증 효과를 실험하였으며 각각의 대사체 분석을 통해 기능성 물질들을 분리 동정 분석하였다. Study 1, 쪽잎, 청대, 니람, 쪽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청대가 유의미하게 높아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청대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청대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tudy 2,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in vitro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청대 추출물은 1-32 ug/mL 범위에서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않았고, LPS로 염증 처리된 세포에 청대 추출물 32 ug/mL을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세포 성장률을 보였다. RAW 264.7세포에 LPS로 염증 처리했을 때 NO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청대 추출물을 2, 8, 32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청대 추출물 함량이 높을수록 NO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FN-γ, IL-6, IL-1β는 LPS 처리군에 비해 청대 추출물을 2, 8, 32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TNF-α, IL-6의 mRNA 수준도 감소하였다. 염증 관련 효소인 COX-2의 mRNA 수준도 억제하였다. 단백질 발현 수준 결과에서도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 염증관련 효소인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이 LPS와 청대 추출물을 2, 8, 32 μg/mL 농도로 함께 처리했을 때 LPS만 처리한 군에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식물유래 화합물인 청대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특히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염증 관련 효소(iNOS,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udy 3, 쪽잎, 청대, 니람, 쪽물의 대사체 분석 결과, 청대에는 indirubin/indigotin이 주요 활성 물질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다음 tryptanthrin과 linoleic acid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이 청대의 항염증 효과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청대는 향후 기능성 청색 천연색소로 활용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니람에는 indirubin/indigotin이 청대보다 낮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는데 패분 또는 석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며 염색 외의 사용에는 유의해야 한다. 쪽잎에는 caffeic acid, caffeoyl, quercitrin, delphinidin 등 항염 활성물질과 acacetin, scutellarin 항암, 항치매 물질, kaempferol 항 헬리코박터 등의 활성 물질이 높게 나타나 해열, 진통,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있다. 쪽물에는 tryptophan, indirubin, linoleic acid, esculamine, phenylalanine 등 항염 활성 물질들과 탈모 치료에 좋은 threonic acid, 미백 효과가 있는 dihydroxyindole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이 검출되었고 이것은 쪽 색소를 미생물이 발효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사체 분석을 통해 쪽잎, 청대, 니람, 쪽물에서 각각 다양한 기능성 활성 물질들이 검출되어 그동안 알려졌던 쪽의 기능 원인이 규명될 수 있는 성과를 얻었으며 앞으로 활용 가능성을 넓히게 되었다. 쪽의 추출물 상태에 올바른 명칭을 사용하고 각 성분을 파악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석회나 패분이 결합 되지 않은 순수한 파랑 색소인 청대는 식용 가능한 기능성 항염, 항산화 천연색소로서 의약품, 화장품, 식품 첨가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청대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청대의 제조 기술과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Environment-friendly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ve become an essential concern to humanity and sustainability, and natural pigments have shown their potentials as sustainable alternatives. In particular, demand for the blue pigment, one of the rarest natural color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Indigo (Polygnum tinctorium Lour.), a plant used for the Korean traditional natural dyeing, is the only botanic resource producing the blue pigment. As indigo showed medically helpful features, it has been used not only to dye paper or fabric, but also to care illness. Chung-Dae (Indigo Pulverata Levis.), dried blue bubbles from the indigo color extraction, has played a essential rol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o alleviate fever, detoxify, and treat infection. In modern Korean medicine, this pure pigment is also used to treat various illnesses such as psoriasis, dermatitis, colitis, cancer and alzheimer's. In fact, Chung-Dae contains indirubin, which is known to bring positive influences to the immune system and cancer treatment. Yet, while much attention has recently been drawn to Chung-Dae, it has rarely been academically studied until today. In the Korean market, a powder of indigo leaf or dried indigo paste called Niram are both used to refer to Chung-Dae, causing confusion to both supplier and consumer. Besides, the majority of Chung-Dae products in Korean are from China, and domestic products are highly limited.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investigate Chung-Dae’s proper terms and uses to verify it’s edible, medical and dermatological value. This paper aims to establish Chung-Dae’s potentials and applications, by defining its terms and functional effects. With the study of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indigo-dye-making process, intermediate and final products of the process are indicated in the early chapters. The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Chung-Dae’s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 followed by a metabolite analysis for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s.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on effect of Chung-Dae by analyzing polyphenol and flavonoid compound contents of indigo leaf, Chung-Dae, Niram, and the water from an indigo dye vat. From the substance analysis, Chung-Dae showed relatively high figures in polyphenol and flavonoid compound contents. Additionally, as a result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s, superior activities were observed in Chung-Dae, proving its potential in anti-oxidation effect. The purpose of Study 2 was to analyz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ung-Dae. As a result of an in vitro cytotoxicity test using RAW 264.7 cell,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Chung-Dae extract in Raw 264.7 cells did not inhibit cell proliferation in the range of 1-32 μg/mL. NO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Chung-Dae extracts were treated at concentrations of 2, 8, and 32 μg/mL (p<0.05).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6, IL-1β and IFN-γ significantly reduced when treated with Chung-Dae extract at concentrations of 2, 8, and 32 μg/mL compared to the LPS group, and similarly the TNFα and IL-6, mRNA levels decreased. In addition, the mRNA level of COX-2 was also suppressed. In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the expression of TNF-α, IL-6, iNOS and COX-2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LPS and Chung-Dae extract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LPS alone(p<0.05).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plant-derived compound, Chung-Dae extract, inhibit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duced by LPS in RAW 264.7 cells. In particular, it reg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6, COX-2) and inflammation-related enzymes (iNOS, COX-2). Study 3 explores the fundamental elements of Chung-dae’s anti-inflammatory effect. A metabolite analysis was performed on indigo leaf, Chung-Dae, Niram, and the water from an indigo dye vat. As a result, Chung-Dae was observed to contain the highest levels of active materials. Indirubin and indigotin were the major active materials detected in Chung-Dae, followed by tryptanthrin and linoleic acid.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imed a Chung-Dae’s significant potential as a functional natural pigment. Smaller amounts of indirubin and indigotin were also noticed in Niram. Nonetheless, as Niram also contains lime or shell-ash components,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natural dyeing or external uses. Active anti-inflammatory materials including caffeic acid, caffeoyl, quercitrin, delphinidin were observed in indigo leaf. Acacetin, scutellarin anti-cancer, anti-alzheime’s, kaempferol anti-helicobacter were also found in indigo leaf, proving its anti-biotic and anti-oxidation effect, as well as alleviation of fever and pain. A wide range of functional substances were observed from the water from an indigo dye vat. It is estimated that active anti-inflammatory materials including tryptophan, indirubin, linoleic acid, esculamine and phenylalanine, threonic acid and dihydroxyindole were developed during the natural fermentation of indigo water. The results of the metabolite analysis state specific elements resulting the bio-medical benefits of indigo and evaluated it’s possibilities in applications. These investigations, however, also suggested that a clear understanding of various forms of indigo extraction is necessary, prior to its use. In this respect, Chung-Dae, an edible pure indigo substance, derived a remarkable potentiality to be applied in medicine, cosmetics, food additives, and further purposes. Further research on the technology and methods is essential, in other to contribute in expanding the production of Chung-Dae.
50세 이상 도시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노화와 영양상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수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박사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마산, 전주의 50세 이상 노인 293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과 노화도, 체력, 건강상태, 심리상태, 사회경제상태 및 영양상태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노인들의 인지기능, 노화도, 체력, 건강상태, 심리상태, 사회경제상태등은 개인별 면담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하였으며, 식품섭취실태는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하였다. 노인들의 연령에 따른 인지기능, 노화도, 체력, 건강상태, 심리상태, 사회경세상태, 영양상태의 변화를 보았으며, 이런 여러 요인들과 인지기능과 의 상관관계를 보았고, 이로부터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관계식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인지기능에 관련하는 영양적인 측면으로 식습관, 영양소, 식품섭취상태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지기능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인지기능중 기억력과 수리력의 감소가 언어능력의 감소에 비해 더욱 컸다. 노화도는 기능적, 외견적, 정신적 노화도 중 외견적 노화도가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체력 역시 연령의 증가고 단순한 일상활동(ADL)보다 힘든활동이 더욱 감소되었으며, 건강상태 중에서는 특히 뼈의 건강상태가 나빠졌으며, 심리상태는 65세 이후에 큰 변화는 없으며, 오히려 안정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적인 측면으로는, 식습관중에서 연령에 따라 변화를 나타낸 것은 맛의 기호였으며, 매운맛을 덜 즐기게 되며, 단맛은 더 즐기게 되는 경향이었다. 영양섭취량은 연령에 따라 감소는 되었으나 권장량 수준은 만족시켰다. 2.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각종 요인들과의 관계는 노인 전체로 볼 때, 체력,사회경제상태 및 심리상태가 양호하고 노화현상이 늦게 나타날수록 인지기능은 높게 예측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연령별로 나누어 보았을 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50세 이상 65세 이하의 노인들에서는 인지기능이 노화도, 사회경제상태 중 교육수준과 경제능력, 심리상태가 양호할수록 높게 예측되었다. 65세 이상의 노인들에서는 인지기능은 체력이 양호하며, 사회경제상태 중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높게 예측이 되었다. 3. 인지기능과 영양적인 측면중의 하나인 식습관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인지기능이 높은 노인들은 낮은 노인들에 비해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경향이며, 맛의 기호에 있어 짠맛을 덜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맛도 덜 즐기는 경향을 보였다. 4. 인지기능과 영양소와의 관계는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비타민 C와 철분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또한 전체 열량과 지방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인지기능이 높았으며, 식품으로는 육류, 녹황색채소, 과일, 유지류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그러므로, 연령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난 인지기능을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65세 이전에는 노화가 덜 되도록 하며, 심리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권장되며, 65세 이후에는 체력을 잘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모든 연령층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의 감소가 덜 된 것을 볼 때 지적수준을 떨어뜨리지 않는 노력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또한 영양섭취에 있어 비타민 B₁, B₂, 비타민 C 및 철분의 섭취와 전체 열량과 지방의 섭취가 충분할 때 인지기능에 좋은 영향을 주었으며, 영양소 중 Macronutrient보다 Micronutrient의 섭취가 보다 예민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따라서 영양소의 균형된 섭취가 중요하다고 본다. 식품중에서는 육류, 녹황색채소, 과일, 유지류의 충분한 섭취가 인지기능에 좋은 영향을 주었으며, 식사시간의 규칙성을 가지며, 맛의 기호에서 짠맛과 단맛은 덜 섭취하도록 하는 식습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할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ther relating factors of 293 elderly Koreans aged 50 through 95. Relating factors are aging, physical strength, health status, psychological state, socioeconomic status(SES), food habit and nutrition. To examine these aspects,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ing 80 men and 213 women living in Seoul, Masan (in Kyungsangnam Province) and Chunju ( in Chunrabuk Province). Food intake was measured by the 24 hour recall method. First, changes of cognitive function, physical strength, psychological function, food habit, and nutrition according to age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other factors was examined. Third, the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state of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ere estimated by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various factors. Finally,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nutritional aspec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 1. Cognitive function was declined in the course of aging, especially in the aspect of calculation and memory capability. Degree of decline was greater in the female case. Physical strength was also decreased according to aging. And health status weakened especially in relation with bones. Psychological state becomes a little better after 65 years old. The change in the food habit could be observed only in the relation with the taste, which has a tendency to prefer salty and sweet taste. Food intake was decreased also, but it still satisfies the RDA of Korea. 2.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ther variables is each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fferent age groups. In 50-64 aged group. Cognitive function was predicted higher when aging was less, SES was good, and psychological state was stable. After the age of 65, cognitive function was predicted higher when physical strength and SES were good. 3. Food habit of the elderly with high cognitive function was regular in meal time, and the taste has the tendency to become. less salty and sweet taste favorite, but more hot taste favorite. In the aspe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d nutrients, the more intake of Vitamin B₁, B₂, C, iron, calorie and fat resulted in the higher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lower the aging process and keep the stable psychological state before 65 years of age in order to maintain the cognitive function which has been observed to be decreased in the course of aging. On the other hand, maintaining physical strength is more helpful after 65. In addition, adequate intake of Vitamin B₁, B₂, C and iron is important. Also, it is helpful to maintain the good food habit related with regularity and favorite taste in order to keep the cognitive function in the course of aging.
중.고등학생의 학교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교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중학교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학년으로 총 997명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37부를 제외하고 960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기 기입식 (self-administered)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는 2001년 11월 19일부터 12월 3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문제행동 중에서 외면화 문제보다는 위축행동이나 의학적인 원인이 없이 나타나는 신체적인 문제와 같은 내재화 문제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 특히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문제행동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가족관계가 부정적이고 용돈을 많이 받을수록 문제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초조사를 통해 청소년들이 학교 안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확인한 결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교사에 대한 스트레스, 친구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학교 스트레스와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각 영역별로 모든 학교 스트레스 요인이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즉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청소년들에게 더 많은 문제행동이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문제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서 문제지향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은 문제행동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정서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은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학교스트레스요인과 문제행동 사이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완충역할을 확인한 결과, 학업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완충효과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구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이 문제행동을 줄이는 완충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스트레스에 대해서는 문제지향적 대처방식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이 문제행동을 줄이는 완충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을 낮추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 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 내에서의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적절하게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다각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개별적인 개입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문제행동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용돈을 많이 받으면서, 가족관계가 부정적인 여고생을 대상으로 위에서 제시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개별적인 개입이 우선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별적인 개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인력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학교 내의 자원인 교사들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 교사들이 학생들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교사와의 협력적인 체제 아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도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학교사회사업의 활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tressors on problem behavior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study subject of this was 997, which was composed of adolescents in the second grade and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grade and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Seoul including male and female. Finally 960 out of 997 were analyzed because 37 responded dishonestl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9 to December 3 in 2001.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dolescents show internalized problem like withdrawing or somatic symptom without special medical reason rather than show externalized problem. Especially male students show more problem behaviors than female students do,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 more problem behavio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o. The more they get pocket money from their parents and in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is not good, the more they show problem behaviors. 2. According to stressors adolescents have in school I find through pilot test, the first thing is burden for study work and the second is from teachers and the third is from friends. 3.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from school and problem behavior shows every stressor from schoo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by section. That is to say, the more stressors they get, the more adolescents show problem behaviors. 4.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y adolescents use and problem behavior,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Meanwhil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and wishful thinking coping strategy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5. Through the study about buffer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between stressors from school and problem behavior, I find out stress coping strategy doesn't have a buffering effect on stress from study work. On the other hand, I can see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has a buffering effect on stress from friends,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y play a role of buffering effect on stress from teacher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bo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are like : First, we need to focus on stressor from school adolescents experience to diminish problem behaviors, so it is required to figure out various stressors adolescents can have through their school life and to intervene in them adequately in many way. For this, I suggested various programs through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individual ways of intervention. Second, various programs and individual interventions need to be applicable preferentially for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high level of problem behavior under the condition both getting enough pocket money from their parents and having lack of harmony between family members. The last, we should make use of experts having professional ability to operate various program and to conduct individual intervention effectively. The most desirable thing is to use teachers in school, but teachers have technical problem to solve every thing related with students. So it is more effective to use experts hav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They can cooperate with teachers in school. Consequently, I suggest to utilize school social workers as a way to mak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