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지용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의 실존의식 연구

        이수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Jeong Jiyong’s later poems b y ‘the subject’ an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 tudy examine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subject’ with ‘Christianit y’ that can be involved in his later poems. Because Jeong Jiyong’s wor ld of poetry concerning religion is a basic factor in his later poems as well as his middle period poems. By elucidating the internal consciousn ess of the subject, Jeong Jiyong’s later poems have significance overco ming his middle period poems that was valued low as the notion poe m. Therefore the study of later poems needs an investigation by elucid ating ‘the subject’ that shows anxiety and pain.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can be explained by exami ning the aspect of feeling which is directly seen from the subject. The subject in later poems shows the allusion to his internal consciousness which is anxiety and pain. This is being contrary to the frontal appear ance of the object in his early poems. And the theme of nature which appeared in the later poems also shows the consciousness of anxiety a nd pain like the subject. The theme of nature don’t appear as the repr esentation of the object. Thus both the subject and theme of nature ap pear an impression of anxiety and pain. To elucidate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this study is assisted the concept of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from Søren Aabye Kierkegaard. Since Søren Aabye Kierkegaard’s concept of ‘religion exis tence’ i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religion, it is applied to study th e subject and the religion of Jeong Jiyong’s later poems. The aspect of subject expressing his internal consciousness could be explainable as a process of the existential awareness. The awareness of life’s limitednes s and eternity has caused by the subject owing to the religion existen ce. Thus the religion existence means the pursuit of the existence of God while the subject has the feeling of anxiety and pain. And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described through the matter of de ath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The fact that the death is immanen t in life enlarges the weight of the existential awareness to the subjec t. The matter of death in later poems appeared by another person’s de ath. Another person is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subject in later poems. And the subject is in existence as an observer. By showing th e death of another person who has a similar characteristic with the su bject, Jeong Jiyong’s later poems has questioned the existence of death over the biological death to existent. The significance of later poems could be investigated by seeking for meaning to Jeong Jiyong’s composition of poems. Jeong Jiyong’s later poems were composed at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mpoverished era of Japanese imperialism made Jeong Jiyong to have t he being way and to compose later poems as the existential awarenes s. It could be earnestly request to Jeong Jiyong who is a sincere religious man. As the existence comes into question concerning the life and actu ality, the significance of later poems in its day is soliciting the existen ce to Jeong Jiyong who had the thoroughgoing self consciousness as a poet. 이 논문의 목적은 정지용의 후기시에 나타난 ‘주체’를 통해 ‘주체의 실존의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논의 진행에 있어 이 논문이 중점을 둔 것은 후기시에 내포되어 있을 시인의 ‘신앙’과 ‘주체의 실존의식’을 함께 밝히는 작업이었다. 정지용의 시에서 신앙과 관련된 시의식은 종교시편으로 분류되는 중기시에서만이 아니라, 후시기에서도 기본적 요소가 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주체의 내면 의식에 관한 해명은 정지용의 중기시를 신앙심을 표출하는 데 치중한 관념시로 평가한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 종교성에 관련된 후기시가 지니는 의의를 찾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후기시 연구에는 ‘주체’를 통해 불안과 고통의 의식이 드러난데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체의 내면의식은 시에서 주체를 통해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양상을 살펴볼 때 해명될 수 있다. 후기시에서 주체는 직접 전면에 나타나 내면의 불안과 고통의 의식을 직접 발화하는 양태를 보인다. 이는 정지용의 초기시에서 대상들만이 시의 전면에 드러난 것과 상반된다. 또한, 후기시에서 대상 제재로 등장하는 산수 자연도 단순히 외부 대상에 대한 재현으로 시에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함께 불안과 고통의 의식을 나타낸다. 정지용의 후기시에서 주체의 내면의식을 해명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이 논문은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철학 개념을 방법론으로 활용했다. 키에르케고르의 ‘종교적 실존’ 논의가 신앙 안에서 이루어지는 종교적 주체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기에, 정지용 후기시의 주체와 신앙 그리고 실존의식을 함께 고찰하는데 활용되었다. 주체가 신과의 절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증해 주듯 신성한 관계의 표현 방식으로서 주체에게 불안 의식과 고통은 자리한다는 것이 종교적 실존이다. 후기시의 주체가 일련의 고백과도 유사하게 자신의 내면을 표출하는 양상은 종교적 실존 자각의 도정으로 해명될 수 있었다. 후기시의 주체가 유한성과 무한성을 자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종교적 실존이 존재하는 양식을 문제시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종교적 실존은 해소되지 않는 불안과 고뇌를 지니는 동시에 자기 자신의 바깥에 초월하는 존재를 추구하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후기시에서 실존의식은 죽음의 문제를 통해 형상화되기도 한다. 삶 속에 죽음이 언제나 내재한다는 사실은 주체의 실존 자각에 무게를 더한다. 후기시에서 죽음의 문제는 관찰자의 위치에 있는 주체가 타자의 죽음을 통해 ‘나’의 소멸을 예견해보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현존재에게 직접적인 경험 밖의 사건이 될 수밖에 없는 죽음의 문제를 주체의 자기반영적 타자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정지용의 후기시는 생물학적 현상을 넘어 죽음의 존재 그 자체에 관해 질문하는 것이다. 후기시의 의의는 정지용이 후기시를 詩作할 당시에 가졌을 詩作의 의미를 찾아야 규명될 수 있었다. 시인이 詩作을 이루던 당시 일제 말의 피폐한 실제 현실은 더욱 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존재하는 양식을 문제시했을 것이기 때문이었다. 실존이 세상 속에 인간이 처해진 세상과 현실을 문제로 하듯 자신이 시인이라는 데 대한 투철한 자각을 지녀온 시인 정지용에게 있어 후기시의 詩作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시인에게 간구한 실존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부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성별에 따른 공동양육의 조절효과 차이

        이수민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nd coparenting on parental stres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coparen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among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ged 3 to 5 years old. In addi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s sex were examined. In this study, 215 fathers and 215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comprised a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n online form.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major variabl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of the scale used for measurement. In addition,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parental stress, and coparenting perceived by par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parental stres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paren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In addition, when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conditional effect for each group and its pattern was examined. The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ental stress and coparenting between fathers and mothers. Regarding parental stress, the level of parental stress perceived by mothers was higher than that perceived by fathers. However, regarding coparenting, the level of coparenting reported by fathers was higher than that reported by mothers. Seco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was found in both fathers and mothers. Marital conflict and coparent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Coparenting and parental stress also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rd, regarding fathers, it was found that marital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str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experienced by fathers,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st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athers’ coparenting negatively affected parental stress, in other words, fathers’ perception of positive coparenting lowered parental stress. Regarding mothers, marital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stress as in the case of fathers, confirming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experienced by mothers, the higher their parental stress. However, unlike the fathers, it was found that coparenting by mothers did not directly affect parental stress. Finally, it was found that coparenting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only among mothers.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oparenting. However, among fathers, coparenting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identified marital conflict and coparenting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parental stress in both mothers and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parenting on parental stress in the Korea context where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studies on coparenting regarding fathers. In addition, by cla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paren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as perceived by mothers, it is suggested that coparent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alleviating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experienced by mothers on their parental stress. However, among fathers, coparenting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stress. This difference in the role of coparenting between father and mother suggests that parental stress intervention (education, counseling, etc.)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ex of caregiver (parent).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used for interventions targeting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공동양육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공동양육이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부모의 성별에 따라 각각 검증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215명과 어머니 215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으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주요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측정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공동양육의 수준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부갈등과 공동양육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영향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공동양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우, 집단별 조건부효과와 그 양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공동양육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공동양육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양육스트레스의 경우,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의 수준이 아버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동양육의 경우, 아버지가 보고한 공동양육의 수준이 어머니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경우 모두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갈등과 공동양육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공동양육과 양육스트레스 또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과 공동양육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버지의 경우, 부부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아버지들이 경험하는 부부갈등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양육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아버지의 공동양육은 양육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가 지각하는 긍정적인 공동양육이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경우, 부부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부부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아버지의 경우와 달리 어머니의 공동양육은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공동양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경우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에서 공동양육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는 어머니의 공동양육의 수준에 따라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가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아버지의 경우에는 그들이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공동양육이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과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서 부부갈등과 공동양육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아직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공동양육에 대해 진행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공동양육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에서 공동양육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을 통해,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부부갈등이 그들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공동양육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한편 아버지의 경우에는 공동양육이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확인된 아버지-어머니 간 공동양육 역할의 차이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개입(교육, 상담 등)이 양육자(부모)의 성별에 따라 달라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점들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개입 시 참조/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치매노인과 부양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주간보호센터 이용자 중심으로

        이수민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00년 노인인구가 7.1%를 넘어서면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사상 유래 없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실은 치매노인의 문제로 이어져 최근 치매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부양자 중심에서 부양자를 위한 부양부담 경감 방안이나, 부양자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부양자 생활만족도 등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치매노인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치매에 대한 잘못된 사회적 인식으로 치매노인에게서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치매는 개인차가 크고 치매의 정도에 따라 그 능력의 크기가 다르므로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고 지역사회 안에서 사회 적응력에 어려움이 적은 치매노인에 대해서는 우리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치매노인 부양자 중심에서 이루어진 많은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치매노인과 부양자에 대한 주간보호시설 이용 만족도와 생활 만족도를 조사하여 치매노인과 부양자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인들을 찾아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 치매노인은 치매노인주간보호서비스 중 프로그램 서비스와 가족지지 정도가 치매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매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는 주간보호서비스 프로그램 중 치매노인이 가장 선호한 음악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용자인 치매노인이 선호하는 프로그램들을 배치하고, 치매노인의 생활만족도에서 가장 불만족스럽게 조사되었던 기억력과 집중력 향상을 위한 회상치료나 전문가에 의한 작업치료 등이 제공된다면, 주간보호서비스가 생활만족도에 더 많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어 치매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적잖은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치매노인의 가족지지 정도가 치매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치매노인은 자신이 스스로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잘 받고 있다고 느끼고 있어 무엇보다 가족의 따뜻한 배려가 선행될 때 치매노인의 생활 만족도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부양자의 경우는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이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중 가족의 월 소득과 치매노인에 대한 부양부담이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양자는 주간보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경제력이 있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부양부담을 적게 느낄 때 생활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양자의 생활만족도는 부양자가 부양부담을 적게 느낄 수 있도록 기관에서는 치매가족자조모임을 결성하여 그들을 위한 대화의 통로를 마련해주고 그 외 부양가족이 장시간 집을 비우거나 외출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인 서비스 체계가 뒤따를 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치매노인과 부양자의 만족도 비교 연구에서는 주간보호시설 이용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생활만족도는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치매노인도 치매의 정도에 따라 자신의 의사표현이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치매노인과 부양자 모두 주간보호시설이용 만족도를 측정함으로써 현재 부양자 중심의 주간보호서비스가 치매노인에게도 적절한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치매노인과 부양자간 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해보고 주간보호시설이용과 관련하여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치매노인과 부양자가 함께 희망적이며 행복할 수 있는 사회적 서비스체계가 이루어질 때 치매노인과 부양자 모두 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2000, our country has got into the aging society with the old people exceeding 7.1% in 2000. Our country's aging reality making an unprecedently rapid progress has connected to the issue of dementia old people, in which dementia surfaces as a social issue. For the meantim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supporters, but the studies haven not been carried out that target the dementia people under wrong perception to get reliable information from the dementia people. However, it needs to be understood that dementia ability varies in individual, and dementia extent.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us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a day protection facility to the dementia old people and supporter, and look for the variables related dementia old people and supporter. As a result, the dementia old people was indicated to that the program service and family support extent of the dementia old people day protections service has a relation with the dementia old people's satisfaction. As an practical plan to enhance the dementia old people's life satisfaction, if the programs preferred by the dementia old people of the day protection protections services are displaced, a recollection treatment or an expert therapy to memory and attention improvement investigated to be the most unsatisfactory of the dementia old people's life satisfaction are provided, then the day protection service has mor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o it will have no small effect on the dementia old people. Also the dementia old people feel well-protected from his or her family members, so if the family's warm care is precedent, the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dementia old people will be enhanced. The supporter is indicated that the use of day protection service has no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and of the supporter's general features, the family monthly income and of the supporter's general features, monthly income and the support burden to the dementia old person has correlation. Thus the supporter's life satisfaction is seen to improve when an institution forms the dementia family self-aid meeting, and prepare for their communication chapter to relieve support burden, a social service system follows to give substantial assistance to the supporter. I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dementia old people and the supporter, the use satisfaction of the day protection fac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life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p<.05 level. This study could ascertain the finding that a dementia old people are fully 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according to the dementia extent. Also the study measured dementia old people's and supporters' use satisfaction of the day protection facility, and grasped if current supporters' focused day protection service is suitable for the dementia old people. Furthermore, analyzed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dementia old people and supporters, and came up with the improvement plans of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the use of day protection facility. When a social service system is achieved making dementia old people and supporters hopeful and happy, both of them are expected to have a heightened satisfaction to life.

      • J.A.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유아교육사상 및 실천 비교연구

        이수민 원광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discuss early childhood education discourses inherent in books and literature in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Further,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in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were formed and formulated in their own different views of the world respectively, and how their educational contents were, and in what methods their educational practices were represented. Ultimately, this work reveals Bang Jeong Hwan’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and practices established through Comeniu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and contras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ies in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with o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scholars’ theories so as to consider both synchrony and diachrony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methodology,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show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in spite of their own differenct periodic and social situations respectively. Throug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this study could also find the contextual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cquiring universalities with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history connected beyond physical space-time. Just as Comenius is called the father of modern pedagogy, so the position of educational practies in Bang Jeong Hwan is the position meaningfu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which can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Bang Jeong Hwan’s educational philosophy maintains universalities in the human history. His thought of respecting children was consistent with child-centered educational thoughts meaningful to world hisoty in those days to enhance children’s human rights. In that children’s genesis and consciousness are evaluated as the maturity of universal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ir country, Bang Jeong Hwan’s ‘child’ consciousness and educational practice movement had a great effect on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ur country. Moreover, as he combined modern educational elements in humanism with traditional educational thoughts in our country, he produced the position meaningfu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in Korea. It should be emphasized once more that the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herent in the thought of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were represented through concrete and practical educational activities. Especially, Bang Jeong Hwan’s educational contents and practices represnted his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ivities, which account for a great part of entire domain or universe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started with problemat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preceding studi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had been always Western-oriented. Bang Jeong Hwan’s educational practice is an important product created in the progress of confronting, fighting, and overcoming the current issue of modernizing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modern educational thoughts, which had begun to be introduced gradually from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ecause considering social background prepares the basis to understand a philosopher’s inner world more widely and understaand discussion on him more deepl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encountered Bang Jeong Hwan’s educational practice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horizon of consilience enlarged more largely across overall field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discussed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in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had been formed and formulated in their own different views of the world respectively, and how their educational contents had been, and in what methods their educational practices had been represented. In the en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Comenius and Bang Jeong Hwan this study examined how thier ow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had influenced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and how thier ow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ts had had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논문은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저서와 문헌들에 내재된 유아교육 담론을 비교하여 고찰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는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유아교육사상이 각자 다른 세계관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었고 교육내용은 어떠하며, 어떤 방식으로 그들의 교육적 실천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사상을 통하여 정립된 방정환의 유아교육사상과 실천을 밝혀내는 작업이 되는 것이다. 또한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유아교육 이론들을 여타의 유아교육학자들의 이론과 대응시켜 관계를 맺고 유아교육 이론들의 공시성과 통시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각자 다른 시대‧사회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그들의 유아교육사상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들의 유아교육사상과 실천의 비교연구는 물리적 시‧공간을 초월하여 연결되는 교육사적 맥락 안에서 보편성을 획득한 유아교육이라는, 콘텍스트적인 의미 또한 발견할 수 있게 하였다. 그것은 코메니우스가 현대 교육학의 아버지라 불리듯 방정환의 교육실천의 지점이 한국의 유아교육에 의미 있는 지점임을 알리고 그것으로 한국 유아교육사상의 정체성을 확립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가치를 둔 것이다. 방정환의 교육사상은 인류사적으로 보편성을 갖는다. 그의 아동존중사상은 당시 세계사적으로 의미 있는 아동중심주의 교육사상에 부합하여 어린이의 인권을 신장시켰다. 아동의 발생과 인식이 그 나라의 보편적 국민의식의 성숙도를 평가한다고 볼 때 방정환의 ‘어린이’인식과 교육실천운동은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그는 우리나라의 전통교육사상에 인본주의 사상의 근대 교육 요소를 접목하여 한국의 유아교육사에 의미 있는 지점을 생산하였다.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사상에 내재된 유아교육적 함의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활동을 통해 표상된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방정환의 교육내용과 실천이 보여준 그의 유아교육 활동들이 한국 유아교육의 전체 지형에서 차지하는 의미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유아교육사상에 대한 연구가 항상 서구 중심주의에서 출발하는 데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방정환의 교육실천은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 시대에 걸쳐 서서히 도입되기 시작한 근대적 교육사상이 한국 유아교육의 근대화라는 시대적 과제와 대결하고 이를 넘어서기 위해 분투하는 과정에서 얻어낸 중요한 결과물이다. 사회적 배경에 대한 고찰은 사상가의 내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그에 대한 논의를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주기 때문에 한국의 유아교육은 방정환의 실험적인 교육실천을 만남으로써 전 분야에 걸쳐 한층 넓어진 통섭의 교육적 지평을 확립하게 된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의 유아교육사상이 각자 다른 시‧공간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었고, 교육내용과 방법은 어떻게 일치하며, 왜 달라지는지, 그리고 그들의 교육적 실천이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는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결국 코메니우스와 방정환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그들 각자가 가진 유아교육사상이 현재의 유아교육사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것이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의 광고이론과 그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이수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행의 변화가 지나치게 빠른 광고계에서 무려 반세기 동안 불변의 광고 이론으로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의 광고 이론은 단순한 학술적인 이론이라기보다는 그의 실제 경험과 조사 분석에 의해 체계화 된 것이어서 광고 대행사의 사원 교육이나 실제 광고를 제작하는 담당자들에게 하나의 교본으로 통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광고는 1970년대부터 광고 대행사들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후반 한국과 일본 사이의 국교를 정상화함과 동시에 일본으로부터 석유화학 계열 산업(Petro-chemical industry)을 도입하면서 가전제품을 비롯한 현대적인 공산품의 소비시장이 확대되어 기업 이미지 광고(corporate communication)와 제품광고(marketing communication)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대행사의 출현이 불가피해 졌다. 이 때 이후 우리나라의 광고 산업은 급속히 성장했으며, 2002년 기준 총 광고비 6조 4400억원(한국 광고업협회 2002)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마술 램프(Magic Lantern)라고 부르는 오길비가 개발한 광고 담당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1970년대 한국의 광고 대행사들도 사원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 보다 앞서 공업 근대화한 서양의 광고 기법,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보편적이고 전 세계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데이비드 오길비의 광고이론이 1970년 이후 오늘날 까지 우리의 광고작품에 얼마나 반영되었나를 조감해 보는 연구로서 주로 지난 30여 년간 한국의 대표적인 잡지 광고에 게재된 265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대표적인 잡지는 월간지와 주간지, 여성지와 지성지, 그리고 경제지 등에 비교적 광고 게제 빈도수가 높은 작품을 중심으로 5년 간격으로 샘플링 하였으며, 광고 작품을 분석하는 기준은 데이비드 오길비 광고이론 중에서 추출한 가장 핵심적인 에센스 항목을 광고 구성요소별로 49개 항목, 광고 유형별로 31개 항목에 근거했다. 오길비의 광고이론은 독단적인 그의 견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기보다는 실제 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들을 바탕으로 추론하고 검증한 것들로서 광고에 관한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들을 다루고 있어 오길비 광고이론을 학습한 사람, 또는 오길비 이론에 대해서 전혀 정보가 없는 사람들 까지도 누구나 쉽게 수용하고 긍정할 수 있는 것 들이다. 좋은 광고란 단순히 광고요소들을 늘어놓은 것이 아니라 좋은 레이아웃으로 광고에 대한 호감을 갖게 하며, 주목률을 높여 줄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어필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도 갖추고 있는 광고이다. 좋은 광고란 광고가 대중에게 강하게 어필하여 제품을 판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계와 일반 대중이 그 광고를 좋은 작품이라고 오랫동안 기억해 주는 광고라고 오길비는 지적했지만 이 연구에서는 첫째, 오길비의 광고이론이 가장 많이 적용된 작품들이 판매와 인지도의 재고에 효과적 이었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없다. 둘째 오길비 광고 이론이 가장 많이 적용된 광고가 반드시 좋은 작품인가 라는 문제에 대해서도 이 연구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하기 어렵다.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 좋은 작품이란 효과적인 전달과 미적 즐거움(effective communication and aesthetic pleasing) 을 갖는 것이라고 전제할 때 오길비 광고이론이 가장 많이 적용된 예시 작품들이 미적 즐거움을 자아내는 디자인 요소, 이른바 일러스트레이션의 해상도(광고사진, 이미지의 미적수준),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레이아웃, 배색, 전체 화면구성 등 직접 감각적으로 어필하는 측면(Visual aesthetics)의 바람직한 작품이라고 평가하기는 힘들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광고작품에서 그의 이론의 에센스 항목이 60%이상 적용된 작품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은 오길비 광고이론이 그의 말대로 도그마적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고 조사를 통해 얻어진 원리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오길비의 광고이론이 등장된지 반 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그의 이론은 실질적인 광고제작의 원리로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고 제작자들은 오늘날 다양한 광고매체의 변화에 부응해서 오길비 광고이론을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응용함으로써 판매에 효과적이고 좋은 광고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지침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Over a half century, David Ogilvy, the legendary advertising executive, and his advertising theory has been widely accepted in the rapidly changing advertising field. It is not a just worn-out academic theory, but his life time experience which is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Therefore, his work has been used as a training program and a field manual for the both new recruits and employees in the advertising industry. Korean advertising industry has been growing since 1970's lead by the advertising agencies, and now the advertising spending accounts for 6.4 billion Korean won in 2002. Late in 1960's, Korea normalized th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Japan and started to develop Petro-chemical industry with the help from Japan. Since then Korea's modern consumer markets had been established and the introduction of advertising agencies became inevitable who can perform corporate communication and marketing communication more effectively. Magic Lantern which is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advertising representatives developed by Ogilvy had been used by the Korean advertising agencies in 1970's. This research i s to assess how the advertising theory of the Western world, especially David Ogilvy ' s advertising theory, affected the advertisements in Korea since 1970's. To conduct the research 255 advertisements portrayed in the various magazines for the last 30 years were analyzed. The magazines are weekly or monthly, for women, intellectuals, and from those magazines theose frequently revealed advertisements were sampled in 5 year time period. The criteria for the analyses of the advertisements are 49 items from advertising components and 31 items from advertising types based on most fundamental factors from David Oglivy ' s advertising theory. It is not just from his dogmatic opinion but from the outcomes induced and validated from the real and practical analyses. Therefore, his theory deals with the fundamental issues of the advertisements and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accepted by the people whether they studied Ogilvy 's theory or not. A good advertisement is the one which gets the attention, gives good impression, and appeals in an aesthetic sense with good layout not just combining communication factors. Ogilvy claims the good advertisement is the one that sells products by strongly appealing to the public, and would be remembered by the people in the advertising industry and the public for a long time. However, first, this research cannot quite conclude that the advertisements which applied his theory most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ales and recognition. Secondly, it leaves a question of whether advertisements which applied Ogilvy 's theory most are always good advertisements. Assuming good works can communicate effectively and provide aesthetic pleasure in advertising design, it is hard to say that advertisements which applied Ogilvy 's theory most are favorable works in terms of visual aesthetics factors such as typography, layout, structure, and color coordination. Nevertheless, the research found out that numerous advertisements include more than 60 percent of the essential factors of Ogilvy ' s theory. This fact proves that his theory is not a mere dogmatic opinion but from the principles he attained through extensive studies. His theory has been commonly used as a principle to produce advertisements over a half century. It is recommended for advertisement producers to use his theory as a guideline in making better advertisemment that increases sales in responding to the changing mass media.

      • 배추과 작물의 주요 병해에 대한 병리검정 체계 확립 및 저항성 특성

        이수민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resistant cruciferous crops against plant pathogens and to investigate the resistance of various cultivars of cruciferous crops. To develop the screening method for the resistant cultivars of radish (Raphanus sativus) to bacterial soft rot caused by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resistance degrees of 60 commercial radish cultivars to the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KACC 10421 isolate were investigated. For further study, six radish cultivars (Awooriwoldong, YR Championyeolmu, Jeonmuhumu, Bitgoeunyeolmu, Sunbongaltari, and Housecheongok) showing different level of resistance to the bacterium were selected. Disease severity of bacterial soft rot on various cultivars was tested with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incubation temperature/period after inoculation, seedling stage of radish, and inoculum concentr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the resistant radish to aginst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1) inoculate 20−day−old seedlings with a bacterial suspension of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8×105 cfu/ml), 2) to incubate the inoculated plants in a growth room at 25℃ (80% RH) with 12 h light/dark cycle, and 3) to investigate disease severity 4 days after inoc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reening methods for resistant Chinese cabbage to black rot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 the resistance degree of 88 commercial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against X. campestris pv. campestris KACC 10377 was examined. Sequencially, we selected three resistant cultivars (Mansumugang, Woldongcheonha, and CR Anshim) and three susceptible cultivars (Bulam3ho, Chunkwang, and CR Nongshim).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of seedlings, inoculation density, and incubation temperature/period after inoculation, the development of black rot on the six cultivars was investigated. As an efficient method for the selection of resistant Chinese cabbage seedlings to X. campestris pv. campestris, we suggest the following method: 1) to inoculates cell suspension of X. campestris pv. campestris (1.0×108 cfu/ml) on 10−day−old Chinese cabbage seedlings using the spray method, 2) to incubate the inoculated plants in a dew chamber at 30°C for 48 h and then transfer to a growth chamber at 25°C (80% RH) under a 12 h light/dark cycle, 3) to measure disease severity of the black rot six days after inoculation. Finally, we also established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Chinse cabbage cultivars that are resistant to black spot, which is caused by Alternaria brassicicola. When the resistance of 86 commercial Chinese cabbage cultivars was investigated with A. brassicicola KACC 40036, we found that there were no highly resistant Chinese cabbage cultivars; however, some cultivars, such as ‘cheonhajangkun’ and ‘Mansumukang’, showed weak resistance to A. brassicicola. For further study, we selected eight Chinese cabbage cultivars that showed different disease responses to A. brassicicola KACC 40036.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of the Chinese cabbage seedlings, inoculum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period after inoculation, development of black spot on eight cultivar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er seedlings were more sensitive to A. brassicicola than older seedlings, and the disease severity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inoculum. The disease severity of plants incubated in humidity chamber at 25°C was greater than that of plants grown at 20°C or 30°C. Taken together, we suggest the following method for screening for Chinses cabbage plants that are resistant to A. brassicicola: 1) to inoculate 16−day−old seedlings with an A. brassicicola spore suspension (3.0×105 spores/ml) using the spray method, 2) to incubate the inoculated plants in a humidity chamber at 25°C for 24 h and then transfer the plants to a growth chamber at 25°C with 80% relative humidity under a 12 h light/dark cycle, and 3) to assess the disease severity of the plants two days after inoculation. To determine the resistance of radish cultivars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we examined the virulence of 8 F. oxysporum f. sp. raphani isolates in a susceptible radish cultivar ‘Backchun’. Area under disease progress curve (AUDPC) of Fusarium wilt on the cultivar caused by F. oxysporum f. sp. raphani 60A, 59A, 57A, 147A, KR1, NW1, HN, and JHW isolates was 6.7, 14, 16, 27, 27, 30, 35, and 35, respectively. Thus, virulence of F. oxysporum f. sp. raphani HN and JHW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F. oxysporum f. sp. raphani NW1, KR1, 147A, 57A, 59A, and 60A isolates. With a medium virulent isolate F. oxysporum f. sp. raphani KR1, we investigated the resistance of 60 commercial radish cultivars, and consequently 25 radish cultivars were selected for the investigation of race differentiation. When 25 cultivars were inoculated by each of seven F. oxysporum f. sp. raphaniisolates except for KR1, the means of disease index by F. oxysporum f. sp. raphani 60A, 59A, 57A, 147A, NW1, HN, and JHW isolates were 0.5, 0.7, 1.2, 2.3, 2.8, 3.7 and 3.9,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istant radish cultivars to F. oxysporum f. sp. raphani 60A, 59A, 57A, 147A, NW1, HN, and JHW isolates were 21, 20, 13, 7, 2, 1, and 1, respectively. Consequently, I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Fusarium wilt in each cultiva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irulence of F. oxysporum f. sp. raphani isolates, suggesting that. Resistance of radish to F. oxysporum f. sp. raphani isolates is likely affected by the virulence, but not resulted from race differentiation. In terms of resitance of cruciferous crops, I determined the resistance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cultivars by six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solates, eight X. campestris pv. campestris isolates, and seven A. brassicicola isolates. AUDPC of bacterial soft rot on the susceptible cultivars caused by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LY34, ATCC15713, KACC 10225, KACC 10421, ECC301365 and ATCC12312 was 63.0, 72.0, 87.5, 107.7, 224.8 and 233.1, respectively. among the all tested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solates, ATCC 12312 showed the strongest virulence, followed by ECC301365, KACC 10421, KACC 10225, ATCC15713 and LY34 isolates. When the cultivars were inoculated by six P.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isolates, the mean of disease index by LY34, ATCC15713, KACC 10225, KACC 10421, ECC301365, and ATCC12312 isolates was 0.3, 0.8, 1.1, 2.0, 2.2, and 2.3,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istant radish cultivars to LY34, ATCC15713, KACC 10225, KACC 10421, ECC301365, and ATCC12312 were 20, 18, 15, 5, 2, and 2, respectively. Infected leaf area (%) of black rot on the susceptible Chinese cabbage cultivar caused by X. campestris pv. campestris KACC 19136, 10377, 19133, 17966, 19134, 19132, 19527, and 19135 isoates were 16.0, 16.5, 21.5, 23.5, 76.5, 97.0, 97.0, and 100.0, respectively. Virulence of KACC 19135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KACC 19134, 19527, 17966, 19132, 19133, 10377, and 19136 isolates. When the cultivars were inoculated with eight X. campestris pv. campestris isolates, the mean of disease severity (%) by KACC 19136, 10377, 19133, 19132, 17966, 19527, 19134, and 19135 isolates were 12.4, 19.9, 44.4, 51.2, 88.0, 88.1, 96.6, and 97.4,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istant Chinese cabbage cultivars to KACC 19136, 10377, 19133, 19132, 17966, and 19527 isolates were 21, 17, 5, 5, 1, and 1, respectivly. Finally, I also investigated the infected leaf area (%) of black spot on the susceptible Chinese cabbage cultivar caused by each of seven A. brassicicola isolates. The infected leaf area (%) caused by KACC 44878, 43923, 40034, 40036, 44415, 40857, and 44877 isolates were 1.3, 19.7, 36.1, 72.5, 75.3, 93.2, and 97.2, respectively. Therefore, virulence of A. brassicicola KACC 44877 and KACC 40857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KACC 44415, 40036, 40034, 43923, and 44878 isolates. When the cultivars were inoculated with the seven A. brassicicola isolates, the means of disease severity (%) of the cultivars by A. brassicicola KACC 44878, 43923, 40034, 40036, 44415, 40857 and 44877 isolates were 1.4, 9.2, 26.2, 53.2, 83.1, 90.2, and 93.7, respectively. The number of resistant Chinese cabbage cultivars to A. brassicicola KACC 44878 and KACC 43923 were 22 and 9, respectively. Taken together, we found that the disease development of Fusarium wilt, bacterial soft rot, black rot, and black spot on tested cultiva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irulence of each pathogen, suggesting that the resistance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are likely affected by the virulence of pathogens, but not resulted from race differentiation. 무 무름병, 배추 검은썩음병, 배추 검은무늬병에 대한 효율적인 병리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업용 품종들의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결과로부터 저항성 및 감수성 품종들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선발한 품종들의 접종하는 식물체의 생육시기, 병원균의 밀도, 접종 후 습실 처리 온도 및 기간 등에 따른 병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감수성과 저항성 차이를 가장 크게 나타내는 조건을 선발하여 효율적인 병리검정 체계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확립한 병리검정 체계를 이용하여 무의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과 무름병균(Pectobacterium carotovora pv. carotovora)에 대한 저항성 품종들의 저항성이 양적 저항성인지 질적 저항성인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병원균의 여러 균주들의 감수성 품종에서의 병원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저항성 무 품종들에서의 이들 균주에 의한 병 발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배추의 검은썩음병균(Xathomonas campestris pv. campestris)과 검은무늬병균(Alternaria brassicicola)에 대한 저항성이 양적 저항성인지 질적 저항성인지를 조사하였다. 1. 무 무름병에 대한 효과적인 병리검정법으로써 무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5℃)에서 20일 동안 재배한 3−4엽기의 무 유묘의 기부에 무름병균 세균현탁액(8.0×105 cfu/ml)을 5 ml씩 관주 접종하고, 25℃ 습실상에서 24시간동안 습실 처리한 후에 25℃의 항온항습실(상대습도 80%)로 식물체를 이동하여 하루 12시간씩 광을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2. 배추 검은썩음병에 대한 효과적인 병리검정법으로써 배추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5℃)에서 10일간 재배하여 2엽이 전개한 배추 유묘에, 병원균 밀도가 1.0×108 cfu/ml인 세균 현탁액을 배추 잎의 앞 뒷면에 골고루 분무하여 접종하고 30℃ 습실상에서 48시간 습실 처리한 후에, 항온항습실(25℃, 상대습도 80%)로 이동하여 하루에 12시간씩 광을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3. 배추 검은무늬병균에 대한 효과적인 병리검정법으로써 배추 종자를 파종하고 온실(25±5℃)에서 16일간 재배하여 2엽이 완전전개한 배추 유묘에 Alternaria brassicicola 포자 현탁액(3.0×105 spores/ml)을 배추 잎의 앞 뒷면에 골고루 분무 접종을 하고 25℃ 습실상에서 24시간 습실 처리한 후에, 항온항습실(25℃, 상대습도 80%)로 이동하여 하루에 12시간씩 광을 조사하면서 재배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4. 실험한 무시들음병균 균주들의 병원력은 HN와 JHW 균주가 가장 강하였고, 다음은 NW1, 147A, 57A, 59A, 60A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균주 중 중간 정도의 병원력을 나타내는 KR1 균주를 사용하여 시판 무 품종 60개의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무의 시들음병균에 대한 저항성 특성 실험을 위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25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KR1 균주를 제외한 7개 균주에 의한 선발한 25개 품종의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무시들음병균 60A, 59A, 57A, 147A, NW1, HN, JHW에 의한 평균 발병도는 각각 0.5, 0.7, 1.2, 2.3, 2.8, 3.7, 3.9였으며, 저항성 품종의 수는 각각 21개, 20개, 13개, 7개, 2개, 1개 및 1개이었다. 그리고 각 품종에서의 시들음병 발생은 균주들의 병원력에 비례하였다. 5. 실험한 무무름병균 균주들의 병원력은 ATCC 12312 균주가 가장 강하였고, 다음은 ECC 301365, KACC 10421, KACC 10225, ATCC 15713, LY34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균주 중 중간 정도의 병원력을 나타내는 KACC 10421 균주를 사용하여 시판 무 품종 60개의 무름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로부터 무름병 저항성 특성 실험을 위하여, 무름병 발생이 적었던 24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무름병균 6개 균주에 의한 선발한 24개 품종의 무름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무무름병균 LY34, ATCC 15713, KACC 10225, KACC 10421, ECC 301365, ATCC 12312에 의한 평균 발병도는 각각 8.3, 33.3, 43.6, 66.7, 90.5, 109.3이었으며, 각각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낸 품종의 수는 20개, 18개, 15개, 5개, 2개, 2개로 저항성 품종의 균주의 병원력에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6. 실험한 배추검은썩음병균 균주들의 병원력은 KACC 19135 균주가 가장 강하였고, 다음은 KACC 19134, 19527, 17966, 19132, 19133, 10377, 19136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균주 중 KACC 10377 균주를 사용하여 시판 배추 품종 88개 품종에 대해 검은썩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로부터 검은썩음병 저항성 특성 실험을 위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24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8개 검은썩음병균 균주들에 의한 선발한 23개 품종의 검은썩음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KACC 19136, 10377, 19133, 19132, 17966, 19527, 19134, 19135에 의한 평균 병반면적률은 각각 12.4, 19.9, 44.4, 51.2, 88.1, 88.0, 96.6, 97.7%였으며, 저항성 품종의 수는 각각 21개, 17개, 5개, 5개, 1개, 1개 였으며, KACC 19134와 KACC 19135 균주들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낸 품종은 없었다. 그리고 각 품종에서의 검은썩음병 발생은 균주들의 병원력에 비례하였다. 7. 실험한 배추검은무늬병균 균주들의 병원력은 KACC 44877 균주가 가장 강하였고, 다음은 KACC 40857, 44415, 40036, 40034, 43923, 44878 순이었다. 그리고 이들 균주 중 중간 정도의 병원력을 나타내는 KACC 40036 균주를 사용하여 시판 배추 품종 86개 품종에 대해 검은무늬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이로부터 검은무늬병 저항성 특성 실험을 위하여 병 발생이 적었던 24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8개 시들음병균 균주들에 의한 선발한 24개 품종의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KACC 44878, 43923, 40034, 40036, 44415, 40857, 44877에 의한 평균 병반면적률은 각각 1.4, 9.2, 26.2, 53.2, 83.1, 90.2, 93.7%였으며, 저항성 품종의 수는 KACC 44878 균주에 대해서는 22개, KACC 43923 균주에 대해서는 9개였으며, KACC 140034, 40036, 44415, 40857, 44877 균주들에 대해서는 저항성을 나타낸 품종은 없었다. 그리고 각 품종에서의 검은무늬병 발생은 균주들의 병원력에 비례하였다. 8. 무무름병균, 배추검은썩음병균, 배추검은무늬병균, 무시들음병균에 대한 기주 식물의 저항성 양상은 질적 저항성에서 나타나는 품종과 균주 간의 특이적 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리고 모든 품종은 실험한 균주들의 병원력에 비례하여 병이 발생하는 양적 저항성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양적 저항성을 나타내는 무 시들음병, 무 무름병, 배추 검은무늬병, 배추 검은썩음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들은 이들의 저항성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저항성 정도가 약한 품종은 포장에서 병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 저항성 품종도 감수성 반응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9. 이러한 양적 저항성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자원을 이용한 저항성 품종 개발 시, 저항성 계통을 만들기 위한 교배 집단의 병 저항성 개체 선발은 세대가 진전됨에 따라 저항성이 약해지는 점을 고려하여 초기 세대 선발에서는 강한 병원력을 가지는 균주를 사용하여 병리검정을 실시해야 하며, 후기 세대 선발이나 F1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중간 정도의 병원력을 나타내는 균주를 사용하여 병 저항성 검정을 실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 대한민국 정부청사 건축의 발단 : ROK오피스와 정부종합청사를 중심으로(1954~1970)

        이수민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traces the construction of two government buildings built in the 1950s and 1960s in South Korea―the ROK Office Building and the Government Complex in Seoul. After the Korean War, the collapse of the central government’s previous headquarters led the Korean government to find a new space for its administration officers. During this time of urgency, the ROK Office was built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U.S. government. This Building became an embodiment of a new type of government building, which differed radically from the previous building construc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Negating monumentality and the classical architectural style, the ROK Office Building adopted new types of construction techniques and utilized modern materials in South Korea. I thoroughly examine the construction process based on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discovered throughout my research, and I contribute my analysis to build upon this area of study, which has been rarely discussed about among Korean architecture historians. I also argue that the construction of this Building itself wa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Korean architects to learn the Western model of planning and constructing office buildings. After the first case study of the ROK Office Building, I closely examine the second building, the Government Complex in Seoul, as both a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the ROK Office Building. The Government Complex Building exhibits continuity in that it adopted new construction method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maximized economy and efficiency, acquiring installments of the latest facilities and a flexible plan. However, the Government Complex Building is also remarkably distinct from the ROK Office Building: First, the whole project of its construction was controlled by the Korean Administration and it was financed by the Korean government; Second, there were heated debates between Korean architects and government officials regarding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Third, the Government Complex Building was constructed with a vision to become a skyscraper with modern technology, which not only signals a shift towards new compositions, but it also reflects the immense competition to create the tallest building since the late 1960s in Seoul. I highlight the contradiction that while the building seems to be unconcerned with monumentality, at the same time, the building inevitably secures an elevated status and manifests itself with a compelling presence. To this day, the two government buildings from the 1950s and 1960s have been widely regarded as mere non-aesthetic and mediocre buildings planned by the government. However, in this dissertation, I argue that the two case studies mentioned show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government building within a heterogeneous historical context in Post-war South Korea. 이 연구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정부청사로 계획된 ROK오피스와 정부종합청사를 다룬다. ROK오피스는 미국 원조기관의 청사와 똑같이 지어져, ‘쌍둥이 건물’ 혹은 ‘유솜 청사’라고 불린다. 정부종합청사는 현재 세종로에 위치한 정부서울청사이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정부청사는 정부가 계획한 평범하고 무가치한 건축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사례인 ROK오피스와 정부종합청사가 전후 한국에서 새로운 형태의 정부청사의 출현을 보여준다는 점을 조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ROK오피스와 정부종합청사를 연장선상에서 파악하고, 기존에 파악되지 않았던 정부 문건을 경유하여 새로운 이해를 도모할 것이다. 전후 복구 과정에서 한국 정부는 중앙청의 파손으로 인해 중앙 정부를 위한 새로운 공간을 찾아야 했다. 이후 차례로 등장한 중앙정부를 위한 청사인 ROK오피스와 정부종합청사는 각각 하나의 모델을 제시했다. 현대 정부 기능을 담은 건물의 시초를 마련한 ROK오피스의 모델은 정부종합청사에 이르러 마천루형으로 새롭게 탄생했다. ROK오피스와 정부종합청사는 공통적으로 경제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며 업무시설로 계획되었다. 또, 당대 한국에서의 새로운 재료가 사용되고 새로운 공법이 적용되었다. 최신 기술이 가능케 한 새로운 재료와 공법의 도입은 두 정부청사가 기존의 건물들과 차별화되는 외관을 구축하는 것과 직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도입 양상은 두 정부청사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ROK오피스는 재건이 시급하던 시기에 미국 정부가 주관한 서울 빌딩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대외원조 차원에서 이루어졌고, 관료를 비롯하여 국내에 충분한 지식이 갖춰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ROK오피스의 건축에 관하여 국내에서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1950년대 미국의 대외원조 형태의 ROK오피스는 한국에 새로운 재료 및 공법, 그리고 체계적인 공사 관리 시스템으로 구축된 건축을 소개하는 창구로 자리했다. 반면, 정부종합청사는 한국의 자본으로 짓는 정부청사이자, 중앙행정기관인 총무처가 건축주였던 1960년대를 대표하는 대형 프로젝트였다. ROK오피스 건축에서 충분한 지식의 부재로 인해 논의가 이루어질 수 없었던 상황과는 달리, 정부종합청사 건축에서는 건축가와 관료 간의 각축전이 벌어졌다. 총무처가 우선순위로 두었던 신공법은 자연스럽게 적용된 것이 아니라, 해당 공법과 관련한 논의를 발생시켰다. 1950년대와 달리 1960년대에는 논의를 전개할 만큼의 지식이 건축가 집단과 관료 모두에게 갖춰져 있었다. 다만, 건축가 집단은 신공법을 적용하는 데 적극적이지 않았다. 건축가 집단의 태도는 총무처의 설계기준과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ROK오피스가 유일한 현대 정부청사의 모델이었던 한국에서 건축가들은 설계경기에 ROK오피스와 유사하게 수평적인 조형을 가진 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총무처는 ROK오피스가 1920~30년대에 지어진 관공서 건물들과 차별화된 외관을 보여주었던 것처럼, 정부종합청사가 차별화된 외관을 보여주길 원했다. 이에 정부종합청사는 수직성이라는 새로운 조형으로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정부종합청사는 새로운 건축으로의 전환을 의미했을 뿐만 아니라, 1960년대 후반 서울에서의 고층화 분위기를 반영했다. 총무처는 정부종합청사가 국제 수준을 달성하길 바랐기 때문에 동시대에 각광받던 기술과 그 기술로서 가능해진 건축에 대한 다양한 선례를 습득했다. 정부종합청사는 정부청사로서의 기념비성에 무게를 두지 않았지만, 동시에 높이를 강조함으로써 건물의 상승된 지위를 확보하고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이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부양자 부양부담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수민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와 관련이 깊은 장기요양재가노인의 삶의 질과 부양자의 부양부담,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이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양자 부양부담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하위 요인 중 대응성, 전문성이 높을수록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은 높아지고, 공감성과 유형성이 높을수록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성과 공감성이 높을수록 부양자의 부양부담은 높아지고, 대응성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부양자의 부양부담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자의 사회적 부담이 높을수록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하위 요인인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 전문성 모두가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정적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은 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 모두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그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은 요양보호사와 부양자 요인 모두에게서 영향을 받음으로써 노인에 대한 지원의 폭이 넓어져야 됨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부양자의 부양부담은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이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은 요양보호사와 부양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먼저 정책적 제언을 하면 첫째, 맞춤형 요양서비스가 가능한 특화된 요양인력을 양성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강화를 시도해야 한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질적 향상을 위해 요양보호사 교육시간 확대와 체계적인 보수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질적관리를 위한 요양보호사의 처우에 대한 국가적 노력이 따라야 한다. 넷째 부양자의 사회적 활동을 위한 부양자 일자리 우선지원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 두 번째 실천적 제언에는 첫째, 노인에 대한 지나친 공감 배려는 오히려 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인의 기능유지 향상을 위한 요양보호사의 통제된 공감적 배려가 필요하다. 둘째, 요양보호사 중심의 서비스 태도에서 노인의 욕구와 문제에 기반을 둔 대상자 중심의 전문적 서비스 태도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부양자가 부양으로부터 심리적인 소외를 경험하지 않도록 요양보호사는 노인과 부양자의 관계에서 직업인으로서 객관적인 관계와 적당한 거리를 가지는 절제된 배려가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로 노인과 부양자를 도우려는 적극적인 서비스 자세를 가져야 한다. 다섯째, 부양자와 노인이 다양한 종류의 장기요양서비스를 불편함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관 간의 행정서비스 지원 연계가 매우 필요하다. 여섯째, 노인의 삶의 질과 부양자의 부양부담 양면을 고려한 요양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요양보호사는 노인을 위한 직접적인 서비스 외에 간접적으로는 부양자의 부양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함으로써 요양서비스가 부양자와 노인 모두에게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그런 요양보호사의 전문적인 직업적 노력이 가능할 때 요양서비스가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덜어주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연구대상(요양보호사, 노인, 부양자)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 관련 범위를 넓혔고, 장기요양서비스에서 부양자의 부양부담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검증함으로써 단순한 영향요인 연구를 넘어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과 장기요양 재가노인에 대한 다른 방식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이 장기요양 재가노인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의미 있게 줄여줌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which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home-help service for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and care-helpers' service quality, and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in the influence of care-helpers' service qual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it appeared that the higher responsiveness and professionalism ar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helpers'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and the higher empathy and tangibility,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of them.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reliability and empathy, the higher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and the higher responsiveness and professionalism, the lower the burden. Third,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social burden of caregivers,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Fourth, all the sub-factors of care-helpers’ service quality – reliability, responsiveness, empathy, tangibility, and professionalism – seem to have positive mediating effects on the burden of caregivers in terms of such sub-factors’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Accordingly, sinc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are-helpers' service quality has effects on both the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the importance of the care-helpers’ role has emerged, and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affected by factors regarding both care-helpers and caregivers confirms that the range of support for the elderly should be broadened. Furthermore, it may be safe to conclude that care-helpers and caregivers fulfillment of their roles is very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because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turned out to mediate the effects of care-helpers' service qual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Above all,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First, care-helpers' professionalism should be strengthened by training those with specialized potential for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Second, in order to achiev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are-helpers, education hours must be expanded and a systematic supplementary education must carried out. Third, there must be national effort toward the treatment of care-helpers regarding quality management. Fourth, in order to encourage social activities of caregivers, a system that prioritizes support projects for their job creation must be implemented. As for practical suggestions, first, since excessive sympathy and care may decline physical abilities of the elderly, care-helpers must control their empathic concern in terms of aiding the elderly to maintain their physical abilities. Second, there must be a shift from service attitude centered on the care-helpers to a more professional service attitude centered on clients based on the needs and roblems of the elderly. Third, care-helpers must act in a restrained manner, that is, maintaining an objective relationship and keeping an appropriate distance with the elderly, so that caregivers would not experience sychological alienation from caregiving. Fourth, care-helpers must maintain an active service attitude to help the elderly and caregivers by providing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lated skills. Fifth, connection with administrative service support among institutions is necessary for caregivers and the elderly to use various types of long-term care service freely and conveniently. Sixth, care-helpers must provide care service which considers bo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e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Care-helpers must not only provide direct services to the elderly but also provide indirect services to the caregivers by understanding their difficulties regarding the burden of caregiving. When it is possible for care-helpers to exert such professional effort, their service may be a good means to lessen the burden of the caregiv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is research has widened the range of peopl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by including all possible research subjects; care-helpers, the elderly, caregivers, and by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certain mediating effect regarding the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services, went beyond simple research on influential factors to proving that there is a different method of approach to care-helpers' service quality and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Moreover, this research shows substantial result in the sense that it shows that the service quality of care-helpers not on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long-term care, but also considerably reduces the caregiving burden of caregivers, which consequently proves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s effective.

      •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관계 발전 및 페이스북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역할

        이수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관계의 발전과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 노출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울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대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관계의 발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관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 노출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이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만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이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만 여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직접 혹은 온라인 자기 노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인 관계의 발전 및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면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SNS의 성공적인 활용과 그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