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래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소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외래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소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과학과 (지도교수: 이은일, M.D., Ph.D) 목적 : 본 연구는 외래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과 회복탄력성 및 직 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 조사 연구이다. 2019년 4월1일부터 4월12일까지 서울시에 소 재한 2개 대학병원과 경기 안산 1개 대학병원의 외래간호사 276명 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방법 : 외래간호사의 언어폭력경험은 남경동의 도구로, 회복탄력 성은 백현숙(2010)이 번안한 한국형 코너-데이비드슨 회복탄력성 척도(K-CD-RISC)로, 직무만족도는 조영이(2005)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언어적 폭력 경험은 52점 만점에 21.44±9.75점, 회 복탄력성은 100점 만점에 59.79±11.81점이었고, 직무만족도는 72 점 만점에 평균 40.73±7.86점이었다. 2.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p값 0.018로 연령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30대보다 50대 이상의 직무만족도 평균이 높았 다. 임상기간 수치화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21년 이상 집단의 평균 이 높았다. 3. 직무만족도는 회복탄력성과 p값 0.000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 계가 있었으며, 언어 폭력경험과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과 언 어폭력이었으며, 다른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회복탄력성의 R2 증가 량이 .235로 가장 높았고, 모형의 설명력은 31.3%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래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회복탄력성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외래간호사들의 직무만족 도를 높이기 위해서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 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 외래간호사, 언어폭력, 회복탄력성, 직무만족도

      • 은물 활동이 아동의 공간지각·도형의 인식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소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은물을 활용한 다양한 조작 활동이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공간지각ㆍ도형 인식 능력과 수학에 대한 흥미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2학년 학생 4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은물을 활용한 놀이 활동 수업을 48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은물 교육이 아닌 보통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은물을 활용한 놀이 활동 수업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공간 지각 능력’과 ‘도형 인식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는데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how Gabe influences space perception and figure comprehension abilities of second-year elementary students, through a variety of operational Gabe activities. Also, it aims to identify the potential effect that Gabe can induce interest in math.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40 second-year elementary students were plac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48 lessons were taught using Gabe play activities. As for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employed without involving Gabe activitie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lessons utilizing Gabe play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space perception and figure comprehension ablities in mathematical field. Moreover, it provided the possibility that Gabe-based math instruction can help students develop interest in math.

      •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 문화기술학적 접근

        이소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문화기술학적 접근 이 소 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의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보람유치원의 6세반인 햇님반 체육수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에서의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의 유형을 살펴보면 순응, 타협, 강요, 거부의 형태의 상호작용을 보였다. 순응 상호작용작용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신변잡기적 대화나누기, 문화적 배경에 대한 대화나누기, 개방형 질문에 대답하기, 웃음 유도하기, 그리고 서로를 모방하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타협 상호작용작용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보상하기, 참여유도하기, 함께하기, 제안하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강요 상호작용작용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점수부여하기, 겁주기, 규칙적용하기, 발표권부여하기, 행동제지하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거부 상호작용작용 유형으로는 다음과 같이 앉아있기, 울기, 밀치기, 도망가기, 눈치보기, 무시하기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네가지 상호작용은 수업시 순응과 타협이 적절히 이루어졌을 때에는 긍정적인 분위기에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나가는데 거부와 강요된 느낌의 상호작용이 잦게 보일 때에는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체육수업에서의 교사와 유아에서의 상호작용 구조는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분절적으로 발현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교사와 유아 간에 서로 주고 받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누가 먼저 상호작용을 시작하게 되느냐에 따라서 구분 지을 수 있으며, 유아는 새로운 신체활동에 대한 경험의 의미가 큼에 따라 새로운 활동을 제공하게 되는 교사가 먼저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는 주로 순응과 타협, 그리고 강요 전략에 의하여 상호작용을 선행하게 되며, 그에 대한 반응으로 유아는 순응, 타협, 거부의 상호작용으로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반해 유아가 먼저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구조에서는 유아가 순응, 타협, 거부의 상호작용으로 선행하게 되면, 교사는 그에 대하여 순응, 타협, 그리고 강요, 거부의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주요어: 체육수업, 교사, 유아, 상호작용, 문화기술학적 접근

      • J. Brahms의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Op. 24』에 관한 연구

        이소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Johannes Brahms(1833-1897) is a composer whose structure and form of the musical works take a classical style while embracing romantic idioms in their melody, harmony and rhythm. He often used counterpoint techniques of Baroque period in his works, and mainly dealt with classical musical styles. His music grasped counterpoint composition techniques through the music of Bach, and was influenced by Beethoven’s theme development techniques, classical forms and various prelude techniques. On top of such classical form, he created a new style of romantic music by incorporating techniques such as melodies expressing romantic sensibility, various rhythms, wide range of harmony, dissonance and frequent preludes. In particular, he utilized his compositional ethos in the variation forms and produced versatile variations. His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is composed with 25 variations and fugue, and the theme is taken from an aria in the third movement of Handel’s 『Harpsichord Suite』 second volume first piece. In this variation, with the foundation in thematic harmonic sequence, there are romantic variations engaging in imitation, classic style variations with counterpoint technique, new forms of melody, various rhythm, parallel chord and prelude techniques. This present dissertation aims to understand the musical works of Brahms by examining his compositional characters and styles through the piano pieces, and study the unique features of his variation by analyzing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out of the five piano variations.

      • Evidence of a stepwise reaction mechanism for reactions of dibenzo[1,2]oxathiin 6-oxide with alicyclic secondary amines and sodium ethoxide

        이소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5℃, 수용액에서 dibenzo[1,2]oxathiin 6-oxide와 일련의 2차 아민의 친핵성 치환반응 속도를 분광학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minolysis 반응에서 유사일차 반응속도와 아민의 농도를 상관 지은 그래프는 general acid/base catalysis의 유무에 의해서 위로 휘어지는 곡선이나 직선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반응계에서 유사일차 반응속도와 아민의 농도를 상관지은 그래프는 아래로 휘어지는 곡선을 보였다. 이와 같이 아래로 휘어지는 곡선은 aminolysis 반응에서는 처음으로 관측된 것이다. 또한, 이것은 하나 이상의 중간체를 경유하는 첨가-제거 메카니즘으로 반응이 진행함을 제시해주는 증거이다. Aminolysis 반응에서 속도결정단계(rds) 변화(pK_(0))는 4∼5 + pKa(lg)인 지점에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반응에서의 이탈기의 염기도는 ∼10정도이며 가장 염기도가 큰 피페리딘의 pKa 값이 11.2인 점으로 보아 본 연구의 반응계에서 rds는 모두 제거단계(k_(2))임을 예측할 수 있다. 반응 결과 관측된 아래로 휘어지는 곡선에서 포화되는 지점으로부터 k_(2) 값을 예측 할 수 있었다. Jencks는 이탈기가 떨어지는 단계의 속도상수 k_(2) 값은 공격하는 아민의 종류나 염기도에 무관하고 기질의 구조와 이탈기의 염기도에만 의존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연구결과 염기도가 작은 아민에 대한 k_(2) 값은 염기도가 큰 아민에 대한 k_(2) 값보다 훨씬 작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또 다른 평형단계인 K'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아래로 휘어지는 곡선은 steady state approximation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해서 본 반응에서는 improved steady state approximation을 도입해서 유사일차 반응속도식을 유도하였고, 유도한 식으로부터 반응중간체가 생성물로 분해되는 단계의 반응속도상수 k_(2) 값을 구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계산되어진 k_(2) 값과 유도한 식을 이용하여 nonlinear regression method로부터 반응에 포함된 모든 microconstant 값들을 구할 수 있었다. kinetic 결과와 유도한 반응식과 계산된 반응속도상수값들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각의 microconstant 값들을 아민의 염기도와 상관지은 Bro‥nsted 형태의 그림은 모두 좋은 직선관계를 보였고, k_(1), k_(-1), K, K'에 대한 Bron‥sted β 값은 각각 0.35, -0.16, 0.55, -1.37이었다. 또한, 이와 같이 좋은 직선 관계를 보이는 것은 계산되어진 반응 속도상수 값들이 믿을 수 있는 값들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반응은 빠른 속도로 중간 생성물을 생성한 후 이 중간체로부터 느린 반응 속도로 최종 반응생성물이 생성되는 첨가-제거 메카니즘으로 반응이 진행한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한편, 25℃ absolute ethanol 용매계에서 dibenzo[1,2]oxahiin 6-oxide와 E_tON_a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분광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반응계에서 UV spectra는 두 개의 다른 형태를 보인다. 즉, 빠른 반응에 대한 UV spectra와 느린 반응에 대한 UV spectra가 다르게 나타나며 중간 생성물이 생성되는 단계가 UV spectra 상에서 관찰되어진다. 빠른 반응에서 유사일차 반응속도상수와 아민의 농도를 상관지은 그래프는 좋은 직선을 나타내며 이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으로부터 정반응 속도상수 k_(1)과 역반응 속도상수 k_(-1)을 구할 수 있었다. 느린 반응에서 유사일차 반응속도상수와 EtONa의 농도를 상관지은 그래프는 아래로 휘는 곡선을 나타내는데 재현성에 문제점이 있어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하겠다. 결론적으로 본 반응계에서는 기질에 친핵체가 빠른 속도로 공격하여 중간생성물을 형성하고 이 중간생성물로부터 느린속도로 이탈기가 떨어져서 최종 생성물이 형성되는 메카니즘으로 반응이 진행한다. First-order rate constants (k_(obs)) have been measured spectrophotometrically for the reaction of a dibenzo[1,2]oxathiin 6-oxide(1) with a series of alicyclic secondary amines in water and with sodium ethoxide in absolute ethanol at 25.0±0.1℃. UV-Vis and stopped-flow techniques have revealed that the above reaction proceeds via an addition-elimination mechanism with a stable addition intermediate, i.e., the rate of formation of an addition intermediate appears to be much faster than that of the breakdown of the intermediate to the products. For the reaction of dibenzo[1,2]oxathiin 6-oxide with a series of alicyclic secondary amines, the plot of k_(obs) vs amine concentration shows downward curvatures as the amine concentration increases for all the amines studied. Such a downward curvature has never been observed previously for aminolysis of esters and clearly suggests that the present reaction proceeds via an intermediate, and can be used as evidence of a stepwise reaction mechanism. A rate equation fitted to the kinetic results has been derived, and all the microconstants involved for the aminolysis have been calculated from a nonlinear regression method. The resulting Bronsted-type plots are all linear, indicating that the values of these microconstants are reliable. For the fast step reaction of dibenzo[1,2]oxathiin 6-oxide with sodium ethoxide, the plot of k_(obs) vs [EtONa] shows good linearity with a positive intercept. A rate equation has been derived to explain the kinetic data. The values of k_(1) and k_(-1) has been calculated from the slope and intercept of the plot of k_(obs) vs [EtONa]. The slow step reaction (decomposition of the intermediate into the products) is identical to that of dibenzo[1,2]oxathiin 6-oxide with secondary amines. Using the derived rate equation, k_(1), k_(-1), and k_(2) values have been calculated.

      • 크라우드소싱 배달대행 플랫폼 종사자들의 성과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기술 시스템 이론을 중심으로

        이소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od delivery service industry is growing rapidly as changes in consumption trends in modern society and increased demand in untact service in order to restrain people from outside activiti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ost of prior literature on food delivery applications (FDAs) have addressed issues regarding FDA selection attributes by two different focuses. The first focus was on application technological systems and the other focuses was on food related attributes such as food quality, price, taste and so on. However, only few literature addressed similar topics in terms of delivery service workers and their perspectives. This indicates that research on delivery service covering both technology and 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approached in consideration of those two (technology and social) aspects. In this regard, socio-technical systems theory was adopted to this study in order to more properly address important issues regarding delivery service workers and their job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1) how delivery service platform workers and their unfamiliar job skills affect delivery technical complexity and task difficulty, further to examine 2) which influence their job performance and intent to continue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system factors in an emphasis of the important moderating roles of social capital which are conceptualized with three dimensions (network with platformer, trust in platform and shared vision with platformer). Those three—dimensional social capital was tested to see if they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echnical system factors and job performanc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owdsourcing delivery service platform workers and their unfamiliarity with delivery job skill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wo sub-elements of the technical system including delivery platform technical complexity and task difficulty. Second, those two technical system compon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job performance, further intent to continue employment. Third, among the three sub-components of the social system, network with platforme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very platform technical complexity and job performance, but such an effect was not se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very platform task difficulty and job performance. Trust in platformer and shared vision with platformer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both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echnical system components (technical complexity and task difficulty)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tributed to the existing body of relevant knowledge. Especially, in terms of crowdsourcing delivery service platform workers and their job skills in conjunction with their job performance and intent to continue employment by applying socio-technical systems theory. This application clearly proved evidence that technical systems within food delivery applications are not enough in operating food delivery service businesses. Our finding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rowding platformers and crowding platform workers. Future subsequent studies will be able to expand this finding to explore more effective factors in improving crowding platform workers’ job performance. 현대사회의 소비 트렌드의 변화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람들의 외부 활동을 자제하려는 언택트 소비가 늘어나면서 배달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 관점에서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배달주문 중개 플랫폼에 관한 많은 학술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성장하는 배달산업의 주요 인력인 배달대행 플랫폼 종사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배달대행 플랫폼은 기술을 기반으로 사람이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플랫폼이라는 기술적 측면과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2O 서비스 중에서 소비자와 외식업체를 오프라인으로 직접 연결시켜주는 배달대행 종사자를 중심으로 사회-기술 시스템 이론을 적용하여 기술 시스템과 사회 시스템의 하위 요소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배달 업무의 미숙련도와 기술 시스템의 하위 요소, 업무성과, 업무 지속의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사회 시스템 요소를 사회적 자본인 네트워크와 신뢰 및 비전 공유로 구분하여 기술 시스템의 하위 요소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배달대행 플랫폼을 통해 크라우드소싱 배달 업무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5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 업무의 미숙련도는 기술 시스템의 하위 요소인 플랫폼 기술수용 복잡성과 플랫폼으로부터 주어진 업무 수행의 어려움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 시스템의 하위 요소인 플랫폼 기술수용 복잡성과 플랫폼으로부터 주어진 업무 수행의 어려움 인식은 배달 업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달 업무성과는 배달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 시스템의 하위 요소인 사회적 자본 중 플랫폼 사업자와의 네트워크 형성요인은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신뢰와 비전 공유는 모두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배달과 관련된 연구는 O2O 서비스 중 외식업체와 소비자를 온라인에서 연결해 주는 배달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이 아닌 O2O 서비스 중에서 소비자와 외식업체를 오프라인으로 직접 연결시켜주는 배달대행 종사자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크라우드소싱을 기반으로 하는 배달대행 플랫폼에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기술과 변화된 새로운 형태의 노동체계를 통합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사회-기술 시스템 이론을 적용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배달대행 종사자 입장에서 그들이 직면하는 기술 시스템의 문제점을 발견하는데 멈추지 않고, 더 나아가 기술의 복잡성과 어려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회 시스템의 하위 요소인 사회적 자본으로 완화하여 배달 업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배달대행업에 사회-기술 시스템 이론을 적용하여 사회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을 동시에 반영한 새로운 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고, 더 나아가 배달대행 플랫폼 이외에도 플랫폼 시장의 범위가 다양해짐에 따라 본 연구를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플랫폼 분야에 확장시키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효과 :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소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대처행동 그리고 결혼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갈등대처행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289명(남: 120명, 여: 169명)을 대상으로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자아분화척도, 갈등대처행동척도, 결혼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아분화는 갈등대처행동 중 이성적 대처, 감정 및 행동 표출, 회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적응에는 모든 하위척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부부간 갈등 상황에서 이성적 대처를 많이 하며, 자아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갈등 상황 시 부정적인 감정 및 행동을 표출하거나 갈등을 회피하는 대처방식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질수록 결혼적응 수준이 올라가며,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결혼적응 수준이 떨어진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자아분화와 결혼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상정한 갈등대처행동은 본 연구 결과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자아분화 수준이 높은 경우 부부간 갈등이 생겼을 때 이성적으로 대처하여 결혼생활의 적응성이 올라가는 반면,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부 간 갈등 상황에서 부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여과 없이 표출하거나 갈등 상황을 회피해버리는 식의 역기능적인 갈등대처방식으로 인해 결혼생활의 적응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결혼적응에 있어서 자아분화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였으며, 그 중간 과정으로 갈등대처행동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앞으로 결혼위기에 처한 부부에게 치료적 중재를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비부부를 위한 예방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항공사 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종업원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소미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비스산업의 팽창에 따라 고객서비스가 기업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성공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조직은 고객만족과 이를 통한 수요창출을 위하여 종업원에게 정서, 감정, 태도, 행동 등에 대한 제약과 통제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이런 사회적 변화와 흐름에 따라 서비스종사자들은 점차 감정노동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최근 감정노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수와 종업원의 몰입인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감정노동, 조직몰입, 경력몰입의 수준을 살펴보고, 감정노동, 조직몰입, 경력몰입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후, 감정노동이 종업원의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의 하위변수 중에서 감정부조화가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감정표현에 대한 주의, 감정표현의 빈도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감정표현의 다양성의 평균은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은 모두 중간 수준 이상의 평균을 보였으며 경력몰입이 조직몰입보다는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하위변수와 조직몰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계수가 나타났다. 경력몰입의 경우에는 감정노동의 하위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계수가 존재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에 대한 감정노동 하위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변수 중 감정표현에 대한 주의, 감정표현의 다양성, 감정부조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계수가 존재하였다. 넷째, 경력몰입에 대한 감정노동 하위변수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감정노동의 하위변수 중 감정표현에 대한 주의와 감정부조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회귀계수가 존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감정노동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종업원들에게 감정노동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조직에 대한 불신이나 감정적인 스트레스를 위로하고 풀어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감정노동에 노출되어 있는 종업원들에게 구체적인 감정표현의 방법이나 유용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감정노동 상황에서 보다 다양한 감정표현을 시도하고 이를 통하여 조직몰입에 연계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셋째, 감정노동의 정도나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새로운 경력을 찾으려고 하는 의도를 낮춰주어야 한다. 이에 감정노동을 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으로 인한 어려움이나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스트레스 등을 경감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경력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여기에 경력 상담이나 멘토링의 시스템을 도입하여 조직에서 자신의 경력을 개발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