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전자책 서비스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이석재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자책은 이미 1999년도에 등장하였고, 2000년 11월 뉴욕에서 열린 ‘e-북 월드’ 행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기술 개발 담당 부회장 딕 브래스는 “2018년 뉴욕타임스는 마지막호 종이 신문을 발행하게 될 것이다”라는 발표도 있었다. 그만큼 전자책 시장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많았었다. 하지만, 기존 전자책은 온라인기반의 PC용 서비스가 전부였기 때문에 발전하지 못했고 반짝 열기 이후 한동안 잠잠했었다. 그러던중 다시 본격적으로 전자책이 관심을 받게된 계기는 2007년 온라인 출판사인 아마존에서 전자책 단말기인 ‘킨들’이 출시되면서 이다. 휴대용 목적을 지닌 전자책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오프라인 서적의 디지털화와 대중적인 콘텐츠 소비의 가능성을 열면서 새롭게 뜨거워졌으며 시장규모도 확장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최근 스마트폰과 아이폰에 이어 아이패드 등이 상용화되면서 전자책이 뜰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책 시장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활성화 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자책의 출현 배경부터 현재 전자책 서비스의 현황과 기술적 수준을 살펴 본 후 전자책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전자책 서비스의 발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책이 주목을 받는 이유로 디지털 사회로의 변화에서 나타난 자연스러운 기술적 소산물일 수 도 있지만 또 다른 이유는 그런 기술적인 혜택으로 만들어진 전자책이 기존 종이책이 가지고 있던 물리적인 단점을 보완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자책이 발전하기 위한 기술적 한계는 거의 극복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종이책이나 전자책이나 콘텐츠의 확보가 성공의 관건이다. 전자책과 종이책의 미래는 결국 특정 단말기를 벗어나 멀티플랫폼화 되는 콘텐츠와 단순한 컨버팅을 벗어난 특성화된 기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새로운 생산, 그리고 생산자 풀을 급격하게 늘리는 오픈마켓의 활성화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It was in 1999 that e-book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The last paper edition of the New York Times will appear in 2018,” said Dick Brass, Microsoft’s former VP of Technology Development, at the E-Book World in New York in November, 2000. This suggested lots of interests in e-book markets. But a fever of passionate love for e-books faded away since they all were provided in the form of at most online-based PC services. The release of Amazon Kindle, a software and hardware platform developed by Amazon.com as e-book publisher, in 2007 “kindled” the world to passion for e-books. As users come to understand them in terms of portability, which, in turn, opens a possibility for the digitalization of paper books and the mass consumption of contents, e-books has appeared as a new paradigm with the expansion of e-books in terms of their market scale. And further, recently, the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of smart phones (e.g. iPhone) followed by iPad has strengthened market situations in favor of promising e-book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how to promote e-book services based on multimedia contents in e-book markets. For the purpose of this,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e-books and status of e-book services including their technological level were addressed to identify constraints on e-book services. In this study, it couldn’t be seen just that the attraction of lots of interests in e-books resulted from a shift to a digitalized society. But e-books as products of a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also make up for physical defects in paper books; actually, technological constraints for the development of e-books have been almost overcome. The success of e-books as well as paper books depends on how contents are secured. This suggests that their future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new production of multiplatform-based contents beyond physical handsets and device-specific multimedia contents beyond simple conversions, and the promotion of open markets that would enable a sharp increase in producer pools.

      • 공항보안부문 자회사 전환정책에 대한 고찰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이석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irport security system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irport security operations and sustainable airports by examining the case analysis of the transfer of subsidiaries in the airport security field promoted as part of the public sector non-regular employee regularization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evelopment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employment system and treatment of security personnel. In the wake of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in the United States in 2001, the aviation security system of Korea has also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law and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ir security screening was switched from private security to public security, whereas in Korea, the public security system changed to a private security system in line with the times. The agents became full-time employees under the security subsidiary of the Airport Corporation. This series of process and operational problems were analyzed as an example of a security subsidiary of Korea Airports Corporation, and a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to improve the skills and expertise through related laws, systems and operational improvements and stable jobs for aviation security personnel was identified. presented. Efficient operation i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in the first stage of the development plan of the security subsidiary, the second stage is responsible management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tentative name 'Aviation Security Agency' through the designation of other public institutions and acquisition of the airport operator's qualification, the third stage is‘The National Aviation Security Agency' was established to control all airport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a roadmap was presented in which national officials with judicial police power, such as the TSA in the United States, are in charge of security screening.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aviation security from a national security perspective was emphasized in order for the new government to overcome the risk of government policy change through differentiation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government.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항의 보안체계에 대한 고찰과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공항보안분야에서의 자회사 전환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효과성을 탐구하고 효율적인 공항보안 운영과 지속 가능한 공항보안요원의 고용체계 및 처우개선을 위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001년 미국의 9.11테러 사건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항공보안체계도 법과 제도적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미국의 항공보안검색이 민간경비에서 공경비로 전환되었던데 반해 한국은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공경비에서 민간경비체제로 변화하였으며,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에 따라 경비용역업체 소속의 항공보안요원들이 공항공사의 보안 자회사 소속으로 정규직화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한국공항공사 보안 자회사를 사례로 분석하였으며, 관련 법과 제도 및 운영상의 개선사항과 항공보안요원들의 안정된 일자리를 통해 숙련도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안 자회사의 발전방안 1단계로는 현재의 법과 제도 속에서의 효율적인 운영, 2단계는 기타 공공기관 지정을 통한 가칭 ‘항공보안공사’설립과 공항운영자 자격취득을 통한 책임경영과 항공보안요원의 청원경찰로의 신분변화, 3단계는 인천국제공항까지 포함하여 전국공항을 통할하는 ‘국가항공보안청’을 설립, 미국의 TSA처럼 사법경찰권을 가진 국가공무원이 보안검색을 담당하는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교체에 따라 새 정부가 이전 정부와의 차별화를 통한 정부정책 변화의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하여 항공보안을 국가안보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인식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새터민 초등학생의 한국사 인물 인식 실태와 특성 이해

        이석재 경인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새터민 초등학생의 한국사 인물 인식 실태와 특성 이해 이 석 재 초등사회과교육 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 자녀들을 위한 정착지원 학교의 새터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인물에 대한 인식 실태와 특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새터민 초등학생들이 남한 사회의 적응을 위한 민족적 동질감과 공동체 의식을 지닐 수 있도록 초등 사회과의 교과교육 차원에서 접근을 시도한 연구이다. 새터민 초등학생은 남한과 북한의 인종적․언어적 동질감에도 불구하고 반세기 이상의 분단으로 인하여 남한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차이와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적응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성인이나 새터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새터민 초등학생의 남한사회 부적응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새터민 초등학생들의 남한 사회의 적응을 위한 매개로써 교과교육 차원에서 초등 사회과의 한국사 인물학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성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새터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초등 사회과의 한국사 인물학습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는 초등학생 수준의 발달단계에서 가장 선호하는 역사적 인물을 통해서 새터민 초등학생의 역사에 대한 인식의 수준과 공감대 형성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과 역사교육 내용의 재구성을 통해 새터민 초등학생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남․북한의 분단 이전 하나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남한 생활의 적응과 공동체 의식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터민 초등학생의 한국사 인물 인식의 실태와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북한 내부적인 요인인 북한 체제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역사교육이 체제의 도구교과로 전락하여 북한 체제 유지와 우상화 교육을 위한 인물학습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탈북한 새터민 초등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인물들의 대부분이 텍스트 및 구전을 통한 제한적 경로를 통해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북한의 식량난과 경제난, 교육과정의 파행적 운영, 외부적인 요인인 긴 탈북기간 등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한 역사적 인물들의 오개념 형성 및 북한 우상화 인물의 인식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사회과의 역사교육에서는 정착지원 학교의 새터민 초등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인식의 수준을 고려하여 역사 인물 및 내용 선정, 수업의 소재 등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새터민 초등학생의 한국사 인물 인식 실태와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터민 초등학생을 위한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방향에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새터민 초등학생의 남한사회의 자아 정체성과 가치관 확립을 위한 정착지원 학교에서 초등 사회과의 역사교육 강화와 별도의 교재를 개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새터민 초등학생들이 배웠던 역사교과서가 체제 유지를 위한 인물 선정과 내용 조직으로 인해 새터민 초등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사인물의 수와 인물의 유형이 지극히 제한적이다. 이러한 새터민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착지원 학교의 특별학급 수업 역시 새터민 초등학생용 교재 속의 역사 인물에 관한 편제 시간과 석 달간의 적응 교육 시간에서 역사 교과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러한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역사 인물을 소개하기 어렵고, 이를 통한 인물의 자기 내면화와 정체성을 확립 및 가치관 정립을 하기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전제되어야 한다. 둘째, 북한에서 제한적 경로를 통해서 인식한 역사 인물의 인식의 경로를 정착지원 학교에서 확대해 주어야 한다. 탈북하기 전, 북한 내에서 교과서, 그림책, 구전을 통한 극히 제한적 경로를 통한 역사 인물 인식에서 벗어나 정보화 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매체에서 역사 인물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인식하는 열린 경로의 통로를 제공해 역사 인물에 대한 새터민 초등학생들의 개방적이고 확산적인 사고를 유도하는 방안도 고려 해 볼만하다. 주요어 : 새터민 초등학생, 부적응, 역사교육, 인물학습, 한국사인물

      •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특성과 통제가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석재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인 요양 병원 내 직원들의 상사특성을 알아보며, 통제에 따른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병원의 돌봄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보다 효과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병원의 상사특성은 직원의 능력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2.3%였다. 상사특성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배려성, 업무능력, 회계 및 재무능력 도전성 순으로 직원의 능력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배려성이 높을수록, 업무능력이 높을수록, 회계 및 재무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성이 높을수록 직원의 능력통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병원의 상사특성은 직원의 활동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47.8%였다. 상사특성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업무능력, 도전성, 회계 및 재무능력 순으로 활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업무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성이 높을수록, 회계 및 재무능력이 높을수록 직원의 활동통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배려성은 직원의 활동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통제수준은 직원의 상사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66.5%였다. 상사의 통제수준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능력통제, 활동통제 순으로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능력통제와 활동통제가 높아질수록 직원의 상사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사 특성과 상사신뢰의 관계에서 상사통제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능력통제와 활동통제는 상사특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업무능력, 회계/재무지식, 배려성, 도전성과 상사신뢰 간의 관계에서 능력통제와 활동통제는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상사의 업무능력과 회계 및 재무지식, 배려, 도전에 대한 조율안내, 지도의 능력에 맞는 활동통제는 상사신뢰를 높여 주는 변수임이 판명되었으며, 또한 상사의 특성에 따른 매개에 따라 상사의 신뢰를 높여주는 매개요인임을 입증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상사의 직무특성에 따른 배려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적당한 통제가 제공될 때 상사의 신뢰 또한 높아져 노인요양병원 서비스의 개선과 환자 지향적인 돌봄 서비스를 통해 수준 높은 서비스 실현이 가능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상사의 업무적 관심과 지도를 통한 적절한 직무특성에 맞는 역할과 함께 수행직원의 능력과 활동역할에 맞는 통제는 오히려 상사의 거부감이나 권위적인 일반 생각보다 적절한 통제와 조율이 상호신뢰를 높여주는 기제로서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됨을 시사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 산소농축멤브레인을 이용한 Elastase 저해펩타이드 발현용 재조합 Pichia pastoris 발효 및 정제공정 개발

        이석재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산 거머리로부터 elastase 저해능력이 이미 알려진 저해제에 비해 약 천배이상 강력하고 specificity가 매우 뛰어난 elastase 저해용 펩타이드인 guamerin이 한국과학기술원 강계원 교수 연구진에 의하여 세계최초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guamerin은 기존의 elastase 저해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 좋은 치료제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재)목암생명공학연구소에서는 guamerin RNA의 open reading frame에 해당하는 partial cDNA를 PCR 기법에 의해 methylotrophic yeast의 일종인 Pichia pastoris에 cloning하여 guamerin의 효능을 가진 elastase 저해용 펩타이드(EIP: elastase inhibitor peptide)의 효과적 발현체계를 확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토대로 재조합 P. pastoris GS115로부터 EIP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유가배양방식을 통한 고농도 배양공정을 확립하였고, 특히 고농도 배양시 항상 문제가 되는 산소공급의 문제를 농축산소공급을 위한 기체분리 멤브레인 시스템의 적용과 이를 이용한 DO-stat 방법을 정립함으로써 해결하였다. 그 결과로 최종 세포농도가 증가하여 고농도 배양을 달성하였고 비성장속도(μ) 및 EIP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아울러 발현된 재조합 EIP를 pH, 열처리, Rotofor system을 이용한 pH fractionation,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였고 분자량 및 등전점이 native form과 거의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다국적 기업의 기록관리 방안 연구

        이석재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동안 기록관리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물론 공공기관의 기록관리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영향력이 큰 대기업, 그중에서도 다국적 기업에 대한 기록관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 기업의 정의를 살펴보고 기록관리가 다국적 기업에 어떤 효용을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다국적 기업의 기록관리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다국적 기업이 기록관리를 통한 아카이브 설립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적 기업은 그 규모로서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사적 조직의 한계로서 그동안 기록관리 시행이 더디게 진행되어 왔다. 소수의 기업만이 기록관리를 진행하여 왔으며, 그나마도 그동안의 기업 역사를 위한 방편의 기록관리였다. 하지만 앞으로 세계시장에서의 다국적 기업에 대한 요구는 윤리성 제고를 통한 사회적 책임 준수에 집중되어 있다. 기업의 윤리성을 제고하는데 여러 가지 방안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다국적 기업이 기록관리를 진행하여 아카이브를 설립하는데 여러 가지 고려사항이 있다. 우선 여러 국가별 차이를 갖는 기록의 문화별·언어별 관리방안, 각각의 해당 지역 총괄 법인에 기록을 보존하는 분산관리식 아카이브 설립 또는 본사에 모든 기록을 이관시키는 집중관리식 아카이브 설립에 대한 선택 등이 바로 그것이다. 분산관리 아카이브는 언어·문화로 구분되는 국가별 정책 대응에 유리하지만, 기록의 보존·비용 및 통합 연구의 진행에 불리한 점이 존재한다. 이에 반해 집중관리 아카이브는 전 세계의 시장에 대한 전략 연구 진행과 상징성·보존전략 차원에서 장점을 갖지만, 해외 법인의 국가별 대응 방안에 단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해외 법인은 각각의 역할이 종료되거나 시장성의 약화 등의 이유로 언제든지 청산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결국 다국적 아카이브는 본사에 설치되는 것이 상징성 및 기록 연구 진행은 물론 기록 보존에도 용이할 것이다. 다국적 기업은 그 사회적 영향력으로 인해 높은 수준의 윤리성을 요구 받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다국적 기업 아카이브는 기업의 윤리성 및 업무 효율성을 제고해 줄 뿐만 아니라 경쟁 기업과도 차별성을 줄 수 있는 확실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국적 아카이브가 어떻게 설립되어야 하는지, 그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구체적인 다국적 기업의 현황 분석 측면이 부족했다. 차후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다국적 기업의 아카이브 설립이 촉진되기를 기대해 본다. Meanwhile, records management has been done mainly in public institutions. Of course, public institutions and social impact of the records management is important, but the big conglomerates,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which the need for a records management awareness is spreading.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to multinational enterprises looking at records management whether any benefits were having. In addition, records management practice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at home and abroad by analyzing the future of records management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established through the archives of the proposed measures. As multinational enterprises of all sizes and is giving a huge impact on society. But meantime, as a private organization, records management enforcement of the limit has been done slowly. Only companies with a handful of records management has been to proceed, don't even meantime, the history of the companies's records management was a way. But in the future demand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the world market through enhancing the Ethics Compliance is focused on social responsibility. Several companies plan to raise ethical exist, but in this study were to focus on records management Multinational enterprise continue to manage these records to establish an archive has a variety of considerations. First, with many regional differences in culture-specific, language-specific management plan of record, each record in the local general corporation established to preserve the Distributed Management archive or to relegate all the records in our intensive care choic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ve and just is it. Distributed Management archive which are separated by language, culture, regional policy responses to the glass, however, cost and integration of records preservation and progress of the study there are disadvantages. In contrast, centralized management of archives around the world continue to market research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strategy and symbolism, but in terms of benefits, drawbacks to the foreign corporation's country has countermeasures. But the end of the respective roles of foreign subsidiaries, or the weakening of market was closed for reasons such as are now in a position to at any time. After being installed at the headquarters to a multinational archives symbolism and history, as well as research in progress will be easier to record keeping. The social impact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due to high levels of ethical requirements has been. In reality, these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the archives of the Ethics and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differentiation, as well as with competing companies that can give will be able to perform certain roles. With this study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rchives I suggested. However, analysis of specific aspects of the status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was scarce. Been conducted for this portion of future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hope that this will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ve.

      • 건설업 정보화수준 측정을 위한 지수산정 방법론

        이석재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se days, there are much interests and investments in informatization increasing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induction of informatization has been pushed forward with high rank companies, and national policies such as CALS, CITIS, GIS are being planned progressively. In this current situation, setting up an informatization index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standardization of development. There are already many studies about developing an informatization index for the point of industry or national policy. However, there has been no informatization index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of an informatization index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t measures the information level of companies.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seven chapters listed as follows; Chapter 1 is about the research overview including the background, objective, research scope and method of study. Chapter 2 presents the concept of informatization index, analysis of the relative studies, the concept of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hapter 3 presents the composition of informatization index framework, the concept of two axis which composed of framework Chapter 4 presents two methodologies which verify the study, one is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purpose is calculating the informatization index, the other is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at makes a weight for overall informatization index Chapter 5 presents the results of informatization index by applying the framework, questionnaire survey, AHP. Chapter 6 presents analysis of the informatization index which were calculated. By studying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alyzing the area which composed of framework, analyzing the information level, not only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could be verified, but also this study indicates the present informational situa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hapter 7 presents the conclusions,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최근 정보화, 국제화 바람이 기업경영에 있어 거세게 일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에서도 정보화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의 관심과 투자는 대기업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CALS, CITIS, GIS등 국가정책의 일환으로서 여러 정보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설업에 있어서는 정보화에 대한 인식수준이 타 산업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고 또한 정보화 도입에 있어서도 아직까지 그 우선순위 및 현황을 파악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어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건설업에 있어 정보화 지수를 설정하는 것은 정보화 추진에 있어 하나의 기준을 제시하는 효과적인 수단일 될 것이다. 이미 정보화 지수는 국가정보화지수 파악이나 산업차원에서 정보화 수준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보화 지수관련 평가나 연구에 있어서 건설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설업의 정보화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화 지수를 측정하는 연구가 전무하다. 또한 건설업의 전체 정보화 수준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표본의 선정에 있어서도 일부 소수 대기업만을 측정대상으로 선정하여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관련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건설업 정보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건설업 정보화지수 측정방법론을 제안코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정보화지수 연구를 통해 정보화지수흐름을 파악하고, 각 연구의 장점과 단점, 특히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건설정보화의 정의와 현 건설업의 정보화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문헌과 실무자 인터뷰를 통해 도출해 내었다. 무엇보다 정보화 현황을 대표할 수 있는 평가영역과 각 영역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을 구성하는데 있어, 타 연구와 비교하여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합리적 설정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평가방법을 통해 실증적인 검증을 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지수종합화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AHP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정보화 지수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지수를 중심으로 결과분석을 시도하여 지수를 통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로서 산정된 일반건설업체 정보화 지수는 평균 67점으로서 나타났다. 중소업체에 있어서는 대기업에 비해 정보화 수준이 많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고, 대기업중에서도 편차가 많이 남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난 정보화지수는 본 연구에서 처음 시도된 것이므로 앞으로 연도별, 국가별, 산업별로 상대비교는 할 수 없으나,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그 변화를 관찰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출된 정보화지수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사실들을 발견해 내었고, 정보화지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요소의 기준으로서는 설문 평가항목, 평가영역, 설문응답기업의 시공능력순위, 정보화 순위를 위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건설업에 있어 현 정보화 수준을 파악함으로서 국가적 차원에서는 정보화 정책 및 사업에 있어 의사결정의 수단으로 쓰이고, 기업측면에서는 현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정보화 전략구축에 있어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정보화 우선순위를 도출해 냄으로서 정보화 투자방향에 있어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영자와 사용자들의 정보화 인식제고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할 것이다.

      • 魚類 毒性法을 利用한 水中의 有害物質 評價

        이석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폐기물 문제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가장 밀접한 환경문제의 하나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매립결과 발생되는 침출수와 황산염기 및 금속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광산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주변하천과 지하수 오염의 주원인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 도시하수와는 달리 유기오염물질을 비롯한 유해성 화학물질, 중금속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그 효율적 처리가 어렵고, 하천 유입시 수질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수역에 대표적으로 서식하는 어류 중 동자개, 붕어, 돌고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및 급·만성 독성 노출에 따른 영향을 관찰 하였다. 그 결과 어류가 독성에 만성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성장률 감소가 유발된다는 일반적인 가설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천, 호수 및 양식장 등에서 동자개가 Cyanide 농도가 1.90 ppm에 노출되면 치명적인 피해를 받을 수 있고 만성 농도 63 ppb이상에서 30일 이상 지속되었을 때 생존 및 성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급성 독성실험 결과 침출수에 노출된 붕어의 96시간 LC_(50) 값은 pH 5.21에서 형성되었으며, 만성 독성실험 결과는 침출수에 만성적으로 30일간 노출된 붕어의 생존·성장 및 산소 소비율은 pH 6.71 이상일 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독성물질에 대한 내성이 어류의 생육단계인 자어기가 성어기 보다 민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물학적 독성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화학적 독성 관리 방법의 문제점을 보안하고 수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체 중심의 수질관리체계의 구축 및 인류의 공중보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의 물 관리 시스템에 부합되는 통합적인 독성관리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Acidic shale mine drainage (ASMD) contains high content of mineral ions such as Al, Fe, and Mg. ASMD results in changes in aquatic environments and the reduction of diversity. Also, white colored precipitation at the point of ASMD injection to main stream might be originated by aluminium ion in ASMD. This causes physicochemical and social problem to users. Thus, ASMD in valley has to be neutralized and treated for the removal of mineral ions, before discharging to main water strea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ocused on evaluating various bioassay. The toxic impact of cyanide o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juvenile were examined and estimated 96hr LC_(50) value of cyanide was 1.90 ppm. Chronically, bagrid catfish were exposed for 30 days to the concentrations of cyanide at 63, 95, 190, and 380 ppb, representing 3.3, 5.0, 10.0, and 20.0% of the 96hr LC_(50), respectively.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affected after 10 days. Growth rates of the exposed group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28.06-60.63% to the control fish, Specific Growth Rate (SGR) were decresed as 1.50-4.72% and feed efficiency were declined as 6.10-11.90%. It can be concluded that if P. fulvidraco is chronically exposed to cyanide over 63 ppb concentration, the physiological damages might affect growth factors of the fish.

      • 內病外治藥物에 관한 文獻的 硏究

        이석재 圓光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韓醫學에서는 內科질환을 다스릴 때에 藥과 鍼灸위주의 처방이 내려지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는데,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外治法으로 다스려야 좋을 때가 있다. 內科에서 外治療法의 사용을 확대하고자 『黃帝內經』、『傷寒論』、『金匱要略』、『備急千金要方』、『東醫寶鑑』、『本草綱目』、『華佗神醫秘傳』、『急救廣生集』、『外治壽世方』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內病外治에 관한 기록은 『黃帝內經』에서 시작되었으며 內病外治의 用例가 가장 많이 실린 것은 250여례가 실린 『本草綱目』과 『外治壽世方』이다. 그래서 『本草綱目』은 本草전문서적일 뿐만 아니라 內病外治의 전문서적이라 할 수 있으며 『外治壽世方』은 內病外治의 用例가 36종의 內科病證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서 內病外治藥物의 전문서라 할 수 있다. 총 36종의 內科病證을 다스리는 內病外治하는 약물은 총 300여종이며 약물은 草木류에만 국한되지 않고 禽獸류、昆蟲류、穀食류、糞尿、흙、돌 등 다양한 약물이 여러 가지 病證에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여러 가지 병증에 폭넓게 사용되면서도 용례가 많은 약물은 酒, 薑, 鹽, 醋, 蔥, 大蒜으로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약물 위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서의 內病外治藥物에 관한 임상례를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에서의 例와 똑같이 사용된 것은 1例였을 뿐, 대부분의 약물이 본 연구에서 치료했던 예와 다르거나 본 연구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약물들이 새롭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전의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기 보다는 非科學적인 부분은 배제하고 현실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새롭게 발전시켜가는 양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치료한 內科병증을 多用度 순으로 살펴보면 頭痛、耳鳴?耳聾、傷寒、血證、痢疾、脚氣、癃閉、中風、瘧疾、便秘、痺證、泄瀉、霍亂、腰痛、黃疸、腹痛 등의 순이다. 실제로 病證이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병증은 頭痛-傷寒-咳嗽, 痢疾-泄瀉-腹痛 등의 病證으로 이러한 병증들에서 외치약물의 활용이 크다고 사료된다. 또한 약물을 足心에 敷貼하여 哮喘、胸痛、嘔吐、血證、泄瀉、痢疾、霍亂、便秘 등의 여러 病證을 다스린 것은 아주 독특한 방법으로서 앞으로 이에 대한 機轉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外治에 사용된 약물들의 효능이 內治했을 때의 효능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吳尙先이 『理瀹騈文』에서 “外治의 이치는 곧 內治의 이치이고, 外治하는 약물 또한 곧 內治하는 약물이다.”라고 말한 내용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外治요법으로 內科병증을 다스리기 위해 문헌적인 고찰을 통하여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外治요법의 기재가 적은 일부 병증에 있어서는 다른 문헌을 통하여 추가적인 작업을 진행시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