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상조 계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managing conflicts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conflicts (in terms of their roles, compensation levels, emotional sides, mutual interdependence, and communica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bosses, colleagues and family member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raised based on previously established research findings. A total of 20 detailed research hypotheses have been examined. Data was collected from 480 workers who worked in twenty-two elderly c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for a month between January 15 and February 15, 2016.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for Windows (version. 21) and AMOS (version. 18).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xamined. The salient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organization confli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at look at a multiple number of conflict factors at the same time, conflicts i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ides had a stronger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contrast, the mutual interdependence confli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ame to the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n work between organization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social support. However, the effect work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support. For example, support from colleagues at work indeed had a moderating effect to the c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while support from family had an opposite effect of raising the possibility of turnover intention. It implied that family members tend to encourage the worker' turnover intention rather than putting up with problems at work. As for support from bosses, it turned out the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though it had weaker positive moderating effect. Third, the workings of the moderating effect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flict and social support. In the case of conflicts related with roles and emotional aspects, it turned out that all types of social suppor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case of conflicts which are related to compensation, mutual interdependence, and communication, support from colleagues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However, family support had an opposite effect to strengthen the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thesis has expanded the research area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particularl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examining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faced by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important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elderly care services. The study also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lderly care management. The findings suggests that elderly care facility managers should take appropriate actions against curtailing factors that contribute conflict and lessening care workers'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social support programs for elderly have to be emphasized.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역할갈등, 보상갈등, 감정적 갈등, 상호의존갈등, 의사소통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 간 사회적 지지(상사, 동료, 가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요양보호사들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및 20개의 세부적인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2016년 1월 15일부터 2016년 2월 15일까지의 1개월에 걸쳐 경북지역 22개소의 노인요양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48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SPSS WIN v21과 AMOS v1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갈등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러 갈등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구조모델의 분석 결과 의사소통갈등과 감정적 갈등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하다. 반면에, 상호의존갈등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 내 갈등과 이직의도 사이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작용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서 다르게 작용하고 있다. 즉, 동료의 지지는 이직의도에 대해서 완충효과를 가져오는 반면, 가족의 지지는 오히려 이직의도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조직 내 갈등이 높아질 때 동료지지의 증가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가족지지의 경우에는 오히려 이직의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사의 지지는 긍정적인 완충효과가 있으나, 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조직 내 갈등 요인들과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서 조절효과의 작용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역할갈등과 감정적 갈등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 유형 모두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다. 보상갈등, 상호의존갈등, 그리고 의사소통갈등의 경우 동료의 지지는 이직의도를 줄여주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반면에 가족지지는 이직의도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로 작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조직 내 갈등요인을 중심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들 간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조직의 연구영역을 확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노인요양시설의 관리에 이론적, 실천적 기반을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관리자들은 실천현장에서 이직의도를 줄이고 양질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조직 내 갈등 요인에 대한 대처와 사회적 지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지하주차장 CCTV 카메라 설치방법에 따른 정량적 감시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이상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re are elements required in analysis of the space safety grade by CCTV cameras that consist of resolution, camera position,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camera.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angle of the camera as well as the resolution act as important variables in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evaluatio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long with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3 million pixels) and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2million pixels) have amended “The regulation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in order to raising the resolution of the CCTV camera, installed in the Multifamily housing site, up to the level of 1.3 million pixels. Even though installation of a high resolution CCTV camera is requested as a compulsory, it is insufficient for research materials considering how much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has been improved along with raising the resolution Moreover, although the performance could be improved through adjustment such as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of the CCTV camera, there are not adequate quantitative indicators to verify that the same surveillance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in spite of reduc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d how upgrade of the CCTV camera resolution affects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nd how changes in the process of the installation such as position and angle influence the indicators of the performance. First of all, this research presente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on an indoor space CCTV camera. It also used the surveillance safety grade as well as average score of that and the surveillance resolution as conventional surveillance performance indicators. "The average score" can be used as a measure of identifiable and recognizable levels through a CCTV footage and “ the resolution" can be utilized as an indicator measuring recognizable areas through the CCTV. Secondly, this study suggested standard indicators of the quantitative surveillanc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values derived through examination on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of the CCTV camera in the indoor space can be used as a minimum standard at the time of arranging the CCTV.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CCTV camera with 2.1 million pixels, specific installation standard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the surveillance safety grade is more than 50 points, the resolution is over 15 percent (more than 2 pixels per centimeter), and the effective monitoring area per one CCTV camera is less than 150 square meters. Lastly, this research verified the fact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at the time of arranging the CCTV camera had great influence on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Installing the camera with the same resolution and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ngle,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has been improved as follow: the average score level of the surveillance safety grade was improved minimum 7.4 up to 390.1 percent and the surveillance resolution level (more than 2 pixels per centimeter) was improved 3.6 up to 236.8 percent. In addition, deviation ratio of the surveillance resolution (more than 2 pixels per centimeter) depending on an operator’s skill level has been greatly reduced until 2.2 to 2.8 percent compared to the initial 12.2 to 16.1 percent.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indicators presented in this study resulted from a value by software simulations by 3 dimensional modeling of the current condition and thus it can be different from the value through the actual site verifi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urther research on the surveillance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on-site verification with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consumer sentiment index CCTV 카메라에 의한 공간안전도 분석에서 필요한 요소는 해상도, 카메라의 위치, 카메라의 기능과 성능 등이며 이중에서 해상도와 함께 카메라 설치위치ㆍ설치각도 등 설치방법 또한 감시성능 평가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서울시(130만 화소), 한국토지주택공사(200만 화소)와 함께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 단지 내 설치되는 CCTV를 130만 화소 수준으로 상향하는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였다. 이처럼 고해상도의 CCTV 카메라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지만 화소수가 상향됨에 따라서 감시성능이 얼마나 개선되는지에 대한 연구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CCTV 카메라의 설치위치나 설치각도 등의 조절을 통해서도 감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설치대수를 줄이더라도 동일한 감시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에도 이를 검증할 정량적 지표가 없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CCTV 카메라 해상도 향상이 감시성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CCTV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설치 각도 등 설치방법 변화가 감시성능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실내 공간 CCTV 카메라의 정량적 감시성능 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감시성능 지표로 감시안전도와 함께 ‘감시안전도 평균점수’와 ‘감시해상도’를 사용하였다. ‘감시안전도 평균점수’는 CCTV 영상을 통해 식별이나 인식 가능 수준의 척도로 사용가능하며 ‘감시해상도’는 CCTV 영상을 통해서 인식가능 영역을 정량적으로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정량적인 감시성능의 지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점이다. 실내 공간에서 CCTV 카메라 설치위치나 설치각도 등의 검토를 통해서 도출된 감시성능 값은 CCTV를 배치할 때 최저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210만 화소의 CCTV 카메라를 실내공간에 설치할 경우 감시안전도 평균점수는 50점 이상, 감시해상도( 2 pixels/㎝ 이상 비율)는 15% 이상, CCTV 카메라 1대당 유효감시 면적은 150㎡ 이하 등 구체적인 설치기준 제시가 가능하다. 셋째, CCTV 카메라 배치 시 설치위치와 설치각도 등이 감시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의 입증이다. 동일한 화소수의 카메라를 설치할 경우 설치위치와 설치각도를 고려하여 적용 시 감시안전도 평균점수 기준 최소 7.4%에서 최대 390.1%, 감시해상도( 2 pixels/㎝ 이상 비율)기준 최소 3.6%에서 최대 236.8%까지 감시성능 이 향상되었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감시해상도( 2 pixels/㎝ 이상 비율) 비율 편차가 당초 12.2%~16.1%에서 2.2%~2.8%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감시성능 지표 및 결과는 현장 상황을 3D로 모델링한 후 Software 시뮬레이션에 의한 값으로 실제 현장검증을 통한 값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 현장 검증과정과 일반인이 느끼는 체감지수를 바탕으로 한 감시성능 지표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전차선 제한높이(4.5m) 설명표지의 철도 건널목사고 예방효과 분석 및 개선방안 : 경원선 사례 중심

        이상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추상 철도 선의 높이 제한 (4.5m) 철도 횡단 사고 예방 효과 분석 및 개선 계획의 설명 이상조 (김시곤 수퍼바이저) 철도 안전부 철도 대학원 서울 과학 기술 대학교 철도 횡단 사고 후, 운영 기관의 유지 보수는 여전히 바쁜 유지 보수입니다. 나는 사고 예방의 원인과 분석을 분석하지만, 반복되는 사고가 계속되고있는 것은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 횡단 보안 장치의 유지 보수 및 새로운 개선을 통해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유도 기법을 사용하여 유지 보수 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해야한다. 결과적으로 사고 직후 재해로부터 신속하게 복구하고 위험한 원인을 제거하며 더 이상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 음을 입증 할 수있었습니다. 경험을 통한 안정성 및 신뢰성 사고의 원인을 분석하고 각 구성 요소의 중요성을 계산하기 위해 중앙 유지 보수 및 개선이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각 구성 요소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안전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평균 사고, 손해 금액 및 생명 피해를 계산함으로써 사고 재발 방지를 분석하기위한 기초입니다. 한편, 철도 차량과 철도 교차로에서 군용 차량의 무선 안테나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인한 사고의 문제가 최근 철도 횡단 시설 보안의 가시성을 향상시키고, 철도 운영을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하십시오. ABSTRACT Height limit of railway line (4.5m) Explanation of railway crossing accident prevention effect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LEE, SANG JO (Supervisor KIM, SI GON)Railway Safety DepartmentThe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railroad crossing accident, the maintenance of the operating agency is still busy maintenance. I analyze the causes and analysis of accident prevention, but it is true that repeated accidents are continuing. In this paper, maintenance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by concluding with induction method in order to improve drastically through maintenance and new improvement of railway crossing security device. As a result, we were able to quickly recover from the disaster after the accident, eliminate the unsafe cause, and prove that there were no further accidents. Stability and reliability through experience Central maintenance and improvement have been introduced to analyze the cause of an accident an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each component. It is the basis for analyzing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of accidents by taking the necessary actions for each component and eliminating safety hazards and calculating average accidents, damage amount, and life damage. On the other hand, it is hoped that the problem of accidents caused by life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the contact of the radio antenna of the military vehicle at the railway crossing with the railway line recently will improve the visibility of railway crossing facility security and manage the railway operation more stable.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 연구 : 일반인을 중심으로

        이상조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을 8회차로 설계하여 충청북도 청주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 종료 후 연구자가 구안한 10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해당 설문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2018년 3월 17일부터 10월 20일까지 8회에 걸쳐 충청북도 청주시 일원에서 진행한 이상조의 ‘다락방의 불빛’ 음악회에 참석한 일반인 631명 중, 설문에 응한 548명이다. 또한 설문은 3개 상위항목 ‘음악을 수용·사고하며, 음악에 대한 느낌을 표현함’, ‘음악적 감수성과 이해를 바탕으로 소통 능력 향상’,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프로그램’ 아래, 관련 문항 10개로 구성하였다. 둘째, 회차별 분석 시, 6회차를 제외한 모든 회차 설문점수 평균의 증가율(0.11%)이 0보다 큰 수치를 보였고, 직전 회차의 참여인원 특성으로 인해 특별히 증가율이 둔화된 6회차(-0.08%)를 제외하면 모든 회차의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다. 셋째, 문항별 분석 시, 소통능력 향상 관련 문항이 3.75(75.00%),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프로그램 관련 문항이 3.73(74.54%), 음악에 대한 느낌 관련 문항 평균 3.70(74.06%)로 나타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음악 감상 프로그램은 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흥미도, 음악에 대한 이해 순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넷째, 응답별 분석 시, 부정응답 증감율 –0.6%, 긍정응답 증감율 5.5%로 회차를 거듭할수록 대상자에게 점차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다섯째, 설문 결과를 참여빈도별로 분석하였을 때, 1회 참석자 설문점수 평균 3.18에서 2회 3.31, 3회 3.42, 4회, 3.53, 5회 3.78, 6회 3.81, 7회 3.89. 8회 4.0으로 나타나 참여 경험의 누적이 대상자의 음악 감상활동에 효과가 있었다. 여섯째, 분석결과의 원인은 회차가 진행될수록 스토리텔러의 역량이 증가하였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다수의 참석자가 차기 회차에 재참석 하였으며, 매 회차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피드백을 통한 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도를 높였기 때문이다.

      •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의 제작

        이상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도성 고분자 물질인 폴리피롤을 약물전달시스템 물질로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피롤의 약제 방출특성을 정성, 정량적으로 해석하였다. 폴리피롤 내부에 다양한 화학물질을 충진하고, 외부에서 전압을 인가하여 화학물질이 폴리피롤 외부로 방출되는 과정을 능동형 약물전달시스템에 응용하였다. 약물 방출에 관한 정성적인 특성은 지시약인 페놀레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실제 약제로 사용되는 salicylate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분석을 하였다. 폴리피롤 합성시 방출되는 약제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극면적, 합성시간, 인가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다양한 방출조건에 따른 약제의 방출량을 시간적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한 폴리피롤의 약제 방출 특성을 분석 후 약물전달시스템의 구체적인 응용을 위하여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한 방출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전기적인 힘에 의해 폴리피롤에 충진된 신경전달물질이 폴리피롤에 인가된 외부전압에 의하여 방출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를 신경계통 장애치료의 목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drug release properties of active drug delivery system(DDS) using volume change of polypyrrole(PPy). The incorporation of various chemical substances into the PPy and controlling its release with the externally applied voltage to the PPy are possible. In order to confirm possibility for drug delivery system qualitatively, phenol red which is one of the indicator was examined as a dopant of PPy. The applied voltage to the PPy electrode was set to -2V and this negative voltage makes the anionic phenol red released in saline solution. After qualitative analysis, in order to confirm quantitative drug release characteristic of PPy, salicylate which is one of the aspirin substance was used as a dopant of PPy. As a result, the salicylate release characteristics with time was thoroughly investigated while varying the electrode area, polymerization time, the applied voltage for drug release. Based on these quantitative results, a preliminary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e PPy applicable to the neuronal system. Neurotransmitter is used epinephrine as a dopant of PPy. As a result of experiment, a neurotransmitter was released from the PPy with the externally applied voltage and hence the PPy can be applicable in a neuronal system.

      • 인터넷 기반의 MPEG-4 VOD 서비스를 위한 지능적인 QoS 제어를 위한 연구

        이상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서의 패킷 손실 및 지연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이런 QoS 특징을 갖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MPEG-4 비디오 스트리밍을 할 경우 패킷 손실 없이 전송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인터넷에서의 패킷 손실은 대역폭보다 전송하는 비트율이 커질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지연의 크기와도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손실된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FEC로서 RS 코드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사용 하는 데 문제되는 것은 RS 복호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복호화 과정의 일부 알고리듬을 수정함으로써 복호화 시간을 단축하였다. MPEG-4 스트림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할 때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네트워크 QoS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미디어 QoS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손실이나 지연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FEC 레벨이나 서로 다른 비트율로 만들어진 레이어를 변경하는 NAFEC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율 변경하는 방법을 시간적인 계층 부호화를 이용하였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여 비트율을 자주 변경한다면 화면이 자주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현상을 줄이려면 시간적인 계층 부호화를 더 많은 계층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공간적 계층 부호화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의 2장에서 FGS에 대해 소개를하였는데 이 방법을 사용한 비디오 스트리밍이 궁극적으로는 이루어져야 한다. 시간적인 계층 부호화나 공간적인 계층 부호화는 계층을 나누는데 한계가 있지만 FGS는 이들보다 훨씬 다양하게 계층 부호화를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대역폭을 예측하여 그에 맞는 여러 계층으로 구분된 비디오 데이터를 골라 보내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MPEG-4 비디오 스트리밍에 관해 연구하였고 이 방법과 FGS의 계층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MPEG-4 비디오 스트리밍을 한다면 기존의 스트리밍 솔루션보다 더 좋은 능동적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ultimedia services have been accelerated by international standard activities such as MPEG and ITU-T. Series of MPEG standards also has been enriching on-line and off-line multimedia services. MPEG-4 includes very effective compression techniques, tools for storage, transport, search, replay as well as scalability and error resilience. In addition to these pushes of advanced techniques, market pulls more powerful Internet service. People at home can access broadband network via ADSL or digital cable modem. They require more attractive multimedia services over Internet. In spite of the technology push and market pull, the protocols of Internet can not satisfy these needs, since Internet is basically based on best effort policy which means that it can not guarantee quality of service (QoS that is delay and loss). Internet quality is time varying and not predictable. In order to keep endurable quality against time varying network condition, MPEG-4 video streaming services should be adaptive to network QoS. Some people suggested methods to change bitrates, FEC(forward error correction), or retransmission policy based on measured packet loss rate(PLR). I propose an intelligent QoS control technique in VOD system. First, estimate init bandwidth, and then propose network adaptive QoS control. This technique exploits both multiple-level FEC and bit rate control in order to sustain media quality even under very harsh network condition. Multimedia stream is managed in the unit of group-of-pictures(GOPs) and interleaved FEC technique is applied to each GOP. This paper, at first, provides analysis on loss and delay patterns of the current Internet, measured by using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and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Namely, as delay increasing, packet loss more often happen. Based on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 propose an effective adaptive QoS management technique, in which measured loss and delay pattern and PLR are used to select layer(s) of temporal scalability, level of FEC. This selection is also incorporated to the MPEG-4 error resilience tools and error concealment techniques. In order to minimize effect of packet loss, multimedia stream is segmented in the unit of group of pictures (GOPs) and interleaving and FEC are applied to the segment. Here, FEC is not used to correct bit errors, but used to recover lost packets by using erasure decoding technique assisted by RTP. 3 levels of FEC are used, which can recover whole packets completely when PLR in a GOP is less than 10%, 20%, or 30%, respectively. The proposed techn iques are applied to build a VOD system.

      • 웹 기반 받아쓰기 평가 시스템 설계

        이상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초등학교 4-6학년을 위한 '웹 기반 받아쓰기 평가 시스템' 을 개발 적용하여, 어릴 때부터 맞춤법에 맞게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맞춤법 지도로 활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받아쓰 기'인데 고학년으로 갈수록 시간 부족 또는 여러 가지 여건의 어려움으 로 지도가 소홀해지고 있다. 본 '웹 기반 받아쓰기 평가 시스템'에서는, 아동들이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읽기 교과서 문장을 중심으로 '보고 치기 연습', '듣고 치기 연습' 및 '받아쓰기 시험' 과정을 거치면서 바른 글자뿐만 아니라 띄어쓰기까지 학습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받아쓰기 시 험' 후에는 결과도 스스로 확인할 수 있고 틀린 문장은 다시 복습할 수 있으며 결과가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에는 다시 연습과정을 거쳐 언 제든지 '딴아쓰기 시험'을 치를 수가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있 는 교과서 문장 중 지도하려는 중요 문장을 교사가 선택하여 제시할 수 있고, 반 전체 아동의 학습 결과를 담임이 관리할 수 있어 받아쓰기 오류 경향 파악 및 수행평가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본 받아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 본 결과, 컴퓨터를 활용하여 학 습하는 것을 좋아하는 보통 아이들은 물론 연필을 잡고 공책에 글자 살 는 것을 싫어하는 아동까지도 받아쓰기 연습을 흥미롭게 할 수 있어서 맞춤법에 맞게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해 바른 글을 쓰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 자체가, 컴퓨터 상에만 왜곡된 인터넷 대 화 언어를 사용하는 경향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었다. The concept of this Paper is to help primary school students develop a habit of correct spelling durinng their primary school days through a Web-based spelling evaluation system for primary school students ranging from the 4tt through 6th grades. While the generally accepted method for spelling instruction in primary school is dictation, the reality is for many teachers to not to pay attention to a gradual course of instruction over the school year due to various difficulti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system is designed to allow the students to study for themselves without outside help, not only spelling but also word spacings, through modoles suchas'Simultaneous Viewing and TYping Training', 'Simultaneous Listening and Typing 'Training' and 'Dictation Testing through Key Phrases' in the Reading for oneself textbook. The merit of the system is that the students are able to ascertain their result scores immediatelY after testing, to study incorrect sentences repeatedly, and to test again anytime through the training course when test results do not Teach the desired goal. Additionally, it is possible for the teacher to choose from and add to the database important pharasesm and to identify certaih phrases where there has been a large number of student errors, since the teacher can view the results of all students. As the result fo application of this system , stuednts, particularly those who dislike paper and pencil study, are encouraged as well we asseseted to improve their spelling bacause they enjoy using an intersting computer application for dictation training. Additionally, the experience of using a computer to foster correct spelling assists in reducing the tendency of students to use distorted and potentially misunderstood terms in internet communications ('Chatting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