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이복순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중부대학교 대학원 보건복지경영학과 이복순 지도교수: 김대길 본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직의도 및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 및 직무만족 하위변인과 각각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 크기는 급여 만족, 직업 만족, 보상 만족, 관계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 만족 하위요인 중 관계 만족과 직업 만족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영향 크기는 관계 만족, 직업 만족, 보상 만족, 급여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은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를 부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가 있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경로에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및 사회적 지지가 매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경험이 직무만족 하위변인 중 관계 만족 과 직업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폭력피해 예방 정책 입안 시 우선순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가 폭력피해 경험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또한 직무만족을 덜 약화시킨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넷째, 방문요양보호사는 이용자 가정이 근로 장소인 관계로 폭력피해 발생 시 대처가 쉽지 않다.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별, 지역별로 구분 하여 폭력피해 예방, 대응, 사후관리 할 수 있도록 제도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 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와 함의를 바탕으로 폭력피해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를 특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인권을 보호 하고, 사회적 지지 연계로 직무만족을 느끼며 계속 근로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폭력피해 경험 방문요양보호사가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직하지 않고 돌봄 직종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방문요양보호사의 폭력피해 예방과 대처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의 사후관리를 위한 상담 및 치료 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폭력피해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 실태 파악 및 지원 을 함으로써 장기요양요원으로 계속 근로할 수 있도록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여섯째,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의 연 계를 위한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일곱째, 폭력성향이 있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맞춤형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폭언, 폭행, 성희롱 등의 예방 및 대처가 가능한 특화된 요양보호사를 양 성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본 연구와 관련하여 방문요양 폭력피해 경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 로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에도 불구하고 방문요양보호사에 대한 확률표집이 아 닌 비확률표집의 연구결과 도출에 대한 일반화라는 연구의 한계를 제시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확률표집의 연구 및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혼용형태를 제안 한다. 주제어: 방문요양보호사, 폭력피해 경험, 직무만족,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 조선시대 규방 문화와 차생활 연구

        이복순 원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의 핵가족화에 따른 자녀의 과잉보호와 이기주의적 양육방식은 그릇된 가정교육으로써 근본적인 인성문제가 발생되는 단초가 되었다. 이분법적 분리주의 사고는 타인을 대상화하고 도구화하여 개인적인 행복을 추구하고 물질적 소유에 관심을 가지게 한다. 차인들이 차를 마시는 요인은 차를 단순히 맛으로만 느끼지 않고 몸을 건강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심신의 안정을 주는 건강음료라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아울러 다도를 통해 예절을 배우고 바른 인격을 수양하는 정신적인 면이 강조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차를 마시는 것은 일상생활이 되었으며 차 문화에 관심을 갖고 차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도 대부분 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역할을 과거와 현재라는 시간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때 가장 크게 변화된 것이 현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라고 본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집안이 어려워지면 여성들은 생계를 책임지고 경제활동도 적극적으로 했던 정황으로 미루어 현대와 차별화된 변화라고 볼 수 없다. 그만큼 조선시대 여성들의 굳건한 정신과 가치관을 규방문화의 다양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서 주변 국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서 학문과 문학 활동이 더욱 융성해진 시기로 사대부들은 독서모임이나 차 모임 등을 만들어 차를 마시고 담소를 즐겼다. 차를 시문의 소재로 삼아 시(詩)·서(書)를 논하며 즐기고 차와 다구를 선물로 주고받으며 서로 소통하였다. 사대부 여성들은 규방에서 독서를 하고 바느질을 하였고 차를 마시며 시를 썼다. 차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사대부에게 일상다반사가 되면서 남성들의 전유물이라고 여겼지만 사대부의 문화를 가까이에서 접했던 사대부 여성들도 남성들과 마찬가지로 차 문화를 같이 마시기도 했으며 여성들 모임에서도 차를 마셨을 것이라 보여 진다. 또한 당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손님 접대를 중시했던 사대부 규방생활에서 며느리와 딸이 손님에게 차를 접대하였다. 그리고 차를 다양하게 활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미루어 사대부 여성들에게 독서와 함께 차생활을 향유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여성들은 혼례 이후에는 제한적인 주거환경 속에서 생활하였는데 여성의 생활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순종하는 현모양처의 모습 뿐 만 아니라 집안의 생계를 책임지고, 그 내면에는 학문을 익히면서 여성 실학자로 자리 잡았던 강인한 면도 있었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활용되었던 차 문화가 있었다. 본고는 조선시대 규방문화에 내재된 생활 양상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여 여성들의 차생활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올바른 예절 및 인성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한 방안으로 선조들은 다례를 행함으로써 인격형성과 사회성을 확립하고, 예절행동과 가치관을 심어주는 좋은 매개가 되었다. 이는 오늘날에도 적용하여 교육함으로써 올바른 차 문화 생활의 대중화가 국민들의 인성함양에 더없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규방문화에서 파생된 규방다례는 차 문화를 통한 생애 주기별 인성교육 및 사회성교육이 결합하여 자신의 가치를 깨닫고 나아가 상대방을 공경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인성으로 표출되고 있다.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보편화 되고 있는 현대에 들어와서는 이러한 차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이상의 덕목을 구현하고 다양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고 있는 것이다. 현대인의 교육적 가치관의 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절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꾸준한 차 문화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의 교육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차 문화 교육은 앞으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계발로 가정, 교육기관, 사회가 함께 연계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Overprotection and egotism of children in modern society caused a fundamental personality problem through wrong family education. Dichotomous separatism tends to target and tool others to pursue individual happiness and to be interested in material possessions. Tea drinkers come from the perception that tea drinking is a healthy drink that does not simply feel it, but keeps the body healthy, clear of mind and body. The tea ceremony also emphasized the mental aspect of learning manners and good character. In modern society, drinking tea has become a daily life, and it is mostly women who are interested in tea culture and do research on tea. In general, in terms of time, past and present, the biggest changes are the social advancement of modern women. However, if the family becomes difficult in the Joseon Dynasty, it can not be regarded as a differentiating change from the modern one because of the fact that women are responsible for their livelihood and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scholars and writers were more active in academic and literary activities due to active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Tea was used as a subject of poetry and prose, writing poems, and exchanging tea and tea as gifts. On the other hand, the women of the nobility read books, sew and write poetry while drinking tea. As the interest in tea grew and became a daily occurrence with the nobility but, it turns out that the upper class women who we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lture of the nobility drank tea, too. Also,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time, the daughter-in-law and daughter served tea to the guest in the royal court. In addition, the record shows that the upper class enjoyed reading and tea. During the Joseon Dynasty, women lived in a limited living environment after their wedding. Looking at the process of changing women's lives, there was not only the appearance of a genuine modern mother but also a strong person who was responsible for the livelihood of the family, learned to become a female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The paper started with curiosity about the living patterns inherent in the culture of women's quarters(Kyūbang) in the Joseon Dynasty and sought to explore the aspects of tea life among women. In order to effectively educate the correct etiquette and character, our ancestors established personality and social skills using tea ceremony, and planted manners and values. By applying this to our educational system today, I believe that the communization of the right tea life would be perfec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 of the people. Thus, the tea ceremony, derived from the culture of Kyobang, is a combination of personality and social education by life cycle through tea culture, realizing one's values and then pre In the modern age where women's social advancement becomes universal, the foundation of the tea culture will be set up to realize the above virtues and to live various lives. It makes us feel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tiquett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modern educational values. Through constant tea culture education, we can provide education of courtesy, filial piety, honesty, responsibility, respect, consider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at sense, the education of tea culture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in which society is linked together.

      • 民間保育施設의 非營利 保育法人化方案 硏究

        李福順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된 이래 지난 10여 년간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와 저 출산과 같은 사회적 요구와 함께 발전해 온 보육정책을 살펴보고 보육시설에 대한 현행 재정지원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국내자료와 관련 석·박사논문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 필요한 기초적 내용을 분석하였고 보건복지가족부, 여성부, 육아정책개발센터 등을 검색하여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본연구는 보육재정지원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육재정배분에 따른 문제점 파악하였다. 해외의 사례로는 일본의 민간보육시설의 법인화배경, 법인화방법, 효과 등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 사업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보육의 기능이 확대되어 왔고 육아양육에 대해 사회와 정부가 함께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1990년대이후 「보육시설 확충 3개년 계획」(1995~1997)의 실시로 보육시설은 외형적으로 크게 확대되었고, 보육 관련 예산은 2OO2년 이후 3배 이상 급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육시설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지원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낮은 상태이고 대부분의 아동은 민간에서 시장의 원리에 따라 서비스를 받고 있다. 선진외국의 공사 간 역할분담의 현황을 고려해 볼 때 현재 정부 부담율이 38% 에 불과한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정부 부담율을 확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이명박 정부는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을 표명하고 공보육과 서비스개선을 위한 추진방향을 수립하였다. 그에 따라 공보육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국공립보육시설의 확충을 우선 과제로 제시하였다.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국공립보육시설 신축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던 정부정책이였지만, 2OO8년 현재 시설 수는 전체 보육시설 중 13.9%에 불과하다. 반면에 전체보육시설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민간보육시설에 대한 국가의 재정지원은 아직 열악하다고 밖에 할 수 없다. 이러한 재정배분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보육시설과 민간보육시설간의 재정분담에 따른 형평성의 문제이다. 둘째. 민간보육시설의 경쟁력이 열등하다 셋째. 민간보육시설의 열악한 재정 상태로 특별활동비 수납 등으로 영리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그 일환으로서 셀러먼의 공사간 '협동적 동반자 관계 모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민간자본을 활용하는 민간보육시설의 비영리 보육법인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비영리 보육법인화 방안은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보육시설에 법인 자격을 부여하고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먼저 보육법인화의 자격을 갖춘 시설에 재정지원과 운영관리를 함으로써 민간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을 높인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녀들을 안심하고 보육시설에 맡기고 여성들은 자유로운 취업활동과 노동시장에 참여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민간보육시설의 법인화를 통해 절감되는 재원으로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때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은 「선택권 부여」 가 아니라 「수요자의 권리와 욕구에 기반 하는 보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영유아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보장하는 보육정책은 대한민국의 모든 영유아에게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보육서비스와 영유아와 기족, 지역사회의 개별적인 특성과 욕구에 상응하는 부가적인 보육서비스(농번기 보육, 야간보육서비스, 장애아서비스 등)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수요자중심의 보육정책을 위해서 국가는 인프라 확충, 재정 투입 등 더 많은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간자본을 공적자본으로 활용하는 효율적인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보육정책의 목표인 공보육과 서비스개선은 공공과 민간의 노력에 좌우될 것이며 이러한 노력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민간이 협동관계가 된다면 국가의 밝은 미래가 보장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ld care policy which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increase in number of females making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demands such as low birth rate in the last 10 years since infant care act was introduced in 1991 and to analyz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olicies of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to propose a measure for improvement in the financial support policy.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and the necessary fundamental data was analyzed focusing on domestic data and masters and doctorate thesis and the statistical data was collected by searching Ministry for Health, Wealth and Family Affairs,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Especially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distribution of child care related reserve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focusing on the method of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Overseas examples such as the background of incorporate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Japan, how Japan managed to incorporate child care facilities and its effect have been examined and implications have been found. Korea's child care industry has been becoming larger with social changes and the necessity of supports from society and government has been reinforced. In 1990s the number of child care facilities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3 year plan for child care facility reinforcement」(1995~1997), and the budget for child care facilities have increased for more than 3 times after 2002. Nonetheless, the government support for child care facilities are not still up to the level of advanced nations and most children are being taken care of by the principle of private market. Considering the role share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in advanced nations, the rate of government support, which is currently only 38%, for child care facilities in Korea must be reinforced immediately. President Lee Myung Bak's cabinet has announced the child care policy focusing on demands and has established the direction for promoting public child care system and service improvement. Therefore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have been selected as a priority task in order to construct the basis of public child care. The construct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at requires a significant fund has been executed as a part of government policy, but only 13.9% of total number of child care facilities are public facilities as of 2008. However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which account for 80% of total child care facilities, is still poor. The problems caused by unbalanced financial distribution are as below. First is the issue of equity in distribution of fund between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Second is the issue of poor competitiveness of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Third is the issue of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becoming profit making organization, such as receipt of special activity fee, due to their poor financial statu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measure for establishing non-profit transfer-making incorporated child care facilities which make use of private capital with Salamon's 'Model of Cooperative Companion Relationship'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is measure gives the status of incorporation to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in order to reinforce publicness and is to construct an active national supporting system. The expected outcome of this study may provide improved quality of private child care facilities, which have been incorporated, and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And females may enter into employment market as they are able to leave their children at a reliable child care facility and this may produce social economic benefit. Finally the child care policy focusing on demands can be expected by making use of saved financial resources. Generally the child care policy focusing on demands should be based on 'child care service based on the right and desire of customers' instead of 'providing the right to choose'. A child care policy that can guarantee the proper growth and development if all infants shall provide general service that is provided to all infants in Korea as well as additional service that may meet the demands of families and local socie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desires (child care during farming season, night time child care service and service for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provide child care policy focusing on demands, the government shall construct national infrastructures and inject capitals. To achieve such goal, an efficient measure of using private capital as public capital is necessary. Public child care and service improvement depend on the effort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a bright future of the nation may be guaranteed if the government shows an active attitude towards public child care service and if public and private sector may cooperate together.

      •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복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440명의 담임교사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담임교사를 통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어머니를 통해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을 측정하였다. 최종 298명 (남155, 여14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으로 spss v 21.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나타난 주요결과들을 살펴보면 첫째,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 사회적 유능감 수준은 사회적 유능감하위요인인 또래관계기술,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 긍정적 대인관계,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온정 수용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특히 정서조절영역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 전반적인 사회적 유능감은 연령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 및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나 양육행동의 수준이 증가한다고 해도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은 변화하지 않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또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높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수준이 긍정적이라도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셋째 양육행동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서열이 첫째인 경우 온정 수용의 수준이 높았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확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양육행동 거부제제와 허용방임은 이용 총 기간이 4년 이상일 때 허용방임의 수준이 가장 높았다. 넷째 하루 평균 양육참여시간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있어서 양육참여시간이 2시간 이상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고 2시간 미만일 때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양육참여시간 2시간을 기준으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는 3년에서 4년일 때 사회적 유능감하위요인인 또래관계기술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녀의 수가 1명일 때 보다 2명일 때, 정서조절에 있어서도 1명보다 2명일 때 또래관계에 있어서도 1명일 때 보다 2명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외동보다 형제자매를 통하여 사회적 유능감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결과로 유아에게 관계중심의 환경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어머니보다 유아교육기관임을 확인하였고 유아의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위해서 관계중심의 환경을 구성해줄 필요가 있다.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은 대인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하루 2시간 이상 양육시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킴에 있어 어머니 개인적 역할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역할의 중요성을 나타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의의는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해서는 맞벌이를 하는 부모, 가정 양육을 하는 부모 모두에게 유아를 양육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는 환경이 제공 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적 측면에서 자녀 양육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정책제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유아보육 및 기관에는 사회적 유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내용과 방법등을 제고하는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외동자녀에게 관계중심의 환경을 제공하여 준다면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지막으로 유아보육 및 기관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behavior on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ir parents from 3 to 5 years old, Through the homeroom teachers, we measured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infant and the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behavior through their parents. We used spss v 21.0 as a statistical program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 level of social competence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ge of infants and the age of 2 was higher for warming. And the acceptance of rejection was high in the mother of one year old infant. In the case of accepting warmth among the mother 's paren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brother, the level of warmth acceptance was high when the brother' s order was the first. Also, peer relationship skills among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total period of u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highest at the period of 3 years to 4 years. In addition, the rejection of the parenting behavior and the tolerance of the parenting behavior were the highest at the level of allowance for more than 4 years. The lowest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behavior, social competence, and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less than 30 minutes. The highest parental involvement time was 2 hours or more, and the lowest at 2 hours or l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behaviors, and social competence did not change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r parenting behavior. The mothers 'psychological well - being decreased as the level of mother' s parenting behavior increased. Thir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Fourth, in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on social competence, mother 's parenting behavior did not affect the expansion of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Also, even if mothers' psychological well - being level was high and mother 's parenting behavior level was positive, it had little effect on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e relationship also has nega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suggested.

      • 한국교회의 문제와 대안에 관한 연구

        이복순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교회가 당면한 문제와 대안을 살펴보기 위해 가장 먼저 교회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시작으로 교회의 존재 이유,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하여 고찰해 봄으로 한국 교회가 당면한 문제를 짚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살펴보았다. 제1장 서론에 있어선, 한국 교회가 위기 가운데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위기를 알지 못함으로 주님이 세상 가운데 교회를 두신 하나님의 뜻에서 멀어져만 가는 한국 교회의 문제가 무엇이며, 또한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들에 대하여 교회의 본질과 사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교회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 교회의 개념과 존재이유 그리고 교회가 부여받은 사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본 논문이 밝히고자 했던 한국 교회의 문제와 대안에 대하여 많은 문헌들을 통하여 고찰해 보았다. 한국 교회가 지금 직면하고 있는 이기적이고 세속적인 성공주의와 부흥을 위한 상업주의, 물량주의, 청중들을 의식한 말씀의 타협 등으로 말미암은 한국교회의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올바른 교회관의 정립과 교회의 사명 회복, 교회의 주인의식 회복,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하나님 말씀의 바른 선포, 참된 목자 의식 회복, 그리스도의 사랑 회복의 주제로 살펴봄으로 한국 교회가 참된 교회로 한걸음 더 다가갈 것을 고찰해 보았다. 제4장 결론에선 본 논문을 통하여 논자가 제시한 한국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대안에 대한 제안들을 살펴보았다. 교회는 하나님을 위해, 세상을 위해, 교회 자체를 위해 존재하는 하나님이 택하여 부르신 공동체의 모임이다. 이러한 교회 공동체는 자신의 유익을 위함이 아닌 하나님의 부르심의 뜻을 위하여 존재하여야 한다. 그것은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의 말씀을 들고 세상으로 다시금 파송되어 모든 민족으로 제자를 삼는 일이다. 이것이 교회가 부여안은 가장 아름다운 사명이며 이것이 교회만이 희망이 되는 이유이다. 교회가 세워진다는 것은 단순한 건물의 세워짐을 말하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 가운데 이루어지는 것이며,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는 것이다. 한 영혼이 죄에서 돌이킴으로 온전한 회개로 말미암은 구원에 이르는 것이 하나님 나라의 확장이 실현되는 것이다. 지금 한국 교회 안에 만연한 지극히 세속적이며 세상적인 가치관에서 뜻을 돌이키고 말씀 선포와 사랑의 수고를 아끼지 않는 참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할 때, 하나님의 통치가 한국 교회와 모든 성도들 가운데 온전히 임하게 된다. 예수님의 공생애 모든 사역은 하나님 나라의 승리였다. 그의 말씀, 행위, 죽음, 그리고 부활에 이르기까지 하나님 나라의 궁극적인 승리와 쟁취를 확실하게 만든 사탄의 권세에 대한 첫 번째 승리였다. 예수께서 악한 영, 귀신을 쫒아내신 사건이 바로 사탄이 파멸되고 하나님이 나라, 하나님의 통치가 임하게 된 승리인 것이다. 이 승리가 바로 교회의 승리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주님께서 이땅가운데 교회를 구별하여 세우신 온전한 뜻이다. 하늘에서 하나님의 온전한 뜻이 이루어진 것 같이, 이 땅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 말씀의 확신을 가지고 교회는 세상을 향하여 나아가야 한다. 선택하심과, 부르심, 세우심에는 주인의 분명한 목적이 있다. 교회가 하나님이 구별하여 선택한 자들의 모임 공동체라면 분명 하나님은 이 모임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이루시고자 하신다. 성령의 아홉 가지 열매의 다양함을 통해, 교회의 유익을 위한 다양한 은사를 통해서 교회를 세우시려는 주인의 분명한 뜻이 있다. 지상교회가 존재함은 이 거룩한 뜻으로 이 땅 가운데서 승리하는 교회가 되는 것이다. 교회의 부흥, 목회의 성공은 하나님의 관심사가 아니다. 두 세 사람이 함께 하는 곳도 하나님은 교회로 여기시며 저들과 함께하신다고 약속하셨다(마 18:20). 그러고 보면 교회의 세워짐은 철저히 하나님 주권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보암직하고 먹음직한 목회, 부흥을 위해 말씀을 수단으로 사용하는 죄 된 모습들을 보이고 있다. 오늘날 많은 목회자들이 목회의 무거운 짐으로 인해 과로, 탈진 등에 시달리고 있다. 혹여나 이 열심에 나 자신을 위한 잘못된 목회의 누룩이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목회를 정의 할 때 주님을 위해 내가 수고하고 노력하는 것이 목회라 말한다. 그런데 목회는 내가 ‘하는 것’이 아닌 그리스도의 목회에 내가 ‘참여’하는 것이다. 교회는 성공의 자리가 아니다. 교회는 단 시간에 많은 결과물들을 만들어 내는 곳도 아니다. 교회는 농부처럼 심고, 믿음으로 싹이 날 때를 기다리는 곳이다. 그리고 추수할 수 있을 때 까지 잘 가꾸고 보호하는 곳이 교회이다. 이 일은 내 노력이 아닌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으로만 온전히 이룰 수 있다. 지금이라도 한국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말씀을 바르게 선포하고 그 말씀으로 교회에 맡기신 영혼들을 예수님의 사랑으로 목양할 때, 한국 교회는 하나님의 온전한 말씀으로 교회의 지상 사명을 감당하는 충성하는 교회가 될 것이다. 이것이 논문을 통하여 주장하고자 하는 바이다.

      • 미술중재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복순 대구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중재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로써,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미술중재활동이 학습부진아의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은 구미시 O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부진아 5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 기간은 2008년 9월 3일부터 10월 25일까지 매 회기마다 40분씩 주 2회 8주간 총 1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미술중재활동은 변미숙(2006)과 김유미(2007)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실험 대상 아동의 연령과 미술활동 수준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의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SPSS/PC+ 14.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중재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미술중재활동을 통해서 자신을 보다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인식을 하며, 하면 된다는 자신감으로 과제나 역할 수행에 적극성을 보이는 등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미술중재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자신의 완성된 작품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을 통해서 친구들 앞에서 내재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단체 활동을 해 봄으로써 적극적인 참여의식과 자신감을 가지는 등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미술중재활동은 학습부진아의 학업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산만하고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느꼈던 아동들이 회기별 미술중재활동을 하면서 주의 집중하는 자세가 좋아졌으며, 학습에 참여하려는 의욕과 노력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고 학교생활에 열의를 보이는 등 학업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미술중재활동은 학습부진아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가정에서의 자기 생활을 돌이켜보고 가족들의 보살핌과 사랑을 다시 한번 확인해봄으로써 가족들의 사랑과 서로 아끼고 배려하는 마음을 느끼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등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art Intervention activities on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and the specific study problem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Intervention activities on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cademic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of art Intervention activiti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5 Underachievers in grade 2 of an elementary school in Gumi City, and the term of experiment was from September 3, 2008, to October 25. each session was 40 minutes and 2 sessions a week were held for 8 weeks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art Intervention activities were based on the art therapy program of Mi-sook Byun(2006) and Yoo-mi Kim(2007), which was restructured to fit the age and art activities standard of the subjects. The self-esteem measurement tool of Bo-ga Choi and Gwi-yun Jeon(1993) were restructured and used as an evaluation tool. The material was put through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of the SPSS/PC+ 14.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to find out difference of average value before and after experiment, and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a .05 significance standar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rt Interven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general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Through art Intervention activities, children understand themselves in a more positive light and realize they are important. They also showed confidence and were active about executing projects, which showed improved general self-esteem. Second, art Interven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They looked at their final work and talked about it, which allowed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in front of friends and work as a group. This led to improved social self-esteem that gave them an active sense of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Third, art Interven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Children who had a short attention span and lacked confidence showed better concentration each session, and gained a will to participate and work hard and also showed passion about school life, which led to improved academic self-esteem. Fourth, art Intervention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family self-esteem of Underachievers. By looking back on their role in the family and reconfirming the love they receive from their family, they realized that their families love and care for each other, which led to improved family self-esteem.

      •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 및 대인애착에 미치는 효과

        이복순 목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Play-Meditation on the mindfulness, emotional st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of mothers with the mothers of infants as the subjects. The research topics chosen according to such research purpose are as below. 1. What are the effects of Play-Meditation Program on mindfulness? 2. What are the effects of Play-Meditation Program on emotional stability? 3. What are the effects of Play-Meditation Program on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4. What changes does Play-Meditation Program show on mindfuln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moth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s above, the study has proceeded in the order below.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city"K". Pamphlets holding the propose of the research and Play-Meditation program were sent and promoted.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of 30 mothers that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15 of them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5 were assigned as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e research is the tool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present recognition, concentration, critical acceptance, and decentralized focus on mindfulness of Park, Sung-hyun(2006). For emotional stability of mothers, the measurement tool used by Yoon, Young Chae(2006) was applied on anxiety, tension, concerns, fear, satisfaction, tranquility, confidence, and optimism. Also, the attachment pattern standard of Lee, Joo-il(2004) which readjusted the measurement tool of Hazna and Shatver(1987, 1990) was used for the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measurement. The SPSS WIN 140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in the study. To prove the effect of the Play-Meditation, the T-test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simila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wards, a paired T-test was oper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ith the data of before and after on mindfulness, emotional st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The conclusion made with the result of the study are below. The level of mindfulness of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Play-Meditation was operated through the experiment increased compared to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First, in the area of present recognition, concentration, critical acceptance, and decentralized focus which are the subordinate sections of mindfulness, the group that carried out the Play-Meditation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execute it. Therefore, the Play-Meditation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mindfulness of mothers. Second, emotional stability of moth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carried out the Play-Meditation increased compared to the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go through the program. The entire emotional stability point increased, and the points of tension, anxiety, and fear which are the subordinate areas of emotional stabilit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carry out the Play-Meditation. Also, confidence and optimistic behavior which are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stability of the experiment group rose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points of positive satisfcation and calmness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it didn't have any meaning statistically. Therefore, in result of the research, the Play-Meditation increased the points of overall emotional stability of mothers, decreased the negative emotions of tension, anxiety, concern, and fear, and improved the positive emotion of confidence and optimism. Hereby, i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Play-Meditation is effective in emotional stability. Third, the Play-Meditation showed meaningful effects statistically in comparison of after and before on the entire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of mothers. Also, in evasio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nd stability attachment which are the subordinate areas of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evasion attachment and anxiety attachment of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Play-Meditation was operated decreased and stability attachment increased. Therefore, the Play-Meditation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of mothers. In the study, the program was structured for the Play-Meditation to increase mindfulness, and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that the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actually improved in their mindfulness and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human relationship attachment through the Play-Meditation. Through the Play-Medication of the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not only the mindfulness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influenced, but it also it could contribute greatly to a happy family and the rold of a mother. Also, through the proceeding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continuance by operating a further experiment.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 및 대인애착 증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1.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 어머니의 마음챙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2.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 어머니의 정서안정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3.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 어머니의 대인애착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4. 놀이명상 프로그램에 참가한 유아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에 관한 개념의 준거에 대한 변화정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K시의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와 놀이명상 프로그램 안내문을 발송하여 홍보하였다. 놀이명상 프로그램의 참가신청을 원하는 어머니 30명에 대한 동질성을 고려하여 15명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다음 15명은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 도구는 박성현(2006)의 마음챙김에 대한 현재자각과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및 탈중심적 주의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안정은 긴장과 불안, 근심과 두려움, 만족과 평온함, 자신감과 낙관의 윤영채(2006)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대인애착척도는 Hazan과 Shaver(1987, 1990)의 측정도구를 정리한 이주일(2004)의 애착유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놀이명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음챙김, 정서안정, 대인애착을 실험 전과 실험 후에 실시하여 나타난 자료를 가지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해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실험연구를 통해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이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어머니들에 비하여 마음챙김 수준이 향상되었다. 첫째, 마음챙김의 하위영역인 현재자각과 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과 탈중심적 주의의 영역에서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놀이명상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마음챙김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전체 정서안정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정서안정의 하위영역인 긴장과 불안, 근심과 두려움의 점수가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감소되었다. 그러나 긍정정서인 만족과 평온함의 점수는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정서안정의 자신감과 낙관의 점수는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놀이명상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정서안정의 증진에 있어서 긴장과 불안, 근심과 두려움의 감소에 효과적이며, 자신감과 낙관의 긍정정서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혔다. 이로써 놀이명상 프로그램은 정서안정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에 부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전체 대인애착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어머니의 대인애착의 하위영역인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이 감소하고, 안정애착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놀이명상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대인애착을 향상사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마음챙김 수준의 향상과 정서안정과 대인애착을 증진시키고자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유아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놀이명상 프로그램 프로그램 을 통하여 마음챙김 수준이 향상되고 정서안정이 부분 증진되었으며, 대인애착이 증진되었다. 놀이명상 프로그램을 통하여 행복한 가족관계와 어머니 역할의 지원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본연구의 제한점으로 추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결과의 지속가능성을 검증해 보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

      • 간세포성장인자 신호 전달계에 의한 STAT3의 지연형 활성화 유도 물질의 동정

        이복순 아주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Met은 ligand인 간세포성장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 HGF)와 결합 하여 세포의 증식, 분화, 이동, 그리고 신생 혈관 생성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생물학적인 활성을 가지게 된다. 한편 HGF/Met 신호 전달계의 이상 증진은 세포의 암화를 초래할 수 있다. HGF/Met 신호전달 활성화에 의해 여러 신호전달분자들이 모여드는데 그 중에 STAT3는 Met의 세포질 부위에 결합하여 세포내에 신호를 전달한다. 이 signal transducer의 활성화는 직접적으로 전사를 조절하고, HGF/Met 신호 전달계에 의해 암화 된 세포에서 STAT3는 계속적으로 활성화되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 조사 결과 흥미롭게도 HGF/Met 신호전달에 의해 STAT3의 활성이 상당한 시간 경과 후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잘 알려진 시스템인 IL-6에 의한 STAT3의 인산화와 비교하여 보면 훨씬 늦게 인산화 현상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지연된 STAT3의 인산화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기작에 의해 나타난 것인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NIH3T3세포에서 Trk-Met fusion protein을 과발현 시키고 NGF로 자극하였을때, 2시간 뒤에 STAT3의 인산화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STAT3의 지연형 인산화). HGF를 직접 처리한 경우에도 이러한 현상을 Chang cell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Chang cell의 경우 6시간 이후에 STAT3의 인산화가 현저히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 현상이 HGF/Met 신호 전달계의 직접적인 결과가 아니고, 중간에 매개하는 새로운 물질이 있을 가능성을 생각하여 cycloheximide 또는 actinomycin D를 전 처리 하여 각각 단백질 합성과 mRNA전사를 저해 시켜 보았더니 STAT3 의 인산화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었다. 또한 HGF 또는 NGF 처리 후 지연형 인산화가 일어나는 시간까지 배양된 conditioned media를 별도로 준비된 세포에 처리 하였더니 이번에는 훨씬 빠른 시간인 15분 만에 STAT3가 인산화 되었다. 이는 새롭게 합성된 물질이 세포 밖으로 분비 되며, 이 물질에 의해 STAT3가 인산화 된다는 것을 시사 하고 있다. 이 물질이 무엇인지 동정하기 위해 STAT3를 인산화 시키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여러 후보물질의 양적 변화를 RT-PCR로 확인하여, IL-6의 발현이 ligand의 유무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보았다. 나아가 recombinant human IL-6가 Chang 세포에서 단 15분만에 STAT3를 인산화 시키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IL-6에 대한 중화 항체가 STAT3의 지연형 인산화를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HGF/Met 활성화에 의해 생성된 STAT3의 지연형 인산화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유발하는 세포의 분비 물질이 IL-6라는 것을 동정하였다. Met is a receptor tyrosine kinase which mediates pleiotropic cellular responses following activation by its lig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lso known as scatter factor). Activation of HGF-Met signaling is known to play potentially important roles in tumorigenesis. STATs mediate many of the cellular responses that occur following cytokine, growth factor, and hormone stimulation. STATs are activated by tyrosine and serine phosphorylation, which normally occurs as a tightly regulated process. Constitutively activated STATs have been found in many tumors. In this study, we observed delayed phosphorylation of STAT3 by activation of HGF-Met signaling in Sm Met transfected cells and Chang cells. NIH3T3 cell line was transfected with Trk-Met^(sm) and Trk-Metsm to exclude the effects of endogenous HGF and Met. The phosphorylation of STAT3 following treatment with NGF(100ng/ml) was checked by Western blot analysis. RT-PCR, 2D electrophoresis and MALDI-TOF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possible mediator(s). We found the tyrosine phosphorylation of STAT3 from 2 hours after the activation of HGF-Met signaling. The delayed phosphorylation of STAT3 was blocked by pretreatment with cycloheximide and actinomycin D. Interestingly, the conditioned media treated with NGF for 2 hour induced phosphorylation of STAT3 just within 15 miniute when applied to the new culture of NIH3T3 cells. Thus, we supposed that a newly synthesized product was released from the cells, which leads to the phosphorylation of STAT3 on themselves. when we treated human Chang liver cells with HGF, we could observe essentially the same results. To identify the soluble product, we performed RT-PCR for several cytokines which have known to induce activation of STA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duction of IL-6 mRNA 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the lignd. Furthermore, treatment of Chang cells with rhIL-6 resulted in STAT3 phosphorylation within 15 miniute. In addition, IL-6 neutralizing antibody dramatically reduced STAT3 phosphorylation, suggesting IL-6 was the secreted protein inducing delayed phosphorylation of STAT3 following the activation of HGF/Met signaling.

      •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복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루재활에 필요한 개별화되고 총체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3차병원 일반외과 외래에서 정기적으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20세 이상, 대장암으로 인한 장루보유자이며 장루형성술 후 5년 이내의 장루보유자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82명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Rosenberg self-esteem scale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고, Zimet 등(1988)이 개발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Ware와 Sherbourne(1992)에 의해 개발된 일반적 삶의 질(SF-36)과 Prieto등(2005)에 의해 개발된 장루관련 삶의 질(Stoma-QOL)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전화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받은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6.29±3.49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3.33±0.65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평균 45.25±12.97점, 정신적 건강은 평균 44.93±14.83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장루관련 삶의 질은 평균 34.85±17.92점으로 삶의 질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은 연령(r=-.27, p=.01), 결혼상태(F=4.18, p=.00), 교육수준(F=4.71, p=.00), 가구수입(F=4.34,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연령(r=-.29, p=.00), 결혼상태(F=4.48, p=.00), 교육수준(F=5.30, p=.00), 가구수입(F=7.96,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교육수준(F=4.17, p=.00), 가구수입(F=4.13, p=.00)에서 정신적 건강은 결혼상태(F=3.76, p=.01), 교육수준(F=3.48, p=.01), 가구수입(F=2.69, p=.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장루관련 삶의 질은 결혼상태(F=3.29, p=.02), 교육수준(F=6.16, p=.00), 장루보유 후 직업변화유무 (t=-2.17, p=.03), 가구수입(F=5.52,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자아존중감은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2.30, p=.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장루보유기간(r=-.31, p=.00),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3.16,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은 피부합병증(t=-2.18, p=.03),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3.64, p=.00)에서 정신적 건강은 피부합병증(t=-2.00, p=.04),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2.63,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장루관련 삶의 질은 피부합병증(t=-2.59, p=.01),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t=-4.55, 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5. 일반적 삶의 질의 신체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구수입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신체적 건강항목에 대해 3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일반적 삶의 질의 정신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이었으며, 정신적 건강항목에 대해 38%를 설명하였다. 장루관련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이었으며, 장루관련 삶의 질 항목에 대해 3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낮고 일반적 삶의 질과 장루관련 삶의 질도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별한 경우와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장루보유 후 직업변화가 있는 경우, 가구수입이 적을수록 피부합병증이 있는 경우와 장루용품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감이 있는 경우가 삶의 질이 낮았고, 자아존중감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장루보유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사 및 환자 교육프로그램과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with colon cancer. The subjects consisted of 82 ostomates who were registered in a general surgery department of the E hospital and the A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08 to June 30, 2008 using structured questionaries including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Medical Outcome Surve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SF-36), and a stoma-specific quality of life(Stoma-Q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Program. The actual number, percentag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self-esteem was 26.29, social support was 3.33, Physical Component Summary(PCS) of SF-36 was 45.25, Mental Component Summary(MCS) of SF-36 was 44.93 and Stoma-QOL was 34.85.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age(r=-.27, p=.01), marital status(F=4.18, p=.00), educational status(F=4.71, p=.00), monthly family income(F=4.34, p=.00), financial burden(t=-2.30, p=.02), and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age(r=-.29, p=.00), marital status(F=4.48, p=.00), educational status(F=5.30, p=.00), monthly family income(F=7.69, p=.00), length of time since ostomate surgery(r=-.31, p=.00), financial burden(t=-3.16, p=.00), and in PCS according to educational status(F=4.17, p=.00), monthly family income(F=4.13, p=.00), skin problem(t=-2.18, p=.03), financial burden(t=-3.64, p=.00), and in MCS according to marital status(F=3.76, p=.01), educational status(F=3.48, p=.01), monthly family income(F=2.69, p=.03), skin problem(t=-2.00, p=.04), financial burden(t=-2.63, p=.01), and in Stoma-QOL according to marital status(F=3.29, p=.02), educational status(F=6.16, p=.00), occupational change after ostomate surgery(t=-2.17, p=.03), monthly family income(F=5.52, p=.00), skin problem(t=-2.59, p=.01), financial burden(t=-4.55, p=.00). 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r=.43, p=.00), between self-esteem and PCS(r=.50, p=.00), between self-esteem and MCS(r=.57, p=.00), between self-esteem and Stoma-QOL(r=.50, p=.00), between social support and PCS(r=.28, p=.01), between social support and MCS(r=.42, p=.00),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oma-QOL(r=.41, p=.00), between PCS and Stoma-QOL(r=.67, p=.00), between MCS and Stoma-QOL(r=.73, p=.00). 4. 33% of variance in PCS was explained by self-esteem, monthly family incom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self-esteem. 38% of variance in MCS was explained by self-esteem. 36% of variance in Stoma-QOL was explained by self-esteem. As a resul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Thus, efficient and various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ostomates should be developed and to improve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