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병희 작품론 : 지지환경(支持環境)으로서의 조각 어린이 놀이터 "얘들아 노올자~"

        이병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95

        미술전반에 만연한 형식적이고 권위적인 태도는 소통의 부재(不在)를 낳았다. 이에 대한 반성은, 세상에 유익한 행복한 삶에 기여하는 보다 직접적인 미술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갖게 하였다. 한 아이의 엄마로서 아이의 교육과정에 동참하면서 엄마의 참여가 아이에게 지지가 됨을 보게 되었다. 그리하여 놀이를 소통의 출발점으로 보고, 부모의 존재가 내재(內在)된 <어린이를 위한 놀이터>를 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획에서부터 연구작품의 제작, 리허설, 팜플렛, 전시진행, 사후평가 등 연구작품에서 파생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한다. 미술이론적 접근은, 실용미술 · 공공미술 · 환경예술 · 과정예술의 형식을 포함하며 초현실주의적 상상을 보인다. 연구작품제작을 위한 아동심리학적 배경은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하였으며, 내용 전달을 위한 형태 차용에 심리적 근거를 가진다. 연구작품의 구성은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연구작품들은 '엄마' 내지는 '세상'의 은유적 표현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내용과 형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질료와 색채선택의 타당성을 갖고자 하였다. 놀이의 기능은 접촉을 유도하고, 그것은 참여가 되며 소통이 된다. 놀이는 흥미를 유발하여 친화력을 갖는다. 아이는 참여를 통해 활성화되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아이와 부모와의 신뢰를 형성하여 친밀감 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인간이 행복한 삶을 만들어 가는데 조각이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재미있으되 가볍지 않고, 구체적 삶을 놀이의 장(場)이 되게 하였다. <놀이터>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 일반인에게 미술전시회에 대해 친근함을 갖도록 하는 것, 조각을 가깝고 재미있고 즐거운 것으로 인지시키는 데 기여하는 일이다. 조각이 있어 생활이 더 풍요로워지는 일이다. 연구자의 <놀이터>는 내용을 전제로 한, 심리적 배경을 가진 <놀이터>라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복합기능을 갖거나 변형의 가능성은 자유와 창의를 가능하게 한다. 조각이라는 기본 틀을 바탕으로 한 열린 자세로의 접근은, 자유로운 상상과 자유로운 형태를 가능하게 하였다. 작은 변화가 큰 독창성이 될 수 있었다. '엄마'가 만들어 주는 <놀이터>는 보다 따뜻하고 다정하다. The formal and authoritative attitude prevalent in the whole fine art gave birth to absence of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reflecting on it, it becomes necessary to be more directly active in fine art which contributes to a happy life profitable to the world. Participating in a curriculum for children as the mom of a child allowed me to see that mom's participation supported him. Thus, I saw play as a starting point of communication, and came to produce A Pleasure Resort for Children to which the presence of one's parents is intrinsic. The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 all processes derived from a research work from planning to producing the work, a rehearsal, a pamphlet, developing exhibition, and post evaluation. When it approaches to art theories, it includes the forms of practical art, public art, environmental art and process art. And sometimes shows surrealistic imaginations. The background of child psychology for producing a research work is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Y and psychology of borrowing forms for conveying substance. The research work is broadly classified into five things, and each one was made a metaphorical expression for 'a mom' or 'the world'. Also, it clar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substance and form and tried to have validity in choosing materials and colors. Play functions as provoking contact, which leads to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t also provokes interest and friendship. A child becomes active through participating in it and can acquire a sense of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achievement. Besides, he has an effect on contributing to increasing a sense of intimacy with his parents by forming trust with th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sculpture can directly intervene in man making a happy life. An interesting but not light, concrete life was made the area for play. Man is at the center of A Pleasure Resort for Children. It contributes to causing the public to be familiar with an art exhibition and to recognize that sculpture is familiar, interesting and pleasant. Sculpture makes life more abundant. A Pleasure Resort for Children by the researcher is discriminative in that it has psychological background presupposing substance. Its complex function or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makes possible freedom and creation. The approach to the open attitude based on the basic frame of sculpture, made possible free imagination and forms. Small change could lead to great originality. A Pleasure Resort for Children made by 'a mom' is warmer and tenderer.

      • 부모의 학업기대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

        이병희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을 살펴보고, 부모의 학업기대가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을 밝힌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 수준을 밝힌다. 셋째, 부모의 학업기대와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 간의 관계를 밝힌다. 넷째, 부모의 학업기대가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연구는 중학교 경도지적장애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Campbell(1994)이 제작한 Inventory of Parental Influence(IPI)를 구본선(2004), 김종덕(2001), 이재구(2000)가 번안하고 수정한 항목들을 참고하여 오명희(2007)가 초등학생용으로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학습동기를 분석하기 위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김용래(2000)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검사하기위한 학교학습동기(School Learning Motivation)' 척도를 참고로 하여 김영진(2011)이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 검증, F 검증,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업기대는 학업압박보다는 학업지지가 높다. 그리고 학교 형태에 따라 부모의 학업기대를 조사한 결과, 특수학교 지적장애학생은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 보다 부모의 학업압박 및 학업지지를 더 높게 인식한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 형태에 따라 학습동기 수준은 차이가 있다. 특수학교 지적장애학생은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 보다 학습동기 수준이 더 높다. 그리고 부모의 학업기대 수준에 따른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를 조사한 결과, 부모의 학업기대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학습동기 수준이 높다. 셋째, 부모의 학업기대와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는 관련성이 있다. 특히 부의 지지기대와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 간에 가장 높은 관련성이 있다. 넷째, 부모의 학업기대는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 가운데 부의 학업지지가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를 가장 잘 설명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모의 학업압박, 부의 학업압박, 모의 학업지지 순으로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를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학업지지가 더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아버지에게서 학업압박을 높게 받고 있고, 어머니의 학업압박이 더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어머니에게서 학업지지를 높게 받고 있다. 따라서 아버지는 자녀에게 심리적 위안을 주고 긍정적으로 수용해주는 태도를 보여주고, 어머니는 자녀에게 적절한 심리적 통제나 관심을 주는 것이 자녀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type perceiv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n exploring influence of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upon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it clarifies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clarifies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it clarifies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and learning motivation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it clarifies influence of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upon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research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9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middle school. To analyz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type perceiv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used a tool that Oh Myeong-hui(2007) reconstr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referring to the items that Gu Bon-seon(2004), Kim Jong-deok(2001), and Lee Jae-gu(2000) adapted and modified Inventory of Parental Influence(IPI) made by Campbell(1994). To analyze the learning motivation, it used a tool that Kim Yeong-jin(2011) made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n order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asily understand by referring to Kim Yong-rae(2000)'s School Learning Motivation scale for testing th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PASW Statistics 18.0(SPSS 18.0) program.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and Scheffé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perceiv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cademic support is higher than academic pressure. And, as a result of surveying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according to school form,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school recognize parents' academic pressure and academic support more highly than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class. Second, there is difference in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according to school form attended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school are higher in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than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class. And,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level, the group with parents' high academic expectation level is higher in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than the group with parents' low academic expectation level. Third, the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and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relationship. Especially, there is the highest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supportive expectation and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parents' academic expectations have influence up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ut of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types, a father's academic support is explaining the best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next is explaining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of mother's academic pressure, father's academic pressure, and mother's academic support.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to increase th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middle school, the father's academic support is more needed. However, the students are actually receiving father's academic pressure more highly. Mother's academic pressure is more needed. In reality, the students are receiving mother's academic support more highly. Accordingly, children's learning motivation is helped with being improved by what a father shows attitude of giving psychological comfort to child and accepts positively and what a mother gives properly psychological control or interest to child.

      • 뇌동맥 협착을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 137명의 전향적 연구

        이병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의미있는 동맥경화성 뇌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3월에서 2006년 3월까지 뇌동맥 조영술상 동맥경화에 의한 동맥 협착을 가진 137명의 환자에서 동시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50%이상의 뇌동맥 협착을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빈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137명 중, 70명(51.1%)에서 관상동맥 협착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38명(54.3%)은 하나의 동맥 협착, 23명(32.9%)은 두 개의 동맥 협착, 8명은(11.4%)은 세 개의 동맥 협착소견을 보였다. 다발성 뇌동맥 협착과 두내강내외 동맥 협착소견은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군에서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70명 중, 37명은 임상증상이나 기왕력이 없었다. 하나의 관상 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무증상 빈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결론: 뇌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높은 관상동맥 질환의 빈도를 보여 뇌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관상동맥 검사가 동반되어야 한다. Background and Objective: To assess the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significant atherosclerotic cerebral artery stenosis Method: Between March 2002 and March 2006, coronary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a single session for 137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cerebral artery stenosis documented during cerebral angiography. The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was evaluated in patients with significant cerebral artery stenosis (> or = 50%). Results: Of 137 patients, significant stenosis of coronary artery was found in 70 (51.1%) patients with significant stenosis of cerebral artery. Among 70 patients, 38 (54.3%) patients had one-vessel disease, 23 (32.9%) had two-vessel disease, eight (11.4%) had three-vessel disease and four including one with significant stenosis of all vessels had left main coronary disease. Multiple involvement of cerebral artery stenosis or combined lesions of intracranial and extracranial artery stenosis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coronary disease patients. Of 70 patients with significant stenosis of coronary artery, 37 did not have the clinical history and symptoms of coronary artery disease. One vessel disease of coronary artery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out previous coronary artery disease (p = <0.0001). Conclusion: Our study confirms the high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significant cerebral artery stenosi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he extent of cerebral artery disease. This seems to justify the coronary evaluation in patients with significant cerebral artery disease.

      • 광산폐수의 처리에 천연제올라이트의 적용성 연구

        이병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earch which it sees in order to use zeolite in control of the mine waste water, It examines zeolite heavy metal removal qualities and application possibility in control of the mine waste water. The results were concluded as follows: 1) .The Quantity of Cu, Cr, Zn, Mn, Pb, Ag, Cd removed were 30.18, 20.13, 27.76, 23.76, 167.47, 104.10, 39.15mg in Na-exchanged zeolite Test. This results were high quantity that compare natural zeolite. Na-exchange is essential in order to use zeolite in control of the mine waste water, 2) Gushing experimental result was found differently along Absorption preference. Pb and Ag which the high absorption preference shows gushed quantity of 1%. Mn, Zn, Cu which the low absorption preference shows gushed quantity of 60%. In order to use zeolite in removal of heavy metal, It is right for the low preference to use in removal of heavy metal. 3) Mn removals did not become accomplished well from Column experiments, because of Zn flow with a high concentration. It means the stay time which is longer the case which will apply zeolite in control process than will be necessary.

      • 민간비영리 조직을 통한 보건의료 R&D 방향 설정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

        이병희 을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민간비영리 조직을 통한 보건의료 R&D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료는 보건의료 R&D 투자 확대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1(의사, 약사 등 보건의료 현직자 12명)과 전문가 집단2(대학교 기부 관련 담당자, 교수, 비영리재단 임원 등 16명)로 나뉜 두 전문가 집단에게 각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의견의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CVR(Content Validity Ratio)와 전문가들의 의견 합의도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 희귀난치성 질환이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치료법 개발 등의 ‘개발연구’와 ‘응용연구’ 분야에 재원이 투자되어야 하고, 민간기부 기금조성 주체로 정부 기관에서 인증 받은 법인으로 ‘보건의료 NGO’ 형태가 적합하다고 하였다. 현재 기부 문화를 저해하고 있는 요인으로 ‘세금 부과 제도, 리베이트 쌍벌제 등의 기부 저해제도’와 ‘기금조성을 하는 사람의 동기부여 부족’, ‘기금조성 전담 전문가 부족’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R&D 기금조성을 위한 모금 전략은 소수의 고액 기부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거나 고액 기부자와 소액 기부자의 균형을 맞추어야하고, 모금 대상은 ‘법인 혹인 기업기부자’, ‘개인기부자’에게 모금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 촉진을 위한 캠페인 전략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 문제에 대한 목적성을 명시하고, 기관의 신뢰, 투명성에 대한 타당성을 공지해야 하며, 민간에 의한 사회적 투자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미래 고성장 사업인 보건의료 R&D 분야 발전을 위해 민간비영리 조직을 통한 방향성 제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의 민간비영리 조직 모금 인프라의 법적·제도적 미비점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민간비영리 조직을 통한 보건의료 R&D에 대한 사회적 투자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민간을 대상으로 기부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다양한 기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간호사의 정서전염 민감성과 이타행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위로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병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정서전염 민감성이 이타행동을 매개로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자기위로능력이 정서전염과 이타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여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20대부터 50대 이상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13부를 제외한 총 290명의 자료를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의 상관 분석 결과, 간호사들의 정서전염 민감성이 높을수록 이타행동을 많이 하고, 심리적 소진을 덜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위로능력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전염 민감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이타행동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타행동이 심리적 소진과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위로능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위로능력의 수준이 높은 사람은 이타행동을 할수록 심리적 소진에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지만, 자기위로능력이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이타행동을 할수록 심리적 소진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전염과 이타행동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위로능력이 조절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위로능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전염과 이타행동이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 뿐만아니라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모든 고객응대근로자들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심리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emotional contagion sensitivity of nurses influences their psychological burnout with their altruistic behaviors as a medium, and whether the self-soothing ability affects the psychological burnout b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contagion and the altruistic behaviors. For this, survey has been conducted for nurses in their 20s to 50s and residing across the country. Of these, excluding 13 copies containing unreliable responses, data from 290 nurses in total was analyzed using SPSS 21.0.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respective variable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contagion sensitivity of the nurses, the more altruistically they behaved and the less psychological burnout they experienced. It was also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ir self-soothing abilities, the lower their psychological burnout became.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contagion sensitivity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was partially mediated by altruistic behaviors. Third, the effect of altruistic behaviors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turned out to be moderated by the self-soothing ability. It was shown that, for people with high self-soothing ability, increased level of altruistic behaviors resulted in no or less psychological burnout while, for people with low self-soothing ability, increased level of altruistic behaviors resulted in increased level of psychological burnout. Fourth, when the emotional contagion and altruistic behaviors affect the psychological burnout, the self-soothing ability was shown to play a moderated mediation rol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soothing ability, the more effect it had o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the emotional contagion and the altruistic behaviors. This study may be used as a useful data for coming up with psychological intervention measures to prevent and treat the psychological burnout experienced by not only nurses but also all workers facing customers.

      • 손끝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소 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변화연구

        이병희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손끝놀이가 취학 전 발달지체 아동의 소 근육 운동기능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양천구 소재의 공립유치원 특수학급에 입급 되어 있는 생활연령 5~7세 발달지체유아로 전문 의료기관에서 발달지체와 자폐로 진단 받은 2명의 취학 전 유아들이다. 실험은 1주일에 3 회씩 각 회기 당 30분간 총 20회기를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소 근육 운동기능발달 검사를 위해서는 국립특수교육원의 KISE 발달척도를 사용하였다. 손끝놀이가 취학 전 발달지체 아동의 소 근육 운동기능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본 사전, 사후 검사 점수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끝놀이 활동은 취학 전 발달지체 아동의 정교성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손끝놀이가 발달지체아동의 소 근육 운동기능 중 지각운동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영역은 소 근육 하위항목 중 가장 높은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집중에 어려움을 겪는 산만한 아동에게 높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손끝놀이가 취학 전 발달지체 아동의 쓰기능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손끝놀이 활동이 발달지체아동의소근육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집단따돌림관여행동에 관한 연구

        이병희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집단따돌림 관여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초등학교 학생의 공동체의식 함양과 집단따돌림예방을 통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하여 한국 사회의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발전시키는데 있어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U지역 태권도 수련중인 초등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450부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차이에서 성별, 품(단) 급, 참여 동기, 수련기간, 수련 횟수, 학교성적, 가족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집단따돌림관여행동의 차이에서 성별, 참여 동기, 수련 횟수, 학교성적, 가족 수, 종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이 집단따돌림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무시·소외, 조롱·놀림, 욕설·협박, 강탈·구타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타인존중의식, 봉사정신은 무시·소외에. 타인존중의식, 준법정신, 봉사정신, 협동정신은 조롱·놀림에. 타인존중의식, 준법정신은 욕설·협박에. 타인존중의식은 강탈·구타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ty spirit and bullying and provide the scientific foundation that would develop the students’ community spirit and prevent bullying. This foundation is expected to guide the students to build harmonious human relationship and to become sound citizens of Korea. In this study, 500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who resided in U area of Gyeonggi-do were surveyed, using the questionnaire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450 sets were analyz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sion 18.0. In addition to them,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methods and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ommunity spirit in relation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level), motive of participation, training period, training frequency, school grade, and number of family members. Seco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group bullying participatory behavior(i.e., the behavior to engage in group bullying) in relation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depending on the gender, motive of participation, training frequency, school grade, number of family members, and religion Third, in relation to the effect that the community spir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have on the group bullying participatory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community spirit partially influenced the disregard․alienation, ridicule․mocking, swearing․intimidation, extortion․physical abuse. Moreover, it turned out that the respect for others and service spirit had an influence on disregard․alienation, while the respect for others, abidance of law, service spirit, cooperative spirit had an effect on ridicule․mocking. Additionally, the respect for others and abidance of law influenced the swearing․intimidation. Meanwhile, the respect for others influenced the extortion․physical ab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