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nowledge Tracing 을 적용한 문항 추천

        이병준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63

        Knowledge Tracing 은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지식수준을 추적하여 개별 학습자의 능력을 파악하고, 다음 문항의 정답 확률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Knowledge Tracing은 주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이나 학습 관리 시스템과 관련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 경험을 개선하고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Knowledge Tracing을 통해서 문항의 정답 확률은 알 수 있지만, 어떤 문항을 추천해야 하는지는 알 수 없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Knowledge Tracing 모델을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문항을 추천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Self-Attentive Knowledge Tracing모델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문항 정답률을 예측하고, Greedy Search를 사용하여 타겟 문항을 해결할 확률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문항 시퀀스를 추천한다. ASSISTment2017 벤치마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천된 문항 시퀀스를 해결했을 때의 타겟 문항의 정답 확률이 그렇지 않을 때의 정답 확률보다 효과적으로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 Three Phase Theory를 기반으로 한 램프미터링 알고리즘 연구

        이병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f Ramp metering Algorithm Based on Three Phase theory By Lee, Byung-Ju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Advised by Prof. Kim, Young Chan There is a const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traffic each year and there are only finite road accommodations to regulate this expansion, To Resolve this dilema, there has benn ongoing reasearch regarding the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echnique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and Ramp metering System is one of them. Road characteristic factors and environment should be taken consideration I order to choose an Ramp metering operation and to utlize all the required variable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Congestion speed in Three Phase theory,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ongestion speed value. B.Kerner(1999) who announced Three Phase Theory are determined that synchronized flow state move moving jam state In the probability range. This Study perform the ramp metering algorithm based on three phase theory. This algorithm have a limitation which has hard to decide Variables called Congestion Speed. So Divided by Analyzing Actual detector COMPARE DATA and TARGET DATA. then In order to select the correct Congestion speed, Dividing the Scenario and analysis Simulation using Vissim 6.0 tool. When designated as 40km/h is used for the value of the most widely measured 18,903Veh/5H throughputs. other Results which is COMPARE DATA appears Same simulation results, Congestion Speeds are within the 40km/h ~ 45km/h range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at this Study destination's Congestion speed Range is 40km/h ~ 45km So Using Decided Variable that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that served as an alternative considering current status and Ramp metering based on Three Phase Theory and ALINEA Ramp metering Algorithm 최근 3년 동안 고속도로 및 도시고속도로의 교통량이 5%정도 늘어남에 따라 차량의 지체와 대기행렬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램프 및 하류부 교차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관련연구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연속류의 수요관리를 목적으로 램프미터링 기법이 떠오르고 있는데, 이 기법은 연결로에서 본선으로 진입하는 교통류의 흐름을 본선의 용량이 넘지 않게 신호로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이런 램프미터링 기법중 Three Phase Theory를 기반으로한 램프미터링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연구로 기존의 Three Phase를 기반으로 하는 램프미터링인 ANCONA 램프미터링 알고리즘의 한계점인 미터링 변환속도의 기준을 국내의 실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1달 단위 실측데이터를 수집하여 Three Phase를 기반으로한 램프미터링에 기준을 삼을 수 있는 데이터 값을 5가지 기준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날짜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해 램프미터링의 효과가 최적으로 되는 미터링 변환속도를 찾았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을 통해 결과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램프미터링 변환기준을 각 날짜에서의 Synchronized flow의 속도분포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균값을 결정하고 Two Phase기반의 램프미터링 알고리즘이며 상류부에서 검지를 할 수 있는 ALINEA 방식과 현재 연구대상지에서 수행하고 있는 TOD 방식의 램프미터링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ANCONA방식으로 램프미터링을 수행하였을 때 ALINEA 방식보다 교통량은 10%, TOD 방식보다는 15%더 대상지점을 통과시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본선의 통행속도 측면에서 역시 Breakdown이 발생하고 Free flow로 Phase가 변환할 때 제일 먼저 본선이 평균속도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램프미터링을 수행함으로서 램프부에 생기는 대기행렬 길이 또한 ANCONA 방식이 제일 먼저 해소되며 평균대기행렬길이가 1,168m로제일 짧게 측정이 되었다. 이를 통해 Three phase Theory기반의 램프미터링 알고리즘을 본 연구대상지에 적용하여 타 알고리즘과 비교해본 결과 ALINEA 방식보다 Jam상태를 빠르게 해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두 가지 미터링 방식에 의해 본선속도가 기준 속도보다 낮아질 때 램프부에서 진입하는 교통량을 차단함으로써 본선의 소통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며 본 이론을 주장한 B.Kerner의 말대로 Phase를 더 자세하게 나누어서 미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속도와 밀도가 높은 상태에서의 교통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본선의 통행을 효율적으로 운영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알루미늄 AC4CH합금주물의 냉각속도 변화에 따른 기계적 물성 예측 및 전산모사 적용

        이병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알루미늄 AC4CH합금주물의 경우 자동차, 선박, 중장비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AC4CH합금주물의 경우 제품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으나 다양한 제품들과 합금성분들의 첨가에 따라 주조 공정조건을 결정하고 기계적 성질을 예측하는 것에는 아직도 시행오차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경량화 실현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주물의 경우 자동차, 선박, 중장비 제품에서의 기계적 강도가 요구됨에 따라서 주조공정 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커지고 있다. 제품에 따라 필요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조공정 중 금형 및 사형의 재질, 온도, 금형에서의 Cycle 시간, 냉각조건 등을 적절하게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조공정 시 제품의 냉각속도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상관 관계식을 도출하여 냉각속도에 따른 알루미늄 AC4CH 합금주물의 기계적 성질을 예측하였다. 계단 형상의 Y-블럭 몰드를 제작하고 각 두께마다 열전대를 삽입하여 온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주조실험 시 약 5∼6초간 용탕을 주입하여 주입온도부터 고상선까지 응고되는 과정에서 응고시간 및 응고속도를 파악하고, 각 두께(20, 30, 40, 50mm)의 시편을 채취하여 조직, 경도, 인장실험을 시행하였다. 또한 응고시간과 응고온도 과정을 열유동해석프로그램(ZCAST)을 이용하여 실험결과를 비교하고, 시뮬레이션 결과의 내력, 인장강도, 연신율, 경도값을 Y-블럭의 경도와 인장실험값으로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한 제품은 소형 선박에 이용되는 AC4CH 주물생산 프로펠러로 금형중력주조공정을 적용하였으며, 주조 후 표면처리를 함으로서 기계적 성질도 우수하고 내식성도 좋은 제품으로 생산된다. 특히 프로펠러의 날개부분은 냉각속도에 따라 기계적 성질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금형온도의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위의 실험에서 도출된 관계식을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금형온도에 따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예측하였으며, 실제로 공정조건에 적용한 결과 안정적이고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기계적 물성을 만족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 공기 중 톨루엔의 개인노출 및 생체시료 상관성 분석 : 작업환경, 산업단지 장외영향, 일반환경을 중심으로

        이병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Exposure to toluene in the air may occur 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where toluene is frequently used as a solvent.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toluene may be measured in residence indoor air from the use of common household products and in residents near industrial complex. We may be exposed to toluene from many sources, including drinking water, food, air, and consumer products, and may also be exposed to toluene through breathing the chemical in the workplace or during deliberate glue sniffing or solvent abuse. Therefore the researches for exposure to toluene are needed, considering toluene has been known as a reproductive toxicant and central nervous system depression. Exposure assessment can be carried out directly such as person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or indirectly methods. In this study, the toluene levels of personal exposures and urinary hippuric acids of biological monitoring were measured in occupational environments, area affected by industrial complex and general environments. And then relationship among them was regressed. Average personal exposure levels of toluene in occupational environment, area affected by industrial complex and general environments were 33.69 ppm, 0.0305 ppm and 0.0096 ppm, respectively. And average hippuric acid, metabolite of toluene, concentrations were 1.02 g/g creatinine, 0.40 g/g creatinine and 0.25 g/g creatinine in occupational environments, near the industrial complex and general environments, respectively.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person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toluene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area affected by industrial complex and general environments, whereas showed the increasing trend i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s. Combining the total measured data,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between person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on toluene was 0.41. This study sugges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could be obtained by combining the levels measured by general environments (low), area affected by industrial complex (medium) and occupational environments (high). With this relationship, reference values of urinary hippuric acid were estimated by standards or reference values of personal exposure to toluene.

      • 저널치료를 통한 갈등부부들의 자기자각 경험에 대한 연구

        이병준 백석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들이 부부집단 저널치료를 통해 어떠한 자기자각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고 그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분석하여 저널치료가 어떤 심리적 현상과 과정을 거쳐 개인의 정신건강과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저널치료에 참여한 갈등 부부들의 자기자각 경험과 의미는 무엇인가? 저널치료에 참여한 갈등 부부들의 자기자각 과정은 어떠한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에 따라 이론적인 고찰과 함께 선행연구들을 개관하였고, 참여자들을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과 면담자료를 통해 수집된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4개의 주제와 19개의 주제군으로 명료화하였다. 주제군 1. 후회와 아쉬움 주제군 2. 이기적 삶 주제군 3. 갈등회피 주제군 4. 분노투사 주제군 5. 자신의 상처발견과 이해 주제군 6. 배우자의 상처발견과 이해 주제군 7. 배우자 재인식 주제군 8. 배우자 재인식에 따른 감정 주제군 9. 안도감 주제군 10. 내재된 자원 주제군 11. 입장 바꿔 보기 주제군 12. 문제 재인식 주제군 13. 자기표현 주제군 14. 분노 조절 주제군 15. 합리적 갈등해결 주제군 16. 자발적 수고 주제군 17. 자존감 향상에 따른 변화 주제군 18. 동반 성장 주제군 19. 신앙정립 분석 결과는 첫째, 갈등부부들의 자기자각은 그동안 자신이 살아온 삶을 돌아보게 되면서 반성하고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생의 뚜렷한 목적의식도 없이 살아왔고, 하고 싶었던 일을 하지 못하고 살아왔으며, 상황과 감정을 직면하지 않고 도피해온 삶에 대한 것이었다. 또 자신의 게으름으로 인해 배우자에게 원하는 것을 주지 못한 것이나 원가족 부모를 원망만 하고 살아온 삶에 대한 후회였다. 부부관계를 돌아보게 된 참여자들은 부부갈등의 이면에 자신의 이기적인 삶의 태도가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특히, 부부갈등에 대해선 갈등 자체를 회피하는 성향을 보이거나 상대방을 더 비난하고 공격하며 독선적인 말과 행동을 하였으며 분노를 상대에게 투사하는 행동패턴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의 자신과 배우자의 상처를 충분히 이해하고 통찰하는 과정은 관계전환의 동인(動因)으로 작용되었다. 자신과 배우자의 상처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배우자를 새롭게 인식하면서 참여자들의 마음에서는 상대에 대해 측은히 여기는 마음과 미안한 마음이 생겨났다. 신혼 초기의 연애감정도 새롭게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부부 상호간 충분한 이해와 통찰은 공감을 일으켜 새로운 관계로의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부갈등이 자신들만의 문제가 아님을 깨닫게 된 참여자들은 안도감을 나타내었고 자신과 배우자에게 숨겨진 자원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안도감과 내재된 자원을 발견한 참여자들에겐 문제 자체가 작게 느껴지게 되어 문제에 당당히 직면하려는 태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입장을 바꿔보는 되어보기(becoming)와 같은 역지사지의 사고로 표현되었다. 넷째,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된 참여자들은 보다 자기조절과 이타적인 행동을 하게 되었다. 분노 조절에 따른 깊은 사고는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였으며 배우자를 위한 자발적인 수고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자존감이 향상된 참여자들은 홀로서기와 나란히 바라보기의 삶을 창조할 수 있었다. 자신을 위로하고 돌보며, 당당하고 적극적이 되었고 현재의 삶에 최선을 다하였다. 또한 배우자와 함께 성장하며 서로 수용하고 존중하며 늘 배우려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었다. 신앙을 가진 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을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맡기고 신앙생활에 힘쓰는 등 신앙을 새롭게 정립하려 하였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갈등 부부의 자기자각 경험에 대한 현상에 초점을 두고 참여자들의 생생한 진술을 통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스스로 깨닫는 자각의 과정이 치유와 관계개선의 가장 기초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과 배우자에 대한 충분한 통찰과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행복이란, 내적으로 성숙되어 있어 자기조절과 이타적인 행동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홀로서기와 나란히 보기를 할 수 있는 단계에서 이뤄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부부치료와 부부상담에서 갈등 부부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자각의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기독교 상담적 대안 마련에도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축방향 자속형 유도전동기의 설계 및 특성 고찰

        이병준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축방향 자속형 유도전동기(Axial-flux induction motor, AFIM)의 설계 및 해석에 관한 논문이다. 현재 산업용 전동기의 대부분은 일반적인 경방향 자속형 유도전동기(Radial-flux induction motor, RFIM)를 사용목적에 맞게 가·감속기 및 기어 등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대용량의 경우 축방향 길이가 길어져 공간적, 구조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의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반면에 축방향 자속(Axial Flux)형 전동기는 축방향 길이에 구애받지 않는 토크 특성으로 인해 응용 범위는 넓으며, 구조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가 미비하여 설계 및 제작에 어려움이 많으며 해석기술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FIM의 동작 원리 및 구조, 기본 설계 방정식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7.5kW AFIM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Multi-slice기법을 이용한 2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급출력의 상용 RFIM과의 단위 부피당·무게당 토크 및 출력, 효율 특성 등을 비교·분석하여 AFIM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MX2 타입 리간드로 표면 패시베이션을 통해 친환경 청색 방출 양자점의 발광효율 및 안정성 개선

        이병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자점(Quantum Dots, QDs)은 크기에 따라 발광 파장대를 조절할 수 있고 좁은 반치폭과 높은 발광효율(PLQY)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써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양자점 표면에는 결합에 참여하지 못한 dangling bonds가 존재하는데 이는 에너지 밴드 갭 내 trap state를 생성시켜 비발광 재결합하여 발광효율을 감소시키고 있다. 특히 적색, 녹색 양자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표면적이 높은 청색 발광 양자점은 이와 같은 현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 녹, 청색 양자점 중 가장 낮은 발광효율 지니고 있어 디스플레이 상용화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색 발광 양자점 표면에 다양한 리간드를 도입하여 trap state 역할을 하는 dangling bonds를 surface passivation을 통해 비발광 재결합을 줄이고 발광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L, X 타입 리간드들로 표면 cation site에 존재하는 dangling bond를 passivation하여 발광효율을 증가시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최근에 anion site에 존재하는 trap state도 발광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서 cation뿐만 아니라 anion site도 둘 다 dual-passivation 해줄 수 있는 MX2 타입 리간드가 도입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양자점 표면을 MX2 타입 리간드인 zinc oleate (Zn(OA)2) 또는 zinc chloride(ZnCl2))로 치환하여 X → cation, M → anion passivation 하여 cation와 anion site의 dangling bonds를 dual-passivation 해주어 앞서 L, X 타입 리간드 치환보다 발광효율을 더 높인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Zn(OA)2와 ZnCl2 리간드들은 발광 및 분산 안정성의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먼저 Zn(OA)2 리간드는 dynamic bond property 때문에 COOH ↔ COO- 현상이 발생하여 양자점 표면에서 떨어지게 되면서 발광 및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고, ZnCl2 리간드는 전체적으로 무기물로 이루어져 유기용매 분산 시 불안정하여 점차 응집 현상이 일어나 양자점 특성을 잃고 발광 안정성도 저하된다. 이를 근거로 양자점 표면을 dual-passivation해주어 발광효율을 높이면서도, 우수한 발광 및 분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양자점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ZnCl2에 p-xylene이 붙어있는 디자인된 MX2 타입 리간드인 4-methylbenzylzinc chloride(4MBZC)로 친환경 청색발광 양자점의 surface을 dual-passivation하여 발광효율을 높이면서 Zn(OA)2와 ZnCl2 리간드의 공통적인 문제점인 발광 및 분산 안정성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했다. 는 파장대가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PLQY 분석을 통해 Zn(St)2-QD(70%) 보다 ZnCl2-QD, 4MBZC-QD(97%)가 더 높아진 PLQY 결과 확인하여 dual-passivation 효과 증명하였고, PLQY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4MBZC-QD 우수한 발광안정성 확인하였다. 표면에 4MBZC가 흡착된 것을 증명하기 위해 Py-GC/MS 확인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turbiscan 장비를 사용해 분산 안정성 분석하여 TSI 수치를 통해서 확인할 계획이다. 끝으로 MX2 타입 리간드 전략은 양자점의 발광효율뿐만 아니라 QLED 소자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Quantum dots (QDs) have been considered as promising candidates for light sources in display applications owing to their good color saturation, spectral tunability, and high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PLQY). However, the PLQYs of blue QDs are inferior to those of green and red QDs due to the high surface to volume ratio of blue QDs, which gives rise to the increment of both cation and anion dangling bonds and non-radiative recombination. In this study, we apply organozinc halide MX2 type ligand to the surface of ZnSeTe/ZnSe/ZnSeS/ZnS-QDs to passivate both cation and anion of the ZnS shell. This MX2 ligands are utilized in place of metal carboxylates which is a common ligand for QD synthesis, and can only passivate cation sites on the shell surface. After the MX2 ligand passivation, the quantum yield of the ZnSeTe QDs is enhanced from 72.5% to 99.0%. Furthermore, short aromatic structure of the organozinc halide ligands suppress particle aggregation, inducing excellent colloidal and PL stabilities of the QD solu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organzinc halide MX2-type ligand passivation is an available strategy to eliminate non-radiative recombination paths and to improve the PLQYs by bonding with both cation and anion sites on the surface of the QDs with stabilites. We anticipate that the MX2 ligand strategy can shed light on the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application for industry.

      • 스노보드 동호인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여가몰입, 재참여 의도와의 구조관계 분석

        이병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 club that is participating in the current snowboard, recreation professional and leisure immersive, to analyze the structur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ongoing as activation and lifelong sport of domestic snowboard it is an object in order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 measurement tool of the present study, the questionnaire has been used, recreation specialist (past experience, life of afferent, economic investment) and leisure immersive (Cognitive immersive, action immersive), the intention of re-participation, demographic is composed of question four items total 34 questions. Research subjects, among participants who visited the three ski resorts in Gangwon Province, owns the equipment of the person in the questionnaire is distributed to target the 331 people club no response, can not find the item, not read It was actually used in the final analyzes of the study 316 parts of an effective sample size excluding the questionnaire 15 parts. Selected the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 IBM SPSS 21.0 and AMOS 18.0, analysis of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effect black and multi-group analysis of pathway analysis and parameters using the model of structural equation is performed It was. 본 연구는 현재 스노보드에 참여하고 있는 동호인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여가몰입, 재참여 의도와의 구조관계를 분석하여 국내 스노보드의 활성화와 평생스포츠로서 지속적인 참여를 장려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과거경험, 삶의 구심성, 경제적 투자)와 여가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 재참여 의도, 인구통계학적 문항 총 4가지의 항목에 걸쳐 3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3곳의 스키장을 방문한 참여자 중 본인의 장비를 소유한 동호인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가 배부되어 무응답, 항목 누락, 판독되지 않은 설문지 15부를 제외한 유효표본수인 316부를 연구의 최종분석에 실제적 사용하였다. 선정된 설문지는 IBM SPSS 210과 AMOS 18.0을 통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의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과 매개효과검정 및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 농촌지역개발사업과 마을 사회적 자본이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병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for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social capital of rural villages, brand property of rural villages, and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rural villages for the residents of villages implement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Jeollabuk-do and to evaluate the impact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village’s social capital for socioeconomic performance. The sample group of 380 residents of the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Jeollabuk-do was surveyed. Statistical data processing for valid survey response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ackage and the AMOS 26.0 statistical packag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ocusing on the hypothesis test results, is follows. First, as a analyzing the impact of support for rural development projects on brand equity in rural villages,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of improvement projects in living environment, income-based development projects,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s, and loc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s, excluding projects for improving village landscape,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rand equity in rural villag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of rural villages on the brand equity of rural villages, the network and solidarity factors of rural villages, excluding the trust and network factors of rural villages,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brand equity of rural villag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brand equity in rural villages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it was analyzed that brand equity in rural villag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support for rural development projects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it was analyzed that all projects for improving living conditions, improving village scenery, creating income-based projects,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s, and local capacity education projects had no direct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of rural villages on the socioeconomic effect of rural villages, it was analyzed that the trust, network, norm and solidarity of rural villages all have no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oeconomic effect of rural village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ed effects of brand equity in rural villages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of village landscape, income-based development projects, rural tourism facilities projects, and local capacity education projects all had mediated effect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and were significant through indirect effects.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ed effect of brand equity in rural villages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rural villages on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rust in rural villages, networks, norms and solidarity all had mediated effect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rural villages and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and were significant through indirect effects. Eighth,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for socioeconomic outcomes in rural villages, income-based development projects, rural tourism facility projects, living environment/scenery improvement projects, and reg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s were shown. The development of experience tourism PG is the most important in income-based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experience facilities is the most important in rural tourism facility projects. Road traffic maintenance is the most important for living environment/scenery improvement projects, and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nstruction is the most important for reg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jects. This study, conducted on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for rural villages and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rural villages, could provide many implications regarding brand equity for rural vill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