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이민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explored the level and general propensity of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impulsive buy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larified factors affecting impulsive buying. A questionnaire that was composed of a measure of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impulsive buying and others was drawn up with reference to prior research and reference literature. The data was obtained by administer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high school student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Total of 580 questionnaires are used for final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statistical method for data analysis were fator analysis, Chronbach' α,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and impulsive buying of high school student are relatively low. 2. Th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were found to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onthly allowance, self-esteem, influence of friends, influence of mass media and influence of consumer education at school. And the impulsive buying found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level of parents's education, father's job, monthly household income, monthly allowance, influence of home, influence of friends and influence of mass media. 3. The impulsive buying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That is, the group of higher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indicated the higher impulsive buying. 4. The variables affecting on the level of impulsive buying are the level of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influence of mass media, influence of friends and sex. In other words,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influence of mass media and influence of friends had positively effected, and female students are more apt to impulsive buying than male students. 본 연구는 고등학생소비자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충동구매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미래 소비사회의 주역인 청소년소비자의 올바른 소비가치관 형성을 돕고 합리적인 소비방향을 제시하여 건전한 청소년 소비문화를 정착시키며, 청소년소비자교육과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을 참고로 하여 소비지향적 태도, 충동구매, 심리적변인, 소비자사회화 영향변인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남 ·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8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Chronbach' α 계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검정,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고등학생소비자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충동구매는 비교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지향적 태도는 월평균 용돈액수가 많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이, 친구와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집단일수록, 학교의 소비자 교육의 영향이 중간 또는 낮은 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구매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상인 집단이,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이나 관리 · 사무직인 집단이, 월평균 가계소득이 200만원 이상인 집단이, 월평균 용돈액수가 많은 집단일수록, 가정의 영향이 중간 또는 높은 집단이, 친구와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집단일수록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지향적 태도 성향이 높은 집단일수록 충동구매 행동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생들의 소비지향적인 태도는 충동구매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충동구매에 대해 소비지향적 태도, 대중매체의 영향, 친구의 영향, 성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지향적 태도가 높을수록,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일 때 충동구매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고등학생소비자의 소비지향적 태도와 충동구매는 비교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고, 조사대상을 수도권 등의 고등학생으로 넓혔을 경우 그 수준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고등학생소비자의 소비에 대한 태도와 행동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월평균 용돈액수가 많을수록 소비지향적 태도와 충동구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용돈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고, 이들이 성장하면 사회에서 더 큰 돈을 벌어 경제력이 커질 것이므로 청소년소비자에 대한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부모의 전폭적 지원을 받고 있으며, 부모에게 의존적인 소비를 하므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부모는 자녀의 돈에 대한 가치관과 소비습관 등을 점검하고, 자녀들이 자기조절능력을 지닐 수 있도록 도우며 자녀의 역할모델로서 합리적인 소비행동의 본을 보여야 할 것이며, 부모를 대상으로 한 가정 내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해 줄 시스템의 구축이 절실하다. 셋째,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소비지향적 태도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소비지향적 태도가 높을수록 충동구매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는 소비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므로 청소년소비자가 올바른 소비자 가치관과 태도를 정립하도록 도와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재의 이론중심의 교과서 내용에서 나아가 청소년소비자 각자가 소비문화와 국가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책임 있는 소비행동이 요구된다는 내용, 합리적 소비의 구체적인 실천방법과 비합리적 소비행동의 문제점 등 현실과 부합하는 실제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친구와 대중매체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소비지향적 태도와 충동구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이 합리적인 소비자로서 기능하게 하는 소비자사회화에 부정적 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친구와 대중매체가 소비자사회화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도록 돕는 노력이 필요하다. 청소년소비자가 대중매체에 대해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선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자교육이 필요하고, 방송국, 언론사, 기업 등은 책임의식을 가지고 진실하며 정확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방송국에서는 청소년소비자가 돈을 버는 것의 어려움과 돈의 소중함을 깨닫고, 상품비교나 상품테스트 등을 통해 합리적으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우며, 환경을 생각한 책임 있는 소비, 기부 등의 내용을 담은 체험이나 퀴즈 형식의 프로그램과 공익광고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학교의 소비자교육이 소비지향적 태도에 영향을 미쳐 소비자사회화에 긍정적 작용을 하고 있다는 점과 친구가 소비자사회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바탕으로 학교교육에 소비자사회화에 있어 친구들이 서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는 실제적 활동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그 예로는 소그룹을 통해 친구들과 그릇된 소비가치관이나 행동과 개선방안을 토론한 후, 그 생각을 학급 전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교육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또한, 특별활동이나 체험학습 시간을 활용해 청소년들이 친구들과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구매행동을 실제로 경험해 본 후 이러한 경험을 다른 친구들과 나누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중학교 과학에서 열역학 단원의 효율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

        이민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 7차 과학과 개정교육과정은 과학적 소양인을 기르기 위해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가르치는 교사의 입장보다 배우는 학생의 입장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교수법이 구성주의적 교수법이라 할 수 있다. 수업 모형을 연구하는 데는 무엇보다도 교과의 내용분석 및 목표분석이 중요하다. 이것을 바탕으로 실험 주제 분석, 개념분석,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 판단하여 최상의 수업모형을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도 교과서 분석 및 실험분석, 오개념 등을 먼저 분석한 후, 그에 맞는 수업모형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향을 보면, 첫째, 제 7차 개정교육과정에 맞추어, 교과서 4종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실험탐구활동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둘째, 그 활동이 들어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수업모형적용의 기준으로 삼았다. 셋째,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개념을 분석, 정리하였다. 넷째, 개념의 혼동이나 생활 속에서의 잘못된 개념 사용 등에 의해 생성된 오개념 등을 찾아내어 올바른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특히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구성주의를 지향하기 위해, 학생들 스스로 참여하고, 조사하고, 발표하고, 토의함으로써 문제해결력과 의사 소통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다섯째, 중학교 열역학 분야 중 총 3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발견학습모형, 순환학습모형 중 POE모형, STS수업모형이 각각의 주제에 적용되었다. 세 학습모형은 탐구형 수업에 적합하고, 세 개 주제에 적용하여 본 결과 모두 적합하다. [열에너지] 단원에서 “발견학습모형”이 다른 두 모형에 비해서 더 적용하기 쉬웠고, [상태변화와 열에너지] 단원에서 “순환학습모형 중 POE모형”이 더 적용하기 쉬웠으며, [상태변화와 분자 운동] 단원에서 “STS수업모형”이 더 적용하기 쉬웠다.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형성된 수업모형은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황에 맞추어 수업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실제로 모형을 적용했을 때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제일 중요할 것이다. 하지만, 학교현장에서는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수업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교사는 수업을 어떻게 이끌어 갈 것인가에 대해 수없이 연구와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 체육교과 집중이수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

        이민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9개정교육과정 교과집중이수제의 도입으로 고등학생의 체육교과 집중이수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에서 집중이수제의 시행으로 체육교과를 집중이수 하는 학생 282명과 정규 체육 수업을 하는 학생 291명, 남녀학생 총 573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신뢰도 분석과 t-test,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교과 집중이수 실시여부에 따른 신체적 개념을 비교 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정규체육 수업을 한 학생이 집중이수로 체육수업을 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신체적 자기개념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체육교과 집중이수 실시 여부에 따른 정서를 비교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정규체육 수업을 하는 학생이 긍정적인 정서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고 부정적인 정서에서는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이와 같이 집중이수제의 도입으로 고등학생의 체육교과 집중이수제 실시 여부와 신체적 자기개념 및 정서는 서로 유의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집중이수제의 도입은 순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이처럼 역기능적 역할의 두 가지 양상을 보이며, 결론적으로 집중이수제의 시행은 체육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학교현장에서 체육수업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학생들에게 신체적, 정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체육교과는 신체적 활동이 가장 필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의 신체적인 발달과 정신적 및 사회성의 발달 등 성숙한 자아 완성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청소년을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시키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선행연구들과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여 체육교과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체육교육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학생들의 전인교육과 학교교육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 쓰기 워크숍과 사회 문제 반영 텍스트 활용 초등 영어 지도

        이민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문제 반영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워크숍 지도가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문자 언어 학습과 사회적 감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워크숍에서 문자 언어 학습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둘째, 쓰기 워크숍에 사회 문제를 반영한 문학 텍스트의 도입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사회적 감수성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제기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아동문학 텍스트를 선정함에 있어서 영어 학습자를 위한 텍스트 선정 조건과 아동의 삶을 반영하면서도 전반적인 사회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언어 입력원을 활용한 쓰기 워크숍의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여 실험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크게 읽기 단계와 쓰기 워크숍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수업 절차에 따라 사회 문제 반영 아동문학 텍스트를 읽고 주제에 적합한 다양한 글쓰기 활동을 하였다. 실험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수업 활동지, 설문지, 수업 활동 전사문, 교사 일지, 아동 강점 검사, KEDI 인성 검사, 면담, 소감문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 강점 검사 및 KEDI 인성 검사는 양적 분석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여 활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의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첫 번째 결과에서는 학습자들이 사회 문제 반영 아동문학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쓰기 워크숍에서 나타나는 문자 언어 학습의 양상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문학 텍스트는 내용 도입 및 목표어 입력원 역할을 하였고 이는 학습자의 글쓰기에 반영되었다. 다음으로, 음성 언어뿐만 아니라 문자 언어의 표현 기능 활성화를 통해서 의사소통능력 향상이라는 초등 영어 교육 목표 달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쓰기 워크숍 기반 과정 중심 글쓰기 경험을 통해서 학습자들은 내실 있는 결과물을 완성하였다. 두 번째 결과에서는 학습자들이 사회 문제 반영 아동문학 텍스트를 읽은 후에 쓰기 워크숍 활동을 통해서 사회적 감수성 함양에 나타나는 변화 모습을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학생들은 사회 현상에 관심을 갖고 주인공의 상황에 대해 공감하는 것에서 나아가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복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사회 문제 반영 아동문학 텍스트를 읽고 쓰기 워크숍 활동을 하면서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서 시민 의식이 변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쓰기 워크숍과 사회 문제 반영 텍스트를 활용한 초등 영어 지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초등 영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사회 문제라는 다소 심오한 주제를 다룬 아동문학 텍스트에 협력 읽기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므로, 학생들의 인지적 수준에 맞는 언어 입력원으로서 문학 텍스트의 구체적인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쓰기 워크숍을 활용한 수업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방법의 구조화된 글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으므로 쓰기 워크숍 활용수업을 계획하는 교사에게 실질적인 수업 모델을 제공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 문제 텍스트 기반 쓰기 워크숍 활동을 통하여 영어 수업과 민주시민 교육의 통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텍스트를 통하여 사회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다양한 탐색 활동을 통해서 기본질서 의식 및 인간의 존엄성 존중과 같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위와 같이 초등 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이 존재할 수 있음을 밝힌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 문제 반영 아동문학 텍스트를 도입하였으나,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과 언어능력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스스로 선정할 수 있도록 보다 다채로운 아동문학 텍스트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글을 스스로 점검하고 동료 및 교사 피드백을 통해 오류를 수정하였지만, 다인수 학급에서 모든 오류를 수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쓰기 워크숍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텍스트에 대하여 한두 가지 종류의 글쓰기 방식으로 한정하여 쓰기 워크숍을 진행하였지만, 보다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의도에 맞는 글쓰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글쓰기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 문제 반영 텍스트 이외의 다른 주제 및 장르의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쓰기 워크숍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정보 텍스트, 전래동화, 동시 등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는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primary English literacy using children's literature about social problems based on writing workshops in an EFL setting.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spects are shown in the development of reading and writing through exposure to children's literature and each workshop? 2) What changes are shown towards promoting social sensitivity through writing workshops using children's literature about social problems? To find the answers to the aforementioned research questions, five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tex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torybook choice, relevance to the learner's life and whole social phenomenons. The learning model of writing workshop using language input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and lessons were divided into reading stage and writing workshop stage. The students read selected literary texts and accomplished various writing activities suitable for the themes of the text. Data was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worksheets, questionnaires, transcripts of lesson activities, teacher's logs, interviews, and self-reflection responses in a qualitative manner. Students' social development throughout the study was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KEDI moral test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 data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two results. Firstly, the study found three aspects of literacy learning in writing workshops based on children's literature about social problems. The children's literature text took a role in contextual introduction and lingual aspect which was reflected in students' writing. Also, the possibility to succeed the objectives of primary English was confirmed through activating the expressional function of both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complete the enriched writing product through the writing process experience based on writing workshops. Second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ensitivity were identified though writing workshops after reading the children's literature of social problems.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resilience to solve the problem beyond sympathizing with the situation of the characters in the books and perception of the problematic situation. Also, the changes in fostering democratic civic qualities were ascertained by reading the text themed on social problems and writing 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ly, this study has shown a concrete way to use literary texts as language input suitable for students' cognitive level, because applying cooperative reading the text dealing with more profound themes had a positive effect in students' responses. Secondly, this study will be the authentic instruction model of English education by suggesting structured writing teaching process through the concrete procedure of writing workshop. Thirdly, the writing workshops based on the texts about social problems could hav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primary English and democratic education. That is, the students could become interested in social problems through reading texts and develop democratic civic qualities such as basic order and the sense of human dignity through various explorative activities. Despite the positive outcomes, this study had limitations to overcome. First, this study utilized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 problems b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diverse types of picture books to gratify the students' broad interests and levels. Second, the students checked their own writing and corrected the errors by peer correction and teacher's feedback, but it was impossible for one teacher to correct all the students' errors perfectly. Third,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for one semester, therefore the study for more than one year is necessary to examine the diverse aspects besides literacy learning and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re ar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this study focused on one or two kinds of writing per text but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be provided with more opportunities for choosing which writing style suits their intention. Seco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by utilizing various children's literature texts besides the texts about social problems. That is,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aspects of students' writing through reading texts such as expository texts, fairy tales, and poetry for children to elicit more diverse experiences and responses.

      • 대학생의 우울증에 대한 아로마치료의 인지 및 생리적 효과

        이민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로마치료의 인지적 및 생리적 효과를 확인하여 그 효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우울증 치료에 아로마치료를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우울수준이 높은 2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각각 10명씩으로 구성하였다. 아로마치료의 인지적 효과는 백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와 자가평가 우울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를 통한 주관적 척도를, 생리적 효과는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 계측자료를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아로마치료의 인지적 효과와 관련하여, 실험군의 BDI는 실험 전에 비해 10일, 30일 후에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측정 시기별로도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SDS의 경우 실험군은 SDS 점수가 아로마치료 후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지만, 실험 전에 비해 낮아져서 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대조군의 경우, 사전 검사결과와 사후 시점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으로써 아로마치료의 인지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아로마치료의 생리적 효과와 관련하여, 뇌파 중 α파와 θ파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모든 채널에서 α파값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10일 후와 30일 후 사이에는 감소 경향을 보였다. θ파는 전전두엽, 측두엽, 두정엽에서 증가하였으나, 10일 후, 30일 후 사이에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우울감소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우울 증세를 보이는 피험자들의 전두영역의 α파와 θ를 활성화시켜 긍정적인 정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서 아로마치료의 생리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마치료는 인지적치료 효과의 혼입으로 생리적치료 효과를 지속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우울증에는 자연치료 회복보다 아로마치료가 더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용어: 우울증, 아로마치료, 뇌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gnitive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aromatherapy and apply them to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wenty subjects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were equally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cognitive effect of aromatherapy was evaluated wit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the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The physiological effects were analyzed using electroencephalograph(EEG) data, comparing the difference of the effects on the two groups. First, with respect to the cognitive effects of aromatherapy, the BDI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at both 10 days and 30 days after the treatment than before the experimen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times(p<0.01). The SD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but increased later. However, the SDS score was lower than it was before the experiment, indicating the continued effect of aromatherapy. On the contrary, the test results of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or after treatment. Second, with respect to the physiological effect of aromatherapy, the alpha and theta brain waves in the EEG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lpha wave value was greatly increased in all channels, but decreased after 10 days and after 30 days. The theta wave value was increased in the prefrontal, temporal, and parietal lobes, but it was greatly decreased after 10 days and after 30 days. The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indicating that the depression was not affected.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depression-related activation of the alpha and theta waves in the prefrontal region of the subjects converted the emotional state to be positive, which supported the physiological effect of aromatherapy. The study showed that aromatherapy gave continued cognitive and physiological effects. We assume that aromatherapy may be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for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than spontaneous recovery. Key words: aromatherapy, depression, electroencephalograph

      • 한국의 여성 고용 창출방안에 관한 연구 : 저출산ㆍ고령화 사회를 중심으로

        이민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times face many problems that growth of standard of life, medicine increases gradually the average span of a man's life. An aging going society is more than 7% old age rate of whole population. Korea is going rapidity an aging society over an aging going society―rate of old age population is already 10%. Korea is facing the danger of a shrinking population. Unless appropriate steps are taken, replenishing ist fertility rate will prove as a major challenge and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at a speed far more rapidly than expected. According to statistics releas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Korea will become the most aged society in the world, as people over 65 will account for about 38 percent of the population in 2050, higher than the average 26 percent of other developed nations. If allowed to continue, it may drag down Korea's potential GDP growth rate from the current level of 5.0%, to 3.6% in 2020, even down to 2.3% in 2030. The rapid pace of Korea‘s aging is due to its low birthrate, about 1.16 births per woman aged 15 to 49. The population under 15 years old decreased by 6.8 percent during the past five years. In about 15 years, when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included in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the pace of aging will accelerate. Experts predict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to become serious. Until now, there have been seven adults per two children and one aged person. Korea's low fertility rate is more related with economic factors and women's social activities. Fertility rates have been on the decline in industrialized nations for decades, but they are now becoming a serious economic problem, felt around the globe, from the European Union to China, Japan and South Korea. Some policy-makers are perceiving low fertility as a serious economic problem, November 1, 2050 - With 37.3% senior citizens of the total population, Korea has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world today. Korea has thereby passed Japan where 36.5% are over the age of 65. The ratio of senior citizens compared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e 15-64) in Korea has increased to 69.4% compared to only 37.3% 20 years ago. However, elderly people generally work longer before they retire. Even though people live longer than ever before in South Korea, the total population continues to decrease due to the low fertility rate and is now 44.6 million The drastic decrease in fertility in Korea has brought about the increase of the absolut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will be enormous in the future. Against this backdrop,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recently unveiled a set of policies and programs to boost the nation‘s low birthrate and prepare for a rapidly aging society. The policies, to be implemented from 2004 to 2008, are part of the government’s five-year plan to realize participatory welfare in 13 key health and welfare fields. Some of the tasks highlighted in the government‘s comprehensive welfare scheme include increasing social services available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providing more child care support for families and stabilizing the financial conditions of the state-run health insurance and pension systems. As described earlier, the projected declines in birthrate will hasten the aging of the Korean population. Hence, the low birthrate will eventually bring about declines in the size of the total and working age population, as well cause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such as high social insurance expenditure for health insurance and national pension. The declining birthrate is mainly due to the higher marriage age and growth in the unmarried population. Large numbers of young people are less likely to set their wedding plans because of economic instability and high unemployment rates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In summary, the low birthrate in Korean society is a meaningful index indicating social risks and stabilization of fertility behavior is a national task to manage. In any case, it is suggested that marriage and child bearing is responsible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but also society as a whole. Perhaps even more remarkably, it is a national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every intended marriage and massive investments directed toward families with children. Government expand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Government should give more tax benefit to families with more children. An aging society confront with many problems. The first, decrease of work population. The second, too much support responsibility for un-work population of work population. the third, rapid decrease of population―by reason of birth population drop. Therefore, all policies should focus on minimizing the negative effects of the aging population. The increased dependency burden of the elderly will more than offset the reduction in the young age dependency ratio. Therefore, with the trend of the nuclear family and the small family norm, the aging population will be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has formulated the plan for mid- to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for elderly health and welfare in preparation of an aging society to set up the fundamental directions of policies for older persons. Also,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innovative policies and action plans for the elderly. Above all, employment and retirement policies should enable a greater portion of the healthy and active elderly population to continue working. Also, retraining programs for older workers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they can take up new occupations and cope with rapid technological changes, while providing industrial care for incapacitated elderly individuals. In addition, more geriatric hospitals and facilities will be required to provide treatment for elderly people. This study showed that, Korea needs to alter its societal norms and spread family-friendly work practices. second, the country must ease its economic uncetainties by removing the income factor against childbearing. third, Korea must improve productivity in all areas of its economy in order to continue its growth path despite the shrinking population. Ultimately, Korea must do its utmost to take better advantage of its female workforce and aging population. For this purpose, the government must set up relevant infrastructure connecting qualified workers with job openings.

      • 선형화 기법을 이용한 PCS용 전력증폭기의 설계 및 구현

        이민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A design and fabrication of a LPA(linear power amplifier) was accomplished for PCS using an improved linearizer. There are two types of established linearization methods : transmission type and reflection type. The former is generally used than the latter because of easy fabrication, but has disadvatages of high cost and large size. Although linearizer with the reflection type is difficult to design and fabricate, it can get over the defect of transmission type. In this dissertation, we presented the linearizer of an improved reflection type which overcomes the defect. Active devices of the amplifier using the linearizer are the ERA-4, the MHL19936 and the MRF19060. The balanced power amplifier is designed with MRF19125 in the stage of power amplification. To isolate the amplifier from external circuits an isolator is utilized. For the power driving stage, We did not go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 because it is composed of MMIC device(ERA-4, MHL19936). The power amplification stage were designed with the Root model offered by Motorola. The improved linearizer was designed by ADS 1.3 of Agilent using HSM2822 Shottky diode. The results of implemetation based on our design show that the small-signal gain of the Linearized power amplifier is 50dB and the return loss is measured to be less than -15dB. And, the gain flatness is relatively excellent which is about 1dB. The large-signal result of measurement in this experiment is 54dBm maximum output power at P1 point. An ACLR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becomes 38dB at 885kHz offset point from the center frequency of output power 44dBm. In the Linearized power amplifier, the consequence of ACLR measurement after injecting the 1FA CDMA signal is 45dB at 885kHz offset point from center frequenc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amplifier proposed and designed with the reflection type linearizer is improved by 7dB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mplifiers. 본 논문에서는 전력 증폭기의 선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선형화 기법을 이용하여 PCS용 25W급 선형화 전력 증폭기 설계 및 제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선형화 기법에는 전송형과 반사형이 있는데 제작이 쉽다는 이유로 전송형이 많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비용 및 크기로인한 전력증폭기 가격의 증가 원인이 된다. 반사형의 선형화기는 설계 및 제작이 어려워 기피되어 왔으나, 전송형 선형화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반사형 선형화기를 개선한 선형화기를 제시하여 기존의 반사형 선형화기의 단점을 극복하도록 노력하였다. 선형화기를 적용하기 위한 증폭기 구현에 사용된 능동소자로는 구동단 증폭기에서 ERA-4, MHL19936과 MRF19060을 사용하였다. 전력 증폭단에서는 MRF19125를 사용하여 평형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고 선형화기 전력 증폭기와 외부회로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출력단에 Isolator를 사용하였다. 전력 구동단의 경우 ERA-4, MHL19936의 소자들은 MMIC이므로 설계과정을 거치지 않았으며, MRF19060 및 전력증폭단은 Motorora사에서 제공하는 모델중에서 Root모델을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개선된 선형화기는 Agilent사의 HSM2822 쇼트키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본 회로들의 설계 Tool로서는 Agilent사의 HP EESOF ADS 1.3을 이용하였다. 선형화 증폭기의 선형특성 측정 결과로서 입력 반사계수 및 소신호 이득은 -15dB이하의 특성과 50dB의 특성을 보였다. 이득 평탄도는 약 1dB의 특성으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선형화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 측정 결과 P1점은 약 54dBm의 출력 전력의 특성을 보였다. 전력증폭기의 ACLR특성은 출력 전력 44dBm에서 중심 주파수 1.865GHz의 대역폭 1.25MHz를 갖는 CDMA신호 1FA를 증폭기에 입력하여 출력한 출력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885kHz떨어진 지점에서 38dB의 특성을 얻었으며, 4개의 채널을(4FA) 인가한 출력특성으로 885kHz 떨어진 지점에서 37dB의 특성을 얻었다. 선형화 전력 증폭기는 CDMA신호 1FA를 입력하여 출력한 출력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885kHz떨어진 지점에서 45dB의 특성을 얻었으며, 4개의 채널을 인가 한 출력특성으로 중심주파수에서 885kHz 떨어진 지점에서 45dB의 특성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전력증폭기는 약 7dB의 개선도를 보였다.

      • 달팽이 발효 추출물의 피부 개선효과

        이민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Fruticiola sieboldiana종 달팽이 육질을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Hericium erinaceum Mycelium, HE)로 1차 발효하고 이 발효물을 유산균(Leuconostoc mesenteroides)으로 2차 발효하여. 발효 단계별로 추출물의 아미노산 변화를 보았으며 이를 피부 개선에 활용하기 위하여 항노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전 달팽이 추출물의 아미노산은 19종이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5.8 wt%이었다. 2차 발효 공정을 거친 달팽이 추출물의 아미노산은 76.7 wt%, 지방산류는 3.7 wt%, 다당체는 16.7 wt%, 수분 2.9 wt% 및 기타성분 4.18 wt%이었다. 발효를 통하여 아미노산의 19종은 변함없이 일치하였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2차 발효를 통하여 발효 전 대비 각각 37.4 wt%, 76.7 wt%로 136%, 285% 증가하였다. 특히 2차 발효 추출물에서는 serine, glycine, arginine, proline의 함량이 4배 가량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2차 발효 추출물의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효과(IC50%)는 7.3 μg/mL로 발효 전 달팽이 추출물보다 약 2배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엘라스테이즈(elastase)의 활성 저해력(IC50%)은 녹차 추출물보다 29.2% 높았으며, 발효 전 달팽이 추출물 보다는 41.2% 우수하였다. 2차 발효 달팽이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억제능(IC50%)은 녹차 추출물보다 44.0% 높았고, 발효 전 달팽이 추출물 보다는 177.6% 우수하였다. 2차 발효 달팽이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의 성장률은 녹차 추출물보다 27%의 높았으며, 발효 전 달팽이 추출물 보다는 16% 우수하였다. 2차 발효 달팽이 추출물의 콜라겐 생합성율은 녹차 추출물보다 31%의 높았고, 발효 전 달팽이추출물 보다는 24.8% 우수하였다. 2차 발효 달팽이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자 추출물을 5% 함유한 시트 마스크 팩을 제조하여 주 3회 4주간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사용한 후 보습량, 탄력, 거칠기 및 멜라닌 색소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2단계 발효 달팽이 추출물을 5%함유한 마스크 팩 (two-step fermentation snail extraction mask-pack : 2F-SEM)을 사용한 경우 추출물을 넣지 않은 플라세보 마스크 팩 (placebo mask-pack: PM)보다 평균적으로 보습량은 11.0 % 증가하였고 주름 개선효과는 5.1% 개선되었다. 색소 침착은 15.0% 감소하여 멜라닌 감소 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하여 2단계 발효 달팽이 추출물은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스크 팩에 대한 관능 평가는 부드러움(softness), 보습감(moisture) 및 주름 개선효과(fine wrinkle improvement)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fermentation methods using Hericium erinaceum Mycelium (HE) and second fermentation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by using snail meat of Fruticiola sieboldiana species, The anti-aging activity of the snail extract was evaluated. Amino acid content of the snail extract before fermentation was 19 specie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15.8wt%.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snail extract analyzed by the second fermentation process was 76.7 wt%. Fatty acids were 3.7 wt%. The polysaccharide content was 16.7wt%. The moisture content was 2.9 wt%. Other ingredients were 4.2 wt%. Through the fermentation, 19 kinds of amino acids were unchanged.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by 136% and 285% to 37.4 wt% and 76.7 wt%, respectively, after the 1st and 2nd fermentation.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four amino acids of serine, glycine, arginine, and proli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of the extract was 7.3 mg/mL, which was twice as good as that of the snail extract before fermenta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elastin inhibitor (IC50%) on the secondary fermented snail extract was 29.2%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more than 41.2% more than the ordinary extract. The inhibitory activity of tyrosinase (IC50%) of the 2nd fermented snail extract was 44.0%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was more than 177.6% more than the ordinary extract. The growth rate of fibroblast of the second fermented snail extract was 27%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more than 16% higher than the ordinary extract. The collagen biosynthesis rate of the second fermented snail extract was 31%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more than 24.8% higher than the general extract. As a clinical study, a sheet mask pack containing 5% of a snail fermented extract was prepared to confirm skin improvement effect of the second fermented snail extract. The application method was applied to the skin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for woman in her thirties and the moisturizing effect, the elasticity improvement, the roughness, the melanin pigment and the wrinkle improvement were studied. As a result, the melanin-reducing effect of the 2F-SEM was decreased by 15.0% or more than that of PM. Wrinkle improvement was improved by 5.1%. Pigmentation was decreased by 15.0% and melanin reduction effect was shown. Sensory evaluation of mask pack showed excellent difference in softness, moisture feel, and fine wrinkle improvement. Secondary fermented snail extrac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s with antioxidant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