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近代語副助詞の國語史的硏究

        이묘희 東北大學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일본어 근대어 중 부조사로 여겨지는 일군에 대하여 역사적 변천의 관점에서 그 의미·용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이지 이후, 쇼와 20년경까지를 근대어로써 취급하며 또한, 이 근대어 시기를 3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일본어사에서, 고대어에서 근대어로의 커다란 변화의 하나로서는 구어적 표현의 확립과정을 지적할 수 있는데, 구어의 원천은 무로마찌 말기의 抄物(쇼모노), 또는, 에도시대 강의물 등에서 구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부조사도 이러한 일본어사적 배경하에 변화해감으로, 근대 이전의 중세와 근세의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부조사의 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구어적 표현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또한, 근대에서는 강의물, 소설, 희곡, 동화 등 모든 장르에 걸쳐 부조사를 조사하여 근대어의 사적 변천을 정리해 보았다. 근대어 부조사는 구어에 활발한 경향이 보이므로, 될 수 있는대로 언물일치물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고, 번역소설 및 국정교과서도 다루기로 하였다. 다음에, 부조사의 범위는 「のみ, ばかり, だけ, しか, きり, よりほか, ほど, くらい, まで, など, すえ, でも, だって」와 같은 語를 고찰 대상으로 한다. 또, 방언형 및 속어형 등도 취급한다. 이들 중, 근대에 들어와서 새롭게 등장하는 語도 보이는데, 특히, 부정과 호응하여 강한 한정을 나타내는 「しか」 등의 語가 근대에 다양하게 전개되는 것은 논리적, 분석적인 근대어의 성격과도 합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이지 초기에는 근대에서 계승된 에도어적 요소가 차츰 쇠퇴해가고, 메이지 후기부터는 근대어를 특징짓는 용법·표현이 차츰 성립하여, 다이쇼기경에는 에도어의 잔재도 희미해져 새로운 요소가 정착하고, 근대어는 완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근대어 부조사가 일본어사의 흐름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면서 변천하여 가는지, 일본어사적인 관점에서 부조사 한어 한어의 의미·용법을 기술해 보았다. 특히, 근대의 새로운 구어적 표현의 확립과정에 있어서 부조사의 역할, 근대어의 형성에서의 부조사의 역할 등에 초점을 두고 고찰해 보았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 宋代 貢茶의 역할과 문화적 파급효과에 관한 硏究

        이묘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ea is said to be originated from the land of China. It is almost impossible to speak of Chinese culture and history without mentioning the stories about tea. The Chinese have never ceased their effort to develop and introduce new products since they started to enjoy tea. It was during the Song Dynasty that tea culture reached its peak. People of the Song Dynasty often listed tea in 'the seven necessities', and they could enjoy tea regardless of their class or status. The tea tribute(貢茶)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contemporary tea culture. At first, tea was just one of the offerings presented to the emperor. However, as tea culture became popular in public, the imperial house began to request tea of superior quality. In order to answer the imperial request, presenting of the tea was gradually formalized to make tea tribute system. The oldest historical record of tea tribute appears in 'Paji' of Hwayanggukji. The book contains a record that King Wu of Zhou Dynasty was offered tea from the land of Pa after he destroyed Yin Dynasty(11th Century B.C.). Though the history of tea tribute started such long ago, there appears few records about the tribute before Tang Dynasty. Tea drinking culture began to prevail the northern land of China in Sui Dynasty, thanks to the construction of the Grand Channel that linked the culture of the south and the north. As tea culture spread throughout the whole China, some techniques of tea production was developed and advanced to enable even larger production in quantity. The growth of the production promoted the formation of the tea tribute system. The tea tribute system was classified into two; one was tribute from civil producers, and the other was tribute from regional governments. Some of the famous tea producing lands are introduced in the records of Gudangseo(舊唐書) and Sindangseo(新唐書). Most of the renowned producers of the time were requested to make tea tribute to the imperial house. In Song Dynasty, imperial tea plantations were authorized and established only in Fujian area. Such limited production system resulted in giving a distinction of the Fujian Tea from other civi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limitation policy was to enhance the authority of royal house by giving a symbolic distinction to the tea of royal tribute, and to make it easier to control the process of tea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amous books about tea, such as Darok(茶錄), Daegwandaron(大觀茶論), Seonhwabukwongongdarok(宣和北苑貢茶錄), Bukwonbyolrok(北苑別錄), are filled with tea lists of royal tribute. Since the authors of the books once had worked as officials who supervised the tea production in Fujian, the books are composed of very detailed lists of tea. The devoted tea was sometimes granted to noblemen by the emperor. Since it was so hard to purchase royal tea products, the granted subjects stayed reluctant to drink it up. Tea grant gave the noblemen a chance to know and enjoy the tea culture, and it was sent down to even lower classes of the hierarchy. The tea places, similar to western caf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 tea spread among the middle class and commoners. Tea competition was another of events that show prevailance of tea culture in Song Dynasty. The competition was originally done to classify the tea products that are proper for tribute. But, it grew to become an amusement. As people of Song Dynasty preferred whisking that stirred up white foam in the tea competition, tea bowls with contrasting color, such as Jian Wear tea bowl, were favoured. The difference of producing method made its tasters to differ their ways of drinking, and such difference in drinking resulted in diversification of bowl colors. Various bowls and dishes such as Black graze tea bowl emerged in this era. In order to earn the favour of the emperor, tea directors of tea production competed to make and offer better products. Such competitive production streak made directors to exploit the tea farmers and lead them to misery. To get rid of such evils, emperors of Ming Dynasty banned producing of cake tea, which was a symbol of extravagance. The vanishment of cake tea was followed by emergence of loose tea. It would not be a fallacy to remark that the tea culture of Song era was reliant on the rises and falls of tea tribute system. Key Words : Chinese culture, Song Dynasty, tea tribute(貢茶), cake tea(團茶), tea competition(鬪茶), loose tea(散茶), black graze tea bowl(黑釉茶碗) 중국은 차문화의 발원지라고 알려져 있다. 중국의 문화에서 차를 제외시키고 말할 수 없을 만큼 중국의 차문화는 유구하고 영향력이 컸다. 뿐 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차의 생산에서나 새로운 품종이나 차의 종류를 개발해내는 노력도 그치지 않고 있다. 생활 곳곳에 차와 함께하는 문화가 體化되어 있어 그들의 삶에서 차를 떼어내는 것이 불가능해 보일 정도다. 중국의 차문화발전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그런 중국의 역사속에서 가장 화려했던 차문화 발전기를 꼽자면 송대를 꼽을 수 있다. 송대에 차는 ‘개문칠건사’의 하나로 일상생활 속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일곱 가지에 들어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었다. 군자이건, 악인이건, 부자이건, 가난한 자라도 차를 마시지 않는 자가 없다고 할 정도로 보편화되어 宋人의 삶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송대의 차문화의 대표적인 아이콘을 꼽자면 공차를 지목할 수 있다. 공차는 토공품의 일종으로 황제에게 진상되던 물품중의 하나였지만 음차문화가 확산, 발전되면서 황실은 더 좋은 품질의 차를, 더 많이 원했고 이것은 공차를 제도화․정례화 하는 바탕이 되었다. 조공이나 토공제도의 연원은 오래되고 깊다. 그 토공품 중의 하나였던 공차의 역사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화양국지󰡕 「파지󰡕에 기원전 11세기에 周의 武王이 殷을 토벌하고 巴蜀을 얻으면서 특산물을 공납 받았다는 기록 속에 차가 있다. 차의 공납은 계속되어 왔으나 기록상으로는 당대이전까지는 활발히 보이진 않는다. 주로 차가 나는 강남에서 성행하던 음차풍습이 隋代에 개통된 대운하에 힘입어 음차풍습이 강북으로 전해지고 음차의 풍습은 한정된 일정지역에서만이 아닌 중국의 대륙 곳곳에 음차의 풍습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음다풍습의 확산은 차 생산지역의 확장과 제다기술의 발달을 도모하게 했다. 이것은 다시 차의 생산 확대에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당대의 이런 환경은 공차가 제도화하는데 초석이 되었다. 당대의 공차에는 민간에서는 하는 납공과 관에서 재배하여 납공하는 두 가지가 있었다. 󰡔舊唐書󰡕 「食貨志」나 󰡔新唐書󰡕 「地理志」, 󰡔國史補󰡕等에 당대 공차의 품목이나 수량, 공차의 산지에 관한 기록이 많이 남아있다. 당시의 유명 차산지는 대부분 모두 차를 진공하도록 요구받았기 때문에 공차의 품목들은 거의 당대의 명차와 동일했다. 宋朝는 당대와는 달리 복건의 건안북원지방에 ‘御茶園’을 조성하고 공차의 생산을 특정지역에 한정시키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 정책으로 복건에서만 황실용 공차가 생산되었기 때문에 복건차가 천하제일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송조의 의도는 일반백성들의 음차와는 차별화된 특별한 차를 향유한다는 황실 권위에 대한 상징화의 일환과 함께 貢茶地를 한 지역에만 한정함으로써 官이 관리해야 하는 전매품인 차에 대한 통제나 정책의 실시가 수월하게 하기위한 정책적 의도가 깔려 있었다고 본다. 송대의 茶書는 대부분 공차에 대한 기록이다. 다서의 저자들이 거의 복건지방의 茶事를 맡아보던 관리출신이었기 때문이다. 저자들이 직접 경험한 것들의 기록이라 공차의 제차와 종류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선화북원공다록󰡕과 󰡔다록󰡕, 󰡔북원별록󰡕 󰡔대관다론󰡕등이 송대 다서에는 공차의 제차과정과 공차의 특징, 종류 등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공차의 성행은 다른 차문화에 끼친 파급효과도 컸는데 황제에게 진상되었던 공차가 시차의 형식으로 황족이나 신하들에게 하사되었는데 공차가 돈을 주고도 구입하기 어려웠던 만큼 이것을 하사받는 사람은 매우 귀하게 여겨 자랑하면서도 감히 마실 엄두를 내지 못할 정도였다. 대개의 문화는 상층부에서 하층부로 번져간다. 하사차는 귀족이나 사대부층에 황실의 차문화를 접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다시 번성했던 다관을 통해 상공업계층의 부유한 도시민과 일반일들사이에도 차문화를 퍼트리는 촉매가 되었다. 투차의 발전은 공차의 발전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더 좋은 품질의 명차를 만들기 위해 시차(품차)를하엿던것으로 시작하여 차의 으뜸은 맛이라는 명제를 넘어 예술성과 오락성이 가미된 하나의 문화형태로 꽃피웠다. 송대의 차탕은 흰색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투차시에도 흰 차탕이 돋보일수 있는 자기를 선호하여 흑유토호라는 찻잔을 선택하였다. 차가 달라지면 다기도 그에 맞춰 변화하기 때문에 검은 흑유잔을 선호하게 되었고 다구의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황제가 선호할 만한 더 좋은 품질, 더 화려하고 , 더 새로운 차를 만들기 위해 차관리들은 다농들을 혹사시켰고, 이것은 결국 공차의 가장 큰 폐해가 되어 명대에 이르러서는 황제가 친히 단차폐지령을 내림으로서 약 400여 년간 지속되어 오던 단차는 소멸되었고 산차의 시대가 열렸다. 주제어 : 중국차문화, 송대, 공차, 단차, 투차,

      • 커피하우스 공간의 대중문화성 연구

        이묘희 圓光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a consumer society like modern one , people's needs and tastes are revealed from the consumption behavior in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Consumers in modern society express their emotions through consumption beyond the underlying utility of consumer goods, and also consider consumption as a means of revealing their identities. Therefore, the overall consumption patterns and forms of members of a society can be an indicator of its social cultur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under which the popular coffee culture space is being rapidly popularized and expanding, noting coffee shops are now thriving in South Korea. For doing it, this study started with looking at history of development of coffee industry, which has brought up the thriving of popular coffee culture space. Consumption of coffee, a world's goods, has been being on the rise, and each coffee-consuming country has developed its unique coffee culture. The space of coffee house has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formation of coffee culture, and the popular coffee culture space is thought to have affected the awareness that coffee is a cultural consumer product beyond just a consumer product. In addition, the change in culture and the aspects of consumption has brought about the social function and the change in form of public coffee culture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n popular coffee house as follows. Although the role and physical form of the coffee house space in modern times don't match the ones in the 17th , 18th century, its underlying usefulness and value have not changed. Going through different countries and cultures over the centuries, theoretical utility of space of coffee house has been relaxation and communication. As consumers visiting coffee house alone increase, the utility of coffee house space is applied in multi-layered meanings. That is, the time of enjoying at the coffee house alone serves as the space of self and communication. So popular coffee house spac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use, meeting the needs for consumption and sensibility of the people who need inner healing. Modern coffee house space is not uniform or simplified, showing a hybrid of space boundary having the personality of various types of space. The space has the nature of space which can be transformed freely into private or public one, and is a hybrid space of boundary where connection conversion between the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is possible. This study suggested the way to develop and exploit the coffee house space as a future-oriented room. First, urban regeneration from the coffee house was proposed through culture. It was found that even though a coffee house were in a relatively marginalized and disadvantaged position but formed a place of public interest and taste, it would revitalize the cultural area. Local coffee houses where identity and emotion are melt can be made as a cultural space as an another cultural space. Such a coffee house space could bring about a change to the local cultural environment and living conditions, and will be able to act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local regeneration. Secondly, the coffee house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space by asking advantage of its public character. The space of coffee house which is open to all is a right place for public convenience and benefits 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ublic good. The openness and publicity of the coffee house suggests the character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cultural space for galleries, music halls or pavillion. And coffee house is also the space of sharing which sparks a communication, and the space which can implement the alternative roll for such as the community of the local society. Thirdly, the spatially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ffee house can be synergistic with the fusion with other space. The coffee house is introduced into public institutions like city hall, and is used as a space which has unique publicness and mediation in the anti-Public space. Also, it is being reproduced as the concept of space for the welfare of public institution. Coffee House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openness and sharedness, mediating communication, and cultural tendencies, so h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religious mission or friendship. This becomes the factor by which fusion of the coffee Consequently, coffee house space has to aim at regeneration of a cultural city and creation of alternative function of space, and seeking the synergy effect with other spaces utilizing spatial fusibility. Key-words : Coffee house, coffee, popular space, coffee, coffee culture, consumption culture, public culture. 현대와 같은 소비사회에서 사람들의 욕구와 취향은 유ㆍ무형의 상품을 소비하는 행태에서 드러난다.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는 소비를 통해 그 소비재가 가진 근원적인 효용성을 넘어 자신의 감성을 표현하고, 또 자신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수단으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회 구성원들의 전반적인 소비성향이나 양식은 그 사회 문화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커피전문점이 번성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이 대중적 커피문화 공간이 빠르게 대중화되고 확대되어가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우선 대중적 커피문화 공간의 번성을 불러온 커피산업의 발달사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커피는 세계상품의 하나로 그 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커피 소비국마다 특유의 커피문화를 형성하며 발전하였다. 커피문화의 형성에는 커피하우스 공간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고, 커피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문화적 소비재로 인식되는 데에는 대중적 커피문화 공간의 역할이 있었다. 또한 문화와 소비의 양상이 변화함에 따라 대중적 커피문화 공간의 사회적 기능 및 형태의 변천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커피하우스의 대중 공간적 의의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현대는 17, 18세기 커피하우스나 카페와 같은 역할 및 물리적 공간형태와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 근원적 효용성과 가치는 변치 않고 있다. 수 세기를 지나고 국가와 문화가 달라도 커피하우스의 원론적 공간 효용성은 휴식과 소통이다. 근래 들어 커피하우스를 홀로 방문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커피하우스 공간의 효용성이 중층적 의미로 적용되고 있다. 즉 커피하우스에서 혼자 누리는 그 시간이 자아와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대중적 커피하우스 공간은 내면적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의 소비욕구와 감성욕구도 충족시키면서 점점 확산되어 가고 있다. 현대 커피하우스 공간은 획일화되거나 단순화된 공간이 아니며 여러 형태의 공간 성격을 띠는 공간경계의 혼종이 존재한다. 그 공간은 사적 또는 공적 공간으로 언제든 자유변용이 가능한 공간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접속변환 가능한 경계의 혼종공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와 문화의 전개에 따라 분화ㆍ발전해가는 커피하우스 공간을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고 활용해 나갈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커피하우스를 통한 문화적 도시 재생을 제시하였다. 커피하우스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낙후되어있는 장소에 위치하여도 대중의 기호와 취향에 부합하는 공간을 조성한다면 해당 지역에 문화적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지역의 정체성과 감성이 녹아있는 커피하우스는 하나의 문화적 공간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커피하우스 공간은 지역의 문화 환경 및 생활환경에 변화를 불러와 지역재생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커피하우스의 공공성을 활용하여 대안적 공간으로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는 커피하우스의 공간은 공중에 편의와 이익을 제공하는 공공성을 구현하기 적합한 장소 중의 하나이다. 커피하우스의 개방성과 공공성은 일상 속의 미술관, 음악당, 전시관 등의 문화적 대안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성격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커피하우스는 소통을 촉발하는 공유의 공간으로 지역사회 커뮤니티역할 등 다양한 대안적 역할을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이다. 셋째, 커피하우스의 다양한 공간적 특성은 타 공간과의 융합으로 시너지효과를 낼 수 있다. 커피하우스는 시청과 같은 공공기관 내로 도입되어 반공공적 공간에서 특유의 공공성과 매개성을 지닌 공간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공적기관의 복지 실현을 위한 공간의 개념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커피하우스는 개방성과 공유, 소통의 매개성, 문화적 성향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종교적 선교나 친교의 추구에도 적합한 공간적 특성을 갖고 있다. 이것이 커피하우스와 종교공간의 융합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결론적으로 커피하우스 공간이 문화적 도시 재생과 대안적 공간기능을 창출하고, 공간 융합성을 활용한 타 공간과의 시너지효과 등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미래의 커피하우스가 지향해 나가야 한다. 주제어 : 커피하우스, 커피, 대중적 공간, 커피문화, 소비문화, 대중문화

      • 創意力 伸長을 위한 漢詩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硏究 : 고등학교 한문교과서 수록 한시를 중심으로

        이묘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漢詩는 우리의 생각이나 감정을 운율이 있는 함축적인 언어로 압축하여 놓은 것이며, 작자의 내면세계를 정제된 언어로 운율에 담아 형상화시킨 것이다. 漢詩 學習을 통하여 학생들이 풍부한 상상력과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며 인성을 함양하는데 있어 창의적인 한시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특히 漢詩 敎育은 급변하는 지식 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새로운 것을 탐구하고 산출해 내는 미래지향적이며 창의적인 수업모형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서도 “교육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강구하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라는 창의성에 대한 관심과 창의성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漢文 敎科가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교과 재량활동으로 그 비중이 크게 낮아져 漢字·漢字語를 위주로 한 도구교과적 성격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한문 교과는 다른 어느 교과 못지 않게 연계성과 위계성이 요구되는 교과이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과정에서의 한문교과는 중·고등학교에서 선택교과로 되어 있어서 연계성과 先修學習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漢詩 授業은 학습자 중심의 재미있고 흥미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목표를 달성해 가는 수업으로 바꾸어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키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그리고 한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 모형은 탄력있게 재구성되어야 하고 한시 감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漢詩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문 교과 수업의 전반적인 의식조사를 통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교 교육현장의 한시 교육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한 후 그것을 토대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흥미를 끌 수 있는 수업모형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한시교육의 전반적인 것으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시 교육에서 창의적 사고의 개념과 중요성 등 이론적인 배경을 탐색하였다. 특히 21세기가 지식기반사회이고 창의력 신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관점에서 漢詩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해 보았다. 제3장에서는 漢文 敎科書의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의 성격 그리고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시 교육목표를 검토하고 교과서 수록 한시 작품의 시대와 작자별 분류를 통하여 한시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漢詩 지도방법으로 創意的 思考 수업 모형, 토의학습 수업 모형, 역할놀이 수업 모형, 鑑賞學習 수업 모형, 그리고 NIE(신문활용교육)의 수업 모형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안해 보았다. 학생들의 설문조사에서 한문 교과의 漢詩 授業은 다른 교과에 비해 매우 어렵고, 별로 재미없고 관심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시 수업을 좀 더 효율적이고 흥미있는 수업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 중심 수업에서 학생 중심 교수·학습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교사는 한시 수업에 알맞은 수업 모형을 구성하고 멀티미디어 시대에 살고 있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창의적이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과 교사의 수업전개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선은 교사의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漢詩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情緖를 길러주고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漢詩 敎授·學習 模型과 漢詩 指導의 다양한 학습지도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교육현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했지만 많이 부족함을 느끼며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