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OA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및 테스팅

        이명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raditional approaches to software development- XP, UP, CBD and other CASE tools are good to construct various software components. But they are not designed to face the challenges of open environments that focus to service.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is a component model that inter-relates an application's different functional units, called service. SOA provides a way to integrate the business process through well-defined interfaces and contracts between business services. This dissertation proposes business process modeling based on SOA with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The business process became a core element that is indispensable in transactions within the enterprise and between enterprises. Along with business process, It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integration of the process and the interface between enterprises as service between e-marketplaces across industry has become substantial. This dissertation analyzes business process between enterprises and modeling the business process with UML and derive common interface with process and implement the SOA. Also, this dissertation solves problem more visually and efficiently by providing service after analyzing and modeling from the high-level enterprise problem to the low-level process by using UML, the visual modeling language based on SOA.

      • An Adaptation Process of Korean students in Selected U.S. Colleges and Universities : 이명희

        이명희 Univ. of Massachusetts at Amherst 1989 해외박사

        RANK : 247647

        재미 한국 유학생들의 미국內 대학에서의 적응과정에 대한 고찰로서 기존의 他 여 러 국가에서 유입된 재미 유학생들에 비해 보다 특수하고 독자적인 한국인으로서의 욕 구 이론과 Support network 이론 下에 이들의 적응문제를 살펴보았다. 도구적 적응에 서의 놀랄만한 성취도에 비해 매우 저조한 문화, 사회적 적응에서의 장애 원인을 이들 의 한국에서의 기득한 생활양식과 행동 pattern(정서)이 매우 이질적으로 美 fauilty 나 동료들에게 받아지고 있다는 것과 한국학생이 지니는 학문 세계에서의 교수나 타동 료들에게의 기대나 필요가 인식되어지지 않았다는 점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도움과 교육이 양쪽에 다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 중등학교 음악수업에서 놀이학습을 통한 통합수업 지도방안 연구

        이명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창의성 개발과 인성 교육에 중점을 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창작, 이론, 기악연주, 감상 및 평가 등의 영역을 포함하는 중등학교 음악교과 내 통합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수업 참여도와 흥미도를 고려하여 놀이학습과 협동학습을 접목한 총 3차시의 교수․학습 세안을 구성하였다. 1차시 지도안은 학생이 변주곡의 반복과 변화를 이해하고 구분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선행학습이다. 2차시는 변주곡을 창작하는 모둠 체험학습으로, 6면체 주사위 또는 12면체 음악주사위를 놀이학습의 매개체로 사용하는 두 개의 난이도별 지도세안을 제시하였다. 3차시는 창작한 변주곡을 연주, 감상, 평가하는 수업이며, 아츠 프로펠의 이론을 적용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수․학습 지도 세안은 창작, 연주, 감상, 평가 등의 영역들이 변주곡이라는 하나의 주제 안에서 통합적으로 학습되도록 설계되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주사위를 사용한 놀이 학습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창작 영역 수업에 대한 집중도와 흥미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교수․학습 세안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음악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교사가 의도한 학습 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하는 동시에, 지능의 다원적 계발과 협동심 및 성취감을 고취하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integrative teaching plan for music classes in secondary school, suggesting a way of integrating music composition, music theory, instrumental performance, music appreciation and evalu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latest teaching curriculum pu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2009. Focusing on this goal, this paper constructed three chapters of the teaching plan, which graft the Play-based Learning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on it to attract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students. The first chapter provides a prerequisite learning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repeti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form of a variation in music.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a cooperative learning that students work together in groups to compose songs in rhythmic variation by using dices. In this chapter, two graded guides are proposed; an easier one uses a normal cube dice to select 6 different pre-suggested rhythms, and the other complicated one uses a dodecahedral dice in which the various notes and rests are written. The last chapter guides a lesson for students to play the songs they composed, to listen to the music, and to evaluate the performing of songs by themselves. In this process, the evaluation method in Arts PROPEL is applied in order to retain the objectivity on the evaluation of the whole process of this teaching course. The teaching plan in this paper is designed for students to study creation, playing music, listening and evaluation together in integrated form under the one topic called 'variation in music' for the teachers to apply the plan effectively in the real class field. In addition, utilizing the Learning Through Play with the dices is able to get the effect that increases student's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o the study of music creation domain, which is usually difficult to learn. By applying this teaching pla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will get various positive influences such as an enthusiastic and self-initiated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 effective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the teacher expects, a developmen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nd an achievement of the co-partnership and the self-actualization.

      • 한국어 초급 문법 연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 연구

        이명희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grammar practice-based application designed to help Korean learners improve their abilities to use grammar. It also aimed to propose plans to develop an application to help Korean learners choose the grammar items and topics they wished to practice themselves and do practice on sentences,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in an easy and fun wa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s: In the first,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applications a mobile learning and study tools and the Keller's ARCS model and theory of motivational design related to the stimulation and maintenance of learning motivation. Also, determine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elementary Korean grammar. In the second, reviewed the current states of applications developed to promote Korean learning and selected ten of them.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application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on content organization, technological composition, and design among Korean learners and teacher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f studying Korean with a mobile application, had a high intention to use one, and preferred an application to allow them to practice other functions as well as grammar. They also wanted an application to make grammar searches easy and had an expectation for extended grammar practice in offline study. In the third, designed an application for Korean grammar practice based on Keller's ARCS model and theory of motivational design and the survey results. Unlike most of the old paper books designed to present grammar study according to topics and situations, the application developed in the study let the students choose grammar first and then topics and types of practice. The ARCS motivational strategies were applied to every procedure to devise a strategy to stimulate, focus, and maintain the learning motivations of students. In the fourth, implemented the application for grammar practice and looked into the particulars of each stage. The practice procedure consisted of "pre-practice stage," "practice stage," and "post-practice stage" based on the PPP lesson model. The "pre-practice stage" covers the time from before logging in the application to the main screen after log-in. The stage exposes Korean to learners in an ongoing fashion through "Sentences of Today" and "Alarm for Learning Time," motivates them to learn the language, and helps them maintain their learning. The "practice stage" involves choosing grammar in the first step, a topic in the second step, and the type of practice in the third step, thus proposing practice to which the items selected in Steps 1, 2, and 3 are reflected. The "post-practice stage" presents the main screens of the application, being organized as a total test for evaluation. Finally, presented a summary of the findings and propose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One of the achievements of the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basic data to develop an application for Korean grammar study through a preference survey with Korean learners and teachers. While the old applications remained at the level of presenting grammar, the one developed in the study made expansion by a stage and designed a practice program by reflecting the elements of their interest. It will be a useful application for Korean learners through actual production.

      •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명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중언어강사 정책이 교육부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2009년부터 시행되어 공교육현장에서 점차 정착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중언어강사를 바라보는 교사들의 시선은 교사로서의 자질 부족에 대한 우려 등으로 인해 그리 곱지 않다. 아무리 좋은 목적과 취지로 만들어진 이중언어강사 정책이라도 교사에게 인정받지 못한다면 이중언어강사는 학교현장에서 오래 버티지 못할 것이다. 또한 이중언어강사를 활용한 이중언어교육의 실현, 다문화교육 발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중언어강사가 학교현장에서 주어진 역할과 개인 역량을 마음껏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중언어강사와 가장 근거리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실제 학교현장에서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을 바라보는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인식개선을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이중언어강사의 역할에 대해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이중언어강사에 대해 존재조차 모르는 교사, 이중언어강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교사 등 이중언어강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들은 이중언어강사가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중언어강사의 강점인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의 언어·학습지원, 학교생활 적응과 일반학생 대상의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역할이 학교 및 지역사회의 다문화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이중언어강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우선 올바른 다문화인식과 열려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를 위한 이중언어강사 운영에 관한 연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를 위한 이중언어강사 운영 가이드북을 제작해야 한다. 넷째, 교사는 이중언어강사 운영에 관한 실무관계자 강평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Although the policy for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as been settled in the public education field since its launch in 2009 as a special gra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teachers are critical of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for fear of their lacking qualifications as a teacher. Even though the policy was establis hed with a good purpose and intention, if it fails to achieve recognition from the teachers,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will not survive in schools for a long time. In addition, such failure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implementation of bilingual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cooperation and support by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with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re desperately needed to enable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o play their given roles and fulfill their individual abilities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eacher’s awareness of the roles of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n schools, and explore the measures to improve the awaren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wareness has decrease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d: some secondary teachers did not even know the existence of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and they did not see the necessity for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However, the teachers were positive on the roles of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roles of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o provide the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language and study assistance; to help them adapt to the school life; and to educate the general students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have a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improve teacher’s awareness, we suggest followings: First,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a correct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nd an open-minded attitude to recognize and accept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Second, it is required to provid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on conducting the bilingual programs with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Third, there should be a guidebook for teachers to operate the bilingual programs with the bilingual teachers. Fourth, teachers are required to actively attend the working-level review session on conducting the bilingual programs with the bilingual teaching assistants.

      •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정부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효과성 연구 : Climate Alliance 와 Covenant of Mayors를 중심으로

        이명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후변화 거버넌스에 있어서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퍼져나가면서 기후변화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는 도시정부라는 새로운 행위 주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간 도시정부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도시개발과 양립 가능한 환경정책에만 집중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접근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하지만 새로운 행위 주체로 떠오른 뒤 도시정부들의 자발적인 기후변화 행동 대응이 많아졌고, 최근에는 이러한 도시들의 노력이 국제적 수준에서 집합적으로 형성되어 초국가적 도시정부 네트워크가 등장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정부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새롭게 주목되고 있는 것으로, 그 효과성에 대한 분석이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도시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 중 하나로 네트워크에 참여한다고 보고, Climate Alliance와 Covenant of Mayors 라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거버넌스 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차이를 보일것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11년간의 83개 도시정부를 대상으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해 네트워크, 이산화탄소 배출요인, 기후변화 행동 요인으로 구성된 변수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도시와 참여하지 않는 도시들 간에 유의미하게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차이가 있었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도시가 참여하지 않는 도시들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적음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참여가 기후변화 정책의 수단으로 적절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네트워크 거버넌스 간에 차이가 있었다. Climate Alliance와 Covenant of Mayors의 소속 더미변수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미치는 계수를 비교하여 봤을 때, 도시정부들을 공동의 목표로 묶고 대외적으로 정치적 로비활동을 통해 네트워크에 정치적, 재정적 지원을 받도록 노력하는 Climate Alliance 소속 도시정부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산화탄소 배출요인과 기후변화 행동요인을 통제변수로 활용하면서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를 재확인하며 도시정부의 감축정책과 적응정책에 대하여 모두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governance studi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about cities, the new actor of the climate governance, also known as the cause of the climate change. Until nowadays, cities have been pursuing a value of sustainability believing that development and environment could be compatible, and became relatively insufficient on climate change problems. But after becoming the new main actor in the climate governance, cities’ voluntary commitment to climate change has been proliferated, and each of the cities’efforts merged into transnational municipal network. Transnational municipal network(also, Transnational City Network) on climate change is a new governance that is receiving attention, but it’s study on effectiveness is not close to come. This study presumes the network participation as a instrument of city’s climate change policy, and took an analysis on CO2 emission difference in two different network governance, Climate Alliance and Covenant of Mayors. On this, the main process of this study is first by making a panel data on 83 different city municipalities in 11 time periods, and second, carrying an analysis regarding the network participator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2 emission factor, climate action factor as a control variable. As for the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2 emission and the network participation. The CO2 emission of the cities participating in a network was lower than those of the cities not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and that concluded to participating in a network can be appropriate for the policy instrument on climate chang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governance of networks. By comparing the coefficient of the dummy variables representing Climate Alliance and Covenant of Mayors, cities participating in Climate Alliance, which acts on international field of climate change to get political and economical supports, had lower CO2 emissions Third, this study reconfirmed the preceding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2 emissions & CO2 emission factors, CO2 emissions & climate action factor. This leads that the cities should consider both mitigation and adaptation

      • 장애위험 유아 부모교육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명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장애위험 유아를 양육하는 부모들에게 부모교육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N시에 거주하는 각각 A보육시설의 만 3세~만 5세 유아의 부모 중 자녀가 발달지체라는 것에 동의한 부모 10명(실험집단)과 B보육시설의 만 3세~5세 유아의 부모 중 자녀가 발달지체라는 것에 동의한 부모 10명(통제집단)을 조사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육효능감 전체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검사 집단 간 차이에 대한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2.96, p<.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이 일반 상담 및 관찰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양육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하위요인인 효능 감과 불안감에서도 모두 같은 결과를 보였다. 양육행동 전체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검사 집단간 차이에 대한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12.96, p<.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어머니들이 일반 상담 및 관찰활동에 참여한 통제집단보다 양육행동이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온정ž격려, 한계설정 하위요인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과보호․허용 요인과 거부․방임 요인의 경우 장애위험 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효과적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