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로이 토비아스(Roy Tobias)의 신고전주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서울 발레시어터 신고전주의 작품을 중심으로

        이명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로이 토비아스(Roy Tobias)의 생애와 가치관, 예술성을 조사하고 작품분석과 인터뷰를 통해 안무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성향을 고찰 하였다. 또한 그의 활동무대였던 한국발레사와 서울 발레시어터의 예술고문으로 활동 했던 시기에 중점을 두어 연구한 결과 혁신적인 업적을 남진 인물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신고전주의는 현대무용이 성장하는 시기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준 현대적인 발레의 출발점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다. 로이 토비아스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준 조지 발란신은 신고전주의 발레의 창시자이며, 그로 인해 로이 토비아스가 신고전주의 발레의 수호자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가 남긴 작품으로 신고전주의 작품 성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에 대해 몸이 중심이고, 그 몸에서 어떤 감정과 드라마가 자연적으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무용동작이 갖는 순수한 움직임의 표현, 또 움직임에 함축되어 있는 표현 가능성을 주목하여, 무용수의 잘 다듬어진 동작과 정확한 마임, 구사력으로 인해 무용수의 역할이 비중, 확대 되었다. 둘째, 무용과 가장 밀접한 음악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만들었다. 줄거리의 부재로 인해 발레의 극적인 동기는 음악으로 대치되었으며 음악의 형태, 스타일, 리듬, 음조, 음색이 무용에 반영된다. 음악과 그것의 해석은 무용이 주는 순수한 움직임만을 음악과 함께 느낄 수 있게 된다. 신고전주의 발레는 음악의 중요성을 가장 강조시키는 경향중의 하나이다. 셋째, 점점 단순화, 간소화되었고, 결국 연습복과 크게 다르지 않는 의상이 만들어 졌다. 무대장치 면에서도 화려한 장식적인 수단을 피하였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표현은 현대인의 단순하고 편리함만을 강조하는 이미지와 흡사하다. 넷째, 현대적인 스텝과 동작들을 더했다. 발을 안쪽으로 돌리도록 만들었고, 펼 수 도 있지만 구부릴 수가 있으며, 우아하거나 아니면 뒤틀리기도 한다. 이전에 발레에서 찾아볼 수 없던 동작의 범위를 과감하게 개척하는 동시에 21세기의 감각 즉 현대에 맞게 작품을 만들어 냈다. 이러한 로이 토비아스 신고전주의 특징을 오늘날 미래지행적인 예술현태인 실험주의 작품들이 가지고 있는 이해의 한계점을 극복해 줌으로써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무용사의 흐름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통상적인 의미의 신고전주의의 개념은 새로운 공간창출이고 언어의 영역확장으로 새로운 의미의 고전주의로 거듭나면서 대중에게 가까이 접근하기 위한 무용예술에 순수 정신의 강조를 이끌어 내면서 발레역사에 그 가치를 부여하였다. 고인이 된 로이 토비아스는 이제 우리 곁에 없지만 그간 이룬 업적과 남긴 작품들, 아직 무용계에서 살아 숨 쉬는 거장들의 증언과 가르침으로 한국 무용계에 커다란 공현을 한 바는 틀림이 없다. 발레의 본 고장인 유럽의 무대에서도 동양인이 풍기는 매력과 잠재적인 능력을 보면서 새롭게 다가가는 동양의 예술성에 초점을 모았으며 한국발레의 결과물로 한국 문화 속에 서양 예술을 정착시켰고, 무용수뿐만 아니라 안무가, 연출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그 무엇에게 발판이 되어줄 중요한 지침으로서 충분이 가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ddresses the neoclassicism in choreography of Roy Tobias through analysing his works and interviewing with dance masters worked with him based on researching his life, value, and art. Resulting from a research of Korean ballet history, specially focused on the era of Seoul Ballet Theatre as an art advisor, he absolutely had taken an innovative achievement. Neoclassicism leading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s very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 of modern ballet. Roy Tobias, considerably influenced by George Balanchine who was a progenitor of neoclassicism ballet, can be named as a spokesman of neoclassicism ballet. The analysis of his neoclassicism works is as belows: First, he thought that the key of dance is a human body through which any emotion and drama could be expressed naturally. Focusing on the pure body movement and its possibility to express the implied in the movement, the role of dancer such as sophisticated movement, exact mime, and expression became more important. Second, the music was used as another media to express. Due to the absence of a plot, the dramatic motive of ballet was replaced by the music of which genre, style, rhythm, melody and tone were reflected in dance. The music and its explanation could be described by the pure movement of body. The neoclassicism ballet is one of the ism stressing the importance of music. Third, the clothes for the stage became simple and plain and finally, was made similar to the training suit. The stage setting was also avoid a showy and decorated things. These trend was to reflect the modern life preferring simple and convenient things. Forth, it was added modern step and movement. It made the ankle turn inside, body stretch or bend, and elegant or ugly. He had developed the movements could not be found before as well as made a modern works for 21 century. The neoclassicism of Roy Tobias made us understand today's experimentalism art works as a futurism. Therefore, his works took a role to bridge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history. Re-identifying the general concept of neoclassicism through creating a new space and expanding the linguistic meaning, the neoclassicism made the dance art underline a pure art to access to the public, which took a meaningful mark on the history of ballet. Even though having passed away, he ha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Korean dance history though his works and the instruction of masters influenced by him. He took an attention on the oriental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even in Europe, a home of ballet, and focused on the oriental ballet as a new perspective. Also, through his work, he integrated western ballet into Korean culture-Korean ballet. His works is worth of a important guide as a foothold for a dancer, a choreographer, a producer and any other who try to challenge something new.

      • 임신 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명은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Predictors on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Lee, Myoung Eun Advisor : Prof. Kweon, Young-Ran Ph. D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ng factors of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in a city. Method: The subjects were 149 pregnant women who were using G and M woman hospital in a city.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10th to May 20th 2011, and analyze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7.0 program. Result: Mean of age was 31 years, and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7.2.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was 28.9%. The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esteem(r=-.47, p<.001) and family support(r=-.38, p<.001), bu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tress(r=.419, p<.001). In addition, variables that predicted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were general health condition, stress, self-esteem, communication with husband, and planned pregnancy (39.0%).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from this study, it should be considered screening of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Also, it should be applied program to prevent risk group of depression in pregnant women depending on psychosocial factors. Key Words: Depression, Pregnancy, Woman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이명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 및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1~4학년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비자살적 자해 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외활동 커뮤니티, 대학별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70부의 설문을 수거하였고, 이 중 비자살적 자해의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83부의 설문을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비자살적 자해, 무조건적 자기수용 간의 영향이 어떠한가?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비자살적 자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갖는가? 연구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다중회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비자살적 자해, 무조건적 자기수용 간 관계에서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먼저,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과민/취약성과 소심/자신감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빈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과민/취약성은 비자살적 자해 동기의 하위요인 중 개인 내적 동기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부적상관,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 과민/취약성, 소심/자신감 부족만이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부적상관, 내현적 자기애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하위요인 중 존재로서 자기수용, 피드백으로부터 자기수용만이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자살적 자해 행동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부적 상관, 비자살적 자해 행동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하위요인 중 존재로서 자기수용과 피드백으로부터 자기수용은 부적상관, 판단분별로부터 자기수용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비자살적 자해에 정적인 영향, 무조건적 자기수용은 비자살적 자해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과민/취약성, 소심/자신감 부족은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정적인 영향,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하위요인 중 존재로서 자기수용과 피드백으로부터 자기수용이 비자살적 자해 행동과의 관계에서 부적인 영향, 판단분별로부터 자기수용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하위요인,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 행동이 증가하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검증하므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내담자의 자기이해와 수용의 정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상담의 전략으로 사용 가능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상담 장면에서 신뢰관계 형성과 상담자의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비자살적 자해행동이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 대처 방안을 상담자와 내담자가 함께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은 내담자의 자기이해와 수용의 정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상담의 전략으로 사용 가능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한 자신의 모습을 알아가고 온전히 수용하는 것이 병리적인 자기애와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중단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US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NSSI) and Covert Narcissism(CN) in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Covert Narcissism Scale(CNS),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FAS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s(USAQ-R) were synthesized and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first to fourth year. The survey was conducted in communiti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nline university communities. A total of 270 surveys were collected and 83 of them reported an experience of Non-Suicidal Self-Injury(NSSI) which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This study has three major questions. Firstly, how are CN, NSSI and USA influenced each other? Secondly, do CN and USA have a relevant impact on NSSI? Lastly, does USA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N and NSSI? For this research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ver.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N, USA and NSSI. Firstly, Among the sub-factors of CN, hypersensitivity/ vulnerability and timidity/lack of self-confid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NSSI. And hypersensitivity/vulnerability show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ner motiv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NSSI motives.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N and USA. Among the CN sub-factors, only goal instability, hypersensitivity/vulnerability and timidity/lack of self-confid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SA. Among USA sub-factors, only Self-Acceptance of Being and Self-Acceptance from Feedback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N. Lastly, NSSI and USA also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USA, Self-Acceptance of Being and Self-Acceptance from Feedback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NSSI behavior while Self-Acceptance from Judg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SSI. Secondly, CN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SSI, whereas USA show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NSSI. Specifically, Among the sub-factors of CN, hypersensitivity/vulnerability and timidity/lack of self-confidence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SSI behavior and among the sub-factors of USA, only Self-Acceptance of Being and Self-Acceptance from Feedback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SSI behavior while Self-Acceptance from Judgment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NSSI behavior. Thirdly, it was found that USA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N, USA and its sub-factors and NSSI. Through this study, we can corroborate that the higher the tendency to Covert Narcissism, the higher the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and we can verify that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Non-suicidal Self-injury, the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cts as a protective factor. This study demonstrated increasing self-awareness and self-acceptance of clients with high tendency of Covert Narcissism as a key strategy for counselling.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To this end, the formation of a trustworthy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are necessary, and the sympathetic attitude of the counselor is of utmost importance in consultation. It is also required that both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explore the impact of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on the client and together come up with possible resolu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revealed that enhancing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to the client is an effective counseling strategy. And indicates an effective way in stopping pathological narcissism and self-destructive behavior based in acknowledgment and fully acceptance in one’s own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 의료영상의 분할과 시각화 방법의 개발

        이명은 목포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의료 영상 처리는 관심 있는 인체 영역을 추출하고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제시함으로써 의학 분야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의료 영상 분할은 해부학적인 구조의 추출을 자동화함으로써 다양한 의료 영상 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레벨 셋 모델을 이용한 의료 영상의 분할과 볼륨 렌더링 기술을 이용한 시각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분할은 기하학적 변동에 기반 한 곡면 전개 구성을 이용한다. 이 방법은 기하학적 적분 측정치와 레벨 셋 이론을 이용하여 변형가능한 곡면의 위상학적 변화들을 다루는 접근방법이다. 레벨 셋 모델에서 적분 측정치들은 객체의 경계에 가능한 한 가까이 레벨 셋을 만들어주는 정렬 항, 영상에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곡선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스무딩 항, 곡선의 윤곽에서 내부와 외부를 가장 최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최소 분산 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하학적 적분 측정치들의 가중치 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속도함수를 유도하며, 객체를 재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많은 계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패스트 매칭 방법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삼차원 볼륨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변형가능한 시각화 기술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치곡면을 근사시켜 삼차원 삼각형들의 집합을 생성함으로써 표면을 만들어내는 마칭큐브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제안된 레벨 셋 분할 방법의 성능 평가는 인공 데이터, CT 영상, 삼차원 볼륨 의료 영상에 적용되어 수행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의료 영상으로부터 인간 장기를 정확하게 추출하고 시각화함을 볼 수 있다. <Abstract> Medical image processing has revolutionized the field of medicine by providing novel methods to extract and visualize the anatomy region of interest. Especially, medical image segmentation plays a vital role in many medical imaging applications by automating the extrac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This dissertation presents a medical image segmentation method using a level set model and a visualization method using a volume rendering technique. We use the surface evolution framework based on geometric variational principle to achieve the final segmentation. This approach handles topological changes of deformable surface using geometric integral measures and level set theory. The integral measures in the level set model contain the alignment term, which makes a level set as close as possible to a boundary of object, the minimal variance term, which separates the interior and exterior in the contour and the mean curvature term, which makes a segmented boundary become less sensitive to noise. We propose the level set method with a new derived speed function by using a weighted sum of geometric internal measures. We also propose the fast matching method that can reduce largely the computing time required to deform the object model. Finally, we develope the deformable surface visualization technique to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volume datasets visibly. Here we use the Marching Cubes algorithm to create a surface by generating a set of three-dimensional triangles, each of which is an approximation to a piece of the iso-surfac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egmentation method is demonstrated on datasets including the synthesized images, the CT medical images, and 3D volumetric medical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xactly extract and visualize the human organs from the medical images.

      • 입문기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자 교육 방안 :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

        이명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입문기 한국어 외국인 학습자 대상으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를 한국어 자음 지도에서 활용하여 학습자의 재미를 일으키면서 좀 더 알기 쉽게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고 어휘 학습 지도에 능률적인 PPP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한국어 기본 자음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입문기 한국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자의 특징과 한국어 자음자의 지도방안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입문기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는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며, 연구의 방법과 구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제Ⅱ장은 한국어 자음자의 특징에 관련한 이론적 고찰이다. 먼저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대한 개념과 의미, 속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글 자음 특성에 대한 고찰로서 각 자음자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Ⅲ장에서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활용한 한국어 자음자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자음자와 발음 교육 지도방안을 알아보고 자음자의 학습 순서를 알아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앞서 각 장에서 서술한 주요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서 PPP 수업모형과 TBI 수업모형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입문기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자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입문기 한국어 학습자의 자음자 교육 방안이라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한글 낱자 지도’의 원리에 대한 연구에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였고 그 시사점을 확인해 보며 마무리하였다. * 키워드: 입문기 한국어 외국인 학습자, 훈민정음 제자 원리, 자음자 교육 * 본 논문은 2022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미세먼지 배출량 예측 모델 개발

        이명은 수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more quantitative calculation of dust emissions from major dust sources in residential development zones. According to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used in each part for construction sites, buildings, and roads (traffic) that are considered major sources of fine dust in residential development zones, a model for predicting the amount of fine dust emissions in the district units was developed. Data mining techniques were utilized to extract valuable patterns and rules from large-scale data for forecasting and calculating energy consumption by construction sites, building, traffic.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echnique, which is effective in analyzing and predicting time series data, with a focus on learning the rules that make up data during data mining. Accuracy analysis was evaluated by verifying the regression line and R2 values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prediction model of energy consump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compared to actual energy consumption by building us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lope of the linear regression line was analyzed from a maximum of 0.981 (education research facilities) to a minimum of 0.854 (sales and work facilities), showing high accuracy. The total dust emission from buildings and roads (traffic)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development zones was divided into filtrate fine dust (FPM) and condensable fine dust (CPM), which was predicted and produced by analyzing energy consumption and forecasting mod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FPM dust emitted b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predicted and calculated at 10.635μg/m3 in January. The sum total result of dust generation in FPM and CPM using study prediction modeling was analyzed at 25.722μg/m3. When CPM emissions are calculated and added through predictive modeling, the total amount of dust emitted by the energy consumption actually varies by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at produced b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is reas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as assessed to differ from the forecast model because only the assessment of the FPM is considered, but no assessment of the CPM is made.

      • 성공 상황에서 변별적 긍정피드백이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명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상황에서 긍정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성취목표 지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피험자는 초등학교 6학년 246명 이었다. 성공상황에서 네 종류의 긍정피드백인 과정칭찬, 결과칭찬, 개인특성칭찬을 해주는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그 상황이 마치 실제 자신에게 일어난 것처럼 생각하라고 지시하였다. 측정시기에 따른 피드백유형이 성취목표지향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상황에서 과정지향 칭찬 피드백을 받은 집단은 결과칭찬집단, 개인특성칭찬집단, 통제집단 보다 숙달접근목표 지향성이 더 증가하지는 않았다. 좌절을 겪기 전 성공상황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자기효능감이나 귀인, 과제선택 등 많은 차이가 없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한다(Kamins & Dweck, 1999). 둘째, 개인특성지향 칭찬 피드백을 받은 집단이 과정칭찬, 결과칭찬, 통제집단의 피드백 보다 수행회피목표를 비롯하여 수행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지향성이 증가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는 부족하였던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변별적 긍정 피드백의 효과를 검토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가상적 시나리오를 삽화로 제시하는 비교적 간편한 방법을 통해서 긍정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끝으로 개인특성칭찬이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인 수행회피목표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줌을 밝혀 교육적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개인특성을 칭찬하는 피드백을 지양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ial positive feedback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success. Four feedback scenarios such as, process praise, outcome praise, person praise and neutral praise were presente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reat the scenarios as if they would actually happen to themselves.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cenario presentations. Two-way analysis of varianc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differential positive feedbacks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suc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xpectation, the process praise feedback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increased mastery-approach goal directivity. Second, compare with the process praise feedback group, outcome praise feedback group as well as the neutral feedback group, person praise feedback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performance-approach goal directivity, mastery-approach goal directivity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directivity.

      • 프리미엄브랜드 제과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명은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실에 대한 두려움은 인간에게 그것이 더 가치 있는 것으로, 그래서 더 소유하고 싶은 것으로 느끼게끔 한다. 희소성의 법칙은 희귀한 정도에 따라 우리가 부여하는 가치를 달라지게 한다. 과거 시장에 제공되는 제품의 종류는 다양하지 못했고 소비자는 이에 대한 지식과 정보 또한 제한되어 소비패턴이 일률적으로 집단주의화 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대량생산이 일반화되는 현대사회에서는 품질력이 미흡한 저급에 비해 고급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가치 지향적 소비형태로서 제품의 기능 및 디자인 뿐만 아니라 감성까지 만족시키는 프리미엄 브랜드가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는 결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멜라민 파동, 유해한 식품 첨가물, 아토피와의 관계성 등의 다양한 먹거리 논란으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안전성이 부각되는 요즘, 고급 재료들을 골라서 쓰고 합성 첨가물들을 최소화한 프리미엄급 제품들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반과자보다 가격이 20%에서 많게는 두 배 이상 차이가 나지만 경기불황에도 프리미엄 제과를 찾는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국내 제과업계에 따르면 날로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리미엄브랜드 제과에서 패키지디자인과 소비자 심리의 상관성에 관해 고찰하고, 프리미엄 패키지디자인의 요소별 기능성을 탐구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소비자 심리의 개념, 소비자 구매 심리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프리미엄 패키지디자인과 소비자 심리의 상관성을 선행연구논문, 관련서적, 인터넷 자료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질적 분석으로는 국내·외 프리미엄브랜드 제과의 패키지디자인 사례에서 로고타입, 컬러시스템, 레이아웃, 입체적 형태분석의 요소별로 세분화하여 시각적 가치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포장 형태분석은 국내·외 프리미엄급 제품들의 사례를 비교 조사하여, 소비자 심리에 의해 작용되어지는 요소를 검증하였다. 소비자 반응은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으며,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유의확률(Probability)로 관계성을 입증하였다. 관계입증을 위해 프리미엄브랜드 제과 구입 시 속성별 중요도로서 브랜드 심볼마크, 전체적인 색상, 포장디자인(그림), 제품의 신뢰성, 가격, 제품의 기능, 유명 브랜드 등 6가지의 속성별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프리미엄 브랜드 제과 구매 시 남녀 속성별 중요도의 점수는 신뢰성(4.8) > 기능(4.2) > 브랜드로고(4.1) > 일러스트(4.0) > 가격(3.9) > 브랜드인지도(3.8) > 컬러(3.7)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시 제품의 기능 및 신뢰감 다음으로 브랜드 로고를 인지하고 고려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리미엄브랜드 디자인에서 브랜드 로고가 그래픽요소를 통한 의사전달로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여 구매욕구를 유도하는 것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 시 포장디자인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고 브랜드의 신뢰성을 갖게 되며, 제품의 안전성 및 제품의 질을 브랜드 이미지와 동일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즘과 같은 이미지 과잉의 영상시대에는 패키지 디자인과 같은 시각적 요소가 브랜드 인지도와 연상도를 높여 주는데 무엇보다도 큰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 분석결과 첫째, 제품 구매 시 제품의 기능 및 신뢰감 다음으로 브랜드 디자인을 인지하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디자인의 그래픽요소를 통한 의사전달은 소비자의 심리를 자극하여 구매 욕구를 유도하며, 정확한 Brand identity를 통해 강력한 브랜드자산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프리미엄브랜드의 차별성 있는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 구매심리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반제품과 달리 인쇄 재질 및 후가공을 통한 차별적인 요소가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시해주면서 차별성 있는 시각적 요소로써 작용을 하였다. 프리미엄브랜드에서 시각적 차별화를 나타내는 프리미엄 패키지디자인은 제품의 그래픽요소와 외형을 통하여 감성적 판단에 의해 지각되어지며, 시각적 요소를 통해 소비자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프리미엄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와 가장 밀접하게 소통할 수 있는 매개체이기에 일반제품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독창적이고 개성 있는 요소들을 시각화 하여 소비자 심리와 연결시켜줌으로써 소비자의 생각 속에 호의적이고, 강력하며, 독특한 연상을 할 수 있는 패키지디자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케팅 전략, 품질, 서비스와 같은 비가시적인 요소와 패키지 디자인, 광고와 같은 가시적 요인에 의해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변화가 나타나므로 기업은 소비자 심리를 파악하여, 그 브랜드가 추구하는 아이덴티티를 소비자에게 일관성 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패키지 디자인을 마케팅 전략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신뢰성 및 차별성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프리미엄브랜드 제과 디자인에 대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연구의 한계로는, 프리미엄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정량적 자료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프리미엄브랜드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국내·외 광범위한 자료가 추가된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들이 국내 제과류 프리미엄브랜드 확보에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가 국내 제과류 프리미엄브랜드의 경쟁력확보와 우수한 패키지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