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가노바 메소드를 중심으로 한 저학년 발레교육 실태조사

        이다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llowing research has purpose of studying the ballet education’s current statu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rough the Vaganova method. Elementary students between eight and thirteen years old who are currently training ballet more than three hours per week for at least five year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surveyed stude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wo hundred and forty eight ballet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65% of ballet students in the survey started ballet by their will, and 63% of them wanted to be a professional ballet dancer. Second, over half of the students (56%) are training in a class with an average of 10 students and their training mostly focuses on physical trainings such as barre, centre and repertoire lessons. Third, Most students (87%) wear toe shoes after studying ballet less than two years and they also start to participate in ballet performances and competitions this period. Fourth, 77% of students experience injuries due to immoderate exercises and misunderstanding ballet positions. Interestingly, more than half of students (58%) want to study step-by-step ballet classes of the Vaganova teaching method. Lastly, 66% of students can already perform higher level ballet positions for their age. In conclusion, most ballet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ere between 10 and 13 years old and over half of the ballet students study ballet less than two years. Most students study ballet for 1 hour or 1.5 hours which is a proper amount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considering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many students who studied in the private ballet institutes, almost half of students take ballet classes only one or two times per week. From this reason, it might be difficult to systematically apply the Vaganova teaching method. Most classes focus on the physical training, and thus they might have difficulty of understanding the ballet education in its entirety. In addition, many students participate in ballet performances and competitions after less than 2 years of their training. Considering the above fact, it was suspected that the private ballet institutes would focus on the training programs for ballet competitions and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rather than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students’ individual developments. As a result, it is hard to adopt the Vaganova teaching method without minor changes. For this reason, Korean ballet education takes the form of the Vaganova teaching method butalters its form for ballet competitions and entrance examinations. However, the alteration of Vaganova method could produce deformed ballet dancers who are highly skilled but unbalanced considering the long term point of view.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ballet teaching programs should consider individual developmental levels rather than focusing on ballet competitions and entrance tests.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가노바 발레 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중요한 기본을 학습하게 되는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는지 현 발레교육의 실태를 조사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발달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수업을 실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력 5년 이내의 발레를 전공으로 주당 3시간 이상 발레교육을 받는 8세 이상 13세 이하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응답자의 소재지는 서울지역으로 제한하였다. 집단 선정은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남녀 학생수와 학년의 비율은 제한하지 않았다. 설문지 중 무성의한 반응을 보이거나 누락된 자료는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48부 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엑셀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발레를 하는 학생들의 대다수가(65%)가 본인의 의지로 선택하였으며 그 중 63% 학생들이 전문 무용수가 되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56%) 10명의 정원제로 수업을 받고 있으며, 수업의 내용은 주로 바와 센터와 작품연습 등과 같은 실기 수업에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다수의(87%)의 학생들이 2년 미만의 기간 내에 토슈즈를 신었으며, 공연 및 콩쿠르참가 역시 이 시기에 많이 시작하였다. 넷째, 77.%의 학생들이 부상의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부상의 이유로는 무리한 테크닉과 동작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를 꼽았다. 특히 과반수가 넘는(58%)의 학생들은 바가노바 메소드 단계별로 배우기를 원하였다. 다섯째, 66.%의 학생이 이미 고학년 과정의 동작을 시행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레전공학생의 대다수가 초등학교 고학년인 10세부터 13세의 학생이었으며, 발레를 배운지 2년 미만인 학생이 응답자 중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발레교육을 받는 시간은 대다수가 1시간에서 1시간30 분을 받고 있어서 저학년 발레 전공자들에게 적정한 시간이었지만 사설 학원에서 주로 교육이 이루어 지는, 저학년 발레 전공자들의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학생들이 주 1~2회 수업만 받고 있어서 체계적 수업이 어려울 것이라 예측할 수 있었다. 대다수 인원의 학생들이 실기위주의 수업을 받고 있어서 학생들이 발레교육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어려우며, 발레를 교육받은 후 2년 이내에 공연 및 콩쿠르에 참가하고 있어서 사설학원의 교육 시스템이 학생의 신체적 능력을 고려한 체계적 프로그램을 운용하기 보다는 콩쿠르와 중학교 입학시험을 위한 교육법을 실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바가노바 메소드를 한국에서 그대로 시행하기는 사실상 어려우며, 그로 인해 한국의 발레 수업은 바가노바 메소드의 형식을 취하되 한국의 입시 및 콩쿠르에 맞도록 변형된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형태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기술 위주의 급조된, 균등하지 않은 기형적인 무용수만을 대거 양산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좀더 다양하고 균형적인 발레 전문가들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눈앞의 입시실기에 흔들리지 않는, 건강한 발레 수업과 체계적인 수업내용을 담고 있는 발레 교육 프로그램 실천이 절실하다.

      •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이다은 서울敎育大學敎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First, are there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labor,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Does emotional labo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gnificantly explain psychological exhaustion? Third, Does ego-resilience significantly explai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re than emotional labor explains? Fourth, Does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re than emotional labor explains?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data was collected from 42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by researching the measure of emotional labor,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Final number of data for analysis were 426. For the data analysis, SPSS 21.0 was used for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MOS 23.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labor,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emotional labor had 24.3% explanatory power about psychological burnout. Sub - factor, facial action,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as static and internal action as psychological burnout as amulet. Among the two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facial action had more explanatory power than internal action.   Third, Ego - resilience significantly explain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more than emotional labor explained. 24.7% of facial and internal actions, which are sub - factors of emotional labor, account for psychological burnout, and when the sub – factors of ego-resilience such as self - efficacy, interpersonal efficiency, optimistic attitude, and anger control are added,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39.7%. Thus, emotional labor and ego - resilience accounted for 64.4% of psychological burnout. Self - efficacy, interpersonal efficiency, optimistic attitude, and anger control all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negatively when controlling emotional labor. Among the sub -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optimistic attitude was the highes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nger control was the lowest.   Fourth,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more than emotional labor explained. 24.7% of facial and internal actions, which are sub - factors of emotional labor, account for psychological burnout, and when the sub - factors of social support such as information support,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are added,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10.6%. Thus,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35.3% of psychological burnout. Emotional support, which is a sub - factor of social support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negatively when controlling emotional labor, but information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did not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labor is suggested as a reason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explanatory power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grasp the phenomenon by selecting ego -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s protection factors. Ego -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more than emotional labor explained, and explanatory power of ego - resilience was higher than explanatory power of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mphasizing ego -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especially focusing on ego - resilience,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elimination of negative causes in developing counseling and recover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ing psychological burnout It provid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1>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2>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가? <연구 문제3> 자아탄력성은 감정노동이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가? <연구 문제4>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이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도구를 온라인 설문지로 배포하였다. 회수된 426부를 대상으로 최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검사도구의 신뢰도 검증, 주요 변인 간의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AMOS 23.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감정노동,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감정노동은 심리적 소진에 대해 24.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을 정적으로, 내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 중 표면적 행동이 내면적 행동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설명량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감정노동이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을 24.7% 설명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이 추가되었을 때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39.7% 증가하였다. 이에, 감정노동과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소진의 64.4%를 설명하였다. 감정노동을 통제했을 때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 모두 심리적 소진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상대적으로 낙관적 태도의 설명력이 가장 높고, 분노조절의 설명력이 가장 낮았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이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과 내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을 24.7% 설명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추가되었을 때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10.6% 증가하였다. 이에,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의 35.3%를 설명하였다. 감정노동을 통제했을 때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했지만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설명하는 원인으로 감정노동을 제시하고 보호요인으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선정하여 심리적 소진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하고 현상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이 설명하는 것 이상으로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자아탄력성의 설명력이 사회적 지지의 설명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는 초등교사들을 상담하고 회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부정적 원인의 제거보다는 긍정적 기능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특히 둘 중에 자아탄력성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 및 조직몰입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다은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보육교사가 지닌 교사효능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자아탄력성, 조직몰입, 교사효능감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보육교사의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 및 조직몰입이 교사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0세~만 5세 담당 보육교사 360명이었으며, 이들에게 표준화 자아개념검사(SCI Ⅱ: 성인용, 이경화, 고진영, 2015), CPI의 자아탄력성검사(Klohenn, 1996), 조직몰입 척도(Allen과 Meyer, 1990) 및 보육교사 교사효능감 검사(김해리, 2019)를 사용하여 조사를 하여 최종 32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개념, 자아탄력성, 조직몰입은 교사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 및 조직몰입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에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자아개념과 자아탄력성을 확인하고, 보육환경에서 어떻게 조직몰입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교사의 자질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해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과 교사들의 개별 특성을 계발 할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도 시사점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ariable that effects the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in the viewpoint tha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teacher efficacy to the child care teachers plays an important effect. Therefore, the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 care teacher’s self-concept, ego-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teacher efficacy and also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eacher efficac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360 child care teachers that work in daycare centers and takes care of the child of age 0~5 years old. The standardized self-concept inventory(SCI Ⅱ: for adults, Lee, Ko, 2015), and the CPI ego-resilience test((Klohenn, 1996),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Allen & Meyer, 1990) and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test(Kim, 2019) was conducted in the survey and a total 320 surveys was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identify the relation of effects among the variables.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self-concept, ego-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child care teachers had a positive relations to teacher efficacy. Second, the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dentified to have effect on the teacher efficacy.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of the child care teacher it is needed to identify the teacher’s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and is needed to consider how to immers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hild care environment. Although to increase the teacher’s qualification and profession forming the work environment to immerse in the organization is needed as well as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develope the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 Attenuation of UVB-Induced Photoaging by Manilkara zapota Leaves Extract via Modulation of MAPKs/AP-1/MMPs Signaling in HaCaT Keratinocytes : HaCaT 각질형성세포 내 MAPKs/AP-1/MMPs 기전 조절에 의한 사포딜라 잎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 효과

        이다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활성산소종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광노화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 식품 소재로서 사포딜라 잎을 100% 에탄올로 용매 추출하여 주름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우선적으로 DPPH, ABTS 등의 항산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고, 피부 내 탄력 기능을 유지하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엘라스타아제의 억제 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사포딜라 잎 100%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간의 상피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주를 in vitro 실험에 이용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등 세포 외 기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질단백분해 효소인 MMP의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과 웨스턴 블롯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RNA의 발현 수준에서는 사포딜라 잎 100%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MMP-1과 MMP-2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고, 단백질의 발현 수준에서는 MMP-1의 발현이 시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최근 선행 연구에서 노화 관련 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밝혀진 SIRT-1은 증가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포딜라 잎 100% 에탄올 추출물이 MMP의 분비에 관여하는 마커들로 알려진 NF-κB, AP-1, MAPK 신호경로에서 각 인자들의 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inhibitor 실험을 통해 앞서 언급한 두 전사인자와 MAPK 경로 간의 상관관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 분무 이온화 및 대기압 화학 이온화 질량분석법을 통해 사포딜라 잎 100% 에탄올 추출물이 어떠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는지 확인한 결과, chlorogenic acid, myricetin, gall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며, in silico 분자 도킹을 이용하여 MMP-1 (PDB: 966C) 수용체에 리간드로서 결합하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국내에서도 아열대 작물의 재배가 주목받기 시작한 농업 실정에서 사포딜라 잎 100%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가 천연물 유래 소재를 함유한 이너뷰티 기능성 식품 산업의 개발에 유익할 것이라 판단된다.

      • 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근접오류보고의향,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

        이다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re essential to create a safe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vels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ward nurse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on ward nurses. Using IBM SPSS/WIN 19.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conducted. Results: Factors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clude career (β=-.18, p=.016), medical ward (β=-.28, p=.010),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β=.19, p=.007),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β=.19, p=.004),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7, p<.001).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uld be reinforced.

      •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의 유변물성과 입자 응집의 상관관계 연구

        이다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particle aggregate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CNT) dispersion. The microstructure of aggregates which was formed by particle interaction shows self-similarity and can be interpreted by fractal theory, and it affects macroscopic properties such as rheolog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refore, the microstructure of CNT aggregation was analyzed using elastic properties and thixotropy of CNT dispersion. To prepare dispersion, CNT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9.5 nm and an average length of 1.5 μm were dispersed in glycerol, a Newtonian fluid, in the range of 15 to 300 minutes of milling time, and rheolog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milling time increased, the hysteresis area increased and the time dependence of rheological properties was improved. In addition, the fractal dimension and structural parameter were obtained through the scaling relations of the storage modulus of the CNT dispersion with the particle concentration. As the milling time of CNT dispersion increased, the fractal dimension of the aggregates decreased from 1.701 at 30 minutes to 1.424 at 120 minutes and the aggregates had a string-like structure. The structural parameter was 0.057 to 0.272, and it corresponds to a strong-link regime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links between the aggregates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aggregate. These results show that dispersion was improved with milling time so that aggregates are separated into individual CNT particles and a particle network is formed.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현탁액의 유변학적 물성을 통해 입자의 응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입자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응집체의 미세구조는 자기 유사성을 보여 프랙탈 이론을 통해 해석할 수 있으며 유변물성과 전기전도도와 같은 거시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현탁액의 탄성적 성질과 thixotropy(틱소트로피) 성질을 이용해 미시적 응집 구조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뉴턴 유체인 글리세롤에 직경 9.5 nm, 평균 길이가 1.5 μm인 CNT 입자를 분산 시간 15분에서 300분 범위에서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해 유변학적 물성과 전기전도도를 측정했다. 분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hixotropy를 나타내는 hysteresis area가 증가함을 확인했다. 또한 CNT 현탁액의 저장 탄성률이 입자 농도 의존성과 갖는 스케일링 관계를 통해 프랙탈 차원과 입자 매개변수 를 구하였다. CNT 현탁액은 분산이 진행되면서 프랙탈 차원이 분산 시간 30분일 때 1.701에서 300분 일 때 1.424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선형의 입자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 는 0.057에서 0.272로 응집체는 strong-link 영역에 해당하여 응집체 사이의 응집력이 우세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분산 시간에 따라 분산성이 향상되어 응집체가 개별 입자로 분리되고 입자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한·중 ‘數’ 관련 사자성어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이다은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숫자 관련 사자성어의 교육 방법과 수준별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과거에 비해 진학과 학습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수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국내 취업과 체류자격 변경 등을 위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의 수는 여전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숫자와 관련된 사자성어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뿐만 아니라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숫자 관련 사자성어는 오랜 세월 동안 언어생활에서 사용되어 온 관용적 표현 중 하나로, 네 자의 한자어에는 함축적이면서도 풍부한 의미가 담겨 있어서 고급스러운 언어를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사자성어는 민족의 정서나 문화가 반영되어 있어서 사자성어의 학습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접할 수 있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숫자 관련 사자성어 중에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형태와 의미가 같은 것도 있지만, 양국에서의 언어적 상황과 사회적·문화적 환경에 맞게 그 형태와 의미, 용법이 서로 달라진 것도 많다. 그리고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 풍습과 문화 등이 반영되어 중국어에서 찾아볼 수 없는 숫자 관련 사자성어도 적지 않다. 이처럼 한국어와 중국어의 숫자 관련 사자성어는 형태와 의미 관계가 서로 동일·유사·상이함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쉽게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숫자 관련 사자성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의 「사자성어대사전」, 「한중성어사전」과 중국의 《成語大詞典(最新修訂版)》에 수록된 성어 중에서 숫자 ‘半, 一, 二/兩, 三, 四, 五, 六, 七, 八, 九, 十, 百, 千, 萬’ 등이 포함된 사자성어를 대상으로 한·중 숫자 관련 사자성어의 정의와 유래로부터 상징적 의미, 형태와 의미에 따른 유형, 문법구조, 문법적 기능 등을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용 숫자 관련 사자성어를 선정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숫자와 관련된 사자성어를 학습할 때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하고 익힘으로써 언어생활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1장에는 한·중 숫자 관련 사자성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중 숫자 관련 사자성어의 정의와 특징을 정리하고, 유래를 살펴본 다음 숫자 관련 사자성어에 나타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우선 한·중 숫자 관련 사자성어를 비교하여 숫자가 지닌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인 용례를 통하여 한·중 숫자 관련 사자성어를 형태·의미에 따라 크게 동형형, 이형형, 한국문화 특유의 형태 등 세 가지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한·중 숫자 관련 사자성어의 문법구조와 문법적 기능도 비교 연구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의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숫자 관련 사자성어와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출제된 숫자 관련 사자성어를 정리하여 출현 빈도, 유형과 문법구조를 분석하였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숫자 관련 사자성어 교육에 관한 필요성과 이해도를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중 말뭉치에서 숫자 관련 사자성어의 사용 빈도를 조사하고, 설문조사의 결과를 참고하여 한국어 교육용 숫자 관련 사자성어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언어 기능과 문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준별 수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6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였고, 중국인 학습자 대상 숫자 관련 사자성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 초등 한국어학급 운영교에서 원적학급 담임교사의 교실 운영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이다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한국어학급 운영교에서 한국어학급과 원적학급의 학습 연계방법 논의와 원적학급에서 담임교사들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에서 학령기에 해당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한국어 및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학교 내에서 다문화 학생들이 주당 최대 10시간씩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해 개별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인 ‘한국어학급’을 도입하였다. 한국어학급은 그 효과를 인정받아 설치 학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운영과정에서 여러 문제점 역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학생들이 최종적으로 적응해야 하는 곳인 원적학급 내에서의 지도 대책을 다룬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한국어학급 운영교에서 원적학급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원적학급 내의 상황과 학생들에 대한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인천 지역 초등 한국어학급 운영교에서 한국어학급 대상 다문화 학생을 1년 이상 지도한 경험이 있는 담임교사들로, 총 21개 학교 82명 교사가 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는 학생 유형을 세 가지(한국어학급 대상자이나 미입급한 경우, 한국어학급에 입급한 경우, 한국어학급에서 원적학급으로 복귀한 경우)로 분류하고, 교사들이 본인이 지도한 학생이 이 중 어떤 유형이었는지 선택하여 참여하도록 했다. 설문조사 후,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담임교사들이 유형 별로 각각 어떻게 교실을 운영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교사들의 지도 양상은 크게 학습지도(한국어, 일반교과)와 생활지도(교우관계·학교규칙·정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교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이나 요구사항도 함께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원적학급에서의 지도에 대한 지원책 및 원적학급과 한국어학급 간의 수업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세 유형의 공통 지원 방안으로 이중언어 가능 협력 강사의 확보, 담임교사의 한국어교육 전문성 확충, 다문화 전문 상담사의 확보, 다문화 학생 밀집도의 조정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 미입급 학생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 정규 수업시간에 활용 가능한 수준별 한국어 자료 개발, 학부모 대상 한국어학급 홍보자료 개발, 원격 학습 프로그램의 확충, 다문화 학부모 설명회 개최 방안을 제시하였다. 입급 학생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 한국어학급과 원적학급 간의 적극적인 수업내용 공유, 다문화 학생 대상 보충학습 프로그램 확충, 다문화 학생의 모국어 및 문화 수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복귀 학생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 한국어 수준별 보충교재의 개발, 한국어학급 기간 연장 및 원적학급 복귀 기준 강화, 내용 중심 교과수업, 교사 대상 다문화 생활지도 연수과정 개발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인천 지역의 학교를 조사한 것으로 분석 결과를 다른 지역에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교사의 인식이 중심이 된 것으로, 교육의 당사자인 학생의 의견을 담지 못했다는 면에서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한국어학급 운영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이 대부분 하나의 학교만을 대상으로 한 것과는 달리 한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의견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 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원적학급 담임교사들의 지도 내용과 요구사항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원 방안이 한국어학급 운영교 현장에서 다문화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 지원에 대한 논의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 다문화 학생의 증가로 한국어학급이 계속 확대될 전망인 만큼,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앞으로의 한국어학급 정책 운영에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o link student's learning between Korean class and regular class at elementary and to suggest policies for effective guidance of homeroom teachers in regular classes. The number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in school age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many of them are suffering from school maladjustment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Korean Class," a program that allows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s to receive individual education o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for up to 10 hours a week.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the number of Korean classes continues to increase, but various problems are also occurring in the operation process. However, there has not been much discussion on this problems, and in particular, research on guidance in the regular class, where students must finally adapt,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situation in the regular class through a survey targeting homeroom teachers of the regular class. Subjects to the survey were homeroom teachers who had more than a year of experience in guiding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eligible for Korean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nd 82 teachers from 21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re are three types of students who are eligible for the Korean class(students who rejected to Korean class,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for Korean class, students who finished Korean class). Teachers were asked to choose which of these types of students they taught and participate in the survey. Based on the respons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omeroom teachers operated their classroom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ir multicultural students. Teachers' guidance patterns were largely divided into learning guidance (Korean, general subjects) and school life guidance (relationship, school rules, and emotions). It also identified the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teachers, and based on this, it suggested proposals to support guidance in regular classes and ways to link student's learning between regular class and Korean class. As suppor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three types in common, this study suggested securing bilingual cooperative instructors, expanding homeroom teachers' experti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uring multicultural counselors, and adjusting the density of multicultural students. As suppor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students type who rejected to Korean class, it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regular classes, the development of promotion of Korean class for multicultural parents, the expansion of distance learning programs, and the holding of multicultural parent briefing sessions. As suppor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students type who were participating for Korean class, it suggested active sharing of class contents between Korean class and regular classes, expansion of supplementary lear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progress of multicultural classes. As suppor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students type who finished to Korean class, it suggested developing supplementary textbooks for each Korean levels, extending the period of Korean class, strengthening standards for returning to regular classes, content based instruction and developing training courses of multicultural guidance for teachers.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d schools in the Incheon area,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analysis results to other regions. In addition, this study was centered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didn't contain the opinions of student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flected diverse opinions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entire region,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only targeting one school.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the requirements of homeroom teachers of the regular class, which have not been highlighted. We hoped that the suppor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help discussing effective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at the school. In additio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expected to continue to expand and we hop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 present the right direction for future Korean class policy operation.

      • 연결성을 활용한 팬 플랫폼 활성화 연구 : 팬 플랫폼 Weverse를 중심으로

        이다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Fandom Platform” based on fans has emerged as a new business model for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The Fandom Platform provides various contents experience from their favourite artists without restriction to time and spac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nectivity of the most representative Fandom Platform “Weverse”. The Connectivity mentioned in this study is a method to create a new experience by correlating each independent content to expand the range of the fan’s experiences. The aspect of BTS is Weverse’s original content that has appeared through two connectivities analyses based on Weverse. This is a combination of Weverse Original contents <Connectivity 1>, and a connection of Weverse content and the Fandom market <Connectivity 2>, a <Connectivity 1>, which emphasized the internal Connectivity of Weverse. This was viewed as a major activation factor and intensively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1>, Weverse confirmed that it provides immediate artist related content according to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formed that it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forms the hierarchization of fans own content experiences. However, it does difficult on how to induce the continuous inflow and consumption of Idol fandom with high activity only by expanding Fandom Platform’s connectivity.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e expansion of two connectivities centered on Weverse as an activation factor. 코로나 이후 팬덤 기반 팬 플랫폼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급부상했다. 팬 플랫폼은 팬덤을 기반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향유자의 다양한 팬 경험을 창출하고 그것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향유를 극대화할 수 있는 향유 공간이다. 본고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팬 플랫폼인 위버스(Weverse)의 향유 활성화 요소로서 콘텐츠의 연결성에 주목한다. 본고에서 말하는 연결성이란 팬덤으로 상관 가능한 독립적인 콘텐츠를 상호 연계하여 새로운 체험을 창출함으로써 향유를 활성화는 전략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위버스에서 제공하는 BTS 오리지널 콘텐츠를 1) 위버스 내부 콘텐츠 간 연결성(연결성Ⅰ), 2) 위버스 콘텐츠와 향유자 간 연결성(연결성Ⅱ)으로 나누어 향유 연결 양상을 탐구했다. 특히 본고에서는 위버스 내부의 연결성을 강조한 ‘연결성Ⅰ’에 중점을 두어 분석했다. 위버스는 팬 콘텐츠 간의 상관을 집중 부각시키고, 그 활성화 정도에 따라 ‘체험의 위계화’를 창출함으로 향유자의 팬 콘텐츠 구매를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이는 기존 팬덤의 양상과는 다른 수평적 구조를 보이며 아이돌 팬덤의 참여적 활동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향유자의 지속적인 유입과 새로운 체험을 창출하기 위해서 팬덤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연결성 강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팬 플랫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