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敎師의 成就動機 水準과 職務態度와의 關係

        이남국 公州師範大學校 敎育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star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attitudes at work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Date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Two kinds of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550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One was for measur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composed of 30 items, and the other was for measuring the teacher's attitudes at work, "the Motivation-Hygiene Inventory" developed by Sergiovanni, composed of 10 items. The stasistical methods used were Chisquare(X^(2)) an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di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the teacheres with high teaching experience and those with lower one, teachers and head teachers, public schools and private ones, small scale schools and large scale ones, country schools and city ones, teachers' graduated from teachers' college and those from non teachers' one. 2. Male teachers had higher level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an female ones. 3. In terms of general tendency, the teachers' group of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seems to show the attitudes of tending to seek for motivation orientation, and the teachers' group of lower achievement motivation seems to show the attitudes of tending to seek for hygiencial one. 4. There wa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achievemnt motivation and the attitudes at work in female teachers than in male ones, in private schools than in public schools and in the city schools than in the country schools. 5.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attitudes at work seems to be considerably related.

      • 韓國 政府會計制度改革에 관한 硏究 : 發生主義 會計로의 轉換을 中心으로

        이남국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정부는 1998년 이후 민주화, 분권화, 세계화, 그리고 정보화 등의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결과중심 관리체제 구축을 통한 공공부문의 생산성 제고와 고객만족의 향상"을 목표로 정부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정부개혁이 의도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활동과 현실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정부회계제도의 적절한 뒷받침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현금주의에 기초한 단식부기로 운영되고 있는 정부회계제도는 ① 재정을 단편적으로 구분 관리함에 따른 총괄적·체계적 현황 파악의 어려움, ② 자산·부채의 인식 한계로 인한 회계건전성 판단 미흡, ③ 오류의 자기검증 및 회계간의 연계성 분석기능 결여, ④ 성과평가를 위한 원가정보 산출의 어려움 등의 한계로 인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1998년 5월 이후 국제화·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회계질서의 정립을 목표로 현행 정부회계제도를 현금주의에 기초한 단식부기에서 발생주의에 기초한 복식부기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정부가 추진중인 정부회계제도개혁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전 준비 및 공감대 형성 부족, 공무원의 능력 및 의지 미흡, 주요 쟁점의 미해결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상당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해결에도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는 "정부 및 기업회계에 대한 전반적 논의, 선진 외국 및 국내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성공적 정착에 기여할 수 있는 적용 가능한 대안의 제시"를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 검토하였다. 첫째, "왜 정부회계제도개혁이 필요하며, 민간부문과 운영환경상의 차이가 있는 정부부문에 기업회계가 실제로 적용가능한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결과중심 관리개혁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회계제도개혁이 필수적이며 원칙적으로 정부회계에 대한 기업회계의 적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최근 각 국 정부개혁에서 공통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원인, 특징, 성과, 그리고 한계는 무엇인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현재 발생주의를 전면 적용하고 있는 뉴질랜드, 영국, 호주 3개국 정부회계제도개혁사례에 대해 Lu¨der의 상황모형과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3개국의 정부회계제도개혁은 분권화와 책임성 확보를 내용으로 한 정부개혁의 지극히 자연스러운 결과로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 큰 문제없이 결과중심 관리개혁에 필요한 정보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진행중인 우리나라 정부회계제도개혁의 문제점과 이를 극복할 수 대안은 무엇인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Lu¨der의 상황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정부회계제도개혁과정의 성공가능성과 성공저해요인에 대해 분석·검토하고, 우리나라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실무 관련 주요 쟁점 - ① 회계의 인식기준 및 기장방식, ② 자산의 합리적인 인식과 관리, ③ 부채의 합리적인 인식과 관리, ④ 재무보고 실체 선정과 재무보고서의 구성 및 통합 - 별로 분석·검토하였다. 먼저 Lu¨der의 상황모형 적용결과, 우리나라도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회계시스템을 의미하는 정부회계제도개혁에 충격변수의 영향이 상당히 강하며, 사회구조변수, 정치구조변수, 행정구조변수, 시행상 장애도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비교적 긍정적인 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구조변수의 자본시장 및 회계전문가집단, 행정구조변수의 회계공무원의 충원 및 회계기준 제정조직, 그리고 시행상 장애의 회계공무원 능력은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우리나라 정부회계제도개혁의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IMF, OECD 등 국제기구의 발생주의에 기초한 재정개혁 권고, 자동분개프로그램과 같은 정부회계업무의 전산화, 그리고 뉴질랜드, 영국, 호주 등 정부회계제도개혁 성공사례의 시사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첫째, 중장기 계획의 관점에서 정부회계제도개혁 전담조직의 주도 하에 충분한 연구와 시범사업을 통한시험·검증을 거쳐 단계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정부회계제도개혁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회계공무원의 전문성 확보방안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시급하게 필요하고, 셋째, 연구성과가 미흡하고 공감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추진된 정부회계제도개혁작업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는 그동안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대해 관심이 미약하였던 학자, 공인회계사 등 전문가집단의 관심과 역할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실무와 관련하여, 첫째, 현재 추진중인 정부회계 전산시스템 구축작업은 교육비용과 전문인력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실무와 관련하여 쟁점으로 제시되고 있는 회계기준에 대해서는 시범사업을 통한 지속적인 보완이 이루어져야 하고, 셋째, 정부회계제도개혁 확산의 시기와 방법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시범운영에 대한 면밀한 검증·보완과 함께 공무원의 인식 및 교육여건의 변화에 대한 검토 후 확산 시기를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Lu¨der의 상황모형 적용결과에 따른 향후 과제로는 첫째,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따른 조직 개편으로서,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따라 각 기관별로 재정관리업무의 총괄적·체계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회계업무조직을 정비함과 동시에, 정부회계제도개혁을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게 이끌어갈 정부회계기준 총괄기구의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무원의 인식 변화와 전문성 확보 추진으로서, 먼저 기존의 정부회계제도에 익숙해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교육대상자에 따라 교육내용, 교육기간, 교육방식 등을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하며, 공무원에 대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부회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할 경우 자격증(가칭 정부회계사)을 부여하거나 인사고과에 반영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셋째, 정부회계제도 발전과 정착을 위한 전문가 역할 제고로서, 향후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안정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는 그동안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대해 관심이 미약하였던 정부회계전문가들에 의한 기초연구 강화와 공인회계사의 공공부문 참여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회계제도개혁 관련 법령의 개정으로서, 정부회계제도개혁은 예산회계의 기본 틀과 회계처리 방식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새로운 정부회계제도에 대한 법적 근거 확보와 부합하지 않는 각종 법령이나 예산회계제도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실무관련 향후 과제로는 첫째, 기초자산평가와 거래종류 구분으로서, 기초자산평가를 위한 자산조사 및 평가지침을 마련하고 시범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다음, 전국, 전부처에 확산하는 접근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자산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전산프로그램의 구축및 연계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예산(과목)과 회계(과목)의 연계로서, 발생주의에 기초한 복식부기의 기본원리를 반영함과 동시에 정부의 활동을 정확히 규정해주는 회계과목의 설정과 설정된 회계과목을 예산과목과 연계시켜나가는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비용효과적인 정부회계제도 구축 및 확산으로서, 현재 추진중인 정부회계 전산시스템구축 작업은 국가재정정보시스템의 큰 틀 안에서 교육비용과 전문인력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새로운 정부회계제도의 전국 확산 및 전부처 적용은 시범운영에 대한 면밀한 검증·보완과 함께 공무원의 인식변화와 교육여건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결정하는 계획적 접근이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회계제도개혁에 대한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 상황에서는 부천시의 사례에서처럼 전문가들과의 합동근무 방식을 채택 운영함으로써 운영지식의 전수를 통한 도입과정의 시행착오 최소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a series of government reform programs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pressures of democratization, decentralization,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These reform programs are basically aimed at enhancing public sector productiv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the adoption of result-oriented management system. And the reform of governmental accounting system is an indispensable step toward a result-oriented management. Currently, Korea's governmental accounting system is based on cash accounting and single-entry bookkeeping. This system of governmental accounting makes it nearly impossibl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soundness of governmental financial management. Thus, the Korean government is attempting to transform the accounting system from cash accounting based on single-entry bookkeeping to accrual accounting based on double-entry bookkeeping. However, even though this transition is widely perceived as necessary, there are problems such as lack of consensus, unwillingness to change the system in the operational level, and unsolved complexities inherent in the transi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alternative strategy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adoption of the new accounting system in Korea. It also compares several foreign cases of successful transformation.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this study asks why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reform is necessary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adopt the business accounting system in the government sector. This study shows that government accounting reform is a crucial element in the result-oriented management reform, and also asserts that the business accounting system is applicable in the government sector.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consequence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reform. By applying Lu¨der's Contingency Model, and analyzing the cases of New Zealand, Australia, and the United Kingdom, this study shows that these reform experiences have been successful as a result of decentralization and strengthened accountability of the public bureaucracy. The new systems provide information for better management decisions. Third, alternative ways of reform which would overcome the obstacles are suggested. Lu¨der's model is also utilized to analyze the Korean case. The important subjects such as ① accounting recognition criteria and bookkeeping method, ② asset management, ③ liability management, and ④ selection of reporting entities and composition and consolidation of financial reports have been also analyzed. This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fewer barriers to reform than expected, and the new system has a good prospect of successful application in terms of societal structural variables, political structural variables, administrative structural variables, and implementation barriers. However,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the underdevelopment of capital market and the shortage of accounting specialists, inadequate staff training system and standard setting organization, and low level of staff quality may influence the reform process in a negative way.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pressures such as the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MF and OECD, the computerization of accounting system, and successful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provide positive stimuli to the successful accounting transformation in Korea. There are also a number of pre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ccounting reform. First, the reform process should be heuristic, initiated by ad-hoc organizations, and this trial-and-error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with a long-term perspective. Second, the quality of accounting personnel should be improved. Third, other experts such as scholars and accountants should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reform proces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also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ay-to-day operations of the new accounting system. First, the current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building should minimize the costs and the number of specialists, and maximize the variety of information provided. Second, pilot projects should provide the best accounting standards. Third, the timing and metho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pplication of this new system. This study also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a central organization which monitors and controls the overall accounting reform is needed. Second, the re-training program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he provision of adequate incentive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Third, scholars and accountants should b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reform process.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basic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new system. Fourth, the legal system associated with accounting reform should be changed as well. The recommendations on the level of day-to-day operations are also provided. First, the estimation of asset values and the classifications of government transactions are recommended. The diffusion of this system should be attempted only after a thorough analysis of the pilot projects. Second, the budgetary classification system should be linked with the accounting classification system. Third, the cost-effective system building and diffusion is also suggested. As stated above, the nationwide application of this system should be attempted after a thorough analysis of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trial-and-error process. Finally, in recognition of the shortage of the expertise on the accounting reforms,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cooperative works with experts.

      •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이남국 호남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교회는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부서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는데, 조사 대상의 교회에서도 최근 3년 동안 그 수치는 낮지만 감소 추세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교회학교의 운영에 있어 열악한 환경은 학생수 감소 및 학습자를 위한 교육 진행에 차질을 빚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같은 문제점의 원인을 살펴보면 먼저, 교육목회와 관련한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의 한국교회가 너무 성장 일변도로 숨차게 달려왔기 때문에 생겨나는 현상들에 대한 반성의 결과이다. 어떻게 하면 교회에 모여든 성도들을 올바로 교육 시켜서 하나님 나라에 봉사하는 온전한 신앙인으로 양육시킬 것인가는 우리가 풀어야 할 숙제인 것이다. 그러함에도 당면해 있는 현재의 문제가 그렇게 쉬운 것만은 아니다. 뿌리깊은 목회-교육의 이원적 사고 방식과 그에 따른 교회교육의 비전문성은 그리 만만찮은 문제들을 많이 야기하고 있다. 임영택은 신앙 공동체 교사에게 요구되는 두 가지 요소를 영성과 전문성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위에서와 같이 전문성을 은준관이 정의했다면, 임임택 은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성숙한 삶을 사는 척도와 능력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은준관은 그의 저서인 기독교교육 현장론에서 영성과 전문성이 엮어 내는 영역을 네 가지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영성과 전문성이 엮어 가는 처음 신앙 경험의 영역은 예배라고 할 수 있다. 교회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회복되어야 할 것이 바로 예배의 회복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예배의 본질이 무너지기 때문에 영성과 전문성의 결여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영성과 전문성이 엮어내는 두 번째 교회학교의 신앙경험은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이다. 이것은 전통의 전수라고도 할 수 있는데 그 안에는 영성과 전문성이 교차하는 신앙과 삶의 새로운 만남이며 사건이 바로 가르치고 배우는 행위인 것이다. 세 번째로 영성과 전문성이 엮어내는 신앙 공동체로서의 교회학교의 세 번째 신앙경험은 예배와 클래스룸으로부터 이어지는 영적교제(Koinonia)의 경험이다. 마지막으로 영성과 전문화를 통하여 신앙 공동체로서의 교회학교가 엮어가야 할 네 번째 영역은 선교, 혹은 봉사라고 번역될 수 있는 "diakonia"이다. 이 네 가지의 영성과 전문성이 엮어내는 교육이 바로 한국 교회의 교육 안에서 변혁되어야 한다. 이 둘 중 어느 하나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영성과 전문성의 공존과 조화가 교회학교 교사에게나 교회교육에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교회학교 교사의 기능과 역할로 볼 때, 기독교 교육 지도자로서의 교사는 자신이 교육전문가이며, 신앙공동체에 헌신하는 자원봉사자임을 늘 자각하고 있어야 한다. 기독교 신앙 공동체에서 가장 위대한 임무인 가르치는 사명을 맡은 자로서 교사는 우선 자기 자신을 바치고 드리는 것으로써 인력을 제공하는 자원봉사자의 역할 속에 있다. 더구나 그것이 막연히 인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교육의 일이 될 때 교사는 그 분야에 있어 효과적이며 적절한 능력을 수행하기 위한 전문성의 개발과 습득을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더구나 교사다운 인격과 믿음의 태도를 갖추어서 한 신앙인으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서도 안될 것이다. 자원봉사자로서의 교사는 그 자신이 남을 축복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진다. 또한 그 자신이 축복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진다. 남에게 도움을 주려고 하고 있으면서도 자신이 도움 받기를 원하기도 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교사를 훈련시켜 기독교교육 전문가로서 만들려고 기대하지 않으면서 그들을 단지 교회의 필요를 위한 자원봉사자로 활용한다는 것은 비양심적인 것이며 그 자신이 축복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교회에 있어서의 교사교육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별 화된 교사교육 훈련이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 교회교육에 있어서의 문제는 교사를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앞서 설명하고 있지만, 여기에서의 밝히고자 하는 것은 재교육이라는 점을 들고 있다. 교사 임용 후 사후 교육이 없이는 발전이 안된다는 점이다. 앞서 밝혔듯이 교사 교육후 대다수 교회에서는 교사교육에 있어 당사자에게 맡겨버리는 경향이 짙었다. 그러나 결국 교사는 혼자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접하게 되는데, 이것은 교회학교 교육의 질을 낮추는 결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회 교육에 있어 사후교육에 중점을 두어 진행해야 한다는 점을 깊이 있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교회 지도자들의 의식의 전환이다. 교회 교육의 기본 기능은 개인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 복음에 접촉하여 그의 생활이 그리스도의 성품으로 발하게 하여 이 같은 변화가 이웃에까지 영향을 미쳐 기독교적 사회화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교회교육은 교회의 양적 부흥에 따르는 부수적인 기능이 아니라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교회의 본질적인 기능이다. 교회의 교육이 교회의 본질적인 기능이라는 의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제대로 이루어져 교회를 교회되게 하는 교육이 진행될 수 있다. 셋째는 각 신학대학에서의 현장감이 있는 지도자 양성이다. 결국 신학대학을 나온 지도자에 의하여 교사가 양성되어지는 것인데 교육 현장에 대한 감각을 상실했거나 목사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현실은 교사를 교육해 가는데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그러므로 각 신학대학의 교육과정 중에 교회학교와 관련한 기독교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동기를 부여하는 계획이 있어야 하겠고, 교사를 전문화시킬 수 있는 현장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는 교회학교 교사교육과 운영을 위한 교회의 예산의 확보에 있다. 교회학교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시급하게 진행되어져야 할 사항이다. 교회교육과 교사교육을 위한 예산의 증액이 상당 수준으로 개선되어져야 교회교육이나 교사교육의 질적 개선을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조사되었던 것과 같이 교회 연 예산 대비 교육부서 예산은 0.9%-3.9%로 조사됐다. 예산 확보에 따라 교육부서의 운영과 학생 참여율은 비례하였다. 결국 교회의 교육부서에서의 예산 확보는 장년 대비 3%를 유지하였을 때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섯째는 교사의 확보에 있었다. 교사 1인당 담당 학생 수가 적어도 5명 수준으로 낮춰야 할 것이다. 현재 교회학교에서 담당하는 학생수가 최소 6명에서 많게는 15명까지였었다. 부흥 성장하여 반 학생 수가 증가한 것이 아닌 상황에서라면 오히려 집중적인 학습에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교회학교 성장을 위한 실태 분석과 그 대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제 한국교회가 미래를 생각하고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서는 그 근본이라 할 수 있는 교육부서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방법으로 교회학교를 운영하고자 한다는 것도 시대착오적인 발상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인식의 전환을 통한 교회학교 성장을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스쿼시와 스트레치를 통한 게임/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동작표현에 관한 연구

        이남국 공주대학교 영상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게임과 애니메이션에서의 동작표현은 실제 세상의 실사동작(live action)과는 다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 카메라 앞에서의 실사(live action) 배우의 연기이든지, 모션 캡처(motion capture)에 의한 실제 배우의 연기이든지, 동작은 현실 그대로의 데이터로 나타나지만, 게임과 애니메이션은 시각의 지속성(persistence of vision)이라는 영상적인 잔상(afterimage) 원리에 근거한 허상(illusion), 즉 현실이 아닌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속의 배경과 캐릭터의 동작들을 프레임(frame) 별로 하나하나 창조하는 매우 특별한 매체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현실적인 세계나 동작들이 그럴듯하게 보여 지게 하려면, 과장(exaggeration)이 적절히 적용되어야 만 하는 것이다. 생명체(인물, 동물, 가상생물)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표정(expression)이나 동작(action), 연기(acting) 및 자세(attitude)와 함께, 금속이나 나무 같은 사물 역시 만화 체 형식(cartooning style)의 게임, 애니메이션에서는 과장된 탄성이 적용되어질 수 있다. 이 탄성(Elasticity)을 애니메이션에서는 스쿼시와 스트레치(Squash and Stretch) 원칙이라고 부른다. 스쿼시와 스트레치가 없는 어떤 동작이든 딱딱하고 흥미가 없고, 생명력이 없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 이것은 질량, 부피, 중력의 기본 법칙과 함께, 모든 사물의 움직임, 캐릭터의 동작, 대사, 얼굴표정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무거운 캐릭터는 가벼운 캐릭터 보다 더욱 스쿼시와 스트레치가 강조된다. 이 원칙의 적용은 캐릭터에게 무게와 부피의 허상을 제공하며, 애니메이션 동작의 뻣뻣함과 딱딱함을 벗어나, 부드럽고 유연한 동작이 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원칙이 없이는 어느 동작도 사실적으로 표현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게임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움직임이 보다 사실적이 되기 위해 이 이론은 널리, 그리고 깊이 있게 적용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게임과 애니메이션 교육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캐릭터의 동작에 매우 중요하게 적용되는 스쿼시와 스트레치(squash and stretch) 원칙의 존재는 어느 정도 알고는 있으나, 이 원칙을 가장 효율적으로 적용하고 활용하는 현실적 방안 제시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그나마 기껏해야 말랑한 고무공이 바닥에서 튀는 예제(bouncing ball)를 제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원칙의 이해부족과 적용 예제의 빈약한 제시로 인해 게임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동작을 구현할 때, 캐릭터가 너무 뻣뻣하고 딱딱하게 되는 경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원칙의 이론적 이해와 함께 적용방법을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그에 따라 캐릭터는 단지 화면 속에나 존재하는 딱딱한 무 생명체가 아니라, 마치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말랑하고 생기 있으며 실존하는 영혼을 가진 인물처럼 보여 지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육현장 및 산업현장에서, 게임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동작을 보다 사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탄성(elasticity), 즉 스쿼시와 스트레치(S&S) 원칙의 중요성과 함께, 그 원칙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적용방법 및 활용 가능한 실용적인 예제들을 제시하는데 주 목적을 두었다. The expression of action for the game and animation has included another elements from the live action of real world. Either it is the live action actor's performance in front of camera or real actor's performance by means of motion picture, the action is expressed by data on reality itself, but the game and animation is the illus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reflecting afterimage, that is to say, it is very unique media which the action and character in virtual reality, not reality, create one by one each frame. Accordingly exaggeration has to be applied moderately for such unrealistic world or actions to be shown plausibly. Not only it reinforces the expression, action, acting and attitude of animation character that is body of life (a character, animal, virtual animal), but also metal or tree as physical solid, exaggerated elasticity can be applied on cartooning style animation. This elasticity is called the principle of squash and stretch in animatio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squash and stretch makes an offer to the character an illusion of weight and volume, and it makes it possible to act smoothly and fluently get out of strictness and toughness of animation action. In animation if we express the action of character or substance as same real world, it will be seemed unnaturally. Any action without squash and stretch have no interest and tough, and seem to be shown lifeless. It can be applied all substance movement, character action, dialogue, facial expression as well as the standard principle of mass, volume, weight and gravity. Heavy character enforced the squash and stretch more rather than light character. Without this principle any action will not be expressed realistically. Accordingly this theory has to be applied widely and deeply in order to become more realistic of animation character's motion. None the less, the existence of this principle is known on education field and industrial spot of the game and animation, but a scheme suggestion to use this principle most effectively is nearly none, at the most, the suggestion of simple bouncing ball is a major portion.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weakness of applying example for this principle has critical weak point not only confront a number of trial and error, but also waste precious time, resource and producing expenditure. Therefore this thesis has major objective to suggest the real applying method and practical example for possible utility by analysis the principle theoretically as well as importance of the principle of elasticity, namely squash and stretch, in order to practice more realistic action of game and animation character on educational field and industrial sp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